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68A -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68A
KR20100105668A KR1020107015421A KR20107015421A KR20100105668A KR 20100105668 A KR20100105668 A KR 20100105668A KR 1020107015421 A KR1020107015421 A KR 1020107015421A KR 20107015421 A KR20107015421 A KR 20107015421A KR 20100105668 A KR20100105668 A KR 2010010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flexible substrate
housing
hot mel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463B1 (ko
Inventor
다쿠야 오사키
유지 이시타니
마사히로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0010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01R12/68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comprising deformable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1Connector hood or shell
    • Y10S439/904Multipart shell
    • Y10S439/906Longitudinally divided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는, 절연 필름 상에 도체 패턴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접합된 접속 단자; 상기 접속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하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 부분이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접속 단자의 접속부를 협지하며, 그 후단 부분에서 플렉시블 기판을 포위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 내주의 플렉시블 기판과의 비접합 부분과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리테이너를 밀착·고정하는 핫멜트;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된 걸림 수단;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피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과 상기 피걸림 수단이 서로 걸려,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의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접속 개소의 방수를 도모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8년 1월 15일에 일본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8-005663호와 2008년 12월 02일에 일본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8-30744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플렉시블 기판을 자동차에 응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 때, 플렉시블 기판과 와이어 도체를 하나의 단자로 상호 접속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등에 응용하는 경우에는, 접속 부분을 방수 구조로 하여 보호하고, 신뢰성이 높은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플렉시블 기판과 와이어 도체를 상호 접속하는 전기 단자가, 조립이 용이한 케이스 하우징에 수용되어 효과적으로 방수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필름(111) 상에 도전 패턴(112)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10); 이 플렉시블 기판(110)의 단말부에서 도전 패턴(112)과 접합된 판형상의 접합 단부를 갖는 금속제의 접속 단자(120); 이 접속 단자(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00)에서는, 플렉시블 기판(110)의 단말부의 도전 패턴(112)과 접속 단자(120)의 접합 단부가, 예를 들면 저항 용접(시리즈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는, 제1 수지 몰드부(125)에 의해 실링되어 있다. 또, 이 접속부는, 하우징(130)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의 기단(基端)측에 형성된 접속부 수용공(13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수지 몰드부(126)에 의해 하우징(130)의 기단부가 밀봉되어 있다.
이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00)는, 접속 단자(120)가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10)을,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의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진 제1 수지 몰드부(125)에 의해 접속부를 실링하고, 하우징(130)의 접속부 수용공(131)에 수용한 후, 마찬가지의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진 제2 수지 몰드부(126)에 의해 하우징(130)의 기단부를 밀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동일 설비(예를 들면, 핫멜트 충전 장치 등)에서의 일괄 작업에 의해, 방수 가공을 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00)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비의 증가를 방지하고,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의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새로 와이어 시일 등을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에 장착하여 방수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재료비도 삭감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2-17062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00)에서는, 접속 단자(120)의 스프링성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10)과 접속하고 있는 접속 단자(120)를 사용하는 경우, 그 접속부를 핫멜트로 고정하여 버리면 스프링성을 잃어 버린다. 그 결과, 접속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핫멜트 부분(제2 수지 몰드부(126))가 하우징(130)의 외부에 노출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100)의 취급시에 가해지는 외력이, 우선 핫멜트 부분(제2 수지 몰드부(126))에 부가된다. 이에 의해, 핫멜트 부분이 깨지거나 손상되거나 하우징(130)과의 밀착성이 약해져서 고착력이나 방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접속 단자의 스프링성을 확보한 상태로 커넥터 내의 방수를 도모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1)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는, 절연 필름 상에 도체 패턴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접합된 접속 단자; 상기 접속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하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 부분이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접속 단자의 접속부를 협지(挾持)하며, 그 후단 부분에서 플렉시블 기판을 포위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 내주의 플렉시블 기판과의 비접합 부분과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리테이너를 밀착·고정하는 핫멜트;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된 걸림 수단;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피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과 상기 피걸림 수단이 서로 걸려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어 있다.
