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24B1 -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24B1
KR101986124B1 KR1020180030348A KR20180030348A KR101986124B1 KR 101986124 B1 KR101986124 B1 KR 101986124B1 KR 1020180030348 A KR1020180030348 A KR 1020180030348A KR 20180030348 A KR20180030348 A KR 20180030348A KR 101986124 B1 KR101986124 B1 KR 10198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knob
switch device
coupl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3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24B1/ko
Priority to EP18909131.7A priority patent/EP3780050A4/en
Priority to PCT/KR2018/009903 priority patent/WO2019172495A1/ko
Priority to CN201880093286.9A priority patent/CN112889124A/zh
Priority to US16/979,025 priority patent/US114623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6Limit switches, also fail-safe operation or anti-tamper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내측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 사이즈가 축소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하측이 개구되는 바디 본체와,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를 가지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와,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가지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와, 상기 커버 본체 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 및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메인 PCB와,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휠 노브의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위치 장치가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의 종류로는 스위치 신호 입력부에 구비된 노브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상기 노브가 사용자의 푸쉬 동작으로 직선이동되어 직선이동량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푸쉬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소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각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 스위치 장치가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회전 스위치 장치는 노브의 모양에 따라 다이얼 스위치 장치, 조이스틱 스위치 장치 및 스크롤 스위치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치 장치들은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방식이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는 기구적인 입력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작동되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구성인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터치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스위치 장치들이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되어 다 기능의 통합 스위치 장치를 이루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 다 기능의 통합 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스위치 장치가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되는 바, 공간활용을 최대화하여 사이즈를 축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내측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 사이즈가 축소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스위치 장치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 내측 공간이 없었기 때문에,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하측이 개구되는 바디 본체와,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를 가지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와,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가지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와, 상기 커버 본체 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 및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메인 PCB와,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휠 노브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가지는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푸쉬 버튼을 가지는 푸쉬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푸쉬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푸쉬 버튼을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상기 휠 노브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 구비된 광원이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드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와, 상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이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PCB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을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장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장착돌기부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수용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케이스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환형의 이너 휠과, 상기 이너 휠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노브가 결합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과,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휠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환형의 휠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 노브는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상측을 덮고, 상기 휠 노브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휠의 하면에는 마그넷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휠 베이스에는 상기 마그넷에 반응하여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아우터 휠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 베이스에는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수용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휠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 휠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하로 통하는 후크홀이 상기 푸셔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휠에는 상기 후크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 휠을 상기 휠 베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 노브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상기 이너 휠은 상기 후크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휠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 및 홈이 교번 형성되고, 상기 이너 휠에는, 상기 아우터 휠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 및 홈을 타고 넘는 디텐트와, 상기 디텐트를 탄성지지하는 디텐트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휠의 외주면 및 상기 아우터 휠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휠을 상기 이너 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는, 상기 바디 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설치부의 외측에서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상기 설치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푸셔부를 가지며,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홀더와, 상기 노브 홀더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바디 본체 내로 삽입되는 부분에 검출부를 가지는 센서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에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센서축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검출부의 원주방향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노브 홀더가 직선 이동시 상기 푸셔부에 의해 접점되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설치부의 측면 일부를 덮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상면부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푸셔부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면부에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삽입리브 및 제2 삽입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의 이격된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에 각각 형성된 결합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반경방향으로의 일부가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는 각각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는 상기 개구된 일측이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에는 상기 노브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노브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축에는 노브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노브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기어 및 상기 제1 기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에 치합하고, 상기 노브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노브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휠 노브가 환형으로 형성되고, 터치식 스위치 장치의 정전식 터치패드가 상기 휠 노브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내측에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어 사이즈가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식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이얼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휠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휠 베이스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측면도로서, 휠 베이스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너 휠 및 아우터 휠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수분이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3에서 바디 본체 및 노브홀더를 삭제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일부 구성과, 바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PC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바디 본체(100)와, 커버 본체(200)와, 케이스 본체(300)와,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와,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와,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와, 푸쉬 스위치 장치(700)를 포함한다.
