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680A -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680A
KR20090104680A KR1020090025467A KR20090025467A KR20090104680A KR 20090104680 A KR20090104680 A KR 20090104680A KR 1020090025467 A KR1020090025467 A KR 1020090025467A KR 20090025467 A KR20090025467 A KR 20090025467A KR 20090104680 A KR20090104680 A KR 2009010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amping force
valve body
cylinde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8042B1 (ko
Inventor
다카오 나카다테
다카시 네즈
요헤이 가타야마
시게오 가타야마
히로유키 야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933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06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0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54636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9010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4Control of valve bias or pre-stress, e.g. electromagne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에 있어서, 압력 제어 밸브의 응답 지연 및 밸브체의 자려(自勵)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환형 오일 통로(21)와 리저버(4) 사이에 발생하는 오일액의 흐름을 배압형 메인 밸브(27) 및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해 직접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배압실(53)의 내압(內壓)을 조정하여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한다. 압력 제어 밸브(28)는, 밸브체(56)와 플런저(34) 사이에 밸브 스프링(57)을 개재하고, 밸브체(56)의 질량을 플런저(34)의 질량보다도 충분히 작게 하며, 밸브 스프링(57)의 스프링 강성을 플런저 스프링(36)의 스프링 강성보다도 높게 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56)의 응답성을 높여 감쇠력 제어의 응답 지연을 방지하고, 또한, 밸브체(56)의 고유 진동수를 높여 자려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DAMPER OF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등에 장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서스펜션 장치에 장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일반적으로, 오일액을 봉입한 실린더 내에 피스톤 로드를 연결한 피스톤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실린더 내를 2실로 구획하고, 실린더 내의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오일액의 흐름을 오리피스, 디스크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감쇠력 발생 기구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며, 또한, 유량 제어 밸브, 압력 제어 밸브 등을 이용하여 감쇠력 발생 기구의 유통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감쇠력 발생 기구인 디스크 밸브의 후방에 배압실을 형성하고, 이 배압실을 고정 오리피스를 통해 상류측 실린더실에 접속하며, 또한, 압력 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하류측 실린더실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압력 제어 밸브에 의해 오일액의 유통 저항을 직접 조정하고,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하여 디스크 밸브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자동차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 장치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감쇠력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압력 제어 밸브(솔레노이드 밸브)의 플런저의 관성 등에 의해 응답 지연이 발생하여, 감쇠력 제어가 오버슈트하거나, 또한, 압력 제어 밸브의 밸브체의 자려 진동에 의해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53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력 제어 밸브의 응답 지연 및 밸브체의 자려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를 구비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축 방향 일측으로 압박하여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하는 플런저와, 상기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개재된 밸브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밸브체를 축 방향 타측으로 압박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보다도 질량이 작고, 상기 밸브 스프링은 상기 메인 스프링보다도 스프링 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따르면, 밸브체의 응답성을 높여, 감쇠력 제어의 응답 지연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밸브체의 고유 진동수를 높게 하여, 자려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실린더(2)의 외측에 외통(3)을 설치한 이중 통 구조로 되어 있고, 실린더(2)와 외통(3) 사이에 리저버(4)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 내에는, 피스톤(5)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이 피스톤(5)에 의해 실린더(2) 내부가 실린더 상부실(2A)과 실린더 하부실(2B)의 2실로 구획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피스톤 로드(6)의 일단이 너트(7)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 로드(6)의 타단측은, 실린더 상부실(2A)을 지나, 실린더(2) 및 외통(3)의 상단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8) 및 오일 시일(9)을 삽입 관통하여,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2)의 하단부에는, 실린더 하부실(2B)과 리저버(4)를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10)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5)에는, 실린더 상부실(2A) 및 하부실(2B) 사이를 연통시키는 오일 통로(11, 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통로(11)에는, 실린더 하부실(2B)측으로부터 실린더 상부실(2A)측으로의 오일액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3)가 설치되고, 또한, 오일 통로(12)에는, 실린더 상부실(2A)측의 오일액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 개방되어, 오일액을 실린더 하부실(2B)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10)에는, 실린더 하부실(2B)과 리저버(4)를 연통시키는 오일 통로(15, 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통로(15)에는, 리저버(4)측으로부터 실 린더 하부실(2B)측으로의 오일액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17)가 설치되고, 또한, 오일 통로(16)에는, 실린더 하부실(2B)측의 오일액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했을 때 개방되어, 오일액을 리저버(4)측으로 릴리프하는 디스크 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 내에는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고, 리저버(4) 내에는 오일액 및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실린더(2)에는, 상하 양단부의 시일 부재(19)를 통해 세퍼레이터 튜브(20)가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고, 실린더(2)와 세퍼레이터 튜브(20) 사이에 환형 오일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오일 통로(21)는, 실린더(2)의 상단부 부근의 측벽에 형성된 오일 통로(22)에 의해 실린더 상부실(2A)에 연통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튜브(20)의 측벽에는, 소직경의 개구(23)가 형성되고, 또한, 외통(3)의 측벽에는, 개구(23)와 대략 동심으로 대직경의 개구(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통(3)의 측벽의 개구(24)에 감쇠력 발생 기구(25)가 부착되어 있다.
