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506A -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506A
KR20150012506A KR1020130088090A KR20130088090A KR20150012506A KR 20150012506 A KR20150012506 A KR 20150012506A KR 1020130088090 A KR1020130088090 A KR 1020130088090A KR 20130088090 A KR20130088090 A KR 20130088090A KR 20150012506 A KR20150012506 A KR 2015001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
set bracket
link
tension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485B1 (ko
Inventor
이동만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3008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링부가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세트 브래킷와,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홀이 타단부에 형성되는 다이브 링크와,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연결하는 링크 샤프트와,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링크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저감시키기 위한 텐셔널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세트 브래킷과 체결부재 사이에 탄성을 갖는 텐셔널 와셔가 구비됨으로써, 다이브 링크가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DIVE PIVOT DEVICE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폴딩시 시트쿠션이 시트백과 연동하여 하강하도록 하는 다이브 장치에서 다이브 링크를 시트레일의 세트 브래킷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여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시트는 차량의 바닥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 시트쿠션의 후방에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한다.
시트에는 시트를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레일 및 록킹장치가 구비되며, 이 시트레일 및 록킹장치가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04-0074790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시트에는 시트쿠션의 후방에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라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되며, 이 리클라이너 장치가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12-0126839호(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시트는 적재공간을 더욱 넓히기 위하여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에 접히도록 접을 수 있는 폴딩타입 방식이 있다. 이러한 시트백을 접는 폴딩타입의 시트는 주로 차량의 2열이나 3열에 탑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시트 베리에이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이 폴딩 타입의 시트는 기본적으로 시트백이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시트쿠션 위로 중첩되게 접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시트백이 접힐 때, 시트쿠션이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트쿠션 위에 접힌 시트백의 상단 높이가 최대한 낮아지도록 하여, 시트의 상측에 최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딩 타입의 시트 구조는 시트백과 시트쿠션 사이를 다이브 링크로 연결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될 때, 시트쿠션이 시트백과 연동하여 하측으로 내려가는 다이브 기능(Dive Function)이 함께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이 다이브 기능을 갖는 시트가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12-0063383호(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이브 기능을 갖는 시트에서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쿠션 프레임의 전방부를 시트레일 위에 힌지 고정하는 다이브 피벗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장치(10)는, 시트 레일에 설치되고 일면에 관통홀(11a)이 형성되는 세트 브래킷(11), 세트 브래킷(11)의 관통홀(11a)에 연통되는 끼움홀(12a)이 형성되고 세트 브래킷(11)의 접촉되어 회전되는 다이브 링크(12), 다이브 링크(12)의 끼움홀(12a)과 세트 브래킷(11)의 관통홀(11a)에 끼워지고 시트백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링크 샤프트(13), 세트 브래킷(11)의 타면 쪽에서 관통홀(11a)에 끼워져 링크 샤프트(13)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4)를 포함한다.
세트 브래킷(11)의 관통홀(11a)은 그 가장자리가 성형시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다이브 링크(12) 쪽으로 돌출되는 버링부(11b)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 버링부(11b)는 세트 브래킷(1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높이치수가 산포가 커서 피벗 적용시 축방향 규제용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트 브래킷(11)의 측면에 결합되며, 관통홀(11a)에 연통되는 다이브 링크(12)의 끼움홀(12a)의 가장자리에 버링부(11b)가 위치될 수 있는 홈부(12b)를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홈부(12b)가 형성되는 세트 브래킷(11)의 측면과 버링부(11b)가 형성되는 다이브 링크(12)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그리스(Grease)를 충진하여 다이브 링크(12)의 피벗 장치(10)의 성능 향상을 꾀하였다.
