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089B1 - 홀스터 - Google Patents

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089B1
KR102101089B1 KR1020180106217A KR20180106217A KR102101089B1 KR 102101089 B1 KR102101089 B1 KR 102101089B1 KR 1020180106217 A KR1020180106217 A KR 1020180106217A KR 20180106217 A KR20180106217 A KR 20180106217A KR 102101089 B1 KR102101089 B1 KR 10210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lster
holding
r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074A (ko
Inventor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Original Assignee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정수, 권민정, 권민석 filed Critical 권정수
Priority to KR102018010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0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66Tubular, rod-shaped articles, e.g. baton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의 마구리캡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원주결합돌기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 억지끼워맞춤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필요할 때는,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마구리캡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을 결합하여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을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지캡이 필요치 않는 평상시에는 유지캡을 홀스터의 고정캡에 고정하여 진압봉과 함께 일체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홀스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홀스터기초판(31)의 전면(32)에 홀스터커버(35)가 고정되고, 이면(33)에 벨트(70)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유지부(34)가 형성되는 홀스터에 있어서,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진압봉(1)의 유지캡(20)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40)이 형성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캡(40)은 진원(41) 보다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42)들이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42)들에 상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고정캡(40)이 나사(44)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돌기(42)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이 결합돌기(42)들에 상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걸림돌기(60)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60)들에 상기 고정캡(40)이 고정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홀스터{Holster}
본 발명은 물리적인 강압 과정에서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을 파괴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파괴구를 고정할 수 있는 홀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의 마구리캡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원주결합돌기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 억지끼워맞춤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필요할 때는,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마구리캡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을 결합하여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을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지캡이 필요치 않는 평상시에는 유지캡을 홀스터의 고정캡에 고정하여 진압봉과 함께 일체적으로 휴대할 수 있는 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압봉은 그 구성이 신축자재할 수 있는 다이폴 형으로 구성되어 재질을 스텐레스 등의 금속재로 하여, 손잡이로부터 중간봉부 및 첨단봉부가 신축자재 하도록 되어, 휴대시에는 손잡이봉부내로 중간봉부 및 첨단봉부가 접어서 휴대하다가 사용시에는 손잡이봉부내로부터 중간봉부 및 첨단봉부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이 기 등록한 공개번호 제10-2018-0020582호에서,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에, 손잡이봉부의 직경보다 큰 칫수의 유지캡이 형성되도록 하여, 신축가능한 진압봉이 펼쳐지게 내리치던가 또는 펼쳐진 진압봉을 이용하여 진압상대방 또는 물품들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움켜쥔 진압봉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유지캡의 직경의 중심축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촉형상의 파괴구가 형성되도록 하여, 중간봉부 및 첨단봉이 손잡이봉부내로 접혀져서 유지캡이 전방쪽 향하도록 하면, 파괴구가 손잡이봉부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진압봉을 내리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유지캡은 손잡이봉부의 안쪽으로부터 끼워져 억지맞춤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유지캡의 파괴구가 손잡이봉부를 파지한 새끼손가락부위에 맞닿아 파괴구의 뽀족한 부분이 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에 유지캡의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제10-2018-0086304호에서,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 마구리캡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마구리캡에 결합할 수 있는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을 각각 분리 제작하여, 상기 진압봉의 마구리캡에 유지캡이 결합과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서, 손잡이봉부의 마구리캡의 원주결합돌기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진압봉을 펼치거나 또는 접혀진 상태에서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움켜쥔 상태에서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에 내려쳐서 파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진압봉의 마구리캡에 고정되는 유지캡의 직경이 크고 또한 유지캡의 원주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화살촉 