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877A -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 Google Patents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877A
KR20100044877A KR1020107004721A KR20107004721A KR20100044877A KR 20100044877 A KR20100044877 A KR 20100044877A KR 1020107004721 A KR1020107004721 A KR 1020107004721A KR 20107004721 A KR20107004721 A KR 20107004721A KR 20100044877 A KR20100044877 A KR 20100044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reducer
length member
axial direc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3706B1 (ko
Inventor
마사미 모치마루
스미오 가와구치
미츠루 미야자키
아키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4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03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moving linearly to and fro in chambers,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5Anti-seismic device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 F16F9/303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with solid or semi-solid material, e.g. pasty masses, as damping medium the damper being of the telescop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흡진기(7)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21)와, 마찬가지로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내측 길이부재(22)와, 길이부재(21)의 내면(23)과 길이부재(22)의 외면(24) 사이의 원통형의 간극(25)에 이들 길이부재(21, 22)의 내면(23) 및 외면(24)에 각각 접촉하여 배치된 점성체(26)와, 개구단(27)측의 일단부(28)를 갖는 길이부재(21)의 축방향(X)의 폐쇄측 타단부(29) 및 길이부재(22)의 폐쇄측 일단부(30)의 각각에 고착된 직사각형상의 부착판부재(31, 32)와, 길이부재(21)의 일단부(28)에서의 길이부재(21)의 내면(23)과 길이부재(22)의 외면(24) 사이의 간극(25)을 유지하는 유지수단(33)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Vibration absorber, and vibration contro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등의 벽내에 비스듬하게 또는 건물 등의 기둥에 그 기둥과 연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키는 흡진기(吸振器) 및 이 흡진기를 건물 벽에 비스듬하게 또는 기둥에 그 기둥과 대략 평행하고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내장된 제진(制震)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의 벽에 흡진기를 매립하여 그 벽을 제진구조로 하고, 그에 따라, 건물 전체를 제진구조로 하는 기술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흡진기 중 하나로, 실린더와 실린더를 관통하는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 로드형 흡진기는 실린더의 일단부쪽을 좌우 기둥 및 상하 수평재에 의해 구획되는 벽 공간의 한쪽 구석부에서 기둥 또는 수평재에 실린더에서 돌출된 로드의 일단부쪽을 벽 공간에서 한쪽 구석부에 대해 대각선상의 다른쪽 구석부에서 기둥 또는 수평재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흡진기는 지진 등에 의해 건물이 흔들려서 벽 공간이 변형할 때에 신축됨과 동시에 각 구석부의 기둥 또는 수평재에 대해 요동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 구석부의 기둥 또는 수평재에 안경이음매 등을 통해 요동이 자유롭게 그 실린더의 일단부쪽 및 그 로드의 일단부 쪽이 부착되어 있지만, 이러한 안경이음매 등을 이용하면,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요동시에 미끄러짐에 의한 소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또 설치상의 덜거덕거림에 의해 제진효과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 실린더 로드형 흡진기에서, 지진에 의한 진동을 조기에 효율적으로 감쇄시키기 위해 큰 감쇄력을 발생시키고자 하여 실린더와 로드를 길게 하면, 설치시에 축방향의 점유공간이 커지고, 휘어짐 등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두꺼운 실린더나, 두꺼운 로드를 이용하게 되어 중량이 극히 무거워지는 한편, 실린더와 로드간의 간극을 작게하면, 실린더 및 로드의 제조상의 치수 정밀도 관련으로 실린더와 로드가 접촉되며, 경우에 따라 실린더에 대해 로드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간단한 구성으로 벽 내에 비스듬하게 또는 기둥에 그 기둥과 대략 평행하며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고 가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요동할 때에 소음의 발생이 없는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축방향의 점유공간 및 중량을 무겁게 하지 않고, 실린더와 로드의 접촉 등의 원하지 않는 사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큰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흡진기는,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내측 길이부재는 외측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와, 이 내측삽입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측 길이부재의 축방향의 일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극에는 이들 내면 및 외면에 접촉하여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에는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가 고착되어 있고, 내측 길이부재의 일단부에는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가 고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흡진기에 따르면, 각 부착판부재를 통해 예를 들면, 기둥 및 수평재에 본 흡진기를 연결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예를 들면 상부 수평재에 대한 하부 수평재의 벽면 내에서의 수평방향의 상대진동시에는 외측 길이부재에 대해 내측 길이부재가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결과, 외측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간의 간극에 배치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점성전단 변형을 일으켜서 상대진동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으며, 안경이음매 등을 대신하여 각 부착판부재를 통해 기둥 및 수평재 등에, 예를 들면 각 부착판부재의 폭넓은 부착면에서 그 부착판부재를 끼워 지지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등을 이용하여 마찰접합으로 간단하게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벽내에 비스듬하게 또는 기둥에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요동시에 소음의 발생이 없고, 설치상의 덜거덕거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견고한 연결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외측 길이부재와 하나의 내측 길이부재로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의 쌍을 복수 마련하고,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를 서로 고착하여 일체화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의 각각의 타단부에 고착하여 공용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내측 길이부재의 각각에 고착하여 공용하여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통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에 고착해도 좋지만, 이 경우,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에 고착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본 발명의 흡진기에서는,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에 고착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충전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밀봉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흡진기는 외측 길이부재의 내부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내측삽입부의 축방향의 진퇴에서의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내압의 증감을 억제하는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제1 실시예의 흡진기에서, 간극과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중 적어도 한쪽 길이부재는 다음 식(1) 및 (2)의 관계를 갖고 있다.
10 ≤ d ·t ≤100 (1)
0.5 ≤ t / d ≤ 8 (2)
여기에서, d는 간극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고, t는,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중 적어도 한쪽 길이부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진기에서는, 외측 길이부재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의 이동으로, 간극에 배치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전단변형을 일으켜서 감쇄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키므로, 감쇄력의 크기는 간극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d)에 반비례하게 되는 결과, 길이부재는 이러한 두께(d)에 반비례하는 크기의 감쇄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을 필요가 있고, 두께(d)와 길이부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t)의 곱(d·t)이 10보다도 작으면, 길이부재는 발생하는 감쇄력에 대해 강도적으로 약하게 되어, 경우에 따라 발생하는 감쇄력을 견딜 수 없고 절곡될 우려를 갖고 있으며 곱(d·t)이 100보다 크면, 발생하는 감쇄력의 크기에 비교하여 두께(t)가 필요 이상이 되어 대중량 및 대직경의 흡진기가 되어 비용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흡진기에서는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단시간에 걸친 반복전단변형에 있어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가 발열하게 되는데, 이 열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발산시키지 않으면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점성 또는 점탄성이 저하되어 의도한 감쇄력이 발생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는데, 두께(t)와 두께(d)의 비(t/d)가 0.5보다도 작으면, 많은 경우,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열용량에 대해 길이부재의 열용량이 작아져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서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길이부재를 통해 발산될 수 없게 되어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 자체의 온도상승이 발생하여 의도한 감쇄력이 발생되지 않게 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진기에서는,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 자체에 온도상승을 일으키지 않는 관점에서는 비(t/d)가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t/d)가 8보다 커지면, 상기와 같이 대중량 및 대직경의 흡진기가 되고, 외측 길이부재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의 약간의 이동시에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큰 압력변동이 발생하여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키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흡진기에서는 곱(d·t)이 10 이상이고 100 이하이며, 비(t/d)가 0.5 이상이고 8 이하이기 때문에, 두께(d)의 크기에 관계없이 충분히 강도적으로 보장되고, 발생되는 감쇄력의 크기에 대응한 중량 및 지름의 흡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서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길이부재를 통해 발산되어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 자체의 온도상승을 없앨 수 있어 의도한 감쇄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외측 길이부재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시에도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큰 압력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흡진기는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중간 길이부재는 외측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측 길이부재는 중간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중간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의 길이부재의 내면과 중간 길이부재 외면 사이 및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의 각각의 간극에는 이들 내면 및 외면에 접촉하여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흡진기에 의하면, 각 부착수단을 통해, 예를 들면 기둥 및 수평재에 본 흡진기를 연결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예를 들면, 상부 수평재에 대한 하부 수평재의 벽면내에서의 수평방향의 상대진동시에는, 외측 길이부재에 대한 중간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 및 중간 길이부재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으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 에너지를 상기 실시예의 흡진기와 비교하여 더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결과, 바꿔 말하면, 외측 길이부재의 내면과 중간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극에 배치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의한 감쇄력에 더하여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 간의 간극에 배치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의한 감쇄력도 얻을 수 있는 결과, 축방향의 점유공간 및 중량을 크게 하는 일 없이, 극단적으로 좁은 간극에 기인하는 길이부재 상호간의 접촉 등의 원하지 않는 사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발생하는 감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충전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밀봉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흡진기는, 외측 길이부재의 내부에 대한 중간 길이부재의 진퇴 및 중간 길이부재의 내부에 대한 내측 길이부재의 진퇴에 의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내압의 증감을 억제하는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다른 실시예의 흡진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양 간극 중의 적어도 한쪽 간극과,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및 중간 길이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부재는, 상기 식(1) 및 (2)의 관계를 갖고 있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d는 양 간극중 적어도 한쪽 간극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고, t는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및 중간 길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부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측 길이부재, 내측 길이부재 및 중간 길이부재를 각각 하나씩으로 하여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지만, 이를 대신하여 외측 길이부재와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의 쌍을 복수 마련하고,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를 서로 고착하여 일체화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의 각각의 타단부 및 내측 길이부재의 각각의 일단부의 각각에 고착하여 공용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중간 길이부재의 각각의 일단부에 고착하여 공용으로 하여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다.
