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092B1 -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092B1
KR100474092B1 KR10-2003-0018881A KR20030018881A KR100474092B1 KR 100474092 B1 KR100474092 B1 KR 100474092B1 KR 20030018881 A KR20030018881 A KR 20030018881A KR 100474092 B1 KR100474092 B1 KR 10047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light emitting
support member
emitting means
hollow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068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0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로터리 스위치의 축길이를 줄이고, 노브축상에 회전노브와 푸시버튼이 집합되게 하여 대시보드 전면공간의 사용을 확장하게 한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부착되고, 서로 직경이 다른 동판레일(210)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중심에 발광수단(220)을 입설한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상의 발광수단(220)을 중심에 두고 링형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320);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210)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314)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발광수단(317)이 설치되며, 상기 발광수단(3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364)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는 노브부재(300);및 상기 노브부재(300)가 위치하는 개구부(410)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브부재(300)의 회전위치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개구부(410)의 연부를 따라 형성한 전면커버(400)를 포함하여 노브부재 주위의 중공스위치의 기본구성을 간단화하고 짧은 축길이로 개선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Control knob switch for automobile aircon panel}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상에 고정된 중공스위치 몸체의 상면에 동판레일을 형성하고, 발광수단(LED:light-emitting diode)이 내장된 회전노브가 상기 동판레일상을 회전하면서 전원을 공급받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전면패널에는 공조장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부착되어있고, 공조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의장마크들이 구비되어있다. 이 문자와 표식들로 이루어지는 의장마크는 빛을 투과할수 있는 투명 아크릴 소재등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후면에서 발하는 빛이 통과하게 되어있다.
이와같은 공조패널에는 야간운전시 공조패널의 시인성과 조작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조명장치를 설치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종래 조명장치의 다른 예의 분해사시도이고,도 2는 그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종래 공조패널의 조명장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소정높이를 갖는 받침부(10)를 형성하고, 이 받침부(10)상면에 동판레일(11)을 형성하며, 이 위에는 접촉자(12)를 저면에 형성하고 상면에는 발광다이오드(13)를 설치한 회전부재(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표시부(15)가 형성된 노브부재(16)와 표시부재(17)가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이와같은 조명장치가 설치된 스위치들이 설비된 공조패널은,
첫째, 손잡이 중심부가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기능표시수단을 갖도록 표시부재를 일체로 조립시켜야 한다는 점으로 인하여 중심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둘째, 인쇄회로기판상에서 받침부 축길이가 길게 운전석 전면측으로 높게 돌출됨으로써 전면공간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고,
셋째, 조절기능을 표시하고 수행하는 상기한 노브부재들외에도 에어컨이나 방향전환등의 스위치등을 별도 설치하여 전면 대시보드상의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노브부재와 푸시버튼 및 기능표시수단들을 변경하여 하나의 집합구조내에서 다기능을 구현하도록 함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들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종래 가운데에 기능표시수단을 구현하고 이 주위에서 링형으로 회전하는 노브부재를 구현하던 것을 개선하여 전면커버상에 기능표시수단을 위치시킨 뒤 전면커버상의 개구부내에서 노브부재가 회전하면서 그 회전위치에 맞는 기능에 접속/스위칭되게 한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 가운데에 새로운 기능의 푸시버튼이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노브부재의 조절기능외에 푸시스위칭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도록 한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를 제공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면커버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부재의 전면 돌출높이를 낮추어 자동차 실내 운전석의 공간을 넓힌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고, 단계별 저항값의 선택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동판레일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중심에 발광수단을 입설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상의 발광수단을 중심에 두고 링형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 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는 노브부재;및 상기 노브부재가 위치하는 개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브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개구부의 연부를 따라 형성한 전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커버의 개구부 내측에서 노브부재가 회전되면서 각 기능을 발광표시토록 한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 스위치의 상기 노브부재는,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 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이 일측에 형성되어 두개 일체의 링형 회전부재와; 상기 발광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어 상기 회전부재들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회전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 스위치의 상기 회전부재들은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탄압/슬라이딩하고, 연부를 따라 삽착고리를 수개 형성한 제 1회전체와; 상기 제 1회전체 삽착고리에 걸리는 삽지편을 형성한 제 2회전체로 분리/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 스위치의 상기 회전노브의 중앙 개구부에는 전면에 투시창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렌즈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공간상의 발광수단에 의하여 조명이 이루어지는 푸시버튼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상기 푸시버튼은 하단은 두개의 접촉핀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공간상의 인쇄회로기판의 접속공에 끼워져 누름에 의하여 에어콘등의 전원이 스위칭되게 하는 가이드가 분리/조립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 스위치내 상기 지지부재에는 내측으로 레일홈을 수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이 레일홈에 삽지되는 안내지지편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제 3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는 크게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200)과, 노브부재(300)와, 전면커버(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 하우징(100)에 부착되고, 단계별 저항값의 선택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동판레일(210)을 형성하고, 동시에 그 중심에 발광수단(220)과, 태그스위치(250)를 형성하고, 독립적인 발광수단(220) 및 접속공(240)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링형 지지부재(320)의 내부에 포함시키며, 그 외측으로 다른 발광수단(230)들이 다수 위치하게 한다.
