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7037A -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 - Google Patents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7037A
KR20090067037A KR1020080117383A KR20080117383A KR20090067037A KR 20090067037 A KR20090067037 A KR 20090067037A KR 1020080117383 A KR1020080117383 A KR 1020080117383A KR 20080117383 A KR20080117383 A KR 20080117383A KR 20090067037 A KR20090067037 A KR 2009006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roller
take
draw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슈아우트
디트마르 트렌클
Original Assignee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6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4Devices for cutt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Abstract

개방된 직물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는 니들 실린더(1), 프레임(6) 및 가요성 샤프트(21)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6)은 니들 실린더(1)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내에서 하나 이상의 드로-오프 롤러(4)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5) 및 직물 튜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블레이드(19)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수단(36-43)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요성 샤프트(21)는 편직 속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서 블레이드(19)가 회전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드라이브 휠(38)과 블레이드(19)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샤프트(21)의 드라이브 휠(38)은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4, 5)용 드라이브 수단(36-43)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도 2 참조).
환편기, 드로-오프 롤러, 테이크-업 롤러, 니들 실린더, 드라이브 요소, 가요성 샤프트, 벨트 드라이브, 회전식 블레이드

Description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ROTATABLE BLADE FOR CUTTING A FABRIC TUB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특징지어진 유형의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상기 유형의 환편기(DE-Gbm 74 24 526)는 회전식 블레이드가 제공되며, 2개의 스티치 선들 또는 소위 가변 지점(가변 영역)으로 알려진 영역들 사이에서, 환편기에 의해 제조된 직물 튜브를 풀기 위하여(절단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이 내부에서 직물 튜브를 형성하는 실(thread)들은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함이 아니라 단지 플로트 스티치(float stitch)를 형성하기 위하여 처리된다. 다양한 유형의 머신들 내에서 블레이드가 단순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직물 튜브에 대한 머신 위치에 대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는 가요성 샤프트의 한 단부에 연결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는 니들 실린더가 회전될 때 고정식 캐리어 링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드라이브 휠이 제공된다. 이런 방 식으로, 가요성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블레이드는 니들 실린더가 회전될 때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공지된 환편기에서,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은 마찰 휠(friction wheel) 또는 톱니형 휠(toothed wheel)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휠로서의 구성은 블레이드용 회전속도가 슬리핑(slipping) 또는 마모로 인해 가변적이 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직물 튜브가 플로트 스티치의 영역 내에서 절단되어야 하는 한, 상기 사항은 중요한 문제점이 아니다. 반면에, 종래적인 스티치 형태가 있는 영역들을 따라 직물 튜브가 절단되어야 하면, 깨끗하지 못하거나 또는 부정확한 절단 가장자리(cutting edge)들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는 직물 튜브를 드로잉-다운 속도(speed of drawing-down)에 상응하는 속도보다 더 낮다. 이는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된 단일층의 직물을 직물 튜브 폭의 2배로 만들 수 있도록, 절단된 직물 튜브를 개방하고 펼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를 가진 환편기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예를 들어 EP 0 456 576 B1, PCT WO 00/50678, DE 101 20 736 C1호 참조). 반면에,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이 톱니형 휠로서 형성되면, 블레이드가 사전-선택된 회전속도로 항상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고정식 캐리어 링은 원형의 톱니형 링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당한 경비가 소요된다. 더욱이, 이 두 경우 모두, 드라이브 휠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우며 직물 튜브가 제조되는 속도의 함수로서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드라이브 휠을 교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마지막 유형의 환편기에서, 종래적으로, 블레이드는 독립적인 모터로 구동되어 왔으며, 이 독립 모터는 실질적으로 머신 프레임 내의 접근 불가능한 위치에 배열되지만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이한 회전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모터들은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며 블레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보다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에 비해, 가요성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은 이점들을 가질 것이다.
