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573A - 물품 고정구 - Google Patents

물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573A
KR20100109573A KR1020107020622A KR20107020622A KR20100109573A KR 20100109573 A KR20100109573 A KR 20100109573A KR 1020107020622 A KR1020107020622 A KR 1020107020622A KR 20107020622 A KR20107020622 A KR 20107020622A KR 20100109573 A KR20100109573 A KR 20100109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le
mounting panel
fastene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462B1 (ko
Inventor
타다히데 시오모토
히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109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1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a component to be fasted, e.g. a sheet, plat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4Flexible member is join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5Member ends joined by insert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고정구 본체에는,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돌출하여, 장착패널의 표면에 닿는 접촉면을 갖는다. 잠금쇠에는, 걸림부, 잠금쇠에 축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잠금쇠를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물품 고정구{ARTICL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물품인 자동차용의 범퍼를, 장착패널(panel)인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범퍼 리테이너(retainer) 등의 물품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잠금쇠를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장착패널의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패널에 대하여 임시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lever)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를 인입함으로써, 그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裏面)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장착패널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리어 트렁크(rear trunk) 내에 스페어 타이어를 격납하는 격납 오목부를 형성하고, 그 격납 오목부의 개구 상면에 덮개체를 고정하는 잠금쇠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3페이지 좌상 컬럼 19행∼동(同)페이지 우상 컬럼 4행, 제2도 참조).
상기한 종래의 잠금쇠는 격납 오목부의 개구 내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스(boss)를 받아들이는 지지홈을 갖고, 그 지지홈 내에 보스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덮개체의 중공부(中空部) 내에서 쓰러뜨리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덮개체를 격납 오목부의 개구 상면에 고정하였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3페이지 우하 컬럼 3행∼4페이지 우하 컬럼 12행, 제4∼6도 참조).
특허문헌1: 일본특허공개 평02-15267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잠금쇠는 격납 오목부의 개구 내측면에 보스를 고정하여 두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잠금쇠를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장착패널의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패널에 대하여 임시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를 끌어들임으로써, 그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장착패널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로, 물품(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물품 고정구이다.
두 번째로, 물품 고정구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고정구 본체
고정구 본체는 장착패널의 표리면(表裏面)에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갖는 것이다.
(2) 잠금쇠
잠금쇠는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장착패널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다.
세 번째로, 고정구 본체에는,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돌출하여, 장착패널의 표면에 닿는 접촉면을 갖는다.
네 번째로, 잠금쇠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걸림부
걸림부는 잠금쇠를 연통구멍을 통하여 관통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패널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함과 아울러,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배향(背向)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1쌍을 갖는다.
(2) 레버
레버는 잠금쇠에 축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잠금쇠를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걸림부는 장착패널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향하여 관통구멍에 맞추어 삽입되고, 그 관통구멍을 통과할 때에 탄성적으로 축경(縮徑)하고, 통과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걸림부의 탄성을 사용하여, 잠금쇠를 장착패널의 관통구멍에 원 터치(one touch)로 삽입할 수 있다.
걸림부는 다음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1) 힌지(hinge)부
힌지부는 잠금쇠에 연결하는 것이다.
(2) 경사면
경사면은 힌지부로부터 삽입 방향의 후향(後向)으로 뻗고, 기울어진 외향으로 경사지는 것이다
(3) 대향면
대향면은 경사면의 정점으로부터 접어서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고, 장착패널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함과 아울러, 레버를 회전하여 후퇴시킨 고정 상태에서, 장착패널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레버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를 인입함으로써, 그 걸림부의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하여 경사진 대향면을, 장착패널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고정구는 다음의 특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첫 번째로, 걸림부는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바깥쪽을 향하여 키(key)형상으로 돌출한다.
두 번째로는, 관통구멍에는, 걸림부가 통과가능한 키홈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키형상으로 돌출한 걸림부를 관통구멍의 키홈에 맞춰서 삽입한 후, 잠금쇠를 회전시킴으로써,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대향시킬 수 있다.
고정구 본체와 잠금쇠 사이에는, 다음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1) 가고정 수단(예를 들면, 탄성 갈고리와 단차부(段部))
가(假)고정 수단(예를 들면, 탄성 갈고리와 단차부)은 잠금쇠를 연통구멍에 삽입한 상태에 가고정함과 아울러, 그 가고정 상태를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잠금쇠를 고정구 본체에 대하여 가고정할 수 있다.
가고정 수단은 다음의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1) 탄성 갈고리
탄성 갈고리는 고정구 본체에 형성되어, 연통구멍의 주위에 서로 대향하여 입설(立設)된 적어도 1쌍 있다.
(2) 단차부
단차부는 잠금쇠에 형성되어, 각 탄성 갈고리가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의 주위에 입설된 탄성 갈고리가 잠금쇠의 단차부에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잠금쇠를 고정구 본체에 대하여 가고정할 수 있다.
레버에는, 가고정 수단(예를 들면, 탄성 갈고리, 단차부)의 해제를 저지하기 위한 해제저지수단(예를 들면, 리브(rib))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가고정 수단으로서, 탄성 갈고리 및 단차부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해제저지수단으로서, 리브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에 가고정한 상태의 잠금쇠가 고정구 본체로부터 부주의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정구 본체에는, 레버의 회전시에, 그 레버가 바깥쪽을 향하여 변형하였을 때에 닿음으로써, 그 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 방지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레버의 회전시에, 그 레버가 바깥쪽을 향하여 변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고정구 본체는 물품인 자동차용의 범퍼를, 장착패널인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범퍼 리테이너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인 범퍼를, 고정구 본체인 범퍼 리테이너를 통하여, 장착패널인 차체 패널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구 본체와 레버 사이에는, 레버가 갑자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규제 수단(예를 들면, 피(被)접촉부, 탄성접촉편)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규제 수단으로서, 피접촉부, 탄성접촉편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레버가 갑자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에 가고정한 상태의 잠금쇠가 고정구 본체로부터 부주의로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규제 수단은 레버에 형성한 탄성접촉편과, 고정구 본체에 형성되어, 탄성접촉편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하고, 그 탄성접촉편에 닿는 피접촉부로 이루어져도 좋다.
이렇게 하면, 회전규제 수단에 최적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해제저지수단(예를 들면, 리브)은 회전규제 수단(예를 들면, 피접촉부, 탄성접촉편)에 의한 회전규제 상태를 해제하고, 레버를 회전할 때에, 가고정 수단(예를 들면, 탄성 갈고리, 단차부)의 해제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해제저지수단으로서, 리브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규제 수단으로서, 피접촉부, 탄성접촉편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가고정 수단으로서, 탄성 갈고리 및 단차부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회전규제 수단에 의한 회전규제 상태를 해제하고, 레버를 회전할 때에, 가고정 수단의 해제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품 고정구는 다음의 특징을 갖고 있어도 좋다.
첫 번째로, 레버를 적어도 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두 번째로, 레버의 회전 방향의 다름에 의해,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잠금쇠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레버의 회전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판 두께가 다른 장착패널에 고정할 수 있다.
