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383A -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383A
KR20120063383A KR1020100124517A KR20100124517A KR20120063383A KR 20120063383 A KR20120063383 A KR 20120063383A KR 1020100124517 A KR1020100124517 A KR 1020100124517A KR 20100124517 A KR20100124517 A KR 20100124517A KR 20120063383 A KR20120063383 A KR 2012006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cable
seat back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975B1 (ko
Inventor
성영복
정찬호
이태훈
나선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975B1/ko
Priority to US13/210,189 priority patent/US8616642B2/en
Priority to DE102011053228.5A priority patent/DE102011053228B4/de
Priority to CN201110280260.5A priority patent/CN102555857B/zh
Publication of KR2012006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링크로 연결된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되는 시트백에 돌출 형성된 돌기; 상기 시트백의 폴딩 시 돌기에 의해 연결링크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연결링크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시트쿠션을 구속 및 해제하는 록플레이트; 및 상기 시트쿠션과 차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설치되어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쿠션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시트백과 시트쿠션 간에 볼스터부의 오버랩을 최소화하여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된 시트백과 러기지트림의 평탄도를 최대한 평탄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Fold and dive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쿠션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 중 레저 차량(SUV)용 시트는 단순히 승객이 착석하는 기능 외에 카고 활용을 위한 격납 기능, 3열 승객의 승강 편의를 위한 워크-인 기능, 2열 및 3열 풀-플렛 기능 등의 여러가지 편의적인 기능의 추가로 점차 복잡해져 가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폴드 앤 다이브 기능을 갖는 차량에 화물을 적재할 경우는, 그 적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측으로 접어 테이블 형태로 만들어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접히는 리어시트는 대부분이 폴드 앤 다이브 식의 시트로 구성되는 바,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20)과 시트백(10)은 연결링크(23)에 의해서 연결되고, 시트쿠션(20)의 전방 단부는 차체 바닥면에 설치된 레그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2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크(24)는 그 일단부가 레그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쿠션프레임(22, 도 4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백(10)의 폴딩 시 회전되어 시트쿠션(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10)의 하단부에는 시트백(10)의 백프레임(12)과 레그부(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리클라이너(미도시)에 설치된다.
따라서, 시트백(10)이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리클라이너가 고정되어 승객이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되고, 리클라이너를 작동시키면 시트백(10)이 리클라이너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시트쿠션(20) 측으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리어시트 후방의 러기지트림(40)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백(10)이 시트쿠션(20) 측으로 접힐 때 즉 폴딩될 때 시트백(10)의 폴딩과 동시에 시트쿠션(20)의 전방에 설치된 링크(24)가 회전되어 리어시트가 하향 다운(다이브)되고, 이러한 시트의 다이브 작용은 시트쿠션(20)과 시트백(10)을 연결하는 연결링크(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드 앤 다이브된 종래의 리어시트는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의 볼스터부(11)(21)가 서로 접함으로써 리어시트의 시트백(10)이 그 후방의 러기지트림(40)과 평탄해지지 못하고 시트백(10)이 큰 경사를 가진 채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화물의 적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시트의 볼스터부(11)(21)를 낮게 형성하면, 시트백(10)의 형상이 평평해지므로 차량의 주행 및 코너링 시 시트백(10) 좌우의 볼스터부(11)가 탑승자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므로 시트의 기능에 대한 불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시트의 볼스터부(11)(21) 높이를 낮추지 않고서도 폴드 앤 다이브된 리어시트를 러기지트림(40)과 평탄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쿠션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폴딩된 시트백과 러기지트림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연결링크로 연결된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되는 시트백에 돌출 형성된 돌기; 상기 시트백의 폴딩 시 돌기에 의해 연결링크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연결링크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시트쿠션을 구속 및 해제하는 록플레이트; 및 상기 시트쿠션과 차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설치되어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에 고정된 케이블가이드; 상기 연결링크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및 상기 케이블가이드에 감김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브라켓과 시트쿠션에 고정된 복원케이블;을 포함하여, 시트백의 