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51A - X선관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X선관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51A
KR20110004351A KR1020107009719A KR20107009719A KR20110004351A KR 20110004351 A KR20110004351 A KR 20110004351A KR 1020107009719 A KR1020107009719 A KR 1020107009719A KR 20107009719 A KR20107009719 A KR 20107009719A KR 20110004351 A KR20110004351 A KR 20110004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display body
base
axis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오 세이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10004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2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Abstract

[과제] 조작 핸들을 파지하며, 표시체를 보는 조작자가, X선관의 자세에 상관없이, 표시체에 표시되는 촬상 관련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천정 또는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가대와, 상기 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를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에서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X선관과,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더 선단측에 부착되어, X선관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을 향하는 조작자가 이와 대치하여 볼 수 있게 하고,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X선관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회동축에 축지지되어,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의 회동축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을 우회하는 상태로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 배치되고, 기초부에 대하여 표시체를 연결시키고, 또한 기초부에 대하여 X선관이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표시체는 상기 기초부의 자세에 대응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되지 않고, 상기 표시체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기초부와 상기 표시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X선관 유지장치{X-RAY TUB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인체, 가축 등의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여 촬상하는 X선관을 유지하는 X선관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에 대해서, 도 8∼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와 선자세 촬영대(170)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와 수평식 촬영대(175)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 초기 상태의 표시체(160)와 촬상부(142)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 (b)는, 도 8에 도시한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 초기 상태에 대해서, 표시체(160) 및 촬상부(142)를 90도 회동했을 때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도 10에 도시한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는, 천정의 X-Y 방향에 설치된 고정 레일(122) 및 이동 레일(123) 상으로부터, 현수대(131)(가대)에 의해서 매달려 상하로 자유로이 신축하는 지주(支柱)(132)(수직축)와, X선관장치 (140)와, 조작 스위치(153,154), 및, 조작 핸들(151,152)을 설치한 조작반(150)과, X선관장치(140)와 조작반(150)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주(132)에 부착하는 부착 블록(133)(기초부)과,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160)를 구비한다. 고정 레일(122)은, 고정구(121)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고, 지주(132)는, 현수대(131)에 의해서 이동 레일(123)에 부착되어 있다. X선은 촬상부(142)로부터 도 10(a)의 하방을 향하여 조사된다.
이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조작 핸들(151,152) 상의 조작 스위치(153,154)를 조작함으로써, X선관장치(140), 조작반(150), 및 표시체(160)가 일체가 되고, 부착 블록(133)(기초부)로부터 이어지는 수평축(133c)의 둘레를 θ2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블록(133)(기초부)은, 조작 핸들(151,152) 상의 조작 스위치 (153,154)를 조작함으로써, X선관장치(140), 조작반(150), 및 표시체(160)와 함께, 지주(132)의 중심축의 둘레를 θ1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게다가 부착 블록 (133)(기초부)은, 조작 스위치(153,154)를 조작함으로써 지주(132)를 현수대(131)에 대하여 신축하고, 이에 따라 그 높이를 Z방향에서 자유로이 승강시켜, X선관장치(140)의 천정에 대한 높이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X선관장치 (140)의 전체는, 조작 스위치(153,154)를 조작함으로써 고정 레일(122)에 대하여 이동 레일(123)을 X방향으로 이동 조작하고, 또한 이동 레일(123)에 대하여 현수대 (131)(가대)를 Y방향으로 이동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X선관장치(140)를 촬영실 내의 천정에 대하여 XY방향 임의의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임의의 높이 위치, 임의의 방향을 향하는 것이 가능해져, 예를 들면, 선자세 촬영대(170) 앞의 피촬영체(도 9(a))를 전방으로부터, 또는, 수평식 촬영대(175) 상의 피촬영체의 상방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조작자(X선기사 등)는, 표시체(160)의 앞면측에 서며, 표시체(160)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 스위치(153,154)를 조작하여, 피촬영체를 향해 촬상부(142)를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조작자는 조작 스위치(153,154)를 메뉴얼 모드로 전환 조작하여, X선관장치(140)의 천정에 대한 XY방향으로의 수평 이동, Z방향으로의 승강 이동, θ1 방향으로의 회동, θ2 방향으로의 회동을 수동으로 행하여, 피촬영체에 대한 촬상부(14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조작자는 표시체(160)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터치 스위치에 접촉하여,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관(142)을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장치는, 마루면 상을 전진후퇴하여, 촬영실의 마루면에 대하여 XY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는 대차(221)(가대)와, 대차(221)의 전방에 선회할 수 있도록 유지된 지주(222)(수직축)와, 한쪽의 단을 지주(222)에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된 X선관 유지기구(230)와, X선관 유지기구(230)의 다른쪽 단에 유지된 X선관(242)과, 조작 스위치(253,254), 및, 조작 핸들(251,252)을 설치한 조작반(250)과,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260)를 구비한다. X선은 X선관(242)으로부터 도 11 및 도 12의 하방을 향하여 조사된다.
