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986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986A
KR20100096986A KR1020090088549A KR20090088549A KR20100096986A KR 20100096986 A KR20100096986 A KR 20100096986A KR 1020090088549 A KR1020090088549 A KR 1020090088549A KR 20090088549 A KR20090088549 A KR 20090088549A KR 20100096986 A KR20100096986 A KR 2010009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upport frame
racing
racing wheel
convey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240B1 (ko
Inventor
하쿠로 타카하시
류지 아케비
타츠야 미야케
사토시 키타가와
카즈헤이 이시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0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937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498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77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072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35312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01Devices for leading crops to the mow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과제) 7조분의 예취폭을 구비해서 예취작업의 능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 예취장치의 전동기구를 간소화한다.
(해결 수단) 예취장치(6)의 하부 전동 케이스(38) 전방측에 8개의 분초 프레임(43)을 배치하고, 상기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를 각각 형성한다. 각 곡간 도입경로(44)마다 설치하는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제 3 레이킹 휠(53c)과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며, 제 6 레이킹 휠(53f)과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88549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품화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은 일행정에서 6조의 직립 곡간(穀稈)을 예취하는 6조 베기의 예취장치를 구비한 것이 최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예취작업의 더나은 고능률화를 목적으로 해서, 7조 베기 또는 8조 베기까지 예취폭을 확대한 영농업자용의 콤바인의 상품화가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8조 베기의 예취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이 있다.
[선행 기술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9-4499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취장치와 같이, 짝수의 조열을 베어내는 예취장치의 경우에는, 그 예취폭의 중심 위치를 콤바인의 기체측에서 설치한 예취 지지 프레임의 선단에 지지시킴으로써 예취장치의 좌우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은 조종부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예취 지지 프레임의 선단에 8조나 되는 광폭의 예취장치의 중심 위치를 지지했을 경우, 기체의 좌 외측에 예취장치의 좌측 단부가 크게 돌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기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조종부에서 예취장치의 좌측 단부가 감시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에 있어서의 조맞춤(예취장치의 가장 좌측의 분초체와 직립 곡간의 조열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어 예취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예취폭이 기체폭으로부터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면 콤바인을 트랙의 짐받이에 적재할 수 없게 되고, 트랙에 의한 수송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포장간을 자주에 의해 이동하는 수 밖에 없어지고, 포장간 이동에 시간을 요해서 작업능률이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주행 중에 예취장치가 장해물에 충돌해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통상, 예취장치의 각 분초(分草) 프레임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곡간 도입경로에는 상기 곡간 도입경로마다 1개의 레이킹 휠(raking wheel)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예취폭을 확대할수록 이 레이킹 휠이 증가하고, 각 레이킹 휠을 구 동하기 위한 전동기구가 복잡화되며, 이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어서 예취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통상의 예취작업에서는 콤바인을 포장의 4변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예취 주행시킨다. 이 때문에, 예취장치의 우측 단부가 기체폭으로부터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이 두렁에 충돌해서 파손이나 변형을 초래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예취폭의 중심 위치로부터 좌우 한쪽으로 치우친 부위를 예취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했을 경우에는, 예취폭이 커질수록 예취 지지 프레임에 작용하는 뒤틀림의 모멘트가 커진다. 