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445A -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445A
KR20110046445A KR1020117001314A KR20117001314A KR20110046445A KR 20110046445 A KR20110046445 A KR 20110046445A KR 1020117001314 A KR1020117001314 A KR 1020117001314A KR 20117001314 A KR20117001314 A KR 20117001314A KR 20110046445 A KR20110046445 A KR 2011004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ase
controller
vehicl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멜 레크민느
로랑 뤼카오라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1004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G05G1/105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3Operating parts, e.g. turn knob having at least two concentric 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01H2219/0622Light conductor only an illuminated ring around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74Rotatable rod, shaft, or p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베이스(3)와, 베이스(3)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어되어야 하는 차량의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유닛(12)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어 노브(5)와, 상기 제어 노브(5)에 동축 관계로 장착된 제어 부재(7)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브(5)는 파지용 링(19)과, 한편으로는 상기 파지용 링(19)과 상호 작용하는 주변 스커트(17)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브릿지(18)에 의해 상기 주변 스커트(17)에 연결된 축방향 튜브(16)를 갖는 제어 배럴(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1,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ON A MOTOR VEHICLE CONTROL PANEL AND CORRESPONDING CONTROL PANEL}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끼워맞춤식 계기 패널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차량 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 컨디셔닝(air conditioning)을 제어하는 제어 패널에 적용된다.
차량의 장치, 예컨대 가열 및/또는 에어 컨디셔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패널이 FR-A-2 720 339에 따라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제어 패널은 차량 내부 내의 환기 온도, 기류의 분배 및 공기 환기의 강도를 각각 조절하는 여러 개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제어 패널이 포함하는 제어 장치는, 예컨대 로터리 제어 부재들, 푸시-키이형(push-key), 힌지형 또는 플립-플롭형(flip-flop)의 제어 부재들일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차량의 운전자나 승객이 야간에 운전할 때에 제어 장치 및 그 각각의 위치를 식별하게 하기 위하여 계기 패널의 선택된 구역을 조명하도록 설계된 조명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 패널은 축소된 공간에, 특히 제어 및 조명의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정 개수의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공지된 제어 장치는 특히 자동화 조립 라인에서 장기간 제조에 불리한 점이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들 공지된 제어 장치의 다른 단점은 제어 장치가 각각의 경우에 표준화에 불리한 점이 있는 소정의 차량 타입의 제어 패널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론상 동일한 제어 장치가 다양한 제어를 위해 다양한 타입의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특히 공간 요건 및 대시보드로의 통합이라는 제약이 있고, 이는 동일한 제어 장치는 단하나의 소정 타입의 제어 패널 및 차량에만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문제는 동일한 제어 패널의 제어 장치가 소정 차량의 일정 장비 수준에 적합하고 다른 장비 수준의 동일한 차량에 사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예컨대 에어 컨디셔닝이 없는 가열 장치에 적합한 제어 패널은 유사하지만 에어 컨디셔닝 옵션이 설비된 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데에 적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양한 타입의 차량이나 동일한 차량 타입의 다양한 장비 수준에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표준화된 제어 장치 및 패널을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베이스와, 베이스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어되어야 하는 차량의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유닛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어 노브와, 제어 노브에 동축 관계로 장착된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 노브는 파지용 링과, 한편으로는 파지용 링과 상호 작용하는 주변 스커트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브릿지에 의해 주변 스커트에 연결된 축방향 튜브를 갖는 제어 배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취한 제어 장치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따르면,
- 제어 배럴은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는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의 역광 조명을 위해 그리고 제어 부재 둘레에 원형의 확산광의 발생을 위해 발광 다이오드 등의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을 포함하고,
