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89Y1 -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89Y1
KR200496689Y1 KR2020210000941U KR20210000941U KR200496689Y1 KR 200496689 Y1 KR200496689 Y1 KR 200496689Y1 KR 2020210000941 U KR2020210000941 U KR 2020210000941U KR 20210000941 U KR20210000941 U KR 20210000941U KR 200496689 Y1 KR200496689 Y1 KR 200496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ub
scroll button
shaf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368U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2020210000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8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중심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스크롤 버튼; 일단이 상기 스크롤 버튼의 홀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기장 값을 검출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되는 서브 PCB; 및 상기 서브 PCB와 직교하여 연결되고, 상기 서브 PCB의 일단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메인 PCB를 포함하는 자동차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SWITCH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넷과홀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롤 버튼의 회전을 감지하고, 홀 센서가 배치되는 서브 PCB와, 메인 PCB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핸들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오디오 선곡/볼륨 조절 등의 자동차 내 주변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스티어링 리모컨 스위치가 핸들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런, 자동차의 스티어링 리모컨 스위치는 운전자가 운전 중 자동차 내 주변기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주행 시야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간편하게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어, 자동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리모콘에 사용되는 스위치는 스크롤 버튼(1), 샤프트(2), 엔코더(3), 서브 PCB(4), 메인 PCB(5), PCB 연결용 와이어(6)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스크롤 버튼(1)의 회전을 엔코더(3)를 이용하여 감지하여, 스크롤 버튼(1)의 회전 디텐트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 PCB(4)와 메인 PCB(5) 간의 연결을 위해 PCB 연결용 와이어(6)가 사용되어, 메인 PCB(5)는 PCB 연결용 와이어(6)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메인 PCB(5)의 PCB 패턴 공간이 낭비되고, 서브 PCB(4)와 메인 PCB(5) 간의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크롤 버튼의 회전 디텐트의 자유도가 확보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메인 PCB와 서브 PCB 간의 조립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중심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스크롤 버튼; 일단이 상기 스크롤 버튼의 홀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기장 값을 검출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되는 서브 PCB; 및 상기 서브 PCB와 직교하여 연결되고, 상기 서브 PCB의 일단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메인 PC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서브 PCB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내측면은 상기 서브 PCB의 일단과 접촉되는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PCB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양측면에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마그넷과 홀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롤 버튼의 회전을 감지하므로, 엔코더 타입과 대비하여 회전 디텐트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가가 있다.
둘째, 메인 PCB와 서브 PCB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메인 PCB와 서브 PCB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연결용 와이어가 필요없어져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메인 PCB, 서브 PCB 및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위치 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스위치 장치는 스크롤 버튼(10), 샤프트(20), 하우징(30), 마그넷(40), 홀 센서(50), 서브 PCB(60), 메인 PCB (70), 커넥터(80) 및 스위치 커버(90)를 포함한다.
