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30B1 -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30B1
KR102016930B1 KR1020180083809A KR20180083809A KR102016930B1 KR 102016930 B1 KR102016930 B1 KR 102016930B1 KR 1020180083809 A KR1020180083809 A KR 1020180083809A KR 20180083809 A KR20180083809 A KR 20180083809A KR 102016930 B1 KR102016930 B1 KR 10201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witch device
pcb
insertion groov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8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휠 노브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를 구비한 PCB가, 메인 PCB에 구비된 소켓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내측에 입력부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설치리브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바디 본체와, 상기 입력부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설치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환형의 이너 휠과, 상기 이너 휠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마그넷이 설치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과,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아우터 휠에 결합되는 환형의 휠 노브와, 상기 이너 휠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휠 노브를 하측으로 가압할 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가 상면에 구비되며 소켓이 상면에 구비된 메인 PCB와, 상기 바디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단은 상기 소켓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아우터 휠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넷에 반응하여 상기 휠 노브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 센서가 구비되는 PCB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위치 장치가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의 종류로는 스위치 신호 입력부에 구비된 노브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상기 노브가 사용자의 푸쉬 동작으로 직선이동되어 직선이동량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푸쉬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소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각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 스위치 장치가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회전 스위치 장치는 노브의 모양에 따라 다이얼 스위치 장치, 조이스틱 스위치 장치 및 스크롤 스위치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치 장치들은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방식이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는 기구적인 입력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작동되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구성인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터치신호가 입력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스위치 장치들이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되어 다 기능의 통합 스위치 장치를 이루기도 한다. 상기 스위치 장치들이 하나의 바디 본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장치들 각각에는 사용자의 노브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가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PCB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메인 PCB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PCB는 자동차에 구비된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PCB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노브 조작신호에 따라 스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각각의 PCB가 상기 메인 PCB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을 상기 각각의 PCB 및 상기 메인 PCB에 조립하는 공정이 복잡해지고, 상기 케이블로 인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PCB 및 상기 메인 PCB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되고, 상기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각각의 PCB 및 상기 메인 PCB로 수분이 유입될 경우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휠 노브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를 구비한 PCB가, 메인 PCB에 구비된 소켓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PCB 및 상기 메인 PCB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디 본체 내로 유입된 수분을 배수할 수 있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내측에 입력부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설치리브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바디 본체와, 상기 입력부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설치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환형의 이너 휠과, 상기 이너 휠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마그넷이 설치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과,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아우터 휠에 결합되는 환형의 휠 노브와, 상기 이너 휠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휠 노브를 하측으로 가압할 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가 상면에 구비되며 소켓이 상면에 구비된 메인 PCB와, 상기 바디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단은 상기 소켓에 삽입되고 상단은 상기 아우터 휠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넷에 반응하여 상기 휠 노브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 센서가 구비되는 PCB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디 본체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설치리브의 둘레를 감싸고 내측에 링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설치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링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휠 노브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드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드 링에는 상기 PCB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입력부 삽입홈 내로 연장되는 커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본체는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덮으며,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 삽입홈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1 배수리브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2 배수리브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아우터 휠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휠을 상기 이너 휠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삽입홈 내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휠 노브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를 구비한 PCB가, 메인 PCB에 구비된 소켓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PCB 및 상기 메인 PCB를 회로 연결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인 PCB에 구비된 광원의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드 링에, 상기 PCB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가 입력부 삽입홈 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 노브를 타고 흐르는 수분이 상기 PCB 및 상기 메인 PC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바디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 삽입홈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1 배수리브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커버 본체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2 배수리브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부 삽입홈 내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제1 배수홀 및 상기 제2 배수홀을 통해 상기 바디 본체의 외부로 배수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케이스 본체를 제외하고, 터치식 스위치 장치 및 다이얼 스위치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전식 터치패드, 휠 노브, 아우터 휠 및 휠 베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디 본체, 메인 PCB 및 커버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케이스 본체를 제외하고, 터치식 스위치 장치 및 다이얼 스위치 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전식 터치패드, 휠 노브, 아우터 휠 및 휠 베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바디 본체, 메인 PCB 및 커버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바디 본체(100)와, 커버 본체(200)와, 케이스 본체(300)와,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와,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와,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와, 푸쉬 스위치 장치(700)를 포함한다.