감쇠력 발생 기구(25)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26)의 일단부가 개구(24)에 삽입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26) 내에는, 파일럿형(배압형) 메인 밸브(27) 및 압력 제어 밸브(28)(솔레노이드 밸브)가 일체화된 밸브 유닛(30)이 삽입되고, 너트(3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밸브 유닛(30)은, 너트(31)에 의해 케이스(26)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케이스(32)를 구비하고 있다.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외측 단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보어(33)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보어(33)에는, 플런저(34)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또한, 코일(35)(솔레노이드), 메인 스프링으로서의 플런저 스프링(36)(압축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으며, 코어(37)가 끼워 맞춰지고, 코킹에 의해 솔레노이드 케이스(32)에 고정됨으로써, 코일(35)을 고정하고, 플런저 스프링(36)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코일(35)에는, 통전용 리드선(38)이 접속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내측 단부에는, 가이드 보어(33)와 동심의 통로 보어(39)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보어(33)와 통로 보어(39)가 소직경의 포트(40)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내측 단부에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41) 및 바닥을 갖는 원통형 밸브 부재(42)가 이 순서로 배치되며, 단차를 갖는 원통형 통로 부재(43)의 일단부가 밸브 부재(42) 및 가이드 부재(41)의 바닥부에 삽입 관통되고, 그 선단부가 통로 보어(39)에 삽입되어, 이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통로 부재(43) 중간의 대직경부(44)가 밸브 부재(42)에 끼워 맞춰져 밸브 부재(42)의 내부에 실(室; 45)이 형성되어 있다. 통로 부재(43)의 타단부는, 세퍼레이터 튜브(20)의 개구(23)에 끼워 맞춰지고, 통로 부재(43) 내부의 축 방향 오일 통로(46)의 일단부가 환형 오일 통로(21)에 연통되어 있다. 축 방향 통로(46)의 중간부에는 고정 오리피스(47)(도입 오리피스)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 부재(42)의 바닥부에는, 복수의 오일 통로(49)가 형성되고, 바닥부의 외측 단부면에는, 오일 통로(49)의 외주측에 환형 밸브 시트(50)가 돌출되어 있다. 밸브 부재(42)와 가이드 부재(41) 사이에, 복수 매 적층된 디스크 밸브(51)(메인 밸브)의 내주부가 클램프되어 있고, 디스크 밸브(51)의 외주부가 밸브 시트(50)에 착좌(着座)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밸브(51)의 배면에는, 환형 시일 부재(52)가 고착되어 있고, 시일 부재(52)가 가이드 부재(41)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액밀식으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며, 가이드 부재(41)의 내부에 배압실(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밸브(51)는, 오일 통로(49)의 오일액의 압력을 받아 휘어져 밸브 시트(50)로부터 분리(밸브 개방)되고, 밸브 부재(42) 내의 실(45)을 케이스(26) 내의 실(48)[외통(3)의 개구(24)에 의해 리저버(4)에 연통되어 있음]에 연통시킨다. 그리고, 디스크 밸브(51)와 배압실(53)로 파일럿형(배압형) 감쇠 밸브를 형성하고 있고, 배압실(53)의 내압이 디스크 밸브(51)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 부재(42)의 축 방향 오일 통로(46)의 고정 오리피스(47)의 상류측은, 통로 부재(43)에 형성된 오일 통로(54)에 의해 밸브 부재(42) 내의 실(45)에 연통되고, 또한, 고정 오리피스(47)의 하류측은, 직경 방향 오일 통로(55)를 통해 배압실(53)에 연통되어 있다.