같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유지캡을 진압봉의 마구리캡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여, 진압봉으로부터 유지캡을 분리하였다가 필요시 진압봉에 유지캡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캡이 필요시 바로 진압봉의 마구리캡에 바로 결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데, 통상 분리된 유지캡은 주머니에 가지고 다니다가 필요시, 진압봉의 마구리캡에 결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주머니속에서 유지캡이 분리되어 분실할 수 있고, 또한 유지캡의 파괴구가 인체를 찌르는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캡을 안전하고 또한 필요시 신속하게 추출하여 진압봉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창출되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02058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진압봉을 넣어 휴대할 수 있는 홀스터는 홀스터기초판의 전면에 홀스터커버가 고정되고, 이면에 벨트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유지부가 형성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압봉은 손잡이봉부의 끝단의 마구리캡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마구리캡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홀스터의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진압봉의 유지캡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이 형성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형성한 고정캡에 상기 유지캡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압봉의 마구리캡의 결합돌기와 같은 크기의 진원 보다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들이 형성된 고정캡임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캡의 결합돌기들에 상기 유지캡의 끼워맞춤홈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형성되는 고정캡은 이면에 일체 또는 나사에 의하여 고정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결합돌기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이 결합돌기들에 상기 유지캡의 끼워맞춤홈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들에 상기 고정캡이 고정되어, 이 고정캡에 상기 유지캡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스터의 고정캡으로부터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을 분리한 후, 이 유지캡을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의 마구리캡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봉부의 마구리캡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결합된 상태에서, 진압봉을 펼치거나 또는 접혀진 상태에서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전방으로 향하도록 움켜쥔 상태에서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에 내려쳐서 파괴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홀스터기초판의 전면에 홀스터커버가 고정되고, 이면에 벨트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유지부가 형성되는 홀스터에 있어서, 상기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진압봉의 유지캡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이 형성되어, 이 고정캡에 상기 유지캡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캡은 진원 보다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들이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들에 상기 유지캡의 끼워맞춤홈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고정캡이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돌기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이 결합돌기들에 상기 유지캡의 끼워맞춤홈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스터기초판의 이면에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들에 상기 고정캡이 고정되어, 이 고정캡에 상기 유지캡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끝단의 마구리캡의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원주결합돌기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 억지끼워맞춤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이 필요할 때는,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마구리캡에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을 결합하여 유리창 등의 시설장애물을 파괴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지캡이 필요치 않는 평상시에는 유지캡을 홀스터의 고정캡에 고정하여 진압봉과 함께 일체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홀스터에 고정캡과 유지캡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홀스터에 고정캡과 유지캡이 결합된 종단면도,
도 3a,b 는 본 발명의 홀스터의 고정캡에 유지캡의 결합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사용자의 벨트에 홀스터가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진압봉에 유지캡을 결합하기 않고 사용하는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진압봉에 유지캡을 결합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진압봉에 유지캡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 는 본 발명의 진압봉의 마구리캡과 유지캡이 결합된 일부 절결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진압봉에 유지캡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유지캡의 평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홀스터에 고정캡과 유지캡의 분리 사시도의 다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압봉(1)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봉부(2)과, 이 손잡이봉부(2)내에 접었다 펼 수 있는 중간봉부(3)과, 또한 이 중간봉부(3)내에 접었다 펼 수 있는 첨단봉부(4)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압봉(1)의 손잡이봉부(2), 중간봉부(3) 및 첨단봉부(4)내에는 각 봉들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유지 및 제어하는 레버(도시생략)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봉부(2)에는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손보호대(5)가 고정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봉부(2)의 