그러나, 종래 차량용 시트의 피벗 장치(10)는 버링부(11b)와 홈부(12b) 등의 가공상의 한계로 인하여 누적 공차가 발생하여 시트백을 폴딩할 때 다이브 링크(12)과 세트 브래킷(11)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04-0074790호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12-0126839호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12-006338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세트 브래킷과 다이브 링크 사이에 유격 방지부재를 구성하여 시트의 폴딩시 세트 브래킷과 다이브 링크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링부가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세트 브래킷와, 일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고,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홀이 타단부에 형성되는 다이브 링크와,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움홀에 끼워져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연결하는 링크 샤프트와, 다이브 링크의 반대편에서 링크 샤프트에 체결되며,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와, 체결부재와 세트 브래킷 사이에 구비되어 링크 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저감시키기 위한 텐셔널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텐셔널 와셔는,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링부와, 링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되, 세트 브래킷의 측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텐션부는,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되, 일부는 링부의 가장자리에서 세트 브래킷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나머지는 세트 브래킷의 반대편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텐션부는, 그 양단부에는 링부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절곡 형성되는 보조 탄성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탄성부는 텐션부가 절곡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트 브래킷과 체결부재 사이에 탄성을 갖는 텐셔널 와셔가 구비됨으로써, 다이브 링크가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있는 것이다.
또한, 텐셔널 와셔에 복수의 텐션부중 일부가 체결부재의 헤드를 향해 절곡 형성됨으로써, 축방향 과압의 발생시 다이브 링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셔널 와셔에 복수의 텐션부 중 일부가 체결부재의 헤드를 절곡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텐션부가 대칭으로 형성됨으로써, 텐셔널 와셔의 조립 방향에 구애 없이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다이브 피벗 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피벗장치에서 텐셔널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다이브 피벗 장치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피벗장치에서 텐셔널 와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100)는, 시트백과 시트쿠션 사이에 연결되는 다이브 링크(120)를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세트 브래킷(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세트 브래킷(110), 다이브 링크(120), 지지링크 샤프트(130), 체결부재(140), 텐셔널 와셔(150)를 포함한다.
세트 브래킷(110)은 시트레일의 상측에 설치되고,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면이 체결부재로 시트레일에 설치된다.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다이브 링크(120)을 밀착시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이 관통홀(111)은 버링(Burring) 가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다이브 링크(120)을 향하여 버링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다이브 링크(120)은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쿠션프레임의 전방을 시트레일의 상측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 일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링크 샤프트(130)와 체결부재(14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111)에 연통되는 끼움홀(121)이 형성된다.
다이브 링크(120)의 끼움홀(121) 주변에서 세트 브래킷(110)을 향하는 면에는 버링부(112)를 수용하여 다이브 링크(120)의 측면에 버링부(112)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수용홈부(122)가 형성된다.
즉, 다이브 링크(120)이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후술하는 링크 샤프트(130)와 체결부재(140)에 의해 결합될 때, 세트 브래킷(110)에 형성되는 버링부(112)가 다이브 링크(120)의 측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다이브 링크(120)과 세트 브래킷(110) 사이에 윤활포켓(124)을 구성하게 된다.
다이브 링크(120)의 수용홈부(122)에 마주보는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는 세트 브래킷(110)과 다이브 링크(120) 사이에 구비되는 윤활포켓(124)에 수용된 그리스가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과 텐셔널 와셔(1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그리스 홀(113)이 형성된다.
링크 샤프트(130)는 다이브 링크(120)과 세트 브래킷(110)의 버링부(112)에 끼워지는 쪽으로 후술하는 체결부재(140)가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홈부(142)가 형성된다.
이 링크 샤프트(130)는 시트백의 폴딩으로 인해 시트쿠션의 전방 부품의 다이브 링크가 회동되어 시트쿠션의 전방이 하측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다이브 링크(120)가 회전할 때, 링크 샤프트(130)에 대하여 공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 샤프트(130)의 체결홈부(142)는 체결부재(14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부재(140)는 다이브 링크(120)의 끼움홀(121)과 세트 브래킷(110)의 버링부(112)에 관통 결합되는 링크 샤프트(130)의 체결홈부(142)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다이브 링크(120)을 세트 브래킷(110)에 회전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체결부재(140)는 링크 샤프트(130)의 체결홈부(142)에 체결된 후에 세트 브래킷(110)의 타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헤드(141)를 갖는 볼트로 구성된다. 헤드(141)는 렌치나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6각 또는 8각 등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세트 브래킷(110)과 체결부재(140) 사이에는 세트 브래킷(110)의 버링부(112) 성형시 성형에 의한 공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격으로 인한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텐셔널 와셔(150)가 구비된다.