- 디스플레이 표면은 제어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제어 노브 및/또는 제어 부재에 의해 선택된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되며,
- 제어 부재는 전기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고,
- 제어 부재는 전기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며,
- 제어 노브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고, 이 어댑터는 베이스와 제어 배럴 사이에서 베이스의 로터리 샤프트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어 배럴의 회전 운동을 베이스 유닛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 어댑터는 전환 가이드를 포함하고, 이 전환 가이드는 베이스의 개구로 삽입되어 어댑터가 개구 내에서 전환 가이드의 피봇 운동에 의해 피봇되게 하고,
- 제어 부재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 지지부는 베이스에 부착되고 제어 노브에 동축 관계로 장착되며 역광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을 가지며,
- 축방향 튜브는 제 1 부분을 갖고, 이 제 1 부분은 베이스의 합치하는 칼라로 삽입됨으로써 회전시에 제어 노브를 안내하는 수단을 형성하며,
- 축방향 튜브는 제 2 부분을 갖고, 이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좁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베이스 유닛의 샤프트와의 회전시에 고정되도록 또는 베이스의 로터리 샤프트가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 제어 노브 및 제어 부재는 베이스의 합치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차량용 제어 패널로서,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제어 패널은, 예컨대 에어 컨디셔닝의 제어를 위해 구성되고, 환기 온도 기능 및 차량 내부 내에 기류 분배의 각각의 제어를 위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제 1 제어 장치와, 환기의 강도 및 공기 순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본 발명의 설명을 읽으면 첨부 도면에서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타입의 차량이나 동일한 차량 타입의 다양한 장비 수준에 사용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표준화된 제어 장치 및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조립된 상태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제어 장치의 평면도,
도 1c는 도 1b의 제어 장치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1d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1a의 제어 장치의 사시도,
도 2a, 2b, 2c 및 2d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제어 장치의 유사한 도면,
도 3a는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도면,
도 3b는 조립된 상태에서 도 3a의 제어 장치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 3d는 도 3b의 제어 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도 3a의 제어 장치의 조립되지 않은 베이스의 사시도.
이들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다.
본 발명은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끼워맞춤식 계기 패널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차량 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제어 패널은, 예컨대 3개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그 중에 2개의 제 1 장치(1)는 차량 내부 내에 기류의 분배(도 1a 내지 1d) 및 환기 온도(도 2a 내지 2d)의 각각의 제어를 위해 제 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고, 제 2 장치(2)는 환기의 강도 및 공기 순환 모드(도 3a 내지 4)를 제어하기 위해 제 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다.
도 1a 내지 1d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어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 장치(1)는 베이스(3)와, 예컨대 스냅 끼워맞춤에 의해 베이스(3)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제어 노브(5)와, 제어 노브(5)에 동축 관계로 장착된 제어 부재(7)를 포함한다.
베이스(3)는 부착 수단(9)에 의해 제어 패널에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베이스(3)는 또한 제어 패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전기 커넥터(10)를 포함한다.
제어 노브(5)는 예컨대 케이블을 당겨서 제어되기 위하여 차량의 장치(도시 생략)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유닛(12)과 상호 작용하게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유닛(12)은 로터리 요소(13)와, 베이스(14) 및 케이블(15), 예컨대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을 포함한다. 케이블(15)의 좌측 단부는 베이스(14)에 부착되지만 우측 단부는 로터리 요소(13)와 함께 이동될 수 있어 베이스(14)에 권취된다. 타단부(도시 생략)는 제어 대상 장치, 예컨대 가열-에어 컨디셔닝 장치의 플랩에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그러한 베이스 유닛(12)은 로터리 요소(13)에 가해진 운동을 멀리 전달할 수 있는 가요성 기계적 제어를 허용한다.
제어 노브(5)는 파지용 링(19)과, 한편으로는 파지용 링(19)과 상호 작용하는 주변 스커트(17)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브릿지(18)에 의해 주변 스커트(17)에 연결되는 축방향 튜브(16)를 갖는 제어 배럴(11)을 포함한다.
제어 부재(7)는 전기 및/또는 전자 타입일 수 있고, 전기 회로, 예컨대 제어 패널에 수용된 인쇄 회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1 실시예의 제어 장치(1)의 제어 부재(7)는 전기 푸시 스위치를 포함한다.
