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339B1 -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339B1
KR101881339B1 KR1020170068348A KR20170068348A KR101881339B1 KR 101881339 B1 KR101881339 B1 KR 101881339B1 KR 1020170068348 A KR1020170068348 A KR 1020170068348A KR 20170068348 A KR20170068348 A KR 20170068348A KR 101881339 B1 KR101881339 B1 KR 10188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rotor
rotation
magnet
magnetic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휘
김준식
전민수
윤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티
Priority to KR102017006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8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or possible in only on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Abstract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착탈 가능하고,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네틱 노브(magnetic knob);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일부가 상기 마그네틱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로터와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원주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요철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네틱 노브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원호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Magnetic knob assembly}
실시예는, 회전에 의해 가열장치의 가열량, 온 또는 오프제어를 할 수 있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가열장치 즉, 오븐(oven),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난방기구 등은 가정용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분야는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가열장치에서 가열온도, 가열에 사용되는 화염의 세기, 전열식 가열장치인 경우 가열을 위해 투입되는 전력량 등을 제어하기 위해 다이얼(dial) 방식의 회전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스위치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증가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회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열장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회전에 의해 가열장치의 가열량, 온 또는 오프제어를 할 수 있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착탈 가능하고,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네틱 노브(magnetic knob);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일부가 상기 마그네틱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로터와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원주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요철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네틱 노브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원호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로터와 커플링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피스; 상기 제1피스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피스를 상기 로터와 마그네틱 커플링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의 상기 제2피스에 대한 회전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제2피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마그네트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제2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와 커플링되는 제3마그네트; 상기 회전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장착부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장착부에 대한 회전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 및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마그네트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제3마그네트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제4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로터는 일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상기 센서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광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요철부의 회전에 따라 광량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요철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며, 외부의 광이 상기 요철부에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제2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제2피스에 접착하는 제1접착부재; 복수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의 상기 장착부재에 대한 왕복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피스는, 상기 플런저와 대향하는 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그루브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에 대하여 왕복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플런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피스는 스텝(step)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피스를 충격하여 상기 제2피스의 회전시 클릭음(click sound)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상기 로터 사이에는 판형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판형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슬릿(slit)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1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슬릿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릿이 형성되는 제1접착필름;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슬릿을 폐쇄하도록 접착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확산필름; 및 상기 제1접착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착필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확산필름이 배치되는 제3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확산필름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원호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영역에 터치패널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영역에 터치패널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가 삽입되는 제4슬릿을 포함하는 제2접착필름; 상기 제4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착되며,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제4슬릿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확산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판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로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로 가열장치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와 요철부를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가열장치의 가열량, 온 및 오프제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므로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플런저에 의해 제2피스가 스텝 회전하고, 