이 때문에, 예취장치가 좌우로 흔들려, 예취장치의 좌우에서의 곡간의 절단 위치가 일치되지 않아 베어낸 곡간의 길이가 불균일하게 되어서 탈곡장치에서 탈곡 잔부를 발생시키거나, 포장의 벤 자국이 흐트러지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장치(1)를 구비한 기대(2)의 좌측의 부위에 탈곡장치(3)를 탑재하고, 상기 기대(2)의 우측의 부위에는 곡립(穀粒) 저류장치(4)를 탑재하고, 상기 곡립 저류장치(4) 전방측에 조종부(5)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5) 및 탈곡장치(3) 전방측에 예취장치(6)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장치(6)를 지지하는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기부를, 조종부(5)보다 좌측의 기대(2) 전방부에 설치한 지지대(37)에 지지하고,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을 전방측 아랫쪽으로 연장시켜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하 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보다 좌측으로 치우친 부위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 전방측에 전후 방향을 향하는 8개의 분초 프레임(43)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상기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상기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를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시켜,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65)로부터 후방의 중계 반송장치(67)로 예취 곡간을 인계받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가장 우측의 제 1 일으켜세움 장치(5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55)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5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방부를 전방 외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단부를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의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조종부(5) 전방측의 기대(2)측 부위를 신축 가능한 링크(40)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의 콤바인으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보다 좌측으로 치 우친 부위를 연결함으로써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가 콤바인의 기체로부터 좌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에 의해, 콤바인의 기대(2)의 우측에 설치되는 조종부(5)부터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가 감시하기 쉬워져, 예취작업에 있어서의 조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예취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이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연동해서 회전시키고,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이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연동해서 회전시키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이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연동해서 회전시킴으로써 7개의 레이킹 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레이킹 휠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제 5 레이킹 휠(53e)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고, 제 7 레이킹 휠(53g)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 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함으로써 7개의 레이킹 휠과 이것에 연결되는 각 밑둥 반송체인의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킹 휠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가장 우측의 제 1 일으켜세움 장치(5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5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제 1 레이킹 휠(5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이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단부를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연결함으로써 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이 보강되어 두렁 등에 충돌해도 파손이나 변형을 초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에 더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조종부(5) 전방측의 기대(2)측 부위를 신축 가능한 링크(40)로 연결함으로써 예취 지지 프레임(25)과 상기 링크(40)로 예취장치(6)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취장치(6)의 좌우에서의 곡간의 절단 위치가 일치되어, 베어낸 곡간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게 되어서 탈곡장치(3)에서의 탈곡 잔부를 발생시키기 어려워져, 예취탈곡 작업의 능률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콤바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술 (記述)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이란 콤바인의 전진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조종부에 탑승한 조종자의 시점에 서서 표현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기체는 주행장치(1)를 구비한 기대(2)의 좌측 부위에 탈곡장치(3)를 탑재하고, 기대(2)의 우측 부위에는 곡립 저류장치(4)를 탑재하고, 이 곡립 저류장치(4) 전방측에 조종부(5)를 설치하고, 이 조종부(5)와 탈곡장치(3) 전방측에 예취장치(6)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상기 주행장치(1)는 기대(2)의 전방부에 부착한 미션 케이스(7)로부터 구동되는 좌우의 구동륜(8, 8)과, 좌우의 전륜(轉輪) 프레임(9)에 축받이된 다수의 전륜(10a)에 걸쳐 크롤러(10, 10)를 감아 걸어서 구성한다.
상기 기대(2)는 각(角) 파이프를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틀 구조(framework)로 해서 구성한다.
상기 탈곡장치(3)는 급동(扱胴)이나 처리동을 구비한 상측의 급실(扱室)과, 요동 선별 선반과 풍구와 1번 이송 나선과 2번 이송 나선을 구비한 하측의 선별실로 구성한다. 상기 급실의 좌 외측에는 후술하는 예취장치(6)측의 중계 반송장치의 종단부로부터 예취 곡간을 인계받아서 반송하는 피드 체인(28)을 구비한다. 또한, 이 탈곡장치(3)의 후방부에는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잘게 절단해서 배출하는 배고 커터(11)를 설치한다.
상기 곡립 저류장치(4)는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저부에 배출 나선을 구비한 용기이다. 상기 탈곡장치(3)의 1번 이송 나선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1번 양곡통(grain-lifting cylinder ; 12)을 통해서 상기 곡립 저류장치(4)에 투입해서 저 장한다. 또한 이 곡립 저류장치(4)의 후방측에는 세로축 중심으로 선회 가능의 양곡통(13)을 설치하고, 이 양곡통(13)의 상단부에 배출통(14)의 기부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상기 1번 양곡통(12)과 양곡통(13)과 배출통(14)에는 이송용의 나선을 각각 내장하고 있다.