(2)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후단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작은 돌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상기 접속부는 스프링성을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선단 부분은 상기 접속부의 스프링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접속부를 협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상기 핫멜트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후단 부분의 내부로부터 밀려나오지 않고, 이 후단 부분에 의해 포위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된 상기 핫멜트의 외주에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상기 접속 단자는 암단자이고, 상기 하우징은 암하우징이며, 이 암하우징이 끼워맞춤되는 숫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에 기재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에 따르면,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와 접속 단자의 접합 부분에서의 스프링성을 확보한 상태로 핫멜트에 의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핫멜트 부분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착 및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시블 기판과 암단자를 암하우징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암하우징을 숫하우징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상측의 리테이너를 장착하기 전의 플렉시블 기판과 암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형태에서의 상측의 리테이너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암하우징을 숫하우징에 끼워맞춤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암단자와 리테이너의 개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실시형태에서의 암단자 접속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실시형태의 리테이너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실시형태의 리테이너 근방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1)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1)는, 절연 필름 상에 도체 패턴(도시생략)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1); 이 플렉시블 기판(1)의 단말부에서 도체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합된 접속 단자(암단자)(2); 이 접속 단자(암단자)(2)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암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암하우징(3)은 숫하우징(4)에 끼워넣어진다. 이 때, 접속 단자(2)는 숫하우징(4)에 형성된 숫단자(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렉시블 기판(1)의 도체 패턴과 접합 단자(2)의 접속부(α)는, 상하 한 쌍의 제1 부재(5)와 제2 부재(6)로 이루어진 리테이너의 선단 부분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의 후단 부분은 플렉시블 기판(1)을 포위하고 있다. 더 자세하게 말하면, 리테이너에는 제1 부재(5)와 제2 부재(6)을 겹쳐맞춘 상태로, 플렉시블 기판(1)과 접속 단자(2)가 접합된 접속부(α)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은, 제1 부재(5)에 형성된 제1 오목부(54)와 제2 부재(6)에 형성된 제2 오목부(64)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5)에 형성된 홀(50)과 제2 부재(6)에 형성된 홀(60)로부터 리테이너의 내부로 액상의 핫멜트를 주입했을 때에, 이 공간 내에 핫멜트(7)가 침입하지 않도록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에는 단차부(53, 6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의 직후(단차부(53, 63))에서 플렉시블 기판(1)은 직접 끼워져 있다.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단차부(51, 61)의 뒤쪽에는, 핫멜트(7)가 충전되는 홀(50, 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50, 60)을 통해 핫멜트(7)가 리테이너와 플렉시블 기판(1) 사이에 충전된다. 이 때,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후단 부분의 플렉시블 기판(1)을 포위하는 내주의, 플렉시블 기판과의 비접합 부분(55, 65)에도 핫멜트(7)가 충전된다. 이 때, 핫멜트(7)는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내주로부터 밖으로 밀려나오지 않는다.
도 4는,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외주와 내주(내부 공간)에 충전된 핫멜트(7)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 부분(55, 65)에 충전되고,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내주에서 고화한 핫멜트(7a)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의 삽입구(리테이너의 후단 부분측)로부터 접속 단자(2) 부분으로의 침수가 방지된다.
핫멜트(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를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과 리테이너가 밀착·고정된다. 이 상태로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는 일체화되고, 하나의 리테이너로서 기능한다.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와 같이 그 길이방향의 일측면측을 힌지로 연결하여, 제1 부재(5)와 제2 부재(6)를 연결한 것으로 해도 된다.
숫하우징(4)에는, 접속 단자(암단자)(2)에 끼워넣어지고, 이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숫단자(8)가 설치되어 있다.