플런저(34)의 선단부에는, 포트(40)를 개폐하는 밸브체(56)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밸브체(56)는 밸브 스프링(57)(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밸브체(56)는 대직경의 두부(頭部; 58)와 소직경의 축부(59)로 이루어지는 단차를 갖는 형상이며, 두부(58)에는 가이드 보어(33) 내의 포트(40)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시트면(60)에 착좌하는 환형 시트부(6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축부(59)는 플런저(34)의 중심부에 관통된 가이드 구멍(6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56)의 두부(58)에는, 환형 시트부(61)의 내주부 가까이에, 포트(40)에 대향하여 포트(40)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오목부(80)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환형 시트부(61)의 시트면(60)에 착좌하는 선단부의 직경 방향의 폭이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프링(57)은, 대략 원형의 접촉부(63)에 밸브 구멍(63A)이 형성되고, 접촉부(63)로부터 플런저(34)의 직경 방향으로 다리부(64)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56)는, 축부(59)가 밸브 구멍(63A)을 삽입 관통하고, 두부(58)가 접촉부(63)에 접촉하며, 다리부(64)의 선단부가 플런저(34)의 선단 외주 가장자리부에 돌출된 환형 스프링 받침부(65)에 접촉하여, 플런저(34)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밸브 스프링(57)의 다리부(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등간격으로 3개)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포트(40)와 밸브체(56)로 압력 제어 밸브(28)를 형성하고 있고, 밸브체(56)는, 포트(40) 내의 오일액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밸브를 개방하며, 그 밸브 개방 압력은 플런저 스프링(36)의 스프링력 및 솔레노이드의 추력, 즉 코일(35)에의 통전 전류에 따라서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보어(33)는, 솔레노이드 케이스(32)에 형성된 오일 통로(66)를 통해 실(48)에 연통되어 있다. 플런저(34)에는, 그 양단에 형성된 실을 상호 연통시키는 스로틀 통로(67)가 형성되어, 그 이동에 적절한 감쇠력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57)의 스프링 강성은, 플런저 스프링(36)의 스프링 강성보다도 높고, 또한, 밸브체(56)의 질량은, 플런저(34)의 질량보다도 충분히 작으며, 밸브 체(56)의 고유 진동수가 충분히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대하여, 실린더(2)측이 스프링 하측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6)측이 스프링 상측에 연결되며, 또한, 코일(35)의 리드선(38)이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피스톤 로드(6)의 신장 행정 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폐쇄되고, 디스크 밸브(14)의 밸브 개방 전에는, 실린더 상부실(2A)측의 오일액이 가압되어, 오일 통로(22) 및 환형 오일 통로(21)를 지나, 세퍼레이터 튜브(20)의 개구(23)로부터 감쇠력 발생 기구(25)의 축 방향 오일 통로(46)에 흐른다. 그리고, 메인 밸브(27)의 디스크 밸브(51)의 밸브 개방 전에는, 오일액은, 고정 오리피스(47), 통로 보어(39) 및 포트(40)를 지나,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체(56)를 개방시켜 가이드 보어(33)에 흐르고, 또한, 오일 통로(66) 및 실(48)을 지나 리저버(4)에 흐른다. 그리고, 밸브 부재(42)의 실(45) 내의 압력이 디스크 밸브(51)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51)가 개방되어, 오일액이 축 방향 오일 통로(46)의 고정 오리피스(47)의 상류측으로부터 오일 통로(54), 오일실(45) 및 오일 통로(49)를 지나 실(48)에 흐른다.
이때, 피스톤(5)이 이동한 만큼의 오일액이 리저버(4)로부터 베이스 밸브(10)의 체크 밸브(17)를 개방하면서 실린더 하부실(2B)로 유입된다. 또한, 실린더 상부실(2A)의 압력이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14)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4)가 개방되어, 실린더 상부실(2A)의 압력을 실린더 하부실(2B) 로 릴리프함으로써, 실린더 상부실(2A)의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한다.
피스톤 로드(6)의 수축 행정 시에는, 실린더(2)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체크 밸브(13)가 개방되고, 베이스 밸브(10)의 오일 통로(15)의 체크 밸브(17)가 폐쇄되며,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전에는, 실린더 하부실(2B)의 오일액이 실린더 상부실(2A)로 유입되고, 피스톤 로드(6)가 실린더(2) 내에 침입한 만큼의 오일액이 실린더 상부실(2A)로부터, 상기 신장 행정 시와 동일한 경로를 지나 리저버(4)에 흐른다. 또한, 실린더 하부실(2B) 내의 압력이 베이스 밸브(10)의 디스크 밸브(18)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디스크 밸브(18)가 개방되어, 실린더 하부실(2B)의 압력을 리저버(4)로 릴리프함으로써, 실린더 하부실(2B)의 과도한 압력의 상승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6)의 신축 행정 시 모두,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 있어서는, 고정 오리피스(47) 및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하고,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 후(피스톤 속도 고속 영역)에 있어서는, 그 개방도에 따라서 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코일(35)로의 통전 전류에 의해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속도에 관계 없이,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배압실(53)의 내압이 조정되기 때문에, 메인 밸브(27)의 밸브 개방 압력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제어 밸브(28)에서는, 밸브 스프링(57)의 스프링 강성이 플런저 스프링(36)의 스프링 강성보다도 높게 설정되고, 또한, 밸브체(56)의 질량이 플런저(34)의 질량보다도 충분히 작으며, 밸브체(56)의 고유 진동수가 충분히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34)의 관성에 의한 응답 지연이 발생하기 어렵고, 오버슈트를 방지하여 적절한 감쇠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포트(40)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에는, 밸브 스프링(57)이 휘어져 경량의 밸브체(56)만이 후퇴하고, 밸브 개방 후, 플런저(34)가 추종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지연에 의해 배압실(53)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일이 없으며, 안정된 감쇠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56)의 고유 진동수가 충분히 높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려 진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 및 감쇠력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제어 밸브(28)에서는, 밸브체(56)의 두부(58)에 환형 시트부(61)를 형성함으로써, 밸브 개방 시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소프트측의 감쇠력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5991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 제어 밸브로서 니들 밸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밸브 개방 시에 큰 유로 면적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측의 감쇠력을 충분히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압력 제어 밸브(28)에서는, 밸브 개방 시에, 포트(40)로부터 가이드 보어(33) 내로 유출되는 고속의 오일액의 흐름에 의해, 밸브체(56)에 밸브 폐쇄 방향의 유체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 유체력에 의해, 밸브체(56)의 밸브 개방 압력이 상승하여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커지거나, 또한, 유체력이 피스톤 속도 및 밸브체(56)의 개방도에 따라 변동함으로써,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한 감쇠력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고, 또한, 밸브체(56)가 진동하여 채터링이 발생한다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28728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 제어 밸브로서 디스크 밸브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러한 유체력의 영향이 문제가 된다.