이 X선 촬영장치에서는, 조작 핸들(251,252) 상의 조작 스위치(253,254)를 조작함으로써, X선관(242), 조작반(250), 및 표시체(260)가 일체가 되고, X선관 유지기구(230)로부터 이어지는 수평축(230c)의 둘레를 θ2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X선관 유지기구(230)는, 조작 핸들(251,252) 상의 조작 스위치(253,254)를 조작함으로써, X선관(242), 조작반(250), 및 표시체(260)와 함께, 지주(222)의 중심축의 둘레를 θ1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지주(222)에 대하여 Z방향으로 승강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조작자는, 촬영실의 마루면에 대하여 대차(221)(가대)를 전진후퇴시켜, X선 촬영장치의 전체를 XY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조작자는, 표시체(260)의 앞면측에 서며, 표시체(260)의 화면을 보면서 조작 스위치(253,254)를 조작하여,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관 (242)를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조작자는 조작 스위치 (253,254)를 메뉴얼 모드로 전환 조작하여, X선관(242)의 Z방향으로의 승강 이동, θ1 방향으로의 회동, θ2 방향으로의 회동을 수동으로 행하여, 피촬영체에 대한 X선관(242)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조작자는 표시체(26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터치 스위치에 접촉하여,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관 (242)을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X선관(242)을 임의의 방향을 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평식 촬영대(275) 상의 피촬영체의 상방으로부터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 및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장치를 포함한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X선관을 회동시켜 촬영하면, 예를 들면 도 10(a)로부터 (b)로 변화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과 일체가 된 표시부도 회동하게 되어, 조작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촬상 관련 정보를 적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디지털의 숫자 표시가 90도 경사지게 됨으로써, 예를 들면 숫자 '9'와 '6'을 오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아날로그 미터에 대해서도, 조작자의 눈으로 보아 다른 감각을 기억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버튼의 방향을 잘못 조작해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조작자는, 표시체의 앞면측에 서서, 표시체상의 촬상 관련 정보를 보면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내용에 정신을 뺐겨 조작 스위치를 오작동시키거나, 반대로 조작 스위치에 정신을 뺐겨 표시 내용을 오인식해 버리는 등의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 스위치를 메뉴얼 모드로 전환 조작하여, X선관의 Z방향으로의 승강 이동, θ1 방향으로의 회동, θ2 방향으로의 회동을 수동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X선관 전체의 가동 저항이 1∼2kg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조작 환경에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장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조작 스위치를 O도와 90도 경사진 상태의 2종류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표시체의 경사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표시체의 표시를 0도 상태로부터 90도 경사진 상태에서 화면을 0도와 같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5-21470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8-61944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5-6594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센서나 소프트웨어를 구비하게 하면, X선관 유지장치의 제조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회동시에 표시체의 표시부의 표시 내용이나 조작 스위치를 변경한다고 해도, 초기 상태와 회동후의 상태는, 표시부의 표시 정보의 배치, 크기, 조작 스위치의 배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조작자는 표시된 정보를 신속히 인식할 수 없거나, 또는 조작 스위치를 즉시 선택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게다가, 특허문헌 3에 기재된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표시체에서의 촬상 관련 정보의 표시가, 센서에서의 각도 검지에 따라, 0도의 상태로부터 90도 경사진 상태로 전환되는 2개의 표시 버전 밖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표시체가 45도 부근의 중간 상태로 경사진 상태에서는, 조작자는 여전히 표시 내용을 오인하기 쉬운 불량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정에 현수되거나, 또는 마루면 위를 캐스터에 의해 주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배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로 승강 가능할 수 있는 기초부를 구비하여,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X선관과,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더 선단측에 부착되어, X선관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을 향하는 조작자가 이와 대치하여 볼 수 있게 하고,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X선관 유지장치로서, 촬영실 내를 X방향, Y방향으로 수평 이동되고, 또한 승강축에 의해 천정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Z방향)으로 승강되고, 게다가, X선관을 승강축에 수직인 방향에 따른 축의 둘레로 회동시키는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에 있어서, 조작 핸들을 파지하며 표시체를 보는 조작자가, X선관의 자세에 상관없이, 표시체에 표시되는 촬상 관련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촬상 관련 정보의 오인식, 나아가서는 X선관 유지장치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선관 유지장치의 조작성의 향상과, 신속하고 정확한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는, 천정 또는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가대와, 