바디 본체(100), 커버 본체(200) 및 케이스 본체(300)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디 본체(100)는 하측이 개구되고,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에는 커버 본체(200)가 삽입되어 바디 본체(100)에 결합된다.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커버 본체(200)가 삽입되면,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은 커버 본체(20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커버 본체(200) 위에 메인 PCB(인쇄회로기판; 800)가 결합된 후, 커버 본체(200)가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200)가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메인 PCB(800)는 바디 본체(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800)에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 및 푸쉬 스위치 장치(700)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 및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각각 바디 본체(100) 위에 설치된다.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가질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530)를 가질 수 있다. 휠 노브(530)가 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휠 노브(530)의 내측에 배치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 공간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되어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627A)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가질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바디 본체(10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바디 본체(100)에 2개가 설치된다.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푸쉬 버튼(710)을 가질 수 있다.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복수개의 푸쉬 버튼(710)과, 복수개의 푸쉬 버튼(710)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버튼 홀더(7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쉬 버튼(710)은 3개로 구비되고, 버튼 홀더(720)는 3개로 구비되어 버튼 홀더(720) 하나당 푸쉬 버튼(710)이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푸쉬 버튼(710)은 하부가 버튼 홀더(720)의 상측에서 버튼 홀더(7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버튼 홀더(720)와 결합될 수 있다.
버튼 홀더(720)는 바디 본체(10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설치부 내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푸쉬 버튼(710)의 상면이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버튼 홀더(72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 PCB(8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가 접점되는 경우 메인 PCB(800)는 스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포함되는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이미 공개된 것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 본체(300)는 바디 본체(100)의 상측을 덮으며 바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00)의 상측에는 휠 노브(530) 및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노출시키는 홀(310)과,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노출시키는 홀(320)과, 푸쉬 버튼(710)을 노출시키는 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재질은 크롬으로 형성된다. 즉,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 본체(100) 위에는 무드 링(900)이 설치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은 하단부가 바디 본체(100) 위에 형성된 링 삽입홈(미도시)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단부는 상기 링 삽입홈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휠 노브(5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은 메인 PCB(800)의 상면에 구비된 광원이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은 은은한 빛으로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휠 노브(530)의 위치를 인지시켜줌과 아울러, 스위치 장치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바디 본체(100) 위에는 무드 링 커버(950)가 결합될 수 있다. 무드 링 커버(950)는 무드 링(90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무드 링(900)의 외주면은 상하방향으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고, 무드 링 커버(950)는 단턱진 무드 링(9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의 상단은 무드 링 커버(950)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및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첫 번째로,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식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는, 정전식 터치패드(410)와, PCB(인쇄회로기판; 420)와, 케이스(430)와, 커버(440)와, 베이스(450)와, 메인 PCB(800)를 포함한다. 정전식 터치패드(410)와, PCB(인쇄회로기판; 420)와, 케이스(430)와, 커버(440)와, 베이스(450)와, 메인 PCB(800)는 바디 본체(1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케이스 본체(300) 내에 배치되되,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이 케이스 본체(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본체(100)에는 후술하는 힌지축(45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사용자에 의해 상면이 터치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셀이 격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격자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셀을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방향 및 터치형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상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중심의 상하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외측테두리의 상하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PCB(420)는 상면이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PCB(420)의 상면은 접착제를 통해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하면에 접착되어, 간단한 구조의 터치식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터치하는 터치신호는 PCB(420)로 입력될 수 있다.
PCB(420)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B(420)는 케이스(4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430)에 결합될 수 있다. PCB(420)는 직경이 케이스(43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430)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43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430)는 상하측이 각각 개구될 수 있다. 케이스(430)는 상기 개구된 상측이 정전식 터치패드(410)에 의해 덮혀져 차폐될 수 있다. 케이스(430)는 상기 개구된 하측이 커버(440)에 의해 덮혀져 차폐될 수 있다. 케이스(430)의 내부에는 PCB(420)가 삽입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 및 케이스(430)는 외경이 동일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케이스(43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케이스(430)의 내측에는 단턱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32)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32)는 케이스(430)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3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32)는 상면이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432)의 상면에는 PCB(420)가 안착될 수 있다.