복원 시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가 복원케이블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링크에는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안내하는 안내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브라켓에는 이동블럭이 관통되는 안내공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트쿠션에는 연결링크를 관통하여 록플레이트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록킹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에는 시트쿠션과 같이 이동되는 록킹핀을 안내하는 슬롯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따르면,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쿠션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써 시트백과 시트쿠션 간에 볼스터부의 오버랩을 최소화하여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된 시트백과 러기지트림의 평탄도를 최대한 평탄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백의 복원 시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시트쿠션이 시트백과 연동하여 원위치로 신속하게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폴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폴딩 시 시트쿠션의 슬라이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된 시트백의 복원 시 시트쿠션의 복원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7c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각각 쿠션프레임(22)과 백프레임(12)을 갖는 시트쿠션(20)과 시트백(1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쿠션(20)과 시트백(10)은 연결링크(23)에 의해서 연결되고, 시트쿠션(20)의 전방 단부는 차체 바닥면에 설치된 레그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2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크(24)는 그 일단부가 레그부(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쿠션프레임(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백(10)의 폴딩 시 회전되어 시트쿠션(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폴드 앤 다이브 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폴드 앤 다이브 장치가 구성된 시트의 일측에는 시트쿠션(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수단이 구성되고, 타측에는 슬라이딩된 시트쿠션(20)을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20)의 슬라이딩수단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0)을 구성하는 백프레임(12)의 일측 하부에 돌기(400)가 돌출 형성되고, 이 돌기(400)는 시트백(10)과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400)에 대응한 연결링크(23)의 일측에는 안내브라켓(10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브라켓(100)에는 안내공(110)이 천공되며, 상기 안내공(110)에는 이동블럭(120)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럭(120)은 안내브라켓(100)의 안내공(110)을 따라 연결링크(23) 상에서 전후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럭(120)에는 케이블(1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 케이블(130)의 타단은 후술될 록플레이트(140)에 연결된다.
상기 록플레이트(140)는 연결링크(23)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블럭(120)과 케이블(130)을 통해서 연결됨으로써 이동블럭(120)과 연동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특히, 상기 연결링크(23)에는 상하 이동되는 록플레이트(140)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블럭이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록플레이트(140)의 상단부에는 후술될 록킹핀(200)에 견고하게 록킹될 수 있도록 "∪"자 형상의 록킹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록플레이트(140)에 대응한 시트쿠션(20)의 쿠션프레임(22)에는 연결링크(23)를 관통하는 록킹핀(200)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23)에는 쿠션프레임(22)과 같이 이동되는 록킹핀(200)을 안내하는 슬롯(150)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롯(150)을 따라 이동되는 록킹핀(200)은 록플레이트(140)에 걸림되거나 또는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프레임(22)과 차체에 고정된 레그부(30)에 그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시트백(10)의 폴딩 시 시트쿠션(2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탄성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장 코일스프링(이하 "스프링" 이라 한다)(30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스프링(300)은 그 양단부가 쿠션프레임(22)과 쿠션프레임(22) 전방의 레그부(30) 일측에 각각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시트쿠션(20)의 슬라이딩수단은 도 6a에서와 같이, 시트백(10)이 시트쿠션(20)의 상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백프레임(12)의 돌기(400)와 연결링크(23) 상의 이동블럭(120)이 서로 이격된 상태이고, 이때 쿠션프레임(22)의 록킹핀(200)은 연결링크(23) 상의 록플레이트(140)에 걸림되어 고정되며, 스프링(300)은 최대로 인장된 상태로서 탄성력이 극대화된 상태이다.
이후, 시트백(10)이 시트쿠션(20) 측으로 회전되어 폴딩되면, 시트쿠션(20) 전방의 링크(24)가 회전되어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이 동시에 하향 다운(다이브)된다.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의 다이브 작동과 거의 동시에 백프레임(12)의 돌기(400)가 연결링크(23) 상의 이동블럭(120)을 후방으로 밀기 시작하고, 돌기(4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이동블럭(120)과 케이블(130)로 연결된 록플레이트(140)는 이동블럭(120)의 이동에 의해 연결링크(23) 상에서 하강되어 록킹핀(200)으로부터 해제되기 시작한다.