상기 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를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에서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X선관과,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더 선단측에 부착되어, X선관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을 향하는 조작자가 이와 대치하여 볼 수 있게 하고,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X선관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회동축에 축지지되어,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의 회동축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을 우회하는 상태로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 배치되고, 기초부에 대하여 표시체를 연결시키고, 또한 기초부에 대하여 X선관이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표시체는 상기 기초부의 자세에 대응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되지 않고, 상기 표시체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기초부와 상기 표시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X선관의 기단측을,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하는 동시에, 다른쪽 X선관의 표시체의 측면에 있는 선단측을, 상기 회동축과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고,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배치되며, 회동축의 둘레가 회동되는 X선관을, 그 선단측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축으로써 축지지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X선관을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그 기단측을, 회동축의 축 둘레에 지지하여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기단측 고정판과, 그 선단측을,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되어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선단측 고정판의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양 고정판에 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 사이에, 이들 양 고정판에 지지되는 복수의 프레임재를 배치하고,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 배치되는 X선관을, 이들 복수의 프레임재로 지지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기초부와 상기 표시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기초부로부터 표시체에 대하여,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의 회동축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을 우회하는 상태로 표시체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는 연결 아암으로 하고, 상기 연결 아암은 기단측을 기초부에 지지하고, 선단측에 표시체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연결체를, 상기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이 관통되어 양판에 축지지되는 연결축으로 하고, 상기 연결축의 기초부측에는 기초부에 고정된 기단측 기어와 서로 맞물리고, 연결축이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의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에 대한 회동에 따라서, 상기 기단측 기어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을 축지지하고, 다른쪽 연결축의 선단측에는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고정된 선단측 기어와 서로 맞물려, 연결축이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의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에 대한 회동에 따라서, 상기 선단측 기어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을 축지지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기단측 기어 및 선단측 기어를 동일한 바깥지름, 동일한 치형(齒形)·치수(齒數)로 하고, 중심축을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과 동일축선 상에 설정하는 동시에, 이들 기어와 각각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도 동일한 바깥지름, 동일한 치형·치수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X선관 유지장치는, 상기 표시체에,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X선관을 회동시켜 자세를 변경했다고 해도, 조작자가, 촬상 관련 정보를 오인식하거나 X선관 유지장치를 잘못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체에 표시되는 촬상 관련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X선관 유지장치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속하고 정확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축부, 기초부, X선관, 조작 핸들, 및 표시체의 배치를 도시한, 전방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축부, 기초부, X선관, 조작 핸들, 및 표시체의 배치를 도시한, 후방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및 조작 핸들을, 기초부에 대하여 9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전방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 도 5의 Ⅵ-Ⅵ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 (a)는, 초기 상태에서의 X선관, 조작 핸들, 및 표시체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 (b)는, 기초부에 대하여 X선관 및 조작 핸들을 9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종래의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a)는,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와 선자세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와 수평식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a)는,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 초기 상태의 표시체와 