커버(440)는 케이스(430)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케이스(430)의 개구된 하측을 덮을 수 있다. 커버(440)는 케이스(43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440)에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리브(447)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리브(447)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40)가 케이스(43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테두리 리브(447)는 단턱부(43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430)의 둘레면에는 후크홀(438)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40)의 둘레면에는 후크홀(43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돌기(448)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440)가 케이스(43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후크돌기(448)가 후크홀(438)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430) 및 커버(44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430)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445)가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45)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45)는 상기 모터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베이스(450)는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커버(44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50)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55)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455)은 정전식 터치패드(410) 및 케이스(43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50)는 힌지축(455)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베이스(450)는 힌지축(455)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445)가 작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면, 베이스(450)는 상기 진동에 의해 힌지축(455)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면서 사용자에게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가압하는 것에 대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베이스(450)의 하면에는 푸셔부(4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PCB(800)는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800)의 상면에는 스위치(85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850)는 베이스(450)가 힌지축(455)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푸셔부(451)에 의해 접점될 수 있다. 스위치(850)는 포스 스위치로 구비되어 푸셔부(451)가 가압하면 스위치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스위치(850)는 푸셔부(451)에 의해 접점되어 액츄에이터(44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커버(440) 및 베이스(45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커버(440) 및 베이스(450)는 탄성부재(47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베이스(450)가 액츄에이터(445)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 베이스(450)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베이스(450)를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47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470)는 4개로 구비된다. 4개의 탄성부재(470)는 평면상에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커버(440)의 하면에는 장착돌기부(4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부(441)는 베이스(450)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착돌기부(44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장착돌기부(441)는 탄성부재(47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인 4개로 구비된다. 4개의 장착돌기부(441)는 수평면상에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탄성부재(470)는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베이스(450)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장착돌기부(44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470)의 상단은 제1 스크류(401)를 통해 베이스(450)의 상면에 결합되고, 탄성부재(470)의 하단은 제2 스크류(402)를 통해 장착돌기부(44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50)의 상면에는 제1 스크류(401)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장착돌기부(441)의 하면에는 제2 스크류(402)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47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450)가 액츄에이터(445)의 수평방향 진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시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생성될 수 있다.
커버(440)의 하면에는 수용돌기부(4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돌기부(442)는 사각형상의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홀(443)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홀(443)에는 액츄에이터(445)가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450)에는 커버(440)에 형성된 수용돌기부(442)가 삽입되는 삽입홀(4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는, 베이스(45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455)을 구비하여, 힌지축(455)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445)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베이스(450)가 힌지축(455)을 회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45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푸셔부(451)가 스위치(850)를 접점시켜 액츄에이터(445)가 작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된다. 이 때, 베이스(450)는 상기 진동에 의해 힌지축(455)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피드백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위에서 기술한 수평방향은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가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하방향은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가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에 대해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다이얼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휠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휠 베이스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측면도로서, 휠 베이스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이너 휠 및 아우터 휠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대부분의 구성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이너 휠(510)과, 아우터 휠(520)과, 휠 노브(530)와, 휠 베이스(540)와, 메인 PCB(인쇄회로기판; 800)를 포함한다. 이너 휠(510)과, 아우터 휠(520)과, 휠 노브(530)와, 휠 베이스(540)는 바디 본체(1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케이스 본체(300) 내에 배치되되, 휠 노브(530)의 상측이 케이스 본체(30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300)의 상측으로 노출된 휠 노브(530)의 상측에 손을 대고 휠 노브(53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수 있다.