스텝 회전시 클릭음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제2피스의 회전을 촉각 및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발광소자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통해 가열장치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터치패널부가 구비됨으로써, 마그네틱 노브가 탈거된 상태에서도 가열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센서와 터치패널부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마그네틱 노브가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센서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의 회전부 저면 사시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센서가 회전부에 배치된 모습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9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9에서 구성의 일부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10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8a의 구성의 일부를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8a의 구성의 일부를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에서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마그네틱 노브가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마그네틱 노브(100)가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마그네틱 노브(100)(magnetic knob), 로터(200)(rotor, 도 3 참조), 센서(300)(sensor, 도 3 참조) 및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가열장치 즉, 오븐(oven),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난방기구 등에서 가열온도, 가열에 사용되는 화염의 세기, 전열식 가열장치인 경우 가열을 위해 투입되는 전력량 등(이하, 가열량이라고 한다.)을 제어하고, 상기 가열장치를 온(on) 또는 오프(off)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는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상기 가열장치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마그네틱 노브(100)를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열장치가 온되고, 회전각도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최대인 상태에서 마그네틱 노브(100)를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각도가 증가할수록 이에 비례하여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감소할 수 있고, 종국에는 가열장치가 오프될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0) 및 상기 센서(300)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400)과 마그네틱 노브(100) 사이에 판형부재(10)가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는 상기 판형부재(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형부재(10)는 가열장치 즉, 오븐(oven),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난방기구 등의 외형을 형성하고, 예를 들어 유리, 고분자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이유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노브(100)와 로터(200)가 착탈 가능한 마그네틱 커플링(magnetic coupling)을 이루기 때문인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노브(100)는 가열장치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마그네틱 노브(1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마그네틱 노브(100)를 용이하게 수리, 교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 상기한 판형부재(10)는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와 상기 로터(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는 상기 판형부재(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경우, 제2피스(120)의 제2마그네트(150)와 회전부(210)의 제4마그네트(250)는 서로 커플링되어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반면, 제2피스(120)가 회전하는 경우, 제1피스(110), 제1마그네트(130), 장착부(230), 상기 장착부(230)에 장착되는 제3마그네트(220)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피스(120)는 제1피스(110)에 대해 회전하고, 회전부(210)는 장착부(23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실시예의 구조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마그네틱 노브(100)는 제1피스(110), 제2피스(120), 제1마그네트(130), 제1베어링(140) 및 제2마그네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피스(110)는 상기 로터(200)와 커플링 예를 들어, 마그네틱 커플링될 수 있다. 제1피스(110)는 로터(200)와 마그네틱 커플링을 위해 중앙부에 제1마그네트(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마그네트(130)를 제1피스(110)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제1마그네트(130)가 장착되고, 자신은 제1피스(110) 중앙부에 장착되는 가이드(110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110a)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제2피스(120)는 상기 제1피스(110)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피스(11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피스(120)는 사용자가 가열장치를 온, 오프 또는 가열량을 조절하기 위해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훅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피스(110)에 형성되는 훅은 제1베어링(14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제1베어링(14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피스(120)에 형성되는 훅은 제1베어링(140)의 내주면을 감싸면서 제1베어링(14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상기 제1베어링(140)을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하고, 제2피스(120)는 제1피스(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하기 도 16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는, 제1피스(110)는 제2피스(120)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에 장착되는 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훅이 상기 홈에 결합함으로써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결합할 수 있고, 제2피스(120) 회전시 제2피스(120)의 상기 훅은 제1피스(110)의 상기 홈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30)는 상기 제1피스(11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피스(110)를 상기 로터(200)와 마그네틱 커플링할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30)는 제2피스(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제3마그네트(2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는 각각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간 커플링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마그네트(130)는 제1피스(110)의 중앙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마그네트(130)는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면 로터(200)의 장착부(230)에 장착되는 제3마그네트(220)와 커플링될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 사이의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마그네틱 노브(100)는 판형부재(10)에 로터(200)와 대향되도록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피스(1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제1마그네트(130) 및 제3마그네트(22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는 마그네틱 노브(100)와 로터(200)를 커플링하는 역할을 할 뿐, 로터(200)의 회전부(210)를 회전시키지는 않는다.