잠금쇠에는, 그 잠금쇠가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걸림부가 탄성적으로 축경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예를 들면, 저지부재)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잠금쇠의 고정후, 걸림부가 탄성적으로 축경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잠금쇠가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잠금쇠를 고정구 본체의 연통구멍을 통하여, 장착패널의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패널에 대하여 임시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를 인입함으로써, 그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밀착시킬 수 있어, 장착패널에 대하여 흔들림이 없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덧붙여, 레버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를 인입함으로써, 그 걸림부를 장착패널의 이면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걸림부의 돌출 높이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장착패널과의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물품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물품 고정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물품 고정구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물품 고정구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응하고, 레버를 쓰러뜨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대응하고, 레버를 쓰러뜨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쇠의 걸림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잠금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잠금쇠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관통구멍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물품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대응하고, 레버의 회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물품 고정구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대응하고,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대응하고, 고정구 본체의 피접촉부와 레버의 결합돌기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대응하고, 레버의 조작돌기를 누르면서 회전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잠금쇠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대응하고, 레버를 좌측으로 쓰러뜨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7에 대응하고, 레버를 우측으로 쓰러뜨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잠금쇠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대응하고, 잠금쇠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잠금쇠 본체와 핀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물품 고정구(10))
도면 중, 10은 물품 고정구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물품 고정구(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의 범퍼 리테이너이며, 물품인 범퍼(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패널(20)인 펜더 등의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물품 고정구(10)는 자동차용의 범퍼 리테이너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다른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혹은 자동차 부품에도 한정되지 않고, 열차, 비행기, 배 등의 탈것, 혹은 주택, 가구, 가전제품, 사무기기 등의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물품으로서, 범퍼를 예시하였지만, 물품 고정구(10)와 마찬가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장착패널(20)로서, 펜더 등의 차체 패널을 예시하였지만, 펜더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 패널에 널리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물품 고정구(10)와 마찬가지로, 차체 패널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물품 고정구(10)는 대별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parts)을 구비한다.
(1) 고정구 본체(30)
(2) 잠금쇠(40)
한편, 물품 고정구(10)의 부품은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패널(20))
장착패널(2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관통구멍(21)은 장착패널(20)의 표리면에 관통하여,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21)의 형상으로서, 사각형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타원형, 타원형, 기하학적 형상이라도 좋다.
(고정구 본체(30))
고정구 본체(3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의 범퍼 리테이너이며,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과 연통하는 연통구멍(31)을 갖는 것이다.
연통구멍(31)은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과 동일형상의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구멍(31)을,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과 동일형상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고정구 본체(3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21)의 내경보다 크게 돌출하여, 장착패널(20)의 표면에 닿는 접촉면을 갖는다. 접촉면에는, 고정구 본체(30)의 전면(前面)이 상당하지만, 고정구 본체(30)의 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고정구 본체(3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쇠(40)를 좌우 한 쌍, 합계 2개 장착하므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통구멍(31)도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장착패널(20)에도, 2개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구 본체(3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쇠(40)와의 사이에, 다음의 각 부(部)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 및 (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가고정 수단의 구성요소인 탄성 갈고리(32)
(2) 변형 방지부(33)
또한, 고정구 본체(30)의 각 부는 상기한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고정 수단의 구성요소인 탄성 갈고리(32))
가고정 수단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를 연통구멍(31)에 삽입한 상태로 가고정함과 아울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가고정 상태를 레버(7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구 본체(30)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멍(31)의 주위에 서로 대향하여 입설된 적어도 한 쌍의 탄성 갈고리(32)를 형성하고 있다.
탄성 갈고리(32)는 도 1에서 상하로 대향하고, 잠금쇠(40)의 삽입 방향의 후방으로 향하여 단면 ハ형으로 열린 단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갈고리(32)의 탄성력은 고정구 본체(30)를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수지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탄성 갈고리(32)를 한 쌍 형성하였지만, 탄성 갈고리(32)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 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변형 방지부(33))
변형 방지부(33)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쇠(40)의 레버(70)의 회전시에, 그 레버(70)가 바깥쪽을 향하여 변형하였을 때에 닿음으로써, 그 레버(7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변형 방지부(33)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0)의 바닥으로부터 융기하여, 연통구멍(31)의 좌우 양측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변형 방지부(33)를 한 쌍 형성하였지만, 변형 방지부(33)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잠금쇠(40))
잠금쇠(4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을 통하여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에 삽입되는 것이다.
잠금쇠(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 합계 2개 사용된다.
또한, 잠금쇠(40)의 개수로서, 2개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 혹은 3개 이상 사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잠금쇠(4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한편, 다음의 (1)∼(3)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머리부(50)
(2) 다리부(60)
(3) 레버(70)
또한, 잠금쇠(40)의 각 부는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리부(50))
머리부(50)는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의 내형(內形)보다, 한 바퀴 큰 외형(外形)을 갖고, 평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머리부(50)의 외형을, 평면이 사각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머리부(5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머리부(50)의 각 부는 다음의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축부(軸部)(51)
축부(5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5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좌우 한 쌍 돌출하고,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51)는 후술하는 레버(7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2) 가고정 수단의 구성요소인 단차부(52)
단차부(52)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를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을 도중까지 삽입한 상태, 즉 가고정 상태에서, 각 탄성 갈고리(32)가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진 것이다.
잠금쇠(40)는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에 더 깊게 삽입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의 탄성 갈고리(32)가 상하의 단차부(52)로부터 이탈되어, 후술하는 다리부(60)의 외면에 얹힌다.
또한, 가고정 수단으로서, 고정구 본체(30)에 탄성 갈고리(32)를 형성하고, 잠금쇠(40)에 단차부(52)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고정구 본체(30)에 단차부를 형성하고, 잠금쇠(40)에 탄성 갈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다리부(60))
다리부(6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50)의 이면으로부터 뻗고,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의 내형 이하의 외형을 갖고,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60)의 외형을,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다리부(6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걸림부(61)
또한, 다리부(60)의 각 부는 상기한 (1)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61))
걸림부(6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를 연통구멍(31)을 통하여 관통구멍(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패널(20)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함과 아울러, 관통구멍(21)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배향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1쌍 있다.
구체적으로는, 걸림부(61)는 장착패널(20)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관통구멍(21)에 맞춰서 삽입되고, 그 관통구멍(21)을 통과할 때에 탄성적으로 축경되고, 통과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하고 있다.
즉, 걸림부(6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60)의 상하면으로부터 갈고리형상으로 각각 돌출하고, 힌지부를 통하여 다리부(60)에 이어져 있고, 그 힌지부로부터 자유단부를 향하여 다리부(60)의 삽입 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단면 쐐기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61)의 탄성력은 다리부(60)를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수지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고 있다.
잠금쇠(40)의 다리부(60)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에 삽입하고, 가고정 수단(탄성 갈고리(32)와 단차부(52))에 의해 가고정한 상태에서는, 고정구 본체(30)의 전면(前面)과, 이에 대향하는 걸림부(61)의 대향면과의 거리를, 장착패널(20)의 판 두께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두께를 초과하는 길이로 함으로써, 장착패널(20)의 이면과 걸림부(61)의 대향면 사이에 틈(a)이 발생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 후, 후술하는 레버(70)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쓰러뜨려 회전시켰을 때에, 다리부(60)를 관통구멍(21) 및 연통구멍(3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고정구 본체(30)의 전면과, 이에 대향하는 걸림부(61)의 대향면과의 거리를, 장착패널(20)의 판 두께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 두께 미만의 길이로 함으로써, 장착패널(20)과 걸림부(61)과의 사이에 랩(lap)(b)이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걸림부(61)는 완전히 복귀할 수 없고, 걸림부(61)의 대향면이 장착패널(20)의 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걸림부(61)를 한 쌍 형성하였지만, 걸림부(61)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레버(70))
레버(7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에 축지되어, 회전됨으로써, 잠금쇠(40)를 관통구멍(21)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부(61)를 장착패널(20)의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7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한편, 레버(70)의 각 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축구멍(71)
축구멍(7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60)의 좌우 한 쌍의 축부(51)가 각각 끼워 넣어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축구멍(71)은 축부(5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축부(51)가 축구멍(71) 안으로 이동함으로써, 레버(70)에 대하여 다리부(60)가 진퇴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 제1 캠(cam)면(72)
제1 캠면(7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0)가 올려진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30)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하는 것이다.