휠 노브(530)의 표면은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휠 노브(53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휠(510), 아우터 휠(520), 휠 노브(530) 및 휠 베이스(540)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 공간에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휠(510) 및 아우터 휠(520)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이너 휠(510)의 외주면 및 아우터 휠(520)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이너 휠(510)의 외주면 및 아우터 휠(520)의 내주면 사이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휠(510)은 아우터 휠(5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은 이너 휠(5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우터 휠(520)은 베어링(560)을 통해 이너 휠(5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어링(560)은 이너 휠(510)의 외주면 및 아우터 휠(52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아우터 휠(520)을 이너 휠(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이너 휠(510)의 외주면에 베어링(560)의 내륜이 결합되고, 아우터 휠(520)의 내주면에 베어링(560)의 외륜이 결합됨으로써, 아우터 휠(520)은 이너 휠(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휠 노브(530)는 사용자가 직접 손가락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부분으로서,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는 사용자가 휠 노브(53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손가락이 휠 노브(530)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휠 노브(530)는 이너 휠(510) 및 아우터 휠(520)의 상측을 덮으며 아우터 휠(52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은 상단부가 휠 노브(530)의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휠 노브(530)의 하면에는 아우터 휠(52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환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둘레면에는 결합돌기(521)가 형성되고, 휠 노브(530)의 둘레면에는 결합돌기(521)가 삽입되는 결합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상단부가 휠 노브(530)의 하면으로 삽입되면 결합돌기(521)는 결합홀(531)에 삽입됨으로써, 아우터 휠(520) 및 휠 노브(5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521)는 아우터 휠(520)의 상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홀(531)은 결합돌기(521)의 개수와 대응되어 휠 노브(53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하단부는 휠 노브(530)의 하면으로 삽입되지 않고, 휠 노브(53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하단부 하면에는 마그넷(570)이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하단부 하면에는 마그넷(570)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마그넷(570)에 반응하여 휠 노브(530) 및 아우터 휠(5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547)가 배치될 수 있다. 홀센서(547)는 휠 노브(530) 및 아우터 휠(5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여 메인 PCB(800)로 전달할 수 있고, 메인 PCB(800)는 홀센서(547)로부터 입력되는 휠 노브(530) 및 아우터 휠(5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 홀센서(547)는 휠 베이스(5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는 이너 휠(510) 및 아우터 휠(5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에는 이너 휠(51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하로 통하는 후크홀(541)이 형성되고, 이너 휠(510)에는 후크홀(541)에 삽입되는 후크부(511)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511)는 후크홀(541)에 상하로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어 이너 휠(510)을 휠 베이스(54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휠 베이스(540)의 하면에는 푸셔부(5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휠 노브(530)가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시, 이너 휠(510)은 후크부(511)를 회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후크부(511)가 형성된 부분의 하면이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너 휠(510)의 하면이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 접촉된 후 휠 베이스(540)는 이너 휠(51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가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푸셔부(542)는 후술하는 스위치(860)를 접점시킬 수 있다.
휠 노브(530)가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시, 이너 휠(510)은 후크부(511)가 형성된 부분의 하면이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후크홀(541) 및 푸셔부(542)는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푸셔부(542)는 사용자의 하측방향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860)를 접점시킬 수 있다.
후크홀(541)은 휠 베이스(540)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4개로 구비되고, 후크부(511)는 4개의 후크홀(541)에 각각 삽입되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사용자가 휠 노브(530)의 상면 중 4개의 후크부(511)와 각각 대응되는 4개의 지점에서 푸쉬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메인 PCB(800)는 휠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된다. 메인 PCB(800)의 상면에는 스위치(860)가 구비된다. 스위치(860)는 휠 노브(530)가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시 푸셔부(542)에 의해 접점되고, 메인 PCB(800)는 스위치(860)가 접점되면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
휠 베이스(540)에는 상면에 수용홈(544)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544)에는 탄성부재(546)와 지지부재(545)가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546)는 지지부재(545)의 하측에 배치되어 지지부재(545)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45)는 탄성부재(546)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수용홈(544)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45)는 상단이 수용홈(544)을 통해 휠 베이스(54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이너 휠(510)의 하면에 접촉됨으로써, 이너 휠(51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545)는 하단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용홈(544) 내에서 걸림됨으로써, 수용홈(544)을 통해 휠 베이스(540)의 상측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휠 노브(530)의 상면이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될 시 하측으로 이동되는 이너 휠(510)과 함께 지지부재(545)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546)는 압착되어 지지부재(545)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휠 노브(530)의 상면을 가압하는 사용자의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이너 휠(510)은 탄성부재(546)의 탄성력 및 지지부재(545)에 의해 다시 원위치인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에는 지지부재(545) 및 탄성부재(546)가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545) 및 탄성부재(546)는 각각 4개로 구비된다. 지지부재(545)는 두개의 후크홀(541) 사이에 배치된다. 후크홀(541)은 두개의 지지부재(545)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아우터 휠(52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527) 및 홈(528)이 교번 형성되고, 이너 휠(510)에는 디텐트(580)와, 디텐트(580)를 탄성지지하는 디텐트 탄성부재(585)가 설치될 수 있다. 