바디 본체(100), 커버 본체(200) 및 케이스 본체(300)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디 본체(100)는 하측이 개구되고,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에는 커버 본체(200)가 삽입되어 바디 본체(100)에 결합된다.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커버 본체(200)가 삽입되면,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은 커버 본체(200)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커버 본체(200) 위에 메인 PCB(인쇄회로기판; 800)가 결합된 후, 커버 본체(200)가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200)가 바디 본체(10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메인 PCB(800)는 바디 본체(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800)에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 및 푸쉬 스위치 장치(700)로부터 스위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 및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각각 바디 본체(100) 위에 설치된다.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가질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환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의 휠 노브(530)를 가질 수 있다. 휠 노브(530)가 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휠 노브(530)의 내측에 배치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 공간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되어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휠 노브(530)는 정정식 터치패드(410)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627A)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가질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바디 본체(100)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스크롤 스위치 장치(600)는 바디 본체(100)에 2개가 설치된다.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푸쉬 버튼(710)을 가질 수 있다.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복수개의 푸쉬 버튼(710)과, 복수개의 푸쉬 버튼(710)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버튼 홀더(7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푸쉬 버튼(710)은 3개로 구비되고, 버튼 홀더(720)는 3개로 구비되어 버튼 홀더(720) 하나당 푸쉬 버튼(710)이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푸쉬 버튼(710)은 하부가 버튼 홀더(720)의 상측에서 버튼 홀더(720)의 내부로 삽입되어 버튼 홀더(720)와 결합될 수 있다.
버튼 홀더(720)는 바디 본체(100)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설치부 내로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푸쉬 버튼(710)의 상면이 사용자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버튼 홀더(720)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메인 PCB(8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가 접점되는 경우 메인 PCB(800)는 스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포함되는 푸쉬 스위치 장치(700)는 이미 공개된 것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 본체(300)는 바디 본체(100)의 상측을 덮으며 바디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00)의 상측에는 휠 노브(530) 및 정전식 터치패드(410)를 노출시키는 홀(310)과,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를 노출시키는 홀(320)과, 푸쉬 버튼(710)을 노출시키는 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금속재질은 크롬으로 형성된다. 즉,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휠 노브(530)의 표면은 케이스 본체(300)의 표면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휠 노브(53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표면은 케이스 본체(300)이 표면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크롤 스위치 노브(620)의 표면은 크롬이 도금되어, 대략 은빛이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바디 본체(100)에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및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가 설치되는 부분에 배수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조에 대해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바디 본체(100)의 상면에는 제1 설치리브(110) 및 제2 설치리브(120)가 각각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설치리브(110) 및 제2 설치리브(120)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제2 설치리브(120)는 제1 설치리브(11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제1 설치리브(11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설치리브(110)는 내측에 입력부 삽입홈(130)을 형성한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하부 및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의 하부는 입력부 삽입홈(130)에 삽입되어 바디 본체(100)에 설치된다. 메인 PCB(800)는 바디 본체(100) 내에 배치되어,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및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로부터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인 PCB(800)에는 휠 노브(530)를 하측으로 가압할 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830)가 상면에 구비된다. 스위치(830)는 메인 PCB(800)의 상면에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830)는 메인 PCB(800)의 상면에 휠 노브(530)의 회전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4개가 구비되어서,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4방향의 푸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PCB(800)에는 PCB(890)와 연결되는 소켓(810)이 상면에 구비된다. 