(3) 제2 캠면(73)
제2 캠면(73)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캠면(72)에 연속함과 아울러, 축구멍(71)의 중심에서의 거리를 제1 캠면(72)보다 서서히 크게 설정하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0)를 내린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30)의 바닥에 닿고, 다리부(60)를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이다.
(도 7의 설명)
다음으로, 도 7을 사용하여, 걸림부(61)의 돌출 높이(h)와 슬릿(slit)(S)의 틈새(clearance)(C)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걸림부(6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의 다리부(60)의 내외(內外)로 관통하는 コ형의 슬릿(S)을 형성함으로써, 그 슬릿(S)으로 둘러싸여진 내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부(61)는 다리부(60)의 외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 높이(h)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잠금쇠(40)는 슬릿(S)이 없는 부분을 힌지 부분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때, 다리부(60)의 판 두께의 중앙을 임시로 지점(O)으로 하여, 일점쇄선의 회전 궤적을 통해 회전한다. 또한, 회전 궤적의 반경(r)은 지점(O)과 걸림부(61)의 선단부(先端部)를 연결한 이점쇄선으로 나타냈다.
또한, 걸림부(61)의 지점(O)은 다리부(60)의 판 두께의 중앙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61)의 돌출 높이(h)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장착패널(20)의 이면과의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의 통과시에, 걸림부(61)를 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슬릿(S)의 틈새(C)를 폭 넓게 설정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틈새(C)를 폭 넓게 설정하면,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의 통과 후, 장착패널(20)의 이면과 걸림부(61)의 대향면 사이의 틈(a)(도 3)이 커져, 흔들림의 원인이 된다.
반대로, 돌출 높이(h)를 낮게 하면, 틈새(C)를 폭 좁게 할 수 있지만, 결합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레버(70)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쓰러뜨려 회전시켰을 때에, 다리부(60)를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걸림부(61)의 대향면을 장착패널(20)의 이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다리부(60)를 후퇴시킴으로써, 틈새(C)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높이(h)를 높게 설정하고, 틈새(C)를 폭 넓게 설정하였을 경우라도, 물품 고정구(10)를 흔들림이 없이 장착할 수 있어, 결합력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품 고정구(10)의 장착 방법)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물품 고정구(10)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고정구 본체(30)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0)를 가고정한다.
또한, 고정구 본체(30)에 잠금쇠(40)를 가고정하고 나서, 장착패널(20)에 장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구 본체(30)의 각 연통구멍(31)과, 장착패널(20)의 각 관통구멍(21)을 정합(整合)시킨 상태에서 잠금쇠(40)를 일련으로 삽입하여, 물품 고정구(10)를 장착패널(20)에 대하여 가고정하여도 좋다.
우선, 잠금쇠(40)의 다리부(60)를, 고정구 본체(30)의 각 연통구멍(31)에 맞춰서 삽입한다.
잠금쇠(40)를 삽입하면, 그 각 걸림부(61)가 고정구 본체(30)의 연통구멍(31)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고, 잠금쇠(40)를 더 삽입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멍(31)을 통과한 위치에서, 다시 복원된다.
또한, 잠금쇠(40)를 도중까지 삽입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0)의 각 탄성 갈고리(32)가 잠금쇠(40)의 각 단차부(52)에 각각 끼워 넣어져, 가고정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고정구 본체(3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쇠(40)의 다리부(60)의 선단부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20)의 각 관통구멍(21)에 맞춰서 삽입한다.
다리부(60)를 삽입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61)가 관통구멍(21)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고, 관통구멍(21)을 통과한 후, 장착패널(20)의 이면측에서 복원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30)의 전면과, 잠금쇠(40)의 걸림부(61)과의 대향 간격이 장착패널(20)의 판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품 고정구(10)는 장착패널(20)에 대하여 가고정 상태로 된다.
그 후, 물품 고정구(10)를 본(本)고정할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0)를 물품 고정구(10)의 바닥을 향하여 쓰러뜨리면 좋다.
레버(70)를 쓰러뜨리면, 제2 캠면(73)이 물품 고정구(10)의 바닥에 닿음으로써, 잠금쇠(40)의 다리부(60)가 관통구멍(21) 및 연통구멍(3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 본체(30)의 전면과, 잠금쇠(40)의 걸림부(61)과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고, 장착패널(20)이 표리면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20)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10)가 고정된다.
또한, 잠금쇠(40)의 다리부(60)의 후퇴시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의 탄성 갈고리(32)가 상하의 단차부(52)로부터 이탈되어, 다리부(60)의 외면에 얹혀진다.
또한, 물품 고정구(1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레버(70)를 물품 고정구(10)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일으키면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을 사용하여, 잠금쇠(100)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70)(도시하지 않음)를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쇠(100)의 걸림부(121)를 장착패널(20)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게 할 수 있다.
즉, 잠금쇠(100)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110)와 다리부(120)를 구비하고, 다리부(120)의 걸림부(121)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걸림부(121)의 각 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힌지부(122)
힌지부(12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100)에 연결하는 것이다.
(2) 경사면(123)
경사면(123)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부(122)로부터 삽입 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뻗고, 비스듬하게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진 것이다.
(3) 대향면(124)
대향면(124)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123)의 정점으로부터 접어서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고, 가고정 수단, 즉 탄성 갈고리(32)와 단차부(52)에 의한 가고정 상태에서, 장착패널(20)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함과 아울러, 레버(70)를 회전하여 후퇴시킨 고정 상태에서, 장착패널(20)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121)를 제외하는 잠금쇠(100)의 구조, 고정구 본체(30) 및 장착패널(20)의 구조에 대하여는 앞서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잠금쇠(100)의 장착 방법)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잠금쇠(100)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구 본체(30)에 대하여는 생략하고 있지만, 잠금쇠(100)를 가고정 상태로 한 후, 고정구 본체(30)(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쇠(100)의 다리부(120)의 선단부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20)의 각 관통구멍(21)에 맞춰서 삽입한다.
다리부(60)를 삽입하면, 그 걸림부(121)가 관통구멍(21)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어, 관통구멍(21)을 통과한 후, 장착패널(20)의 이면측에서 복원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30)(도시하지 않음)의 전면과, 잠금쇠(100)의 경사면(123)과 대향면(124) 사이의 정점과의 대향 간격을, 장착패널(20)의 판 두께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착패널(20)의 판 두께에 일치시켜, 경사면(123)과 대향면(124) 사이의 정점이 장착패널(20)의 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가고정 상태에 있는 물품 고정구(10)의 장착 흔들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후, 물품 고정구(10)를 본고정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버(70)를 물품 고정구(10)의 바닥을 향하여 쓰러뜨리면 좋다.