텐셔널 와셔(150)는 얇은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체결부재(140)에 끼워지고, 세트 브래킷(110)의 타측면에 대하여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텐셔널 와셔(150)는 체결부재(140)가 끼워지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151), 링부(151)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며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텐션부(152)를 포함한다.
텐션부(152)는 복수로 구성되되, 복수가 일정 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텐션부(152)는 링부(151)의 가장자리에서 세트 브래킷(110)을 향해 절곡 형성된다. 즉, 텐션부(152)는 체결부재(140)와 세트 브래킷(110) 사이 간격이 좁을 때는 텐션부(152)의 절곡된 부분이 조금 펼쳐지면서 체결부재(140)와 세트 브래킷(110) 사이에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텐션부(152)는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 접촉되는 단부의 일면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시트의 폴딩시 세트 브래킷(110)에 접촉된 텐션부(152) 단부 사이에서 마찰과 소음이 발생되는 저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텐션부(152)는 복수의 텐션부(152) 중 일부가 세트 브래킷(110)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가 체결부재(140)의 헤드(141)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텐션부(152)중 세트 브래킷(110)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152)들과 체결부재(140)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152)들은 서로 교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140)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텐션부(152)들은 축방향으로 과압이 발생할 때, 세트 브래킷(110)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텐셔널 와셔(150)는 텐션부(152)의 단부 양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탄성부(153)를 갖는다.
여기서, 보조 탄성부(153)는 텐션부(152)가 절곡 형성되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텐셔널 와셔(150)에 구비되는 복수의 텐션부(152) 중 일부의 텐션부(152)에 형성되는 보조 탄성부(153)는 세트 브래킷(110)의 반대편 즉, 체결부재(140)를 향해 절곡 형성되고, 나머지 텐션부(152)에 형성되는 보조 탄성부(153)는 세트 브래킷(110)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텐션부(152) 중 일부는 체결부재(140)를 향해 절곡 형성되고, 이 일부의 텐션부(152)의 보조 탄성부(153)가 세트 브래킷(110)을 절곡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텐셔널 와셔(150)의 조립 방향에 구애 없이 어느 쪽으로도 조립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바닥에 설치되는 시트레일에 세트 브래킷(110)이 체결부재로 결합된다. 그리고 다이브 링크(120)에는 시트백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너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다이브 링크(120)을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에 접촉시키되, 다이브 링크(120)의 끼움홀(121)과 세트 브래킷(110)의 관통홀(111)이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세트 브래킷(110)의 관통홀(111)과 다이브 링크(120)의 끼움홀(121)이 일치되어 연통된 상태가 되면, 세트 브래킷(110)의 반대편을 향하는 다이브 링크(120)의 측면에서 링크 샤프트(130)를 끼워 넣는다.
이때, 링크 샤프트(130)는 다이브 링크(120)의 끼움홀(121)에 끼워져 관통한 후에, 세트 브래킷(110)의 관통홀(111)에 끼워져 세트 브래킷(110)의 버링부(112) 내주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링크 샤프트(130)의 단부가 세트 브래킷(110)의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에, 링크 샤프트(130)의 체결홈부(142)에 체결부재(140)를 체결하기 전에, 체결부재(140)에 텐셔널 와셔(150)를 끼워 걸어 놓는다.