공지된 환편기에서,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은 마찰 휠(friction wheel) 또는 톱니형 휠(toothed wheel)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마찰 휠로서의 구성은 블레이드용 회전속도가 슬리핑(slipping) 또는 마모로 인해 가변적이 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직물 튜브가 플로트 스티치의 영역 내에서 절단되어야 하는 한, 상기 사항은 중요한 문제점이 아니다. 반면에, 종래적인 스티치 형태가 있는 영역들을 따라 직물 튜브가 절단되어야 하면, 깨끗하지 못하거나 또는 부정확한 절단 가장자리(cutting edge)들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는 직물 튜브를 드로잉-다운 속도(speed of drawing-down)에 상응하는 속도보다 더 낮다. 이는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된 단일층의 직물을 직물 튜브 폭의 2배로 만들 수 있도록, 절단된 직물 튜브를 개방하고 펼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를 가진 환편기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예를 들어 EP 0 456 576 B1, PCT WO 00/50678, DE 101 20 736 C1호 참조). 반면에,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이 톱니형 휠로서 형성되면, 블레이드가 사전-선택된 회전속도로 항상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고정식 캐리어 링은 원형의 톱니형 링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당한 경비가 소요된다. 더욱이, 이 두 경우 모두, 드라이브 휠에 접근하는 것이 어려우며 직물 튜브가 제조되는 속도의 함수로서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드라이브 휠을 교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마지막 유형의 환편기에서, 종래적으로, 블레이드는 독립적인 모터로 구동되어 왔으며, 이 독립 모터는 실질적으로 머신 프레임 내의 접근 불가능한 위치에 배열되지만 전기적 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상이한 회전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모터들은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며 블레이드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보다 어렵게 될 수 있다. 이에 비해, 가요성 샤프트를 사용하는 것은 이점들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문제점은 가요성 샤프트가 일정하며 사전-선택된 회전속도로 구동되고 이 회전속도는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톱니형 링들이 제공된 캐리어 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들이 필요 없도록 위에서 기술된 유형의 환편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 문제점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로 해결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이 적절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수단에 연결되며 이 드라이브 수단은 니들 실린더 하부에 이미 배열되어 있고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들을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는 환편기의 머신 프레임에 부착된 캐리어 링들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며 이 캐리어 링들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에 대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전체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단순화된다. 게다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시에 용이하게 교체 될 수 있다. 부가적인 블레이드용 드라이브들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들은 종속항들에서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이 적절한 위치에서 드라이브 수단에 연결되며 이 드라이브 수단은 니들 실린더 하부에 이미 배열되어 있고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들을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는 환편기의 머신 프레임에 부착된 캐리어 링들을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며 이 캐리어 링들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에 대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이렇게 하여, 전체적인 구성은 실질적으로 단순화된다. 