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097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097A
KR20130129097A KR1020130045419A KR20130045419A KR20130129097A KR 20130129097 A KR20130129097 A KR 20130129097A KR 1020130045419 A KR1020130045419 A KR 1020130045419A KR 20130045419 A KR20130045419 A KR 20130045419A KR 20130129097 A KR20130129097 A KR 2013012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rotating member
combine
driving forc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520B1 (ko
Inventor
마사미 오사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6Driving mechanisms for the threshing parts

Abstract

(과제) 엔진의 구동력을 예취장치와 탈곡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높인 콤바인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탈곡장치(10)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엔진(3)의 구동력을 예취장치(5) 및 탈곡장치(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9)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9)에는 엔진(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선별부(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회전 부재(91)와, 제 1 회전 부재(91)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탈곡부(7)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2 회전 부재(92)와, 제 2 회전 부재(92)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예취장치(5)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3 회전 부재(9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은 주행장치와, 예취장치와, 탈곡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주행하면서 예취하고, 탈곡 및 선별을 행한다. 종래의 콤바인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예취부(예취장치)에서 예취한 곡간(穀稈)을 반송장치에 의해 상부 탈곡실(탈곡장치의 탈곡부)로 반송하고, 반송된 곡간을 상기 상부 탈곡실 내에서 회전 구동하는 급동(扱胴)에 의해 탈곡하는 범용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범용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예취장치와 탈곡장치의 탈곡부와 탈곡장치의 선별부에 전달하는 것이며, 상부 탈곡실 및 상부 탈곡실의 하방에 설치된 탈곡장치의 선별부의 양측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와, 풀리끼리를 연결하는 벨트 및 회전축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3834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범용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는 상부 탈곡실 및 선별부의 양측 각각에 복수의 풀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풀리끼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상부 탈곡실 및 선별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하거나, 풀리끼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상부 탈곡실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에 관통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이, 벨트를 상부 탈곡실 및 선별부의 양측 각각에 배치하거나 회전축을 기어 박스에 관통시킬 필요가 있어, 동력전달장치가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확대되어 콤바인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점에서 더나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범용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벨트를 상부 탈곡실 및 선별부의 양측 각각에 배치하거나 회전축을 상부 탈곡실에 관통시킬 필요가 있어, 내구성 향상, 메인터넌스의 용이화의 점에서 더나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진의 구동력을 예취장치와 탈곡장치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소형화함과 아울러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높인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장치(5)와, 그레인 탱크(8)의 좌우 측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선별부(6)와 상부의 탈곡부(7)를 갖는 탈곡장치(10)와, 상기 탈곡장치(10)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엔진(3)의 구동력을 상기 예취장치(5) 및 상기 탈곡장치(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9)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9)에는 상기 엔진(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선별부(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회전 부재(91)와, 상기 제 1 회전 부재 (91)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탈곡부(7)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2 회전 부재(92)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예취장치(5)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3 회전 부재(9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탈곡부(7)에 구비한 급동(73)을 회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제 2 회전 부재(9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예취장치(5)에 구비한 반송장치(56)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1 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탈곡장치(10)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장치(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탈곡장치(10)의 전방부의 우단보다 좌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탈곡 전방 프레임(23)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115)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에 설치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그레인 탱크(8)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K)에,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제 2 회전 부재(92)와 제 3 회전 부재(93)를 배치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엔진(3)과 제 1 회전 부재(91)를 연동시키는 제 1 벨트(96)를,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를 연동시키는 제 2 벨트(107)보다 상기 그레인 탱크(8) 근처의 부위에 배치한 청구항 4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와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를 연동시키는 제 3 벨트(116)를, 상기 제 2 벨트(107)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의 부위에 배치한 청구항 5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은 