본 흡진기에서도,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통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 및 내측의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해도 좋지만, 이 경우에도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 및 내측의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본 발명의 흡진기에서는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중간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흡진기는,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의 길이부재와 적어도 두개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한쪽 중간 길이부재는 외측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는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한쪽 중간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측 길이부재는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의 내면과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의 각각의 간극에는 이들 내면 및 외면에 접촉되어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흡진기에 의하면, 상기의 실시예의 흡진기와 마찬가지로 각 부착수단을 통해 예를 들면, 기둥 및 수평재에 본 흡진기를 연결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예를 들면 상부 수평재에 대한 하부 수평재의 벽면내에서의 수평방향의 상대진동시에는 외측 길이부재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에 대한 한쪽 중간 길이부재 및 내측 길이부재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으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에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에너지를 제1 및 다른 실시예의 흡진기와 비교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결과, 축방향의 점유공간 및 중량을 크게 하는 일 없이, 또한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및 적어도 2개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와의 접촉 등의 원하지 않는 사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발생하는 감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충전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를 밀봉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흡진기도, 외측 길이부재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각각의 내부에 대한 한쪽 중간 길이부재 및 내측 길이부재의 각각의 진퇴에 의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의 내압의 증감을 억제하는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흡진기에 있어서도, 바람직하게는 3개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간극과, 외측 및 내측의 길이부재 및 적어도 2개의 중간 길이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부재는, 상기 식(1) 및 (2)의 관계를 갖고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d는 3개의 간극 중 적어도 하나의 간극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고, t는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 및 적어도 2개의 중간 길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부재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이다.
본 실시예의 흡진기에서도 외측 길이부재, 내측 길이부재 및 2개의 중간 길이부재의 각각을 하나로 하여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지만, 이를 대신하여 외측 길이부재와 적어도 2개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와, 내측의 길이부재의 쌍을 복수 마련하여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를 서로 고착하여 일체화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외측 길이부재의 각각의 타단부 및 복수의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각각의 일단부에 고착하여 공용으로 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복수의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각각의 일단부 및 복수의 내측 길이부재 각각의 일단부에 고착하여 공용하여 흡진기를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흡진기에서도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통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해도 좋지만, 이 경우에도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외측 길이부재의 타단부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하고,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본 흡진기에서도,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를 용접 등에 의해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일단부 및 내측의 길이부재의 일단부에 고착하고,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에 고착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흡진기는 부착판부재를 통해, 예를 들면 벽면 내의 방향(면내방향)에서는 강성적으로 기둥 및 수평재에 연결되게 되지만, 지진에 의한 상부 수평재에 대한 하부 수평재의 벽면내에서의 수평방향의 상대진동시에는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 외측 길이부재 및 내측 길이부재와 중간 길이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 또는 외측 길이부재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와 한쪽 중간 길이부재 및 내측 길이부재의 상호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에 더해 각 길이부재의 약간의 휘어짐으로 이 상대진동에 추종하도록 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진구조는 흡진기를 구비하고 있고, 여기에서 흡진기는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 및 이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에 고착된 한쪽의 연결수단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에,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 및 이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에 고착된 다른쪽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재 또는 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제진구조에 의하면, 흡진기가 부착판부재 및 연결수단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에 연결되어 있는 결과, 건물을 제진화할 수 있고,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제진구조는 흡진기를 구비하고 있고, 흡진기는 한쪽 부착수단 및 이 한쪽의 부착수단에 부착된 한쪽의 연결수단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에, 다른쪽 부착수단 및 이 다른쪽 부착수단에 부착된 다른쪽 연결수단을 통해 수평재 또는 기둥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제진구조에 의하면, 흡진기가 각 연결수단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에 연결되어 있는 결과, 건물을 제진화할 수 있고, 지진에 의한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진기가 적용되는 건물은 공용 및 민간을 포함하는 사업용 혹은 사무소빌딩, 공동주택을 포함하는 집합주택 및 단독주택 등을 포함하고, 신축 또는 이미 건설된 건물 등 어떤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성체로서는, 30℃에서의 그 점도가 1000Pa·s 내지 5000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탄성체로서는, 20℃에서의 그 등가점성감쇄정수가 20%에서 50%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들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이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성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실리콘오일 등의 점성체이어도 괜찮지만, 예를 들면 고점도를 갖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또는 디메틸폴리시로키산 등의 고분자 점성체 또는 아스팔트 등을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외의 점성체이어도 좋고, 본 발명에 이용하는 점탄성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의 액상합성고무, 그 외 상기 점성체와 혼합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그 외의 점탄성체이어도 괜찮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간극을 유지하도록 각 길이부재간에 스페이서부재를 그 길이부재에 접촉시켜서 배치해도 좋은데, 이러한 스페이서부재로서는, 폐곡선형의 환상체이어도 좋지만, 이를 대신하여 각 길이부재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개별 스페이서편이어도 좋다. 간극의 두께(d)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1mm에서 5.5mm정도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벽내에 비스듬하게 또는 기둥에 그 기둥과 연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어,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요동시에 소음의 발생이 없는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축방향의 점유공간 및 중량을 크게하지 않으면서 각 길이부재끼리의 접촉 등의 원하지 않는 사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큰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건물 등의 벽내에 비스듬하게 또는 건물 등의 기둥에 그 기둥과 연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하여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쇄시키는 흡진기를 건물 벽에 비스듬하게 또는 기둥에 그 기둥과 대략 평행하고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건물 전체를 제진구조로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의 도2에 도시된 I-I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예의 Ⅱ-Ⅱ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3은, 도1에 도시된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예의 도2에 도시된 Ⅳ-Ⅳ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에 도시된 예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의 설명도이고,
도6은, 도5에 도시된 예의 Ⅵ-Ⅵ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예의 도8에 도시된 Ⅶ-Ⅶ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7에 도시된 예의 Ⅷ-Ⅷ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9는, 도7에 도시된 예의 일부 확대단면도이고,
도10은, 도7에 도시된 예의 도8에 도시된 Ⅹ-Ⅹ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외관도이고,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예의 단면도이고,
도13은, 도11에 도시된 예의 도12에 도시된 ⅩⅠⅠⅠ-ⅩⅠⅠⅠ선 화살표방향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예의 일부 단면설명도이고,
도19는, 도18의 우측면 설명도이고,
도20은 도17에 도시된 예의 일부 단면설명도이고,
도21은 도20의 좌측면 설명도이고,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2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단면설명도이고,
도24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정면단면 설명도이고,
도25는, 도24에 도시된 예의 평명단면 설명도이고,
도2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정면단면 설명도이고,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예의 평면단면 설명도이고,
도28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의 정면단면 설명도이고,
도29는 도28에 도시된 예의 우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를 도시된 바람직한 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는다.
도1 내지 도6에서, 본예의 제진구조로서의 제진벽구조(1)는 건물의 좌우기둥(2 및 3) 및 상하수평재(4 및 5)에 의해 구획되는 벽공간(6)에 비스듬하게 배치된 축방향(X)으로 신축이 자유로운 흡진기(7)를 구비하고 있다.