게다가, 가요성 샤프트의 드라이브 휠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시에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부가적인 블레이드용 드라이브들은 필요하지 않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의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하는데, 이 환편기는 실질적으로 DE 101 20 736 C1호와 DE 101 23 089 C1호에 도시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당업자를 위한 추가적인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니들 실린더(needle cylinder, 1)는 머신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머신 축(2)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데, 이 니들 실린더는 바닥 상에서 지지되고(supported on feet) 머신 프레임 내에 배열된 드라이브(drive)에 연결된다. 머신 프레임은 하부의 고정식 캐리어 링(carrier ring)과 함께 머신 프레임의 기저부에 가까이 제공되며, 이 고정식 캐리어 링은 도 3을 참조하여 하기 기술되고, 이 캐리어 링 상에서,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3으로 표시된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draw-off and/or take-up means)이 머신 축(2)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3)은 환편기에 의해 제조된 직물 튜브(fabric tube)를 니들 실린더(1)로부터 풀기 위하여(pull off) 및/또는 상기 직물 튜브를 감기 위하여(wind on) 제공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직물 튜브를 오직 풀기 위하여, 오직 감기 위하여 및/또는 상기 직물 튜브를 풀고 그리고 감기 위하여,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이 오직 하나 이상의 드로-오프 롤러(draw-off roller, 4)만 포함하는 지 또는 오직 테이크-업 롤러(take-up roller, 5)만 포함하는 지 혹은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지는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드로-오프 롤러(4)와 1개의 테이크-업 롤러(5)가 예시된다.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3)은 프레임(frame, 6)과 암(arm, 11)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이 프레임은 하부 캐리어 링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2개의 측벽(9, 10)으로부터 형성되며, 이 2개의 측벽들은 로드(rod, 7)들과 베이스(8)에 의해 연결되고 서로 멀리 떨어져서 배열되며, 상기 암은 로드(7)에 대해 수직으로 배열된다. 2개의 드로-오프 롤러(4)들과 테이크- 업 롤러(5)는 측벽(9, 10)들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롤러들의 단부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암(11)은 상기 암의 상측 부분에서 지지판(support plate, 12)이 제공되며, 각각의 2개의 연결 로드(14)의 단부는 상기 지지판에 체결되고, 상기 2개의 연결 로드는 서로 평행하며 2개의 롤러(4, 5)들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연결 로드(14)들의 맞은편 단부들은 추가적인 지지판(15)에 연결된다. 2개의 지지판(12, 15)들과 연결 로드(14)들은 2개의 가이드 로드(guide rod, 16)용 지지뼈대(support framework)를 형성하고, 이 2개의 가이드 로드들은 연결 로드(14)들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며 지지판(12, 15)들 상에 고정되도록 또는 지지판들에서 연결 로드들의 단부들에 의해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길이는 2-층 구조로(in two-layer state) 니들 실린더(1)로부터 풀린 직물 튜브의 폭보다 다소 더 길다. 게다가, 관절식 로드(16)들 하부에 배열되며 연결 로드(14)들에 평행하게 배열된 캐리어 로드(carrier rod, 17)는 위에서 기술된 지지뼈대의 지지판(15)에 체결되며, 상기 캐리어 로드는 맞은편 지지판(12)의 근처로 연장되고 2개의 로드 또는 롤러(18)의 자유단부에 장착되는데, 이 2개의 로드 또는 롤러는 V자 형태로 배열되고 캐리어 로드(17)에 고정되도록 또는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게다가, 예를 들어 롤러 블레이드로서 구성된 회전식 블레이드(19)는 가이드 로드(16)들 사이의 그리고 가이드 로드들 바로 위의 지지판(15)에 근접한 지점에서 프레임(6)에 배열되고, 필요시에 조정할 수 있도록 그리고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20) 상에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20)는 예를 들어 연결 로드(14)들 중 한 연결 로드 위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이동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도 1과 도 2에 따르 면, 블레이드(19)는 샤프트(21)의 한 단부에 고정되도록 연결되며 이 샤프트는 상기 블레이드(19)가 회전운동 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블레이드(19)는 일반적으로 직물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풀림 방향(draw-off direction)에 