2매의 판 부재(26)를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94)와 상기 제 1 지지 부재(115)를 상기 판 부재(26)에 연결한 청구항 6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벨트(96)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텐션 롤러(98)를 제 1 롤러 지지편(99)의 선단부에 지지하고, 상기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청구항 7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를 제 1 텐션 지지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 1 텐션 지지부(100)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청구항 8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3)의 구동력을 예취장치(5)와 탈곡장치(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9)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콤바인의 메인터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의 그레인 탱크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a-b-c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제 2 텐션 지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loose pulley)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전동(傳動) 선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부재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형태]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의 그레인 탱크측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3 중의 a-b-c선 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제 2 텐션 지지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의 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전동 선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이란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이다. 더욱 설명하면, 전후 방향이란 이 콤바인(1)이 직진할 때의 진행 방향이며, 직진 방향 전방측을 앞측, 후방측을 뒷측이라고 한다. 또한, 차폭 방향이란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직진 방향 전방측의 우측을 우측, 직진 방향 전방측의 좌측을 좌측이라 한다. 또한, 연직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차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들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연직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1)은, 동력원으로서의 엔진(3)이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스스로 주행하면서 벼 이외에, 대두, 메밀 등의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 가능한 범용 콤바인이다. 콤바인(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과, 동력원으로서의 엔진(3)과, 주행장치(4)와, 예취장치(5)와, 탈곡장치(10)와, 그레인 탱크(8)와, 동력전달장치(9)를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2)은 콤바인(1)의 차체의 프레임 형상의 구조 부재를 이루고 있다. 기체 프레임(2)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10)의 후술하는 선별부(6)의 측부에 설치된 중앙 수평 프레임(21)(프레임에 상당하고, 도 3에 나타냄)과, 탈곡장치(10)의 상방에 설치된 상방 수평 프레임(22)(도 3에 나타냄)과,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급실(扱室) 가이드 프레임(24)을 구비한다.
탈곡 전방 프레임(23)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장치(10)보다 전방에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고, 탈곡장치(10)의 차폭 방향의 폭보다 폭이 좁게 형성된다. 또한,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좌단은 탈곡장치(10)의 전방부의 좌단에 맞추어지고(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우단은 탈곡장치(10)의 전방부의 우단보다 좌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탈곡 전방 프레임(2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한 2개의 연직 프레임(25)(도 3에는 앞쪽의 1개만 나타낸다)과, 연직 프레임(25)끼리를 연결하여 기체 프레임(2)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겹쳐지는 2매의 판 부재(26)를 구비한다.
급실 가이드 프레임(24)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수평 프레임(22), 즉 탈곡장치(10)와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방 수평 프레임(22)과 탈곡 전방 프레임(23)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그레인 탱크(8)의 사이, 즉 선별부(6) 및 탈곡장치(10)와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와 캐빈(28)과 그레인 탱크(8)의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K)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3)은 기체 프레임(2) 상의 전후 방향 앞측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3)은 콤바인(1)에서 사용하는 구동력의 발생원이다. 엔진(3)은 내연기관이며,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연료의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해서 회전동력으로서 출력하는 열기관이다. 또한, 엔진(3)은 기체 프레임(2) 상의 조작석(27)을 설치한 캐빈(28)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장치(4)는 기체 프레임(2)의 연직 방향 하측에 설치된다. 주행장치(4)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콤바인(1) 전체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주행장치(4)는 크롤러(41)를 갖는다. 크롤러(41)는 기체 프레임(2)의 연직 방향 하방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한쌍으로 설치된다. 주행장치(4)는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크롤러(41)가 구동됨으로써 콤바인(1) 전체를 전후 방향 앞측으로 주행시킨다.
예취장치(5)는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예취장치(5)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장치(10) 등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예취장치(5)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곡간을 예취하는 것이며, 예취부(55)와 반송장치(56)를 구비한다. 예취부(55)는 오거 프레임(51)과 오거(52)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오거 프레임(51)은 저판(51a)과, 차폭 방향 좌우 한쌍의 좌우 측판(51b)과, 뒷판(51c)으로 이루어진다. 오거(52)는 오거 프레임(51) 내에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예취부(55)는 저판(51a)의 전후 방향 앞측 가장자리부에 예취날(53)이 설치됨과 아울러 예취날(53)의 상방에 곡간을 긁어넣는 레이킹 릴(raking reel)(54)이 설치된다. 레이킹 릴(54)은 전후 방향의 위치, 및 연직 방향의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취장치(5)는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주행하면서 오거(52) 등이 구동됨으로써 예취날(53)에 의해 곡간을 예취해서 거두어 들인다.