제1베어링(140)은 상기 제1피스(110)와 상기 제2피스(120)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110)의 상기 제2피스(120)에 대한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베어링(140)이 없는 경우, 제2피스(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촉은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의 접촉부위를 마모시키고, 제2피스(120)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베어링(140)은 제2피스(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의 면접촉 부위에 배치되어, 제2피스(120)가 제1피스(11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면접촉 부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의 마모를 억제하고 제2피스(1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피스(120)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는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베어링(140)은 제1피스(110)와 제2피스(120)가 면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은 예를 들어 볼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은, 도 4를 참조하면 내측링, 외측링 및 상기 내측링과 외측링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볼들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50)는 상기 제2피스(120)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130)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마그네트(130)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는, 제2마그네트(150)가 장착부재(1100, 도 3 참조)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1100)가 제2피스(120)에 고정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마그네트(150)는 상기 제2피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하기 도 16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제2마그네트(150)가 상기 제2피스(120)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4개의 제2마그네트(15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2마그네트(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면 제2마그네트(150)는 로터(200)의 제4마그네트(250)와 커플링되고, 사용자가 제2피스(120)를 회전시키면 제4마그네트(250)가 장착되는 회전부(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마그네트(150)는 제2피스(120)의 회전축 방향으로 제4마그네트(25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제2마그네트(150)와 제4마그네트(250)는 각각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간 커플링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50)와 제4마그네트(250)가 서로 커플링됨으로써, 제2마그네트(150)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제4마그네트(250)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로터(200)의 회전부(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로터(200)는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와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일부가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210), 제3마그네트(220), 장착부(230), 제2베어링(240), 제4마그네트(250) 및 요철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210)는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10)는 제2마그네트(150)와 제4마그네트(250)가 커플링됨으로 인해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10)의 하부에는 요철부(20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요철부(201)는 회전부(2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요철부(201)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마그네트(220)는 상기 회전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211)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커플링될 수 있다. 즉,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면, 상기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는 각각의 자기력에 의해 상호 커플링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피스(120)를 회전시켜도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2피스(120)는 제1마그네트(130)에 대해 회전하고, 회전부(210)는 제3마그네트(2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장착부(230)는 상기 회전부(210)의 상기 중공(211)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2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30)는,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에 결합돌기(23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23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230)의 인쇄회로기판(400)에 대한 결합구조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3마그네트(220)와 상기 장착부(230)가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상기 제3마그네트(220) 또는 장착부(230)는 판형부재(10)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또는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형성되는 통공(410)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베어링(240)은 상기 회전부(210)와 상기 장착부(230)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3마그네트(22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210)의 상기 장착부(230)에 대한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2베어링(240)이 없는 경우, 상기 회전부(210)와 상기 장착부(230)는 각각 내부 측면 및 외부측면에서 서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촉은 회전부(210)와 장착부(230)의 접촉부위를 마모시키고, 회전부(210)의 회전을 원활하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어링(240)은 회전부(210)의 회전축 방향으로 회전부(210)와 장착부(230)의 면접촉 부위에 배치되어, 회전부(210)가 장착부(230)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상기 면접촉 부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장착부(230)와 회전부(210)의 마모를 억제하고 회전부(2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10)와 상기 장착부(230)는 각각 내부 측면 및 외부측면에서 서로 면접촉하므로 상기 제2베어링(240)은 이에 알맞은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상기 제2베어링(240)은 예를 들어 볼베어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은, 도 4를 참조하면 내측링, 외측링 및 상기 내측링과 외측링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볼들로 구비될 수 있다.
제4마그네트(250)는 상기 회전부(210)에 장착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220)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마그네트(150)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150)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제3마그네트(220)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4개의 제4마그네트(250)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내지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2마그네트(1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4마그네트(250)는 제2마그네트(150)와 대응하도록 제2마그네트(15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마그네트(150)와 제4마그네트(250)는 커플링되어, 제1마그네트(130)와 제3마그네트(220)를 도와 마그네틱 노브(100)를 판형부재(10)에 장착시킬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210)에 구비되는 요철부(201)는 회전함으로써 센서(3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가열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2피스(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피스(120)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열장치를 온시키고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늘일 수 있다. 제2피스(1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줄일 수 있고, 가열장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2피스(120)를 회전하면, 상기 제2피스(120)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제2마그네트(150)는 제1마그네트(130)를 중심으로 공전하고, 이에 따라 제2마그네트(150)와 커플링되는 제4마그네트(250)도 함께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4마그네트(250)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회전부(21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10)의 회전에 의해 가열장치가 제어되는 것은 회전부(210)에 구비되는 요철부(201), 상기 요철부(201)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센서(300), 상기 센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열장치의 제어방식 및 이와 관련된 실시예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센서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00)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센서(300)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되기 위해 단자(3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301)는 인쇄회로기판(400)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장착된 상태로 솔더링(soldering)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고정되고, 이에 의해 센서(3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센서(300)가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 완료되면, 단자(301)의 불필요한 부분은 커팅되어 정리될 수 있다.
한편, 하기 도 16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는, 인쇄회로기판(400)의 하면에 센서(3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16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센서(300)가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완료된 상태가 도 7 및 도 8과 비교하여 z축이 반대방향으로 도시될 것이다.