스크롤 버튼(10)은 원통 형상으로, 일부가 스위치 커버(90)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스크롤 버튼(10)의 중심부는 축 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버튼(10)의 외부면은 사용자의 조작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샤프트(20)는 일단이 스크롤 버튼(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샤프트(20)의 외주면 일부와 스크롤 버튼(10)의 내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크롤 버튼(10)은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20)의 양단은 스크롤 버튼(10)의 관통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스크롤 버튼(10)이 수용되는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의 양측에는 샤프트(20)를 향하여 돌출되고, 샤프트(2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홈이 형성된 지지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40)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넷(40)은 중심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샤프트(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샤프트(2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40)은 스크롤 버튼(10)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홀 센서(50)는 샤프트(20)의 회전축 방향으로 마그넷(40)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마그넷 (40)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기장 값을 검출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스크롤 버튼(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롤 버튼(10)의 회전 디텐트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서브 PCB(60)는 일면에 홀 센서(5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PCB(70)는 상면에 서브 PCB(60)의 일단이 결합되는 커넥터(8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PCB(70)는 서브 PCB(60)와 직교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80)는 메인 PCB(70)의 상면에 숄더링(납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80)는 서브 PCB(60)의 일단과 결합하여, 서브 PCB(60)와 메인 PCB(7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PCB(60)와 메인 PCB(70) 간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브 PCB(60)와 메인 PCB(70)는 커넥터(8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종래에 서브 PCB(60)와 메인 PCB(70)를 연결하기 위한 PCB 연결용 와이어가 필요없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PCB 연결용 와이어가 통과하는 메인 PCB(70)에 형성되는 관통홀 또한 필요 없어진다. 이로 인해, 메인 PCB(70)의 PCB 패턴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스위치 커버(90)는 상면에 스크롤 버튼(10)이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출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스크롤 버튼(10)을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도 4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의 메인 PCB, 서브 PCB 및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PCB(60)의 일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돌출된 삽입부(62)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62)는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접점(64)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80)의 중앙에는 서브 PCB(60)의 삽입부(62)가 삽입되는 슬롯(8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82)은 서브 PCB(60)의 삽입부(6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롯(82)의 내측면에는 삽입부(62)에 형성된 복수의 접점(64)과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커넥터 접점(8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PCB(60)의 삽입부(62)가 커넥터(80)의 슬롯(82)에 압입되어, 복수의 접점(64,84)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스크롤 버튼
20 : 샤프트
30 : 하우징
40 : 마그넷
50 : 홀 센서
60 : 서브 PCB
70 : 메인 PCB
80 : 커넥터
90 : 스위치 커버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중심부에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회전가능한 스크롤 버튼;
    일단이 상기 스크롤 버튼의 홀에 삽입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한 마그넷;
    상기 마그넷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는 전자기장 값을 검출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되는 서브 PCB; 및
    상기 서브 PCB와 직교하여 연결되고, 상기 서브 PCB의 일단이 삽입되는 커넥터가 구비되는 메인 PCB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스크롤 버튼의 양측면에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홈이 형성된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서브 PCB의 일단이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내측면은 상기 서브 PCB의 일단과 접촉되는 접점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PCB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되어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슬롯의 접점과 접촉되는 접점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4. 삭제
KR2020210000941U 2021-03-26 2021-03-26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0496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41U KR200496689Y1 (ko) 2021-03-26 2021-03-26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41U KR200496689Y1 (ko) 2021-03-26 2021-03-26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68U KR20220002368U (ko) 2022-10-05
KR200496689Y1 true KR200496689Y1 (ko) 2023-04-04

Family

ID=8359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41U KR200496689Y1 (ko) 2021-03-26 2021-03-26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8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986124B1 (ko)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61B1 (ko) * 2010-10-15 2012-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장치
KR20200000085U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983B1 (ko)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용 다기능 복합 스위치
KR101986124B1 (ko) 2018-03-15 2019-06-05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161486B1 (ko) * 2019-04-19 2020-10-05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68U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4179B2 (en) Steering roll connector for a vehicle
JP2008007075A (ja) 舵角センサ組み込み式回転コネクタ装置
US20030007798A1 (en) Operation lever apparatus
JP2005341649A (ja) モータおよび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KR200496689Y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EP0861753A2 (en) Combination switch
US6983647B2 (en) Structure for mounting steering angle sensor for steering
KR101521430B1 (ko) 차량의 스크롤 스위치 노브
JP2006214830A (ja) 光学式回転角検出装置
JP6502868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レバー
KR101000141B1 (ko) 비접촉 변속 감지 유니트
JP5952429B2 (ja) サイドスタンドの位置検出装置
JPH08301126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回転コネクタとの結合構造
JP2010009849A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2008071562A (ja) スイッチ装置
JP3301929B2 (ja) ハンドルユニット
WO2018051755A1 (ja) 回転コネクタ
EP1193157B1 (en) Cable holding structure
KR200465066Y1 (ko) 차량용 롤 커넥터
JP2008251194A (ja) スイッチ装置
KR100410881B1 (ko) 자동차용 클럭 스프링
JP6057256B2 (ja) 回転検出装置
JP3530039B2 (ja) 計器のムーブメント組付構造
JP2016157301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