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743A - 차량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743A
KR20210036743A KR1020190119149A KR20190119149A KR20210036743A KR 20210036743 A KR20210036743 A KR 20210036743A KR 1020190119149 A KR1020190119149 A KR 1020190119149A KR 20190119149 A KR20190119149 A KR 20190119149A KR 20210036743 A KR20210036743 A KR 2021003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push button
unit
housing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형
유규하
박정준
김병욱
백범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6743A/ko
Priority to US16/822,200 priority patent/US11170955B2/en
Publication of KR2021003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rotated step-wise in one direction
    • H01H13/58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with contact-driving member rotated step-wise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movable contact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push 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B60K2360/13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46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three operative positions, e.g. off/star/delt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 하우징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 버튼부, 푸시 버튼부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되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시 비연동(nonperistaltic)되며 하우징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는 다이얼부, 기판에 구비되며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기판에 구비되며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에 이용되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다양해지고 그 기능 또한 늘어남에 따라,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으로 차량 조작이 가능한 다이얼 조작부가 사용되고 있다.
다이얼 조작부는 리스트를 탐색하거나 연속적으로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버튼식 입력장치에 비해 수행시간이 짧고 사용 편의성이 높으며 조작이 직관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다이얼 조작부는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을 감지하기 위해 푸시 스위치의 기능을 갖는 엔코더 스위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다이얼 조작부의 푸시 조작(누름 조작)시 뿐만 아니라 회전 조작시 모두, 다이얼 조작부 전체가 눌려지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디자인의 한계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었다.
특히, 다이얼 조작부의 최상단에는 심볼(symbol)이 형성된 스위치 노브가 장착되는데,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시 스위치 노브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심볼 역시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용 입력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의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입력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 하우징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 버튼부, 푸시 버튼부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되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시 비연동(nonperistaltic)되며 하우징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는 다이얼부, 기판에 구비되며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기판에 구비되며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는,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기존에는 다이얼 조작부의 푸시 조작(누름 조작)시 뿐만 아니라 회전 조작시 모두, 다이얼 조작부 전체가 눌려지거나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디자인의 한계성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급변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었다.
특히, 다이얼 조작부의 최상단에는 심볼(symbol)이 형성된 스위치 노브가 장착되는데,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시 스위치 노브가 함께 회전함에 따라, 심볼 역시 회전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입력장치의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수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장치의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수행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푸시 조작 또는 회전 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최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입력장치를 푸시 조작하는 중에, 회전 조작력이 함께 인가되면, 푸시 조작에 의한 기능 제어가 실행되면서 회전 조작에 의한 기능 제어까지 실행(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푸시 버튼부에 의도하지 않게 회전 조작력이 인가되더라도, 푸시 버튼부에 의해서는 푸시 조작에 의한 기능 제어만이 실행(또는, 다이얼부에 의해서는 회전 조작에 의한 기능 제어만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오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 버튼부는,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푸시 버튼 지지부, 및 푸시 버튼 지지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푸시 버튼 몸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푸시 버튼 몸체의 하부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푸시 버튼 지지부에는 가이드리브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리브가 가이드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지지부에 대해 푸시 버튼 몸체가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푸시 버튼 지지부에 대한 푸시 버튼 몸체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푸시 버튼 몸체의 좌우 유동(또는 직경 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시 버튼 몸체의 상단에는 푸시 노브가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 노브의 상면에는 미리 정의된 심볼(symbol)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감지부로서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시 버튼 몸체의 하단에는 푸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 노브를 누름 조작하면 푸시 돌기가 택트 스위치를 푸시함으로써,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다이얼부와 푸시 버튼부가 비연동된다 함은,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과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이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푸시 버튼부를 누름 조작하면, 하우징에 대한 다이얼부의 배치 높이(누름 조작 방향을 따른 높이), 회전 위치, 및 배치 각도 등이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부만이 단독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같은 방식으로, 다이얼부를 회전 조작하면, 하우징에 대한 푸시 버튼부의 배치 높이, 회전 위치 및 배치 각도 등이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다이얼부만이 단독적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부는, 푸시 버튼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푸시 버튼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이얼 몸체, 및 푸시 버튼 지지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다이얼 몸체에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다이얼 지지부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제2감지부는 다이얼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며, 홀센서에서 마그네트를 감지하면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이 감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입력장치는, 하우징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의 일정 이상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다이얼 지지부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만 안정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제한부는, 다이얼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이얼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속홈, 및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속홈에 수용되며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속홈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스토퍼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입력장치는, 하우징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한다.