센서(300)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앙부에 함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0)에는 요철부(201)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300)은 예를 들어, 광량변화를 감지하는 포토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터(20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센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토센서를 사용한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함몰부(310)의 일측에는 광감지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함몰부(310)의 양측에 각각 1개씩 총 2개의 광감지부(311)가 구비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함몰부(310)의 일측에 1개의 광감지부(311)만 구비될 수도 있고, 함몰부(310)의 양측에 복수의 광감지부(311)가 구비되어 센서(300)에 총 3개 이상의 광감지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감지부(311)는 예를 들어 주위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지만, 요철부(201)가 이동함에 따라 요부(201a)(도 8b 참조)와 돌부(201b)(도 8b 참조)의 이동에 따른 광량변화를 광감지부(311)는 감지할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의 회전부(210) 저면 사시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센서(300)가 회전부에 배치된 모습을 함께 도시하였다.
도 9는 도 8a의 측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9에서 구성의 일부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10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8a의 구성의 일부를 투명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10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스(12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210)는 일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300)는 상기 로터(200)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로터(200)와 대향하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로터(200), 구체적으로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200), 구체적으로 회전부(210)는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요철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300)는 상기 요철부(201)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로터(200) 즉,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로터(200) 및 상기 센서(300)가 장착될 수 있고, 센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센서(300)의 작동, 제어를 위해 필요한 배선, 각종의 능동소자 또는 수동소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400) 상에 또는 별도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고, 센서(300)는 인쇄회로기판(400)을 통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300)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신호는 가열장치의 온, 오프 또는 가열량의 조절에 관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30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가열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200)는 일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3마그네트(220) 및 장착부(230) 인쇄회로기판(40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형성되는 통공(410)에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230)를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결합시키는 결합돌기(231)가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를 인쇄회로기판(400)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300)는 상기 결합돌기(231)로부터 상기 회전부(210)의 직경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210)는 상기 센서(300)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23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01)는 상기 회전부(210)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회전부(210)와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센서(300)에 대해 상기 결합돌기(23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201)는 회전부(210)의 하부에 회전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201)는 센서(300)에 형성되는 함몰부(310)에 배치되어 센서(30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광감지부(311)는 상기 요철부(201)의 회전에 따라 광량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200), 구체적으로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요철부(201)는 요부(201a)와 돌부(201b)가 일정한 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광감지부(311)는 상기 요철부(201)가 회전하여 상기 요부(201a)와 상기 돌부(201b)가 상기 센서(300)에 대해 이동함에 따라 광량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200), 구체적으로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부(201)가 회전함에 따라 센서(300)에 구비되는 광감지부(311)에는 요부(201a)와 돌부(201b)가 번갈아 연속적으로 대향될 수 있다.
만약, 광감지부(311)에 대향되는 부분이 요부(201a)인 경우 광량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광감지부(311)에 대향하는 부분이 돌부(201b)인 경우, 돌부(201b)가 광감지부(311)를 막기 때문에 광량은, 광감지부(311)에 대향되는 부분이 요부(201a)인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요철부(201)가 회전함에 따라 광감지부(311)에 대향하는 요철부(201)는 요부(201a)에서 돌부(201b)로 또는 돌부(201b)에서 요부(201a)로 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감지부(311)에서 감지되는 광량은 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광감지부(311)는 이러한 광량변화를 감지하여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광감지부(311)에 의해 감지되는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광감지부(311)로터(200) 전송되는 회전방향 대한 정보에 따라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늘일지 또는 줄일지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광감지부(311)로부터 전송되는 회전각도에 대한 정보를 수치화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수치화된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회전부(210) 회전각도의 영점(zero point)을 설정하여 가열장치의 온 또는 오프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광감지부(311)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회전부(210) 회전각도가 설정된 영점으로부터 이탈하고 회전방향이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늘이는 방향인 