마구리캡(10)에 유지캡(20)이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압봉(1)의 손잡이봉부(2)의 끝단의 마구리부분에는 마구리캡(10)이 나사고정되고, 또한 상기 마구리캡(10)내에는 상기 중간봉부(3)과 첨단봉부(4)를 손잡이봉부(2)내에 고정 또는 손잡이봉부(2)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퓨시버튼(6)이 로드(8)와 연결되고, 또한 스프링(7)에 의하여 탄력있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압봉(1)의 손잡이봉부(2)의 끝단에 나사 고정된 마구리캡(10)은, 그의 내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봉부(3)과 첨단봉부(4)들이 로드(8)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스프링(7)로 탄력있게 연결된 퓨시버튼(6)을 퓨시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구리캡(10)은 손잡이봉부(2)에 나선결합되면서 위쪽 끝단이 원주방형으로 돌출되어 대향된 상태를 유지하는 원주결합돌기(11)들이 형성되어, 이 원주결합돌기(11)들의 시계방향의 끝단에 멈춤턱(12)들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가 제어되어, 마구리캡(10)에 유지캡(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봉부(2)의 끝단에 결합되는 마구리캡(10)에 원주결합돌기(11)가 형성되고, 이 원주결합돌기(11)와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파괴구(23)을 가지는 유지캡(20)의 결합홈(21)과, 이 결합홈(21)에 연이어서 끼워맞춤홈(22)가 형성되어, 상기 마구리캡(10)에 유지캡(20)을 분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상기 마구리캡(10)에 결합과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한 유지캡(20)은, 상기 마구리캡(10) 보다 큰 직경으로써, 저면에 상기 마구리캡(10)의 원주결합돌기(1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칫수의 결합홈(21)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결합홈(21)에 연이어서 시계방향으로 턱이져 파여진 끼워맞춤홈(2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괴구(23)을 가지는 유지캡(20)에 자석(24)이 매설되어, 진압봉(1)에 유지캡(20)이 필요치 않는 평상시에는 진압봉(1)의 손잡이봉부(2)의 마구리캡으로부터 유지캡(20)을 분리한 후, 유지캡(20)을 별도의 휴대용품의 자성체에 자화시키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혁대 등의 자성체나 차량의 자성체 부분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진압봉(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캡(20)의 보관에서 진압봉(1)을 휴대하는 홀스터(30)에 착안을 하게 되었다. 즉, 진압봉(1)과 홀스터(30)은 일체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역시 유지캡(20)에 대하여도 일체적인 관계를 감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홀스터기초판(31)의 전면(32)에 홀스터커버(35)가 고정되고, 이면(33)에 벨트(70)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유지부(34)가 형성되는 홀스터(30)에 있어서의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진압봉(1)의 유지캡(20)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40)이 형성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캡(40)은 진원(41) 보다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42)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기(42)는 진압봉(1)의 마구리캡(10)에 형성된 원주결합돌기(11)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는 진원(41)의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진원(41)에 비하여 폭이 좁고, 또한 이 양쪽 결합돌기(42)들의 시계방향의 끝단에 멈춤턱(43)들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이 제어되어, 고정캡(40)에 유지캡(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스터(30)의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고정캡(40)이 나사(44)들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고정캡(40)에 나사구멍(번호생략)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 니사구멍을 통하여 나사(44)의 나선부분이 홀스터(30)의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스터(30)의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고정캡(40)이 일체적으로 성형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홀스터(30)의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의 고정캡(40)에 유지캡(20)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에 유지캡(20)의 결합홈(21)이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끼워진 상태에서 유지캡(20)을 시계반향으로 회전하면,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가 유지캡(20)의 턱이져 있는 구면의 끼워맞춤홈(22)내로 억지끼워맞춤으로 진입되고, 유지캡(20)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고정캡(40)의 멈춤턱(43)에서 제어되어 회전이 제어되고 이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면,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캡(40)에 유지캡(20)이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의 폭은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에 억지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폭으로써, 고정캡(40)에 유지캡(20)이 고정되어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 3b의 상태에서 반대로 고정캡(40)부터 유지캡(20)을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지캡(20)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a에 나타내 바와 같이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로부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이 분리되고, 또한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들과 유지캡(20)의 결합홈(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유지캡(20)을 고정캡(40)부터 바로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고정캡(40)에서 결합돌기(42)들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예를 이용한 것으로, 도 11에서는 원판(50)에 결합돌기(42)가 일체의 성형에 의하여 나사(44)에 의하여 고정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에서는 상기 원판(50)이 없이 결합돌기(42)들을 대향되게 설치하면서 나사(44)에 의하여 고정된 예를 나타낸다.