전기 푸시 스위치는 제어 샤프트를 구비하고, 스위치의 맞물림이 제어 샤프트를 스위치 내의 휴지 위치로부터 제어 샤프트가 기계적으로 적소에 유지되는 맞물림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얻어지는 스위치이다.
스위치가 해제될 때에, 제어 샤프트는 맞물림 위치를 지나서 스위치 내로 축방향으로 압박되어, 그 해제 및 예컨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스위치의 외측을 향해 초기의 휴지 위치로 자동 복귀를 유발한다.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전기 푸시 스위치는 스위치 요소(32)와 상호 작용하는, 베이스(3)에 부착된 버튼(30)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갖는다.
샤프트는, 예컨대 스위치 요소(32)를 죄는 스냅 끼워맞춤 러그(34)를 갖는다(보다 구체적으로 도 1a 및 1c 참조).
더욱이, 제어 배럴(11)의 축방향 튜브(16)는 베이스(3)의 합치하는 칼라(38)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시 노브(5)를 안내하는 수단을 형성하는 제 1 부분(36)을 갖는다.
또한, 제 1 부분(36)의 좁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 튜브(16)의 제 2 부분(40)은 베이스 유닛(12)의 샤프트(20)와의 회전시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 2 부분(40)은 또한 제어 부재(7)의 버튼(30)을 위한 축방향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도 1d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2)의 샤프트(20)는 270°의 각도를 통해 이동될 수 있어, 7개의 가능한 환기 분배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노브(5)의 적어도 7개의 각도 위치를 한정한다.
따라서, 제어 부재(7)에서의 압박은 사용자가 차량에서 에어 컨디셔닝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게 한다.
제어 배럴(11)은, 예컨대 스냅 끼워맞춤 수단(46b)과 안내 수단(46a)에 의해 썸휠(19; thumbwheel)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어, 썸휠(19)과 제어 배럴(11)은 회전시에 고정된다.
더욱이, 노브(5)와 제어 부재(7)는 베이스(3)의 합치하는 부착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1d에 의해 도시된 예에서, 파지용 링(19)은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하는 스냅 끼워맞춤 아암(48b)과 상호 작용하는 후프형 요소(48a)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어 부재(7)는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하는 리브(도시 생략)와 상호 작용하는 홈(48c)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노브(5)는 제어 부재(7)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a에 의해 도시된 예에서, 제어 부재(7)는 파지용 링(19)의 대응하는 숄더(49b)와 상호 작용하는 탄성 후크(49a)를 포함한다.
제어 배럴은 광을 투과시키는, 예컨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제조되고, 베이스(3)는 제어 장치(1)의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의 역광 조명을 위해 그리고 제어 부재(7; 1b, 2b 및 3b) 둘레에 원형의 확산광(58c)의 발생을 위해 램프(56) 또는 발광 다이오드(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부재(7) 둘레에 원형의 확산광(58c)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어 배럴(11)의 주변 스커트(17)는 제어 장치(1)의 단부로 연장되어 제어 장치(1)로부터 제어 부재(7)를 둘러싸는 환형 요소를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제어 배럴(11)은 광이 조명 수단(56)으로부터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발현되는 환형 요소로 투과될 수 있게 하여, 특히 야간에 운전할 때에 보다 우수한 식별을 허용한다.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은, 예컨대 광이 통과하게 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불투명하며 기호 및/또는 부호의 형태를 갖는 필름을 포함한다. 기호는, 예컨대 제어될 기능과 관련된 문자(들) 또는 그림(들)의 형태인 상형 문자나 스크립트이다.
예컨대, 도 1b 및 1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부재(7)는 2개의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을 포함하고, 베이스(3)는 디스플레이 표면(58a, 58c 및 58b)의 각각의 역광 조명을 위해 2개의 조명 수단(56, 57)을 갖는다.