경우, 제어부는 가열장치를 온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부(210) 회전각도가 설정된 영점으로부터 이탈하고, 회전방향이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줄이는 방향인 경우, 제어부는 가열장치를 오프할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10)에는 차단막(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02)은 상기 회전부(21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요철부(20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며, 외부의 광이 상기 요철부(201)에 입사하는 것을 적어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도 8b에서는 일 실시예로 차단막(202)가 요철부(201)의 일측 즉, 외측에 배치된 구조가 도시되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1을 참조하면, 하기 도 16 이하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차단막(202)은 상기 회전부(210)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요철부(201)의 내측 및 외측에 링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02)은 상기 요철부(201)의 일측 또는 양측을 차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의 광은 상기 요철부(201)에 입사하는 것이 적어도 일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201)에 입사하는 외부의 광이 밝은 경우, 센서(300)에 구비되는 광감지부(311)는 외부의 광에 의해 정확히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광감지부(311)의 작동불량은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전체의 작동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202)을 상기 회전부(210)에 구비하여 외부의 광이 광감지부(311)에 입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외부의 광이 광감지부(311)의 작동에 상기한 악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300)는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상기 요철부(20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일 실시예로 2개의 센서(300)가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 센서(300)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300)는 1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특히 센서(300)는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감지의 정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센서(300)가 2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300)가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센서(300)가 감지하는 광량의 변화경향은, 회전부(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센서(300)가 감지하는 광량변화 경향을 종합하면 회전부(210)의 회전방향 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서(300)는 각각 요철부(20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지만, 반드시 각각의 센서(300)가 요철부(20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필요도 없다.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간단한 구조로 가열장치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서, 센서(300)와 요철부(201)를 구비하는 회전부(21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가열장치의 가열량, 온 및 오프제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이므로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5, 도 13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100)는 장착부재(1100), 제1접착부재(1200), 플런저(1300)(plunger) 및 탄성부재(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1100)는 상기 제1피스(110)와 상기 제2피스(120)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1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1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삽입홀(1110)에는 플런저(1300)가 삽입될 수 있고, 복수의 플런저(1300)는 장착부재(11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2마그네트(150)는 복수의 플런저(1300)와 교대로 상기 장착부재(11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재(1100)에는 원주방향으로 삽입홀(1110)과 교대로 배치되고, 복수의 제2마그네트(150)가 배치되는 복수의 도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착부재(1200)는 상기 장착부재(1100)와 상기 제2피스(1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재(1100)를 상기 제2피스(120)에 접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착부재(1200)는 양면테이프, 접착제 기타 장착부재(1100)를 제2피스(12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것도 사용될 수 있다.
장착부재(1100)는 제1접착부재(1200)에 의해 상기 제2피스(120)에 고정적으로 결합하므로, 제2피스(120)의 회전에 따라 제1피스(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플런저(1300)는 복수의 상기 삽입홀(1110)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피스(120) 및 상기 장착부재(1100)의 회전에 따라 제1피스(1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플런저(1300)는 각각의 삽입홀(1110) 전부 또는 일부에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1개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런저(1300)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플런저(1300)는 장착부재(11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플런저(1300)는 제2피스(120) 및 장착부재(1100)의 회전에 따라 제1마그네트(130)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0)는 상기 삽입홀(1110)에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1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1300)의 상기 장착부재(1100)에 대한 왕복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00)는 플런저(1300)와 동일한 개수로 상기 플런저(1300)가 구비되는 삽입홀(111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플런저(1300)는 제1피스(110) 및 장착부재(1100)의 회전중심과 대략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플런저(130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1400)는 압축되고, 탄성부재(1400)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300)는 다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110)는 상기 플런저(1300)와 대향하는 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11b)(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1300)는 상기 제2피스(120) 및 장착부재(110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그루브(11b)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1100)에 대하여 왕복이동할 수 있다.
