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314A - 전기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314A
KR20240019314A KR1020247000831A KR20247000831A KR20240019314A KR 20240019314 A KR20240019314 A KR 20240019314A KR 1020247000831 A KR1020247000831 A KR 1020247000831A KR 20247000831 A KR20247000831 A KR 20247000831A KR 20240019314 A KR20240019314 A KR 2024001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
inner housing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후안 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24001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5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9Threaded ferrule or bolt opera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able or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에서, 상기 커넥터가,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설치된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이 브리지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며,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직접 걸어 맞춤 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유닛
본 개시는 전기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을 갖는 전기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유닛은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종전의 커넥터는 케이싱 하우징에 수용되고 또한 결합 부재에 결합된 전원용 단자를 지지하는 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과, 신호 단자를 지지하는 신호 단자 내부 하우징을 구비한다. 즉, 종전의 커넥터에서는,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에 상당)에 의해 일체화된 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 및 신호용 단자 내부 하우징 등이 케이싱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676429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8-206501호 공보
본원 발명자는, 종전의 커넥터에서 결합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이하의 점에서 극복해야 할 점이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이를 위한 대책을 취할 필요성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에 상당)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부품(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 신호용 단자 내부 하우징 및 결합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화물을 미리 준비한 다음 커넥터의 하우징 몸체 하우징에 상기 일체화물을 부착할 필요가 있다. 즉, 케이싱 하우징에 부착하기 전 단계에서 상기의 복수의 파츠(parts)로 이루어지는 일체화물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 점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조립 효율이 낮아지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개시는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설치된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은 브리지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고,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직접 걸어 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에 의하면, 그 구성 요소인 커넥터의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케이싱 하우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내부 하우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디바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내부 하우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디바이스 커넥터측에서 본 케이싱 하우징 및 내부 하우징을 구비한 디바이스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커넥터측에서 본 디바이스 커넥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의 각종 요소는 본 개시의 설명을 위해 모식적이고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고, 외관이나 치수비 등은 실물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복수의 도면의 동일 부호의 부분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을 가리킨다.
[전기 커넥터·유닛의 전체 구성]
우선,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 후, 본 개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1000)은 소정의 디바이스(2000)(예를 들어, 산업 기계, 산업용 로봇 등에 이용되는 모터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1000)은 상호 대향하여 조합 가능한 커넥터(100) 및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구비한다. 커넥터(100)는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이다. 따라서, 커넥터(100)는 케이블용 커넥터라고 칭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커넥터(300)는 디바이스(2000)에 설치된 커넥터이다. 따라서, 디바이스 커넥터(300)는 디바이스용 커넥터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유닛」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갖고 이루어지는 복합품 또는 조합품 등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1000)은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100)와, 커넥터(100)와 서로 조합되는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적어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복합체 또는 전기 커넥터 조합품에 상당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유닛(1000)은 케이블과 디바이스(2000) 사이에서의 2 이상의 전기적인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일례로서는, 케이블과 모터 등과의 사이에서, (1) 모터를 구동 또는 제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을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인 경로와, (2) 디바이스의 회전 정보 등을 검출하는 센서(엔코더에 상당)로부터의 및/또는 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부품(브레이크에 상당)으로의 신호 전송을 위한 전기적인 경로를 각각 확보하기 위해 이용된다.
[케이블]
상기와 같이, 모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블을 예로 들면, 케이블은 3 개의 내부 케이블을 포함한다. 제1 내부 케이블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용 내부 케이블이다. 제2 내부 케이블은 인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용 내부 케이블이다. 제3 내부 케이블은 브레이크로 보내지는 신호용 내부 케이블이다. 제1 내부 케이블, 제2 내부 케이블, 및 제3 내부 케이블은 각각 다수일 수 있다. 각 내부 케이블은 순구리선 또는 주석 도금 구리선 등의 도선과, 이 도선의 외주를 둘러싸는 절연성의 내부 케이블 피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커넥터(100)의 내부 하우징에 수용되는 단자가 접속될 수 있다.