레버(70)를 쓰러뜨리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잠금쇠(100)의 다리부(120)가 관통구멍(21) 및 연통구멍(3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걸림부(121)가 힌지부(122)를 중심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회전하고, 대향면(124)이 장착패널(20)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음으로써, 장착패널(20)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10)가 고정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잠금쇠(100)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 번째로, 걸림부(221)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230)의 내경보다 크게 바깥쪽을 향하여 키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으로 돌출시킨 점이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관통구멍(230)에,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221)가 통과가능한 키홈(231)을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걸림부(221)를 2개 형성, 키홈(231)도 같은 수인 2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 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걸림부(221)를 제외하는 잠금쇠(200)의 구조, 고정구 본체(30) 및 장착패널(20)의 구조에 대하여는 앞서 도 1∼7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구성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잠금쇠(200)의 장착 방법)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잠금쇠(200)의 장착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구 본체(30)에 대하여는 생략하고 있지만, 잠금쇠(200)를 가고정 상태로 한 후, 고정구 본체(30)(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쇠(200)의 다리부(220)의 선단부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20)의 관통구멍(230)에 맞춰서 삽입한다.
이때, 잠금쇠(200)의 걸림부(221)를, 관통구멍(230)의 키홈(231)에 맞춰서 삽입하고, 잠금쇠(200)를 소정각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90도 회전시킨다.
한편, 잠금쇠(200)의 회전 각도는 90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잠금쇠(200)를 단독으로 회전시켜도 좋고, 혹은 고정구 본체(3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켜도 좋다.
잠금쇠(200)의 회전 각도 시키면, 잠금쇠(200)의 걸림부(221)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20)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한다.
그 후, 물품 고정구(10)를 본고정할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레버(70)를 물품 고정구(10)의 바닥을 향하여 쓰러뜨리면 좋다.
레버(70)를 쓰러뜨리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잠금쇠(200)의 다리부(220)가 관통구멍(21) 및 연통구멍(230)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지만, 걸림부(221)가 장착패널(20)의 이면에 닿음으로써, 장착패널(20)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10)가 고정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1∼16을 사용하여, 잠금쇠(330)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 번째로, 가고정 수단의 해제를 저지하기 위한 해제저지수단을 형성한 점이다.
두 번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레버(350)가 갑자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규제 수단을 형성한 점이다.
(물품 고정구(300))
본 실시형태에 의한 물품 고정구(300)는 차체 패널 등의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에, 범퍼 등의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장착패널(310)로서, 차체 패널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품으로서, 범퍼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물품 고정구(300)에는,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고정구 본체(320)(범퍼 리테이너)
(2) 잠금쇠(330)
또한, 물품 고정구(300)의 부품은 상기한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구 본체(320)(범퍼 리테이너))
고정구 본체(320)는 예를 들면, 범퍼 리테이너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310)의 표리면에 관통하는 관통구멍(311)과 연통하는 연통구멍(321)을 갖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 본체(320)로서, 범퍼 리테이너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고정구 본체(32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고정구 본체(320)의 각 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연통구멍(321)
연통구멍(32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310)의 표리면에 관통하여,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과 연통하는 것이다.
(2) 탄성 갈고리(322)(가고정 수단의 일례)
탄성 갈고리(322)는 연통구멍(321) 안으로 위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1개, 돌출함과 아울러, 잠금쇠(330)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갈고리(32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330)를 연통구멍(321)에 삽입하였을 때에, 후술하는 잠금쇠(330)에 형성된 단차부(362)에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진 것이며, 가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가고정 수단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330)를 연통구멍(321)에 삽입한 상태로 가고정함과 아울러,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가고정 상태를, 후술하는 레버(350)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가능한 것이다.
또한, 가고정 수단으로서, 고정구 본체(320)의 탄성 갈고리(322)와, 잠금쇠(330)(잠금쇠 본체(340))의 단차부(362)를 예시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3) 피접촉부(323)(회전규제 수단의 일례)
피접촉부(32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레버(350)에 형성한 탄성접촉편(353)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하여, 그 탄성접촉편(353)에 닿는 것이며, 회전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회전규제 수단은 고정구 본체(320)와 레버(350) 사이에 형성되어, 레버(70)가 갑자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회전규제 수단으로서,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와, 잠금쇠(330)(레버(350))의 탄성접촉편(353)을 예시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쇠(330))
잠금쇠(33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을 통하여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에 삽입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쇠(33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잠금쇠 본체(340)
(2) 레버(350)
또한, 잠금쇠(330)의 부품은 상기한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쇠 본체(340))
잠금쇠 본체(34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clip)형의 것으로서,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을 통하여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에 삽입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쇠 본체(340)에는,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머리부(360)
(2) 다리부(370)
또한, 잠금쇠 본체(340)의 각 부는 상기한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버(350))
레버(350)는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330)에 축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잠금쇠(330)를 관통구멍(311)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걸림부(371)를 장착패널(310)의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레버(350)에는,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레버(350)의 각 부는 다음의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축구멍(351)
축구멍(351)은 도 13∼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쇠 본체(340)의 축부(36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2) 리브(352)(해제저지수단의 일례)
리브(35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 본체(340)의 가고정 상태, 즉 레버(350)의 비회전 상태에서, 탄성 갈고리(322)를 향하여 뻗고, 선단부가 탄성 갈고리(322)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탄성 갈고리(322)가 위쪽을 향하여 휘어지고, 후술하는 단차부(3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며, 해제저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해제저지수단은 탄성 갈고리(322)와 단차부(362)로 구성되는 가고정 수단의 해제를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해제저지수단으로서, 리브(352)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3) 탄성접촉편(353)(회전규제 수단의 일례)
탄성접촉편(353)은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330)의 삽입 방향의 선단측의 일단부가 힌지로 되고, 삽입 방향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타단부가 뻗어, 타단부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접촉편(353)은 도 11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 본체(340)의 가고정 상태, 즉 레버(350)의 비회전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에 탄성적으로 닿음으로써, 전술한 회전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탄성접촉편(353)에는,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접촉편(353)의 각 부는 다음의 (4)∼(5)에 한정되지 않는다.
(4) 결합돌기(354)
결합돌기(354)는 도 11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접촉편(353)의 상면으로부터,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를 향하여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융기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사다리꼴형의 결합돌기(354)는, 그 경사면이 도 11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 본체(340)의 가고정 상태, 즉 레버(350)의 비회전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에 닿음으로써, 레버(70)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다.
(5) 조작돌기(355)
조작돌기(355)는 도 13∼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354)와 횡으로 나란하고, 탄성접촉편(353)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융기된 것이다. 조작돌기(355)는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로부터 횡으로 벗어나서 돌출함과 아울러, 결합돌기(354)에 비교하여 크게 돌출하여 있다.
조작돌기(355)를 손가락으로 밀어 내리면, 탄성접촉편(353)이 힌지를 중심으로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하고, 결합돌기(354)가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에 대하여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접촉편(353)을 더 회전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354)가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의 아래쪽을 통과하여, 탄성접촉편(35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의 하단부가 결합돌기(354)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함으로써, 결합돌기(354)가 아래쪽을 향하여 밀어 올릴 수 있음으로써, 조작돌기(355)의 조작력을 경감할 수 있다.
(머리부(360))
머리부(36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의 내형보다, 1회전 큰 외형을 갖는 것이다.