촬영부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 (b)는, 종래의 X선관 유지장치에서, 초기 상태에 대하여, 표시체 및 촬영부를 90도 회동했을 때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종래의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 종래의 마루면 주행 타입의 X선 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는, 본 발명을, 천정 현수 타입의 X선관 유지장치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차를 이용하여 마루면을 주행시켜 X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입이나, 마루면에 고정된 레일상을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한 타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는, 가대(20)와, 승강축(30)과, 기초부(33)와, X선관(40)과, 조작 핸들(50)과, 표시체(6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 각 부재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대(20)는, 천정(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지지구(21)에 고정되어, 천정면에 수평인 면내에서 X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X레일(22)과, 이 X레일(22)에 대하여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천정면에 수평인 면내에서 Y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된 Y레일(23)을 구비한다. 즉, 가대(20)는, 천정에 대하여 X방향 및 Y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Y레일(23)에는, 접속 기초부(31)가 부착되고, 상기 접속 기초부(31)에는 수직축으로서의 승강축(30)이 부착되어 있다. 접속 기초부(31)는, Y레일(23)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Y레일(23)이 X레일(22)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접속 기초부(31)는, 천정에 대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축(30)은, 접속 기초부(31), 축부(32), 및 기초부(33)를 구비한다. 축부 (32)는, 접속 기초부(31)로부터 수직 하향으로 이어져, 접속 기초부(31)를 기단에 그 하단측을 수직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축부(32)가 신축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축부(32)의 하단에는, 축부(32)의 축선(32c)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각도 θ1), 기초부(33)가 고정되며, 상기 기초부(33)는, 축부(32)의 신축에 의해서 상하(Z방향)로 승강이 가능한 동시에, X레일(22) 및 Y레일(23)을 따라서, 천정에 대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θ1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33)에는, 수평방향에서 기초부(33)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에서의 선단측에 X선관(40)이 부착되어 있다. 즉, X선관(40)은, 기초부(33)에 대하여, 축부(32)의 축선(32c)에 수직으로서, 기초부(33)측으로부터 수평방향에서의 선단측으로 이어져 X선관(40)의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 회동축 (40c)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게 된다(각도 θ2). X선관(40)은, X선관 상자체(41)와 촬상부(42)를 구비한다. 촬상부(42)는, X선관 상자체(41)내에 고정되어 있으며(도 6), 피촬영체를 향하여 도 7(a)의 하방에 X선을 조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2는, 축부(32), 기초부(33), X선관(40), 조작 핸들(50), 및 표시체(60)의 배치를 도시한, 전방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축부(32), 기초부(33), X선관(40), 조작 핸들(50), 및 표시체(60)의 배치를 도시한낸, 후방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기초부(33)에 대하여 회동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X선관(40) 및 이것을 덮는 X선관 상자체(41)의 내부에는, 도 5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40)의 회동축(40c)의 축선과 직교하는 상태로 세워 설치되고, 기초부(33)와의 사이에서의 기초부 기단측에 기단측 고정판(43b)을, 기초부 (33)와 표시체(60) 사이에서의 표시체(60)의 배면측에 선단측 고정판(41a)을 각각 배치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33)의 내부에는, 스텝 모터(M)가 배치되고, 상기 모터(M)의 회동축(36)은 구멍부(37a)로부터 X선관(40)의 회동축 (40c)을 따라서 선단측을 향하여 연이어 설치·배치된다. 스텝 모터(M)의 회동축 (36)에는, 키(K)가 사이에 끼워져 상기 기단측 고정판(43b)이 고정 상태로 축지지된다. 즉, 기단측 고정판(43b)은 스텝 모터(M)의 구동에 의한 회동축(36)의 축 둘레의 회동에 따라서, X선관(40)의 회동축(40c)의 축 둘레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X선관(40)의 표시체(60)측에 있는 선단측 고정판(41a)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체(60)의 기초부(33)측(이면측)의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X선관(40)의 회동축(40c)과 동일축선 상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지축(66)에 대하여, 사이에 베어링(48)을 장착시킨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된다.
즉,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에 배치되는 X선관(40){X선관 상자체(41)도 포함한다}은, 이들 2개의 고정판(43b,41a)의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양 고정판 (43b,41a)에 지지되게 되고,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X선관(40)은 양단을 각 고정판(43b,41a)에 지지된 복수매의 프레임재(F)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각 고정판 (43b,41a)에 지지된다(도 5, 도 6 참조).
