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99B1 -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99B1
KR101974399B1 KR1020180028221A KR20180028221A KR101974399B1 KR 101974399 B1 KR101974399 B1 KR 101974399B1 KR 1020180028221 A KR1020180028221 A KR 1020180028221A KR 20180028221 A KR20180028221 A KR 20180028221A KR 101974399 B1 KR101974399 B1 KR 10197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base
case
electrostatic touch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8002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99B1/ko
Priority to CN201880093286.9A priority patent/CN112889124A/zh
Priority to US16/979,025 priority patent/US11462373B2/en
Priority to PCT/KR2018/009903 priority patent/WO2019172495A1/ko
Priority to EP18909131.7A priority patent/EP3780050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01H25/065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using separate operating parts, e.g. a push button surrounded by a rotating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push-button-operated, e.g. for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정전식 터치패드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 시, 액츄에이터 작동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푸셔부를 가지는 베이스가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액츄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상면이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패드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상기 PCB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에 상면이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스위치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스위치의 종류로는 스위치 신호 입력부에 구비된 노브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상기 노브가 사용자의 푸쉬 동작으로 직선이동되어 직선이동량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푸쉬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수평으로 배치된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소 스위치 장치와,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각에 따라 상이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전 스위치 장치가 대표적이다.
또한, 상기 회전 스위치 장치는 노브의 모양에 따라 다이얼 스위치 장치, 조이스틱 스위치 장치 및 스크롤 스위치 장치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위치 장치들은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방식이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는 기구적인 입력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작동되는 터치식 스위치 장치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구성인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하는데,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어 터치신호가 입력된다.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격자형태의 패턴들이 포함된다.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패턴들을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식 스위치 장치에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인쇄회로기판)가 더 포함된다.
그런데,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PCB는 서로 분리되어 별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PCB가 설치되는 케이스 또는 하우징에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에 형성된 상기 패턴과 상기 PCB에 형성된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위한 도금부를 형성하고, 상기 PCB에는 상기 도금부와 연결되기 위한 전도체인 클립을 설치하여야 하였으므로, 구조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정전식 터치패드에 PCB가 직접 접착되어 구조가 간단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할 시, 액츄에이터 작동 스위치를 접점시키는 푸셔부를 가지는 베이스가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액츄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상면이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패드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상기 PCB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에 상면이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된다.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이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PCB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을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내부에는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액츄에이터가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상기 푸셔부에 의해 접점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메인 PC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 상기 베이스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장착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장착돌기부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수용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케이스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PCB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에 상면이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베이스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푸셔부가 스위치를 접점시켜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정전식 터치패드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피드백을 느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메인 PCB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정전식 터치패드(10)와, PCB(인쇄회로기판; 20)와, 케이스(30)와, 커버(40)와, 베이스(50)와, 메인 PCB(60)를 포함한다. 정전식 터치패드(10)와, PCB(인쇄회로기판; 20)와, 케이스(30)와, 커버(40)와, 베이스(50)와, 메인 PCB(60)는 미도시의 바디 내에 장착되되, 정전식 터치패드(10)의 상면이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에는 후술하는 힌지축(55)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사용자에 의해 상면이 터치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셀이 격자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격자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셀을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방향 및 터치형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상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중심의 상하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되고,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외측테두리의 상하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PCB(20)는 상면이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PCB(20)의 상면은 접착제를 통해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에 접착되어, 간단한 구조의 터치식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10)를 터치하는 터치신호는 PCB(20)로 입력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PCB(20)는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에 상면이 상기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과 PCB(20) 상면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진공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20)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B(20)는 케이스(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스(30)에 결합될 수 있다. PCB(20)는 직경이 케이스(3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케이스(30)에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상하측이 각각 개구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상기 개구된 상측이 정전식 터치패드(10)에 의해 덮혀져 차폐될 수 있다. 케이스(30)는 상기 개구된 하측이 커버(40)에 의해 덮혀져 차폐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내부에는 PCB(20)가 삽입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 및 케이스(30)는 외경이 동일할 수 있다. 정전식 터치패드(10)는 케이스(30)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내측에는 단턱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는 케이스(30)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는 상면이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32)의 상면에는 PCB(20)가 안착될 수 있다.