머리부(360)에는, 도 11∼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머리부(360)의 각 부는 다음의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축부(361)
축부(361)는 도 13∼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360)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좌우 한 쌍 돌출한다. 축부(361)는 레버(350)의 축구멍(351)에 삽입되어, 레버(350)를 잠금쇠 본체(34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머리부(360)(잠금쇠 본체(340))에, 축부(361)를 설치하고, 레버(350)에 축구멍(351)을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머리부(360)(잠금쇠 본체(340))에 축구멍을 형성하고, 레버(350)에 축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2) 단차부(362)(가고정 수단의 일례)
단차부(362)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다리부(370)를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에 삽입한 상태, 즉 가고정 상태에서, 고정구 본체(320)의 탄성 갈고리(322)가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진 것이며, 탄성 갈고리(322)와 함께, 전술한 가고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단차부(362)와 탄성 갈고리(322)를 1쌍 형성하였지만, 복수 쌍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머리부(360)(잠금쇠 본체(340))에, 단차부(362)를 형성하고, 고정구 본체(320)에 탄성 갈고리(322)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머리부(360)(잠금쇠 본체(340))에 탄성 갈고리를 형성하고, 고정구 본체(320)에 단차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다리부(370))
다리부(370)는 도 11∼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머리부(360)의 이면으로부터 뻗고,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의 내형 이하의 외형을 갖는 것이다.
다리부(370)에는, 도 11∼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를 구비한다.
한편, 다리부(370)의 부는 다음의 (1)에 한정되지 않는다.
(1)걸림부(371)
걸림부(371)는 도 11∼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370)(잠금쇠 본체(340))를, 연통구멍(321)을 통하여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장착패널(310)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함과 아울러, 관통구멍(311)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배향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1쌍 있다.
(해제저지수단과 회전규제 수단과의 관계)
해제저지수단(리브(352))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규제 수단(피접촉부(323), 탄성접촉편(353))에 의한 회전규제 상태를 해제하여, 레버(350)를 회전할 때에, 가고정 수단(탄성 갈고리(322), 단차부(362))의 해제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레버(350)의 조작돌기(355)를 누르면서 레버(350)를 회전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354)가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의 아래쪽을 통과함으로써, 회전규제 수단의 회전규제 상태가 해제된다.
동시에, 레버(350)를 회전하였을 때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352)가 상승하여, 탄성접촉편(353)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저지수단의 해제저지 상태가 해제된다.
(잠금쇠(330)의 장착 방법)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잠금쇠(330)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고정구 본체(30)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330)를 가고정한다.
또한, 고정구 본체(320)에 잠금쇠(330)를 가고정하고 나서, 장착패널(310)에 장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과,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을 조정시킨 상태에서 잠금쇠(330)를 일련으로 삽입하여, 물품 고정구(300)를 장착패널(310)에 대하여 가고정하여도 좋다.
우선, 잠금쇠 본체(340)의 다리부(370)를,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에 맞춰서 삽입한다.
잠금쇠 본체(340)를 삽입하면, 그 한 쌍의 걸림부(371)가 고정구 본체(320)의 연통구멍(321)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어, 잠금쇠 본체(340)를 더 삽입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구멍(321)을 통과한 위치에서, 다시, 복원된다.
또한, 잠금쇠 본체(340)를 삽입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320)의 탄성 갈고리(322)가 잠금쇠 본체(340)의 단차부(362)에 위쪽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가고정 상태로 된다.
이때, 레버(350)는 비회전 상태, 즉 잠금쇠 본체(340)와 직선 상에 위치한다.
레버(350)의 비회전 상태에서는, 결합돌기(354)가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에 닿음으로써, 레버(350)의 회전이 저지된다.
또한, 동시에, 레버(350)의 리브(352)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갈고리(322)의 표면에 닿음으로써, 탄성 갈고리(322)가 위쪽을 향하여 휘어져, 단차부(3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저지된다.
다음으로, 고정구 본체(3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잠금쇠 본체(340)의 다리부(370)의 선단부를,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310)의 관통구멍(311)에 맞춰서 삽입한다.
다리부(370)를 삽입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371)가 관통구멍(311)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어, 관통구멍(311)을 통과한 후, 장착패널(310)의 이면측에서 복원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320)의 전면과, 잠금쇠(330)의 걸림부(371)와의 대향 간격이 장착패널(310)의 판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품 고정구(300)는 장착패널(310)에 대하여 가고정 상태로 된다.
그 후, 물품 고정구(300)를 본고정할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350)를 아래쪽을 향하여 회전하면 좋다.
회전에 있어서는, 레버(350)의 조작돌기(355)를 누르면서 회전한다. 레버(350)를 회전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354)가 고정구 본체(320)의 피접촉부(323)의 아래쪽을 통과함으로써, 회전규제수단의 회전규제 상태가 해제된다.
동시에, 레버(350)를 회전하였을 때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브(352)가 상승하여, 탄성접촉편(353)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저지수단의 해제저지 상태가 해제된다.
레버(350)를 회전을 회전하면, 잠금쇠(330)의 다리부(370)가 관통구멍(311) 및 연통구멍(32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 본체(320)의 전면과, 잠금쇠(330)의 걸림부(371)와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고, 장착패널(310)이 표리면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패널(310)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300)가 고정된다.
또한, 잠금쇠(330)의 다리부(370)의 후퇴시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갈고리(322)가 단차부(362)로부터 이탈되어, 다리부(370)의 외면에 얹혀진다.
또한, 레버(350)를 다시, 위쪽으로 회전함으로써, 물품 고정구(30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7∼26을 사용하여, 잠금쇠(430)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첫 번째로,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30)를 사용하여 판 두께가 다른 장착패널(410, 41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점이다.
두 번째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잠금쇠(430)의 고정 상태에서, 다리부(442)가 휘어서 흔들리거나, 벗어남을 저지하는 저지수단, 즉 저지부재(460)를 형성한 점이다.
(물품 고정구(400))
본 실시형태에 의한 물품 고정구(400)는 차체 패널 등의 장착패널(410, 411)의 관통구멍에, 범퍼 등의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장착패널(410, 411)로서, 차체 패널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품으로서, 범퍼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구나, 물품 고정구(400)는 자동차의 분야 이외에, 다음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다.
·항공기의 내장(內裝) 분야의 예를 들면, 내장 고정 등
·주택설비 분야의 예를 들면, 내장 고정(벽, 욕조(bathtub)),
대형 건재(建材)의 가고정 등
·어패럴(apparel) 분야의 예를 들면, 버클(buckle) 등
·플랜트(plant) 분야의 예를 들면, 배관 고정 등
·철도 분야의 예를 들면, 내장 고정 등
·물류 분야의 예를 들면, 배송 박스의 로크(lock) 등
·기타 분야나 용도 등.
구체적으로는, 물품 고정구(400)에는, 도 17∼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2)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고정구 본체(420)(범퍼 리테이너)
(2) 잠금쇠(430)
또한, 물품 고정구(400)의 부품은 상기한 (1)∼(2)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패널(410, 411))
장착패널(410, 411)에는,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가 다른 것이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 갖는다.
2개의 장착패널(410, 411) 중, 한 쪽의 제1 장착패널(410)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가 두껍게, 예를 들면, 3.5mm로 설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제2 장착패널(411)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가 비교적 얇고, 예를 들면, 2.5mm로 설정되어 있다.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리면에 관통하는 사각형의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멍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
(고정구 본체(420)(범퍼 리테이너))
고정구 본체(420)는 예를 들면, 범퍼 리테이너로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표리면에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연통구멍(421)을 갖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 본체(420)로서, 범퍼 리테이너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통구멍(421)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표리면에 관통하여,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것이다.