암하우징(3)의 선단측에는 하우징 시일(9)이 배치되어 두 하우징(3, 4)의 끼워맞춤 부분의 시일을 도모하고 있다. 이 하우징 시일(9)로서는, 예를 들면 오링(O-ring), 실링 수지,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7)의 외주에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실링 부재(10)는, 암하우징(3)과 핫멜트(7)의 외주 사이, 나아가서는 플렉시블 기판(1)의 시일을 도모하고 있다. 이 실링 부재(10)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 패킹, 오링, 실링 수지,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실링 부재(10)의 암하우징(3)과 접촉하는 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링 부재(10)와 암하우징(3)의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실링 부재(10)의 핫멜트(7)와 접촉하는 면에는 링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링 부재(10)와 핫멜트(7)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실링 부재(10)와 암하우징(3)의 계면 및 실링 부재(10)와 핫멜트(7)의 계면으로부터의 침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플렉시블 기판(1)을 암하우징(3)에 수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외주에는 각각 걸림 수단(후크부(5A, 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암하우징)(3)에는 피걸림 수단(걸림공(5B, 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수단(후크부(5A, 6A))과 피걸림 수단(걸림공(5B, 6B))을 걸리게 하여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와 하우징(3)이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암하우징(3)을 숫하우징(4)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암하우징(3)의 외주에는 스프링편(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숫하우징(4)에는 걸어맞춤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편(30)을 걸어맞춤부(40)에 걸리게 하여 암하우징(3)과 숫하우징(4)이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암하우징(3)을 숫하우징(4)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의 홀(50, 60)의 개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 각각의 후크부(5A)가 암하우징(3)의 걸림공(5B, 6B)(도 1 참조)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암하우징(3)에 형성된 스프링편(30)이 숫하우징(4)의 걸어맞춤부(40)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플렉시블 기판(1)은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와 핫멜트(7)를 통해 접착되고, 후크부(5A, 6A)는 암하우징(3)의 걸림공(5B, 6B)에 걸어맞추어지며, 핫멜트(7)는 암하우징(3)의 외부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 7에서, 플렉시블 기판(1)을 오른손 방향으로 잡아끄는 힘(커넥터 취급상의 부하)이 작용했을 때, 접속부(α)에 직접적으로 부하는 걸리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1)에 대해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핫멜트(7)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과 핫멜트(7)의 접착 면적을 크게 하여 접착력을 높이고 있다.
암단자(2)의 플렉시블 기판(1)과의 접속부(α)의 스프링성은, 이 부분을 핫멜트(7)로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1)의 침수 경로는, 플렉시블 기판(1)과 핫멜트(7)의 계면(제1 침수 경로), 실링 부재(10)와 핫멜트(7)의 계면(제2 침수 경로) 및 하우징 시일(9)과 암하우징(3)의 계면(제3 침수 경로)의 3개소이다. 제1 침수 경로는, 핫멜트(7)가 플렉시블 기판(1)에 밀착하기 때문에 그 경로가 차단되어 있다. 제2 침수 경로는, 실링 부재(10)의 압축에 의해 그 경로가 차단되어 있다. 제3 침수 경로는, 하우징 시일(9)의 압축에 의해 그 경로가 차단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암단자(2)와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선단 부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적인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단자(2)와 플렉시블 기판(1)의 접속부(α)를 종래와 같이 핫멜트(7)로 고정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암단자(2)를 암하우징(3)에 삽입할 때의 지원으로서, 제1 부재(5)에 단자 지지돌출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암단자(2)의 양측 절곡 단면(2A)은, 제1 부재(5)의 한 쌍의 단자 지지돌출부(50A) 간의 선단벽으로 눌리게 되어 있다. 이 단자 지지돌출부(50A)는 암단자(2)의 좌우 기울기를 방지한다.
플렉시블 기판(1)과 암단자(2)의 접속 구조의 일례로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플렉시블 기판(1)에 형성된 홀(1A)에 암단자(2)의 선단측 상하의 판 중에서, 하판(2B)에 형성된 배럴(20)이 삽입되어 있다. 이들 배럴(20)을 안쪽으로 절곡하여 상판(2C)을 감싸안도록, 상판(2C)을 하판(2B)측으로 끌어당겨 플렉시블 기판(1)에 암단자(2)가 장착되어 있다. 상판(2C)과 하판(2B)으로 플렉시블 기판(1)을 끼운 상태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A-A단면도이다.
상판(2C)의 중간에는 폭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2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판(2C)의 돌기부(21)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22, 23)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부(21~23)로 플렉시블 기판(1)을 하판(2B)에 누르고 있다.