소켓(810)에는 PCB(890)의 회로접속부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 내에는 상기 회로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가 인쇄되어 있어서, 상기 회로접속부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PCB(890)에 인쇄된 회로는 메인 PCB(800)에 인쇄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디 본체(100)에는 제1 배수리브(145)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배수리브(145)는 입력부 삽입홈(13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140)을 내측에 형성한다. 그리고, 메인 PCB(800)에는 제1 배수리브(145)가 관통하는 관통홀(8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본체(200)에는 제2 배수리브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배수리브(245)는 제1 배수리브(145)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240)을 내측에 형성한다. 제1 배수리브(145), 관통홀(801) 및 제2 배수리브(245)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및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의 상측을 통해 입력부 삽입홈(130) 내로 유입된 수분은, 입력부 삽입홈(1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배수홀(140)과, 커버 본체(200)에 형성된 제2 배수홀(240)을 통과하여, 커버 본체(200)의 하측을 통해 커버 본체(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구조를 통해 메인 PCB(800)에는 수분이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배수리브(245)는 메인 PCB(80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배수리브(245)의 상단은 메인 PCB(80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는 이너 휠(510)과, 아우터 휠(520)과, 베어링(560)과, 휠 베이스(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휠(510), 아우터 휠(520), 베어링(560) 및 휠 베이스(540)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휠 노브(530), 이너 휠(510), 아우터 휠(520) 및 휠 베이스(540) 모두 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은 이너 휠(510)의 외주를 둘러싸서, 이너 휠(510)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배치된다. 아우터 휠(520)은 베어링(560)을 통해 이너 휠(510)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560)은 아우터 휠(520)을 이너 휠(5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베어링(560)의 내륜이 이너 휠(510)에 결합되고, 베어링(560)의 외륜이 아우터 휠(520)에 결합됨으로써, 베어링(560)은 아우터 휠(520)을 이너 휠(5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휠 베이스(540)는 이너 휠(510) 및 아우터 휠(5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는 입력부 삽입홈(130) 내에 삽입되어 바디 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휠 베이스(540)에는 이너 휠(510)이 고정 설치되거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휠(520)의 하부에는 마그넷(570)이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넷(570)은 아우터 휠(520)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 본체(100)에는 휠 노브(530)의 회전시 마그넷(570)을 검출하는 홀 센서(895)가 구비된 PCB(890)가 설치될 수 있다. 홀 센서(895)는 휠 노브(530)의 회전시 마그넷(570)에 반응하여 휠 노브(530)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메인 PCB(800)는 휠 노브(53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PCB(890)는 바디 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는 소켓(810)에 삽입되고, 상부는 아우터 휠(520)로 삽입된다. 홀 센서(895)는 PCB(890)의 상부 중 마그넷(570)과 대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무드 링(900)에는 PCB(890)의 상부를 덮으며 입력부 삽입홈(130) 내로 연장되는 커버부(905)가 형성된다. 커버부(905)는 PCB(890)의 상부를 덮어서, 휠 노브(530) 및 정전식 터치패드(410) 사이와, 휠 노브(530) 및 무드 링(900) 사이로 침투한 수분이 PCB(89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는, PCB(420)와, 케이스(430)와, 커버(440)와, 베이스(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CB(420)는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격자형태의 복수의 센싱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터치한 채로 상기 복수의 센싱 셀을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방향 및 터치 길이를 알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터치하는 터치 신호는 PCB(420)로 입력될 수 있다.
케이스(430)는 상하면이 각각 개구될 수 있다. PCB(420)는 케이스(43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케이스(4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4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PCB(420)가 케이스(430)의 내부로 수용되면, PCB(420)는 케이스(4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안착되고, 정전식 터치패드(410)는 케이스(430)의 개구된 상면을 덮으며 케이스(43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440)는 케이스(430)의 개구된 하면을 덮으며 케이스(43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440)는 상부가 케이스(4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커버(440)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445)가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45)는 작동시 진동될 수 있다. 커버(440)는 액츄에이터(445)의 진동에 의해 액츄에이터(445)와 함께 진동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45)는 수평으로 진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수직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450)는 커버(4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입력부 삽입홈(13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450)에는 커버(440)가 상기 진동에 의해 흔들릴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440)는 판스프링(미도시)을 통해 베이스(45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진동에 의해 흔들릴 수 있다.