디텐트(580)는 디텐트 탄성부재(585)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527) 및 홈(528)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디텐트(580)는 아우터 휠(52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 돌기(527) 및 홈(528)을 타고 넘으면서 발생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진동에 의해 휠 노브(530)를 회전 조작하는 작동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전체적인 형상이 환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 공간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를 설치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에 대해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수분이 흐르는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도 13에서 바디 본체 및 노브홀더를 삭제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일부 구성과, 바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PC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스위치 바디(10)와, 스위치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포함한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는 적어도 외주면이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의 내부에는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 800)가 구비되고, 메인 PCB에(800)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870)가 장착될 수 있다. 센서(870)는 포토센서일 수 있다. 상기 포토센서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메인 PCB(800)는 상기 검출된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켜서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0)는 바디 본체(100)와 노브 홀더(6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본체(100)의 상측면에는 상단이 개구된 설치부(100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100A)의 개구된 상단은 메인 PCB(800)와 연통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는 설치부(100A)의 외측에서 설치부(100A)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설치부(100A)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는 설치부(100A)의 개구된 상단 및 설치부(100A)의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노브 홀더(612)가 설치부(100A)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함으로써, 외부의 수분이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타고 메인 PCB(8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 홀더(612)는 설치부(100A)의 상단을 덮는 상면부(612A)와, 상면부(612A)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부(100A)의 측면 일부를 덮는 측면부(612B)와, 측면부(612B)의 내측에서 이격되고 상면부(612A)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부(100A)의 내부로 삽입되는 푸셔부(612C)를 포함할 수 있다. 설치부(100A)의 상단은 측면부(612B) 및 푸셔부(612C)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는 바디 본체(100)에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푸셔부(612C)의 외측면에는 노브 홀더(61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설치부(100A)의 내측면에는 다른 하나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노브 홀더(61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회전시켜서 모니터 상의 커서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키거나, 원하는 메뉴를 모니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니터 상의 커가 원하는 메뉴에 위치하거나, 원하는 메뉴가 모니터 상에 표시되면,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사용자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노브 홀더(612)는 바디 본체(10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브 홀더(61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노브 홀더(612)의 푸셔부(612C)는 메인 PCB(800)에 구비된 스위치(880)를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880)가 푸셔부(612C)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메인 PCB(800)는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뉴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노브 홀더(612)의 상측면에는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는 상면부(612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의 이격된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는 반경방향으로의 일부가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의 일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면상,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상부는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는 각각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는 축방향의 개구된 일측이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이 외측면을 타고 흘러 내린 수분은,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의 이격된 사이를 통해, 제1 삽입리브(612F) 및 제2 삽입리브(612G)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면부(612A)의 상면으로 흘러내린 후, 측면부(612B) 및 설치부(100A)의 외측면을 타고 바디 본체(100)의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제1 삽입리브(612F)의 상단에는 제1 결합리브(612D)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삽입리브(612G)의 상단에는 제2 결합리브(612E)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에는 회전축(627A)이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627A)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축방향으로의 적어도 일면에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612D) 및 제2 결합리브(612E)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축(627A)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리브(612D) 및 제2 결합리브(612E)에는 각각 상측이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회전축(627A)은 제1 결합리브(612D) 및 제2 결합리브(612E) 각각의 상측에서 개구된 홀을 통해 개구된 홀 내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는 회전축(627A)을 통해 제2 결합리브(612E)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위치 바디(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는 회전축(627A)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627A)에는 노브기어(629)가 설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의 푸셔부(612C)에는 센서축(63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627A) 및 센서축(63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축(630)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푸셔부(612C)의 내부에는 제3 결합리브(612L) 및 제4 결합리브(612M)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서축(630)은 제3 결합리브(612L) 및 제4 결합리브(612M)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결합리브(612L) 및 제4 결합리브(612M)에는 각각 하측이 개구된 홀이 형성되어, 센서축(630)은 제3 결합리브(612L) 및 제4 결합리브(612M) 각각의 하측에서 개구된 홀을 통해 개구된 홀 내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설치부(100A)에는 센서축(630)이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센서축(630)은 설치부(100A)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되고, 설치부(100A)의 외부에 나머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가 상하로 직선 이동될 시, 센서축(630)이 노브 홀더(612)와 함께 상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센서축(630)이 관통하는 설치부(100A)에 형성된 상기 홀은 상하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센서축(630) 중 설치부(100A)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내부 삽입부에는 상기 포토센서가 검출하는 검출부(635)가 형성될 수 있다. 