KR20120073374A -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및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및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374A
KR20120073374A KR1020127016265A KR20127016265A KR20120073374A KR 20120073374 A KR20120073374 A KR 20120073374A KR 1020127016265 A KR1020127016265 A KR 1020127016265A KR 20127016265 A KR20127016265 A KR 20127016265A KR 20120073374 A KR20120073374 A KR 20120073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film
component
metal
metal plating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8417B1 (ko
Inventor
야스히꼬 스기모또
노리오 기꾸까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28Sliders constructed to be removable from at least one stringer ; Sliders with movable parts to permit releasing of the slider in the event of jamming or ob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4Separable slide fasteners with quick opening devices
    • A44B19/388Bottom end stop means for quick open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8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means for obstructing movement of sl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은,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파스너 구성 부품(1)은, 상기 부품 본체부(2)의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기 전에 열처리가 행해져, 상기 금속 도금막(3)은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금속 도금막(3)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파스너 구성 부품(1)에 굽힘 가공이 행해져도, 그 부품 본체부(2)의 변형에 추종하도록 금속 도금막(3)을 변형시켜, 금속 도금막(3)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및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ZIPPER COMPONENT AND SLIDE ZIPPER, AND METHOD FOR PRODUCING ZIPPER COMPONEN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에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파스너 구성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와, 그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파스너는, 파스너 엘리먼트, 상지구, 하지구, 인서트 핀이나 박스 핀 등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슬라이더와 같이 다양한 파스너 구성 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파스너 구성 부품에는 금속제의 부품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제의 파스너 구성 부품 중 하나로 파스너 엘리먼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제의 파스너 엘리먼트는, 예를 들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의 평판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평판재를 펀칭하는 것 등에 의해 대략 Y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얻어진 금속제의 파스너 엘리먼트는, 좌우의 다리부의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를 끼운 상태에서 양 다리부를 내측을 향해 코킹함으로써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다.
또한, 그 밖의 파스너 구성 부품인 금속제 하지구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884,691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하지구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금속선에 압연 가공을 행하여, 상기 금속선의 단면을 대략 X자 형상(또는 대략 H자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그 후, 상기 금속선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얻어진 대략 X자 형상(또는 대략 H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지구는, 좌우로 1세트씩 연장된 아암부를 각각 파스너 테이프를 향해 코킹함으로써 상기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다.
또한, 금속제의 상지구, 인서트 핀, 박스 핀 등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대해서도,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합금, 아연 합금 등의 금속 재료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 또는 절단하고, 그 후, 얻어진 파스너 구성 부품에 코킹 가공을 행함으로써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다.
한편, 금속제의 슬라이더의 경우, 예를 들어 아연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트 성형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갖는 슬라이더 몸통체와 손잡이가 형성되고, 또한 얻어진 슬라이더 몸통체의 일부에 코킹 가공이나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손잡이를 슬라이더 몸통체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제2,884,691호 명세서
종래부터, 금속제의 물품에 대해, 새로운 의장성을 부여하는 것이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그 물품에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물품 표면에 도금막을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도금막의 형성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다양한 금속제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대해서도, 종래부터 많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 등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기초 소재로 되는 부품 본체부를 보호하기 위해서나, 원하는 색조를 부여하기 위해, 구리-아연계 합금(황동)에 의해 구성되는 금속 도금막, 또는 구리-주석계 합금이나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는 백색계의 금속 도금막이 그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을 모재로 하는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 또는 아연 합금 등의 금속을 모재로 하는 상지 하지구나 슬라이더 등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원하는 색조를 부여하는 것이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구리(순구리)나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는 금속 도금막이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에 의해 구성되는 도금막은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 등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금속 도금막을 형성한 후에, 그 금속 도금막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에 대해,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하기 위해서나, 손잡이를 슬라이더 몸통체에 부착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을 행한 경우,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형성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형성되어 버리면, 원하는 색조를 부여하기 위해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틈이나 크랙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기초 소재가 노출되므로, 파스너 구성 부품의 미관이 나빠, 슬라이드 파스너의 의장성이나 외관 품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목적으로 하여,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을 형성한 경우, 틈이나 크랙이 발생한 부분으로부터 파스너 구성 부품의 기초 소재(모재)에 부식이 발생되기 쉬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최근에는, 슬라이드 파스너가 사용되는 파스너 피착 제품에 고급감을 갖게 하기 위해, 편평하게 보이는 큰 사이즈의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 등이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큰 사이즈의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를 파스너 테이프에 코킹 부착하는 경우, 그 코킹 가공에 의해 소성 변형되는 변형량이 크기 때문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현저하게 발생하고, 또한 틈이나 크랙의 사이즈가 커지거나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미관의 문제나 부식의 문제가 더욱 심각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굽힘 가공을 행하여도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이 굽힘 가공되어 사용된 슬라이드 파스너 및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파스너 구성 부품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도금막의 형성 후에 상기 부품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파스너 구성 부품이며, 상기 굽힘 가공 전에 열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막은,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상기 재결정 구조가, 상기 금속 도금막을 상기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한 후, 상기 금속 도금막에 상기 열처리를 행하여 상기 주상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재결정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는,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부품 본체부는, 적어도 75wt% 이상 100wt% 이하의 구리와, 0wt% 이상 25wt%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상기 부품 본체부가,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어도 된다. 혹은, 상기 부품 본체부가,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 도금막과, 상기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상기 금속 도금막은, 구리-아연계 합금, 구리-주석계 합금 및 주석-니켈계 합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은, 1㎛ 이상 10㎛ 이하의 막 두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은, Hv50 이상 Hv100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품 본체부의 상기 금속 도금막측의 표층부에, 상기 금속 도금막에 포함되는 금속이 확산되어 형성된 확산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은, 파스너 엘리먼트, 고정구,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및 슬라이더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이 굽힘 가공되어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 도금막의 형성 후에 상기 부품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상기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굽힘 가공 전에, 상기 금속 도금막을 재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막의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도금막을,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에 상기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재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 도금막을,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을 300℃ 이상 4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 도금막을, 구리-주석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을 400℃ 이상 5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금속 도금막을,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을 500℃ 이상 6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이 갖는 Hv120 이상의 비커스 경도를, Hv50 이상 Hv100 이하로 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은,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후, 그 금속 도금막에 열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파스너 구성 부품에 형성된 금속 도금막은,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도금막의 적어도 일부에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어서, 상기 금속 도금막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열처리 전의 금속 도금막에 비해 연성이 우수하므로, 금속 도금막을 비교적 용이하게 신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도금막이 표면에 배치된 