상기 조종부(5)는 기대(2)의 우측 전방부에 탑재한 엔진(15)을 덮는 엔진 커버(16)의 상부에 조종자가 착석하는 조종석(17)을 설치하고, 이 조종석(17)의 전방에 전방부 조작대(18)를 설치하고, 조종석(17)의 좌측에는 측부 조작대(19)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상기 조종석(17)과 전방부 조작대(18)의 전후 간격부의 우측으로부터 조종자가 타고 내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 조작대(18)의 상부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조타 레버(20)와, 모니터를 구비한 미터 패널(21)과, 스위치 패널(2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측부 조작대(19)의 상부에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부변속 레버(23)와, 주변속 레버(24)와, 예취 클러치 레버와, 탈곡 클러치 레버를 설치한다.(예취 클러치 레버와 탈곡 클러치 레버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상기 조타 레버(20)는 좌우 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좌우의 구동륜(8, 8)의 회전속도에 차를 발생시켜서 기체를 선회시키도록 연계하고 있다. 또한 조타 레버(20)를 전후 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유압 실린더(도시생략)를 신축시켜서 예취장치(6)를 승강시키도록 연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장치(6)의 프레임 구조 및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12,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전동축(25a)을 구비한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기부에 예취 입력축(26)을 내부에 구비하는 입력 전동통(27) 의 우측 단부를 직교 상태로 연결한다.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좌측 단부에 입력 풀리(26a)를 부착하고, 엔진(15)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도시생략)의 변속 회전 동력이 상기 피드 체인(28)의 전방부 우측에 배치한 보조 피드 체인(29)의 입력 풀리(도시생략)와, 상기 입력 풀리(26a)에 분기되어서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는 베벨 기어 전동기구(31)를 통해서 중계 반송장치 구동축(32)을 연동시킨다. 상기 중계 반송장치 구동축(32)에는 그 상단부에 이삭끝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3)을 부착하고, 그 중간부에는 밑둥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4)을 부착한다. 상기 이삭끝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3)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러그가 부착된 체인식의 이삭끝 중계 반송장치(35)를 구동하고, 밑둥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4)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체인식의 밑둥 중계 반송장치(36)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밑둥 중계 반송장치(36) 전방측에는 탈곡 깊이를 조절하는 공급 반송장치(66)를 구비하고, 이들 이삭끝 중계 반송장치(35)와 공급 반송장치(66)와 밑둥 중계 반송장치(36)를 중계 반송장치(67)라 총칭한다.
또한,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내부에 설치한 전동축(25a)의 기단부를, 베벨 기어 전동기구(26b)를 통해서 예취 입력축(26)의 우측의 부위에 연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동축(25a)의 축심 방향 중간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b)를 통해서 연동되는 중간 출력축(25c)을 전방측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이 중간 출력축(25c)의 기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d)를 통해서 연동되는 출력 축(25e)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 출력축(25e)의 선단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f)를 통해서 선단부에 구동 스프로킷(25g)을 구비한 출력축(25h)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구동 스프로킷(25g)에는 공급 반송장치(66)의 밑둥 반송체인(66a)을 감아 건다. 또한 상기 중간 출력축(25c)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부착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전동통(27)을 조종부(5)보다 좌측의 기대(2) 전방부에 설치한 지지대(37)에 회동 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측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예취 지지 프레임(25)을 전방측 아랫쪽으로 연장시켜, 이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하부 전동 케이스(38)를 연결한다. 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에 있어서의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연결 위치는,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보다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한다.