이 결과, X선관(40), X선관 상자체(41), 각 고정판(43b,41a)의 전체가 스텝모터(M)의 구동 등에 기초하여, 회동축(36)의 회동 구동에 대응하여 X선관(40)의 회동축(40c)을 중심으로 θ2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초부(33)에 대한 기단측과, 기초부(33)에 대한 선단측의 표시체 (60)의 이면측의 사이에서 각 축(36,66) 사이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X선관(40)은, 내부에 배치되는 X선관구(球)에 실체로서 존재하는 X선관(40)의 회동축(40c)이 관통하는 경우도 없고, 실제로는 각 축(36,66)에 각각 선단·기단의 각 단부가 지지되어, 가상적으로 설정되는 회동축(40c)을 중심으로 θ2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선단측 고정판(41a)의 표시체(60)측에는, 조작 핸들(50)이 부착되어 있다. 조작 핸들(50)은, 표시체(60)를 끼우도록, X선관 상자체(41)의 선단측 고정판(41a)의 좌우 양단에 각각 고정된 조작부(53,54)와, 조작부(53,54)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이어지는 핸들부(51,52)를 구비한다. 조작부(53,54)는 측면에 수평 이동, 상하 이동, 및 회동에 각각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X선관 유지장치(10)의 조작자가, 원하는 동작에 따라 조작부(53,54)의 해당면을 조작함으로써, X선관(40), 조작 핸들(50), 및 표시체(60)는, 수평 이동, 상하 이동 및/또는 회동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X선관(40)의 회동축(40c)의 둘레에 90도 회전(θ2=90)시키는 것에 의해, 촬상부(42)의 조사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기초부(33)에 대하여 9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표시체(60)는, 앞면에 표시 패널(61)을 구비한다. 표시 패널(61)에는, 촬상 관련 정보(예를 들면, 촬영 조건, 피촬영체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 표시 패널(61)로서는, 액정 터치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자(X선 기사 등)는, 표시체(60)의 표시 패널(61)의 선단측에 있다. 즉, 조작자는 X선관(40)의 기초부 (33)에 대한 더 선단측에서, 기초부(33)의 방향을 향하여 표시체(60)와 대치하면서 촬영실 내의 마루면에 서서, 표시 패널(61)에 표시된 촬상 관련 정보를 보면서 조작 핸들(50)의 조작부(53,54)를 조작하게 된다. 또한, 조작자는, 표시체(60)의 표시 패널(61)에 표시된 터치 센서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또한 도 7(a), (b)에 도시되며, 표시 패널(61)의 둘레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부(53,54)에 배치되는 스위치와 마찬가지로 X선관(40)을 수평 이동, 상하 이동, 및 회동하기 위한 대응하는 스위치(S)(조작부:도 7)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중의 도 5, 도 6을 참조하여,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에서, 회동축(36)에 축지지되며,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에서 가상적으로 설정되는 X선관(40)의 회동축(40c)을 우회하는 상태로,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에 배치되어, 기초부(33)에 대하여 표시체(60)를 연결시키고, 또한 기초부(33)에 대하여 X선관(40)이 회동축(40c)의 둘레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표시체(60)는 상기 기초부(33)의 자세에 대응하여 회동축(36)의 둘레에 회동되는 일이 없이, 상기 표시체(60)의 자세를 유지하는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이 기구는, 상기 기초부 (33)와 상기 표시체(6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표시체(60)의 자세를 기초부(33)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X선관(40)과 이것에 연동하는 조작 핸들(50)이 X선관(40)에서의 회동축(40c)의 둘레를 θ2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기초부(33)의 자세에 대응하여 표시체(60)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기초부(33)와 표시체(6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기초부(33)의 X선관 상자체(41)측의 바깥면에는, 기초부(33)에 지지되는 상태로 기초부측 기어(37)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표시체(60)의 X선관 상자체(41)측의 이면에는, 표시체측 기어(67)가 표시체(60)에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기초부측 기어(37) 및 표시체측 기어(67)는, 동일한 바깥지름의 원판의 바깥둘레에, 동일 피치의 치형·치수로써 형성한 것으로서, 중앙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37a,67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67a)에는, 회동축(40c) 상에 대응하는 지축(66)의 일단이 삽입 통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축(66)은 기단측에서 상기 선단측 고정판(41a)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에 베어링(48)을 장착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기초부(33)측의 구멍부(37a)에는, 축선이 회동축(40c) 상에 있도록, 기초부(33)측에 고정되는 스텝 모터(M)로부터 이어지는 축(36)이 삽입 통과되고 있다. 이 축(36)의 선단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측 고정판(43b)이 키(K)가 사이에 끼워져 고정 상태로 축지지되어, 기단측 고정판(43b)을 기초부(33)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X선관 상자체(41)내에는,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에, 특히 X선관(40)의 관구가 존재하고, 위치하는 회동축(40c)을 위쪽으로 우회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X선관(40)이나 촬상부(42)에 간섭하지 않는 기단측 고정판(43b)과 선단측 고정판 (41a) 사이의 상방 위치에서, 표시체측 기어(67)와 기초부측 기어(37)의 바깥둘레 위치에 도달하는 연결축(44)이 삽입 통과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체로서의 연결축 (44)은, 표시체(60)와 기초부(33) 사이에 배치되어, 양자를 서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축(44)은, 기단측 고정판(43b)과 선단측 고정판(41a) 사이에 X선관 (40) 및 X선관 상자체(41)를 끼우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X선관(40)의 회동축 (40c) 위쪽에 우회시키는 상태로 각각 기단측 고정판(43b), 및 선단측 고정판(41a)을 관통하여 양 판(43b,41a)에 지지되는 연결축(44)은, 각 단부에 피니언(45,46)이 축지지되어, 기초부측 기어(37) 및 표시체측 기어(67)가 대응하는 상태로 각각 서로 맞물리고 있다. 