반송장치(56)는 예취부(55)의 뒷측, 보다 상세하게는 예취부(55)와 기체 프레임(2)의 사이에 설치된다. 반송장치(56)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곡간을 탈곡장치(10)에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장치(56)는 케이스(57)와, 반송기구(58)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케이스(57)는 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오거 프레임(51)의 뒷판(51c)으로부터 전후 방향 뒷측의 탈곡장치(10)를 향해서 이어설치된다. 케이스(57)는 전후 방향 뒷측의 단부가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7)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용 통에 의해 탈곡장치(10)에 부착된다. 반송기구(58)는 케이스(57) 내에 설치된다. 반송장치(56)는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반송기구(58)가 구동됨으로써 곡간을 예취부(55)로부터 탈곡장치(10)로 반송한다.
탈곡장치(10)는 예취장치(5)의 후방이며 또한 그레인 탱크(8)의 측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선별부(6)와 상부의 탈곡부(7)를 갖는다. 선별부(6)는 기체 프레임(2)의 상방이며 또한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선별부(6)는 그레인 탱크(8)의 측방이고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좌측에 설치된다. 선별부(6)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탈곡부(7)에 의해 탈곡된 곡간의 짚 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선별부(6)는 중앙 수평 프레임(21)의 측부에 설치되고, 선별실(61)과, 선별실(61) 내에 설치된 요동 선별부(62), 송풍 풍구(63) 등을 구비한다. 선별실(61)은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 풍구(63)로부터의 송풍과 요동 선별부(62)의 요동에 의해서, 탈곡부(7)에서 탈립된 곡립을 포함하는 피처리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고 곡립을 선별해서 회수한다. 피처리물이란 탈곡장치(10)의 급동(73)이 곡간으로부터 탈립한 것이다.
탈곡부(7)는 기체 프레임(2)의 상방이며 또한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탈곡부(7)는 그레인 탱크(8)의 측방이며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좌측에 설치된다. 탈곡부(7)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것이다. 즉, 탈곡부(7)는 예취장치(5)가 예취한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탈곡부(7)는 선별부(6)의 상방이며 또한 중앙 수평 프레임(21)과 상방 수평 프레임(22)의 사이에 설치된다. 탈곡부(7)는 급실(71)과, 급실(71) 내에 설치된 급동(73), 급동축(74) 등을 구비한다. 급동(73)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급치(扱齒)(75)가 설치된다. 급동축(74)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급동(73)의 내측에 삽입되며,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급동축(74), 급동(73)은 급실(71) 내에 회전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 축선은 콤바인(1)의 전후 방향과 평행하다. 급동(73)은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급동축(74)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면서 곡간을 탈곡한다. 급실(71)은 급동(73)의 연직 방향 하방측이 급망(扱網)(76)에 의해 포위된다.
그레인 탱크(8)는 탈곡장치(10)의 측방에 설치된다. 그레인 탱크(8)는 탈곡장치(10)가 탈곡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그레인 탱크(8)는 배출 오거(81)가 접속된다. 배출 오거(81)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립을 반송하고, 그레인 탱크(8)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동력전달장치(9)는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우단에 부착되어서 탈곡장치(10)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8)에 면하는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동력전달장치(9)는 적어도 엔진(3)의 구동력을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 탈곡장치(10)의 선별부(6) 및 탈곡장치(10)의 탈곡부(7)에 전달하는 것이다.