건물은 본 예에서는 고층의 빌딩이고, 소정 층의 벽공간(6)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이 소정 층의 벽공간(6)에 인접하는 동일 층의 벽공간 및 이 소정 층보다도 상층 및 하층의 벽공간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비스듬한 모양으로 흡진기가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벽공간(6)에 한개의 흡진기(7)를 배치하고 있지만, 2개 이상의 복수의 흡진기(7)를 배치해도 좋다.
흡진기(7)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21)와, 마찬가지로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내측 길이부재(22)와, 길이부재(21)의 원통형의 내면(23)과 길이부재(22)의 원통형의 외면(24) 사이의 원통형 간극(25)에, 이들 길이부재(21 및 22)의 내면(23) 및 외면(24)에 각각 접촉하여 배치된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 본 예에서는 점성체(26)와, 개구단(27)측의 일단부(28)를 갖는 길이부재(21)의 축방향(X)의 폐쇄측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22)의 폐쇄측 일단부(30)의 각각에 고착된 직사각형상의 부착판부재(31 및 32)와, 길이부재(21)의 일단부(28)에서의 길이부재(21)의 내면(23)과 길이부재(22)의 외면(24) 사이의 간극(25)을 유지하는 유지수단(33)을 구비하고 있다.
길이부재(21)는 원판상의 바닥부(35)와, 바닥부(35)에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바닥부(35)에 의해 타단부(29)측이 폐쇄된 원통부(36)를 구비한 바닥부를 갖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부재(22)는 원판상의 바닥부(37)와 바닥부(37)에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바닥부(37)에 의해 일단부(30)측이 폐쇄된 원통부(38)를 구비한 마찬가지로 바닥부를 갖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는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면(23)에 대해 간극(25)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면(24)을 갖고 있으며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에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39)와, 내측삽입부(39)로부터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축방향(X)의 일단부(28)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점성체(26)는 간극(25)에 더하여 간극(25) 이외의 원통부(36 및 38)의 내부에 빽빽하게 충전되어 있다.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축방향(X)의 상대적인 이동시에, 원통부(36)의 개구단(27)으로부터의 외부로의 점성체(26)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점성체(26)는 간극(25)에서 원통부(36)의 개구단(27)까지 완전히는 충전되어 있지 않다.
설치용 볼트(41)가 삽입통과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부착수단이기도 한 한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31)는 길이부재(21)의 바닥부(35) 및 원통부(36)의 타단부(29)에 형성된 슬릿(43)에 끼움장착되어 그 길이부재(21)의 바닥부(35) 및 원통부(36)의 타단부(29)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설치용 볼트(44)가 삽입통과되는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쪽 부착수단이기도 한 다른쪽의 하나의 부착판부재(32)는, 길이부재(22)의 바닥부(37) 및 원통부(38)의 일단부(30)에 형성된 슬릿(46)에 끼움장착되어 그 길이부재(22)의 바닥부(37) 및 원통부(38)의 일단부(3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임시고정수단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유지수단(33)은 원통형의 통체(51)와, 통체(51)의 축방향(X)의 일단부(52)의 내면(53)에 볼트(54)에 의해 고착된 스페이서부재(55)를 구비하고 있고, 통체(51)는 그 축방향(X)의 타단부(56)에서 부착판부재(32)에 볼트(50)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스페이서부재(55)는 통체(51)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스페이서편(57)으로 이루어지고, 각 스페이서편(57)은 그 내면(58)에서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일단부(28)의 외면(59)에 축방향(X) 및 축심(60) 둘레로의 회전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길이부재(21)의 축방향(X)의 일단부(28)와 통체(51)의 일단부(5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렇게 4개의 스페이서편(57)으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부재(55)는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일단부(28)의 외면(59)에 부분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22)는 서로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길이부재(21)에 고착된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은 길이부재(22)에 고착된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22)는 서로 축심(60) 둘레로의 회전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다.
흡진기(7)에서, 간극(2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1으로 하고, 외측 및 내측의 길이부재(21 및 22) 중 적어도 한쪽, 본 예에서는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t1으로 하고,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t2로 하면, 두께(d1)와 두께(t1 및 t2)는, 다음 식(3) 내지 (6)의 관계를 갖고 있다.
10 ≤ d1 ·t1 ≤ 100 (3)
0.5 ≤ t1 / d1 ≤ 8 (4)
10 ≤ d1 ·t2 ≤100 (5)
0.5 ≤ t2 / d1 ≤ 8 (6)
이상의 흡진기(7)는 부착판부재(31) 및 부착판부재(31)에 고착된 연결수단(65)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 본 예에서는 하부 수평재(5)에 연결되어 있고, 부착판부재(32) 및 부착판부재(32)에 고착된 연결수단(66)을 통해 기둥 또는 수평재, 본 예에서는 상부 수평재(4)에 연결되어 있고, 양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은 벽공간(6)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연결수단(65)은 부착판부재(31)를 그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에서 일단부(71)로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 본 예에서는 두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및 73)와, 한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및 73)의 일단부(71)를 부착판부재(31)에 체결하도록 관통공(42)에 삽입통과된 볼트(41)를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및 73)의 타단부(74)는 하부 수평재(5)에 용접, 볼트 등을 통해 고착된 브라켓(75)에 볼트(41)을 통해 고착되어 있다.
연결수단(66)은 부착판부재(32)를 그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에서 일단부(81)로 끼워 지지하는 적어도 한쌍, 본 예에서는 두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82, 한쪽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는 미도시)와 한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82)의 일단부(81)를 부착판부재(32)에 체결하도록 관통공(45)에 삽입관통된 볼트(44)를 구비하고 있고, 한쌍의 스플라이스 플레이트(82)의 타단부(84)는 상부 수평재(4)에 용접, 볼트 등을 통해 고착된 브라켓(85)에 볼트(44)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이상의 제진벽구조(1)에서는, 지진 등에 의한 상부 수평재(4)에 대한 하부 수평재(5)의 벽공간(6)의 면내에서의 수평방향(H)의 상대진동으로 길이부재(21)에 대해 길이부재(22)가 상대적으로 축방향(X)으로 이동된 결과, 간극(25)에 배치된 점성체(26)에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물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조기에 감쇄시킬 수 있으며, 기둥(2, 3) 및 상하부 수평재(4, 5)의 면외방향(도5에서 지면(紙面)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대진동시에는 양 부착판부재(31 및 32)의 면외방향의 용이한 휘어짐으로 이러한 상대진동에 무리없이 추종하게 한 결과, 원하는 감쇄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안경이음매 등을 대신하여 각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에서 그 부착판부재(31 및 32)를 끼워 지지하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및 73 및 82)를 이용하여 마찰접합으로 흡진기(7)를 상하부 수평재(4 및 5)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설치상의 덜거덕거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도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다.
제진벽구조(1)에서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73 및 82)와 부착판부재(31 및 32)와의 마찰접합 및 스플라이스 플레이트(72, 73 및 82)와 브라켓(75 및 85)와의 마찰접합에 의해 흡진기(7)의 더욱 견고한 연결을 달성할 수 있고, 흡진기(7)의 벽공간(6)에의 설치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흡진기(7)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진벽구조(1)에서는,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이 벽공간(6)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결과, 상기 흡진기(7)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용공간을 좁히지 않고 건물을 제진화할 수 있다.
또, 흡진기(7)에서는, 부착판부재(31 및 32)는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에 형성된 슬릿(43 및 46)의 각각에 끼움장착되어 그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의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에의 고착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장기적인 사용으로 각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이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원하지 않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흡진기(7)에서는 간극(25)의 두께(d1)와 원통부(36)의 두께(t1)의 곱(d1·t1)이 10 이상, 100 이하이며, 간극(25)의 두께(d1)와 원통부(36)의 두께(t1)의 비(t1/d1)가 0.5 이상, 8 이하이고, 간극(25)의 두께(d1)와 원통부(38)의 두께(t2)의 곱(d1·t2)이 10 이상, 100 이하이며, 간극(25)의 두께(d1)와 원통부(38)의 두께(t2)의 비(t2/d1)가 0.5 이상, 8 이하이기 때문에, 두께(d1)의 크기에 상관없이 원통부(36 및 38)가 충분히 강도적으로 보장되고, 또, 발생하는 감쇄력의 크기에 대응된 중량 및 지름의 원통부(36 및 38)를 가진 흡진기(7)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점성체(26)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원통부(36 및 38)을 통해 빼내어, 점성체(26) 자체의 온도상승을 없앨 수 있어서 의도한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길이부재(21)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상대적인 축방향(X) 이동시에도 점성체(26)에 큰 압력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흡진기(7)는 외측의 길이부재(21)와 내측의 길이부재(22)를 구비한 것이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에 더하여 중공의 길이부재(102)를 구비하여 흡진기(101)를 구성해도 좋다.