검출부(635)에는 홀(636)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센서축(63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센서(870)는 검출부(635)에 형성된 홀(636) 및 홀(636)이 아닌 부분을 차례로 검출하여 검출부(635)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결국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센서(870)는 센서축(63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시 검출부(635)의 원주방향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고, 스위치(880)는 노브 홀더(612)가 직선 이동시 푸셔부(612C)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센서축(630) 중 설치부(100A)의 외부에 돌출 배치되는 돌출부에는 제1 기어(6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631)는 노브 홀더(61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631)는 노브기어(629)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의 외측면에는 제2 기어(6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어(632)의 일면의 중심에는 축부(6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노브 홀더(612)의 측면부(612B) 및 푸셔부(612C)에는 축부(633)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홀(612H)이 형성될 수 있고, 푸셔부(612C)의 내부에는 축부(6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리브는 제1 내지 4 결합리브(612D,612E,612L,612M)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축부(633)가 홀(612H)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리브를 통해 노브 홀더(6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 기어(632)는 노브 홀더(61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632)는 노브기어(629) 및 제1 기어(631) 사이에 배치되어, 노브기어(629) 및 제1 기어(631)에 각각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가 회전되면 센서축(630)은 회전될 수 있다. 제2 기어(632)의 직경은 노브기어(629)의 직경 및 제1 기어(6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632)의 직경이 노브기어(629)의 직경 및 제1 기어(6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각도를 크게 회전시켜야 센서축(630)이 회전되므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정밀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하나의 메인 PCB(800)에 센서(870) 및 스위치(88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회전시키면 센서축(630)의 검출부(635)가 회전되는 것을 센서(870)가 감지하여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가압하면 노브 홀더(612)가 직선 이동되어 스위치(880)를 접점시키기 때문에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가 가압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노브 홀더(612)가 설치부(100A)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기 때문에, 외부의 수분이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타고 흘러 내린 후, 바디 본체(100) 및 노브 홀더(612) 사이의 틈을 통해 메인 PCB(8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본체 100A : 설치부
200 : 커버 본체 300 : 케이스 본체
310,320,330 : 홀 400 : 터치식 스위치 장치
410 : 정전식 터치패드 420 : PCB
430 : 케이스 440 : 커버
441 : 장착돌기부 442 : 수용돌기부
445 : 액츄에이터 450 : 베이스
451 : 푸셔부 452 : 삽입홀
455 : 힌지축 470 : 탄성부재
500 : 다이얼 스위치 장치 510 : 이너 휠
511 : 후크부 520 : 아우터 휠
527 : 돌기 528 : 홈
530 : 휠 노브 540 : 휠 베이스
541 : 후크홀 542 : 푸셔부
544 : 수용홈 545 : 지지부재
546 : 탄성부재 547 : 홀센서
560 : 베어링 570 : 마그넷
580 : 디텐트 585 : 디텐트 탄성부재
600 : 스크롤 스위치 장치 612 : 노브 홀더
612A : 상면부 612B : 측면부
612C : 푸셔부 612D : 제1 결합리브
612E : 제2 결합리브 612F : 제1 삽입리브
612G : 제2 삽입리브 620 : 스크롤 스위치 노브
627A : 회전축 629 : 노브기어
630 : 센서축 631 : 제1 기어
632 : 제2 기어 635 : 검출부
700 : 푸쉬 스위치 장치 710 : 푸쉬 버튼
800 : 메인 PCB 850,860,880 : 스위치
870 : 센서 900 : 무드 링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측이 개구되는 바디 본체;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를 가지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가지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
    상기 커버 본체 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 및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메인 PCB; 및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휠 노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
    상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이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PCB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을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켜서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장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장착돌기부의 하면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수용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케이스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0. 하측이 개구되는 바디 본체;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를 가지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가지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
    상기 커버 본체 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 및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메인 PCB; 및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휠 노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환형의 이너 휠;
    상기 이너 휠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휠 노브가 결합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 및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휠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환형의 휠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휠 노브는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상측을 덮고,
    상기 휠 노브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상기 푸셔부는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휠의 하면에는 마그넷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휠 베이스에는 상기 마그넷에 반응하여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아우터 휠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센서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휠 베이스에는 상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수용홈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휠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 휠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휠 베이스의 상면에는 상하로 통하는 후크홀이 상기 푸셔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휠에는 상기 후크홀에 삽입되어, 상기 이너 휠을 상기 휠 베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부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휠 노브가 하측으로 가압될 시, 상기 이너 휠은 상기 후크부를 회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휠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돌기 및 홈이 교번 형성되고,
    상기 이너 휠에는, 상기 아우터 휠이 원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돌기 및 홈을 타고 넘는 디텐트와, 상기 디텐트를 탄성지지하는 디텐트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너 휠의 외주면 및 상기 아우터 휠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휠을 상기 이너 휠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7. 하측이 개구되는 바디 본체;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를 가지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가지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
    상기 커버 본체 위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 및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되는 메인 PCB; 및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휠 노브 및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휠 노브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본체 위에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가지는 스크롤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더 입력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를 노출시키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크롤 스위치 장치는,