동력전달장치(9)는 도 3,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풀리(91)(제 1 회전 부재)와, 제 2 풀리(92)(제 2 회전 부재)와, 제 3 풀리(93)(제 3 회전 부재) 등을 구비한다. 이들 제 1 풀리(91)와 제 2 풀리(92)와 제 3 풀리(93)는 공간(K)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풀리(91)는 엔진(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선별부(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제 1 풀리(91)는 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소경 풀리(91a)와 대경 풀리(91b)를 구비하고, 대경 풀리(91b)가 소경 풀리(91a)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되어서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후방측의 판 부재(26)에 연결된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9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풀리(91)는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후방이며 또한 급실 가이드 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풀리(91)에는 선별부(6)에 연결된 구동축(95)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풀리(91)의 대경 풀리(91b)와 엔진(3)의 출력축에 부착된 엔진 풀리(3a)에는 엔진(3)과 제 1 풀리(91)를 연결하는 제 1 벨트(96)가 걸쳐져 있다. 제 1 벨트(96)는 제 1 텐션 부여부(97)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제 1 텐션 부여부(9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텐션 롤러(98)와, 제 1 롤러 지지편(99)과, 제 1 텐션 지지부(100)와, 제 1 텐션 수용부(101)를 구비한다. 제 1 텐션 롤러(98)는 제 1 벨트(96)의 하방에 설치되어서 제 1 벨트(96)에 접촉하고, 제 1 벨트(96)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제 1 롤러 지지편(99)은 선단부에 제 1 텐션 롤러(9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롤러 지지편(99)은 제 1 텐션 지지부(100)를 통해서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부착된 기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제 1 텐션 지지부(100)는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를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다. 제 1 텐션 지지부(100)는 볼트(102) 등에 의해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착탈 가능하다. 제 1 텐션 수용부(101)는 제 1 텐션 롤러(98)가 제 1 벨트(9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1 롤러 지지편(99)을 바이어싱하는 것이며, 선별부(6)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텐션 수용부(101)는 제 1 텐션 롤러(98)가 제 1 벨트(9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1 롤러 지지편(99)을 바이어싱하도록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와 선별부(6)에 부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103) 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텐션 부여부(97)는 탈곡장치(10)의 클러치이며, 와이어 등에 의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조종부의 조종구와 연계되어 있다.
제 2 풀리(92)는 제 1 풀리(91)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탈곡부(7)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제 2 풀리(92)는 제 1 풀리(91)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또한 탈곡부(7)의 급동(73)에 연결되어서 제 1 풀리(91)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급동(73)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제 2 풀리(92)는 동축에 일체로 설치된 소경 풀리(92a)와 대경 풀리(92b)를 구비하고, 소경 풀리(92a)가 대경 풀리(92b)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되어서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측의 판 부재(26)에 연결된 지지 부재(10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풀리(92)에는 제 2 풀리(92)와 탈곡장치(10)의 탈곡부(7)의 급동(73)을 연결하는 기어 박스(105)의 구동축(106)이 부착되어 있다.
제 2 풀리(92)의 대경 풀리(92b)와 제 1 풀리(91)의 소경 풀리(91a)에는 제 1 풀리(91)와 제 2 풀리(92)를 연결하는 제 2 벨트(107)가 걸쳐져 있다. 이와 같이, 제 1 벨트(96)를 제 2 벨트(107)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하고 있다. 제 2 벨트(107)는 제 2 텐션 부여부(108)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제 2 텐션 부여부(108)는 제 2 텐션 롤러(109)와, 제 2 롤러 지지편(110)과, 회동 핀(111)과, 제 2 텐션 수용부(112)를 구비한다. 제 2 텐션 롤러(109)는 제 2 벨트(107)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제 2 벨트(107)에 접촉하고, 제 2 벨트(107)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제 2 롤러 지지편(110)은 선단부에 제 2 텐션 롤러(10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롤러 지지편(110)은 중앙부에 설치된 회동 핀(111)을 중심으로 하여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2 텐션 수용부(112)는 제 2 텐션 롤러(109)가 제 2 벨트(10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바이어싱하는 것이며,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텐션 수용부(112)는 제 2 텐션 롤러(109)가 제 2 벨트(107)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바이어싱하도록,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롤러 지지편(110)의 기단부와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부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113)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회동 핀(11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시켰을 때의 제 2 텐션 롤러(109)의 외측 가장자리의 궤적(L)(도 3 중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냄)을, 회동 핀(111)의 축심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 후술하는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의 외측 가장자리와 겹치지 않는 궤적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궤적(L)은 회동 핀(111)의 축심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의 외측 가장자리보다 하측을 지나는 궤적으로 되어 있다.
제 3 풀리(93)는 제 2 풀리(92)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 구동됨과 아울러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제 3 풀리(93)는 제 1 풀리(91)의 상방이며, 또한 제 2 풀리(92)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에 연결되어서 제 2 풀리(92)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반송장치(56)를 구동하는 것이다. 제 3 풀리(93)에는 예취장치(5)의 반송장치(56)에 연결된 회전축(114)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114)은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측의 판 부재(26)에 연결된 지지 메탈(제 1 지지 부재)(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풀리(93)는 회전축(114)이 지지 메탈(1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에 설치된 지지 메탈(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풀리(92)의 소경 풀리(92a)와 제 3 풀리(93)에는 제 2 풀리(92)와 제 3 풀리(93)를 연결하는 제 3 벨트(116)가 걸쳐져 있다. 이와 같이, 제 3 벨트(116)를 제 2 벨트(107)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하고 있다. 제 3 벨트(116)는 제 3 텐션 부여부(117)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어 있다.