부품 본체부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 그 부품 본체부의 변형에 추종하도록 금속 도금막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또는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은, 종래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의 틈이나 크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문제, 즉, 파스너 구성 부품의 미관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금속 도금막에 부여된 색채를 균일하게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기초 소재에 부식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종래의 문제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재결정 구조가, 금속 도금막을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한 후, 상기 금속 도금막에 열처리를 행하여 주상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재결정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금속 도금막을 주상 결정 구조로 성장시킨 경우에 특히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의 적어도 일부를 재결정화시킨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주상 결정 구조만을 갖는 종래의 금속 도금막에 비해, 금속 도금막의 연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파스너 구성 부품에 형성된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부품 본체부가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구리나 구리-아연계 합금은 연성이 우수하므로,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나 상지 하지구 등과 같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재질로서 종래부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리나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이 배치되어 있으면, 부품 본체부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부품 본체부가, 적어도 75wt% 이상 100wt% 이하의 구리와, 0wt% 이상 25wt%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굽힘 가공이 행해진 부품 본체부에 응력 부식 틈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상기 부품 본체부가,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그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아연은, 일반적으로 원가가 저렴하고, 또한 다이캐스트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나 슬라이더 등과 같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재질로서 편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아연은 내식성이 낮으므로,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을 금속 모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금속체의 표면에는 내식성이 우수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기초 도금막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품 본체부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상기 부품 본체부가,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그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 도금막과, 그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계 합금은 경량이다. 이로 인해, 파스너 구성 부품의 금속 모재로서 알루미늄계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제의 파스너 구성 부품을 매우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알루미늄계 합금은, 파스너 엘리먼트, 상지 하지구, 슬라이더 등과 같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재질로서 편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알루미늄계 합금도 내식성이 낮으므로, 알루미늄계 합금을 금속 모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금속체의 표면에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 도금막이 무전해 도금 등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그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 도금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제1 및 제2 기초 도금막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품 본체부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의 재질은, 예를 들어 구리(순구리), 구리-아연계 합금 및 백색계 금속(예를 들어, 구리-주석계 합금, 주석-니켈계 합금, 니켈, 크롬, 팔라듐, 로듐, 백금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금속 도금막은, 비교적 낮은 재결정화 온도 영역을 갖는 구리-아연계 합금, 구리-주석계 합금 및 주석-니켈계 합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금속 도금막이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파스너 구성 부품에 굽힘 가공을 행하여도,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파스너 구성 부품은 양호한 외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이, 1㎛ 이상 10㎛ 이하의 막 두께, 바람직하게는 2㎛ 이상 6㎛ 이하의 막 두께를 갖고 있다. 당해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를 1㎛ 이상(바람직하게는 2㎛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금속 도금막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수록, 금속 도금막의 형성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를 10㎛보다도 크게 설정해도, 금속 도금막의 안정성이나 금속 도금막에 의해 얻어지는 외관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효과는 그다지 바뀌지 않으므로, 당해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는 10㎛ 이하(바람직하게는 6㎛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상기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은, Hv50 이상 Hv100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있다. 당해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가 Hv50 이상이면,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당해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가 Hv100 이하이면, 금속 도금막을 비교적 유연하게 형성하여, 금속 도금막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스너 구성 부품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그 굽힘 가공에 의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부품 본체부에 있어서의 소성 변형량이 큰 경우라도, 당해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에서는, 상기 부품 본체부의 금속 도금막측의 표층부에, 금속 도금막에 포함되는 금속이 확산되어 형성된 확산층을 갖고 있다. 이러한 확산층을 부품 본체부의 표층부에 갖고 있음으로써, 금속 도금막을 부품 본체부에 잘 융화시켜, 부품 본체부에 대한 금속 도금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파스너 구성 부품은, 예를 들어 파스너 엘리먼트, 상지구, 하지구, 인서트 핀이나 박스 핀 등의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및 슬라이더와 같은 부품에 특히 적절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드 파스너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이 굽힘 가공되어 사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의 발생이 없으므로(또는 매우 적으므로), 파스너 구성 부품이 균일한 색채를 가져 미관이 좋고, 의장성이나 외관 품질이 우수한 슬라이드 파스너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은, 파스너 구성 부품의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고, 또한 굽힘 가공이 행해지기 전에, 금속 도금막을 재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파스너 구성 부품을 제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에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막의 결정 구조가 재결정화되므로, 결정 배향이 흐트러진 재결정 구조를 적어도 일부에 갖는 금속 도금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은 연성이 향상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스너 구성 부품에 대해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되는 금속 도금막을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하고, 또한 그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에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재결정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도금막을 주상 결정 구조로 성장시킨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한 금속 도금막에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막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열처리 후의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금속 도금막을,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여, 그 금속 도금막을 열처리에 의해 300℃ 이상 400℃ 이하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금속 도금막이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금속 도금막의 적어도 일부에 재결정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금속 도금막을, 구리-주석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여, 그 금속 도금막을 열처리에 의해 400℃ 이상 500℃ 이하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금속 도금막이 구리-주석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금속 도금막의 적어도 일부에 재결정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금속 도금막을,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여, 그 금속 도금막을 열처리에 의해 500℃ 이상 600℃ 이하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금속 도금막이 주석-니켈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금속 도금막의 적어도 일부에 재결정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이 갖는 Hv120 이상의 비커스 경도를, Hv50 이상 Hv100 이하로 한다.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를 Hv50 이상으로 함으로써, 파스너 구성 부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를 Hv100 이하로 함으로써, 파스너 구성 부품에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열처리를 행하기 전의 파스너 구성 부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열처리를 행한 후의 파스너 구성 부품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파스너 구성 부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하지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스너 테이프에 대한 하지구의 굽힘 가공을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스너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기만 하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파스너 구성 부품에 열처리를 행하기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에 열처리를 행한 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부품 본체부(2)의 모재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부품 본체부(2)의 적어도 일부에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부품이다. 이러한 파스너 구성 부품(1)에는, 예를 들어 도 3에 일반적인 슬라이드 파스너(10)를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 하지구(12), 상지구(13), 슬라이더(14)(특히 슬라이더 몸통체), 도시하지 않은 인서트 핀 및 도시하지 않은 박스 핀 등이 포함된다.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Y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여 정면에서 볼 때 Y자 형상을 갖는 엘리먼트 소재를 형성하고, 그 엘리먼트 소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것, 혹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의 평판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평판재를 펀칭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는, 맞물림 헤드부로부터 2갈래 형상으로 연장된 양 다리부의 사이에, 코어끈부(15a)를 갖는 파스너 테이프(15)를 끼운 상태에서, 양 다리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된다.