제 1 디스플레이 표면(58a)은 도 1b 및 1d에서 볼 수 있고, 제 1 디스플레이 표면은 다양한 환기 분배 모드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를 포함하고, 이 상형 문자는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하는 램프(56)에 의해 역광 조명되고, 제 2 디스플레이 표면(58b)은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57)에 의해 역광 조명된 조명 인디케이터를 형성하고 에어 컨디셔닝의 맞물림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은 제어 부재(7)에 의해 지지되고 노브(5) 및/또는 제어 부재(7)에 의해 선택된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 1 디스플레이 표면(58a)은 제어 노브(5)에 의해 선택된 분배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되고 제 2 디스플레이 표면(58b)은 제어 부재(7)의 스위치 온 또는 오프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된다.
이 구조는 파지용 링(19)을 베이스 유닛(12)과의 회전시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한편, 노브(5)의 내측에 전기 와이어 또는 제어 부재의 구동 수단이 통과할 공간을 남겨 둔다.
따라서, 전기 및/또는 전자 요소와 제어 부재(7)의 구동 수단을 베이스(3)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구조는 노브(5)가 360°미만을 통해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연결 브릿지(18)가 더 큰 회전각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하, 제어 장치(1)의 다른 예를 제 1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2a 내지 2d에 도시된 제어 장치(1)는 환기 온도가 제어되게 한다.
제어 장치(1)는 환기 분배를 위한 제어 장치(1)와 동일한 요소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 상에 나타낸 상형 문자만이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이 신규한 예에서, 제어 부재(7)의 압박은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 윈도우 성에 제거 제어를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게 하고, 제어 노브(5)는 환기 온도의 강도가 제어되게 한다.
제 1 디스플레이 표면(58a)의 상형 문자는 원호에 내접한 일련의 세그먼트를 형성하여 환기 온도를 위한 고온 및 저온 기호에 대응하는 2개의 상이한 역광 조명칼라를 표시한다.
제 2 디스플레이 표면(58b)은 성에 제거 제어의 스위치 온을 나타내도록 역광 조명된 조명 인디케이터를 표시한다.
따라서, 환기 모드용 제어 장치(1)(도 1a 내지 1d)가 온도용 제어 장치(1)(도 2a, 2b, 2c 및 2d)로 용이하게 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 장치(1)는 동일한 범위의 각도 변동을 한정하는 제어 노브(5)와 동일한 개수의 스위칭 상태를 한정하는 제어 부재(7)를 갖는다. 특정한 제어를 나타내도록 제어 부재(7)의 버튼(30)만을 변경하면 된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도 3a 내지 4의 제어 장치(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제어 장치(2)의 제어 부재(7)는 베이스(3)의 로터리 샤프트(21)에 의해 장착되어 제어되는 버튼(30)을 갖는 전기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위치는, 예컨대 환기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베이스(3)에 이 목적을 위해 마련된 파워 스위치(도시 생략)를 구동시킬 수 있다.
로터리 샤프트(21)는, 예컨대 환기 강도의 5개의 상이한 수준을 한정한다.
축방향 튜브(16)의 제 2 부분(40)은 로터리 샤프트(21)가 통과하여 로터리 샤프트(21)의 축방향 가이드를 형성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제어 장치(2)의 제어 노브(5)는 또한 베이스와 제어 배럴(11) 사이의 로터리 샤프트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어댑터(62)를 포함한다.
어댑터(62)는 제어 배럴(11)의 회전 운동이 베이스 유닛(1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어댑터(62)는 회전시에 제어 노브(5)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어댑터(62)는 노브(5)의 연결 브릿지(18)에 연결된다.
어댑터(62)는 또한 전환 가이드(64)를 포함하는데, 이 전환 가이드는 베이스(3)의 개구(66) 내에 삽입되어 어댑터(62)가 개구(66) 내에서 전환 가이드(64)의 피봇 운동에 의해 피봇하게 한다.