한편, 하판(2B)에도 이들 돌기부(21~23)에 대응한 돌기부(24~26)가 배치되어 있다. 상판(2C)과 마찬가지로, 하판(2B)의 중간에는, 이 하판(2B)의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돌기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2B)의 돌기부(24)의 인접하는 위치에는, 하판(2B)의 폭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돌기부(25, 26)가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24~26) 중에서 중간에 위치하는 돌기부(24)의 돌출 높이가 다른 돌기부(25, 26)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판(2C)의 돌기부(21)가 플렉시블 기판(1)을 스프링력에 의해 누르게 된다. 따라서, 돌기부(21, 24)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은 파형으로 변형되고, 플렉시블 기판(1)은 확실히 협지된다.
<제2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2)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2)가 제1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11)와 다른 점은, 리테이너의 후단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면(5a, 6a)에 복수의 작은 돌기(51, 61)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테이너는 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측을 힌지(56)로 연결하여, 제1 부재(5)와 제2 부재(6)를 연결한 것을 이용한다.
도 13은,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힌지(56)를 절곡하기 전의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작은 돌기(51, 61)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의 후단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면(5a, 6a)에 각각 6개씩 배치되어 있다. 핫멜트(7)의 충전용 홀(50, 60)을 사이에 두고 각각 2개 설치된 합계 4개의 작은 돌기의 열과, 이 4개의 작은 돌기 중에서 안쪽의 2개와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작은 돌기의 열을 리테이너(제1 부재(5) 및 제2 부재(6))가 갖고 있다. 제1 부재(5)에 배치된 작은 돌기(51)와, 제2 부재(6)에 배치된 작은 돌기(61)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작은 돌기(51, 61)는 플렉시블 기판(1)을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핫멜트(7)를 홀(50, 60)로부터 충전할 때, 혹은 제1 부재(5)측의 면과 제2 부재(6)측의 면에서 핫멜트의 냉각·고화의 속도 등이 다르면, 플렉시블 기판(1)에 왜곡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돌기(51, 61)를 설치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이 양면으로부터 협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핫멜트를 충전할 때나, 제1 부재(5)측의 면과 제2 부재(6)측의 면에서 핫멜트(7)의 냉각·고화의 속도가 다르다고 해도, 이 작은 돌기(51, 61)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을 수평으로 협지할 수 있다.
또한, 급격한 온도 변화 등이 일어난 경우, 핫멜트(7)와 리테이너의 선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핫멜트(7)와 리테이너의 접착 계면이 어긋날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은 돌기(51, 61)를 복수 배치함으로써 이 접착 계면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핫멜트(7)와 리테이너(5, 6)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에서는 제1 실시형태보다도 더욱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테이너는, 제1 부재(5)와 제2 부재(6)가 그 길이방향의 일측면측이 힌지(56)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부재(5)에는 2개의 걸어맞춤 돌기(5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재(6)에는, 걸어맞춤 돌기(52)와 걸어맞추어지는 2개의 걸어맞춤 홀(62)이 배치되어 있다. 힌지(56)의 개소를 절곡하여 제1 부재(5)와 제2 부재(6)를 겹쳤을 때, 제1 부재(5)에 형성된 2개의 걸어맞춤 돌기(52)가 제2 부재(6)에 형성된 2개의 걸어맞춤 홀(62)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리테이너는 제1 부재(5)와 제2 부재(6)를 겹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어긋남이 발생하기 어려운 리테이너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걸어맞춤 돌기(52) 간의 플렉시블 기판(1)의 양면은 각각 제1 부재(5)와 제2 부재(6)에 밀착하고, 플렉시블 기판(1)은 2개의 걸어맞춤 돌기(5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재(5)와 제2 부재(6)의 작은 돌기(51, 61)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는, 플렉시블 기판의 양면측에 밀폐된 공간(홀(50, 60)과 피접촉 부분(55, 65)이 없다고 했을 때에 밀폐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과 비접촉 부분(55, 65)에 핫멜트(7)가 충전된다.
