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245A - 차량용 회전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회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245A
KR20230000245A KR1020210082432A KR20210082432A KR20230000245A KR 20230000245 A KR20230000245 A KR 20230000245A KR 1020210082432 A KR1020210082432 A KR 1020210082432A KR 20210082432 A KR20210082432 A KR 20210082432A KR 20230000245 A KR20230000245 A KR 2023000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housing
return
return block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065B1 (ko
Inventor
김범규
박삼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102021008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0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스위치의 리턴시 타격음이 방지되며, 회전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는, 리턴부 및 회전부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노브;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고, 리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의 하측에 씌워지는 언더케이스; 하우징의 상측에 씌워지고, 회전노브가 노출되는 노브홀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회전 스위치{Rotation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회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스위치의 리턴시 타격음이 방지되며, 회전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차량의 기어변속을 위한 변속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기어변속장치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현재에는 전자식 기어변속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식 기어변속장치는 버튼 스위치, 스틱, 회전 스위치로 그 형태가 구분되며, 이는 사용자의 주행간에 조작시,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스위치 조작을 인지할 수 있는 조작감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의 일례로, 하우징과 회전노브 사이에 디턴트부가 형성되어, 조작감을 형성하고, 스프링에 의해 복귀력을 형성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는 사용자가 회전조작 후 노브에서 손을 떼어, 회전노브의 복귀시에 회전노브와 디턴트부 사이에 타격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턴트부가 없이 회전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감을 형성가능한 차량용 회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회전노브 조작 후, 회전노브의 복귀시에 타격음이 저감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리턴부에 회전노브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넷이 삽입되어, 회전노브의 회전을 별도로 감지할 센싱부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회전 스위치의 사이즈가 축소 가능한 차량용 회전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는, 리턴부 및 회전부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노브;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고, 리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하우징의 하측에 씌워지는 언더케이스; 하우징의 상측에 씌워지고, 회전노브가 노출되는 노브홀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는,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홀더; 홀더의 원주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홀더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회전노브와 연결되는 로터; 홀더 및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로터의 회전시에 마찰력을 저감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로터의 원주방향 외측 중 리턴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로터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턴부는, 로터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로터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하측에 상기 홀센서에 반응되는 마그넷이 구비된 리턴블럭; 리턴블럭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하우징에 타측이 연결되어, 리턴블럭이 외력으로 인하여 이동되는 경우 복귀력을 형성하는 판스프링; 리턴블럭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리턴블럭의 상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리턴블럭은 로터톱니와 대응되는 부위에 리턴블럭톱니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로터의 좌우회전에 따라 리턴블럭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로터톱니의 양측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로터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에 스토퍼와 리턴블럭톱니가 접촉되는 경우, 로터의 회전중인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리턴블럭을 기준으로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15도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디턴트부가 없이 회전노브의 회전각도를 제한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감을 형성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의 회전노브 조작 후, 회전노브의 복귀시에 타격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리턴부에 회전노브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마그넷이 삽입되어, 회전노브의 회전을 별도로 감지할 센싱부가 필요하지 아니하므로, 회전 스위치의 사이즈가 축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리턴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리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회전노브를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하나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면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리턴부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리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의 회전부를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회전 스위치는 회전노브(10), 어퍼케이스(20), 하우징(30), 인쇄회로기판(50), 언더케이스(60)를 포함한다.
회전노브(10)는 미끄럼방지부(12), 이탈방지링(13)을 포함한다. 회전노브(10)는 중심부에 푸쉬타입 스위치로 형성되는 중심노브(11)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12)는 회전노브(10)의 측면에 표면이 요철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작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이탈방지링(13)은 회전노브(10)의 하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어퍼케이스(20)에 걸림되어 회전노브(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어퍼케이스(20)는 후술하는 하우징(30)의 상측에 씌워지고, 후술하는 언더케이스(60)과 연결되어, 하우징(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어퍼케이스(20)는 노브홀(21)을 포함한다.
어퍼케이스(20)는 푸시스위치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노브홀(21)은 회전노브(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노브(10)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푸시스위치홀(22)은 후술하는 푸시스위치(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푸시스위치(32)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하우징(30)은 어퍼케이스(20)의 하측에 위치한다.
하우징(30)은 제1커넥터홈(31), 리턴부 및 회전부가 구비된다.
제1커넥터홈(31)은 후술하는 언더케이스(60)의 제2커넥터홈(61)과 결합되어,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50)의 커넥터(51)를 고정시키면서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하우징(30)은 푸시스위치(32)가 형성될 수 있다.
푸시스위치(32)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회전부는 하우징(30)의 상측에 형성된다.
하우징(30)의 회전부는 로터(14), 베어링(15), 홀더(16)을 포함한다.
홀더(16)는 하우징(3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홀더(16)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50)과 상기 중심노브(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로터(14)는 홀더(16)의 외측에, 홀더(16)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회전노브(10)와 연결된다.
로터(14)는 로터톱니(14a), 스토퍼(14b)를 포함한다.
로터톱니(14a)는 로터(14)의 원주방향 외측 중 리턴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스토퍼(14b)는 로터톱니(14a)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다.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홀더(16)와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되는 로터(14)의 사이에 마찰력을 저감하는 베어링(15)가 설치된다.
베어링(15)는 공지된 기술인 볼베어링이 사용된다.
하우징(30)의 리턴부는 하우징(30)의 상측 중 회전부와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하우징(30)의 리턴부는 리턴블럭(33), 가이드레일(34), 이탈방지부(35), 판스프링(36)을 포함한다.
리턴블럭(33)은 로터(14)의 측면에 로터(14)와 이격되어, 로터(14)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리턴블럭(33)은 하측에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홀센서에 반응되는 마그넷이 구비된다. 리턴블럭(33)은 로터(14)의 로터톱니(14a)와 대응되는 부위에 리턴블럭톱니(33a)가 형성되고, 로터톱니(14a)와 리턴블럭톱니(33a)는 서로 맞물려 로터(14)의 회전에 따라 리턴블럭(33)이 슬라이딩된다.
로터톱니(14a)와 맞물려 슬라이딩되는 리턴블럭톱니(33a)가 스토퍼(14b)와 접촉되는 경우, 로터(14)의 회전이 저지된다.
스토퍼(14b)는 리턴블럭(33)을 기준하여 원주방향으로 좌측으로 15도에 한 개, 우측으로 15도에 한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노브(10)의 회전각도는 시계방향으로 15도 반시계방향으로 15도가 되도록 한정된다.
가이드레일(34)은 리턴블럭(33)이 슬라이딩되는 하우징(30)의 상측면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리턴블럭(33)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이탈방지부(35)는 상기 리턴블럭(33)의 리턴블럭톱니(33a)가 형성된 측면의 반대측면에 리턴블럭(33)이 슬라이딩 가능토록 돌출형성된다. 이탈방지부(35)는 리턴블럭(33)의 상측면 일부와 접촉되어 리턴블럭(33)의 상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
판스프링(36)은 일측이 리턴블럭(33)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하우징(3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14)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리턴블럭(30)에 복귀력을 제공한다.
판스프링(36)에 의해 복귀력을 제공받는 리턴블럭(33)은 부딪히는곳이 없으므로, 타격음이 저감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하우징(30)의 하측에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51)가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50)은 중심노브(11), 푸시스위치(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0)은 리턴블럭(33)의 마그넷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가 구비된다.
커넥터(51)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5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언더케이스(60)는 하우징의 하측에 씌워진다.
언더케이스(60)는 제2커넥터홈(62)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홈(62)은 제1커넥터홈(31)과 연결되어 커넥터(51)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시킨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회전노브 11 : 중심노브
12 : 미끄럼방지부 13 : 이탈방지링
14 : 로터 14a : 로터톱니
14b : 스토퍼 15: 베어링
16 : 홀더 20 : 어퍼케이스
21 : 노브홀 22 : 푸쉬스위치홀
30 : 하우징 31 : 제1커넥터홈
32 : 푸쉬스위치 33 : 리턴블럭
33a : 리턴블럭톱니 34 : 가이드레일
35 : 이탈방지부 36 : 판스프링
50 : 인쇄회로기판 51 : 커넥터
60 : 언더케이스 61 : 제2커넥터홈