도7 내지 도10에 도시된 흡진기(101)에서는, 길이부재(22)는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102)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길이부재가 되고, 길이부재(102)는 길이부재(21) 및 길이부재(22)의 양쪽에 대해 내측에 배치된 내측 길이부재가 된다.
흡진기(101)에서, 외측의 길이부재(21)는 원판상의 바닥부(35)를 대신하여 원통부(36)에 일체의 환상(環狀) 바닥부(103)를 구비하고 있고, 길이부재(21) 및 중간 길이부재(22)와 마찬가지로 원통부재로 이루어지는 내측의 중공 길이부재(102)는 원판상의 바닥부(104)와, 바닥부(104)에 일체적이며, 바닥부(104)에 의해 일단부(105)측이 폐쇄된 원통부(106)를 구비한 바닥이 있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부재(21)는 바닥부(103)가 바닥부(10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길이부재(102)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길이부재(102)의 원통부(106)는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내면(107)에 대해 간극(108)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외면(109)을 갖고 있으며,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에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110)와, 내측삽입부(110)로부터 일체적으로 축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원통부(38)의 축방향(X) 개구단(111)측의 타단부(112)에서 원통부(38)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105)를 구비하고 있으며, 간극(25)에 더하여 간극(108)에도 내면(107) 및 외면(109)에 접촉하여 점성체(26)가 배치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1)는 길이부재(21)의 바닥부(103) 및 원통부(36)의 타단부(29)에 형성된 슬릿(43) 및 길이부재(102)의 바닥부(104) 및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에 형성된 슬릿(113)에 끼움장착되어 그 외측 길이부재(21)의 바닥부(103) 및 원통부(36)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바닥부(104) 및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에 고착되어 있으며, 점성체(26)는 간극(25 및 108) 및 간극(25 및 108) 이외의 원통부(36 및 38)의 내부에 더하여 원통부(106)의 내부에도 빽빽하게 충전되어 있다.
흡진기(101)에서는, 스페이서부재(55)의 스페이서편(57)과 동등한 스페이서편(121, 122 및 123)의 각각이 원통부(38)의 타단부(112)의 외면(24),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쪽의 외면(109) 및 원통부(106)의 타단부(124)의 외면(109)의 각각에 고착되어, 스페이서편(121, 122 및 123)의 각각의 외면이 원통부(36)의 내면(23) 및 원통부(38)의 내면(107)의 각각에 축방향(X) 및 축심(60)의 둘레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되어 간극(25 및 108)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흡진기(101)도 또한, 길이부재(21 및 102)와 길이부재(22)는 서로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길이부재(21 및 102)에 고착된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은 길이부재(22)에 고착된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본 예의 길이부재(21 및 102)와 길이부재(22)는 서로 축심(60)의 둘레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다.
또한, 흡진기(101)에 있어서도 간극(2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1으로 하고, 간극(108)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2라 하고,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21 및 102) 및 중간 길이부재(22) 중 적어도 하나, 본 예에서는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및 106)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각각 t1, t2 및 t3이라 하면, 두께(d1 및 d2)와 두께(t1, t2 및 t3)은 다음 식(7) 내지 (14)의 관계를 갖고 있다.
10 ≤ d1·t1 ≤100 (7)
0.5 ≤ t1/d1 ≤8 (8)
10 ≤ d1 ·t2 ≤100 (9)
0.5 ≤ t2/d1 ≤8 (10)
10 ≤ d2 ·t2 ≤100 (11)
0.5 ≤ t2/d2 ≤8 (12)
10 ≤ d2 ·t3 ≤100 (13)
0.5 ≤ t3/d2 ≤8 (14)
이상의 흡진기(101)는 흡진기(7)와 마찬가지로 양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을 벽공간(6)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도록 하고, 도5에 도시된 연결수단(65)을 통해 하부 수평재(5)에, 연결수단(66)을 통해 상부 수평재(4)에 각각 연결하고, 흡진기(7)를 대신하여 제진벽구조(1)에 이용된다.
흡진기(101)를 구비한 제진벽구조(1)에서는 흡진기(7)를 구비한 상술의 제진벽구조(1)와 마찬가지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지진 등에 의한 길이부재(21 및 102)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으로, 간극(25)에 배치된 점성체(26)에 더하여, 간극(108)에 배치된 점성체(26)에 의해서도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결과, 건물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더욱 조기에 감쇄시킬 수 있고, 또, 흡진기(101)에서는 흡진기(7)와 마찬가지로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의 길이부재(21, 22 및 102)에의 고착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장기적인 사용으로 각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이 길이부재(21, 22 및 102)에서 벗겨져 버리는 원하지 않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흡진기(101)에서는 두께(d1 및 d2)의 크기에 상관없이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및 106)가 충분히 강도적으로 보장되고, 또한, 발생되는 감쇄력이 크기에 대응한 중량 및 지름의 원통부(36, 38 및 106)을 가진 흡진기(101)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점성체(26)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및 106)를 통해 제거할 수 있고, 점성체(26) 자체의 온도상승을 없앨 수 있고, 의도된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길이부재(21 및 102)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시에도 점성체(26)에 큰 압력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한개의 길이부재(21)와 한개의 길이부재(22)를 구비한 흡진기(7) 또는 길이부재(21, 22 및 102)를 각각 한개 구비한 흡진기(101)이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22)의 쌍을 복수 또는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쌍을 복수, 또한, 후술하는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의 쌍을 복수, 예를 들면 도11에서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22)의 쌍을 2쌍 구비하여 흡진기(131)를 구성해도 좋고, 도11에서 도13에 도시된 흡진기(131)에서는 2개의 길이부재(21)는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고착되어 일체화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1)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길이부재(21)에 고착되어 각 길이부재(21)에 대해 공용되고 있으며, 부착판부재(32)도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길이부재(22)에 고착되어 각 길이부재(22)에 대해 공용되고 있다.
흡진기(131)에서는 유지수단(33)의 통체(51)는 원통형을 대신하여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고, 부착판부재(31 및 32)와 마찬가지로 길이부재(21 및 22)의 일단부(28)를 감싸서 각 길이부재(21 및 22)에 대해 공용되고 있다.
흡진기(131)도 또한, 흡진기(7)와 마찬가지로 양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을 벽공간(6)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하여, 연결수단(65)을 통해 하부 수평재(5)에, 연결수단(66)을 통해 상부 수평재(4)에 각각 연결하고, 흡진기(7)를 대신하여 제진벽구조(1)에 이용할 수 있고, 흡진기(131)를 구비한 제진벽구조(1)에서도 지진 등에 의한 2개의 길이부재(21)에 대한 2개의 길이부재(2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으로, 2개의 간극(25)에 배치된 점성체(26)에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결과, 건물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더 조기에 감쇄시킬 수 있다.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쌍을 복수 및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의 쌍을 복수 각각 구비한 흡진기의 경우도 동일하다.
상기 흡진기(7, 101 및 131) 모두 길이부재(21)의 개구단(27)을 그대로 개구상태로 하였지만, 개구단(27)으로부터 간극(25)으로의 빗물,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진기(7)에서 개구단(27)을 실부재(141)로 폐쇄하여 점성체(26)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길이부재(21)의 내부에 대한 길이부재(22)의 내측삽입부(39)의 축방향(X)의 진퇴에 있어서의 점성체(26)의 내압 증감을 억제하는 억제수단(142)을 구비하여 흡진기(7)를 구성해도 좋다.
도14에 도시된 억제수단(142)은 길이부재(22)의 중공부인 원통부(38)의 내부를 점성체(26)가 충전되는 충전실(144)과 공기실(146)로 구획되어 이루어지고 점성체(26)의 내압의 증감으로 충전실(144)의 용적을 증감하는 고무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벨로즈형상의 가요(可撓)격벽(145)을 구비하고 있고, 가요격벽(145)의 외주단은 원통부(38)의 내면(107)에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억제수단(142)인 경우에는, 원통부(38)의 내부이고 가요격벽(145)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실(144)에 인접하는 공기실(146)은 공기가 충전되어 밀폐되어 있어도 좋지만, 필요하면, 공기실(146)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원통부(38)에 관통공(147)을 형성해도 좋다.