(잠금쇠(430))
잠금쇠(430)는 도 18,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을 통하여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쇠(43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의 (1)∼(3)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1) 잠금쇠 본체(440)
(2) 레버(450)
(3) 저지부재(460)(저지수단)
또한, 잠금쇠(430)의 부품은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쇠 본체(440))
잠금쇠 본체(440)는 도 18,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clip)형의 것으로서,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을 통하여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잠금쇠 본체(440)에는, 도 17∼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잠금쇠 본체(440)의 각 부는 상기한 (1)∼(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회전축(441)
회전축(441)은 도 19∼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같은 도면에 있어서 상단부에 위치하고, 서로 배향하여 한 쌍 돌출한다. 한 쌍의 회전축(441)은 후술하는 레버(450)의 축구멍(451)에 각각 삽입된다.
(2) 다리부(442)
다리부(44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축(441)이 있는 상단부로부터 두 갈래로 갈라져서, 도 17, 도 18 및 도 21∼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한 쌍 돌출한다. 한 쌍의 다리부(442)는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을 통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다.
(3) 걸림부(443)
걸림부(443)는 도 17, 도 18 및 도 21∼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442)의 외측면으로부터 서로 배향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단면 톱니 형상으로 돌출한다. 한 쌍의 걸림부(443)의 최대외경은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레버(450))
레버(45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30)에 축지되어, 회전함으로써, 잠금쇠(430)를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ㅇ여 후술하는 걸림부(443)를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레버(450)에는, 평면이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고,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 본체(440)의 회전축(44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된다.
레버(450)에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 부를 구비한다. 또한, 레버(450)의 각 부는 다음의 (1)∼(4)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축구멍(451)
축구멍(451)은 도 13∼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쇠 본체(440)의 축부(3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2) 제1 캠면(452)
제1 캠면(452)은 잠금쇠 본체(440)의 회전축(441)에 축구멍(451)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底壁)의 상면에 닿는다. 제1 캠면(452)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의 레버(450)의 저변(低邊)에 위치하여, 축구멍(451)에 끼워진 잠금쇠 본체(440)의 회전축(441)으로부터, 거리 X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제1 캠면(452)이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상면에 닿은 위치에 있어서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442)가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으로부터 가장 길게 돌출한다.
(3)제2 캠면(453)
제2 캠면(453)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50)를 좌측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상면에 닿는다. 제2 캠면(453)은 이등변삼각형의 레버(450)와 같은 2개의 가장자리의 한 쪽에 위치하여, 축구멍(451)에 끼워진 잠금쇠 본체(440)의 회전축(441)으로부터, 거리 Y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거리 Y는 거리 X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Y>X).
제2 캠면(453)이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상면에 닿은 위치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442)가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을 통하여 후퇴, 즉 상승한다.
한 쌍의 다리부(442)가 상승하면, 단면 톱니형상으로 돌출한 걸림부(443)가 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제1 장착패널(410)의 이면(하면)에 닿는다.
(4) 제3 캠면(454)
제3 캠면(454)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50)를 우측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상면에 닿는다. 제3 캠면(454)은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등변삼각형의 레버(450)와 같은 2개의 가장자리의 다른 쪽에 위치하여, 축구멍(451)에 끼워진 잠금쇠 본체(440)의 회전축(441)으로부터, 거리 Z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거리 Z는 거리 X 및 거리 Y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Z>Y>X).
제3 캠면(454)이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상면에 닿은 위치에 있어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다리부(442)가 고정구 본체(420)의 연통구멍(421)을 통하여 후퇴, 즉 상승한다. 한 쌍의 다리부(442)가 상승하면, 단면 톱니형상으로 돌출한 걸림부(443)가 판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제2 장착패널(411)의 이면(하면)에 닿는다.
(저지부재(460)(저지수단))
저지부재(460)는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잠금쇠(43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걸림부(443)가 탄성적으로 축경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고, 저지수단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지부재(460)는 도 17, 도 18,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다리부(442)의 간격 내에 위치한다. 저지부재(460)의 높이는 다리부(442)의 높이의 대략 1/2정도로 설정되어, 잠금쇠 본체(440)의 저벽의 하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다리부(442)는 레버(450)의 회전에 의해 상승한다. 저지부재(460)는 레버(450)를 회전시켜 다리부(442)를 상승시켰을 때에, 도 21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443)의 배면측에 위치함으로써, 한 쌍의 다리부(44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저지수단으로서, 저지부재(460)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잠금쇠(430)의 장착 방법)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잠금쇠(400)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잠금쇠 본체(440)의 다리부(442)의 선단부를,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관통구멍에 맞추어 삽입한다.
예를 들면, 다리부(442)를,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제1 장착패널(410)의 관통구멍에 삽입하면, 그 걸림부(443)가 관통구멍의 내면으로 밀려 일단, 인입되어, 관통구멍을 통과한 후, 제1 장착패널(410)의 이면측에서 복원된다.
이때, 고정구 본체(420)의 저벽의 하면과, 잠금쇠(430)의 걸림부(443)와의 대향 간격이 제1, 제2 장착패널(410, 411)의 판 두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품 고정구(400)는 제1 장착패널(410)에 대하여 가고정 상태로 된다.
그 후, 물품 고정구(400)를 본고정할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50)를 좌측으로 향하여 회전하면 좋다.
레버(450)를 좌측으로 향하여 회전하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430)의 다리부(442)가 관통구멍 및 연통구멍(42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 즉 상승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 본체(420)의 저벽의 하면과, 다리부(442)의 걸림부(443)와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고, 제1 장착패널(410)이 표리면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장착패널(410)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400)가 고정된다.
또한 이때, 저지부재(460)가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442)의 걸림부(443)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다리부(442)는 저지부재(460)에 닿음으로써,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지 않게 되어, 소위 솔리드(solid)화 됨으로써, 다리부(442)가 제1 장착패널(410)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제1 장착패널(410)이 솔리드화 되기 때문에, 걸림부(443)가 전단(剪斷)되지 않는 한, 걸림부(443)에 의한 지지력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또한, 레버(450)를 다시, 위쪽으로 회전하면, 다리부(442)가 상승하여, 저지부재(460가이 다리부(442)의 걸림부(443)의 배면측에 위치하지 않게 되므로, 한 쌍의 다리부(44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게 되고, 이들의 휨을 이용하여, 다리부(442)를 제1 장착패널(410)의 관통구멍으로부터 위쪽으로 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다리부(442)를,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두께가 비교적 얇은 제2 장착패널(411)의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레버(450)를 오른쪽으로 향하여 회전하면, 잠금쇠(430)의 다리부(442)가 관통구멍 및 연통구멍(42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후퇴, 즉 상승한다.
이 때문에, 고정구 본체(420)의 저벽의 하면과, 다리부(442)의 걸림부(443)와의 대향 간격이 좁아지고, 제2 장착패널(411)이 표리면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장착패널(411)에 대하여 물품 고정구(400)가 고정된다.
또한 이때, 저지부재(460)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리부(442)의 걸림부(443)의 배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다리부(442)는 저지부재(460)가 닿음으로써,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휘지 않게 되어, 소위 솔리드화 됨으로써, 다리부(442)가 제2 장착패널(411)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7 및 도 28을 사용하여, 잠금쇠(520)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540, 541)를 복수개, 예를 들면, 2개 사용한 점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물품 고정구(50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고정구 본체(510)와, 잠금쇠(520)로 구성된다.
잠금쇠(520)는 잠금쇠 본체(530), 레버(540, 541), 저지부재(550)(저지수단)를 구비한다.