제 3 텐션 부여부(117)는 제 3 텐션 롤러(118)와, 제 3 롤러 지지편(119)과, 회동 핀(120)과, 제 3 텐션 수용부(121)를 구비한다. 제 3 텐션 롤러(118)는 제 3 벨트(116)의 전방에 설치되어서 제 3 벨트(116)에 접촉하고, 제 3 벨트(116)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제 3 롤러 지지편(119)은 선단부에 제 3 텐션 롤러(1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 3 롤러 지지편(119)은 중앙부에 설치된 회동 핀(120)을 중심으로 하여 기어 박스(10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3 텐션 수용부(121)는 제 3 텐션 롤러(118)가 제 3 벨트(11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3 롤러 지지편(119)을 바이어싱하는 것이며, 기어 박스(105)에 부착되어 있다. 제 3 텐션 수용부(121)는 제 3 텐션 롤러(118)가 제 3 벨트(11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3 롤러 지지편(119)을 바이어싱하도록 제 3 롤러 지지편(119)과 기어 박스(105)에 부착된 인장 코일 스프링(122) 등을 구비한다. 또한, 제 3 텐션 부여부(117)는 예취장치(5)의 클러치이며, 와이어 등에 의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조종부의 조종구와 연계되어 있다.
또한, 제 3 풀리(93)의 회전축(114)에는 루스 풀리로서의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는 제 2 벨트(107)에 접촉함과 아울러 제 2 벨트(107)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베어링(124)에 의해 회전축(1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베어링(124)은 내륜과, 외륜과, 이들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구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전동체(轉動體)를 구비한 구름 베어링이며,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의 회전축(114)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베어링(12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의 가장 외측의 벨트 홈(125)의 저부(125a)보다 더욱 회전축(114) 방향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콤바인(1)은 엔진(3)이 발생시키는 동력에 의해 주행장치(4)가 구동해서 주행하면서 예취장치(5)에 의해 곡간을 예취한다. 이 때, 예취장치(5)는 분초체에 의해 분초하고, 레이킹 릴(54)에 의해 오거 프레임(51) 내에 곡간을 긁어넣어서 예취날(53)로 예취한다. 그리고, 콤바인(1)은 예취장치(5)로 예취한 곡간을 반송장치(56)에 의해 탈곡장치(10)의 탈곡부(7)의 급실(71)로 반송한다. 그리고, 콤바인(1)은 급실(71)에서 급동(73)이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급동축(74)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해서 곡간을 탈곡한다. 탈곡된 곡립 등은 급망(76)을 통해서 선별실(61)로 낙하된다. 그리고, 콤바인(1)은 선별부(6)의 선별실(61)에서 송풍 풍구(63)로부터의 송풍과 요동 선별부(62)의 요동에 의해서 곡립을 선별하고, 선별한 곡립을 그레인 탱크(8)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콤바인(1)의 동력전달장치(9)는 엔진(3)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벨트(96)가 엔진 풀리(3a)와 제 1 풀리(91)의 대경 풀리(91b)의 주위를 순환 주행함과 아울러 제 1 풀리(91)의 대경 풀리(91b)를 회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 1 풀리(91)의 대경 풀리(91b)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95)이 제 1 풀리(91)와 일체로 회전되어서 엔진(3)의 구동력이 선별부(6)에 전달된다.
또한, 제 1 풀리(91)의 대경 풀리(91b)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91b)와 일체로 소경 풀리(91a)가 회전되어서 제 2 벨트(107)가 제 1 풀리(91)의 소경 풀리(91a)와 제 2 풀리(92)의 대경 풀리(92b)의 주위를 순환 주행한다. 그리고, 제 2 벨트(107)의 순환 주행에 의해 제 2 풀리(92)의 대경 풀리(92b)를 회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 2 풀리(92)의 대경 풀리(92b)의 회전에 의해 기어 박스(105)의 구동축(106)이 제 2 풀리(92)와 일체로 회전되어서 엔진(3)의 구동력이 탈곡부(7)에 전달된다.