여기서, 각 피니언(45,46)도, 동일 피치의 치형·치수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기초부(33)에 대하여 X선관(40)이 회동축(40c)의 둘레에 회동된 상태에서도, 표시체(60)를 상기 기초부(33)의 자세에 대응하여 회동축(36)의 둘레에 회동시키지 않으며, 상기 표시체(60)의 자세를 유지하는 기구는, 기초부측 기어 (37), 연결축(44), 피니언(45,46), 표시체측 기어(67)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즉,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이 X선관(40)에서의 회동축(40c)의 둘레를 θ2 방향으로 회동하는 상태에서도, 조작자의 앞면측에 있는 표시체(60)가 θ2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고, 기초부(33)와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초부 (33)와, 조작자가 그 앞면측에 서있는 표시체(60) 사이에 존재하고, 그러한 위치 관계에 있는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표시체(60)가 자세를 유지하면서, 조작 핸들(50)의 조작에 의해 회동축(40c)의 둘레를 θ2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결축(44)은, 피니언(45) 및 기초부측 기어 (37)를 사이에 끼워 기초부(33)를 지지하는 동시에, 피니언(46) 및 표시체측 기어 (67)를 사이에 끼워 표시체(6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회동축(40c) 상에, 축(36) 및 축(66)의 축선을 배치하고, 또한, 축선이 회동축(40c)에 평행이 되도록 연결축 (44)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핸들(50)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텝모터 (M)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축(36)이 회전 구동하여 회동축(40c)의 둘레에 X선관 (40) 및 조작 핸들(50)이 θ2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45) 및 피니언(46)이 기초부측 기어(37) 및 표시체측 기어(67)의 바깥둘레와 각각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이동한다. 또한, X선관 상자체(41)와 표시체(60)가 베어링(48)이 사이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체측 기어(67)는, 피니언(46)이 이동한 궤적분만큼 표시체측 기어(67)의 둘레를 자전한다. 마찬가지로, 기초부측 기어 (37)에 대해서도, 기초부(33)에 대하여 상대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니언(45)이 회전이동한 궤적분만큼 축(36)의 둘레를 자전한다. 즉, 연결축(44)의 기초부 (33)측에 고정되는 기단측 기어(37)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45)은, 연결축(44)이 기단측 고정판(43b)과 선단측 고정판(41a)의 축선(40c)을 중심으로 θ2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기단측 기어(37)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게 된다. 다른쪽 연결축(44)의 선단측에 고정된 표시체측 기어(67)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46)은, 연결축(44)이 기단측 고정판(43b)과 선단측 고정판(41a)의 축선(40c)을 중심으로 θ2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체측 기어(67)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 핸들(50)의 조작부(53,54)나 표시체(60)내의 표시 패널(61)의 둘레부에 배치되는 스위치(S)(조작부: 도 7)의 조작에 의해서,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회동축(40c)의 둘레로 회동시켜 촬상부(42)를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경우에, 이 회동에 상관없이, 기초부(33)의 자세에 대응하여 표시체(6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초부(33)에 대하여 그 방사 방향에서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X선관(40)을 θ2 방향으로 조작자가 회동 조작하는 상태에서도, X선관(40)의 더 선단측에 있는 표시체(60)의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 또한 표시체 (60)의 앞면측에 서는 조작자는, 표시체(60)의 표시 패널(61)에 표시된 촬상 관련 정보를 보면서 조작 핸들(50)의 조작부(53,54), 스위치(S)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그 때, 표시체(60)의 자세는 기초부(33)의 자세에 대응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한 초기 상태에 대해서, 도 7(b)에 도시한 90도 회동한 상태에서의 표시체(60)의 자세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X선관(40)의 방향을 변경해도 표시체(60)의 자세가 일정하기 때문에, 표시체(60)의 앞면측에 서서, 표시 패널(61)에 표시된 촬상 관련 정보를 보는 조작자가, 표시체(60)의 표시 내용을 오인식하거나 잘못된 조작을 해 버릴 우려가 없다. 여기서, 도 7(a)는, 초기 상태에서의 X선관(40), 조작 핸들(50), 및 표시체(60)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 (b)는, 기초부(33)에 대하여 X선관(40) 및 조작 핸들(50)을 90도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X선관 유지장치(10)에서는, 기초부측 기어(37)와 피니언 (45), 및, 표시체측 기어(67)와 피니언(46)과 같은 기어의 조합을 이용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체인과 스프로킷이나, 벨트와 풀리와 같은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어(37과 67), 피니언(45와 46)은 동일 피치의 치형·치수로 형성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양 기계요소는 반드시 동일 형태의 것으로 할 필요는 없고, 표시체가 기초부측에 대해 동기(同期)하여 고정 가능한 기구라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 핸들(50)을 파지하여, X선관(40)을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촬상실내를 이동 조작하고, 또한 기초부(33)에 대하여, X선관(40)을 θ2 방향으로 회동(요동) 조작하여, X선관(40)의 촬상부(42)를 피촬영체를 향하여 상방으로 지향시키기 위해 회동하는 상태에서도, 조작자가 보는 표시체(60)는 회동되지 않고, 표시체(60)에 표시되는 촬상 관련 정보를 적확하게 파악하여, X선관 유지장치(1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X선관(40), X선관 상자체(41), 각 고정판(43b,41a)의 전체를 기초부(33)의 기단측에서 스텝모터(M)의 회동축(36)에 축지지하고, 또한 선단측을 지축(66)에 축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X선관(40)을 회동축(36)에만 외팔보로 축지지시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연결체로서의 연결축 등을 이용하지 않고, 기초부(33)와 상기 표시체(6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연결체는, 기초부 (33)로부터 표시체(60)에 대하여, 기초부(33)와 표시체(60) 사이의 회동축(40c)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40)을 우회하는 상태에서 표시체(60)측에 연이어 설치되는 외팔보의 연결 아암으로 하고, 상기 연결 아암은 기단측을 기초부(33)에 지지하고, 선단측에 표시체(60)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로 하면 좋다.