    상기 바디 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설치부의 외측에서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을 차폐하며 상기 설치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푸셔부를 가지며,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브 홀더; 및
    상기 노브 홀더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바디 본체 내로 삽입되는 부분에 검출부를 가지는 센서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에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센서축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검출부의 원주방향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노브 홀더가 직선 이동시 상기 푸셔부에 의해 접점되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노브 홀더는,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설치부의 측면 일부를 덮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부는,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상면부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설치부의 개구된 상단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푸셔부의 이격된 사이로 삽입 배치되고,
    상기 상면부에는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삽입리브 및 제2 삽입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의 이격된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은,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에 각각 형성된 결합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스위치 노브는 반경방향으로의 일부가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는 각각 축방향의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리브 및 상기 제2 삽입리브는 상기 개구된 일측이 서로 대향 배치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에는 상기 노브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노브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축에는 노브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상기 노브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기어 및 상기 제1 기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노브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에 치합하고, 상기 노브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노브 홀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180030348A 2018-03-07 2018-03-15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8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48A KR101986124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EP18909131.7A EP3780050A4 (en) 2018-03-07 2018-08-28 AUTOMOTIVE SWITCHING DEVICE
PCT/KR2018/009903 WO2019172495A1 (ko) 2018-03-07 2018-08-28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N201880093286.9A CN112889124A (zh) 2018-03-07 2018-08-28 汽车开关装置
US16/979,025 US11462373B2 (en) 2018-03-07 2018-08-28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48A KR101986124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24B1 true KR101986124B1 (ko) 2019-06-05

Family

ID=6684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348A KR101986124B1 (ko) 2018-03-07 2018-03-15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92781A (zh) * 2020-01-09 2020-05-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操作组件及家用电器
KR20210036619A (ko) *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회전스위치 장치
KR20220002368U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3000024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회전 스위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83B1 (ko) * 2013-06-12 2014-10-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햅틱 기술을 이용한 다기능 복합 스위치 및 그 피드백 제어 방법
KR20160035382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336A (ko) * 2015-10-06 2017-04-17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KR101773032B1 (ko) * 2016-09-01 2017-08-3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1781345B1 (ko) * 2016-05-09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83B1 (ko) * 2013-06-12 2014-10-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햅틱 기술을 이용한 다기능 복합 스위치 및 그 피드백 제어 방법
KR20160035382A (ko) * 2014-09-23 2016-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얼 조작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336A (ko) * 2015-10-06 2017-04-17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스크롤 푸시 스위치 모듈
KR101781345B1 (ko) * 2016-05-09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773032B1 (ko) * 2016-09-01 2017-08-3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619A (ko) *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회전스위치 장치
KR102282591B1 (ko) * 2019-09-26 2021-07-28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회전스위치 장치
CN111192781A (zh) * 2020-01-09 2020-05-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操作组件及家用电器
CN111192781B (zh) * 2020-01-09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操作组件及家用电器
KR20220002368U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0496689Y1 (ko) 2021-03-26 2023-04-04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230000245A (ko) *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회전 스위치
KR102550065B1 (ko) * 2021-06-24 2023-06-30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차량용 회전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4175007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EP1693872B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US20130220779A1 (en) Rotary pushbutton and touchpad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otary movement, axial displacement and touchpad gestures
KR101881339B1 (ko)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075335B2 (ja) 電子機器
KR1019770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19029358A (ja) 直動軸受により案内されるタッチパッド
US11462373B2 (en)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WO2012107443A1 (en) Joystick input device
KR20080008844A (ko) 박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20150325392A1 (en) Operating switch
JP4544323B2 (ja) 回転操作型入力装置
KR10216148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3996144B2 (ja) 2段スイッチユニット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CN113168987A (zh) 输入装置
JP2007042489A (ja) スイッチ装置
KR10200716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190041789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16930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705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062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4399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