즉, 플런저(1300)의 하면이 상기 그루브(11b)에 위치하는 경우 플런저(1300)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고, 플런저(1300)의 하면이 그루브(11b)를 벗어나는 경우 플런저(1300)는 상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플런저(1300)는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중심과 대략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400)는 플런저(1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플런저(1300)가 원활하게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플런저(130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탄성부재(1400)가 상기 플런저(1300)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피스(120)는 스텝(step)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피스(120)가 회전하는 1스텝은 예를 들어, 복수의 그루브(11b) 중 어느 하나의 그루브(11b)에서 바로 이웃하는 그루브(11b)까지 상기 플런저(1300)가 회전하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피스(120) 및 장착부재(11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그루브(11b)와 이에 접촉하는 플런저(1300)의 하면은 서로 대응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1300)가 상기 제1피스(110)를 충격하여 상기 제2피스(120)의 회전시 클릭음(click sound)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플런저(1300)의 하면이 그루브(11b)에서 그루브(11b)가 없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순간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순간에 상기 클릭음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런저(1300)에 의해 제2피스(120)가 스텝 회전하고 스텝 회전시 클릭음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제2피스(120)의 회전을 촉각 및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도 3에서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구성들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5에서 확산필름(500)을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도 1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발광소자(1000), 지지부재(1500), 제1접착필름(1600), 확산필름(500), 제2기판(1700) 및 터치패널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10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400)에 구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발광소자(1000)는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원호방향으로 배열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소자(1000)는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가열장치에서, 예를 들어, 가열장치의 온(on)/오프(off) 또는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가열장치가 오프된 경우 발광소자(1000)는 전부 소등된 상태일 수 있고, 가열장치가 온 상태인 경우 복수의 발광소자(1000) 중 적어도 일부는 점등된 상태일 수 있다.
가열장치가 온 상태에서, 복수의 발광소자(1000) 중 점등된 것의 개수가 적을수록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작고, 복수의 발광소자(1000) 중 점등된 것의 개수가 많을수록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의 가열량이 최대인 경우 복수의 발광소자(1000)는 모두 점등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1000)는 원호형의 배열형태 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가열장치의 온/오프 또는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호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소자(1000)들인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가열장치의 온/오프 또는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물론,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어 가열장치의 온/오프 또는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욱 적절하게는, 제1피스(110)가 가열장치를 온하고 가열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광소자(1000)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반대로, 제1피스(110)가 가열장치의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종국에는 가열장치를 오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발광소자(1000)들은 순차적으로 소등되고 가열장치가 오프되면 발광소자(1000)들은 모두 소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1500)는 상기 판형부재(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1000)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1000)가 배치되는 제1슬릿(1510)(slit)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500)는 판형부재(10)와 인쇄회로기판(400) 사이에 이격간격을 확보하고, 상기 이격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로터(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500)에는 제2기판(1700)과 인쇄회로기판(400)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2기판(1700)과 인쇄회로기판(400)은 각각 체결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50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제1슬릿(1510)은, 도 14를 참조하면,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슬릿(1510)에 배치되는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확산필름(500)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접착필름(1600)은 상기 지지부재(15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1500)의 상기 제1슬릿(15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슬릿(1510)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릿(16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착필름(1600)에 의해 제2기판(1700)은 지지부재(1500)에 더욱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제1접착필름(1600)은,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기타 다양한 것을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확산필름(500)은 상기 제1슬릿(1510) 및 상기 제2슬릿(16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500)에 상기 제1슬릿(1510)을 폐쇄하도록 접착되고, 상기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산필름(50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확산필름(500)을 투과하면서 확산되고, 따라서 상기 확산필름(500)을 통과한 광은 확산필름(50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필름(500)은 원호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소자(1000)가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될수록 가열량이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확산필름(500)의 반시계방향 단부에서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다른 색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시계방향으로 맨 마지막으로 점등된 발광소자(10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 색상을 시각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발열장치의 현재 가열량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2기판(1700)은 상기 제1접착필름(16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1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착필름(160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500)와 결합하고, 상기 확산필름(500)이 배치되는 제3슬릿(1710)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슬릿(1710)에는 발광소자(1000)와 확산필름(500)이 배치되고, 따라서,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어 확산필름(500)을 통과한 광은 다시 제3슬릿(1710)을 통과하여 투명한 재질의 판형부재(10)를 통해 외부로 조사되므로, 사용자는 확산필름(500)을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발광소자(100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통해 가열장치의 작동상태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터치패널부(600)는 제2기판(1700)의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와 대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부(600)는 예를 들어 정전기 감응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부(600)는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체부위 또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패널부(600)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터치하여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제어함으로써, 가열장치의 온/오프 하거나, 가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사용자가 터치하는 부위는 판형부재(10)의 상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터치패널부(600)가 구비됨으로써, 마그네틱 노브(100)가 탈거된 상태에서도 가열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서 마그네틱 노브(100)가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미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한다.