일예에서는, 전체적으로, 상기의 제1 및 제2 내부 케이블을 내부에 갖고 이루어지는 1개(1體)의 복합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임의로는, 1개의 복합 케이블은 제3 내부 케이블을 내부에 더 갖고 이루어질 수 있다. 1개의 복합 케이블이 제1 및 제2 내부 케이블을 내부에 갖고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 들면, 이들 내부 케이블을 내부에 갖고 이루어지는 복합 케이블 자체의 외면은, 도전성의 케이블 실드와 이것을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종의 복수의 내부 케이블은 1개로 묶여 있는 한편, 이종의 제1 내부 케이블과 제2 내부 케이블 사이에는 도전성 케이블 실드와 이것을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에 의해 더 분리된다.
다른 예에서는, 전체적으로 2개 이상의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케이블은 복수의 동종의 전원용 제1 내부 케이블로 구성되는 제1 내부 케이블 다발과, 제1 내부 케이블 다발을 둘러싸는 도전성 케이블 실드와, 케이블 실드를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를 구비한다.
임의로는, 제1 케이블은 제1 내부 케이블에 더하여 브레이크로 보내지는 신호용의 제3 내부 케이블을 더 갖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케이블은 복수의 동종의 제3 내부 케이블로 구성된 제3 내부 케이블 다발과, 제3 내부 케이블 다발을 둘러싸는 도전성 케이블 실드와, 케이블 실드를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동종의 복수의 제1 내부 케이블은 하나로 묶을 수 있는 한편, 이종의 제1 내부 케이블과 제3 내부 케이블 사이에서는, 도전성 케이블 실드와 이것을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에 의해 더 분리된다.
또한, 제2 케이블은 인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용 제2 내부 케이블로 구성되는 제2 내부 케이블 다발과, 제2 내부 케이블 다발을 둘러싸는 도전성 케이블 실드와, 케이블 실드를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를 구비한다.
케이블을 커넥터(100)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각 내부 케이블 다발을 둘러싸는 케이블 실드의 외주를 덮는 절연성 피복 부재의 단부를 제거하여 케이블 실드의 단부를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접고, 접힌 부분에 구리 테이프를 감아서 케이블의 단말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리 테이프가 감겨진 케이블 실드(단말 처리 부분에 상당)를 커넥터(100) 내의 커넥터 실드에 압착 또는 가압함으로써, 케이블 실드와 커넥터 실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에 따라 전자 실드를 구성 가능하다.
상기의 케이블 실드는 내부 케이블 다발을 전기적으로 차폐하기 위해서 도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실드는 내구성 및 가요성의 관점에서 복수의 도전성 스트랜드 또는 섬유 등의 도전성 소선으로 형성된 편조일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케이블 실드에 이용되는 편조는 구리, 구리 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재료 표면에는 산화 및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주석 도금, 니켈 도금 또는 은 도금 등의 도전성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케이블 실드를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 부재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 플루오로 폴리머, 폴리에틸렌 및/또는 그것들과 동종의 폴리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케이싱 하우징(110), 케이싱 하우징(110) 내에 배치된 내부 하우징(130)을 구비한다. 케이싱 하우징(110)은 커넥터(100)의 외측을 규정하는 것인 한편, 내부 하우징(130)은 케이싱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싱 하우징(110) 및 내부 하우징(130)은 각각 아우터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이라고 칭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하우징(110)은 절연성 부재이고 디바이스 커넥터(300)와 대향하는 측에 개구 영역(112)을 갖는 요부상 공간(113)을 구비한다. 요부상 공간(113)은 상호 연속하는 복수의 측부(114)와 저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케이싱 하우징(110)은 적어도 1개의 측부(114)에 상술한 케이블을 통과시킬 수 있는 삽통구(111)를 구비한다.