그런 다음, 링크 샤프트(130)의 단부가 노출되는 세트 브래킷(110)의 다른 측면 쪽으로 체결부재(140)를 가져가서 지지링크 샤프트(130)의 체결홈부(131)에 끼워서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텐셔널 와셔(150)에 의해 세트 브래킷(110)과 링크 샤프트(13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텐셔녈 와셔(150)에 구비되는 복수의 텐션부(152) 중 일부 텐션부(152)가 세트 브래킷(110)의 반대편을 향해 절곡 형성됨으로써, 축방향으로 과압이 발생하더라도 세트 브래킷(110)의 반대편으로 절곡 형성되는 텐셔널 와셔(150)의 텐션부(152)에 의해 세트 브래킷(110)이 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피벗 장치
110 : 세트 브래킷 111 : 관통홀
112 : 버링부 113 : 그리스 홀
120 : 다이브 링크 121 : 끼움홀
122 : 수용홈부 124 : 윤활포켓
130 : 링크 샤프트 131 : 체결홈부
140 : 체결부재 141 : 헤드
150 : 텐셔널 와셔 151 : 링부
152 : 텐션부 153 : 보조 탄성부

Claims (5)

  1. 버링부가 형성되는 관통홀을 갖는 세트 브래킷;
    일단부가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고, 관통홀에 연통되는 끼움홀이 타단부에 형성되는 다이브 링크;
    관통홀을 관통하여 끼움홀에 끼워져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연결하는 링크 샤프트;
    다이브 링크의 반대편에서 링크 샤프트에 체결되며, 다이브 링크를 세트 브래킷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
    체결부재와 세트 브래킷 사이에 구비되고, 체결부재에 대하여 세트 브래킷을 탄력 지지하여 세트 브래킷과 다이브 링크의 유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텐셔널 와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텐셔널 와셔는,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링부;
    링부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되, 세트 브래킷의 측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텐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텐션부는,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되, 일부는 링부의 가장자리에서 세트 브래킷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나머지는 세트 브래킷의 반대편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텐션부는,
    그 양단부에는 링부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되, 절곡 형성되는 보조 탄성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보조 탄성부는,
    텐션부가 절곡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KR1020130088090A 2013-07-25 2013-07-25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KR10206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90A KR102067485B1 (ko) 2013-07-25 2013-07-25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090A KR102067485B1 (ko) 2013-07-25 2013-07-25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506A true KR20150012506A (ko) 2015-02-04
KR102067485B1 KR102067485B1 (ko) 2020-01-20

Family

ID=5248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090A KR102067485B1 (ko) 2013-07-25 2013-07-25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20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레일의 와셔 장착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732U (ja) * 1993-03-26 1994-10-11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リフター構造
EP0383717B1 (en) * 1989-02-17 1995-05-24 Emerson Electric Co. Thermostat assembly
KR20040074790A (ko)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윤 영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KR20120063383A (ko)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20120126839A (ko) 2011-05-13 2012-11-21 (주)디에스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3717B1 (en) * 1989-02-17 1995-05-24 Emerson Electric Co. Thermostat assembly
JPH0672732U (ja) * 1993-03-26 1994-10-11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リフター構造
KR20040074790A (ko)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윤 영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KR20120063383A (ko) 2010-12-07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20120126839A (ko) 2011-05-13 2012-11-21 (주)디에스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5720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레일의 와셔 장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85B1 (ko)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503B2 (ja) 乗物用シート
CN108177569B (zh) 车辆座椅
US9694716B2 (en) Vehicle seat
JP7284419B2 (ja) 乗物用シート
CN109421571B (zh) 头枕
JP2009126283A (ja) 車両用シート
US10207601B2 (en) Vehicle seat
US20120223564A1 (en) Armrest Mounting Assembly and Misalignment Indicator
US9688175B2 (en) Vehicle seat
JP2009154691A (ja) 車両用シート
US20180339619A1 (en) Vehicle seat
JP2008230391A (ja) 車両用シート
JP4075452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10821867B2 (en) Headrest support device
KR20150012506A (ko) 자동차 시트의 다이브 피벗 장치
US10752143B2 (en) Vehicle seat
JP2011255860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支持構造
US9050914B2 (en) Vehicle seat
JP6708079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7512169A (ja) 自動車の、特に自動車用シートの、相対移動可能な二つのサブアセンブリをガイド方向にガイドする装置
JP2013067281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6370641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50131507A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스토퍼형 아암 레스트 장치
US11110828B2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return spring mechanism
JP5788723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