이것에 의해,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가 콤바인의 기체로부터 좌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기 어려워져 기대(2)의 우측에 설치되는 조종부(5)로부터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후술하는 좌측 단부의 분초체(45))가 감시하기 쉬워지고, 예취작업에 있어서의 조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예취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의 부위에 전동축(25a)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i)를 통해서 연동되는 전동 축(25j)을 전방측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전동축(25j)의 선단부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25k)를 통해서 출력축(25l)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출력축(25l)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부착한다. 이와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25k)를 개재시킴으로써 출력축(25l)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이 출력축(25l)을 예취장치(6)의 가능한 한 전방의 부위에 배치하면서, 이 출력축(25l)에 부착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의 자세를 상기 제 2 구동 스프로킷(61)에 감아 거는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궤적에 맞춰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1,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내부에 하부 전동축(38a)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전동축(38a)의 중간부에 고정한 베벨 기어(38b)를, 상기 전동축(25a)의 선단부에 부착한 베벨 기어(25m)에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이 하부 전동축(38a)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좌우의 베벨 기어 전동기구(38c, 38c)를 통해서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은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한 커버(39)로 덮는다. 또한,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4개로 분할 형성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케이스를, 볼트 체결에 의해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 근방의 부위와, 조종부(5)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대(2)측의 부위를 굴신해서 신축하는 링크(40)로 연결한다. 상기 링크(40)는 후방측 링크 암(40a)과 전방측 링크 암(40b)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측 링크 암(40a)의 후단부를 기대(2)측의 부위에 좌 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고, 전방측 링크 암(40b)의 전단부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 근방의 부위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고, 이 후방측 링크 암(40a)의 전단부와 전방측 링크 암(40b)의 후단부를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예취 지지 프레임(25)과 링크(40)로 예취장치(6)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예취장치(6)의 좌우에서의 곡간의 절단 위치가 맞추어져, 베어낸 곡간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게 되어서 탈곡장치(3)에서의 탈곡 잔부를 발생시키기 어려워지고, 예취탈곡 작업의 능률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 전방측에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의 분초 지지 파이프(41)를 배치하고, 이 분초 지지 파이프(4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설치한 연결 프레임(42, 42)의 후단부를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전동 케이스(38)와 분초 지지 파이프(41)와 좌우의 연결 프레임(42, 42)이 틀 구조로 된다.
그리고, 상기 분초 지지 파이프(41)의 좌우 양단부와 중간부에, 전후 방향을 향한 8개의 분초 프레임(43)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이 때, 이 8개의 분초 프레임(43) 사이에는 직립 곡간의 식부 간격(약 300mm)에 따른 소정의 간격을 설치하지만,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과, 이것에 인접하는 우단으로부터 2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간격이 가장 커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이 분초 프레임(43)의 배치에 의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은 우측 크롤러(10)의 우측 단부보다 175mm만큼 우 외측방으로 돌출하고, 가장 좌측의 분초 프레임(43L)은 좌측 크롤러(10)의 좌측 단부보다 345mm만큼 좌 외측방으로 돌출한다.
이상의 분초 프레임(43)의 배치에 의해 8개의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가 형성된다. 또한, 각 분초 프레임(43)의 전단부에는 기체 정면으로 볼 때에 역삼각형상의 분초체(45)를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분초 지지 파이프(41) 직전의 위치에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46)를 부착한다. 이 예취날 장치(46)는 7조분의 광폭으로 형성한 하부 날(47)의 상측에 3조분의 폭으로 형성한 우측의 상부 날(48)과, 이 우측의 상부 날(48)보다 광폭으로 형성한 좌측의 상부 날(49)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각 상부 날(48, 49)은 상기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으로부터 좌우의 요동 링크기구(51, 51)를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한다.
다음에. 도 4에 예취장치의 밑둥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낸다.
상기 8개의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형성된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에는 각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러그식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한다. 이 7개의 레이킹 휠(53)은 직립 곡간의 밑둥측에 작용하고, 이 곡간을 후방으로 긁어 넣는 작용을 갖고, 또한 서로 맞물림으로써 회전운동을 전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레이킹 휠(53)의 상측에는 러그식의 레이킹 벨트를 구비한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이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맞 물리게 한다. 그리고,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이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각각 맞물리게 한다. 또한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이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맞물리게 한다.