대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서는, 편직된 직물(knitted fabric)이 블레이드(19)에 걸리고(hooked) 블레이드와 함께 감기는(pull along)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니들 실린더(1)는 드라이브에 대해 이동 수단(entrainment means, 22)에 의해 프레임(6)에,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의 측벽(9, 10)들에 연결된다고 언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1)의 회전으로 인해 머신 축(2) 주위로 니들 실린더(1)와 함께 전체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3)이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위에서 기술된 공지된 환편기(DE 101 20 736 C1호, DE 101 23 089 C1호)의 작동에서, 회전하는 니들 실린더(1)로부터 나온 직물 튜브는 우선 2개의 평행한 층들 내로 접혀지고 2개의 가이드 로드(16)들을 통해 당겨지며(drawn), 그 뒤 상기 직물 튜브는 회전식 블레이드(19)에 의해 스티치 선(stitch wale)들에 평행한 선을 따라 개방된다. 그 바로 뒤에, 직물 튜브의 개방된 부분은 V자 형태로 배열된 롤러(18)들의 영역에 도달하는데, 이 영역에 의해 상기 부분은, 롤러(18)들의 자유단부들에 도달하는 데 따라, 실질적으로 평면인 단일층의 웹(web)을 형성할 때까지 점차적으로 펼쳐지며(spread out), 이 웹의 폭은 가이드 로드(16)에 의해 고정된 2-층 부분의 폭보다 2배 더 넓다. 그 후에, 단일층의 직물 웹은 구동된 드로-오프 롤러(4)의 영역에 도달하며, 이 드로-오프 롤러는 환편기에 의해 사전-지정된 제조 속도로 직물 튜브를 풀게 되고, 그 뒤, 구동된 테이프-업 롤러(5)에 의 해 감기게 된다. 게다가, 이 작동 모드는, 니들 실린더(1) 그리고 이와 함께 전체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3), 또는 니들 실린더(1)를 둘러싸고 편직 니들(knitting needle)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작용하는 캠 박스 링(cam box ring) 그리고 이에 결합된(associated) 구성요소들이 머신 축(2) 주위로 회전되는지 혹은 니들 실린더(1)와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3)이 정지되어 유지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머신 프레임의 기저부 상에 배열되고 도 3에는 단지 도식적으로 도시되며 고정식 베벨 휠(25)이 체결된 고정식 캐리어 링(24)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도록 제공된다. 캐리어 링(24)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프레임(6)에서, 도 1에서도 도시되고 베벨 피니언(27)이 체결된 드라이브 샤프트(26)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베벨 피니언은 베벨 휠(25)과 연결된다. 프레임(6)이 머신 축(2) 주위로 회전할 때, 베벨 피니언(27)은 베벨 휠(25) 상에서 구르게 되며(roll) 이에 따라 드라이브 샤프트(26)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 자체의 축 주위로 회전되고 이에 추가하여 사전-선택된 회전속도로 원운동(circular motion)할 수 있다. 필요시에, 프레임(6)의 원운동속도에 대해 드라이브 샤프트(26)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벨 휠(25)과 베벨 피니언(27) 사이에 트랜스미션 특히 조절식 트랜스미션(adjustable transmission)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과 도 4에 따르면, 테이크-업 롤러(5)의 한 단부와 드라이브 샤프트(26)의 한 단부는 측벽(9) 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중 한 단부는 휠(28)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그 외의 다른 단부는 휠(29)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두 휠(28, 29) 모두 측벽(9)의 외측 상에 배열된다. 이 두 휠(28, 29)들은 상기 휠(28, 29)들의 원주 상에 배열된 무한 드라이브 요소(endless drive element)에 의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한 드라이브 요소(30)가 휠(28)과 중간 휠(31)의 원주 상에 배열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중간 휠은 측벽(9)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중간 휠과 동축인 휠(32), 가이드 휠(33) 및 추가적인 무한 드라이브 요소(34)에 의해 테이크-업 롤러(5)의 휠(29)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휠(28, 29, 31, 32, 33)은 벨트 풀리이며 드라이브 요소(30, 34)들은 그 위에 배열된 벨트들로 구성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28-34)들로 구성된 배열은 제 1 벨트 드라이브(first belt drive)의 형태로 측벽(9)의 외측 상에 배열된 드라이브 수단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드라이브 수단은 니들 실린더의 회전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테이크-업 롤러(5)를 구동한다.