이에 비하여, 환형 시트부(61)의 내주부 가까이에 오목부(80)를 형성함으로써, 유체력이 작용하는 시트부(61)의 선단부의 수압(受壓) 면적(A)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고, 유체력의 영향을 경감하여, 소프트측의 감쇠력을 충분히 작게 하며, 또한,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한 감쇠력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환형 시트부(61)의 내주부 가까이에 오목부(8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환형 시트부(61)로부터 오목부(80)의 바닥면을 향해서 예컨대 완만한 테이퍼부여도 디스크 밸브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채터링 등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의 감쇠력 특성을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소프트로부터 하드의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R)는, 종래의 것의 조정 범위(r)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메인 밸브(27) 및 압력 제어 밸브(28)가 일체화된 밸브 유닛(30)을 실린더(2) 측부의 케이스(26) 내에 배치하고, 환형 오일 통로(21)와 리저버(4) 사이의 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밸브 유닛(30)을 피스톤(5) 또는 베이스 밸브(10)에 배치하고, 적절하게 그 오일 통로의 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주요부인 감쇠력 발생 기구(25)의 압력 제어 밸브(28)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제어 밸브(28)를 형성하는 포트(40), 밸브체(56)의 두부(58), 축부(59) 및 시트부(61)의 직경이 각각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것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56)에는, 그 축 방향을 따라서 밸브체 연통로(70)가 관통되어 있다. 플런저(34)의 가이드 구멍(62)의 후단부에는, 관형 가이드 핀(71)이 압입, 고정되어 플런저(34)의 후방부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 핀(71)에는, 그 축 방향을 따라서 연통로(72)가 관통되어 있다. 코어(37)에는, 가이드 핀(71)에 대향하여 가이드 구멍(73)이 형성되고, 가이드 핀(71)이 가이드 구멍(7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액밀식으로 삽입되며, 가이드 구멍(73) 내에 밸브체 배압실(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폐쇄 시에, 즉 밸브체(56)의 시트부(61)가 시트면(60)에 착좌한 상태에서, 밸브체 배압실(74)은, 가이드 핀(71)의 연통로(72), 플런저(34)의 가이드 구멍(62) 및 밸브체(56)의 밸브체 연통로(70)를 통해 포트(40)에 연통된다. 따라서, 포트(40)에 대한 밸브체(56)의 수압 면적은, 시트부(61)의 내측의 면적으로부터 축부(59)의 단면적을 뺀 면적이 된다.