흡진기(7 및 101)에 있어서도 가요격벽(145)의 외주단을 원통부(38)의 내면(107)에 고착하여 가요격벽(145)을 원통부(38)의 내부에 배치하는 대신에 가요격벽(145)의 외주단을 원통부(36)의 내면(23)에 고착하여 원통부(36)의 내부에 가요격벽(145)을 배치해도 좋고, 요는, 동작시에 점성체(26)의 내압증감을 억제할 수 있는 공기실(146)을 형성하도록 흡진기(7 및 101)에 배치하면 좋다.
또, 억제수단(142)은 가요격벽(145)을 대신하여 또는 가요격벽(145)과 함께, 도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부(38)의 내부에 충전된 점성체(26)에 매설된 공기주머니, 발포고무 또는 스폰지 등의 가압축체(可壓縮體)(148)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가압축체(148)를 원통부(38)의 내부에 충전된 점성체(26)에 매설하는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원통부(38)의 외부이고 원통부(36)의 내부에 충전된 점성체(26) 혹은 도9에 도시된 흡진기(101)의 경우에는 원통부(106)의 내부에 충전된 점성체(26)에 매설해도 좋고, 가압축체(148)도 또한, 요는, 동작시에 점성체(26)의 내압증감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점성체(26)에 매설하면 좋다.
가요격벽(145)을, 예를 들면 흡진기(101)에서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내부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길이부재(102)를 중공의 부재를 대신하여 중실(中實)의 부재로 구성해도,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부재(102)를 타단부(124)쪽에서도 바닥부(149)에서 폐쇄된 원통부(106)를 가진 중공의 부재로 구성해도 좋고, 도16에 도시된 흡진기(101)에서는 원통부(106)의 내부에 점성체를 충전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흡진기(7, 101 및 131) 모두, 한장의 부착판부재(31 및 32)를 갖고 각 부착수단을 구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도17 내지 도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장의 부착판부재(31 및 32)에 더하여, 다른 하나의 부착판부재(151 및 152)를 갖고, 즉, 한쪽의 한쌍의 부착판부재(31 및 151)를 구비한 한쪽의 부착수단과 다른쪽의 한쌍의 부착판부재(32 및 152)를 구비한 다른쪽 부착수단을 갖고, 예를 들면 흡진기(7)를 구성해도 좋다.
한쪽의 다른 하나의 부착판부재(151)는 부착판편(155 및 156)을 구비하고 있으며, 부착판편(155)은 부착판부재(31)과 마찬가지로 바닥부(35) 및 원통부(36)에 형성된 슬릿(157)에 끼움장착되어, 바닥부(35) 및 원통부(36) 및 부착판부재(31)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부착판편(156)은 부착판편(155)과 마찬가지로 바닥부(35) 및 원통부(36)에 형성된 슬릿(158)에 끼움장착되어, 바닥부(35) 및 원통부(36) 및 부착판부재(31)에 용접 등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편(155 및 156)으로 이루어지는 부착판부재(151)의 폭넓은 면(159)은,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과 교차, 본 예에서는 직교하고 있다.
다른쪽의 다른 하나의 부착판부재(152)는 부착판편(165 및 166)을 구비하고 있고, 부착판편(165)은 부착판부재(32)와 마찬가지로 바닥부(37) 및 원통부(38)에 형성된 슬릿(167)에 끼움장착되어, 바닥부(37) 및 원통부(38) 및 부착판부재(3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편(166)은 부착판편(165)과 마찬가지로 바닥부(37) 및 원통부(38)에 형성된 슬릿(168)에 끼움장착되어, 바닥부(37) 및 원통부(38) 및 부착판부재(3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편(165 및 166)으로 이루어지는 부착판부재(152)의 폭넓은 면(169)은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과 교차, 본 예에서는 직교하고 있다.
도17에서 도21에 도시된 흡진기(7)에 의하면, 슬릿(157 및 158 및 167 및 168)을 통해 부착판부재(151 및 152)가 길이부재(21)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22)의 일단부(30)의 각각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부착판부재(151 및 152)의 길이부재(21 및 22)에의 각각의 고착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장기 사용으로 부착판부재(151 및 152)가 길이부재(21 및 22)의 각각으로부터 벗겨져 버리는 원하지 않는 사태를 피할 수 있으며, 부착판부재(151)의 폭넓은 면(159)이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과 직교하고, 부착판부재(152)의 폭넓은 면(169)이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과 직교하고 있으므로, 부착판부재(31 및 32 및 151 및 152)의 굽힘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흡진기(7 및 101)에서는 유지수단(33)을 구비하여 구성하였지만, 흡진기(7 및 101)의 연결수단(66)을 통한 벽공간(6)에의 설치전까지는 유지수단(33)을 길이부재(21)에 대한 임시고정수단으로 이용하여, 연결수단(66)을 통한 벽공간(6)에의 설치 후, 볼트(50 및 54)를 느슨하게 하여 유지수단(33)을 제거하고, 유지수단(33)을 구비하지 않은 흡진기(7 또는 101)로 제진벽구조(1)를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스페이서편(121, 122 및 123)과 마찬가지의 스페이서편을 원통부(36)와 원통부(38) 사이 및 원통부(38)와 원통부(106) 사이에 새로 또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적당히 배치해도 좋다.
또, 유지수단(33)을 생략한 흡진기(7 또는 101)에 있어서 온도상승에 의해 간극(25)에서 외부로 넘치는 점성체(26)를 저장하는 저류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진기(101)에 설치한 저류수단(171)은 길이부재(21)에서 그 원통부(36)의 일단부(28)의 외면(173)에 고착된 원통체(174)를 구비하고 있고, 원통부(38)의 외면(24)과 원통체(174)의 내면(175)으로 원환상 저류공간(177)을 형성하고 있으며, 저류공간(177)에서 흡진기(101)의 외부로의 점성체(26) 누출 및 흡진기(101)의 외부에서 저류공간(177)에의 빗물, 먼지 등의 침입을 각각 방지하기 위해,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외면(24)에 대해서는 축방향(X)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되는 한편, 원통체(174)의 내면(175)에 대해서는 고착되도록 원통부(38)와 원통체(174) 사이에는 원환상의 덮개부재(176)가 끼움장착되어 있다. 저류공간(177)은 축방향(X)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폭(ds)이 두께(d1)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간극(25)으로부터 다량의 점성체(26)가 넘쳐도 문제없이 이것을 저류공간(177)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저류수단(171)을 흡진기(7)에 마찬가지로 하여 설치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도16에 도시된 흡진기(101)에서는 가요격벽(145)을 가지고 억제수단(142)을 구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도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의 내부에 원판상의 폐쇄부재(181)를 고착하여 원통부(106)의 내부를 폐쇄공간(182)과 공간(183)으로 구획하고 폐쇄부재(181)로부터 축방향(X)으로 이간되어 공간(183)쪽으로 원환상 부재(184)를 마찬가지로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의 내부에 고착하여 공기실(185)과 점성체(26)가 배치되는 공간(187)을 형성하고, 원환상 부재(184)의 중앙공(186)을 통해 공간(187)에 연통된 공기실(185)로 억제수단(142)을 구성해도 좋다. 흡진기(101)에 이러한 공기실(185)로 이루어지는 억제수단(142)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극(25 및 108)과 공간(187)을 서로 연통시키는 한개 이상의 관통공(188)을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에 설치하면 좋다.
공기실(185)은 길이부재(21 및 102)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에 의한 점성체(26)의 내압의 증감으로 공기실(185)에 대한 점성체(26)의 출입으로 그 용적을 증감하게 되어, 길이부재(21)의 내부에 대한 길이부재(22)의 진퇴 및 길이부재(22)의 내부에 대한 길이부재(102)의 진퇴에 의한 점성체(26)의 내압증감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흡진기(7)에 있어서도 공기실(185)와 마찬가지의 공기실을 원통부(38)의 타단쪽(112)의 내부에 형성하고, 이러한 공기실로 억제수단(142)을 구성해도 좋다.