전환 가이드(64)는 베이스 유닛(12)의 로터리 요소(13)에 부착되도록 설계되어, 로터리 요소(13)는 회전시 제어 노브(5)에 고정되고 베이스 유닛(12)의 케이블(15)의 일단부는 전환 가이드(6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베이스 유닛(12)에는 제 1 제어 장치(1)에서와 같은 샤프트(20)가 없다.
따라서, 전환 스위치(64)는 이 예에서 차량의 공기 순환의 2개의 가능한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노브(5)의 2개의 극단적인 각도 위치를 한정하는 90°의 각도를 통해 피봇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댑터(62)는 제어 노브(5)에 연결된 베이스 유닛(12)의 구동 전환을 허용하여, 제어 부재(7)의 로터리 샤프트(21)가 제 1 제어 장치(1) 및 제 2 제어 장치(2)의 제어 노브(5)를 변경하는 일 없이 통과하게 한다.
제어 부재(7)는 또한 지지부(68)를 포함하는데, 지지부는 베이스(3)에 부착되고, 제어 노브(5)에 동축 관계로 장착되며, 역광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을 갖는다.
지지부(68)는 베이스(3)의 합치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도시 생략)과 상호 작용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부(68)는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하는 리브(도시 생략)와 상호 작용하는 홈(70a)을 포함한다.
지지부(68)는 또한 제어 노브(5)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서 연결 브릿지(18)의 통과를 허용하는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3a 및 3b에서 볼 수 있는 지지부(68)의 제 1 디스플레이 표면(58a)은 환기 강도를 나타내는 상형 분자와 그림을 포함하고, 제 2 디스플레이 표면(58b)은 공기 순환 모드를 나타내는 상형 문자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은 제어 노브(5)와 제어 부재(5, 7)에 의해 선택된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된다.
따라서, 파워 스위치를 제어하는 푸시 제어 부재(도 1a 내지 2d)를 갖는 제어 장치(1)가 로터리 버튼(도 3a 내지 4)을 갖는 제어 장치(2)로 쉽게 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1, 2)는 더 이상 예정된 위치를 갖지 않는 제어 패널에서 용이하게 상호 교체될 수 있게 하는 유사한 공간 요건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어 패널은 모듈형 구조를 갖는데, 이 모듈형 구조는 약간의 부품을 갖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 패널이 의도된 차량에 따라 용이하게 개조될 수 있다.
이 모듈형 설계는 작은 개수의 기본 제어 장치를 기초로 하여 상이한 타입의 많은 개수의 제어 패널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1, 2: 제어 장치 3: 베이스
5: 제어 노브 7: 제어 부재
11: 제어 배럴 16: 축방향 튜브
17: 주변 스커트 18: 연결 브릿지
19: 파지용 링 21: 로터리 샤프트
58a, 58b: 디스플레이 표면 62: 어댑터
64: 전환 가이드 66: 개구
68: 지지부

Claims (13)

  1.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베이스(3)와, 베이스(3)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제어되어야 하는 차량의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유닛(12)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제어 노브(5)와, 상기 제어 노브(5)에 동축 관계로 장착된 제어 부재(7)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노브(5)는 파지용 링(19)과, 한편으로는 상기 파지용 링(19)과 상호 작용하는 주변 스커트(17)와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브릿지(18)에 의해 상기 주변 스커트(17)에 연결된 축방향 튜브(16)를 갖는 제어 배럴(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배럴(11)은 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베이스(3)는 제어 장치(1, 2)의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의 역광 조명을 위해 그리고 제어 부재(7) 둘레에 원형의 확산광(58c)의 발생을 위해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 수단(56, 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은 제어 부재(7)에 의해 지지되고, 제어 노브(5) 및/또는 제어 부재(7)에 의해 선택된 제어에 따라 역광 조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7)는 전기 푸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7)는 전기 로터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노브(5)는 어댑터(62)를 더 포함하고, 이 어댑터는 베이스(3)와 제어 배럴(11) 사이에서 베이스(3)의 로터리 샤프트(21)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제어 배럴(11)의 회전 운동을 베이스 유닛(12)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62)는 전환 가이드(64)를 포함하고, 이 전환 가이드는 베이스(3)의 개구(66)로 삽입되어 어댑터(62)가 개구(66) 내에서 전환 가이드(64)의 피봇 운동에 의해 피봇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7)는 지지부(68)를 포함하고, 이 지지부는 베이스(3)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 노브(5)에 동축 관계로 장착되며 역광 조명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58a, 5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튜브(16)는 제 1 부분(36)을 갖고, 이 제 1 부분은 베이스(3)의 합치하는 칼라(38)로 삽입됨으로써 회전시에 상기 제어 노브(5)를 안내하는 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튜브(16)는 제 2 부분(40)을 갖고, 이 제 2 부분은 제 1 부분(36)의 좁은 부분에 의해 형성되며, 베이스 유닛(12)의 샤프트(20)와의 회전시에 고정되도록 또는 베이스(3)의 로터리 샤프트(21)가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노브(5) 및 제어 부재(7)는 베이스(3)의 합치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제거 가능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차량용 제어 패널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1,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13. 