10 : X선관 유지장치
20 : 가대
21 : 지지도구
22 : X레일
23 : Y레일
30 : 승강축
31 : 접속 기초부
32 : 축부
32c : 축선
33 : 기초부
36 : 축
37 : 기초부측 기어
40 : X선관
40c : 회동축
41 : X선관 상자체
42 : 촬상부
44 : 연결축
45, 46 : 피니언
48 : 베어링
50 : 조작 핸들
51, 52 : 핸들부
53, 54 : 조작부
60 : 표시체
61 : 표시 패널
66 : 축
67 : 표시체측 기어
M : 스텝 모터

Claims (8)

  1. 천정 또는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는 가대와, 상기 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고, 또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를 중심으로 한 방사 방향에서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되어, 피촬영체를 향하여 X선을 조사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X선관과,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더 선단측에 부착되어, X선관의 선단측에 있으며, 기초부측을 향하는 조작자가 이와 대치하여 볼 수 있게 하고, 촬상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구비하고,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구성되는 X선관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회동축에 축지지되어,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의 회동축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을 우회하는 상태로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 배치되고, 기초부에 대하여 표시체를 연결시키고, 또한 기초부에 대하여 X선관이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표시체는 상기 기초부의 자세에 대응하여 회동축의 둘레로 회동되지 않고, 상기 표시체의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기초부와 상기 표시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X선관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X선관의 기단측을, 기초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이어지고, 수평방향에 따른 회동축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축지지하는 동시에, 다른쪽 X선관의 표시체의 측면에 있는 선단측을, 상기 회동축과 동일축선 상에 배치되고,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배치되어, 회동축의 둘레가 회동되는 X선관을, 그 선단측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축으로써 축지지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X선관을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서, 그 기단측을 회동축의 축 둘레에 지지하여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기단측 고정판과, 그 선단측을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배치되는 상기 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되어 회동축의 회동에 따라서 회동하는 선단측 고정판의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양 고정판에 지지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의 사이에, 이들 양 고정판에 지지되는 복수의 프레임재를 배치하고, 상기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에 배치되는 X선관을, 이들 복수의 프레임재에 지지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초부와 상기 표시체를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연결체를, 기초부로부터 표시체에 대하여, 기초부와 표시체 사이의 회동축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 X선관을 우회하는 상태로 표시체의 측면에 연이어 설치되는 연결 아암으로 하고, 상기 연결 아암은 기단측을 기초부에 지지하고, 선단측에 표시체를 고정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연결체를, 상기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이 관통되어 양판에 축지지되는 연결축으로 하고, 상기 연결축의 기초부측에는 기초부에 고정된 기단측 기어와 서로 맞물려, 연결축이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의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에 대한 회동에 따라서, 상기 기단측 기어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을 축지지하고, 다른쪽 연결축의 선단측에는 표시체의 기초부측에 고정된 선단측 기어와 서로 맞물려, 연결축이 기단측 고정판과 선단측 고정판의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에 대한 회동에 따라서, 상기 선단측 기어 상을 공전하는 상태로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피니언을 축지지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기단측 기어 및 선단측 기어를 동일한 바깥지름, 동일한 치형·치수로 하고, 중심축을 회동축의 축선, 및 지축의 축선과 동일축선 상에 설정하는 동시에, 이들 기어와 각각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도 동일한 바깥지름, 동일한 치형·치수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에, 기초부에 대한 X선관의 선단측에 있는 조작자가, 상기 X선관을, 적어도 기초부에 대하여 회동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상기 천정 또는 상기 마루면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게 하거나, 혹은 수직축의 축선의 둘레를 회동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 X선관 유지장치.