또, 도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통부(36)의 타단부(29)에 마개가 달린 충전구멍(191)을 마련하고, 벽공간(6)에의 설치전에 또는 설치후에 충전구멍(191)을 통해 길이부재(21) 내부 등에 점성체(26)를 충전한 후, 충전구멍(191)을 마개로 폐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공기실(18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통부(38)와 원통체(174) 사이에 덮개부재(176)가 끼움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부재(22)의 일단부(30)에 상기의 슬릿과 마찬가지의 슬릿을 통해 고착된 한쌍의 부착판부재(32 및 152)가 길이부재(21)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일단부(105)의 각각에 상기의 슬릿과 마찬가지의 슬릿을 통해 고착된 한쌍의 부착판부재(31 및 151)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도록 흡진기(101)를 비스듬하게 또는 직립시켜서 점성체(26)의 길이부재(21) 내부 등으로의 충전을 하고, 충전 후, 원통부(38)와 원통체(174) 사이에 덮개부재(176)를 끼움장착하면 좋다. 또, 간극(108)에 더하여 원통부(38)의 내부 전체에 점성체(26)를 충만시키기 위해서는, 바닥부(37)에 공기배출공을 설치하고, 원통부(38)와 원통체(174) 사이로의 덮개부재(176)의 끼움장착 후에도 충전공(191)을 통한 점성체(26)의 길이부재(21) 내부 등으로의 충전을 계속하고, 원통부(38)의 내부 전체에의 점성체(26)의 충만 후,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도록 해도 좋고, 이러한 공기배출공을 통해 원통부(38)의 내부에 점성체(26)를 충전하여 원통부(38)의 내부전체에의 점성체(26)의 충만 후, 공기배출공을 폐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은 흡진기(101)의 운반, 설치, 임시고정 등에서 흡진기(101)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92)을 가진 돌출부(193 및 194)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의 흡진기(101)는 길이부재(21, 22 및 10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이를 대신하여 도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부재(21, 22 및 102)와 함께 중공의 길이부재(202)를 더 구비하여 흡진기(201)를 구성해도 좋다.
도23에 도시된 흡진기(201)에서는, 길이부재(22 및 102)는 길이부재(21)와 길이부재(202)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길이부재가 되고, 따라서, 한쪽의 중간 길이부재는 길이부재(22)로 구성되고,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는 길이부재(102)로 구성되게 되고, 길이부재(202)는 길이부재(21, 22 및 102)의 각각에 대해 내측에 배치된 내측의 길이부재가 된다.
흡진기(201)에서, 길이부재(22)는 그 원통부(38)에 일체적으로 된 환상의 바닥부(211)를 구비하고 있고, 내측의 중공이 있는 길이부재(202)는 길이부재(102)와 마찬가지로 원판상의 바닥부(212)와, 바닥부(212)에 일체적으로 되어 있으며 바닥부(212)에 의해 일단부(213)쪽이 폐쇄된 원통부(214)를 구비한 바닥이 있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부재(22)는 바닥부(211)가 바닥부(21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길이부재(202)에 일체화되어 있으며, 길이부재(202)의 원통부(214)는 길이부재(102)의 원통부(106)의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면(216)에 대하여 간극(217)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면(218)을 갖고 있으며 길이부재(102)의 원통부(106)에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221)와, 내측삽입부(221)로부터 일체적으로 축방향(X)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원통부(106)의 축방향(X)의 개구단(222)쪽 타단부(124)에서 원통부(106)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213)을 구비하고 있고, 간극(25 및 108)에 더하여, 간극(217)에도 내면(216) 및 외면(218)에 접촉되어 점성체(26)가 배치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2 및 152)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길이부재(22)의 바닥부(211) 및 원통부(38)의 일단부(30)에 형성된 슬릿 및 길이부재(202)의 바닥부(212) 및 원통부(214)의 일단부(213)에 형성된 슬릿에 끼움장착되어 그 길이부재(22)의 바닥부(211) 및 원통부(38)의 일단부(30) 및 길이부재(202)의 바닥부(212) 및 원통부(214)의 일단부(213)에 고착되어 있고, 점성체(26)는 간극(25, 108 및 217)에 더하여 간극(25, 108 및 217) 이외의 원통부(36, 38 및 106)의 내부에 치밀하게 충전되어 있다.
또, 흡진기(201)에서도 한쪽의 부착수단으로서의 부착판부재(31 및 151)는 흡진기(101)과 마찬가지로 하여 길이부재(21 및 102)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흡진기(201)에는 스페이서편(121, 122 및 123)에 더하여 스페이서편(121, 122 및 123)과 동등한 스페이서편(225 및 226)이 원통부(214)의 외면(218) 각각에 고착되어 마련되어 있으며, 스페이서편(225 및 226)의 외면은 원통부(106)의 내면(216)에 축방향(X) 및 축심(60)의 둘레방향(R)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되어 있어, 스페이서편(225 및 226)으로 간극(217)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흡진기(201)에서도 또한, 길이부재(21 및 102)와 길이부재(22 및 202)는, 서로 축방향(X)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고, 길이부재(21)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일단부(105)의 각각에 상기의 슬릿과 마찬가지의 슬릿을 통해 고착된 부착판부재(31)의 폭넓은 부착면(61)은, 길이부재(22)의 일단부(30) 및 길이부재(202)의 일단부(213)의 각각에 동일하게 상기의 슬릿과 마찬가지의 슬릿을 통해 고착된 부착판부재(32)의 폭넓은 부착면(6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본 예의 길이부재(21 및 102)와 길이부재(22 및 202)도 서로 축심(60)의 둘레방향(R)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다.
흡진기(201)에서는 간극(2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1로 하고, 간극(108)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2로 하고, 간극(217)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d3으로 하고, 외측 및 내측 길이부재(21 및 202) 및 중간 길이부재(22 및 202) 중 적어도 하나, 본 예에서는 길이부재(21, 22, 102, 2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106 및 214)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를 각각 t1, t2, t3 및 t4로 하면, 두께 d1, d2 및 d3와 t1, t2, t3 및 t4는, 다음 식 (15) 내지 (26)의 관계를 갖고 잇다.
10 ≤ d1·t1 ≤ 100 (15)
0.5 ≤ t1/d1 ≤ 8 (16)
10 ≤ d1·t2 ≤ 100 (17)
0.5 ≤ t2/d1 ≤ 8 (18)
10 ≤ d2·t2 ≤ 100 (19)
0.5 ≤ t2/d2 ≤ 8 (20)
10 ≤ d2·t3 ≤100 (21)
0.5 ≤ t3/d2 ≤ 8 (22)
10 ≤ d3·t3 ≤ 100 (23)
0.5 ≤ t3/d3 ≤ 8 (24)
10 ≤ d3·t4 ≤ 100 (25)
0.5 ≤ t4/d3 ≤ 8 (26)
또한, 흡진기(201)에서, 원통부(214)의 타단부(231)의 내부에 원판상의 폐쇄부재(232)를 고착하여 원통부(214)의 내부를 폐쇄공간(233)과 공간(234)로 구획하고, 폐쇄부재(232)로부터 축방향(X)으로 이간하여 공간(234)쪽에 원환상 부재(235)를 마찬가지로 원통부(214)의 타단부(231)의 내부에 고착하여 공기실(236)을 형성하고, 원환상 부재(235)의 중앙공(237)을 통해 간극(217) 등에 연통된 공기실(236)로 억제수단(142)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억제수단(142)도 길이부재(20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점성체(26)의 내압의 증감에 의해 용적을 증감하는 공기실(236)을 갖고, 길이부재(21 및 102)의 각각의 내부에 대한 길이부재(22 및 202)의 각각의 진퇴에 의한 점성체(26)의 내압증감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흡진기(201)는 공기실(236)로 이루어지는 억제수단(142)을 대신하여 또는 이러한 억제수단(142)과 함께, 상기의 가요격벽(145) 또는 가압축체(148)로 이루어지는 억제수단(14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흡진기(201)에 있어서는,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에 관통공(188)을 설치할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관통공(188)이 일단부(105)에 설치되어 있으면, 충전공(191)을 통한 점성체(26)의 흡진기(201)내로의 충전시에, 길이부재(102)내로의 충전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흡진기(201)는 흡진기(7 및 101)와 마찬가지로 양 부착판부재(31 및 32)의 폭넓은 부착면(61 및 62)을 벽공간(6)의 면에 평행하게 배치시켜서 도5에 도시된 연결수단(65)을 통해 하부 수평재(5)에, 연결수단(66)을 통해 상부 수평재(4)에 각각 연결하고, 흡진기(7 또는 101)를 대신하여 제진벽 구조(1)에 이용된다.