상술의 케이블로서 1개의 복합 케이블이 이용되는 경우, 케이싱 하우징(110)에는 1개의 삽통구(111)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2개 이상의 케이블이 이용되는 경우, 케이싱 하우징(110)에는 2개 이상의 삽통구(111)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삽통구(111)가 배치되고, 각 삽통구(111)를 통해 케이블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삽통구(111)는 케이싱 하우징(110)의 외측을 향하여 통상(筒狀)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통구(111)로부터의 케이블의 빠짐 방지와 방수의 관점에서, 삽통구(111)의 외주에는 스크류 캡(170)이 나사 고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 캡(170)과 삽통구(111) 사이에는 방수를 위해 씰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130)은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서브 내부 하우징」은 내부 하우징의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내부 하우징(130)은, 상기의 제1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커넥터측 단자(210)(도 2 참조)와, 제2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된 제2 커넥터측 단자(220)(도 2 참조)를 수용 가능하다.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은 구획벽(132A)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격자상의 내부 공간(133A)을 구비한다. 내부 공간(133A)에는 제1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된 제1 커넥터측 단자(210)(예를 들면, 전원용 단자)가 수용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은 구획벽(132B)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격자상의 내부 공간(133B)을 구비한다. 내부 공간(133B)에는 제2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된 제2 커넥터측 단자(220)(예를 들면, 신호용 단자)가 수용 가능하다. 일 예에서는, 상기의 제1 커넥터측 단자(210)의 수와 제2 커넥터측 단자(220)의 수는 동일해도 좋다. 다른 예에서는, 상기의 제1 커넥터측 단자(210)의 수와 제2 커넥터측 단자(220)의 수는 달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케이싱 하우징(110) 및 내부 하우징(130)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연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커넥터(300)]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커넥터(300)는 도전성 하우징(310)과, 도전성 하우징(310) 내에 이격 배치된 2개 이상의 절연성 하우징(320)과 각 절연성 하우징(320) 내에 지지된 디바이스측 단자와 씰부(340)를 구비한다.
도전성 하우징(310)은, 베이스부(311), 프레임 바디부(312) 및 돌출부(313)를 구비한다. 베이스부(311)는 디바이스(2000)의 주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에 의해 접지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레임 바디부(312)는, 베이스부(311)로부터 커넥터(100)의 설치측으로 연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바디부(312)는, 상호 이격 배치된 2개의 절연성 하우징(320)을 둘러쌈과 동시에, 이들 절연성 하우징(320)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부에 대한 전자 실드와, 후술하는 절연성 하우징(320) 내에 지지된 제1 디바이스측 단자와 제2 디바이스측 단자 사이의 전자 실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돌출부(313)는 케이싱 하우징(110)과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접속하기 위한 로크부(140)가 걸림 가능한 계지부(係止部, catching part)를 구비한다.
도전성 하우징(310)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전성 하우징(31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또는 도전성 도금을 표면에 붙인 수지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생산성 및 치수 정밀도의 관점에서, 도전성 하우징(310)은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 등의 다이 캐스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절연성 하우징(320)이 도전성 하우징(310) 내에 배치되는 경우, 예를 들면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의 조합 시에,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은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은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제1 절연성 하우징(321)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은 구획 부분을 이루는 프레임 바디부(312)를 통해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있다. 제1 절연성 하우징(321) 내에는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가 지지된다.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가 예를 들어 전원용 단자인 경우,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는 모터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성 하우징(322) 내에는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가 지지된다.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가 예를 들어 신호용 단자인 경우,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는 센서 등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성 하우징(321) 내에 지지되는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의 수는 상기의 제1 커넥터측 단자(210)의 수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절연성 하우징(322) 내에 지지되는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의 수는 상기의 제2 커넥터측 단자(220)의 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일례로서, 상기와 같이 제1 커넥터측 단자(210)의 수와 제2 커넥터측 단자(220)의 수가 동일한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의 수와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의 수는 동일하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와 같이 제1 커넥터측 단자(210)의 수와 제2 커넥터측 단자(220)의 수가 다른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의 수와 제2의 디바이스측 단자(332)의 수도 다르다.
이러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의 조합시에 제1 커넥터측 단자(210)와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와 각각 접촉하고, 또한 제2 커넥터측 단자(220)와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와 각각 접촉 가능하다. 이러한 접촉은 디바이스(2000)와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의 절연성 하우징(320)은 상기의 케이싱 하우징(110) 및 내부 하우징(13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연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씰부(340)는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 사이에서 내부로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씰부(340)의 배치 개소로서는 프레임 바디부(312)의 외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씰부는 디바이스 커넥터(300)와 디바이스(2000) 사이에서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베이스부(311)와 디바이스(2000) 사이의 접속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징 부분]
상기의 전기 커넥터 유닛의 전체적 구성을 근거로 한 후, 이하, 본 개시의 특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도 3~도 6 참조).