탄성지지부는 다이얼 지지부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력(다이얼 지지부에 결합된 다이얼 몸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다이얼 지지부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조작된 다이얼부를 초기 위치로 수동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을 해제함과 동시에, 다이얼 지지부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탄성지지부는, 제1경사면 및 제1경사면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다이얼 지지부에 함몰 형성되는 캠홈;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1경사면 또는 제2경사면에 접촉 가능하게 하우징에 장착되는 접촉부재; 및 접촉부재가 제1경사면 및 제2경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를 간소화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장치의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조작에 의한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 특성을 향상시키고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감을 제고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푸시 버튼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다이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마그네트 및 제2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탄성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탄성지지부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다이얼부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푸시 버튼부의 구조 및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다이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마그네트 및 제2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탄성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탄성지지부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로서, 다이얼부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110), 하우징(100)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 버튼부(200), 푸시 버튼부(200)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되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시 비연동(nonperistaltic)되며 하우징(100)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는 다이얼부(300), 기판(110)에 구비되며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240), 및 기판(110)에 구비되며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3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및 히터 컨트롤와 같은 차량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입력장치(10)에 의해 제어되는 차량 기능의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차량에 장착된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차량의 콘솔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을 차량의 여타 다른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상부 협조적으로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미도시) 및 상부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기판(110)이 장착되며, 기판(110) 상에는 스위치 및 제어를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푸시 버튼부(200)는 하우징(100)에 누름 조작(푸시 조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예로, 푸시 버튼부(200)는, 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푸시 버튼 지지부(210), 및 푸시 버튼 지지부(210)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푸시 버튼 몸체(220)를 포함한다.
푸시 버튼 지지부(21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푸시 버튼 지지부(210)는 원형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 버튼 몸체(220)는 상단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푸시 버튼 지지부(210)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푸시 버튼 몸체(220)는 푸시 버튼 지지부(21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한 원형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시 버튼 몸체(220)의 하부에는 푸시 버튼 몸체(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리브(224)가 형성되고, 푸시 버튼 지지부(210)에는 가이드리브(224)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리브(224)가 가이드홈(212)에 수용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 지지부(210)에 대해 푸시 버튼 몸체(220)가 상하 이동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푸시 버튼 지지부(210)에 대한 푸시 버튼 몸체(22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푸시 버튼 몸체(220)의 좌우 유동(또는 직경 방향 유동)을 억제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푸시 버튼 지지부(210) 및 푸시 버튼 몸체(220)가 원형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푸시 버튼 지지부 및 푸시 버튼 몸체가 다각형(예를 들어, 사각형) 단면 형태 또는 여타 다른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푸시 버튼 몸체(220)의 상단에는 푸시 노브(2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 노브(230)의 상면에는 미리 정의된 심볼(symbol)(2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심볼(232)이라 함은, 도형, 문자, 기호 및 부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푸시 노브(230)는 스냅피트(Snap Fit) 결합 방식으로 푸시 버튼 몸체(22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푸시 조작시 푸시 노브(230)는 푸시 버튼 몸체(2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감지부(240)는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기 위해 기판(110)에 구비된다.
제1감지부(240)로서는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을 감지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또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감지부(240)로서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242)(또는 푸시 버튼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코더 스위치를 대신하여 택드 스위치를 통해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것에 의하여,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시 버튼 몸체(220)의 하단에는 택트 스위치(242)와 대응되게 푸시 돌기(22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 노브(230)를 누름 조작하면 푸시 버튼 몸체(220)와 함께 푸시 돌기(222)가 하강하며 택트 스위치(242)를 푸시함으로써,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이 감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이얼부(300)는 푸시 버튼부(200)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되,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시 비연동(nonperistaltic)되며 하우징(100)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다이얼부(300)와 푸시 버튼부(200)가 비연동된다 함은, 푸시 버튼부(200)의 누름 조작과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이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푸시 버튼부(200)를 누름 조작하면, 하우징(100)에 대한 다이얼부(300)의 배치 높이(누름 조작 방향을 따른 높이), 회전 위치, 및 배치 각도 등이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부(200)만이 단독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같은 방식으로, 다이얼부(300)를 회전 조작하면, 하우징(100)에 대한 푸시 버튼부(200)의 배치 높이, 회전 위치 및 배치 각도 등이 변동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다이얼부(300)만이 단독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다이얼부(300)를 회전 조작하더라도, 푸시 버튼 몸체(220)에 결합된 푸시 노브(230)는 회전하지 않고 하우징(100)에 대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푸시 노브(230)에 형성된 심볼(232)은 항상 일정한 자세(예를 들어, 심볼의 상부가 항상 차량의 전방을 바라보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도 12 참조)
다이얼부(300)는 푸시 버튼부(200)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얼부(30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다이얼부(300)는, 푸시 버튼 몸체(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푸시 버튼 지지부(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이얼 몸체(310), 및 푸시 버튼 지지부(2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다이얼 몸체(310)에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 지지부(320)를 포함한다.