또한, 제 2 풀리(92)의 대경 풀리(92b)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92b)와 일체로 소경 풀리(92a)가 회전되어서 제 3 벨트(116)가 제 2 풀리(92)의 소경 풀리(92a)와 제 3 풀리(93)의 주위를 순환 주행한다. 그리고, 제 3 벨트(116)의 순환 주행에 의해 제 3 풀리(93)를 회전 구동시킨다. 그리고, 제 3 풀리(9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14)이 제 3 풀리(93)와 일체로 회전되어서 엔진(3)의 구동력이 예취장치(5)에 전달된다. 이렇게 해서, 동력전달장치(9)는 엔진(3)의 구동력을 탈곡장치(10)의 선별부(6), 탈곡장치(10)의 탈곡부(7) 및 예취장치(5)에 전달한다.
또한, 회전축(114)은 상기 반송장치(56)의 반송기구(58)를 구동하는 2개의 스프로킷과, 예취부(55)를 구동하는 1개의 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기구(58)는 뒷측의 상기 2개의 스프로킷 및 앞측의 2개의 종동 스프로킷에 감겨진 2개의 체인과, 이 2개의 체인에 걸쳐서 부착된 복수의 반송 플레이트를 갖는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예취날(53)로 전동(傳動)하는 스프로킷과, 상기 오거(52) 및 레이킹 릴(54)로 전동하는 축의 스프로킷에는 체인이 감겨져 있다. 즉, 회전축(114)에 전달된 구동력은 예취날(53)과, 오거(52) 및 레이킹 릴(54)로 분기되어서 전동된다. 스프로킷을 일단에 구비하는 전동축의 타단에는 변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변환기구는 전동축에 전달된 회전을 왕복 회동운동으로 변환해서 예취날 전동축에 출력하는 기구이다. 그리고, 예취날 전동축의 왕복 회동운동이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 암에 의해 예취날(53) 및 예취장치(5)의 좌측부에 세워서 설치된 분초 예취날이 구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동력전달장치(9)의 제 1 풀리(91), 제 2 풀리(92) 및 제 3 풀리(93)를 탈곡장치(10)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8)에 면하는 측면부에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 1 풀리(91), 제 2 풀리(92) 및 제 3 풀리(93) 등을 탈곡장치(10)의 양 측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들 풀리(91, 92, 93)끼리를 연결하는 벨트(96, 107, 116) 등을 탈곡장치(10)의 그레인 탱크(8)에 면하는 측면부에만 설치할 수 있어 동력전달장치(9)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콤바인(1) 자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장치(9)를 구성하는 풀리(91, 92, 93)나 풀리(91, 92, 93)끼리를 연결하는 벨트(96, 107, 116) 등을 탈곡장치(10)의 그레인 탱크(8)에 면하는 측면부에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것들을 양 측면 각각에 설치할 경우보다 내구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2 풀리(92)가 제 1 풀리(91)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제 3 풀리(93)가 제 1 풀리(91)의 상방이고 또한 제 2 풀리(92)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풀리(91, 92, 93)를 연직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장치(9)가 차지하는 스페이스가 확대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동력전달장치(9)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콤바인(1) 자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1 풀리(91)를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후방에 설치하고, 제 3 풀리(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메탈(115)을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 1 풀리(91) 및 제 2 풀리(92)를 급실 가이드 프레임(24)의 하방에 설치할 수 있고, 이들 풀리(91, 92)를 급실 가이드 프레임(24)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K)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3)과 탈곡장치(10)의 거리를 좁힐 수 있고, 콤바인(1)의 더나은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그레인 탱크(8)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K)에 제 1 풀리(91), 제 2 풀리(92) 및 제 3 풀리(9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작석(27)과 탈곡장치(10)의 거리를 좁힐 수 있고, 콤바인(1)이 더나은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1 벨트(96)를 제 2 벨트(107)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메인터넌스시에 제 1 벨트(96)를 분리하고나서 제 2 벨트(107)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장치(10)를 착탈할 경우의 벨트(96, 107)의 착탈 횟수를 억제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3 벨트(116)를 제 2 벨트(107)보다 그레인 탱크(8) 근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메인터넌스시에 제 3 벨트(116)를 분리하고나서 제 2 벨트(107)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장치(5)를 착탈할 경우의 벨트(107, 116)의 착탈 횟수를 억제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탈곡 전방 프레임(23)이 연직 프레임(25)끼리를 연결해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2매의 판 부재(26)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94)와 지지 메탈(115)을 판 부재(26)에 연결하고 있으므로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1 텐션 롤러(98)를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제 1 롤러 지지편(99)을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1 롤러 지지편(99)을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부착하는 제 1 텐션 지지부(1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1 텐션 롤러(98)가 제 1 벨트(96)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1 텐션 지지부(100)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 1 텐션 롤러(98)의 기울기 및 어긋남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1 