이것에 의해, 7개의 레이킹 휠(53)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 레이킹 휠(53)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은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부착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으로 지지한다.
즉,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가장 우측의 제 1 일으켜세움 장치(52a)의 상부를 지지 프레임(55)으로 연결하고, 이 지지 프레임(5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이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방부를 전방 외측으로 굴곡시켜서 연장시키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단부를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연결한다. 그리고, 이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제 1 레이킹 휠(53a)을 세로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해서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이 보강되고, 이 분초 프레임(43) 이 두렁 등에 충돌해도 파손이나 변형을 초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레이킹 휠(53b)은, 우단으로부터 3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후방부에 부착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b)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과 제 4 레이킹 휠(53d)은 우단으로부터 4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중간부에서 후방 윗쪽으로 상승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c)으로 일체로 지지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레이킹 휠(53e)과 제 6 레이킹 휠(53f)은 우단으로부터 6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중간부에서 후방으로 상승하고, 우측으로부터 5번째 또는 6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의 상부에 연결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d)으로 일체로 지지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에서 상승시켜 설치한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을 내부에 설치하는 일으켜세움 전동통(57a)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7b)을 부착하고, 이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7b)에 제 7 레이킹 휠(53g)을 지지한다.
즉, 상기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하단부를, 베벨 기어 전동기구(57d)를 통해서 하부 전동축(38a)에 연동시키고, 이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단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5a)와 일으켜세움 변속장치(75b)를 통해서 각 일으켜세움 장치(52)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한 횡전동축(75)의 좌측 단부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횡전동축(75)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5c)를 통해서 매달림 전동축(76)으로 전동하고, 이 매달림 전동축(76)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6a)를 통해서 각 일으켜세움 장치(52)의 구동 스프로킷(52s)을 구비한 입력축(52t)으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다. 단,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우측으로부터 3번째 및 4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 52)와, 우측으로부터 5번째 및 6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 52)는, 각각 매달림 전동축(76)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6a)와 중간 전동축(76b)을 통해서 입력축(52t)으로 전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전동축(76b)의 중간부에는 베벨 기어 전동기구(76c)를 통해서 이삭끝 반송장치 구동용의 구동 스프로킷(76d)을 구비한 입력축(76e)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전동축(75)을 내장하는 상부 횡전동통(75p)의 좌우 방향 중간부와, 상기 입력 전동통(27) 사이를 전후 방향의 보강 프레임(27a)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한다. 즉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킹 휠(53a)과 동축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a)과,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기부에 축받이한 상하 2단의 스프로킷을 갖는 카운터 스프로킷(69)의 하측 스프로킷(69a)과, 텐션 롤러(70)에 걸쳐 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F)을 감아 건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스프로킷(69)의 상측 스프로킷(69b)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에 걸쳐서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감아 건다.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은 예취 지지 프레 임(25) 내의 전동축으로부터 연동해서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의 구동에 의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과, 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F)과, 제 1 레이킹 휠(53a)과, 가장 우측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가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제 1 레이킹 휠(53a)에 맞물리는 제 2 레이킹 휠(53b)과 좌로부터 2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의 후방측에는 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전방으로 눌러서 체인의 이동궤적을 들어가게 하는 롤러(71)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과 조종부(5)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b)과, 후방측에 배치한 유동(遊動) 스프로킷(72)에 걸쳐서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감아 건다.