본원 발명자는,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의 구성에 대해 예의 검토하여, 「종전과 같이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에 상당)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 하우징(130)을 케이싱 하우징(110)에 설치한다」는 사상에 기초하여 본 개시를 안출(案出)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상에 기초하여, 본원 발명자는 내부 하우징(130)의 구성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자는 「내부 하우징(130)의 구성요소인 상기의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을 브리지 부재(130C)를 통해 상호 연결시킨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을 케이싱 하우징(110)에 직접 걸어 맞춘다」는 구성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은 2개 이상의 서브 내부 하우징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1개의 구성체로서 기능하는 내부 하우징을 지칭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브리지 부재」는 내부 하우징(130)의 구성 부재이며(즉, 내부 하우징(130)과 별개의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또한 2개 이상의 서브 내부 하우징끼리를 중개 또는 매립하기 위해 연결하는 부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걸어 맞춤(係合, Engaging)」은 일방의 요소가 타방의 요소와 걸어 맞춰지거나 및/또는 이어 맞춰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브리지 부재(130C)와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이 상호 연속 가능하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내부 하우징(130)이 일체화물을 이룰 수 있다. 그 때문에, 종전과 같이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에 상당)를 이용하지 않아도, 일체화물을 이루는 내부 하우징(130)을 케이싱 하우징(110)에 직접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전과 같이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에 상당)를 이용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부품 점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 결과적으로, 본 개시에서는 커넥터(100)의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커넥터 차폐부(120)는 내부 케이블의 선단에 접속된 단자에 대한 차폐 요소로서 기능하기 위해 케이블(20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부 케이블 및 단자를 위에서 덮도록 내부 하우징(130)(예를 들어,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의 상면에 대해 부착될 수 있다. 이 커넥터 실드(120)는 금속 또는 연자성체의 도전성 재료 또는 도금 처리 등에 의해 표면에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커넥터 차폐부(120)는,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 박판을 펀칭 및/또는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과 케이싱 하우징(110)의 직접 걸어 맞춤에 대해서는, 이하의 형태에 의해 실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은 상호 대향하는 일방의 측에 제1 돌기(131A)와 타방의 측에 제2 돌기(131B)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31A)와 제2 돌기(131B)는 상호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돌기(131A)와 제2 돌기(131B)는 선대칭 배치 또는 점대칭 배치일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하우징(110)은 측부(114)에 국소적으로 형성된 2개의 요부(凹部, recessed part)(115)를 갖고 이루어진다. 이들 2개의 요부(115)의 일방은 상기의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제1 돌기(131A)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요부(115)의 타방은 상기의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제2 돌기(131B)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31A)와 제2 돌기(131B)는 직접 대향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 2개의 요부(115)도 상호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선대칭 배치 또는 점대칭 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싱 하우징(110)이 상호 대향하는 돌기를 갖고 이루어지는 한편,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이 상호 대향하고 이들 돌기가 각각 걸어 맞춤 가능한 요부를 갖고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케이싱 하우징(110) 및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일방이 상호 대향하는 돌기를 갖고 이루어지고, 케이싱 하우징(110)과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타방이 상호 대향하고 이들 돌기가 각각 걸어 맞춤 가능한 요부를 갖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일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하우징(110) 내로에 내부 하우징(130)이 설치 시에 케이싱 하우징(110)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요부(115)와 내부 하우징(130)의 상호 대향하는 2 개의 돌기(131A, 131B)를 각각 걸어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 하우징(110)과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20)의 직접적인 계합 포인트를 2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면에서 볼 때, 2개의 직접적인 계합 포인트를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일방의 측과 타방의 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종전과 같이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를 이용하지 않아도, 케이싱 하우징(110)에 대한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안정적인 부착 배치가 가능해진다.
특히, 평면에서 볼 때 내부 하우징(130)의 제1 돌기(131A)와 제2 돌기(131B)가 선 또는 점대칭 배치이고, 또한 케이싱 하우징(110)의 2개의 요부(115)도 선 또는 점대칭 배치인 경우, 이들 돌기와 요부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형성되는 2 개의 계합 포인트도 선 또는 점대칭 배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130)의 일방의 측과 타방의 측에 형성되는 2개의 계합 포인트는 1세트 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케이싱 하우징(110)에 대한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의 보다 안정적인 부착 배치가 가능해진다. 일 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세트의 계합 포인트의 어느 하나가 케이싱 하우징(110)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측면(114)에 위치되어도 좋다. 다른 예에서는, 2세트의 계합 포인트의 일방이 케이싱 하우징(110)의 상호 대향하는 2개의 측부(114)에 위치될 수 있고, 2세트의 계합 포인트의 타방이 케이싱 하우징(110)의 상호 대향하는 다른 2개의 측부에 위치되어도 좋다.
