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354B1 -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354B1
KR101231354B1 KR1020100123066A KR20100123066A KR101231354B1 KR 101231354 B1 KR101231354 B1 KR 101231354B1 KR 1020100123066 A KR1020100123066 A KR 1020100123066A KR 20100123066 A KR20100123066 A KR 20100123066A KR 101231354 B1 KR101231354 B1 KR 10123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luggage
luggage board
suppor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680A (ko
Inventor
김재환
김용채
이재용
박문규
조민호
황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3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35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최후방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어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러기지보드를 포함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보드는 그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부재; 및 상기 텐션부재에 그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텐션부재의 회전에 의해 러기지보드의 하부에서 러기지보드의 선단부 측으로 출입되는 확장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러기지보드는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백의 후면과 러기지보드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위치로 설치되고, 최후방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러기지보드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던 확장보드가 러기지보드의 선단부로 펼쳐져 러기지보드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적재공간의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적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variable type luggage board}
본 발명은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후방 시트의 슬라이딩 또는 폴딩됨에 따라 러기지보드의 길이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V(sport-utility vehicle) 차량(이하 '차량' 이라 한다)의 최후방 시트의 뒤에는 각종 수하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공간은 여러 가지 종류의 짐을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람이 탑승하는 실내공간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운행 중이라도 짐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최후방 시트의 시트백을 시트쿠션 측으로 완전히 접어 주면 즉 폴딩시키면 적재공간을 시트백 면적만큼 확장시킬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SUV 차량의 적재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기본 상태의 적재함이고, 도 1b는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이며, 도 1c는 시트가 폴딩된 상태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최후방 좌석의 뒤쪽에는 적재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공간은 바닥면의 러기지보드(3)와, 양측면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2) 및 최후방 시트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적재공간은 도 1b에서와 같이 최후방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또는 도 1c에서와 같이 최후방 시트의 시트백(1)을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시키면, 그 만큼 적재공간이 더 넓어지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최후방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러기지보드(3)와 최후방 시트 사이에 갭(G)이 형성되고, 이러한 갭(G)에 의해 확장된 적재공간의 바닥면이 평탄하지 못하므로 적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최후방 시트의 시트백(1)을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시키는 경우에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러기지보드(3)와 폴딩된 시트백(1) 사이에 단차(H)가 형성되고, 이 단차(H)에 의해 확장된 적재공간의 바닥면이 평탄하지 못하므로 적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최후방 시트 뒤의 적재공간에 설치된 러기지보드가 최후방 시트의 슬라이딩 또는 폴딩에 따라 그 길이와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재공간의 확장 시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최후방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어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러기지보드를 포함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보드는 그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부재와, 상기 텐션부재에 그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텐션부재의 회전에 의해 러기지보드의 하부에서 러기지보드의 선단부 측으로 출입되는 확장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러기지보드는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된 시트백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위치로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확장보드에는 러기지보드의 선단부에 걸림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펼쳐진 확장보드와 러기지보드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부에 의해 동일면으로 펼쳐진 확장보드와 러기지보드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는 확장보드의 인입 시 러기지보드와 슬립(slip)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보드의 양측면에는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홈이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향 만곡된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홈과; 상기 수직레일홈과 연통되고 평탄한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만곡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하부레일홈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텐션부재는 확장보드의 후단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러기지보드의 선단부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중간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지지대와, 제 1 지지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양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와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중간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작동 시는 연결부재와 중간부재가 각각 제 1,2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지지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홈 전방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러기지보드에서 인출되어 펼쳐지는 확장보드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돌부가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레일홈 하부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러기지보드와 확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러기지보드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따르면, 러기지보드는 시트백의 폴딩 시 시트백의 후면과 러기지보드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위치로 설치되고, 최후방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러기지보드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던 확장보드가 러기지보드의 선단부로 펼쳐져 러기지보드와 동일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확장된 적재공간의 바닥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적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SUV 차량의 적재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기본 상태의 적재함이고, 도 1b는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이며, 도 1c는 시트가 폴딩된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러기지보드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러기지보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러기지보드의 장착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러기지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키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식 러기지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어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러기지보드(3)는 그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부재(20) 및 상기 텐션부재(20)에 그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텐션부재(20)의 회전에 의해 러기지보드(3)의 하부에서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 측으로 출입되는 확장보드(10)를 포함한다.