도 14는 플렉시블 기판(1)을, 핫멜트(7)를 통해, 리테이너(5, 6)에 의해 고정하고, 냉각 고화한 핫멜트(7)의 외주에 실링 부재(10)를 장착한 상태의 작은 돌기(51, 61)의 개소를 나타내는 반단면의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돌기(51, 61)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이 수평으로 협지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단자(2)와 리테이너와 시일 부재(10)가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을 암하우징을 개재하여 숫하우징에 끼워맞춤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접속 단자(2)와 리테이너와 시일 부재(10)가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1)을 직접 차량 등의 도어에 관통 혹은 삽입하는 경우도 유용하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는,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와 접속 단자의 접합 부분에서의 스프링성을 확보한 상태로 핫멜트에 의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핫멜트 부분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고착 및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1 플렉시블 기판
2 접속 단자(암단자)
3 하우징(암하우징)
4 숫하우징
5 제1 부재
6 제2 부재
7 핫멜트
10 실링 부재
11, 12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Claims (6)

  1. 절연 필름 상에 도체 패턴이 형성된 플렉시블 기판;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단말부에서 상기 도체 패턴과 접합된 접속 단자;
    상기 접속 단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상하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 부분이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접속 단자의 접속부를 협지하며, 그 후단 부분에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을 포위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 내주의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의 비접합 부분과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기판과 상기 리테이너를 밀착·고정하는 핫멜트;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된 걸림 수단;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피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수단과 상기 피걸림 수단이 서로 걸려, 상기 리테이너와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후단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작은 돌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스프링성을 갖고,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선단 부분은, 상기 접속부의 스프링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접속부를 협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후단 부분의 내부로부터 밀려나오지 않고, 이 후단 부분에 의해 포위된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외주에 배치된 상기 핫멜트의 외주에 시일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는 암단자이고,
    상기 하우징은 암하우징이며,
    이 암하우징이 끼워맞춤되는 숫하우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KR1020107015421A 2008-01-15 2009-01-15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KR101098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5663 2008-01-15
JP2008005663 2008-01-15
JPJP-P-2008-307445 2008-12-02
JP2008307445 2008-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68A true KR20100105668A (ko) 2010-09-29
KR101098463B1 KR101098463B1 (ko) 2011-12-27

Family

ID=4088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421A KR101098463B1 (ko) 2008-01-15 2009-01-15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83359B2 (ko)
EP (1) EP2234217A4 (ko)
JP (2) JP4796187B2 (ko)
KR (1) KR101098463B1 (ko)
CN (1) CN101919124B (ko)
BR (1) BRPI0907233A2 (ko)
CA (1) CA2712152C (ko)
WO (1) WO20090909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627B2 (en) 2011-02-25 2015-09-15 Yazaki Corporation Flat circuit connector configured to provide enhanced connector stabiliz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78303B2 (ja) * 2009-12-24 2013-09-04 日立電線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278304B2 (ja) * 2009-12-24 2013-09-04 日立電線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8936B2 (ja) * 2010-03-31 2012-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防水コネクタ
JP5631105B2 (ja) * 2010-08-16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736137B2 (ja) 2010-08-17 2015-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727280B2 (ja) * 2011-04-20 2015-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66529B2 (ja) * 2011-07-04 2015-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の防水コネクタ構造
CN103650252B (zh) * 2011-07-04 2016-04-06 矢崎总业株式会社 扁平电缆防水连接器及用于扁平电缆的防水连接器结构
US20140057501A1 (en) * 2012-08-27 2014-0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ical-mechanical fasten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KR101355581B1 (ko) 2012-12-14 2014-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KR101392997B1 (ko) * 2012-12-14 2014-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US10826255B2 (en) 2013-07-19 2020-11-0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843148B2 (en) 2013-07-19 2017-12-12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720734B2 (en) 2013-07-19 2020-07-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693261B2 (en) 2013-07-19 2020-06-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124008B2 (en) * 2013-08-29 2015-09-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5937046B2 (ja) * 2013-09-04 2016-06-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2015225712A (ja) * 2014-05-26 2015-12-14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電子機器の防水接続器具及び電子機器