베이스(450)에는 힌지축(455)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455)은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베이스(450)는 힌지축(455)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베이스(450)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푸셔부(미도시)가 메인 PCB(80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접점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445)가 작동되어 진동을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진동에 의해 사용자는 피드백을 느낄 수 있다.
힌지축(455)은 베이스(450)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브릿지(456)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455)은 브릿지(456)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455)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456)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브릿지(456)는 두 개가 형성된다. 브릿지(456)는 베이스(450) 및 힌지축(455)을 연결할 수 있다.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휠 베이스(540)에는 브릿지(456)가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549)이 형성될 수 있고, 힌지축(455)은 휠 베이스(5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설치리브(120)는 내측에 링 삽입홈(150)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본체(100)의 상면에는 무드 링(900)이 설치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은 하부가 바디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링 삽입홈(150)에 삽입되고, 상부는 링 삽입홈(15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외주를 둘러쌀 수 있다. 무드 링(900)의 상부는 휠 노브(53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은 메인 PCB(800)의 상면에 구비된 광원(840)이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될 수 있다. 광원(840)은 무드 링(900)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무드 링(9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무드 링(900)은 복수의 광원(840)이 생성한 빛에 의해 은은한 빛으로 발광되어, 사용자에게 휠 노브(530)의 위치를 인지시켜줌과 아울러, 스위치 장치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바디 본체(100) 위에는 무드 링 커버(950)가 결합될 수 있다. 무드 링 커버(950)는 무드 링(900)의 외주를 감쌀 수 있다. 무드 링(900)의 외주면은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고, 무드 링 커버(950)는 단차진 무드 링(900)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무드 링(900)의 상단은 무드 링 커버(950)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 배치되어, 케이스 본체(300)에 의해 둘레가 감싸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바디 본체(100)에 제1 배수리브(145)가 형성되고, 메인 PCB(800)에 관통홀(801)이 형성되며, 커버 본체(200)에 제2 배수리브(245)가 형성된다. 제1 배수리브(145)는 관통홀(801)을 관통하여 제2 배수리브(245)에 삽입된다. 제1 배수리브(145)는 입력부 삽입홈(13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140)을 내측에 형성하고, 제2 배수리브(245)는 제1 배수리브(145)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240)을 내측에 형성한다. 따라서,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 및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를 통해 입력부 삽입홈(130) 내로 수분이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수분은 제1 배수홀(140) 및 제2 배수홀(240)을 통해 커버 본체(200)의 하측으로 배출되므로, 바디 본체(100) 중 메인 PCB(800)의 둘레 외측으로 배수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바디 본체(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휠 노브(53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의 정전식 터치패드(410)의 외주를 둘러싼다. 따라서,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의 내측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가 설치되게 되므로, 바디 본체(100)에 터치식 스위치 장치(400) 및 다이얼 스위치 장치(5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축소할 수 있어서, 바디 본체(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휠 노브(530)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895)를 구비한 PCB(890)가, 메인 PCB(800)에 구비된 소켓(810)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PCB(890) 및 메인 PCB(800)를 회로 연결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PCB(800)에 구비된 광원(840)의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드 링(900)에, PCB(89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905)가 입력부 삽입홈(130) 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 노브(530)를 타고 흐르는 수분이 PCB(890) 및 메인 PCB(8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 본체(100)에는 입력부 삽입홈(130)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140)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1 배수리브(145)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메인 PCB(800)에는 제1 배수리브(145)가 관통하는 관통홀(801)이 형성되며, 커버 본체(200)에는 제1 배수리브(145)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240)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2 배수리브(245)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부 삽입홈(130) 내로 유입된 수분이 제1 배수홀(140) 및 제2 배수홀(240)을 통해 바디 본체(100)의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본체 110 : 제1 설치리브
120 : 제2 설치리브 130 : 입력부 삽입홈
140 : 제1 배수홀 145 : 제1 배수리브
150 : 링 삽입홈 200 : 커버 본체
240 : 제2 배수홀 245 : 제2 배수리브
400 : 터치식 스위치 장치 410 : 정전식 터치패드
500 : 다이얼 스위치 장치 510 : 이너 휠
520 : 아우터 휠 530 : 휠 노브
540 : 베이스 560 : 베어링
570 : 마그넷 800 : 메인 PCB
801 : 관통홀 810 : 소켓
830 : 스위치 840 : 광원
890 : PCB 895 : 홀 센서
900 : 무드 링 905 : 커버부

Claims (6)