그리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c)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에 걸쳐서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을 감아 건다.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은 예취 지지 프레임(25) 내의 전동축으로부터 연동해서 구동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이 구동되면 제 3 밑둥 반송체인(62)과, 제 5 레이킹 휠(53e)이 구동되고, 이 제 5 레이킹 휠(53e)에 맞물리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에 맞물리는 제 3 레이킹 휠(53c)과,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이 연동해서 구동된다. 각 레이킹 휠의 상측의 3개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각 레이킹 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도 11,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으켜세움 전동통(57a)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예취폭의 내측을 향해서 전동 케이스(57c)를 부착한다. 그리고,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63a)를 통해서 전동 케이스(57c) 내의 중간 전동축(63b)에 전동하고, 이 중간 전동축(63b)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63c)를 통해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구비한 출력축(63d)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이 출력축(63d)에는 후술하는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를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74fs)과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를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74gs)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3d)과, 제 3 구동 스프로킷(63)과, 후단부의 종동롤러(73)에 걸쳐서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을 감아 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이 구동되면 제 4 밑둥 반송체인(64)과 제 7 레이킹 휠(53g)이 구동되고, 이 제 7 레이킹 휠(53g)에 맞물리는 제 6 레이킹 휠(53f)이 연동해서 구동된다. 각 레이킹 휠의 상측의 3개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각 레이킹 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는,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하는 배치로 한다. 또한,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는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65)로부터 후방의 중계 반송장치(67)로 예취 곡간을 인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7개의 레이킹 휠(53a, 53b, 53c, 53d, 53e, 53f, 53g)과, 이것에 연결되는 각 밑둥 반송체인(59, 60, 62, 64)의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킹 휠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에는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따르는 제 1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a)를 배치하고, 이 제 1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a)의 전방부 상측에는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를 배치한다. 또한,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a)의 러그의 돌출방향과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의 러그의 돌출되는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를 제 1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a)와 평면으로 볼 때에 대향하는 쪽에 설치하고, 이 제 1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a)의 러그의 돌출 방향과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의 러그의 돌출되는 방향을 대향시켜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의 윗쪽에는 제 2 이삭끝 반송장치(74c)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 윗쪽에는 제 3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d)와, 상기 제 3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d)의 상측의 제 3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e)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상측에는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 인(64)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와, 상기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 상측의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를 배치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예취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4는 예취장치의 밑둥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제 1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제 3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제 6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예취장치의 이삭끝 및 밑둥의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1은 예취장치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취 지지 프레임 부분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예취장치의 주요 전동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4는 예취장치의 전동기구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행장치 2 : 기대
3 : 탈곡장치 4 : 곡립 저류장치
5 : 조종부 6 : 예취장치
25 : 예취 지지 프레임 37 : 지지대
38 : 하부 전동 케이스 40 : 링크
43 : 분초 프레임 44 : 곡간 도입경로
52 : 일으켜세움 장치 52a 제 1 일으켜세움 장치
53 : 레이킹 휠 53a : 제 1 레이킹 휠
53b : 제 2 레이킹 휠 53c : 제 3 레이킹 휠
53d : 제 4 레이킹 휠 53e : 제 5 레이킹 휠
53f : 제 6 레이킹 휠 53g : 제 7 레이킹 휠
54a :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 55 : 지지 프레임
57 : 일으켜세움 전동축 58 : 제 1 구동 스프로킷