상기 러기지보드(3)는 확장보드(10)와 더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 사이드 트림(2) 상에서 상하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러기지보드(3)가 러기지 사이드 트림(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된 시트백(1)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런 상태에서 러기지보드(3)에서 펼쳐진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와 동일면을 이루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확장보드(10)의 후단부에는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에 걸림되는 단차부(11)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1)는 러기지보드(3)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차부(11)에 의해서 펼쳐진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펼쳐지는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와 면접촉되는 그 후단부가 확장보드(10)의 인입 시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에서 슬립(slip)될 수 있도록 경사면(3a)(10a)으로 면접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러기지보드(3)에서 출입되는 확장보드(10)는 텐션부재(20)에 의해서 러기지보드(3)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설치되고, 러기지보드(3)에서 출입될 시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확장보드(1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보드(10)의 단차부(11) 양측면에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2)의 가이드레일홈(3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1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30)은 상기 확장보드(10)의 가이드돌기(12)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홈(30a)과, 상기 수직레일홈(30a)과 연통되고 평탄한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만곡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돌기(12)를 안내하는 하부레일홈(30b)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레일홈(30) 전방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는 러기지보드(3)에서 펼쳐진 확장보드(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돌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돌부(40)는 러기지보드(10)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지는 확장보드(1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자 형상으로 만곡 형성된다. 따라서, 러기지보드(3)로부터 펼쳐진 확장보드(10)는 지지돌부(40)의 상면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레일홈(30) 하부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는 러기지보드(3)와 확장보드(10)를 수용하는 수용부(50)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50)의 선단부에는 러기지보드(3)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턱(51)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50)에 의해서 러기지보드(3)와 확장보드(10)는 도 4에서와 같이 가이드레일홈(30) 하부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하강된 만큼 적재공간의 높이를 더 넓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러기지보드(3)와 확장보드(10)를 연결하는 텐션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1)와, 중간부재(24), 연결부재(29)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1)는 그 일단부가 확장보드(10)의 후단부 상면에 힌지핀(21a)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21a)과 확장보드(10)는 서로 회전 및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될 때 힌지핀(21a)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상단부 또는 하단부로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1)의 타단부에는 제 1 지지대(22)가 돌출 형성되고, 제 1 지지대(22)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하 '제 1 스프링' 이라 한다)(23)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대(22)는 후술될 중간부재(24)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텐션부재(20)의 작동 시 상기 제 1 스프링(23)은 제 1 지지대(22)에 끼워진 상태로 지지부재(21)와 중간부재(24) 사이에서 압축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재(24)는 그 양단부에 제 1,2 가이드바(27)(28)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이 가이드바(27)(28)는 이격된 두 개의 바가 한쌍을 이뤄 형성된다. 따라서, 양 제 1 가이드바(27) 사이에는 상기한 제 1 지지대(22)가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양 제 2 가이드바(28) 사이에는 후술될 제 2 지지대(25)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2 가이드바(27)(28)는 각각 지지부재(21)와 연결부재(29)를 관통한 상태로 가이드된다.
상기 연결부재(29)는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양측부로는 중간부재(24)의 제 2 가이드바(28)가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재(24)와 대향되는 연결부재(29)의 일단부에는 제 2 지지대(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지지대(25)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이하 '제 2 스프링' 이라 한다)(26)이 축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지지대(25)는 중간부재(24)의 제 2 가이드바(28) 사이로 삽입되면서 중간부재(24)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텐션부재(20)의 작동 시 상기 제 2 스프링(26)은 제 2 지지대(25)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부재(29)와 중간부재(24)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텐션부재(20)의 작동 시는 연결부재(29)와 중간부재(24)가 각각 제 1,2 스프링(23)(26)을 압축시키면서 지지부재(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동 시에는 제 1,2 지지대(22)(25)와 제 1,2 가이드바(27)(28)에 의해서 가이드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최후방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러기지보드(3)에서 확장보드(10)가 펼쳐짐에 따라 작동되는 텐션부재(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러기지보드(3)의 설치위치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2)의 상부 측에 설치된 상태이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러기지보드(3)의 하면에 확장보드(10)가 위치된 상태는 확장보드(10)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서, 텐션부재(20)는 지지부재(21)와 중간부재(24) 및 연결부재(29)가 펼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확장보드(10)는 그 양측의 가이드돌기(12)가 가이드레일홈(30)의 하부레일홈(30b)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서 힌지핀(21a)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러기지보드(3)에서 확장보드(10)가 인출되기 시작하여 텐션부재(20)의 지지부재(21)와 중간부재(24), 연결부재(29)가 서로 근접되면, 연결부재(29)는 제 2 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중간부재(24) 측으로 이동되고, 중간부재(24)는 제 1 스프링(23)을 압축시키면서 지지부재(21)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으로 연결부재(29)와 중간부재(24) 및 지지부재(21)가 최대로 근접되면, 텐션부재(20)의 장력(탄성력)은 최대가 된다.