에어 컨디셔닝의 제어를 위해 구성된 차량용 제어 패널로서, 환기 온도 기능 및 차량 내부 내에 기류 분배의 각각의 제어를 위해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9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제 1 제어 장치(1)와, 환기 및 공기 순환 모드 세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 2 제어 장치(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 패널.
KR1020117001314A 2008-06-20 2009-06-08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KR201100464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03443A FR2932727B1 (fr) 2008-06-20 2008-06-20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FR08/03443 2008-06-20
PCT/EP2009/057020 WO2009153185A1 (fr) 2008-06-20 2009-06-08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é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445A true KR20110046445A (ko) 2011-05-04

Family

ID=4025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314A KR20110046445A (ko) 2008-06-20 2009-06-08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055764A1 (ko)
EP (1) EP2303615B1 (ko)
JP (1) JP5451758B2 (ko)
KR (1) KR20110046445A (ko)
CN (1) CN102076513B (ko)
AT (1) ATE538957T1 (ko)
BR (1) BRPI0913240A2 (ko)
FR (1) FR2932727B1 (ko)
MX (1) MX2010014024A (ko)
WO (1) WO20091531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83A (ko) * 2018-08-21 2020-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891B1 (ko) * 2011-12-09 2018-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N102494394B (zh) * 2011-12-29 2013-12-18 上海福宇龙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空调的操作装置
JP5763572B2 (ja) * 2012-03-05 2015-08-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JP6003104B2 (ja) * 2012-03-06 2016-10-05 住友電装株式会社 回転操作装置
ITTO20120460A1 (it) * 2012-05-25 2013-11-26 Eltek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rubinetti di gas
KR101870638B1 (ko) * 2012-08-22 2018-06-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정전기 차단장치
CN103715001A (zh) * 2013-12-20 2014-04-09 昌辉汽车电器(黄山)股份公司 一种带雾灯自锁功能的汽车组合开关
DE102014201430A1 (de) * 2014-01-27 2015-07-30 BSH Hausgeräte GmbH Drehwahl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mit beleuchtetem Drehknebel
CN105333460B (zh) * 2014-07-30 2020-10-1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灶具的操作装置及灶具
CN104183396B (zh) * 2014-09-15 2016-04-20 上海伊莱克斯实业有限公司 带指示灯型多档位转换开关
CN104269313B (zh) * 2014-09-30 2016-08-24 上海伊莱克斯实业有限公司 多档位转换开关安装构件
CN104930658B (zh) * 2015-06-24 2017-08-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风门手动拉丝控制的车用空调操控系统
CN104999892A (zh) * 2015-08-04 2015-10-28 丹阳市车船装饰件有限公司 一种安全顶窗智能换气控制装置
WO2017066925A1 (zh) * 2015-10-20 2017-04-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旋钮结构及使用该旋钮结构的跟焦遥控器
EP3377358B1 (en) * 2015-11-20 2021-04-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ynamic reconfigurable display knobs
CN108021855B (zh) * 2016-11-04 2021-05-14 比亚迪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中控开关组件和车辆
CN106710937B (zh) * 2016-12-29 2018-05-15 张勇 一种家用电器的控制器
KR102417533B1 (ko) * 2017-09-14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isg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936972B2 (ja) * 2017-10-31 2021-09-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用照明装置