커버(40)는 케이스(30)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케이스(30)의 개구된 하측을 덮을 수 있다. 커버(40)는 케이스(3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40)에는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리브(47)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 리브(47)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가 케이스(3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테두리 리브(47)는 단턱부(3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둘레면에는 후크홀(38)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의 둘레면에는 후크홀(3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돌기(48)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가 케이스(30)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면, 후크돌기(48)가 후크홀(38)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케이스(30) 및 커버(4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30)의 내부에는 액츄에이터(45)가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45)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5)는 상기 모터의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커버(4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55)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축(55)은 정전식 터치패드(10) 및 케이스(30)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0)는 힌지축(55)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베이스(50)는 힌지축(55)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45)가 작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면, 베이스(50)는 상기 진동에 의해 힌지축(55)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면서 사용자에게 정전식 터치패드(10)를 가압하는 것에 대한 피드백을 줄 수 있다. 베이스(50)의 하면에는 푸셔부(5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PCB(60)는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60)의 상면에는 스위치(65)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65)는 베이스(50)가 힌지축(55)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푸셔부(51)에 의해 접점될 수 있다. 스위치(65)는 포스 스위치로 구비되어 푸셔부(51)가 가압하면 스위치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스위치(65)는 푸셔부(51)에 의해 접점되어 액츄에이터(4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커버(40) 및 베이스(5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커버(40) 및 베이스(50)는 탄성부재(7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베이스(50)가 액츄에이터(45)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시 베이스(50)에 수평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베이스(50)를 원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7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는 4개로 구비된다. 4개의 탄성부재(70)는 평면상에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커버(40)의 하면에는 장착돌기부(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부(41)는 베이스(50)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착돌기부(4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장착돌기부(41)는 커버(40)의 하면 중 후술하는 수용돌기부(42)보다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돌기부(41)는 탄성부재(7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인 4개로 구비된다. 4개의 장착돌기부(41)는 수평면상에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탄성부재(70) 각각은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베이스(50)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복수개의 장착돌기부(41) 각각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부재(70) 각각의 상단은 제1 스크류(1)를 통해 베이스(50)의 상면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탄성부재(70) 각각의 하단은 제2 스크류(2)를 통해 복수개의 장착돌기부(41) 각각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50)의 상면에는 제1 스크류(1)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장착돌기부(41)의 하면에는 제2 스크류(2)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7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베이스(50)가 액츄에이터(45)의 수평방향 진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진동될 시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생성될 수 있다.
커버(40)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수용돌기부(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돌기부(42)는 사각형상의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홀(43)에는 액츄에이터(45)가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50)에는 커버(40)에 형성된 수용돌기부(42)가 삽입되는 삽입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PCB(20)가 정전식 터치패드(10)의 하면에 상면이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되어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베이스(5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55)을 구비하여, 힌지축(55)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액츄에이터(45)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전식 터치패드(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베이스(50)가 힌지축(55)을 회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5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푸셔부(51)가 스위치(65)를 접점시켜 액츄에이터(45)가 작동되어 수평방향으로 진동된다. 이 때, 베이스(50)는 상기 진동에 의해 힌지축(55)을 회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정전식 터치패드(10)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피드백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위에서 기술한 수평방향은 정전식 터치패드(10)의 가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하방향은 정전식 터치패드(10)의 가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정전식 터치패드 20 : PCB
30 : 케이스 40 : 커버
41 : 장착돌기부 42 : 수용돌기부
45 : 액츄에이터 50 : 베이스
51 : 푸셔부 52 : 삽입홀
55 : 힌지축 60 : 메인 PCB
65 : 스위치 70 : 탄성부재

Claims (8)

  1. 사용자에 의해 상면이 터치되는 정전식 터치패드;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터치신호가 입력되는 PCB;
    상하측이 각각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상측이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에 의해 덮혀지며, 상기 PCB가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하측을 덮으며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고, 하면의 중앙부에는 사각형상의 내부가 빈 수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며, 하면 중 상기 수용돌기부보다 외측에는 복수개의 장착돌기부가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커버;