CN107910711B (zh) * 2014-07-04 2019-08-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104959475A (zh) * 2015-07-28 2015-10-07 珠海雷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媒体传输线插头外壳专用冲压机
JP6932391B6 (ja) * 2019-01-25 2021-11-10 ケーエイチ フィール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Kh Feelux Co., Ltd. 接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照明システム
US10559915B1 (en) * 2019-01-31 2020-02-11 Amphenol Corporation Ruggedized electrical receptacle
JP7221810B2 (ja) * 2019-06-14 2023-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ユニット
JP7221811B2 (ja) * 2019-06-14 2023-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ユニット
KR20240019314A (ko) * 2021-06-11 2024-02-14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전기 커넥터 유닛
JP7297994B1 (ja) * 2022-07-27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車載用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1984A1 (de) * 1977-07-21 1979-02-01 Sharp Kk Elektrische verbindung zwischen zwei auf getrennte traeger aufgebrachten elektrischen schaltkreisen
JP2526456Y2 (ja) * 1992-05-14 1997-02-19 アスモ株式会社 回転電機の電線接続構造
JPH10189134A (ja) * 1996-12-25 1998-07-21 Methode Electron Far East Pte Ltd コネクタ
JPH1116628A (ja) * 1997-06-24 1999-01-2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水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1210410A (ja) * 2000-01-28 2001-08-03 Yazaki Corp フラット回路体の端末構造
US6434316B1 (en) * 2000-06-23 2002-08-13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JP2002025651A (ja) * 2000-07-03 2002-01-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ケーブルのコネクタ接続構造
JP3489053B2 (ja) * 2000-08-28 2004-0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2093515A (ja) * 2000-09-11 2002-03-29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US6409541B1 (en) * 2000-11-02 2002-06-25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Waterproof structure in cable insertion sec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e for waterproof molding
JP3715880B2 (ja) * 2000-11-02 2005-11-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ケーブル挿通部における防水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87055B2 (ja) 2000-11-30 2009-12-16 株式会社フジクラ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98956A (ja) * 2001-03-30 2002-10-11 Fujikura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20864A (ja) * 2003-01-10 2004-08-0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構造
DE20319011U1 (de) * 2003-12-05 2005-04-21 Molex Incorporated, Lisle Flachleiterverbinder für abgedichtete Anwendungen
JP2005347143A (ja) * 2004-06-04 2005-12-15 Fujikura Ltd コネクタ
JP2007042449A (ja) * 2005-08-03 2007-02-15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用防水コネクタ
US7354308B2 (en) 2005-08-03 2008-04-08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connector for flat cable
EP2027632B1 (en) * 2006-05-12 2019-04-1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2008005663A (ja) 2006-06-26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風力発電装置
JP2008307445A (ja) 2007-06-13 2008-12-25 Sharp Corp 生ゴミ処理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627B2 (en) 2011-02-25 2015-09-15 Yazaki Corporation Flat circuit connector configured to provide enhanced connector stabil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79541A1 (en) 2010-11-04
CA2712152A1 (en) 2009-07-23
KR101098463B1 (ko) 2011-12-27
JP2011210741A (ja) 2011-10-20
EP2234217A4 (en) 2011-06-29
JP4796187B2 (ja) 2011-10-19
CA2712152C (en) 2012-10-23
JPWO2009090998A1 (ja) 2011-05-26
BRPI0907233A2 (pt) 2020-09-15
CN101919124A (zh) 2010-12-15
EP2234217A1 (en) 2010-09-29
WO2009090998A1 (ja) 2009-07-23
US7883359B2 (en) 2011-02-08
CN101919124B (zh) 2013-03-27
JP5347000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463B1 (ko)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US9048563B2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KR101288689B1 (ko) 커넥터 하우징의 방수구조
CN108988006B (zh) 连接器安装结构和端子台
US20140148019A1 (en) Component module, ma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nent module and mating connector
JP2008186706A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US20030022533A1 (en)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in a computer hard disk drive
CN111492447A (zh) 电容器
JP2020518222A (ja) 非封止型コネクタを覆う工程を含む配線方法
US9769945B2 (en) Covering device for a contacting portion of a printed circuit board, control system for a mechatronic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 system
KR20120015274A (ko) 전기 연결 장치
JP201021213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2238655B1 (ko) 커넥터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113615010B (zh) 连接器
KR102238646B1 (ko) 커넥터
KR20180054117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541071Y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TWI801766B (zh) 連接器組件和連接器對
WO2022270119A1 (ja) コネクタ
EP2635098A1 (en) Card member and card edge connector
JP2014179445A (ja) 車載電子制御装置
WO2016189891A1 (ja) コネクタ
JP5707198B2 (ja) 防液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