이들 2개의 계합 포인트가 선 또는 점대칭 배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이 직접 대향하고, 또한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케이싱 하우징(110)에도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을 적합하게 걸어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반회전시킨 케이싱 하우징(110)에도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130)을 부착할 수 있다.
일 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수평 방향에 상당)으로 연장된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을 구비하는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서로 조합한 전기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 X 방향(X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을 구비하는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서로 조합한 전기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X 방향(수평 방향에 상당)으로 연장된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을 구비하는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서로 조합한 전기 커넥터 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Z 방향(높이 방향에 상당)으로 연장된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을 구비하는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를 서로 조합한 전기 커넥터 유닛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2개의 계합 포인트가 선 또는 점대칭 배치인 경우, 필요에 따라, 인출 방향이 다른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의 용도에 따른 구분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블과 접속되는 전원 및 신호의 송수신 디바이스의 배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2개의 계합 포인트가 선 또는 점대칭 배치인 경우,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케이싱 하우징(110)을 이용하고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케이싱 하우징(110)에 내부 하우징(130)을 설치하는 경우와, 소정 위치의 케이싱 하우징(110)에 내부 하우징(130)을 설치하는 경우의 양방을 실현할 수 있다. 환언하면, 내부 하우징(130)을 설치하기 위해서, 소정 위치에서 반회전시켜 이용하는 경우와, 소정 위치에서 이용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서도,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는 케이싱 하우징(110)이 이용된다. 이상으로부터, 형상 및 사이즈가 다른 케이싱 하우징을 새롭게 준비하지 않아도, 필요에 따라, 인출 방향이 다른 케이블 부착의 케이싱 하우징(110)의 용도에 따른 구분을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 상술과 같이, 결합 부재를 이용하는 형태에서는, 결합 부재(프레임 바디) 내에 부착되는 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과 신호 단자 내부 하우징을 실드 부재로 구획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와 신호용 단자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가 대략 동일하지 않으면, 만일 결합 부재를 반회전시킬 경우에 실드 부재(칸막이판)의 존재에 의해 전원용 단자 내부 하우징과 신호용 단자 내부 하우징을 소정 위치에 각각 부착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본 개시에서는 결합 부재(프레임)를 이용하지 않고, 또한 커넥터 실드(120)는 결합 부재가 아닌 내부 하우징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의 평면 사이즈와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의 평면 사이즈가 상호 다르더라도, 평면에서 볼 때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케이싱 하우징(110)의 소정 위치에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을 각각 부착할 수 있다.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의 평면 사이즈와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의 평면 사이즈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경우, 절연성 구획판을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성 구획판의 추가 배치에 의해,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의 위치 어긋남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서는,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이 직접 대향하고, 또한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실수 등에 의해, 내부 하우징(130)이 내부에 부착된 케이싱 하우징(110)을 소정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커넥터(100)를 디바이스 커넥터(300)에 조합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제1 커넥터측 단자(210)와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가 접촉하는 한편, 제2 커넥터측 단자(220)와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가 접촉할 우려가 있다. 만일 이러한 접촉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전자 실드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디바이스(2000)와 케이블 사이에 전기적 접속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소정 위치에 있는 케이싱 하우징(110)을 이용하는 경우 및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케이싱 하우징(110)을 이용하는 경우의 어느 하나에서도,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이 직접 대향하고, 또한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의 직접 대향 관계와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의 직접 대향 관계는 상기 어느 경우에서도 불변이다.
따라서,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의 조합시에,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 및 제1 절연성 하우징(321), 그리고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 및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의 일방에서, 서브 내부 하우징과 이에 직접 대향하는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에 설치된 철부(凸部)와, 그 타방에 설치되어 상기 철부에 직접 대향하는 요부가 끼워 맞춤(嵌合, mate) 가능한 구성이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의 조합시에 "실수로",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과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이 직접 대향하는 한편,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과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이하의 점에서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서브 내부 하우징(130A)에 설치된 철부가,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2 절연성 하우징(322)의 주면에 맞닿을(當接)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2 서브 내부 하우징(130B)에 설치된 철부가, 요부가 형성되지 않은 제1 절연성 하우징(321)의 주면에 맞닿을 수 있다.