    상기 수용돌기부 내에 설치되고, 작동시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커버의 하측에 상기 커버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용돌기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장착돌기부가 측면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을 구비하여,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며, 하면에는 푸셔부가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베이스가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시 상기 푸셔부에 의해 접점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된 메인 PCB; 및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된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복수개의 장착돌기부의 하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 및 상기 베이스를 결합하되, 상기 액츄에이터의 수평방향의 진동을 상기 베이스에 제공하여 상기 베이스를 상기 힌지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이 누광방지를 위해 차폐 페인팅된 후, 상기 PCB는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의 하면에 상면이 접착제를 통해 진공 접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수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 각각의 상단은 제1 스크류를 통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재 각각의 하단은 제2 스크류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장착돌기부 각각의 하면에 결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 및 상기 케이스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드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안착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180028221A 2018-03-07 2018-03-0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21A KR101974399B1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N201880093286.9A CN112889124A (zh) 2018-03-07 2018-08-28 汽车开关装置
US16/979,025 US11462373B2 (en) 2018-03-07 2018-08-28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PCT/KR2018/009903 WO2019172495A1 (ko) 2018-03-07 2018-08-28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EP18909131.7A EP3780050A4 (en) 2018-03-07 2018-08-28 AUTOMOTIVE SWITC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221A KR101974399B1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399B1 true KR101974399B1 (ko) 2019-05-02

Family

ID=6658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221A KR101974399B1 (ko) 2018-03-07 2018-03-09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9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090A (ja) * 2007-01-19 2008-07-31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KR20120071027A (ko) * 2010-12-22 2012-07-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장치
KR20120120582A (ko) * 2011-04-25 2012-11-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햅틱 장치
KR20140029630A (ko) * 2012-08-29 2014-03-11 주식회사 하이소닉 터치 모션 스위치
KR20140075856A (ko) * 2012-12-04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KR20140129812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JP2015165474A (ja) * 2014-03-03 2015-09-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入力装置
KR20150139312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0837A (ko) * 2014-09-11 2016-03-21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스크린 기술 및 햅틱스 피드백을 이용한 스위치 어레이
KR2017012180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7090A (ja) * 2007-01-19 2008-07-31 Tokai Rika Co Ltd 入力装置
KR20120071027A (ko) * 2010-12-22 2012-07-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스위치 장치
KR20120120582A (ko) * 2011-04-25 2012-11-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햅틱 장치
KR20140029630A (ko) * 2012-08-29 2014-03-11 주식회사 하이소닉 터치 모션 스위치
KR20140075856A (ko) * 2012-12-04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패턴 구현 터치판넬용 필름
KR20140129812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
JP2015165474A (ja) * 2014-03-03 2015-09-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入力装置
KR20150139312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0837A (ko) * 2014-09-11 2016-03-21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터치 스크린 기술 및 햅틱스 피드백을 이용한 스위치 어레이
KR20170121808A (ko)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7499B (zh) 电子装置的埋入式按键
JP3952642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
CN110506317B (zh) 触摸面板用按钮结构、触摸面板用按钮以及电子设备
US8084699B2 (en) Vehicle switch
KR20010092325A (ko)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한 입력장치 및 검출장치
CN104900439B (zh) 一种按键装置及具有该按键装置的终端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TW201432765A (zh) 力回饋鍵盤結構
KR1019770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974399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010049151A (ko) 접속 장치
US20150325392A1 (en) Operating switch
JP6664079B2 (ja) 入力装置
KR10197705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00625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20130161163A1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2529615B1 (ko) 로터리 노브의 로터리 디텐트 기구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CN112889124A (zh) 汽车开关装置
JP3971079B2 (ja)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KR20190042966A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JP5281589B2 (ja) 回転形パルススイッチ
KR102007168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JP2006073249A (ja) 携帯機器
JP2001255996A (ja)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KR2017009792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버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