다이얼 몸체(310)는, 푸시 버튼 몸체(220)의 둘레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푸시 버튼 지지부(21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다이얼 몸체(3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이얼 몸체(310)의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요철 구조의 그립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다이얼 몸체(310)는 단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 구성되거나, 2개 이상의 구성 부품을 조립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이얼 몸체(310)를 구성하는 구성 부품의 개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이얼 지지부(320)는 푸시 버튼 지지부(210)의 둘레를 감싸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에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다이얼 지지부(320)의 상부에는 다이얼 몸체(310)가 결합된다.
다이얼 몸체(3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다이얼 몸체(310)와 다이얼 지지부(320)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다이얼부(300)를 회전 조작하더라도, 하우징(100)에 대한 푸시 버튼부(200)의 자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제2감지부(340)는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기 위해 기판(110)에 구비된다.
제2감지부(340)로서는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을 감지 가능한 다양한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감지부(340)의 종류 및 감지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다이얼 지지부(320)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제2감지부(340)는 다이얼 지지부(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기판(110)에 장착되는 홀센서(34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을 따른 일측 및 반시계 방향을 따른 일측에 각각 홀센서(342)가 장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이얼부(300)의 초기 상태(회전 조작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그네트는 홀센서(342)와 겹쳐지지 않게 배치되지만,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다이얼 지지부(3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마그네트가 홀센서(342)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가 홀센서(342)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홀센서(342)가 마그네트를 감지함으로써,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이 감지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는, 하우징(100)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320)의 일정 이상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회전제한부(40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다이얼 지지부(32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으며,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이 허용된 구간 내에서만 안정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회전제한부(400)는 하우징(100)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320)의 일정 이상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제한부(400)는, 다이얼 지지부(3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이얼 지지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속홈(410), 및 하우징(100)의 내면에 형성되어 구속홈(410)에 수용되며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속홈(4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스토퍼돌기(420)를 포함한다.
다이얼 지지부(320)의 외주면에는 호 형태의 구속홈(410)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에 대응하여 구속홈(410)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스토퍼돌기(420)가 돌출 형성된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돌기(420)가 구속홈(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다이얼 지지부(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이상 회전하면, 스토퍼돌기(420)가 구속홈(410)의 일단(도 8을 기준으로 구속홈의 우측단)에 구속됨으로써,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이 구속된다.
반대로, 스토퍼돌기(420)가 구속홈(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다이얼 지지부(320)가 시계 방향으로 일정 이상 회전하면, 스토퍼돌기(420)가 구속홈(410)의 타단(도 8을 기준으로 구속홈의 좌측단)에 구속됨으로써,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이 구속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는, 하우징(100)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500)를 포함한다.
탄성지지부(500)는 다이얼 지지부(320)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력(다이얼 지지부에 결합된 다이얼 몸체를 회전 조작하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다이얼 지지부(320)가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회전 조작된 다이얼부(300)를 초기 위치로 수동 복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이얼부(300)의 회전 조작을 해제함과 동시에, 다이얼 지지부(320)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탄성지지부(500)는 하우징(100)에 대한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지지부(50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탄성지지부(500)는, 제1경사면(512) 및 제1경사면(512)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경사면(514)을 포함하며, 다이얼 지지부(320)에 함몰 형성되는 캠홈(510); 다이얼 지지부(32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1경사면(512) 또는 제2경사면(514)에 접촉 가능하게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접촉부재(520); 및 접촉부재(520)가 제1경사면(512) 및 제2경사면(514)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부재(5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다이얼 지지부(320)의 하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캠홈(510)은 플랜지부의 상면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홈(510)은 제1경사면(512) 및 제2경사면(514)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대략 "V" 형태로 형성된다.