하지구(12)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X자 형상 또는 H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X자 형상 또는 H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지구(12)는,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부(12a)로부터 좌우로 1세트씩 연장된 아암부(12b)의 사이에, 코어끈부(15a)를 갖는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5)를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각 세트의 아암부(12b)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15)를 끼운 상태에서, 각 세트의 아암부(12b)끼리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하지구(12)가 좌우의 파스너 테이프(15)에 걸쳐 부착된다.
상지구(13)는, 일반적으로 단면이 U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는 것, 또는 평판 형상의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고, 얻어진 절단편을 U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상지구(13)는, 상기 상지구(13)의 양단부 사이에 파스너 테이프(15)를 끼운 상태에서, 상지구(13)의 양단부를 접근하는 방향으로 소성 변형시키는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지구(13)가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된다.
슬라이더(14), 인서트 핀 및 박스 핀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캐비티 형상을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트 성형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4)는 다이캐스트 성형을 행함으로써 슬라이더 몸통체와 손잡이가 성형된다. 또한, 슬라이더 몸통체의 일부에 손잡이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그 슬라이더 몸통체의 일부에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손잡이가 슬라이더 몸통체에 부착된다. 한편, 인서트 핀 및 박스 핀은,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 제조된 후, 굽힘 가공이 행해짐으로써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나 하지구(12) 등을 포함하는 본 실시 형태의 파스너 구성 부품(1)은,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2)와,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배치되는 금속 도금막(3)을 갖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스너 구성 부품(1)에 대해 금속 도금막(3)의 결정 구조를 재결정화하는 열처리가 행해진 후에는, 부품 본체부(2)의 표층부에 확산층(4)이 형성된다.
부품 본체부(2)를 구성하는 금속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 형태의 파스너 구성 부품(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하는 부품이고, 또한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것이므로,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는, 구리, 구리-아연계 합금, 아연, 아연계 합금 및 알루미늄계 합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가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부품 본체부(2)는 우수한 연성을 구비하므로,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을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부품 본체부(2)(금속체)에 포함되는 구리 성분의 비율이 많아질수록 연성이나 내식성이 향상되므로, 부품 본체부(2)에 있어서의 구리의 함유량은 75w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리는 전선 등에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선 직경의 구리선을 입수하기 쉽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사이즈가 큰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하는 경우 등에는, 부품 본체부(2)를 순구리(구리의 함유량이 100wt%)로 구성해도 된다.
한편, 부품 본체부(2)(금속체)에 포함되는 아연 성분의 비율이 많아지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지만, 부품 본체부(2)의 내식성을 저하시켜 응력 부식 틈의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부품 본체부(2)에 있어서의 아연의 함유량은 25wt%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금속 모재)가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원가가 저렴하고, 다이캐스트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더, 인서트 핀 및 박스 핀 등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고 또한 대량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아연이나 아연계 합금은 내식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다. 이로 인해, 당해 부품 본체부(2)에서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의 표면에, 내식성이 우수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이 전해 도금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금속 모재)가 알루미늄계 합금(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마그네슘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파스너 구성 부품(1)을 용이하게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마그네슘계 합금이나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은, 내식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으므로, 방식 처리가 필요해진다. 이로 인해, 당해 부품 본체부(2)에서는, 우선,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 등을 이용하여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 도금막이 형성되고, 그 후, 그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전해 도금 등을 이용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부품 본체부(2)는, 금속 도금막(3)에 후술하는 열처리가 실시되었을 때에, 그 금속 도금막(3)에 포함되는 금속이 부품 본체부(2)의 표층부로 확산됨으로써 형성된 확산층(4)을 갖고 있다.