한편, 도 6c에서와 같이, 확장보드(10)가 러기지보드(3)로부터 펼쳐지기 시작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2 스프링(23)(26)의 탄성력에 의해서 연결부재(29)와 중간부재(24)가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각각 이동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때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 상에서 신속하게 인출되어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도 6d에서와 같이, 확장보드(10)가 러기지보드(3)로부터 완전히 펼쳐지게 되면, 연결부재(29)와 중간부재(24) 및 지지부재(21)는 전술한 도 6a과는 반대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펼쳐진 확장보드(10)는 그 후단부의 단차부(11)가 러기지보드(3)의 선단부 하면에 걸림됨으로써 펼쳐진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이 펼쳐진 확장보드(10)는 전방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2)에 설치된 지지돌부(40)에 받쳐지므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때 확장보드(10)는 가이드돌기(12)가 가이드레일홈(30)의 하부레일홈(30b) 상측에 위치된 상태로서 힌지핀(21a)의 상측에 위치된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러기지보드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서와 같이, 러기지보드(3)와 확장보드(10)를 러기지 사이드 트림(2)의 하부에 위치한 수용부(50)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적재공간의 높이가 높아져 높이가 긴 수하물 등의 적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도 7b에서와 같이, 러기지보드(3)와 확장보드(10)를 러기지 사이드 트림(2)의 상부 즉 가이드레일홈(30) 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최후방 시트의 시트백(1)을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한 경우에는, 폴딩된 시트백(1)의 후면과 러기지보드(3)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룸으로써 길이가 긴 자전거 등과 같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c에서와 같이, 최후방 시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 경우에는 러기지보드(3) 하면에 위치한 확장보드(10)를 러기지보드(3) 선단부로 잡아 당겨 인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전술한 도 6에서의 설명과 같이 텐션부재(20)가 작동하면서 확장보드(10)를 러기지보드(3)로부터 인출시켜 펼치게 되고, 이와 같이 펼쳐진 확장보드(10)는 그 후단부의 단차부(11)가 러기지보드(3) 선단부에 걸림됨으로써 확장보드(10)와 러기지보드(3)가 동일 평면을 이뤄 적재공간을 안정적으로 넓히게 된다.