이에 따라, 밸브체(56)는, 시트부(61)의 직경 뿐만 아니라, 축부(59)의 직경 에 의해 포트(40)에 대한 수압 면적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특성의 설정의 자유도, 나아가서는 감쇠력 발생 기구(25)의 감쇠력 특성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포트(40)의 직경을 크게 하여, 밸브체(56)의 밸브 개방 시의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충분히 작아지도록 설정한 경우라도, 축부(59)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밸브체(56)의 수압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플런저(34)의 추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압력을 높여 하드측의 감쇠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체(58)는, 시트부(61)의 내주부의 오목부(80)의 측벽(80A)을 시트면(6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하고, 외주측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며, 포트(40)로부터 가이드 보어(33) 내로 유출되는 오일액의 흐름에 의한 유체력에 대하여, 시트부(61)의 선단부의 수압 면적(A)을 충분히 작게 하여, 유체력이 작용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력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경감하여, 소프트측의 감쇠력을 충분히 작게 하고, 또한, 압력 제어 밸브(28)에 의한 감쇠력 제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핀(71)이 플런저(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코어(37)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며 가이드 구멍(73)을 갖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75)가 코어(37)(솔레노이드의 케이스)에 형성된 부착 구멍(76)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5)는, 그 바닥부를 부착 구멍(76)의 바닥부에 접촉시켜 축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부재(75)는, 배압실 형성 부재로서, 플런저(34)의 외부에 밸브체 배압실(74)을 형성하고, 부착 구멍(76)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약간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핀(71)과 가이드 구멍(73)의 동심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75)를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와 조합해도 좋다.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가이드 핀(71)이 생략되고, 밸브체의 축부(59)가 연장되며, 그 연장부(59A)가 플런저(34)의 후방부로부터 돌출하여 가이드 구멍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액밀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59)의 연장부(59A)에 의해 가이드 구멍(73) 내에 밸브체 배압실(7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포트(40)와 밸브체 배압실(74)이 밸브체 연통로(70)에 의해 직접 연통되기 때문에, 미끄럼 이동부로부터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56)의 두부와 축부를 별개의 부재로 하여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축부(59)로서 파이프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 도 7에 도시된 가이드 부재(75)를 조합해도 좋다.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연통로(72)를 갖는 가이드 핀(71) 대신에, 중실(solid)의 가이드 핀(77)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 드 핀(77)은, 코어(37)의 가이드 구멍(73)에 압입, 고정되어 있고, 플런저(34)의 가이드 구멍(62)에는,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액밀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밸브체 배압실(74)은 플런저(34)의 가이드 구멍(62) 내에 형성되고, 밸브체 연통로(70)에 의해 포트(40)에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핀(77)에,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핀(77)의 연통 구멍(72)과 같이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밸브체 배압실(74)을 코어(37)의 가이드 구멍(73)에 연통시킴으로써, 밸브체 배압실(74)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핀(77)은, 가이드 구멍(73)에 압입되지 않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7)에 형성한 부착 구멍(76)에 삽입되어, 그 바닥부를 부착 구멍(76)의 바닥부에 접촉시켜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가이드 핀(77)과 코어(37)측의 동심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완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 14는 설명의 편의상, 릴리프 밸브(84), 밸브체(87), 로드(88), 플런저(34) 등을 솔레노이드에 비통전 시의 상태인 도면의 상측과, 통전 시의 밸브체(87)가 시트면(60)에 착좌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의 하측으로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통로 보어(39) 및 통로 보어(39) 내에 삽입된 통로 부재(43)의 원통부(43A)가 대직경화되어 있다. 원통부(43A)에, 대직경부(81A) 및 소직경부(81B)를 갖는 단차를 갖는 원통형 포트 부 재(81)의 대직경부(81B)가 삽입되어 있다. 포트 부재(81)에는, 포트(40) 및 시트면(60)이 형성되고, 통로 부재(43)의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오일 통로(86) 및 고정 오리피스(47)에 연통되는 통로(43B)에 소직경부(81B)가 삽입되어, 포트(40)가 직경 방향의 제2 오일 통로(86) 및 고정 오리피스(47)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통로 보어(39) 및 원통부(43A) 내의 포트(40)의 하류측에 밸브실(83)이 형성되고, 밸브실(83)은,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제1 오일 통로(66)를 통해 실(48)에 연통되어 있다. 포트 부재(81)와 통로 부재(43) 사이에 릴리프 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포트 부재(81)에 형성된 오일 통로(85), 릴리프 밸브(84), 및 원통부(43A)에 형성된 제2 오일 통로(86)를 통해, 밸브실(83)과 실(48)이 연통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84)는, 밸브실(83)의 압력이 소정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했을 때, 밸브를 개방하여, 그 압력을 실(48)측으로 릴리프하는 것이다. 코일(35)로의 통전이 있고, 또한 밸브체(87)의 시트부(61)가 시트면(60)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밸브체(87)는, 시트면(60)과 단차부(96) 모두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에는, 솔레노이드 케이스(32)의 제1 오일 통로(100)를 통해 주로 실(48)에 연통된다. 릴리프 밸브(84)가 있기 때문에, 제2 오일 통로(86)와는 거의 연통되지 않는다. 한편, 코일(35)로의 통전이 없을 때에는, 시트 부재(93)가 단차부(96)에 접촉하여 제1 오일 통로(100)를 폐쇄하고, 제2 오일 통로(86)만 실(48)과 연통된다.
밸브실(83) 내에, 소직경부(87A) 및 대직경부(87B)를 갖는 대략 볼록 형상의 밸브체(87)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87)에는, 플런저(34)에 부착된 중공의 로드(88)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87)의 소직경부(87A)의 선단부에는, 포 트 부재(81)의 시트면(60)에 대하여 분리되거나 착좌되는 환형 시트부(61)가 돌출되어 있고, 포트(40) 및 밸브체(87)에 의해 압력 제어 밸브(28)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부(61)의 내주부 가까이에 오목부(80)가 형성되고, 시트부(61)의 외주측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체력의 영향을 경감하여, 소프트측의 감쇠력을 충분히 작게 하고, 또한, 안정된 감쇠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밸브체(87)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89)가 형성되고, 개구(89)에 로드(88)의 선단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액밀식으로 삽입되어 있다. 밸브체(87)의 대직경부(87B)의 단부면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환형 접촉부(90)가 돌출되어 있다.