지지부재(320)는 내측이 공간을 이루는 링형의 통체로서 내주벽에는 레일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상의 발광수단(220)들을 내측에 두고 볼트(a)로서 고정되며,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회전부재들과 미끄럼접촉되는 주면을 이룬다.
도 4a에서 도시하는 노브부재(300)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210)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314)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317)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수단(3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341)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룬다.
도 4b에서 도시하는 노브부재(300)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210)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314)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317)이 일측에 형성된 링형 회전부재(310)와, 상기 발광수단(3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341)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어 상기 회전부재(310)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회전노브(340)로 이루어진다. 이 회전노브(340)는 그 표시부(341)의 내측에 렌즈(342)를 더 구비한다.
도 4c에서 도시하는 노브부재(300)의 회전부재(310)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탄압/슬라이딩하고, 연부를 따라 삽착고리(315)를 수개 형성한 제 1회전체(311)와, 상기 제 1회전체(311)의 삽착고리(315)에 걸리는 삽지편(316)을 형성한 제 2회전체(312)로 분리/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회전체(311)의 소정위치에는 접촉롤(313b)을 케이스(313a)에 형성한 탄압/미끄럼부재(313)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탄압/미끄럼부재(313)는 제 1회전체(311)의 회전시 상기 링형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에 밀착회전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전면커버(400)는 상기 전면커버(400)의 개구부 내측에서 노브부재(300)가 회전되면서 각 기능을 발광표시토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브부재(300)가 위치하는 개구부(410)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브부재(300)의 회전위치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개구부의 연부를 따라 형성한다.
상기 푸시버튼(360)은 상기 회전노브(340)의 중앙 개구부에는 전면에 투시창(364)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렌즈(362)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20)의 중심공간상의 발광수단(220)에 의하여 조명이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버튼(360)은 하단에 두개의 접촉핀(354)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20)의 중심공간상의 인쇄회로기판(200)의 접속공(240)에 끼워져 누름에 의하여 에어콘등의 전원이 스위칭되게 하는 가이드(350)가 분리/조립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320)의 내부에는 레일홈(322)을 수개 형성하고,상기 가이드(350)는 이 레일홈(322)에 삽지되는 안내지지편(352)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공조패널 중공스위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00)의 보스부(104)에 인쇄회로기판(200)을 볼트(a)로서 체결하여 고정시킨 뒤 링형 지지부재(320)를 다른 볼트(a)로서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한다. 이때 발광수단(220)이 중심에 오게 되므로 링형 지지부재(320)내부 공간에는 별도 독립적인 전원의 공급으로 발광수단(220)이 발광되게 되며, 이때의 발광은 푸시버튼(360)의 투시창(364)과 렌즈(362)를 통하여 푸시버튼(360)의 푸시에 따른 턴온상태를 점등하게 된다.(도 6,7a 참조)
특히, 푸시버튼(360)은 상술한 바와같이 가이드(350)와 분리/조립 혹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이드(350)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지지편(354)이 인쇄회로기판(200)상의 접속공(240)을 통하여 삽지되면서 가이드(350) 하단의 태그스위치(250)를 태그하여 소정의 턴온 작동을 하며, 푸시버튼(360)표면에 표시된 에어콘등의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태그스위치 접촉후 원복되며, 태그스위치 상면이 탄성력을 가짐) 이때 가이드(350)는 전술한 바와같이 그 외주벽에 형성된 안내레일(352)이 링형 지지부재(320)내벽의 레일홈(322)을 타고 안내된다.