잠금쇠 본체(530)에는, 한 쌍의 다리부(531), 각 다리부(531)의 걸림부(532)를 구비한다.
레버(540, 541)는 복수개, 예를 들면, 2개 갖고, 잠금쇠 본체(5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레버(540)와, 제1 레버(540)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레버(540)와는 독립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레버(541)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의 제1 레버(540)를 회전하면, 다리부(531)가 상승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정의 판 두께를 갖는 제1 장착패널에 적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내측의 제2 레버(541)를 회전하면, 다리부(531)가 상승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장착패널의 다른 판 두께를 갖는 제2 장착패널에 적합하도록 하고 있다.
저지부재(550)(저지수단)는 한 쌍의 다리부(531)의 간격 내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앞서 도 17∼26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형태의 1개의 레버(450)를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판 두께가 다른 장착패널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2개의 레버(540, 541)의 각각의 회전 방향에 의해, 다리부(531)를 상승시키는 양을 다르게 하도록 함으로써, 판 두께가 다른 4종류의 장착패널에 적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외측의 제1 레버(540)를 좌측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 판 두께에 적합시키고, 반대로 오른쪽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 판 두께와 다른 제2 판 두께에 적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내측의 제2 레버(541)를 좌측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 제2 판 두께와 다른 제3 판 두께에 적합시키고, 반대로 오른쪽으로 회전하였을 때에, 제1∼3의 판 두께와 다른 제4 판 두께에 적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7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9를 사용하여, 잠금쇠 본체(600)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잠금쇠 본체(600)에 연질수지를 사용한 점이다.
즉, 잠금쇠 본체(600)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쪽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U자 형으로 형성되며, 축구멍(601), 다리부(602), 걸림부(603)를 갖고, 연질수지로 형성하고 있다.
잠금쇠 본체(600)의 축구멍(601)에 삽입하는 핀(610)은 경질수지로 형성한다. 핀(610)을 경질수지제로 한 것은 핀(610)에 응력이 걸리게 하기 위해서이다. 핀(610)은 잠금쇠 본체(600)의 축구멍(601)에 삽입한다.
또한, 핀(610)을 경질수지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제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잠금쇠 본체(600)는 앞서 도 17∼26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형태의 잠금쇠(430)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잠금쇠 본체(600)에 연질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착패널의 판 두께의 편차가 큰 경우라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잠금쇠 본체(600)에 연질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장착패널에의 장착 시나 장착 후의 흔들림에 의한 소리의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장착 후, 다리부(602)의 간격 내에, 도 17∼26을 사용하여 설명한 제5 실시형태의 저지부재(460)를 위치시킴으로써, 다리부(602)의 소위 솔리드화가 가능하다.
또한, 2008 년4월 1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102927호 및 2009년 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046830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한 것이다.

Claims (14)

  1. 물품을 장착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물품 고정구로서,
    상기 물품 고정구는,
    상기 장착패널의 표리면(表裏面)에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연통구멍을 갖는 고정구 본체와,
    상기 고정구 본체의 상기 연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장착패널의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잠금쇠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구 본체에는,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돌출하고, 상기 장착패널의 표면에 닿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잠금쇠를 상기 연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패널의 이면(裏面)으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고, 또한 서로 배향(背向)하여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적어도 한 쌍의 걸림부와,
    상기 잠금쇠에 축지(軸止)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잠금쇠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부를 상기 장착패널의 상기 이면에 닿게 하기 위한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장착패널의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을 향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맞추어 삽입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할 때에 탄성적으로 축경(縮俓)되고, 통과 후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잠금쇠에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로부터 삽입 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뻗고, 비스듬하게 바깥쪽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정점으로부터 접어서 비스듬하게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고, 상기 장착패널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레버를 회전하여 후퇴시킨 고정 상태에서, 상기 장착패널의 이면에 평행하게 닿는 대향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보다 크게 바깥쪽을 향하여 키(key)형상으로 돌출하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가능한 키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와 상기 잠금쇠 사이에는,
    상기 잠금쇠를 상기 연통구멍에 삽입한 상태로 가고정함과 아울러, 그 가고정 상태를 상기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해제가능한 가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고정 수단은,
    상기 고정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연통구멍의 주위에 서로 대향하여 입설(立設)된 적어도 한 쌍의 탄성 갈고리와,
    상기 잠금쇠에 형성되어, 상기 각 탄성 갈고리가 각각 탄성적으로 끼워 넣어진 단차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가고정 수단의 해제를 저지하기 위한 해제저지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에는,
    상기 레버의 회전시에, 상기 레버가 바깥쪽을 향하여 변형하였을 때에 닿음으로써, 상기 레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방지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는,
    상기 물품인 자동차용 범퍼를, 상기 장착패널인 차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범퍼 리테이너(retai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본체와 상기 레버 사이에는,
    상기 레버가 갑자기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규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규제수단은,
    상기 레버에 형성한 탄성접촉편과,
    상기 고정구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접촉편의 회전 궤적 내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접촉편에 닿는 피(被)접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저지수단은,
    상기 회전규제수단에 의한 회전규제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레버를 회전할 때에, 상기 가고정 수단의 해제저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적어도 2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레버의 회전 방향의 다름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상기 잠금쇠의 이동 거리를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쇠에는,
    상기 잠금쇠를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걸림부가 탄성적으로 축경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고정구.