CN109866573B (zh) * 2017-12-01 2020-09-15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器
CN109941058A (zh) * 2017-12-20 2019-06-2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器
CN109455062A (zh) * 2018-12-20 2019-03-12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汽车空调控制器操作装置
CN111483413A (zh) * 2019-01-29 2020-08-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旋钮、旋钮座和车辆
KR20210036743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0339B1 (fr) * 1994-05-30 1996-07-12 Valeo Thermique Habitacle Dispositif de commande d'installation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FR2756067B1 (fr) * 1996-11-20 1999-01-15 Valeo Electronique Commutateur rotatif a corps encastres pour tableau de commande d'une installation,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JP3500066B2 (ja) * 1998-06-30 2004-02-2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ル式スイッチ
JP3831590B2 (ja) * 2000-08-22 2006-10-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型スイッチ装置
JP2004185927A (ja) * 2002-12-02 2004-07-02 Denso Corp ダイアルプッシュスイッチユニット及びダイアルスイッチユニット
KR100474092B1 (ko) * 2003-03-26 2005-03-1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DE10341016B4 (de) * 2003-09-03 2016-11-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element, insbesondere für ein Multimediasystem eines Kraftfahrzeugs
JP2005096579A (ja) * 2003-09-24 2005-04-14 Tokai Rika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WO2005052510A1 (ja) * 2003-11-28 2005-06-09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oration 回転スイッチ機構
JP4441750B2 (ja) * 2003-12-24 2010-03-31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マニュアルタイプのスイッチ機構
JP4031775B2 (ja) * 2004-04-28 2008-01-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イヤル式スイッチ機構
JP2007234480A (ja) * 2006-03-02 2007-09-13 Denso Corp 操作装置
JP4671126B2 (ja) * 2006-03-27 2011-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装置
US7439458B2 (en) * 2006-08-25 2008-10-21 Delphi Technologies, Inc. Five-way directional push button on a rotary knob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683A (ko) * 2018-08-21 2020-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4304A (ja) 2011-09-01
WO2009153185A1 (fr) 2009-12-23
CN102076513A (zh) 2011-05-25
CN102076513B (zh) 2014-04-23
BRPI0913240A2 (pt) 2016-01-19
ATE538957T1 (de) 2012-01-15
JP5451758B2 (ja) 2014-03-26
EP2303615A1 (fr) 2011-04-06
EP2303615B1 (fr) 2011-12-28
FR2932727A1 (fr) 2009-12-25
US20120055764A1 (en) 2012-03-08
MX2010014024A (es) 2011-02-15
FR2932727B1 (fr)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6445A (ko)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US9616812B2 (en) Light emission structure for indication symbol in interior space of vehicle
EP1518726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8104371B2 (en) Dial control device
EP1518728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02792243A (zh) 带有由光导背光照明的旋转开关的控制设备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CN103854899A (zh) 操作面板的照明结构
JP4087245B2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US20080087490A1 (en) Control element for regulating a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unit of a motor vehicle
JP2013054654A (ja) 操作装置
KR101645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426357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操作装置
JP5013273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12166669A (ja) 機能選択式空調コントロール装置
JP4291720B2 (ja) 車両用ダイヤルコントローラ
JP2009126471A (ja) 車両の空調用操作装置
JP2018065514A (ja) 車両用操作装置
JP2005271841A (ja) 車両用ダイヤルコントローラ
JP4234097B2 (ja) スイッチの照明機構
JP5218936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0331552A (ja) スイッチ照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