롤러 지지편(99)을 바이어싱하는 제 1 텐션 수용부(101)를 선별부(6)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1 텐션 수용부(10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1 텐션 롤러(98)가 제 1 벨트(96)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2 텐션 롤러(109)를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제 2 롤러 지지편(11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동 핀(111)을 선별부(6)의 측부의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부착하는 개소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2 텐션 롤러(109)가 제 2 벨트(107)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바이어싱하는 제 2 텐션 수용부(112)를 선별부(6)의 측부에 설치된 중앙 수평 프레임(21)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2 텐션 수용부(11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2 텐션 롤러(109)가 제 2 벨트(107)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3 텐션 롤러(118)를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제 3 롤러 지지편(119)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동 핀(120)을 기어 박스(105)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3 텐션 롤러(118)가 제 3 벨트(116)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3 롤러 지지편(119)을 바이어싱하는 제 3 텐션 수용부(121)를 기어 박스(105)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제 3 텐션 수용부(12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 3 텐션 롤러(118)가 제 3 벨트(116)에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3 풀리(93)의 회전축(114)에 제 2 벨트에 접촉하는 루스 풀리(12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2 텐션 롤러(109)의 장력값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루스 풀리(123)가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이므로, 제 2 벨트(107)가 연장되어서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에 간섭해도 구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제 2 롤러 지지편(110)을 회전시켰을 때의 제 2 텐션 롤러(109)의 궤적(L)을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에 겹치지 않는 궤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 2 텐션 롤러(109)의 장력값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1)에 의하면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24)을 라이닝식의 루스 풀리(123)의 회전축(114)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베어링(124)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코스트 다운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3 : 엔진 5 : 예취장치
6 : 선별부 7 : 탈곡부
8 : 그레인 탱크 9 : 동력전달장치
10 : 탈곡장치 23 : 탈곡 전방 프레임
26 : 판 부재 56 : 반송장치
73 : 급동 91 : 제 1 풀리(제 1 회전 부재)
92 : 제 2 풀리(제 2 회전 부재) 93 : 제 3 풀리(제 3 회전 부재)
94 : 지지 부재(제 2 지지 부재) 96 : 제 1 벨트
98 : 제 1 텐션 롤러 99 : 제 1 롤러 지지편
100 : 제 1 텐션 지지부 107 : 제 2 벨트
115 : 지지 메탈(제 1 지지 부재) 116 : 제 3 벨트
K : 공간

Claims (9)

  1.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된 예취장치(5)와,
    그레인 탱크(8)의 좌우 측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선별부(6)와 상부의 탈곡부(7)를 갖는 탈곡장치(10)와,
    상기 탈곡장치(10)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엔진(3)의 구동력을 상기 예취장치(5) 및 상기 탈곡장치(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9)를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9)에는,
    상기 엔진(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선별부(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1 회전 부재(91)와,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탈곡부(7)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2 회전 부재(92)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상기 예취장치(5)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제 3 회전 부재(9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는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탈곡부(7)에 구비한 급동(73)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제 2 회전 부재(9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상기 예취장치(5)에 구비한 반송장치(56)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장치(10)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탈곡장치(10)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탈곡장치(10)의 전방부의 우단보다 좌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는 탈곡 전방 프레임(23)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후방에 설치하고,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115)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의 전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과 상기 그레인 탱크(8)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K)에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제 2 회전 부재(92)와 제 3 회전 