이 확산층(4)은,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가 예를 들어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의 부품 본체부(2)(금속체)의 표층부에 형성된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가 예를 들어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확산층(4)은,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된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의 표층부에 형성된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가 예를 들어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확산층(4)은, 부품 본체부(2)의 가장 표면측에 배치된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 도금막의 표층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확산층(4)이 부품 본체부(2)의 표층부에 형성됨으로써, 금속 도금막(3)을 부품 본체부(2)에 잘 융화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 도금막(3)의 부품 본체부(2)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부품 본체부(2)가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금속 도금막(3)이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3)보다도 부품 본체부(2)에 포함되는 아연의 함유량이 많을 때에는, 확산층(4)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파스너 구성 부품(1)에서는,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1)에 원하는 색조를 부여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속 도금막(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우선 습식 또는 건식의 도금 처리를 행함으로써,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때, 금속 도금막(3)은, (111)면으로 배향한 주상 결정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한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3)이 형성된 후, 파스너 구성 부품(1)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것보다도 전에, 당해 금속 도금막(3)에 대해 재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가 실시된다. 이 열처리에 의해, 주상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되어, 결정 배향이 보이지 않는(결정 배향이 흐트러진) 재결정 구조가 형성된 금속 도금막(3)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 도금막(3)의 적어도 일부가, 상술한 바와 같은 재결정 구조를 가짐으로써, 당해 금속 도금막(3)은, 주상 결정 구조만을 갖는 금속 도금막(3)에 비해 연화되고, 또한 금속 도금막(3)을 용이하게 진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3)의 재질은, 예를 들어 구리(순구리), 구리-아연계 합금 및 백색계의 금속(예를 들어, 구리-주석계 합금, 주석-니켈계 합금, 니켈, 크롬, 팔라듐, 로듐, 백금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금속 도금막(3)에 재결정 구조를 형성 가능한 열처리 온도에 의해,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체가 연화되어 버리면, 파스너 구성 부품(1)을 변형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금속 도금막(3)은,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를 연화시키는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재결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파스너 구성 부품(1)에 요망되는 색조나 금속 도금막(3)의 재결정화 온도 범위 등을 고려하면, 금속 도금막(3)은, 구리-아연계 합금, 구리-주석계 합금 및 주석-니켈계 합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가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해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도금막(3)은, 예를 들어 앤틱조의 색조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구리-아연계 합금(특히, 아연의 함유량이 20wt% 이상으로 되는 황동), 또는 백색계의 색조를 갖는 구리-주석계 합금 혹은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가 아연, 아연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당해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도금막(3)은, 예를 들어 앤틱조의 색조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구리-아연계 합금(특히, 아연의 함유량이 20wt% 이상으로 되는 황동)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3)은, 1㎛ 이상 10㎛ 이하의 막 두께, 바람직하게는 2㎛ 이상 6㎛ 이하의 막 두께를 갖고 있다. 이 금속 도금막(3)의 막 두께를 1㎛ 이상(바람직하게는 2㎛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을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금속 도금막(3)의 막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수록 금속 도금막(3)의 형성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금속 도금막(3)의 막 두께를 10㎛보다도 크게 설정해도, 금속 도금막(3)의 안정성이나, 금속 도금막(3)에 의해 얻어지는 외관 품질의 향상이라고 하는 효과는 그다지 바뀌지 않으므로, 당해 금속 도금막(3)의 막 두께는 10㎛ 이하(바람직하게는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재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3)은, Hv50 이상 Hv100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있다. 이 금속 도금막(3)의 비커스 경도가 Hv50 이상이면, 파스너 구성 부품(1)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양호한 외관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당해 금속 도금막(3)의 비커스 경도가 Hv100 이하이면, 금속 도금막(3)의 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형태의 파스너 구성 부품(1)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소정의 형상을 갖는 부품 본체부(2)를 제작한다. 예를 들어, 파스너 구성 부품(1)이 전술한 바와 같은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인 경우는, 단면이 Y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여 정면에서 볼 때 Y자 형상을 갖는 엘리먼트 소재를 형성하고, 그 엘리먼트 소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것, 혹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리나 구리 합금 등의 금속제의 평판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평판재를 펀칭함으로써,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의 부품 본체부(2)[기초 도금막이 형성되기 전의 부품 본체부(2)를 포함함]가 제작된다.
또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이 하지구(12)인 경우는, 단면이 X자 형상 또는 H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함으로써, 하지구(12)의 부품 본체부(2)가 제작된다. 파스너 구성 부품(1)이 상지구(13)인 경우는, 단면이 U자 형상인 긴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는 것, 또는 평판 형상의 금속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순차 절단하여, 얻어진 절단편을 U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함으로써, 상지구(13)의 부품 본체부(2)가 제작된다.
또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이 인서트 핀, 박스 핀, 또는 슬라이더(14)인 경우는, 예를 들어 소정의 캐비티 형상을 갖는 금형을 사용하여 다이캐스트 성형을 행함으로써, 부품 본체부(2)가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 본체부(2)를 제작하는 방법이나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스너 구성 부품(1)의 재질이나 형상 등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예를 들어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를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한 경우, 부품 본체부(2)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전해 도금에 의해 구리제의 기초 도금막을 형성한다. 또한, 예를 들어 부품 본체부(2)의 금속체를 알루미늄계 합금(예를 들어, 알루미늄-마그네슘계 합금 또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에 의해 구성한 경우, 부품 본체부(2)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체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아연제의 제1 기초 도금막을 형성하고, 또한 그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전해 도금에 의해 구리제의 제2 기초 도금막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파스너 구성 부품(1)의 부품 본체부(2)를 제작한 후, 얻어진 부품 본체부(2)에 도금 처리를 행하여, 상기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3)을 형성한다. 이때,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도금막(3)은 주상으로 결정 성장된다. 또한,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 도금막(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구리-아연계 합금, 구리-주석계 합금, 또는 주석-니켈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당해 금속 도금막(3)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습식 또는 건식 중 어느 도금 처리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습식 도금 처리로서는, 전해 도금이나 용융 도금 등을 이용할 수 있고, 한편, 건식 도금 처리로서는, PVD법이나 CVD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금속 도금막(3)을 형성하는 경우, 당해 금속 도금막(3)의 막 두께를 1㎛ 이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상 6㎛ 이하로 설정하여 금속 도금막(3)의 형성을 행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되는 금속 도금막(3)의 표면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는, 금속 도금막(3)의 재질에 따라서도 변화되지만, 기본적으로 Hv120 이상의 크기를 나타낸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도금 처리를 행한 후, 금속 도금막(3)이 형성된 파스너 구성 부품(1)에 대해, 금속 도금막(3)을 재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예를 들어 파스너 구성 부품(1)의 금속 도금막(3)이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처리가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300℃ 이상 40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소정 시간 행해진다.