한편, 이와같은 링형 지지부재(320)를 통한 푸시버튼(360)의 턴온 및 점등작동외에 본 발명이 적용된 중공 스위치는 또 다른 조명작동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같이 단계별 저항값의 선택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동판레일(210)에 브러시형의 접촉자(314)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접촉자(314)들에 의하여 동판레일(210)에 접속되면 그 위에 꽂힌 발광수단(317)이 통전되어 또 다른 점등을 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 발광수단(317)의 직상방에는 렌즈(342)가 위치하므로 렌즈(342)를 통하여 불빛이 표시부(341)로 확산/발광되어 회전노브(340)의 야간 회전위치를 선택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노브부재(300)들이 축설된 상태에서 노브부재(300)가 위치하도록 중심에 개구부(410)를 형성하므로 노브부재(300)의 회전위치에 따른 기능표시용 표시부(412)가 전면커버(400) 외측에 형성되므로서 그동안 노브부재 내측에만 표시부를 갖던 고정관념을 탈피하여 노브부재 외측에 표시부를 형성한 특징도 있다.
본 발명의 중공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동판레일을 형성한 뒤 곧바로 여기에 회전접촉자를 구성하도록 하여 종래 동판레일을 갖는 받침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회전노브 구조의 축길이를 줄여 자동차 전면측 공간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즉, 첨부 도면중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중공스위치 축길이가 개선됨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는 본 발명 자동차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상의 동판레일에서 노브부재의 끝사이의 길이"β"에 대하여 도 7b는 종래 인쇄회로기판상의 동판레일상에서 노브부재까지의 길이"β+α"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도 7b에는 받침대(10)가 있으므로 그 길이가 "α"만큼 증가하나, 본 발명은 받침대가 없으므로 "β"길이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같이 스위치의 전체적인 축길이를 감소시킨 것은 종래 로터리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축방향 흔들림을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내구성이 증가될 뿐 아니라 전면패널설치공간을 얇게 설계함에 따른 공간확장의 잇점도 뒤따른다.
이와같은 차이와 함께 노브부재의 내측에 푸쉬버튼을 복합구성하므로서 회전노브의 구조를 하나의 틀에 집합할 수 있게 되어 종래 노브부재와 푸시버튼을 따로 설치함에 따른 전면패널의 배치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는 자동차의 공조판넬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오디오나 비디오등 전자제품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요지 및 상기 실시예에 근거하여 다수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언급하지 아니한 변형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는 외측에 표시수단을 고정하고, 내측에서 노브부재가 돌출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중심부에 푸시버튼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어 회전노브의 설치구조를 노브부재를 중심으로 집합시켜 상기 노브부재들외에 에어컨이나 방향전환등의 스위치등을 별도 설치하여 전면 대시보드상의 공간을 불필요하게 차지하는 단점을 개선함은 물론 중공스위치의 중심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동판레일을 형성한 뒤 곧바로 여기에 회전접촉자를 구성하도록 하여 종래 동판레일을 갖는 받침부재를 적층함에 따른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회전노브 구조의 축길이를 줄여 스위치의 축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으며, 자동차 전면 공간도 넓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중공스위치용 조명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노브부재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제 3실시예가 적용된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 자동차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상의 동판레일에서 노브부재의 끝사이의 축길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종래 자동차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상의 동판레일에서 받침대를 거쳐 노브부재 끝까지의 축길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하우징, 102:체결편, 104:보스부,200:인쇄회로기판,
210:동판레일,220:발광수단,300:노브부재, 310:회전부재,
311:제 1회전체,312:제 2회전체,313:미끄럼부재, 313a:접촉롤,
313b:케이스,314:접촉자,315:삽착고리,316:삽지편, 317:발광수단,
320:지지부재,322: 레일홈,340:회전노브, 342:렌즈,350:가이드,
352:안내레일, 354:안내지지편,360:푸시버튼,362:렌즈,364:투시창,
400:전면커버,410:개구부,412:표시부,

Claims (7)

  1.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에 있어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에 부착되고, 단계별 저항값의 선택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직경이 다른 동판레일(210)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중심에 발광수단을 입설한 인쇄회로기판(200);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상에 고정되는 링형의 지지부재(320);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210)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314)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317)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수단(3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341)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는 노브부재(300);및