부재(93)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3)과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를 연동시키는 제 1 벨트(96)를 상기 제 1 회전 부재(91)와 상기 제 2 회전 부재(92)를 연동시키는 제 2 벨트(107)보다 상기 그레인 탱크(8) 근처의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 부재(92)와 상기 제 3 회전 부재(93)를 연동시키는 제 3 벨트(116)를 상기 제 2 벨트(107)보다 상기 그레인 탱크(8) 근처의 부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은 2매의 판 부재(26)를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회전 부재(9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94)와 상기 제 1 지지 부재(115)를 상기 판 부재(26)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벨트(96)에 장력을 부여하는 제 1 텐션 롤러(98)를 제 1 롤러 지지편(99)의 선단부에 지지하고,
    상기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 지지편(99)의 기단부를 제 1 텐션 지지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제 1 텐션 지지부(100)를 상기 탈곡 전방 프레임(2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30045419A 2012-05-18 2013-04-24 콤바인 KR1015065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5045 2012-05-18
JP2012115045A JP5953934B2 (ja) 2012-05-18 2012-05-1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97A true KR20130129097A (ko) 2013-11-27
KR101506520B1 KR101506520B1 (ko) 2015-03-27

Family

ID=4960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419A KR101506520B1 (ko) 2012-05-18 2013-04-24 콤바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53934B2 (ko)
KR (1) KR101506520B1 (ko)
CN (2) CN103416149B (ko)
MY (1) MY184992A (ko)
TW (1) TWI5817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46A (ko) * 2016-05-25 2017-12-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3934B2 (ja) * 2012-05-18 2016-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4641812B (zh) * 2015-02-05 2017-04-12 无锡联合收割机有限公司 全喂入联合收割机脱粒系统的传动机构
JP6320314B2 (ja) * 2015-02-06 2018-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伝動構造
JP6187880B2 (ja) * 2015-03-26 2017-08-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7006088A (ja) * 2015-06-25 2017-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7006087A (ja) * 2015-06-25 2017-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6900290B (zh) * 2017-02-23 2019-01-18 洛阳理工学院 一种用于脱粒滚筒的驱动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918A (ja) * 1993-08-18 1995-02-28 Iseki & Co Ltd 汎用コンバインの動力伝達装置
JP3805202B2 (ja) * 2001-02-14 2006-08-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ブラシレスdcモータ
JP2004100853A (ja) * 2002-09-11 2004-04-0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作業車
JP4695504B2 (ja) * 2005-12-13 2011-06-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レバー操作構造
JP4885750B2 (ja) * 2007-01-26 2012-02-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245610A (ja) * 2007-03-30 2008-10-16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9039036A (ja) * 2007-08-09 2009-02-26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5035328B2 (ja) * 2009-11-30 2012-09-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2060968A (ja) * 2010-09-17 2012-03-2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5953934B2 (ja) * 2012-05-18 2016-07-2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46A (ko) * 2016-05-25 2017-12-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47660A (zh) 2013-12-01
CN103416149B (zh) 2016-08-10
JP2013240290A (ja) 2013-12-05
MY184992A (en) 2021-04-30
KR101506520B1 (ko) 2015-03-27
CN103416149A (zh) 2013-12-04
JP5953934B2 (ja) 2016-07-20
CN203301997U (zh) 2013-11-27
TWI581701B (zh)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9097A (ko) 콤바인
KR101129240B1 (ko) 콤바인
JP2008220256A (ja) コンバイン
JP2008109860A (ja) コンバイン
JP2013188143A (ja) 収穫機
KR20100105338A (ko) 콤바인
JP2015142514A (ja) コンバイン
KR102282513B1 (ko) 콤바인의 탈곡장치
KR101669331B1 (ko) 콤바인의 회전축 속도 조절장치
CN203226037U (zh) 联合收割机
KR100694736B1 (ko) 탈곡 장치
KR101131819B1 (ko) 예취장치
JP5991231B2 (ja) コンバイン
JP2004283048A (ja) コンバイン
JP2014068586A (ja) コンバイン
KR101669333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동력전달장치
JP5818712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4535445B2 (ja) 農業機械のテンションクラッチ
JP2008086209A (ja) コンバイン
JP2023082967A (ja) 作業車両
KR101686295B1 (ko) 풀피드형 콤바인의 예취부 동력전달장치
JP2023006437A (ja) 刈取装置、及び収穫機
JP3628218B2 (ja) 刈取機の刈取部伝動構造
JP4820076B2 (ja) 刈取装置
JP5341396B2 (ja) 脱穀装置の唐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