도 2와 도 5에 따르면, 측벽(10)의 외측 상에 배열된 휠(36)은 테이크-업 롤러(5)의 한 단부에 체결되며 이 단부는 맞은편 측벽(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휠(37)은 드로-오프 롤러(4)들 중 한 롤러의 단부에 체결되며 이 단부는 측벽(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측벽(10)의 외측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추가적인 드라이브 휠(drive wheel, 38)은 블레이드(19)로부터 멀리 떨어진 샤프트(21)의 한 단부에 체결되며, 본 발명의 환편기의 샤프트(21)는 가요성 샤프트로서 설계된다. 3개의 휠(36, 37, 38)들은 드라이브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주위로 감겨 도는(loop) 무한 드라이브 요소(39)에 의해 연결된다. 드라이브 요소(39)는 가이드 휠(40 내지 43)들을 초과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위치들은 상기 드라이브 요소(39)가 휠(36, 37, 38) 상에서 충분하게 큰 감긴 각도(wrap angle)로 배열되도록 선택되고 이들 상기 가이드 휠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예컨대 가이드 휠(33)이 드라이브 요소(39)를 신장하도록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도 4 참조).
도 5에서, 도면부호 44는 제 2 드로-오프 롤러(4)의 베어링을 도시하는데, 이 베어링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2개의 드로-오프 롤러(4)들 사이의 간극에 위치된 직물에 또는 구동된 드로-오프 롤러(4)에 마찰 연결됨으로써 이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휠(36-38 및 40-43)들은 각각 벨트 풀리로서 형성되고 드라이브 요소(39)는 그 위에 배열된 벨트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된 배열은 부품(36-43)을 구성하며 벽(10)의 외측 상에 배열된 제 2 벨트 드라이브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드라이브 샤프트(26)와 테이크-업 롤러(4)가 회전될 때 각각 니들 실린더의 회전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도 2에 도시된 가요성 샤프트(21)와 하나의 드로-오프 롤러(4)를 구동한다. 따라서 드로-오프 롤러(4)들, 테이크-업 롤러(4) 및 가요성 샤프트(21)는 직물 튜브가 제조되는 편직 속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서 구동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오직 드라이브 휠(38)과 선택적으로 가이드 휠(43)이 가요성 샤프트(21)를 구동시키도록 요구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제 2 벨트 드라이브의 남아있는 부품들이 이미 모든 경우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당히 낮은 경비로 구성이 가능하다. 더욱이 드라이브 휠(38)은 측벽(10)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지점에 배열될 수 있다. 드라이브 휠(38)이 쉽게 구속해제할 수 있도록 한 세트의 나사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가요성 샤프트(21)에 최종적으 로 체결되고 난 뒤, 블레이드(19)의 상이한 회전속도가 제조되어야 하는 편직된 직물에 기초하여 요구될 때 상기 드라이브 휠은 또 다른 드라이브 휠(38)과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트랜스미션 비율(transmission ratio)은 블레이드(19)가 항상 직물 튜브의 드로-오프 속도보다 조금 더 높은 원주 속도로 회전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함 없는 절단선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개조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벨트 드라이브들은 체인으로서 드라이브 요소(30, 34, 39)들과 체인 휠들로서 다양한 휠들을 형성함으로써 체인 드라이브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벨트 드라이브들은 체인 드라이브들로 교체된다. 하지만 휠(28, 29, 31-33, 36-38, 40-43)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 휠(toothed wheel)들로서 형성되고 드라이브 요소(30, 34, 39)들은 그것과 연결된 내부방향을 향하는 톱니형 벨트들로서 형성되며, 이는 현재로서 최상의 해결사항이라고 간주된다. 게다가 드라이브 샤프트(26)를 가진 가요성 샤프트(21)용 개시된 드라이브, 제 1 벨트 드라이브, 테이크-업 롤러(5) 및 제 2 벨트 드라이브는 단지 한 실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질적으로, 벨트 드라이브 둘 다 예를 들어 2개의 측벽(9, 10)들 중 한 측벽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 뒤 단일의 벨트 드라이브로 교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요성 샤프트(21)의 드라이브 휠(38)은 테이크-업 롤러(5)용 드라이브 수 단(도 4의 제 1 벨트 드라이브)에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벨트 또는 체인 드라이브 대신, 연결된 톱니형 휠들로 구성된 드라이브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가요성 샤프트(21)의 드라이브 요소(38)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들이 환편기에 작동될 필요가 없도록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에 작동되는 드라이브 수단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고 예시된 것과 상이한 조합들과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동되는 가요성 샤프트를 가진 환편기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며,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은 제 1 회전 위치에 위치된다.