로드(88)는, 플런저(34)를 관통하여 플런저(34)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88)의 후단부는, 플런저(34)의 후단부를 안내하며 바닥이 있는 원통형 가이드 부재(91)의 바닥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7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액밀식으로 삽입되며, 가이드 구멍(73) 내에 밸브체 배압실(74)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배압실(74)은, 중공의 로드(88) 내의 연통로(88A)를 통해, 밸브체(87)의 오목부(80) 내에 연통되어 있다.
로드(88)의 선단측에 형성된 단차부에 스냅 링(92)이 고정되어 있고, 스냅 링(92)과 밸브체(87)의 접촉부(90) 사이에 환형 시트 부재(93) 및 밸브 스프링(94)(판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시트 부재(93) 및 밸브 스프링(94)은, 외주부가 접촉부(90)에 접촉하고, 내주부가 스냅 링(92)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코일(35)로의 통전에 의해, 플런저(34)에 추력이 발생하여, 도 14 중의 하측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플런저(34)의 추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9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체(87)를 가압해서 시트부(61)를 시트면(60)에 밀어붙인다. 이때, 밸브체(87)는, 밸브 스프링(94)을 통해 로드(88)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포트 부재(81)와 밸브체(87) 사이에는, 메인 스프링으로서의 복귀 스프링(95)(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통로 보어(39)의 바닥부측에는, 밸브체(87)의 접촉부(90)에 대향하는 부위에 단차부(9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35)에의 비통전시에는, 도 14 중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95)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87)가 후퇴하고, 시트 부재(93)가 단차부(96)에 접촉하여 오일 통로(66)를 폐쇄하며, 밸브실(83), 실(48) 사이가 시트부(93)의 오리피스(97)에 의해 연통한다. 밸브 스프링(94)의 스프링 강성은, 복귀 스프링(95)의 스프링 강성보다도 크고, 또한, 밸브체(87)의 질량은, 플런저(34)에 비하여 충분히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압력 제어 밸브(28)는, 코일(35)에 통전함으로써, 도 14 중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34)의 추력에 의해 복귀 스프링(9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밸브체(87)를 가압해서 시트부(61)를 시트면(60)에 밀어붙여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트(40)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에는, 밸브 스프링(94)이 휘어져 경량의 밸브체(87)만이 후퇴하고, 밸브 개방 후, 플런저(34)가 추종하여 후퇴하기 때문에 플런저(34)의 관성에 의한 응답 지연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오버슈트를 방지하여 적절한 감쇠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지연에 의한 배압실(53)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여, 안정된 감쇠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87)의 자려 진동에 의한 이음의 발생 및 감쇠력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폐쇄 시, 즉 밸브체(87)의 시트부(61)가 시트면(60)에 착좌한 상태에서, 밸브체 배압실(74)은, 로드(88)의 연통로(88A)를 통해 포트(40)에 연통되기 때문에, 포트(40)에 대한 밸브체(87)의 수압 면적은, 시트(61)의 내측의 면적으로부터 로드(88)의 단면적을 뺀 면적이 된다. 이에 따라, 밸브체(87)는, 시트부(61)의 직경 뿐만 아니라, 로드(88)의 직경에 의해 포트(40)에 대한 수압 면적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제어 밸브(28)의 밸브 개방 특성의 설정의 자유도, 나아가서는 감쇠력 발생 기구(25)의 감쇠력 특성의 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컨트롤러의 고장, 코일(35)의 단선 등의 장애의 발생에 의해, 플런저(34)의 추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도 14 중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95)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87)가 후퇴하고, 시트 부재(93)가 통로 보어(39)의 단차부(96)에 접촉하여 제1 오일 통로(100)를 폐쇄하며, 밸브실(83), 실(48) 사이가 오리피스(97)에 의해 연통된다. 그리고, 피스톤 속도의 상승 등에 의해 밸브실(83)의 압력이 상승하여 릴리프 밸브(84)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릴리프 밸브(84)가 개방되어 그 압력을 실(48)로 릴리프한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97)의 유로 면적 및 릴리프 밸브(84)의 릴리프 압력에 따라서 감쇠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배압실(53)의 압력, 즉 디스크 밸브(51)의 밸브 개방 압력이 조정되기 때문에, 이들의 유로 면적 및 릴리프 압력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장애 시에도 적절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한 결과, 하드 시의 감쇠력이 상당히 커지는 경우라도, 장애 시에는, 하드 특성이 아니라, 오리피스(97) 및 릴리프 밸브(84)에 의해 적절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장애 시에는 하드와 소프트 사이의 미디엄 특성으로 함으로써, 차체에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쇠력 발생 기구의 압력 제어 밸브의 밸브 스프링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쇠력 발생 기구의 압력 제어 밸브의 밸브 스프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압력 제어 밸브의 시트면 및 시트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의 감쇠력 발생 기구의 압력 제어 밸브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실린더 5: 피스톤
6: 피스톤 로드 28: 압력 제어 밸브
34: 플런저 36: 플런저 스프링(메인 스프링)
56: 밸브체 57: 밸브 스프링

Claims (10)