접촉부재(520)는 제1경사면(512) 및 제2경사면(514)에 접촉 및 이격되는 방향(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00)의 내면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접촉부재(520)는 가이드홈(2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탄성부재(530)는 하우징(100)에 대한 접촉부재(520)의 상하 이동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되며, 접촉부재(520)는 탄성부재(530)에 의해 제1경사면(512) 및 제2경사면(514)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일 예로, 탄성부재(530)로서는 스프링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530)는 하우징(100)과 접촉부재(5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홈(2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부재로서 하우징에 대한 접촉부재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여타 다른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종류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이얼부(300)의 초기 상태(회전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접촉부재(520)가 제1경사면(512)과 제2경사면(514)의 경계 부위(변곡점)에 배치된다. 이때, 접촉부재(520)는 탄성부재(5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다이얼 지지부(320)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 후, 다이얼 몸체(310)를 회전 조작하면, 다이얼 몸체(310)에 결합된 다이얼 지지부(32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하우징(100)에 대해 다이얼 지지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접촉부재(520)는 제1경사면(512) 또는 제2경사면(5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일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회전 조작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해 다이얼 지지부(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부재(520)는 탄성부재(530)를 압축하면서 제1경사면(512)을 따라 이동한다. 접촉부재(520)가 제1경사면(512)을 따라 제1경사면(512)의 상부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다이얼 몸체(310)를 회전시키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30)가 복원됨과 동시에 접촉부재(520)가 제1경사면(512)을 따라 이동하며 다이얼 지지부(3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얼 지지부(320)는 다시 초기 위치에 배치(접촉부재가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의 경계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100)에 대해 다이얼 지지부(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촉부재(520)는 탄성부재(530)를 압축하면서 제2경사면(514)을 따라 이동한다. 접촉부재(520)가 제2경사면(514)을 따라 제2경사면(514)의 상부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다이얼 몸체(310)를 회전시키는 조작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530)가 복원됨과 동시에 접촉부재(520)가 제2경사면(514)을 따라 이동하며 다이얼 지지부(3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이얼 지지부(320)는 다시 초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입력장치
100 : 하우징
110 : 기판
200 : 푸시 버튼부
210 : 푸시 버튼 지지부
212 : 가이드홈
220 : 푸시 버튼 몸체
222 : 푸시 돌기
224 : 가이드리브
230 : 푸시 노브
232 : 심볼
240 : 제1감지부
242 : 택트 스위치
300 : 다이얼부
310 : 다이얼 몸체
320 : 다이얼 지지부
340 : 제2감지부
342 : 홀센서
400 : 회전제한부
410 : 구속홈
420 : 스토퍼돌기
500 : 탄성지지부
510 : 캠홈
512 : 제1경사면
514 : 제2경사면
520 : 접촉부재
530 : 탄성부재

Claims (11)

  1. 차량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 버튼부;
    상기 푸시 버튼부에 대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시 비연동(nonperistaltic)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는 다이얼부;
    상기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푸시 버튼 지지부; 및
    상기 푸시 버튼 지지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푸시 버튼 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 몸체의 하부에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 버튼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리브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 몸체의 하단에는 푸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푸시 돌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돌기가 상기 택트 스위치를 푸시하면 상기 푸시 버튼부의 누름 조작이 감지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심볼(symbol)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 버튼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푸시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노브는 상기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시 비연동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자세가 유지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푸시 버튼 몸체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푸시 버튼 지지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이얼 몸체; 및
    상기 푸시 버튼 지지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다이얼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 지지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지지부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홀센서에서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면 상기 다이얼부의 회전 조작이 감지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일정 이상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속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속홈에 수용되며,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구속홈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스토퍼돌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얼 지지부에 함몰 형성되는 캠홈;
    상기 다이얼 지지부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경사면 또는 상기 제2경사면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접촉부재; 및
    상기 접촉부재가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KR1020190119149A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입력장치 KR2021003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49A KR20210036743A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입력장치
US16/822,200 US11170955B2 (en) 2019-09-26 2020-03-18 Input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49A KR20210036743A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43A true KR20210036743A (ko) 2021-04-05

Family

ID=7516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149A KR20210036743A (ko) 2019-09-26 2019-09-26 차량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70955B2 (ko)
KR (1) KR202100367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4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회전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2002937T5 (de) * 2021-06-08 2024-04-04 Ghsp, Inc. BENUTZERSCHNITTSTELLE MIT EINER ZIFFERBLATTSTEUERUNG, DIE EIN DREHBARES ZIFFERBLATT EINSCHLIEßT, DAS ENTLANG ODER UM DREI ACHSEN MANIPULIERT WERDEN KANN
US20230107396A1 (en) * 2021-10-04 2023-04-06 Abl Ip Holding Llc Lighting system with improved senso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944A (ko) * 2007-09-17 2009-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FR2932727B1 (fr) * 2008-06-20 2012-10-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mmande pour la commande de fonctions d'un tableau de command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tableau de commande correspondant
CN102089841A (zh) * 2008-07-09 2011-06-08 欧姆龙多尔泰汽车电子有限公司 开关附接组件
JP2012243652A (ja) * 2011-05-20 2012-12-10 Sony Corp 操作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24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회전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8209A1 (en) 2021-04-01
US11170955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1443B2 (en)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KR20210036743A (ko) 차량용 입력장치
JP4553945B2 (ja) 多方向スイッチ
US8186240B2 (en) Joystick type switch device
US8198555B2 (en) Multi-position switch assembly for controlling a vehicle display screen
KR101058877B1 (ko) 다기능 스위치
JP5802111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151161B1 (ko)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JP5956917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20170051704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8941585B2 (en) Input device with touch input function
JP2019029358A (ja) 直動軸受により案内されるタッチパッド
JP6577213B2 (ja) 多機能選択操作スイッチ装置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4996548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装置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13242972A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020902B1 (ko) 차량의 통합형 리모콘 스위치 유닛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243236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휠 입력장치 및 휠 입력장치의제어방법
JP2006318687A (ja) 方向入力装置
JP6067809B2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