그리고, 도 7d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있던 최후방 시트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확장보드(10)와 충돌된 경우에는, 이 충격력이 확장보드(10)를 러기지보드(3)의 하면으로 인입시키는 작동력으로 작용하여 펼쳐져 있던 확장보드(10)는 러기지보드(3)와의 경사면(3a)(10a) 접촉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슬립되면서 러기지보드(3) 하면으로 인입되어 접히게 된다. 따라서, 확장보드(10)에 가해진 충격력은 자연스럽게 흡수되어 소멸됨으로써 확장보드(10)를 비롯한 주변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시트백 2 : 러기지 사이드 트림
3 : 러기지보드 3a : 경사면
10 : 확장보드 10a : 경사면
11 : 단차부 12 : 가이드돌기
20 : 텐션부재 21 : 지지부재
21a : 힌지핀 22 : 제 1 지지대
23 : 제 1 스프링 24 : 중간부재
25 : 제 2 지지대 26 : 제 2 스프링
27,28 : 제 1,2 가이드바 29 : 연결부재
30 : 가이드레일홈 30a : 수직레일홈
30b : 하부레일홈 40 : 지지돌부
50 : 수용부 51 : 걸림턱

Claims (10)

  1. 최후방 시트의 뒤쪽에 설치되어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러기지보드를 포함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보드는 상기 러기지보드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텐션부재; 및
    상기 텐션부재에 확장보드의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러기지보드의 하부에서 상기 러기지보드의 선단부 측으로 출입되는 상기 확장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러기지보드는 시트쿠션 측으로 폴딩된 시트백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위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보드에는 러기지보드의 선단부에 걸림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펼쳐진 확장보드와 러기지보드가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의해 동일면으로 펼쳐진 확장보드와 러기지보드의 서로 대향되는 단부는 확장보드의 인입 시 러기지보드와 슬립(slip)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보드의 양측면에는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한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홈이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향 만곡된 유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홈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홈과; 상기 수직레일홈과 연통되고 평탄한 후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만곡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하부레일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는, 확장보드의 후단부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 결합부 상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러기지보드의 선단부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중간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지지대와, 제 1 지지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 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재는 양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지지부재와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중간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지지대와, 제 2 지지대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 2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텐션부재의 작동 시는 연결부재와 중간부재가 각각 제 1,2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지지부재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홈 전방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러기지보드에서 인출되어 펼쳐지는 확장보드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돌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홈 하부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는 러기지보드와 확장보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러기지보드가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KR1020100123066A 2010-12-03 2010-12-03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KR10123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66A KR101231354B1 (ko) 2010-12-03 2010-12-03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66A KR101231354B1 (ko) 2010-12-03 2010-12-03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680A KR20120061680A (ko) 2012-06-13
KR101231354B1 true KR101231354B1 (ko) 2013-02-07

Family

ID=4661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66A KR101231354B1 (ko) 2010-12-03 2010-12-03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967A (ko) 2017-10-30 2019-05-09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용 엠보싱 시트를 적용한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US10479279B2 (en) 2017-09-08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Slidable luggage board assembly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181B1 (ko) * 2019-09-25 2021-04-06 주식회사 서연이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98A (ko) * 2000-08-11 2002-02-20 이계안 차량의 선반용 받침대
JP2003182459A (ja) * 2001-12-18 2003-07-03 Hayashi Telempu Co Ltd トノカバー係合手段構造物
JP2008024151A (ja) * 2006-07-21 2008-02-07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09248733A (ja) * 2008-04-04 2009-10-29 Toyota Boshoku Corp デッキボード及びデッキボード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198A (ko) * 2000-08-11 2002-02-20 이계안 차량의 선반용 받침대
JP2003182459A (ja) * 2001-12-18 2003-07-03 Hayashi Telempu Co Ltd トノカバー係合手段構造物
JP2008024151A (ja) * 2006-07-21 2008-02-07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部荷室構造
JP2009248733A (ja) * 2008-04-04 2009-10-29 Toyota Boshoku Corp デッキボード及びデッキボードの取付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279B2 (en) 2017-09-08 2019-11-19 Hyundai Motor Company Slidable luggage board assembly for vehicle
KR20190047967A (ko) 2017-10-30 2019-05-09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용 엠보싱 시트를 적용한 샌드위치 판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680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3968B1 (en) Vehicle seat
KR101209975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드 앤 다이브 장치
KR101991252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0783510B1 (ko) 차량의 가변형 격벽장치
US7594634B2 (en) Retractable device for enabling a motor vehicle seat to slide
KR20100062228A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KR20120089204A (ko) 차양 어셈블리
KR101231354B1 (ko)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US20150151650A1 (en) Seat rail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walk-in memory function
JP2014230787A (ja) 移動・移動制限装置およびその移動制限ユニット
TW201639497A (zh) 滑軌總成
KR101558804B1 (ko) 자동차 트렁크용 가변 파티션 장치
JP4235172B2 (ja) 自動車の収納部内に畳み込まれたルーフの下に、物品を挿入しやすくするための装置
KR10193681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JP5199547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構造
KR101815449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JP2008273399A (ja) 荷室ボード連動構造
TW202304747A (zh) 兒童安全座椅
CN112960031A (zh) 婴儿车
KR101722657B1 (ko) 시트백 연동형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2020168994A (ja) 車両用トノカバー構造
JP4699195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構造
KR20190057903A (ko)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록킹 구조
JP585936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