즉, 상기 고정캡(40)의 결합돌기(42)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이 결합돌기(42)들에 상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들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걸림돌기(60)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60)들에 상기 고정캡(40)이 고정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0)들은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60)들은 고정캡(40)이 억지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걸림돌기(60)로부터 고정캡(40)을 분리하여 교체 등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 진압봉 2 : 손잡이봉부
3 : 중간봉부 4 : 첨단봉부
5 : 손보호대 6 : 퓨시버튼
7 : 스프링 8 : 로드
10 : 마구리캡 11 : 원주결합돌기
12 : 멈춤턱 13 : 나사
20 : 유지캡 21 : 결합홈
22 : 끼워멎춤홈 23 : 파괴구
24 : 자석 30 : 홀스터
31 : 홀스터기초판 32 : 전면
33 : 이면 34 : 벨트유지부
35 : 호스터커버 40 : 고정캡
41 : 진원 42 : 결합돌기
43 : 멈춤턱 44 : 나사
50 : 원판 60 : 걸림돌기
70 : 벨트

Claims (5)

  1. 홀스터기초판(31)의 전면(32)에 홀스터커버(35)가 고정되고, 이면(33)에 벨트(70)에 고정할 수 있는 벨트유지부(34)가 형성되는 홀스터에 있어서,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진압봉(1)의 유지캡(20)을 결합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40)이 형성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40)은 진원(41) 보다 원주방향으로 튀어나온 결합돌기(42)들이 형성되어, 이 결합돌기(42)들에 상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고정캡(40)이 나사(44)에 의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42)들이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이 결합돌기(42)들에 상기 유지캡(20)의 끼워맞춤홈(22)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스터기초판(31)의 이면(33)에 걸림돌기(60)들이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60)들에 상기 고정캡(40)이 고정되어, 이 고정캡(40)에 상기 유지캡(20)을 결합과 분리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스터.
KR1020180106217A 2018-09-06 2018-09-06 홀스터 KR102101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17A KR102101089B1 (ko) 2018-09-06 2018-09-06 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17A KR102101089B1 (ko) 2018-09-06 2018-09-06 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74A KR20200028074A (ko) 2020-03-16
KR102101089B1 true KR102101089B1 (ko) 2020-04-14

Family

ID=6994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217A KR102101089B1 (ko) 2018-09-06 2018-09-06 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7122A (zh) 2020-03-06 2022-02-25 株式会社Lg新能源 锂硫电池电解质和包含其的锂硫电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5230A (ja) 2007-09-27 2009-04-23 Icom Inc ベルトクリップの着脱構造
US20090140016A1 (en) 2007-12-03 2009-06-04 Nite Ize, Inc. Self-adjusting holster particularly adapted for holding implements of a wide range of sizes
KR101297462B1 (ko) 2008-04-10 2013-08-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51B1 (ko) 2016-08-19 2018-08-07 권정수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유지캡
KR101878050B1 (ko) * 2016-08-19 2018-07-12 권정수 호신봉용 홀스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5230A (ja) 2007-09-27 2009-04-23 Icom Inc ベルトクリップの着脱構造
US20090140016A1 (en) 2007-12-03 2009-06-04 Nite Ize, Inc. Self-adjusting holster particularly adapted for holding implements of a wide range of sizes
KR101297462B1 (ko) 2008-04-10 2013-08-16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물품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74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2633B2 (en) Utility knife
US7721447B2 (en) Hand-held cutter with automatic blade changer
US11097434B2 (en) Utility knife
US20040134075A1 (en) Folding knife
KR102101089B1 (ko) 홀스터
US6418624B1 (en) Artist's knife having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blade
US20080093203A1 (en) Safety trigger guard
US20150143966A1 (en) Locking Quick Release Protective Cap Assembly For Pocket Tools
US20200338768A1 (en) Travel razor
EP0484891A2 (en) Hand-held device for self defence
KR102066356B1 (ko)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파괴구를 가지는 유지캡
ES2199929T3 (es) Navaja.
US6640450B2 (en) Combined writing and window breaking device
US20160023631A1 (en) Pen with seat belt cutter
JP6166495B1 (ja) 新型キャップ開閉リング
KR101878051B1 (ko) 진압봉의 손잡이봉부의 유지캡
US20180289377A1 (en) Hand-held spring tool
US2725626A (en) Safety razor
JP7013277B2 (ja) リールシートのアタッチメント及び釣竿
WO2002022377A3 (en) Writing instrument
KR101872214B1 (ko) 유아용 손톱 정리 장치
US9705230B2 (en) Plug cover storage and removal device
US7766571B2 (en) Accessory for a writing implement or the like
US20130206624A1 (en) Container Protection Apparatus
CN103737619A (zh) 一种刀刃自动保护的菜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