59 : 제 1 밑둥 반송체인 60 : 제 2 밑둥 반송체인
61 : 제 2 구동 스프로킷 62 : 제 3 밑둥 반송체인
63 : 제 3 구동 스프로킷 64 : 제 4 밑둥 반송체인
65 : 곡간 합류부 67 : 중계 반송장치

Claims (4)

  1. 주행장치(1)를 구비한 기대(2)의 좌측 부위에 탈곡장치(3)를 탑재하고, 상기 기대(2)의 우측 부위에는 곡립 저류장치(4)를 탑재하고, 상기 곡립 저류장치(4)의 전방측에 조종부(5)를 설치하고, 상기 조종부(5) 및 탈곡장치(3)의 전방측에 예취장치(6)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장치(6)를 지지하는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기부를 조종부(5)보다 좌측의 기대(2) 전방부에 설치한 지지대(37)에 지지하고,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을 전방측 아랫쪽으로 연장시켜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을 향하는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방향에서 의 중심 위치보다 좌측으로 치우친 부위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을 향하는 8개의 분초 프레임(43)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하며,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상기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상기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해서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시켜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65)로부터 후방의 중계 반송장치(67)로 예취 곡간을 인계받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가장 우측의 제 1 일으켜세움 장치(52a)의 상부를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55)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5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후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방부를 전방 외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단부를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조종부(5) 전방측의 기대(2)측 부위를 신축 가능한 링크(40)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090088549A 2009-02-24 2009-09-18 콤바인 KR101129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0723A JP2010193751A (ja) 2009-02-24 2009-02-24 多条刈り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JPJP-P-2009-040723 2009-02-24
JP2009149831A JP4957755B2 (ja) 2009-06-24 2009-06-24 コンバイン
JPJP-P-2009-149831 2009-06-24
JPJP-P-2009-207256 2009-09-08
JP2009207256A JP5035312B2 (ja) 2009-09-08 2009-09-0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986A true KR20100096986A (ko) 2010-09-02
KR101129240B1 KR101129240B1 (ko) 2012-04-12

Family

ID=4261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549A KR101129240B1 (ko) 2009-02-24 2009-09-18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29240B1 (ko)
CN (1) CN101810078B (ko)
TW (1) TW2010313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890A (zh) * 2018-09-11 2018-12-18 燕山大学 一种连续式菠萝采摘机器人
CN109618651A (zh) * 2018-11-30 2019-04-16 青岛农业大学 番茄喂入切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2475B (zh) * 2012-06-04 2014-04-16 袁春福 高杆作物收割机
JP2014100067A (ja) * 2012-11-16 2014-06-05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N103621256B (zh) * 2013-12-03 2015-08-26 湖南农夫机电有限公司 半喂入式收割机的割台作物收集输送装置
CN104137705A (zh) * 2014-07-25 2014-11-12 何嘉俊 收割机拨禾机构
JP6842950B2 (ja) * 2017-02-28 2021-03-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10754205B (zh) * 2018-07-26 2023-03-24 井关农机株式会社 谷杆搬送装置
JP7373928B2 (ja) * 2019-06-27 2023-11-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486290B2 (ja) * 2019-06-27 2024-05-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2437A (ja) 1997-03-27 1998-10-06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等の扱深さ調節装置
JP4445100B2 (ja) * 2000-06-02 2010-04-0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245867C (zh) * 2000-06-14 2006-03-22 井关农机株式会社 收获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5890A (zh) * 2018-09-11 2018-12-18 燕山大学 一种连续式菠萝采摘机器人
CN109005890B (zh) * 2018-09-11 2023-11-10 燕山大学 一种连续式菠萝采摘机器人
CN109618651A (zh) * 2018-11-30 2019-04-16 青岛农业大学 番茄喂入切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9177B (ko) 2012-08-01
CN101810078A (zh) 2010-08-25
CN101810078B (zh) 2012-07-04
TW201031318A (en) 2010-09-01
KR101129240B1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240B1 (ko) 콤바인
KR20130129097A (ko) 콤바인
KR100920404B1 (ko) 콤바인
KR101131819B1 (ko) 예취장치
JP5077375B2 (ja) コンバイン
JP5035312B2 (ja) コンバイン
JP5733366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2011177089A5 (ko)
JP5741613B2 (ja) コンバイン
JP5741374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5083352B2 (ja) 刈取装置
JPH11178425A (ja) コンバインの穀稈引起し装置
KR101250562B1 (ko) 콤바인의 예취부
JP7321037B2 (ja) サトウキビ収穫機
WO2014057981A1 (ja) コンバイン
JP3831327B2 (ja) コンバイン
JP4980521B2 (ja) コンバイン
JP2011067194A5 (ko)
JP3736546B2 (ja) コンバイン
JP2013176341A (ja) コンバイン
JP3116663B2 (ja) コンバインの穀稈引起装置
JP2010022278A (ja) コンバイン
JP2004129521A (ja) コンバイン
JP5993699B2 (ja) コンバイン
JP200707505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