이와 같이 열처리를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이 열처리 중에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산화성 분위기로서는, 질소 가스 분위기, 아르곤 가스 분위기, 일산화탄소 가스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를 300℃ 이상 40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행함으로써, 구리-아연계 합금제의 금속 도금막(3)의 적어도 일부에, 주상 결정 구조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본체부(2)가 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금속 도금막(3)이 구리-주석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처리가, 가압한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400℃ 이상 50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소정 시간 행해진다. 한편, 금속 도금막(3)이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처리는, 가압한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500℃ 이상 60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소정 시간 행해진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0.1㎫ 이상(바람직하게는 0.5㎫ 이상)으로 가압한 비산화성 분위기 중에서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에 포함되는 주석이 열처리 중에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금속 도금막(3)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산화성 분위기로서는, 질소 가스 분위기, 아르곤 가스 분위기, 또는 일산화탄소 가스 분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를 소정의 온도 범위에서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의 적어도 일부에 재결정 구조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하여, 금속 도금막(3)의 적어도 일부에, 주상 결정 구조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의 표면에 있어서의 비커스 경도를 Hv50 이상 Hv100 이하로 저하시키는 동시에, 금속 도금막(3)의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에 포함되는 금속이 부품 본체부(2)의 표층부로 확산되어 확산층(4)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스너 구성 부품(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 도금막(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 본체부(2)의 금속 모재를 연화시키는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재결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스너 구성 부품(1)에 금속 도금막(3)의 주상 결정 구조를 재결정화시키는 열처리를 행하여도, 부품 본체부(2)의 연화는 발생하기 어려워, 부품 본체부(2)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상기 열처리(재결정화 처리)가 종료된 후, 예를 들어 금속 도금막(3)이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금속 도금막(3)에 포함되는 구리를 산화시켜, 금속 도금막(3)에 흑색을 부여하는 흑색화 처리(흑염)를 더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도금막(3)을 갖는 파스너 구성 부품(1)을, 수산화나트륨 및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강알칼리액 중에 침지시킴으로써, 금속 도금막(3)의 표면에 산화 제2구리 피막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3)의 흑색화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조건은, 금속 도금막(3)을 구성하는 합금의 조성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도금막(3)을 흑색화하는 수단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도금막(3)을 흑색화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황산구리법이나 티오황산염법을 사용하여 금속 도금막(3)의 색조에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금속 도금막(3)에 녹색이나 청색의 색채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금속 도금막(3)의 표면이 흑색화된 파스너 구성 부품(1)에 대해, 연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색화 처리를 행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을 배럴 연마기에 연마재(연마석 등)와 함께 투입하여 연마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흑색화된 산화 피막을 일부 박리하여, 파스너 구성 부품(1)의 표면을 앤틱조의 고(古)황동색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연마 처리에서는, 파스너 구성 부품(1)의 형상 등에 따라서는, 배럴 연마 대신에 숏 블라스트 등의 연마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열처리를 행한 후, 예를 들어 금속 도금막(3)이, 구리-주석계 합금 또는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금속 도금막(3)은 백색계의 색조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당해 금속 도금막(3)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은 흑색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배럴 연마 또는 숏 블라스트 등에 의한 연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 처리가 종료된 후, 얻어진 파스너 구성 부품(1)을 수세하여 건조시킨다. 그 후, 파스너 구성 부품(1)의 표면 보호, 변색 방지 및 부식 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파스너 구성 부품(1)의 표면에 투명한 클리어 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처리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파스너 구성 부품(1)은, 그 후에 코킹 가공 등의 굽힘 가공이 행해져 슬라이드 파스너에 사용된다. 이때,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1)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써 연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파스너 구성 부품(1)에 굽힘 가공이 행해져도, 그 굽힘 가공에 의한 파스너 구성 부품(1)의 변형에 따르도록 금속 도금막(3)을 용이하게 신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파스너 구성 부품(1)에 굽힘 가공을 행하여도 금속 도금막(3)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파스너 구성 부품(1)의 사이즈가 커, 굽힘 가공을 행하였을 때에 파스너 구성 부품(1)의 변형량이 큰 경우라도, 금속 도금막(3)에 틈이나 크랙을 발생시키지 않고 굽힘 가공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금속 도금막의 틈이나 크랙에 기인하여 발생하고 있었던 종래의 문제, 예를 들어 금속 도금막의 틈이나 크랙으로부터 기초 소재가 노출되어 파스너 구성 부품의 미관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나, 파스너 구성 부품의 기초 소재에 부식이 발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로서, 파스너 구성 부품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하지구(12)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1 실시예의 하지구(12)는, 순구리로 이루어지는 부품 본체부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을 갖고 있다. 이 경우, 금속 도금막은, 구리의 함유량이 65wt%이고 아연의 함유량이 35wt%로 되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제1 실시예의 하지구(12)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긴 순구리선에 냉간 압연 가공을 행하여, 순구리선의 단면을 대략 H자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계속해서, 단면이 H자 형상인 순구리선을, 그 길이 방향으로 원하는 두께로 절단함으로써, 하지구(12)의 부품 본체부를 제작한다. 그 후, 얻어진 부품 본체부에 배럴 연마 처리를 행하여, 부품 본체부에 형성된 버어를 제거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하지구(12)의 부품 본체부에, 전해 도금에 의한 도금 처리를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구리-아연계 합금의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금속 도금막의 형성 후, 그 금속 도금막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 의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형성한 금속 도금막이 주상으로 결정 성장되어 있는 것 및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가 5.2㎛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형성한 금속 도금막을 X선 회절(XRD)에 의해 해석한 결과, 금속 도금막은 (111)면으로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금속 도금막을 EPMA에 의해 분석한 결과, 상기 금속 도금막에는, 구리와 아연의 농도 비율이 다른 영역이 층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한,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한 바, 금속 도금막은 Hv160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있었다.