도 2는 도 1에 상응하는 도식적으로 도시된 도면이지만,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은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된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따른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용 드라이브 샤프트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의 프레임의 제 1 측벽을 도시한 전방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수단의 프레임의 제 2 측벽을 도시한 전방 확대도.

Claims (5)

  1. 니들 실린더(1), 프레임(6) 및 가요성 샤프트(21)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6)에서 하나 이상의 드로-오프 롤러(4)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5) 및 절단을 통해 직물 튜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블레이드(19)와 상기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브 수단(28-34, 36-43)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요성 샤프트(21)는 편직 속도에 기초한 회전속도에서 블레이드(19)가 회전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드라이브 휠(38)과 블레이드(19)에 고정되도록 연결된, 개방된 직물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에 있어서,
    가요성 샤프트(21)의 드라이브 휠(38)은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4, 5)용 드라이브 수단(28-34, 36-43)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2. 제 1항에 있어서, 드라이브 수단(28-34, 36-43)은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를 포함하며 가요성 샤프트(21)의 드라이브 휠(38)은 상기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3. 제 2항에 있어서, 테이크-업 롤러(5)와 드로-오프 롤러(4)를 포함하며, 테이크-업 롤러(5)는 제 1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28-34)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26)에 기능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벨트 드라이브(36-43)에 의해 가요성 샤프 트(21)의 드라이브 휠(38)과 드로-오프 롤러(4)에 기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4. 제 3항에 있어서, 테이크-업 롤러(5)는 한 단부에서 제 1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28-34)에 연결된 제 1 휠(29)을 포함하고 그 외의 다른 단부에서 제 2 체인 또는 벨트 드라이브(36-43)에 연결된 제 2 휠(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1)와 드로-오프 및/또는 테이크-업 롤러(4, 5) 사이에 배열되고 블레이드(19)와 결합되며(associated) 그리고 개방된 직물 튜브를 펼치기 위한 수단(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KR1020080117383A 2007-12-20 2008-11-25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 KR20090067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63339.6 2007-12-20
DE102007063339A DE102007063339A1 (de) 2007-12-20 2007-12-20 Rundstrickmaschine mit einem drehbaren Schneidmesser zum Auftrennen eines Warenschlauch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037A true KR20090067037A (ko) 2009-06-24

Family

ID=40263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383A KR20090067037A (ko) 2007-12-20 2008-11-25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82712B2 (ko)
EP (1) EP2072650B1 (ko)
JP (1) JP5453684B2 (ko)
KR (1) KR20090067037A (ko)
CN (1) CN101463528B (ko)
AT (1) ATE509148T1 (ko)
DE (1) DE102007063339A1 (ko)
SG (1) SG153754A1 (ko)
TW (1) TWI4817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2030A1 (en) 2009-10-15 2011-04-20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collection structure for fabric cutting apparatus
ITBS20130076A1 (it) * 2013-05-28 2014-11-29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di tipo ¿open¿ con basamento a ingombro ridotto
DE102013105941A1 (de) * 2013-06-07 2014-12-11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Rundstrickmaschine mit Breithalter
CN104746229B (zh) * 2015-04-07 2016-08-24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圆机落布机构及针织圆机
ITUB20155508A1 (it) * 2015-11-12 2017-05-12 Santoni & C Spa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di tipo ?open?, per la produzione in aperto e a larghezza variabile del telo con gruppo di tiraggio e/o raccolta del tessuto
CN109943968B (zh) * 2017-12-21 2020-08-11 佰龙(湖北)精密机械有限公司 剖布机的机架总成
KR101969068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CN108893854B (zh) * 2018-07-16 2020-07-07 宁波市晶杰国际物流有限公司 圆形纬编机自动下料缓冲定位装置
CN111519331B (zh) * 2020-04-23 2021-07-09 浙江恒隆芳纶科技有限公司 一种大圆机的下料结构
CN112623839A (zh) * 2020-12-24 2021-04-09 康美特(厦门)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大圆机组的开幅卷布机及其伺服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424526U (de) 1974-11-28 Mayer & Cie Vorrichtung zum Auftrennen des Warenschlauches von Rundstrick- oder Rundwirkmaschinen
US1802901A (en) 1928-04-25 1931-04-28 William S Mills Trimming attachment for looping machines
US3855822A (en) 1972-03-24 1974-12-24 Burlington Industries Inc Circular knitting machine takeup with a slitting device
US4314462A (en) * 1978-02-02 1982-02-09 Institut Textile De F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flexible tube between annular and flattened cross section
FR2661925B1 (fr) 1990-05-10 1993-07-02 Legay Alain Methode de stockage d'un tricot sortant d'un metier circulaire a tricoter et metier pour la mise en óoeuvre de la methode.