  1.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피스톤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압력 제어 밸브를 구비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축 방향 일측으로 압박하여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하는 플런저와, 상기 밸브체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개재된 밸브 스프링과, 상기 플런저 또는 상기 밸브체를 축 방향 타측으로 압박하는 메인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보다도 질량이 작고, 상기 밸브 스프링은 상기 메인 스프링보다도 스프링 강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플런저에, 그 축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유로를 개폐하는 환형 시트부를 가지며, 이 시트부의 내주부 가까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와, 이 메인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으로 내압(內壓)을 작용시키는 배압실을 가지며, 상기 유체의 흐름의 일부를 상기 배압실에 도입하고, 상기 압력 제어 밸브에 의해 상기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메인 밸브의 밸브 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밸브와, 이 메인 밸브에 밸브 폐쇄 방향으로 내압을 작용시키는 배압실과, 상기 메인 밸브의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배압실측으로 유체를 도입하는 고정 오리피스를 가지며, 상기 배압실측으로부터 상기 메인 밸브의 하류측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상기 압력 제어 밸브에 의해 제어하여 상기 배압실의 내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상기 밸브체의 배면측에 형성된 밸 브체 배압실과, 상기 밸브체의 상류측과 상기 밸브체 배압실을 연통시키는 밸브체 연통로와, 상기 플런저의 추력을 조정하여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체는, 상류측에 대한 수압 면적보다도 상기 밸브체 배압실에 대한 수압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프링은 상기 밸브체의 밸브 개방 방향의 압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장애(fail) 시에 상기 메인 스프링의 압박에 의해 상기 밸브체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류측으로의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오리피스를 통해 유체를 하류측으로 제2 유로를 통해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제어 밸브는, 상기 실린더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0090025467A 2008-03-31 2009-03-25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1568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3351 2008-03-31
JP2008093351A JP5120629B2 (ja) 2008-03-31 2008-03-31 減衰力調整式緩衝器及びこれを用いた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JP-P-2008-116213 2008-04-25
JP2008116213 2008-04-25
JPJP-P-2009-040780 2009-02-24
JP2009040780A JP5463684B2 (ja) 2008-04-25 2009-02-24 減衰力調整式緩衝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0A true KR20090104680A (ko) 2009-10-06
KR101568042B1 KR101568042B1 (ko) 2015-11-10

Family

ID=4111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467A KR101568042B1 (ko) 2008-03-31 2009-03-25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94400B2 (ko)
KR (1) KR101568042B1 (ko)
DE (1) DE1020090155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578B1 (ko) * 2013-08-05 2014-11-24 주식회사 인팩 쇽업쇼버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KR20150121086A (ko)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감쇠 밸브
KR20150121087A (ko)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감쇠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039B1 (ko) * 2008-02-13 2012-09-28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 댐퍼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및 그것의조립방법
JP5321822B2 (ja) * 2009-05-28 2013-10-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及びスタビライザ装置
JP5387841B2 (ja) * 2009-09-30 2014-01-1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11099143A1 (ja) * 2010-02-12 2011-08-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5386951B (zh) * 2010-06-16 2021-11-16 动态清晰公司 整合式能量产生阻尼器
KR101942111B1 (ko) 2011-01-31 2019-01-24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서스펜션 제어 장치
JP5732126B2 (ja) 2011-03-02 2015-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減衰力可変ダンパ
JP5812650B2 (ja) 2011-03-31 2015-11-1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5924979B2 (ja) 2011-05-31 2016-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5789131B2 (ja) * 2011-05-31 2015-10-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およ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12012005490T5 (de) * 2011-12-27 2014-09-0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toßdämpfer und Verfahren zur Stoßdämpferherstellung
DE102012112729B4 (de) 2012-12-20 2015-12-17 Wp Performance Systems Gmbh Dämpfungsventilanordnung für einen semiaktiven Schwingungsdämpfer
JP6130684B2 (ja) * 2013-02-15 2017-05-17 Kyb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JP6093587B2 (ja) * 2013-02-15 2017-03-08 Kyb株式会社 ソレノイドバルブ
US9855814B2 (en) * 2013-04-23 2018-01-02 ClearMotion, Inc. Active suspension with structural actuator
JP5843842B2 (ja) * 2013-05-30 2016-01-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14194253A1 (en) 2013-05-31 2014-12-04 Skinz Protective Gear Remotely adjustable suspension coupling
US9428028B2 (en) 2013-05-31 2016-08-30 Skinz Protective Gear Remotely adjustable degrees of freedom for suspension coupling
JP6114667B2 (ja) * 2013-09-17 2017-04-12 Kyb株式会社 減衰弁
JP6351336B2 (ja) * 2014-03-31 2018-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DE102014208367B4 (de) * 2014-05-05 2022-10-27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einricht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6363414B2 (ja) * 2014-07-11 2018-07-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324254B2 (ja) 2014-07-31 2018-05-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付き車両