즉, 커넥터(100)와 디바이스 커넥터(300)의 조합시에, 본래 직접 대향해야 하는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의 철부와,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절연성 하우징의 타방의 상기 철부에 직접 대향하는 요부가 직접 대향하지 않는 경우, 양자의 끼워 맞춤을 실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측 단자(210)와 제2 디바이스측 단자(332)의 접촉과, 제2 커넥터측 단자(220)와 제1 디바이스측 단자(331)의 접촉을 바람직하게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에서, 단자의 오삽입 방지, 소위 "키잉(keying)"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디바이스(2000)와 케이블 사이에서의 전기적 접속 불량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을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성을 조합하는 등, 청구범위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술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음의 바람직한 태양을 포함한다.
제1 태양: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커넥터가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설치된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이 브리지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고,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직접 걸어 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제2 태양: 상기 제1 태양에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브리지 부재와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이 상호 연속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이 일체화물을 이루고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3 태양: 상기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의 일방이 상호 대향하는 돌기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의 타방이 상호 대향하고 상기 돌기가 걸어 맞춤 가능한 요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4 태양: 상기 제1 태양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걸어 맞춰지는 계합 포인트가 2 개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2 개의 계합 포인트가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의 일방의 측과 타방의 측에 있고, 상기 2개의 계합 포인트가 1세트 이상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5 태양: 상기 제4 태양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2 개의 계합 포인트가 선대칭 배치 또는 점대칭 배치인 전기 커넥터 유닛.
제6 태양: 상기 제1 태양 내지 제5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와 조합 가능한 디바이스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가 도전성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절연성 하우징, 및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과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7 태양: 상기 제6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성 하우징이 직접 대향하고,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성 하우징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평면에서 볼 때,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을 설치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제8 태양: 상기 제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반회전시켜 이용하는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상기 케이싱 하우징이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9 태양: 상기 제1 태양 내지 제8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와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가 상호 다른 전기 커넥터 유닛.
제10 태양: 상기 제6 태양 또는 제7 태양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의 조합 시에,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1 절연성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에서, 상기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에 설치된 철부와 그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철부에 직접 대향하는 요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제11 태양: 상기 제10 태양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의 조합시에 상기 철부와 요부가 직접 대향하지 않는 경우, 양자의 끼워 맞춤이 실시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제12 태양: 상기 제1 태양 내지 제11 태양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적어도 제1 내부 케이블 및 제2 내부 케이블을 갖고 이루어지는 1개의 복합 케이블인 전기 커넥터 유닛.
본 개시의 전기 커넥터 유닛은 전기 접속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21-098150호(출원일: 2021년 6월 11일, 발명의 명칭: 「전기 커넥터 유닛」)에 기초한 파리 조약상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당해 출원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2000 디바이스
1000 전기 커넥터 유닛
100 커넥터
110 케이싱 하우징(casing housing)
111 삽통구
112 개구 영역
113 요부상(凹部狀, recessed) 공간
114 측부
115 요부
120 커넥터 실드
130 내부 하우징
130A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130B 제2 서브 내부 하우징
130C 브리지 부재
131A 제1 돌기
131B 제2 돌기
132A 칸막이벽
132B 칸막이벽
132A 내부 공간
132B 내부 공간
140 로크부(locking part)
150 씰재
170 스크류 캡
210 제1 커넥터측 단자
220 제2 커넥터측 단자
300 디바이스 커넥터
310 도전성 하우징
311 베이스(基部, base)
312 프레임 바디부
313 돌출부
320 절연성 하우징
331 제1 디바이스측 단자
332 제2 디바이스측 단자
340 씰부

Claims (12)

  1. 케이블이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으로서,