이후, 도 6c에서와 같이, 백프레임(12)의 돌기(400)가 연결링크(23) 상의 이동블럭(120)을 후방으로 완전히 밀어내면, 록플레이트(140)가 연결링크(23) 상에서 완전히 하강되어 록킹핀(200)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록킹핀(200)이 록플레이트(140)로부터 해제되는 순간 인장되어 있던 스프링(300)의 압축력에 의해 쿠션프레임(22)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런 쿠션프레임(22)의 이동은 록킹핀(200)이 연결링크(23)의 슬롯(150) 단부에 걸림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서 폴딩된 시트백(10)으로부터 시트쿠션(20)이 전방으로 더 인출됨으로써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의 볼스터부(11)(21)의 높이를 낮출 필요가 없으므로 시트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시트백(10)의 폴딩 시 서로 접하는 양 볼스터부(11)(21) 간의 오버랩을 최소화하여 시트백(10)과 러기지트림(4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록킹핀(200)이 걸림되는 연결링크(23)의 슬롯(150) 길이를 조절하면 시트백(10)과 러기지트림(40)을 평탄하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쿠션(20)의 복원수단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프레임(12)의 타측에 고정된 타원 형상의 케이블가이드(410)와, 상기 케이블가이드(410)와 이격된 연결링크(23)에 고정된 고정브라켓(430)과, 상기 케이블가이드(410)에 감김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브라켓(430)과 시트쿠션(20)에 고정된 복원케이블(4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가이드(410)에 감김된 복원케이블(420)은 시트백(10)의 폴딩 시 케이블가이드(410)로부터 풀어지고, 시트백(10)의 역회전(세워질 때) 시는 케이블가이드(410)에 감김되면서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시트쿠션(20)의 복원수단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된 시트백(10)에 의해서 타원형의 케이블가이드(410) 장축이 전후방향으로 위치되므로 복원케이블(420)이 케이블가이드(410)로부터 풀어져 도 6c에서와 같이 폴딩된 백프레임(12)으로부터 쿠션프레임(22)의 인출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7b에서와 같이, 폴딩되어 있는 시트백(10)을 시트쿠션(20)에서 세우면, 시트백(10)과 같이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410)의 장축이 점차적으로 세워지면서 복원케이블(42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복원케이블(420)의 당김으로써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던 쿠션프레임(22)이 후방으로 이동되기 시작하며, 이때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00)은 서서히 인장된다.
이후, 도 7c에서와 같이, 시트백(10)이 시트쿠션(20) 상에서 완전히 세워지면, 케이블가이드(410)에 의해 복원케이블(420)은 최대한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쿠션프레임(22)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원위치로 복원되며, 스프링(300)은 쿠션프레임(22)의 복귀로 인해 다시 인장된 상태가 된다.
10 : 시트백 11 : 볼스터부
12 : 백프레임 20 : 시트쿠션
21 : 볼스터부 22 : 쿠션프레임
23 : 연결링크 24 : 링크
30 : 레그부 40 : 러기지트림
100 : 안내브라켓 110 : 안내공
120 : 안내바 130 : 케이블
140 : 록플레이트 150 : 슬롯
200 : 록킹핀 300 : 스프링
400 : 돌기 410 : 케이블가이드
420 : 복원케이블 430 : 고정브라켓

Claims (4)

  1. 연결링크로 연결된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되는 시트백에 돌출 형성된 돌기;
    상기 시트백의 폴딩 시 돌기에 의해 연결링크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연결링크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시트쿠션을 구속 및 해제하는 록플레이트; 및
    상기 시트쿠션과 차체에 그 양단부가 각각 설치되어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고정된 케이블가이드;
    상기 연결링크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및
    상기 케이블가이드에 감김되고 그 양단부가 고정브라켓과 시트쿠션에 고정된 복원케이블;을 포함하여, 시트백의 복원 시 회전되는 케이블가이드가 복원케이블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에는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안내하는 안내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브라켓에는 이동블럭이 관통되는 안내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에는 연결링크를 관통하여 록플레이트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록킹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에는 시트쿠션과 같이 이동되는 록킹핀을 안내하는 슬롯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1020100124517A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10120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17A KR10120997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US13/210,189 US8616642B2 (en) 2010-12-07 2011-08-15 Fold-and-dive apparatus for vehicle seat
DE102011053228.5A DE102011053228B4 (de) 2010-12-07 2011-09-02 Klapp- und Absenkvorrichtung eines Fahrzeugsitzes
CN201110280260.5A CN102555857B (zh) 2010-12-07 2011-09-07 用于车辆座椅的折叠下俯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517A KR10120997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383A true KR20120063383A (ko) 2012-06-15
KR101209975B1 KR101209975B1 (ko) 2012-12-07

Family

ID=4614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517A KR101209975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16642B2 (ko)
KR (1) KR101209975B1 (ko)
CN (1) CN102555857B (ko)
DE (1) DE102011053228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506A (ko)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KR20220159157A (ko) 2021-05-25 2022-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앤 다이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20230134215A (ko) *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신유테크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742A (ko) * 2012-06-01 2015-03-12 마그나 시팅 인크. 후방 절첩 동작을 갖는 절첩 및 닐링 시트