KR1020107020622A 2008-04-10 2009-04-09 물품 고정구 KR101297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02927 2008-04-10
JPJP-P-2008-102927 2008-04-10
JP2009046830A JP5243304B2 (ja) 2008-04-10 2009-02-27 物品固定具
JPJP-P-2009-046830 2009-02-27
PCT/JP2009/057285 WO2009125818A1 (ja) 2008-04-10 2009-04-09 物品固定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573A true KR20100109573A (ko) 2010-10-08
KR101297462B1 KR101297462B1 (ko) 2013-08-16

Family

ID=4116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22A KR101297462B1 (ko) 2008-04-10 2009-04-09 물품 고정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03884A1 (ko)
EP (1) EP2267318B1 (ko)
JP (1) JP5243304B2 (ko)
KR (1) KR101297462B1 (ko)
CN (1) CN101990606B (ko)
WO (1) WO20091258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684B2 (en) 2010-11-09 2017-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ing elastic averaging for alignment of battery stack, fuel cell stack, or other vehicle assembly
CN102254743B (zh) * 2011-07-05 2013-07-17 曼瑞德自控系统(乐清)有限公司 一种温控器安装结构
CN102619820B (zh) * 2012-04-06 2013-12-04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固定装置和具有其的工程机械
US9618026B2 (en) 2012-08-06 2017-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mi-circular alignment features of an elastic averaging alignment system
US9463538B2 (en) 2012-08-13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556890B2 (en) 2013-01-31 2017-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lignment assembly for aligning mated components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US9388838B2 (en) 2013-04-04 2016-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retaining assembly for mat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ssembling
US9447840B2 (en) 2013-06-11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energy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aging energy absorption
US9488205B2 (en) 2013-07-12 2016-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rrangement for mated components and method
US9303667B2 (en) 2013-07-18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four-way alignment of components
US9863454B2 (en) 2013-08-07 2018-01-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of a sealable compartment
US9458876B2 (en) 2013-08-28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alignment fastener and system
US9463831B2 (en) 2013-09-09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tube alignment and fastening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fastening of components
US9457845B2 (en) 2013-10-02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of components
US9511802B2 (en) 2013-10-03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669774B2 (en) 2013-10-11 2017-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onfigurable vehicle interior assembly
US9481317B2 (en) 2013-11-15 2016-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clip and method
US9447806B2 (en) 2013-12-12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retaining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US9428123B2 (en) 2013-12-1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a flexible assembly
US9599279B2 (en) 2013-12-19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module installation assembly
US9446722B2 (en) 2013-12-19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veraging alignment member
US9541113B2 (en) 2014-01-09 2017-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428046B2 (en) 2014-04-0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laterally slideably engageable mating components
US9657807B2 (en) 2014-04-23 2017-05-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elastically averaging assembly of components
US9429176B2 (en) 2014-06-30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JP6300689B2 (ja) * 2014-09-25 2018-03-28 株式会社ユーシン ノブの取付構造
US9758110B2 (en) 2015-01-12 2017-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upling system
US10107319B2 (en) 2015-03-02 2018-10-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CN106338138B (zh) * 2016-10-20 2022-07-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安装结构、空调器以及用于该空调器的安装方法
DE102017010602A1 (de) * 2017-11-16 2019-05-16 A. Raymond Et Cie Befestiger
KR102101089B1 (ko) * 2018-09-06 2020-04-14 권정수 홀스터
JP7332511B2 (ja) * 2020-03-24 2023-08-23 フタバ産業株式会社 固定部材及び連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4650A (en) * 1968-12-12 1970-10-20 Nasa Fastener apparatus
FR2199363A5 (ko) * 1972-09-13 1974-04-05 Technal International Sa
JPS52162020U (ko) * 1976-06-03 1977-12-08
JPS566906A (en) 1979-06-26 1981-01-24 Nissan Motor Fitting device for parts
JPS5939086Y2 (ja) * 1979-07-05 1984-10-31 株式会社ニフコ ラジエ−タグリル取付構造
JPS595631Y2 (ja) * 1979-09-06 1984-02-20 株式会社 ニフコ ラジエ−タ・グリル取付構造
JPS595632Y2 (ja) * 1979-09-11 1984-02-20 株式会社 ニフコ ラジエ−タ・グリル取付構造
JPS5934732Y2 (ja) * 1980-11-05 1984-09-26 株式会社ニフコ 部品取付構造
US4367569A (en) * 1981-07-13 1983-01-11 Bee Line Company Cam locking pin
US4457653A (en) * 1982-05-28 1984-07-03 Leib David S Retrievable toggle assembly
JPS5929409U (ja) * 1982-08-20 1984-02-23 株式会社ニフコ 部品取付け用クリツプ
JPH0315847Y2 (ko) * 1986-03-31 1991-04-05
DE3611714A1 (de) * 1986-04-08 1987-10-15 Daimler Benz Ag Schnellspannverschluss zur befestigung von ersatzraedern in einem kraftfahrzeug
JP2678488B2 (ja) 1988-12-05 1997-11-17 株式会社ニフコ 蓋体の取付構造
JPH0397989U (ko) * 1990-01-29 1991-10-09
FR2742193B1 (fr) * 1995-12-08 1998-02-27 Mavic Sa Axe de blocage rapide destine a etre utilise sur un cycle
JP2958276B2 (ja) * 1996-08-14 1999-10-0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
US6004064A (en) * 1998-06-06 1999-12-21 Franz; Patrick J. Retrofittable quick release mechanism
FR2791214B1 (fr) * 1999-03-17 2001-06-01 Mitsubishi Electric France Accouplement liberable d'un teton de suspension sur une paroi d'un telephone mobile
DE19951472A1 (de) * 1999-10-26 2003-02-27 Best Volker Schnellspanndübel für Einklinkteile
JP3850622B2 (ja) * 2000-03-24 2006-11-2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車装部材の固定構造
TW498871U (en) * 2001-03-19 2002-08-11 Melton Internat L L C Urging device for front tube of skating scooter
JP3613196B2 (ja) * 2001-04-16 2005-01-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フェンダーライナー取付構造
US6422643B1 (en) * 2001-12-12 2002-07-23 Guardian Industries Corp. System for attaching front grill or other trim component to vehicle
EP1440866B1 (en) * 2003-01-21 2006-04-05 Kwang Yang Motor Co., Ltd. Mount frame for an electric motor-driven wheeled vehicle
JP4336956B2 (ja) * 2003-09-25 2009-09-30 株式会社ニフコ 部品取付クリップ
JP4383205B2 (ja) * 2004-02-26 2009-12-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構成体、および、車両用灯具
JP2005351462A (ja) * 2004-06-14 2005-12-22 Nifco Inc クリップ
JP4446837B2 (ja) * 2004-08-26 2010-04-0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連結装置
JP4357394B2 (ja) * 2004-09-24 2009-11-04 株式会社ニフコ パネル穴への取り付け体、および、クランプ具
JP2006292090A (ja) * 2005-04-12 2006-10-26 Daiwa Kasei Ind Co Ltd 緩衝体の取付け構造
JP2007125233A (ja) * 2005-11-04 2007-05-24 Aoyama Seisakusho Co Ltd フックの取付けユニット
JP4681429B2 (ja) * 2005-11-17 2011-05-11 勇一 木下 プランジャ型固定装置
JP5009538B2 (ja) * 2006-02-02 2012-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568873B1 (en) * 2006-04-03 2009-08-04 Rambo Ross W Wrenchless nut device
US7673160B2 (en) 2006-10-19 2010-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for computer processor systems
US7489511B2 (en) * 2006-12-28 2009-02-1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eat sink clip
JP5191813B2 (ja) * 2007-07-26 2013-05-08 株式会社ニフコ 固定具、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及び固定具の固定解除方法
JP2009046830A (ja) 2007-08-15 2009-03-05 Asahi Glass Co Ltd 耐力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90606A (zh) 2011-03-23
US20110103884A1 (en) 2011-05-05
EP2267318A4 (en) 2013-01-02
JP2009270710A (ja) 2009-11-19
EP2267318B1 (en) 2015-09-09
CN101990606B (zh) 2012-09-26
KR101297462B1 (ko) 2013-08-16
JP5243304B2 (ja) 2013-07-24
WO2009125818A1 (ja) 2009-10-15
EP2267318A1 (en)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462B1 (ko) 물품 고정구
US8662807B2 (en) Fastener and structure for fastening a member to be fastened
JP4091859B2 (ja) 締結具
JP5378251B2 (ja) クリップ
JP3842530B2 (ja) 物品保持具
JP5031904B2 (ja) 支持部材に取付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固定具、並びに該固定具を備えた固定装置
JP5210329B2 (ja) クリップ
JP6446741B2 (ja) 留め具及び締結構造
KR20130028949A (ko) 클립
JPH0629428U (ja) 係止具
KR20190094220A (ko) 체결구 조립체
JP5360480B2 (ja) 留め具
JP4837366B2 (ja) クランプ
JP6286774B2 (ja) クリップ
JP2004360912A (ja) 締結具
US6905098B2 (en) D-ring retainer
JP7484273B2 (ja) 固定構造および機器
CN109526180B (zh) 滑轨总成及其托架装置
JP5726849B2 (ja) クリップ
JP6938298B2 (ja) クリップ
JPS6049763B2 (ja) 錨形留め具
JP5513560B2 (ja) 自転車の荷台搭載物
CN219570548U (zh) 安装组件
JP5671728B2 (ja) 部品取付用樹脂クリップ及び部品取付構造
JP2557966Y2 (ja) 家具における棚板の仮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