    상기 커넥터가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설치된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이 브리지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는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고,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직접 걸어 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브리지 부재와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이 상호 연속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이 일체화물을 이루고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 중 일방이 상호 대향하는 돌기를 갖고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싱 하우징 및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의 타방이 상호 대향하고 또 상기 돌기가 걸어 맞춤 가능한 요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전기 커넥터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이 걸어 맞춰지는 계합 포인트가 2개 있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2개의 계합 포인트가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의 일방의 측과 타방의 측에 있고, 상기 2 개의 계합 포인트가 1세트 이상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2 개의 계합 포인트가 선대칭 배치 또는 점대칭 배치가 되는 전기 커넥터 유닛.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커넥터와 조합 가능한 디바이스 커넥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가 도전성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 제1 절연성 하우징 및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과 직접 대향하여 배치된 제2 절연성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1 절연성 하우징이 직접 대향하고, 또한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과 상기 제2 절연성 하우징이 직접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정 위치로부터 반회전시킨 상기 케이싱 하우징 내에 상기 복합형의 내부 하우징을 설치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 상기 반회전시켜 이용되는 상기 케이싱 하우징과 상기 소정 위치에 있는 상기 케이싱 하우징이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전기 커넥터 유닛.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와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의 평면 사이즈가 상호 다른 전기 커넥터 유닛.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의 조합시, 상기 제1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1 절연성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2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제2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에서, 상기 서브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절연성 하우징의 일방에 설치된 철부와 그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철부에 직접 대향하는 요부가 끼워 맞춤 가능한 전기 커넥터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디바이스 커넥터의 조합시에, 상기 철부와 상기 요부가 직접 대향하지 않는 경우, 양자의 끼워 맞춤이 실시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유닛.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적어도 제1 내부 케이블 및 제2 내부 케이블을 갖고 이루어지는 1개의 복합 케이블인 전기 커넥터 유닛.
KR1020247000831A 2021-06-11 2022-06-07 전기 커넥터 유닛 KR202400193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98150 2021-06-11
JPJP-P-2021-098150 2021-06-11
PCT/JP2022/022973 WO2022260038A1 (ja) 2021-06-11 2022-06-07 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314A true KR20240019314A (ko) 2024-02-14

Family

ID=8442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831A KR20240019314A (ko) 2021-06-11 2022-06-07 전기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06156A1 (ko)
JP (1) JPWO2022260038A1 (ko)
KR (1) KR20240019314A (ko)
CN (1) CN117426025A (ko)
DE (1) DE112022003035T5 (ko)
WO (1) WO202226003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290A (ja) 1993-08-26 1995-03-10 Fuji Photo Film Co Ltd 平版印刷材料
JP2018206501A (ja) 2017-05-31 2018-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側面視略l字の筒状のハウジングを備えるケーブル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7938A (ja) * 2000-06-14 2001-12-26 Smk Corp コネクタ
KR101098463B1 (ko) * 2008-01-15 2011-12-27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플렉시블 기판용 방수 커넥터
JP2011070831A (ja) * 2009-09-24 2011-04-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6792386B2 (ja) * 2016-09-13 2020-1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取付方法
CN212011467U (zh) * 2020-05-14 2020-11-24 厦门唯恩电气有限公司 分区屏蔽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290A (ja) 1993-08-26 1995-03-10 Fuji Photo Film Co Ltd 平版印刷材料
JP2018206501A (ja) 2017-05-31 2018-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側面視略l字の筒状のハウジングを備えるケーブル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60038A1 (ko) 2022-12-15
DE112022003035T5 (de) 2024-04-25
WO2022260038A1 (ja) 2022-12-15
US20240106156A1 (en) 2024-03-28
CN117426025A (zh)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3197B1 (en) Electrical plug and method of fitting the plug
CN102341970B (zh) 具有外部emi屏蔽性能的插塞式连接器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JP4082602B2 (ja) シールド電線の接続構造
JP6225836B2 (ja) コネクタ構造
EP3386037B1 (en) Electrical connector
US898604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shield braided part
US9270049B2 (en) Waterproof connector
CN103620880A (zh) 连接器
CN102474015A (zh) 连接器组件
CN104302519B (zh) 电接线盒
JP2014216135A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6953185B (zh) 电连接器
CN103988372A (zh) 连接器
CN113785451B (zh) 连接器
KR20240019314A (ko) 전기 커넥터 유닛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CN213989353U (zh) 防水电缆接头及电子装置
JP2023069442A (ja) 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
CN218732044U (zh) 电子设备以及电器系统
CN115441266A (zh) 电连接器单元
WO2012093665A1 (ja) ケーブルアセンブリ
CN215681062U (zh) 线对板连接器组件
JP7151923B1 (ja) 電力変換装置
WO2022158495A1 (ja) ワイヤハーネ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