Claims (5)

  1. 리턴부 및 회전부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회전노브;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리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센서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씌워지는 언더케이스;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씌워지고, 상기 회전노브가 노출되는 노브홀이 형성되는 어퍼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홀더;
    상기 홀더의 원주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홀더에 대하여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노브와 연결되는 로터; 및
    상기 홀더 및 상기 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의 회전시에 마찰력을 저감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 외측 중 상기 리턴부와 대응되는 부위에 로터톱니가 형성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는,
    상기 로터와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로터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하측에 상기 홀센서에 반응되는 마그넷이 구비된 리턴블럭;
    상기 리턴블럭의 상측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타측이 연결되어, 리턴블럭이 외력으로 인하여 이동되는 경우 복귀력을 형성하는 판스프링;
    상기 리턴블럭의 좌우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리턴블럭의 상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블럭은 상기 로터톱니와 대응되는 부위에 리턴블럭톱니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로터의 좌우회전에 따라 리턴블럭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터톱니의 양측 끝단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로터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에 상기 스토퍼와 상기 리턴블럭톱니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로터의 회전중인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리턴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로터의 원주방향으로 좌측 및 우측으로 15도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차량용 회전 스위치.
KR1020210082432A 2021-06-24 2021-06-24 차량용 회전 스위치 KR10255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32A KR102550065B1 (ko) 2021-06-24 2021-06-24 차량용 회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432A KR102550065B1 (ko) 2021-06-24 2021-06-24 차량용 회전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245A true KR20230000245A (ko) 2023-01-02
KR102550065B1 KR102550065B1 (ko) 2023-06-30

Family

ID=8492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432A KR102550065B1 (ko) 2021-06-24 2021-06-24 차량용 회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0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124B1 (ko) *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19087442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操作機構
KR102007170B1 (ko) * 2018-03-26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00132378A (ko) * 2019-05-17 2020-11-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칭 유니트
KR20210036743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87442A (ja) * 2017-11-08 2019-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操作機構
KR101986124B1 (ko) *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07170B1 (ko) * 2018-03-26 2019-08-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00132378A (ko) * 2019-05-17 2020-11-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스위칭 유니트
KR20210036743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065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5883B2 (ja) 車両用変速レンジスイッチ装置
JP2015081564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2009117201A (ja) 入力装置
US20190032772A1 (en) Electronic transmission system
JP2018091202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2003154869A (ja) シフト装置
KR20070110788A (ko) 회전 조작형 전기 부품
JP6845526B2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5543224B2 (ja) レバー型スロットル操作装置
KR102550065B1 (ko) 차량용 회전 스위치
JP4478128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8090065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3126866B2 (ja) 車両用変速装置
JP5178638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8106317B2 (en) Rotary control device
JP7253166B2 (ja) スロットル操作装置
KR20220060594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JP5720477B2 (ja) 操作ツマミの取付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6196309A (ja) 操作装置
JP3794414B2 (ja) 自転車
KR20180104360A (ko) 차량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JPH10340158A (ja) Z軸座標入力機能付マウス
US20070057974A1 (en) Scroll button assembly for video game controller
KR102375140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KR20230134161A (ko) 자율주행 차량용 통합조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