JP6154907B2 (ja) * 2013-09-30 2017-06-28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座席
CN104943585B (zh) * 2015-07-03 2017-10-17 东风汽车有限公司 座垫骨架组件及汽车后排座椅
US9944204B2 (en) * 2016-01-07 2018-04-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ar seat having two independent modes
CN107031758A (zh) * 2016-12-30 2017-08-11 苏州猛狮智能车辆科技有限公司 座椅折叠机构及具有其的三轮代步车
DE102018112926B4 (de) * 2018-05-30 2022-04-14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Fahrzeugsitz
KR102586461B1 (ko) * 2019-03-25 202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KR20210072923A (ko) *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시트쿠션 틸팅 장치
CN114906028A (zh) * 2022-05-30 2022-08-16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座靠联动的座椅骨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5428A (en) * 1976-02-27 1977-09-03 Nissan Motor Co Ltd Memory including seat for walk-in rail
JPS57110535A (en) * 1980-12-26 1982-07-09 Nissan Motor Co Ltd Walk-in device for seat of vehicle
US5352019A (en) * 1993-06-18 1994-10-04 Firma C. Rob. Hammerstein Gmbh Motor vehicle seat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tipped state
DE10057724B4 (de) * 2000-11-15 2010-01-28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raftfahrzeugsitz
KR100461102B1 (ko) 2002-08-08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0501671B1 (ko) 2002-11-20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JP4078669B2 (ja) 2003-09-02 2008-04-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シート
KR100521589B1 (ko) 2003-10-21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구조
KR100534943B1 (ko) 2003-10-3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리클라이닝 구조
DE102004056507B3 (de) * 2004-11-24 2005-11-10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Fahrzeugsitz
KR20060091880A (ko) 2005-02-16 2006-08-22 양태웅 레저차량용 시트
US7556315B2 (en) * 2006-03-31 2009-07-07 Lear Corporation Latch actuator system
US7350844B2 (en) * 2006-04-28 2008-04-01 Tachi-S Co., Ltd. Structure of seat with walk-in mechanism
KR100837911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KR101274452B1 (ko) 2007-12-12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 시트 장치
KR20100124517A (ko) 2009-05-19 2010-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탄화물 강화 압연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506A (ko)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KR20220159157A (ko) 2021-05-25 2022-12-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딩 앤 다이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US11938849B2 (en) 2021-05-25 2024-03-26 Hyundai Motor Company Seat for vehicle having fold-and-dive function
KR20230134215A (ko) * 2022-03-14 2023-09-21 주식회사 신유테크 자동차용 시트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975B1 (ko) 2012-12-07
CN102555857B (zh) 2016-05-18
US20120139313A1 (en) 2012-06-07
DE102011053228A1 (de) 2012-06-14
CN102555857A (zh) 2012-07-11
US8616642B2 (en) 2013-12-31
DE102011053228B4 (de)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975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CN101959715B (zh) 车用收起座椅
CN101821124B (zh) 车用收起座椅
KR101054755B1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US7967382B2 (en) Side bolster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CN101970260B (zh) 车用收起座椅
KR101210155B1 (ko)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CN102485529A (zh) 用于车辆座椅的折叠栽头式结构
KR101428389B1 (ko) Mpv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
KR101345087B1 (ko) 차량 시트
CN105073490A (zh) 车用座椅
JP467074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20130066346A (ko) 차량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404478B1 (ko) 팁 업 연동형 폴딩 헤드레스트
KR20210002186A (ko) 시트의 보조 시트 수납 장치
KR20120072601A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231354B1 (ko)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JP2007106292A (ja) ヘッドレストの自動収納構造付きシート装置
JP4654985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KR20170061930A (ko) 자동차 시트의 더블 폴딩장치
KR100501520B1 (ko) 차량용 리어 시트의 폴딩장치
JPH0585238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18161923A (ja) シートの床下格納装置
KR20060115082A (ko) 차량의 접이식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