흡진기(201)를 구비한 제진벽구조(1)에서는 흡진기(7 또는 101)를 구비한 상기의 제진벽구조(1)와 마찬가지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지진 등에 의한 길이부재(21 및 102)에 대한 길이부재(22 및 20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으로 간극(25 및 108)에 배치된 점성체(26)에 더하여 간극(217)에 배치된 점성체(26)에 의해서도 점성전단변형을 발생시켜서 상대진동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결과, 건물의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을 더욱 조기에 감쇄시킬 수 있고, 또, 흡진기(201)에서는 흡진기(7 및 101)와 마찬가지로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의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에의 고착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장기의 사용으로 각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이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에서 벗겨져 버리는 원하지 않는 사태를 피할 수 있으며, 부착판부재(151 및 15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굽힘강도가 증가되어 있다.
그리고, 흡진기(201)에서는 두께(d1, d2 및 d3)의 크기에 상관없이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106 및 214)가 충분히 강도적으로 보장되고, 발생하는 감쇄력의 크기에 대응된 중량 및 지름을 가진 흡진기(201)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점성체(26)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길이부재(21, 22, 102 및 202)의 각각의 원통부(36, 38, 106 및 214)를 통해 빼내고, 점성체(26) 자체의 온도상승을 없앨 수 있어 의도한 감쇄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길이부재(21 및 102)에 대한 길이부재(22 및 202)의 상대적인 축방향(X)의 이동시에도 점성체(26)에 큰 압력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건물 등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진기(7, 101 및 201)에서는, 부착판부재(31 및 32)를 슬릿(43 및 46)에 끼움장착하여 각 부착수단을 구성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도24 내지 도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랜지부재 또는 덮개부재, 본 예에서는 덮개부재(241 및 242)를 이용하여 각 부착수단을 구성해도 좋다.
즉, 도24 및 도25에 도시한 흡진기(101)에서는 한쪽 부착수단은 길이부재(21)의 원통부(36)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원통부(106)의 일단부(105)의 각각에 고착된 덮개부재(241)와 덮개부재(241)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부착판부재(31)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쪽 부착수단은 길이부재(22)의 원통부(38)의 일단부(3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덮개부재(242)와, 덮개부재(242)에 고착된 부착판부재(32)를 구비하고 있고, 부착판부재(31)는 덮개부재(241)에 고착되어 길이부재(21)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일단부(105)에 고착되어 있고, 부착판부재(32)는 덮개부재(242)에 고착되어 길이부재(22)의 일단부(30)에 고착되어 있다.
또,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흡진기(101)에서는, 한쪽 부착수단은 덮개부재(241) 및 부착판부재(31)에 더하여, 덮개부재(241)에 볼트(243)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1)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플랜지부재(244)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쪽 부착수단은 덮개부재(242) 및 부착판부재(32)에 더하여, 덮개부재(242)에 볼트(245)에 의해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2)가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플랜지부재(246)을 구비하고 있고, 부착판부재(31)는 덮개부재(241)에 플랜지부재(244) 및 볼트(243)를 통해 고착되어 길이부재(21)의 타단부(29) 및 길이부재(102)의 일단부(105)에 고착되어 있으며, 부착판부재(32)는 덮개부재(242)에 플랜지부재(246) 및 볼트(245)를 통해 고착되어 길이부재(22)의 일단부(30)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도28 및 도29에 도시된 흡진기(101)에서는, 한쪽 부착수단은 덮개부재(241), 부착판부재(31) 및 플랜지부재(244)에 더하여, 부착판부재(31) 및 플랜지부재(244)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부착판부재(151)를 구비하고 있고, 다른쪽 부착수단은 덮개부재(242), 부착판부재(32) 및 플랜지부재(246)에 더하여 부착판부재(32) 및 플랜지부재(246)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된 부착판부재(152)를 구비하고 있다.
도24 내지 도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착판부재(31 및 32)의 각각에 한개의 관통공(42 및 45)을 마련하고, 관통공(42 및 45)의 각각에 삽입통과되는 볼트를 갖는 연결수단을 통해 벽공간(6)에 흡진기(101)를 설치하게 해도 좋다.
도24 내지 도29에 도시된 각 부착수단은 흡진기(7 및 201)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이용되어도 좋다.
이상의 예에서는, 각 흡진기를 벽공간(6)에 배치하였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또는 이것과 함께 기둥(2 및 3)중 적어도 한쪽에 기둥(2, 3)과 대략 평행하게 또한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해도 좋다.
7, 101, 131...흡진기 25, 108, 217...간극
26...점성체 31, 32, 151, 152...부착판부재

Claims (1)

  1. 중공의 외측 길이부재와 내측 길이부재와 적어도 두개의 중공의 중간 길이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한쪽의 중간 길이부재는 외측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가지고 있으며 외측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는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한쪽 중간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고, 내측 길이부재는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면을 갖고 있으며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에 축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는 내측삽입부를 구비하고 있고, 외측 길이부재의 내면과 한쪽의 중간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 한쪽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 및 다른쪽 중간 길이부재의 내면과 내측 길이부재의 외면 사이의 각각의 간극에는 이들 내면 및 외면에 접촉하여 점성체 또는 점탄성체가 배치되어 있는 흡진기.
KR1020107004721A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KR101023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45367 2002-02-21
JP2002045367 2002-02-21
JPJP-P-2002-358091 2002-12-10
JP2002358091A JP4622207B2 (ja) 2002-02-21 2002-12-10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50A Division KR100982320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877A true KR20100044877A (ko) 2010-04-30
KR101023706B1 KR101023706B1 (ko) 2011-03-25

Family

ID=2775967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20A KR101023710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KR1020107004721A KR101023706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KR1020047012750A KR100982320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20A KR101023710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750A KR100982320B1 (ko) 2002-02-21 2003-02-07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7182187B2 (ko)
EP (3) EP2261442B1 (ko)
JP (1) JP4622207B2 (ko)
KR (3) KR101023710B1 (ko)
CN (1) CN1306134C (ko)
CA (3) CA2770427C (ko)
NZ (5) NZ544415A (ko)
TW (1) TWI226403B (ko)
WO (1) WO200307105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407A (ko) * 2017-09-22 2020-02-10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진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2207B2 (ja) * 2002-02-21 2011-02-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US8250818B2 (en) * 2004-03-03 2012-08-28 Robert Tremblay Self-centering energy dissipative brace apparatus with tensioning elements
US8001734B2 (en) * 2004-05-18 2011-08-23 Simpson Strong-Tie Co., Inc. Moment frame links wall
CN100425860C (zh) * 2004-12-11 2008-10-15 尹学军 阻尼器
US8127904B2 (en) * 2008-04-04 2012-03-06 Muska Martin A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the resonance frequency of an energy absorbing device for a structure in response to a disruptive force
ES2358936B1 (es) * 2008-04-10 2012-03-21 Universitat De Girona Sistema modular de disipación de energ�?a.
AT508047A1 (de) * 2009-03-18 2010-10-15 Univ Wien Tech Tragkonstruktion
US8729467B2 (en) * 2009-10-07 2014-05-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Charged particle radiation device
US8807307B2 (en) * 2010-02-12 2014-08-19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hosun University High-performance shear friction damper
IT1400112B1 (it) * 2010-05-21 2013-05-17 Alga Spa Elemento isteretico di controvento.