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판형부재(10), 마그네틱 노브(100) 및 커버부재(2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300)는 상기 판형부재(10)와 결합하고, 상기 로터(200), 인쇄회로기판(400) 기타의 구성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2300)는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22에서 확산필름(500)을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에서, 터치패널부(6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서 상기 마그네틱 노브(100)와 대향하는 영역에 터치패널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부는 마그네틱 노브(100)가 판형부재(10)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방식으로 가열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제2접착필름(2100), 수용부재(2200), 확산필름(500), 제2접착부재(2400) 및 제3접착부재(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착필름(2100)은 상기 판형부재(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1000)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소자(1000)가 삽입되는 제4슬릿(2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접착필름(2100)은, 인쇄회로기판(400)을 판형부재(10)에 견고하게 접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필름(2100)은,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기타 다양한 것을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재(2200)는 상기 제4슬릿(2110)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접착되며,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100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22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100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수용부재(2200)는 상기 제4슬릿(2110)에 배치되는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확산필름(500)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산필름(500)은 상기 제4슬릿(2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재(2200)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발광소자(10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할 수 있다.
상기 확산필름(500)은,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확산필름(500)과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확산필름(50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원호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착부재(2400)는 상기 판형부재(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2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2400)는,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접착제 도포 기타 다양한 것을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3접착부재(2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커버부재(230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착부재(2400)는,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 접착제 도포 기타 다양한 것을 사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0)에 센서(300)와 터치패널부(600)를 동시에 구비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마그네틱 노브(100)는 도 18에 도시된 구조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 사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도 18에 도시된 구조의 마그네틱 노브(100)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마그네틱 노브
200: 로터
301: 단자
400: 인쇄회로기판
500: 확산필름
600: 터치패널부
1000: 발광소자
1100: 장착부재
2100: 제2접착필름

Claims (18)

  1. 착탈 가능하고, 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네틱 노브(magnetic knob);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마그네틱 커플링되고, 일부가 상기 마그네틱 노브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로터(rotor);
    상기 로터의 직경방향으로 상기 로터와 대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sensor);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원주방향으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요철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마그네틱 노브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원호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로터와 커플링되는 제1피스;
    상기 제1피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1피스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피스;
    상기 제1피스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피스를 상기 로터와 마그네틱 커플링하는 제1마그네트;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1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의 상기 제2피스에 대한 회전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 및
    상기 제2피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마그네트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제2마그네트
    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와 커플링되는 제3마그네트;
    상기 회전부의 상기 중공에 배치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가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장착부의 접촉부위에 상기 제3마그네트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장착부에 대한 회전을 지지하는 제2베어링; 및
    상기 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3마그네트를 둘러싸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제2마그네트와 커플링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가 공전함에 따라 상기 제3마그네트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제4마그네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일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함몰부에 배치되며,
    상기 함몰부의 적어도 일측에는 광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광감지부는 상기 요철부의 회전에 따라 광량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요철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며, 외부의 광이 상기 요철부에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제1피스와 상기 제2피스 사이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피스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제2피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제2피스에 접착하는 제1접착부재;