JP2016050613A (ja) * 2014-08-29 2016-04-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351443B2 (ja) * 2014-08-29 2018-07-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JP6465983B2 (ja) * 2015-08-31 2019-02-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BE1023718B1 (nl) * 2016-01-01 2017-06-26 Shi Yan Schokdemper met frequentie afhankelijk zuigersamenstel
US11007834B2 (en) 2016-12-15 2021-05-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Baffle tube for damper with electromechanical valve
US10987988B2 (en) * 2017-06-28 2021-04-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volume reducing insert
JP6868111B2 (ja) 2017-09-05 2021-05-12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JP7104530B2 (ja) * 2018-03-13 2022-07-21 Kyb株式会社 ソレノイド、電磁弁、及び緩衝器
EP3767126A4 (en) * 2018-03-13 2021-12-22 KYB Corporation VALVE DEVICE AND BUFFER
DE102018206840A1 (de) * 2018-05-03 2019-11-07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m Dämpfventil
JP6719035B2 (ja) * 2018-06-13 2020-07-08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US11143260B2 (en) 2018-12-28 2021-10-1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ngle external control valve
US11156261B2 (en) 2018-12-28 2021-10-2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multiple external control valves
DE112020002656T5 (de) * 2019-06-05 2022-03-10 Hitachi Astemo, Ltd. Stoßdämpfer mit einstellbarer Dämpfungskraft
US11118649B2 (en) * 2019-07-01 2021-09-14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side collector and external control valves
US11635122B2 (en) 2019-07-18 2023-04-2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Intake device for a damper having a side collector
US11248677B2 (en) 2019-07-18 2022-02-15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Pre-assembled piston accumulator insert device
DE102020134820A1 (de) * 2020-12-23 2022-06-23 Ktm Ag Ventilanordnung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DE102021202418A1 (de) 2021-03-12 2022-09-15 Thyssenkrupp Ag Mehrrohr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für ein Fahrzeug
CN114688196A (zh) * 2022-02-25 2022-07-01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推杆流通孔式减振器
KR20230135723A (ko) * 2022-03-16 2023-09-26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321B2 (ja) 1994-03-18 2003-07-28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586627A (en) 1993-05-20 1996-12-24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of damping force adjustable type
JPH09151980A (ja) 1995-11-27 1997-06-10 Oehlins Racing Ab 油圧緩衝器
ATE374248T1 (de) 1996-06-27 2007-10-15 Vlaams Interuniv Inst Biotech Antikörpermoleküle, die spezifisch mit dem aktiven zentrum oder dem aktiven spalt eines zielmoleküls interagieren
JP3887760B2 (ja) 1996-08-09 2007-0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048512B2 (ja) 1998-03-31 2008-0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147502B2 (ja) * 1998-06-26 200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161151B2 (ja) 1999-06-30 2008-10-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978707B2 (ja) * 2001-11-29 2007-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096153B2 (ja) 2001-12-28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491270B2 (ja) 2004-04-26 2010-06-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JP2008093351A (ja) 2006-10-16 2008-04-24 Glory Ltd 景品管理装置及び景品管理方法
JP2008116213A (ja) 2006-10-31 2008-05-22 Sunx Ltd 漏液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1086A (ko)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감쇠 밸브
KR20150121087A (ko) * 2013-03-13 2015-10-28 카야바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감쇠 밸브
KR101464578B1 (ko) * 2013-08-05 2014-11-24 주식회사 인팩 쇽업쇼버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42339A1 (en) 2009-10-01
DE102009015584A1 (de) 2009-11-19
US8794400B2 (en) 2014-08-05
KR101568042B1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4680A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5463684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5648790B2 (ja) 緩衝器
KR102588959B1 (ko) 완충기
KR101769148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1756471B1 (ko) 완충기
JP5843842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108912B2 (ja) 緩衝器
JP5418778B2 (ja) 緩衝器
CN110475985B (zh) 缓冲器
KR20080094538A (ko) 유체압 완충기
JP2009281584A5 (ko)
KR102589604B1 (ko) 완충기 및 완충기의 조립 방법
CN111051730B (zh) 缓冲器
JP2016050613A (ja) 緩衝器
JP6351443B2 (ja) 緩衝器
JP2007100726A (ja) 油圧緩衝器
JP2011007322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100367683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JP4453000B2 (ja) 油圧緩衝器
CN102979846B (zh) 衰减力调节式缓冲器
JP567834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12002336A (ja) 緩衝器
KR102627961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2013113425A (ja) 流体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