  1. 내측에 입력부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 설치리브가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바디 본체; 및
    상기 입력부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바디 본체에 설치되는 다이얼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는,
    환형의 이너 휠;
    상기 이너 휠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마그넷이 설치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
    상기 이너 휠 및 상기 아우터 휠의 상측을 덮으며 상기 아우터 휠에 결합되는 환형의 휠 노브; 및
    상기 이너 휠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휠 노브를 하측으로 가압할 시 스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가 상면에 구비되며, 소켓이 상면에 구비된 메인 PCB; 및
    상기 바디 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는 상기 소켓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아우터 휠로 삽입되며, 상기 상부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넷에 반응하여 상기 휠 노브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홀 센서가 구비되는 PC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PCB의 상면에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디 본체에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설치리브의 둘레를 감싸고 내측에 링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 설치리브가 더 형성되며,
    상기 링 삽입홈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휠 노브의 외주를 감싸며,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에 의해 발광하는 무드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드 링에는 상기 PCB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입력부 삽입홈 내로 연장되는 커버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 본체는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디 본체의 개구된 하면을 덮으며, 상기 바디 본체에 결합되는 커버 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 본체에는 상기 입력부 삽입홈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1 배수리브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메인 PCB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본체에는 상기 제1 배수리브가 삽입되는 제2 배수홀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2 배수리브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아우터 휠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설치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휠을 상기 이너 휠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삽입홈 내로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다이얼 스위치 장치의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180083809A 2018-07-19 2018-07-1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1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09A KR102016930B1 (ko) 2018-07-19 2018-07-1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09A KR102016930B1 (ko) 2018-07-19 2018-07-1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930B1 true KR102016930B1 (ko) 2019-09-02

Family

ID=6795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09A KR102016930B1 (ko) 2018-07-19 2018-07-1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090A (ja) * 2007-01-19 2008-07-31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KR20090107681A (ko) * 2008-04-10 200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KR20090107684A (ko) * 2008-04-10 200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KR101773032B1 (ko) * 2016-09-01 2017-08-3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KR101781345B1 (ko) * 2016-05-09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090A (ja) * 2007-01-19 2008-07-31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KR20090107681A (ko) * 2008-04-10 200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KR20090107684A (ko) * 2008-04-10 2009-10-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
KR101781345B1 (ko) * 2016-05-09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773032B1 (ko) * 2016-09-01 2017-08-30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2642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70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16930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11424086B2 (en)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mber
WO2014024394A1 (ja) 操作スイッチ
KR10200716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JP4608385B2 (ja) スイッチ装置
JP3996144B2 (ja) 2段スイッチユニット
US11462373B2 (en)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KR101155208B1 (ko) 컴포지트 스위치 유니트
KR102007169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190041789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20180106001A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95806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4399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705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01256863A (ja)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KR100783470B1 (ko) 모바일 기기
KR102354403B1 (ko) 글라스 타입의 터치패드 다이얼
KR101155226B1 (ko) 스위치 유니트
JP2019050116A (ja) スイッチ装置
KR1020062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