KR101017730B1 (ko) 2010-05-26 2011-02-2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실린더형 복합제진장치
US8316589B2 (en) * 2010-07-02 2012-11-27 National Applied Research Laboratories Dual-core self-centering energy dissipation brace apparatus
JP5541231B2 (ja) * 2011-06-01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51582A (ja) * 2011-06-01 2012-12-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ダンパ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844205B2 (en) * 2012-01-06 2014-09-30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ompressed elastomer damper for earthquake hazard reduction
CN103216017A (zh) * 2012-01-18 2013-07-24 南京丹普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粘弹性阻尼器
CA2924617C (en) * 2013-10-11 2017-02-28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Viscous wall coupling damper for use in an outrigger building configuration
EP2921612B1 (en) * 2014-03-18 2016-05-18 Maurer Söhne Engineering GmbH & Co. KG Energy dissipating device
JP6204263B2 (ja) * 2014-05-19 2017-09-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ブレース材
CN107109841A (zh) * 2014-11-07 2017-08-29 渥太华大学 使用屈曲约束支撑的传统的钢筋混凝土抗弯框架的抗震加固
CN105002998B (zh) * 2015-07-22 2017-08-11 南京丹枫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变力粘滞阻尼器
US10371313B2 (en) * 2016-02-17 2019-08-06 The Boeing Company Load relief tie rod
EP3513087B1 (en) * 2016-09-16 2021-06-23 Lo-Rez Vibration Control Ltd. High energy dissipation torsional viscous damper
CN107499413B (zh) * 2017-08-08 2023-08-25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车辆底盘附件支撑连接件
CA3097551A1 (en) * 2018-04-20 2019-10-24 Paul William RICHARDS Buckling-restrained braces and frames including the same
MY194967A (en) * 2018-06-06 2022-12-28 Univ Putra Malaysia A viscoelastic bracing damper
CN109779369B (zh) * 2019-02-28 2020-10-20 东南大学 一种三向六自由度隔减震装置及其工作方法
JP2020181144A (ja) * 2019-04-26 2020-11-05 ヤマハ株式会社 制振部材
CN112032248A (zh) * 2020-08-04 2020-12-04 上海大学 一种整体自附抗摇摆竖向三维隔震系统
TWI758120B (zh) * 2021-03-05 2022-03-11 劦承精密股份有限公司 消能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A (en) * 1841-03-12 Tor and planter for plowing
US2003A (en) * 1841-03-12 Improvement in horizontal windivhlls
US2007A (en) * 1841-03-16 Improvement in the mode of harvesting grain
DE1189871B (de) * 1962-12-11 1965-03-25 Fichtel & Sachs Ag Hydropneumatischer Schwingungsdaempfer fuer Kraftfahrzeuge
DE6604159U (de) * 1966-02-26 1969-12-11 Hoesch Ag Einrohr-teleskopschwingungsdaempf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3990548A (en) * 1975-08-06 1976-11-09 Efdyn Corporation Adjustable hydraulic dashpot
US4880213A (en) * 1986-01-30 1989-11-14 Nhk Spring Co., Ltd. Gas spring apparatus
JPS639740A (ja) * 1986-06-27 1988-01-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緩衝用ダンパ
JPS63275825A (ja) * 1987-05-08 1988-11-14 Takenaka Komuten Co Ltd 吸振器
JPH0198938U (ko) * 1987-12-24 1989-07-03
JPH01187271A (ja) * 1988-01-21 1989-07-26 Kajima Corp 制震装置
DE3940002A1 (de) * 1989-12-02 1991-06-06 Zeiss Carl Fa Schwingungsdaempfer mit unterschiedlicher daempfungscharakteristik fuer kleine und grosse schwingungsamplituden
JPH03265729A (ja) * 1990-03-14 1991-11-26 Hitachi Ltd 粘性ダンパ
JP3033773B2 (ja) 1990-06-04 2000-04-17 株式会社東芝 医用寝台制御装置
JPH04219536A (ja) * 1990-09-25 1992-08-10 Bridgestone Corp 振動減衰装置
US5224689A (en) * 1991-12-16 1993-07-06 Jordan Valchev Georgiev Shock absorbing device allowing reducing the vehicle weight
DE4322191C2 (de) * 1993-07-05 1997-08-07 Stop Choc Schwingungstechnik Gmbh & Co Kg Dämpfer
JP3265729B2 (ja) * 1993-07-29 2002-03-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クロスロール搬送車におけるクロスロール移載装置
JPH09157450A (ja) 1995-12-13 1997-06-17 Nippon Petrochem Co Ltd 高粘性流体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振動エネルギー減衰装置
JPH09279695A (ja) * 1996-04-13 1997-10-28 Konoike Constr Ltd 耐震補強構造および粘弾性ダンパー
JPH1046865A (ja) * 1996-07-30 1998-02-17 Dynamic Design:Kk 制震壁の固定方法
JPH10231555A (ja) * 1997-02-19 1998-09-02 Shimizu Corp 建物の架構の補強構造
CN2314144Y (zh) * 1997-12-12 1999-04-14 陈晓力 弹性阻尼式万向节
WO1999039064A1 (fr) * 1998-01-28 1999-08-05 Nippon Steel Corporation Contreventement viscoelastique
JP3686542B2 (ja) * 1998-01-28 2005-08-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粘弾性ブレース
JPH11247488A (ja) * 1998-02-27 1999-09-14 Tokico Ltd ブレースダンパ
JP3818476B2 (ja) * 1998-07-01 2006-09-06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減衰装置
JP3243221B2 (ja) * 1998-09-03 2002-0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ルーバ機構
JP4035239B2 (ja) 1998-10-21 2008-01-16 株式会社安井建築設計事務所 耐震性を付与された柱状構造物
JP2000274474A (ja) * 1999-03-25 2000-10-03 Sumitomo Constr Co Ltd 減衰装置
US6474598B2 (en) * 2000-05-24 2002-11-05 Cartercopters, L.L.C. Landing gear shock absorber with variable viscosity fluid
JP3872934B2 (ja) * 2000-05-26 2007-01-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摩擦ダンパー及びこれを使用した壁体
DE10122730B4 (de) * 2001-05-10 2006-07-13 Dt Swiss Ag Federsystem für Fahrräder
DE20117031U1 (de) * 2001-10-17 2001-12-13 Salice Arturo Spa Dämpfungsvorrichtung für bewegliche Möbelteile
JP4622207B2 (ja) * 2002-02-21 2011-02-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JP3845838B2 (ja) * 2002-03-28 2006-11-15 清水建設株式会社 粘弾性ダンパ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407A (ko) * 2017-09-22 2020-02-10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진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69348A (en) 2010-07-30
CN1306134C (zh) 2007-03-21
EP2261443B1 (en) 2017-06-07
CA2867373C (en) 2017-07-04
CN1636103A (zh) 2005-07-06
EP2261442A2 (en) 2010-12-15
NZ534501A (en) 2006-04-28
KR101023706B1 (ko) 2011-03-25
CA2474976A1 (en) 2003-08-28
TWI226403B (en) 2005-01-11
US7565957B2 (en) 2009-07-28
NZ544415A (en) 2007-05-31
JP2003314612A (ja) 2003-11-06
CA2770427C (en) 2017-12-19
EP2261443A3 (en) 2011-01-12
NZ581916A (en) 2011-05-27
JP4622207B2 (ja) 2011-02-02
US7182187B2 (en) 2007-02-27
US20070108002A1 (en) 2007-05-17
KR101023710B1 (ko) 2011-03-25
CA2770427A1 (en) 2003-08-28
US20090260304A1 (en) 2009-10-22
CA2474976C (en) 2012-12-04
KR20040081800A (ko) 2004-09-22
EP1486630A4 (en) 2006-06-07
US8002093B2 (en) 2011-08-23
KR100982320B1 (ko) 2010-09-15
KR20100046242A (ko) 2010-05-06
US20050077664A1 (en) 2005-04-14
EP2261442A3 (en) 2011-01-12
NZ554237A (en) 2008-09-26
TW200400308A (en) 2004-01-01
EP2261442B1 (en) 2015-11-11
EP1486630A1 (en) 2004-12-15
EP2261443A2 (en) 2010-12-15
WO2003071052A1 (en) 2003-08-28
EP1486630B1 (en) 2015-11-11
CA2867373A1 (en)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710B1 (ko) 흡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제진구조
JP6798749B2 (ja) エネルギー伝達装置および使用方法
JP5126293B2 (ja)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JP2020029925A (ja) 複合型制震装置
JPS63275825A (ja) 吸振器
JP4419218B2 (ja) 柱梁接合部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
JP4325614B2 (ja)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JP6567267B2 (ja) 構造物の制振装置
JPS622036A (ja) 振動エネルギ吸収装置
CN217328261U (zh) 一种液体阻尼弹簧减振器
JP2006077530A (ja) 既存建物の改修構造及び支承
JP2006090127A (ja) 吸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制震構造
JP2005256913A (ja) エネルギ吸収装置
JPH0197764A (ja) 制震壁
PL132529B1 (en) Shock and vibration energy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