KR1020107009719A 2008-05-09 2008-08-01 X선관 유지장치 KR20110004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23607 2008-05-09
JPJP-P-2008-123607 2008-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51A true KR20110004351A (ko) 2011-01-13

Family

ID=4126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719A KR20110004351A (ko) 2008-05-09 2008-08-01 X선관 유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49183B2 (ko)
JP (1) JPWO2009136452A1 (ko)
KR (1) KR20110004351A (ko)
CN (1) CN101990416B (ko)
WO (1) WO2009136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351A (ko) * 2008-05-09 2011-01-13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세이사쿠쇼 X선관 유지장치
JP5503386B2 (ja) * 2010-04-12 2014-05-28 株式会社大林製作所 X線管の保持装置
US8755492B2 (en) 2010-10-06 201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graph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57080B2 (en) 2010-10-06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graphic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7780B1 (ko) * 2010-10-06 2014-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CN102072708B (zh) * 2010-11-16 2012-01-04 杨诚 一种光学检测装置
JP6176832B2 (ja) * 2013-04-18 2017-08-09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支持器及びx線診断装置
US20160220219A1 (en) * 2015-02-02 2016-08-04 Carestream Health, Inc. Auto-positioning for in-room radiography apparatus
JP6559966B2 (ja) * 2015-02-04 2019-08-1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CN107847203A (zh) * 2015-07-21 2018-03-27 富士胶片株式会社 放射线照射装置、放射线照射装置的控制方法以及程序
US10952689B2 (en) * 2016-06-10 2021-03-23 Principle Imaging Corporation Multi-axis linear X-ray imaging system
US10849582B2 (en) * 2016-08-29 2020-12-01 Shimadzu Corporation Holding mechanism f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apparatus
WO2019097594A1 (ja) * 2017-11-15 2019-05-2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放射線撮影装置
CN109223122B (zh) * 2018-08-14 2021-04-30 宋学林 一种ct介入引导三维定向装置
USD897534S1 (en) * 2018-11-20 2020-09-29 Carestream Health, Inc. X-ray collimat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849A (en) * 1980-11-21 1982-06-04 Tokyo Shibaura Electric Co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US4805202A (en) * 1986-06-24 1989-02-14 Picker International, Inc. Portable field X-ray diagnostic system
JPH03286742A (ja) * 1990-04-03 1991-12-17 Toshiba Corp 保持装置
US5550891A (en) * 1992-03-13 1996-08-27 Olympic Controls Corp. Positioning apparatus for X-ray source
US5870450A (en) * 1995-05-18 1999-02-09 Continental X-Ray Corporation Universal radiographic/fluoroscopic digital room
US6155713A (en) * 1997-06-19 2000-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diagnostic apparatus having an X-ray generating portion and an X-ray detecting portion independent of each other
JP4306342B2 (ja) 2003-07-04 2009-07-2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管保持装置
JP4265346B2 (ja) 2003-08-22 2009-05-2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天井懸垂式x線管保持装置
US7641391B2 (en) * 2004-03-08 2010-01-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eiling mount for X-ray system
JP4503385B2 (ja) 2004-07-28 2010-07-14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X線撮影装置
JP4797899B2 (ja) 2006-09-11 2011-10-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移動型x線撮影装置
US7481578B2 (en) * 2006-09-18 2009-01-27 Cartstream Health, Inc.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WO2008040356A1 (en) * 2006-10-06 2008-04-10 NRT-Nordisk Røntgen Teknik A/S Manipulating system, in particular a manipulating system for manipulating an x-ray apparatus
KR20110004351A (ko) * 2008-05-09 2011-01-13 가부시키가이샤 오바야시 세이사쿠쇼 X선관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6452A1 (ja) 2011-09-01
CN101990416A (zh) 2011-03-23
WO2009136452A1 (ja) 2009-11-12
US20100310052A1 (en) 2010-12-09
US8449183B2 (en) 2013-05-28
CN101990416B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4351A (ko) X선관 유지장치
US5345632A (en) Underframe for medical examination table
JP5539729B2 (ja) X線ct撮影装置
JP4632891B2 (ja) X線ct撮影装置およびx線ct撮影方法
JP4059266B2 (ja) X線透視撮影装置
WO2006109808A1 (ja) スカウトビュー機能を備えたx線撮影装置
US5506879A (en) Planigraphic X-ray apparatus
JP2009254725A (ja) 超音波診断装置
WO2014024887A1 (ja) X線撮像装置
KR101037603B1 (ko) Rpr구동방식의 치과용 엑스선 촬영장치
JP4768695B2 (ja) X線ct撮影装置
JP5114145B2 (ja) X線撮影装置
JP3219818B2 (ja) 患者診察台
CN101278840A (zh) X射线照像设备
JPH0998971A (ja) 医療用x線撮影装置
KR20080001159U (ko) 전후진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테이블을 가지는 의료용진단기기
JPH08112272A (ja) 2方向x線透視撮影装置
JP2003114201A (ja) X線透視撮影装置
WO1987003795A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x-ray photography or the like, in which there is used a tower stand that can be moved at a patient examination table
JP4663511B2 (ja) 作業台
CN108125688A (zh) X光成像装置
JP4016636B2 (ja) アーム搭載型x線撮影装置
JP4461666B2 (ja) X線透視撮影装置
JP2005021328A (ja) X線断層撮影システム
JP2000201915A (ja) 近接操作式透視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