    복수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플런저(plunger); 및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의 상기 장착부재에 대한 왕복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는,
    상기 플런저와 대향하는 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groove)가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2피스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그루브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에 대하여 왕복이동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플런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2피스는 스텝(step)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제1피스를 충격하여 상기 제2피스의 회전시 클릭음(click sound)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상기 로터 사이에는 판형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틱 노브는 상기 판형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제1슬릿(slit)을 포함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제1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슬릿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슬릿이 형성되는 제1접착필름;
    상기 제1슬릿 및 상기 제2슬릿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제1슬릿을 폐쇄하도록 접착되고,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확산필름; 및
    상기 제1접착필름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접착필름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확산필름이 배치되는 제3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필름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고, 원호방향으로 서로 다른 색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영역에 터치패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마그네틱 노브와 대향하는 영역에 터치패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가 배열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가 삽입되는 제4슬릿을 포함하는 제2접착필름;
    상기 제4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착되며, 복수의 상기 발광소자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제4슬릿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확산필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로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2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커버부재를 결합시키는 제3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KR1020170068348A 2017-06-01 2017-06-01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KR10188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48A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7-06-01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48A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7-06-01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339B1 true KR101881339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348A KR101881339B1 (ko) 2017-06-01 2017-06-01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33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764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14188173A (zh) * 2021-10-26 2022-03-15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旋转结构触发开关
KR20220045697A (ko) 2020-10-06 2022-04-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무타공 타입 조작 장치
KR20230053878A (ko) 2021-10-15 2023-04-2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KR20230071420A (ko) 2021-11-16 2023-05-2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CN116820183A (zh) * 2023-08-31 2023-09-29 泉州昆泰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旋转馈感的旋钮及电器
KR20230150065A (ko) 2022-04-21 2023-10-3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버튼기능이 포함된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US11971176B2 (en) 2019-01-11 2024-04-3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39A (ja) * 2003-05-21 2004-12-09 Keihin Sokki Kk 自己保持型近接スイッチ
JP2016219342A (ja) * 2015-05-25 2016-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39A (ja) * 2003-05-21 2004-12-09 Keihin Sokki Kk 自己保持型近接スイッチ
JP2016219342A (ja) * 2015-05-25 2016-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1176B2 (en) 2019-01-11 2024-04-3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WO2020145764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539745B1 (ko) * 2020-10-06 2023-06-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무타공 타입 조작 장치
KR20220045697A (ko) 2020-10-06 2022-04-1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무타공 타입 조작 장치
KR20230069897A (ko) 2020-10-06 2023-05-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KR20230053878A (ko) 2021-10-15 2023-04-2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용 마그네틱 클릭놉 장치
KR20230132756A (ko) 2021-10-15 2023-09-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CN114188173B (zh) * 2021-10-26 2023-07-21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旋转结构触发开关
CN114188173A (zh) * 2021-10-26 2022-03-15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旋转结构触发开关
KR20230071420A (ko) 2021-11-16 2023-05-23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KR20230150065A (ko) 2022-04-21 2023-10-3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버튼기능이 포함된 전기레인지의 마그네틱 놉
CN116820183A (zh) * 2023-08-31 2023-09-29 泉州昆泰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旋转馈感的旋钮及电器
CN116820183B (zh) * 2023-08-31 2023-12-08 泉州昆泰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旋转馈感的旋钮及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339B1 (ko)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US7140551B2 (en) HVAC controller
EP1973028B1 (en) Touch pad
CA2158449C (en) A compact mouse structure
JP3234347U (ja) 電気機器の動作を制御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
JP2009295155A (ja) 入力装置
JP2010198614A (ja) 照明指紋センサと方法
KR20120004462A (ko) 가상 노브 인터페이스 및 방법
KR101986124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US11720210B2 (en) Optical input devices
CN110618758B (zh) 鼠标滚轮装置
TWI599920B (zh) 滑鼠
US20140002360A1 (en) Joystick Input Device
KR101862140B1 (ko) 마그네틱 노브 어셈블리
US11462373B2 (en) Switch apparatus for automobile
JP7357205B2 (ja) 押圧式入力装置、及び押圧兼回転式入力装置
KR20100051491A (ko) 휠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TW201003367A (en) Electronic equipment
CN212367248U (zh) 按键模块和电子秤
JP2010161020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WO2022219895A1 (ja) 入力装置、及び組込装置
JP2004014448A (ja) 光検出型多方向スイッチ
EP3742463A1 (en) Input device
CN111884645A (zh) 按键模块和电子秤
JP2017076550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