    상기 노브부재(300)가 위치하는 개구부(410)를 형성함과 아울러 노브부재(300)의 회전위치에 따른 기능을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개구부의 연부를 따라 형성한 전면커버(400)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커버(400)의 개구부 내측에서 노브부재(300)가 회전되면서 각 기능을 발광표시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부재(300)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회전슬라이딩 가능하게 탄착되고, 상기 동판레일(210)상면을 회전/접촉하는 접촉자(314)가 그 저면측에 형성되며, 이것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접속된 발광수단(317)이 일측에 형성된 링형 회전부재(310)와;
    상기 발광수단(317)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부(341)가 형성되고 그 외측이 손잡이를 이루어 상기 회전부재(310)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회전노브(3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310)는 상기 지지부재(320)의 외주면을 탄압/슬라이딩하고, 연부를 따라 삽착고리(315)를 수개 형성한 제 1회전체(311)와; 상기 제 1회전체(311)의 삽착고리(315)에 걸리는 삽지편(316)을 형성한 제 2회전체(312)로 분리/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브(300)의 중앙 개구부에는 전면에 투시창(364)을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렌즈(362)를 내장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20)의 중심공간상의 발광수단(220)에 의하여 조명이 이루어지는 푸시버튼(3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360)은 하단은 두개의 접촉핀(354)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320)의 중심공간상의 인쇄회로기판(200)의 접속공(240)에 끼워져 누름에 의하여 에어콘등의 전원이 스위칭되게 하는 가이드(350)가 분리/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320)의 내부에는 레일홈(322)을 수개 형성하고,상기 가이드(350)는 이 레일홈(322)에 삽지되는 안내레일(3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7. 제 2항에 있어서,
    회전노브(340)는 그 표시부(341)의 내측에 렌즈(3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 패널의 중공스위치.
KR10-2003-0018881A 2003-03-26 2003-03-26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KR10047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81A KR100474092B1 (ko) 2003-03-26 2003-03-26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881A KR100474092B1 (ko) 2003-03-26 2003-03-26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68A KR20040084068A (ko) 2004-10-06
KR100474092B1 true KR100474092B1 (ko) 2005-03-10

Family

ID=3736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881A KR100474092B1 (ko) 2003-03-26 2003-03-26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513A (zh) * 2008-06-20 2011-05-25 法雷奥热系统公司 在机动车控制面板上实现控制功能的控制设备和相应的控制面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193B1 (ko) * 2004-11-29 2006-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중공 로터리 스위치
KR100721236B1 (ko) * 2005-10-21 2007-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중 부위 조명 타입 로타리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용전장품
KR100747840B1 (ko) * 2005-11-14 2007-08-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무드 조명용 로터리 스위치 구조
KR101244012B1 (ko) * 2010-11-01 2013-03-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KR102019781B1 (ko) * 2018-07-26 2019-09-10 한상현 자동차용 공조패널 컨트롤 스위치 결합 방법
KR102019778B1 (ko) * 2018-07-26 2019-09-10 한상현 자동차용 공조패널 컨트롤 스위치 결합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6513A (zh) * 2008-06-20 2011-05-25 法雷奥热系统公司 在机动车控制面板上实现控制功能的控制设备和相应的控制面板
CN102076513B (zh) * 2008-06-20 2014-04-23 法雷奥热系统公司 在机动车控制面板上实现控制功能的控制设备和相应的控制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068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406B1 (ko) 조작 버튼
US6667446B1 (en) Rotary knob device with a key function
EP1518726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H09320381A (ja) スイッチのノブ照明装置
KR20050030140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KR100474092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JP4104212B2 (ja) 複合スイッチ装置
KR100515261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JP2000173379A (ja) 照光押釦スイッチ装置
KR101645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4268060B2 (ja) 車載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299574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200353637Y1 (ko)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조명장치
JP2004221078A (ja) Ledインジケータ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454123B2 (ja) 照明付表示ダイヤル装置
JP7136677B2 (ja) 操作装置
KR200340570Y1 (ko) 발광소자 직결형 회전식 스위치
JP4064153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KR100220123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스위치노브
JP200619627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外筐構造
JP2004281203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KR20040086862A (ko) 자동차용 복합식 스위치의 시인성 향상 구조
KR100495078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로터리스위치
KR200402148Y1 (ko) 차량용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