다음에, 구리로 이루어지는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구리-아연계 합금의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하지구(12)에 대해,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하였다. 이 열처리에서는, 진공 중에 있어서 380℃에서 1시간의 가열을 하지구(12)에 행하였다. 열처리가 종료된 후, 하지구(12)가 갖는 금속 도금막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 의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로 관찰된 주상 결정 구조는 소실되어 있고, 주상 결정 구조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TEM 관찰에서는,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가, 5.2㎛로부터 8.0㎛ 정도로 두껍게 되어 있는 것과 같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해 금속 도금막을 EPMA로 분석한 바,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가 두꺼워진 부분에는, 금속 도금막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이 부품 본체부의 구리로 확산된 확산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부품 본체부의 표층부에 확산층이 형성된 것에 의해, TEM 관찰에 있어서 금속 도금막의 막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인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열처리한 금속 도금막을 X선 회절(XRD)에 의해 해석한 결과, (111)면으로의 배향은 소실되고, 결정 배향은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도, 금속 도금막은, 주상 결정 구조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열처리 후의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를 측정한 바, 금속 도금막은 Hv80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있고, 열처리에 의해 금속 도금막의 비커스 경도가 저하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열처리한 하지구(12)를, 수산화나트륨 및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강알칼리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금속 도금막에 흑색을 부여하는 흑색화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흑색화 처리를 실시한 하지구(12)에 대해 배럴 연마기에 의한 연마 처리를 행함으로써, 하지구(12)의 색조를 앤틱조의 고황동색으로 마무리한 후, 상기 하지구(12)에 대해 클리어 도장 처리를 행하였다.
클리어 도장 처리의 종료 후, 얻어진 하지구(12)에 굽힘 가공을 행하여, 상기 하지구(12)를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하였다(도 4 및 도 5를 참조). 그리고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된 하지구(12)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하지구(12)의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은 보이지 않고, 상기 하지구(12)는 앤틱조의 색조를 균일하게 나타내는 양호한 외관 품질을 갖고 있었다.
한편,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지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금속 도금막을 형성한 후에 열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조건으로 하지구를 제조하고(비교예), 상기 하지구를 코킹 가공함으로써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 이 비교예에 관한 하지구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하지구의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현저하게 발생되어 있었다. 또한, 이 하지구는, 금속 도금막에 형성된 틈이나 크랙을 통해 기초의 금속 모재가 노출되어, 미관(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로서, 파스너 구성 부품으로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의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황동)으로 이루어지는 부품 본체부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부품 본체부를 구성하는 합금은, 구리를 85wt%, 아연을 15wt%로 함유하고 있다. 또한, 금속 도금막은, 구리의 함유량이 70wt%이고 주석의 함유량이 30wt%로 되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를 제조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황동제의 평판재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여 맞물림 헤드부 등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평판재를 펀칭함으로써,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의 부품 본체부를 제작한다. 그 후, 얻어진 부품 본체부에 배럴 연마 처리를 행하여, 부품 본체부에 형성된 버어를 제거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의 부품 본체부에, 전해 도금에 의한 도금 처리를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구리-주석 합금의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에 대해,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하였다. 이 열처리에서는, 0.6㎫로 가압한 아르곤 가스 분위기 중에 있어서 430℃에서 1시간의 가열을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에 행하였다.
계속해서, 열처리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에 대해 클리어 도장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클리어 도장이 실시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에 코킹 가공을 행하여, 상기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를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파스너 테이프(15)에 부착된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11)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로서, 파스너 구성 부품으로서 박스 핀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3 실시예의 박스 핀은, 아연계 합금을 금속 모재로 하는 부품 본체부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부품 본체부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형성된 구리의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다. 또한, 금속 도금막은, 구리의 함유량이 65wt%이고 아연의 함유량이 35wt%로 되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제3 실시예의 박스 핀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 아연을 다이캐스트 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갖는 박스 핀용 금속체를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금속체에, 전해 도금을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금속체의 표면에 구리의 기초 도금막을 형성함으로써, 박스 핀의 부품 본체부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박스 핀의 부품 본체부에, 전해 도금에 의한 도금 처리를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구리-아연계 합금의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박스 핀에 대해,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하였다. 이 열처리에서는, 0.6㎫의 가압 분위기 중에 있어서 320℃에서 1시간의 가열을 박스 핀에 행하였다.
계속해서, 열처리한 박스 핀을, 수산화나트륨 및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강알칼리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금속 도금막에 흑색을 부여하는 흑색화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흑색화 처리를 실시한 박스 핀에 대해 배럴 연마기에 의한 연마 처리를 행함으로써, 하지구의 색조를 고황동색으로 마무리하고 나서, 상기 박스 핀에 대해 클리어 도장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클리어 도장이 실시된 박스 핀에 코킹 가공을 행하여, 상기 박스 핀을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파스너 테이프에 부착된 박스 핀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박스 핀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조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로서, 파스너 구성 부품으로서 슬라이더(14)용 슬라이더 몸통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제4 실시예의 슬라이더 몸통체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을 금속 모재로 하는 부품 본체부와,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배치된 금속 도금막을 갖고 있다.
이 경우, 부품 본체부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금속체의 표면에 형성된 아연의 제1 기초 도금막과,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형성된 구리의 제2 기초 도금막을 갖고 있다. 또한, 금속 도금막은, 구리의 함유량이 65wt%이고 아연의 함유량이 35wt%로 되는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제4 실시예의 슬라이더 몸통체를 제조하기 위해, 우선, 알루미늄-구리-실리콘계 합금을 다이캐스트 성형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금속체를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얻어진 금속체에 대해, 무전해 도금을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금속체의 표면에 아연의 제1 기초 도금막을 형성하고, 또한 전해 도금을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구리의 제2 기초 도금막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더 몸통체의 부품 본체부를 제작하였다.
다음에, 제작한 슬라이더 몸통체의 부품 본체부에, 전해 도금에 의한 도금 처리를 소정의 조건으로 행하여, 부품 본체부의 표면에 구리-아연계 합금의 금속 도금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금속 도금막이 형성된 슬라이더 몸통체에 대해 열처리(재결정화 처리)를 행하였다. 이 열처리에서는, 진공 중에 있어서 330℃에서 1시간의 가열을 슬라이더 몸통체에 행하였다.
계속해서, 열처리한 슬라이더 몸통체를, 수산화나트륨 및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강알칼리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금속 도금막에 흑색을 부여하는 흑색화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흑색화 처리를 실시한 슬라이더 몸통체에 대해 배럴 연마기에 의한 연마 처리를 행함으로써, 하지구의 색조를 고황동색으로 마무리하고 나서, 상기 슬라이더 몸통체에 대해 클리어 도장 처리를 행하였다.
그 후, 클리어 도장이 실시된 슬라이더 몸통체의 손잡이 부착부에 손잡이를 걸고, 또한 그 손잡이 부착부에 굽힘 가공을 행함으로써, 손잡이를 슬라이더 몸통체에 부착하였다. 그리고 굽힘 가공에 의해 손잡이가 부착된 슬라이더 몸통체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슬라이더 몸통체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색조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금속 도금막에 틈이나 크랙이 발생되어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1 : 파스너 구성 부품
2 : 부품 본체부
3 : 금속 도금막
4 : 확산층
10 : 슬라이드 파스너
11 : 금속 파스너 엘리먼트
12 : 하지구
12a : 몸통부
12b : 아암부
13 : 상지구
14 : 슬라이더
15 : 파스너 테이프
15a : 코어끈부

Claims (18)

  1.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3)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 도금막(3)의 형성 후에 상기 부품 본체부(2)의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파스너 구성 부품(1)이며,
    상기 굽힘 가공 전에 열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막(3)은,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구성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구조는, 상기 금속 도금막(3)을 상기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한 후, 상기 금속 도금막(3)에 상기 열처리를 행하여 상기 주상 결정 구조의 적어도 일부를 재결정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는, 구리 또는 구리-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는, 적어도 75wt% 이상 100wt% 이하의 구리와, 0wt% 이상 25wt% 이하의 아연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는, 아연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기초 도금막을 갖고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는,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체와, 상기 금속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아연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 도금막과, 상기 제1 기초 도금막의 표면에 배치되고,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 도금막을 갖고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금막(3)은, 구리-아연계 합금, 구리-주석계 합금 및 주석-니켈계 합금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3)은, 1㎛ 이상 10㎛ 이하의 막 두께를 갖고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3)은, Hv50 이상 Hv100 이하의 비커스 경도를 갖고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의 상기 금속 도금막(3)측의 표층부에, 상기 금속 도금막(3)에 포함되는 금속이 확산되어 형성된 확산층(4)을 갖고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 구성 부품(1)은, 파스너 엘리먼트(11), 고정구(12, 13),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 및 슬라이더(14)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인, 파스너 구성 부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파스너 구성 부품(1)이 굽힘 가공되어 사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13. 금속제의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금속 도금막(3)이 배치되고, 상기 금속 도금막(3)의 형성 후에 상기 부품 본체부(2)의 적어도 일부에 굽힘 가공이 행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상기 금속 도금막(3)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굽힘 가공 전에, 상기 금속 도금막(3)을 재결정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금속 도금막(3)의 적어도 일부가 재결정화된 재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본체부(2)의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금속 도금막(3)을, 주상 결정 구조로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주상 결정 구조를 갖는 상기 금속 도금막(3)에 상기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재결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금막(3)을, 구리-아연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3)을 300℃ 이상 4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금막(3)을, 구리-주석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3)을 400℃ 이상 5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금막(3)을, 주석-니켈계 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 및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3)을 500℃ 이상 600℃ 이하로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금속 도금막(3)이 갖는 Hv120 이상의 비커스 경도를, Hv50 이상 Hv100 이하로 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스너 구성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27016265A 2009-12-25 2009-12-25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KR101388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1667 WO2011077567A1 (ja) 2009-12-25 2009-12-25 ファスナー構成部品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並びにファスナー構成部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374A true KR20120073374A (ko) 2012-07-04
KR101388417B1 KR101388417B1 (ko) 2014-04-22

Family

ID=4419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265A KR101388417B1 (ko) 2009-12-25 2009-12-25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97583A1 (ko)
EP (1) EP2517593B1 (ko)
JP (1) JP5490144B2 (ko)
KR (1) KR101388417B1 (ko)
CN (1) CN102665473B (ko)
ES (1) ES2557600T3 (ko)
HK (1) HK1171345A1 (ko)
WO (1) WO2011077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812A (ko) * 2016-12-26 2019-06-0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버튼의 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5713B (zh) * 2012-07-10 2014-09-03 魏昌明 一种拉链
CN102742981B (zh) * 2012-07-10 2014-09-10 魏昌明 一种拉链线材及由此拉链线材制成的链牙
US9388502B2 (en) * 2012-07-12 2016-07-12 Ykk Corporation Button or fastener member of copper-plated aluminum or aluminum alloy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CN105188455B (zh) * 2013-03-13 2018-04-03 Ykk株式会社 拉链长链、拉链及拉链的制造方法
CN108936981B (zh) * 2013-09-03 2022-01-28 Ykk株式会社 拉链长链及拉链
CN104146444A (zh) * 2014-08-01 2014-11-19 温州市龙湾状元宏达压铸厂 一种锌合金拉链
DE112014007286B4 (de) 2014-12-26 2023-12-07 Ykk Corporation Reißverschlussteil aus Metall mit hellgoldener Farbe und Reißverschluss damit
CN108348047B (zh) * 2015-11-11 2020-10-02 Ykk株式会社 拉链链牙带及其制造方法、以及拉链
EP3508090B1 (en) * 2016-09-02 2024-01-10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WO2018142487A1 (ja) * 2017-01-31 2018-08-09 Ykk株式会社 金属表面を有する物品、その色調処理方法及び気相酸化装置
CN207118675U (zh) * 2017-07-12 2018-03-20 吉田拉链(深圳)有限公司 拉链带、拉链及拉链带制作设备
EP3847921A4 (en) * 2018-09-06 2022-03-30 YKK Corporation FASTEN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4691A (en) 1954-03-09 1959-05-05 Talon Inc End stop for slide fastener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FR1458987A (fr) * 1965-07-02 1966-04-29 Dollfus Mieg Et Cie Perfectionnements au traitement de surface des éléments d'accrochage des fermetures à glissière métalliques
US3892637A (en) * 1969-03-10 1975-07-01 Polti Jean Loup Method of treatment of metal surfaces
AU604462B2 (en) * 1986-07-28 1990-12-20 Furukawa Electric Co. Ltd., The Fin of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it
JPH01160502A (ja) * 1987-12-18 1989-06-23 Yoshida Kogyo Kk <Ykk> 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金属製エレメント
JPH01289021A (ja) * 1988-05-17 1989-11-21 Fujikura Ltd 銅被覆鋼撚線の製造方法
JPH02125830A (ja) * 1988-11-04 1990-05-1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耐応力腐食割れ性の優れたCu−Zn系合金材料とその製造方法
FR2654964B1 (fr) * 1989-11-27 1994-07-08 Thermo Compact Electrode filiforme a revetement metallique pour etincelage erosif, et procede pour sa realisation.
JPH07110245B2 (ja) * 1989-06-09 1995-11-2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フアスナーエレメント
JP2947640B2 (ja) * 1991-06-21 1999-09-13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シンクロナイザーリング
US5491035A (en) * 1992-03-27 1996-02-13 The Louis Berkman Company Coated metal strip
US6861159B2 (en) * 1992-03-27 2005-03-01 The Louis Berkman Company Corrosion-resistant coated copp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690430B2 (ja) * 1992-07-06 1997-12-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の成形方法及び装置
JP2690429B2 (ja) * 1992-07-06 1997-12-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務歯成形機
US5614328A (en) * 1995-01-19 1997-03-2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Reflow-plated memb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408929B2 (ja) * 1996-07-11 2003-05-19 同和鉱業株式会社 銅基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65876B2 (ja) * 1999-01-27 2003-11-10 同和鉱業株式会社 耐摩耗性銅または銅基合金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耐摩耗性銅または銅基合金からなる電気部品
JP2001008714A (ja) * 1999-06-30 2001-01-16 Ykk Corp 構成部材付き被着物の製造方法および構成部材付き被着物
JP2001098390A (ja) * 2000-09-06 2001-04-10 Usui Internatl Ind Co Ltd 内面の耐食性に優れた溶接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80410A (ja) * 2001-12-14 2003-07-02 Ykk Corp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構成部材付き被着物の製造方法
US6811671B1 (en) * 2002-02-22 2004-11-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controlling zinc-doping in a copper-zinc alloy thin film electroplated on a copper surface and a semiconductor device thereby formed
US7867625B2 (en) * 2002-06-13 2011-01-11 Nihon New Chrome Co., Ltd. Copper-tin-oxygen alloy plating
JP4357869B2 (ja) * 2003-05-01 2009-11-04 Ykk株式会社 耐時期割れ性に優れたCu−Zn系合金の製造方法。
US7820303B2 (en) * 2004-09-10 2010-10-2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Conductive material for connecting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material
TWI396779B (zh) * 2005-02-21 2013-05-21 Copper foi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430020B2 (ja) * 2005-02-21 2010-03-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4814552B2 (ja) * 2005-06-13 2011-11-16 Dowaメタルテック株式会社 表面処理法
US7621005B1 (en) * 2007-12-31 2009-11-24 Lillian Harvey Portable sunbathing mat and beach bag
WO2009123157A1 (ja) * 2008-03-31 2009-10-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接続部品用金属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390168T3 (es) * 2008-12-03 2012-11-07 Berkenhoff Gmbh Electrodo de alambre para corte por descarga eléctrica y método para fabricar dicho electrodo de alambre
JP4372835B1 (ja) * 2009-04-14 2009-11-25 三菱伸銅株式会社 導電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812A (ko) * 2016-12-26 2019-06-03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버튼의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97583A1 (en) 2012-11-29
CN102665473A (zh) 2012-09-12
WO2011077567A1 (ja) 2011-06-30
KR101388417B1 (ko) 2014-04-22
CN102665473B (zh) 2015-04-22
ES2557600T3 (es) 2016-01-27
EP2517593A1 (en) 2012-10-31
EP2517593A4 (en) 2013-11-13
HK1171345A1 (en) 2013-03-28
JPWO2011077567A1 (ja) 2013-05-02
EP2517593B1 (en) 2015-11-11
JP5490144B2 (ja)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417B1 (ko) 파스너 구성 부품 및 슬라이드 파스너
KR100482244B1 (ko) 슬라이드 파스너와 복수의 구성부재가 부착된 피착물의제조방법
HU224373B1 (hu) Keményforrasztó lemeztermék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továbbá keményforrasztással egyesített alkatrészekből álló szerkezet és eljárás annak előállítására
KR102178027B1 (ko) 도금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슬라이드 파스너 또는 버튼의 부재
JP2002339097A (ja) 近表面をドープしたスズまたはスズ合金で被覆された金属製品
CN103540979A (zh) 镀铜的铝或铝合金的纽扣或紧固构件及其生产方法
DE3821073A1 (de) Verfahren zum galvanischen beschichten von aus aluminium oder aluminiumlegierungen gefertigten gegenstaenden mit einem vorzugsweise loetbaren metallueberzug
TWI627296B (zh) 具淡金色之金屬製扣結件構件及具備其之扣結件
JP5869749B2 (ja) 光沢ニッケルめっき材の製造方法、及び、光沢ニッケルめっき材を用いた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0144489A (ja) 装飾用アルミニウム合金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49360A (ko) 구성부재 부착 피착물의 제조방법 및 구성부재 부착 피착물
GB2076020A (en) Method of laying a precious metal alloy onto an austeniticstainless steel
JP2003183750A (ja) 連続鋳造性に優れ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銅合金
US4767508A (en) Strike plating solution useful in applying primer plating to electronic parts
JP3621874B2 (ja) 時計用外装部品
JPS6340865B2 (ko)
JP2001262393A (ja) 時計用外装部品
JP2001192863A (ja) 銅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847921A1 (en) Fastener member
JP2000355793A (ja) 白色めっき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38595A (ja) 良好な加工性を有するNiめつき鋼板の製造法
JPH01180951A (ja) 端子、コネクター用ニッケルめっき銅合金条の製造方法
JPS605657B2 (ja) 電気カミソリ用外刃
JPH06102470A (ja) チタン系金属製眼鏡部品母材
JPS5867889A (ja) 模様を有する物品へのめつ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