JPH0860501A (ja) * 1994-08-08 1996-03-05 Fukuhara Seiki Seisakusho:Kk 開反巻取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丸編機
IT1309184B1 (it) * 1999-02-23 2002-01-16 Vignoni Srl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distendere e raccogliere untessuto a maglia prodotto da macchine tessili circolari.
CN2373466Y (zh) * 1999-06-01 2000-04-12 傅开实 针织圆机的剖布展卷装置
CN1189615C (zh) * 2001-04-24 2005-02-16 林进泳 可同步调整卷布张力并可折布及卷布的大圆机收布装置
DE10120736C1 (de) 2001-04-25 2003-02-13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DE10123089C1 (de) 2001-05-09 2002-06-13 Sipra Patent Beteiligung Rundstrickmaschine
ITFI20020023A1 (it) * 2002-02-06 2003-08-06 Pilotelli Macchine Tessili S R Dispositivo tirapezza per una macchina da maglieria circolar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tirapezza
JP2007532793A (ja) * 2004-04-14 2007-11-15 サントニ エス.ピー.エー 丸編機で製造された編地を回収する方法及び丸編機
JP2006161196A (ja) * 2004-12-06 2006-06-22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開反巻取装置、それを有する丸編機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204103B1 (en) * 2006-01-05 2007-04-17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wi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2650B1 (de) 2011-05-11
ATE509148T1 (de) 2011-05-15
TWI481755B (zh) 2015-04-21
EP2072650A1 (de) 2009-06-24
JP5453684B2 (ja) 2014-03-26
TW200949035A (en) 2009-12-01
SG153754A1 (en) 2009-07-29
US7882712B2 (en) 2011-02-08
CN101463528A (zh) 2009-06-24
JP2009150041A (ja) 2009-07-09
CN101463528B (zh) 2013-08-28
DE102007063339A1 (de) 2009-06-25
US20090158781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7037A (ko) 직물 튜브를 절단하기 위한 회전식 블레이드를 가진 환편기
US5566558A (en) Fabric slitting and take-up mechanis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20010101968A (ko) 원형 편물기에서 생산된 편직물을 스트레칭 및 수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74991A (ko)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JP2008174333A (ja) 糸状物の巻出方法及び糸状物の巻出装置
US6640590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204545B1 (en) Open-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open and width-variable web production with a knitted fabric take-down and/or collecting assembly
EP061939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fiber waste from a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527838B1 (ko) 환편기
US6557381B1 (en) High capacity web winding apparatus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rotating circular knitting machine
JP3416521B2 (ja) 電子制御サンプル整経機
CN210085713U (zh) 一种经编机的放卷装置
KR200173080Y1 (ko) 편직기에 있어서의 생지 후진방지장치
TWI591223B (zh) 圖案整經機
KR200459078Y1 (ko) 메탈릭사의 인장조절장치
CN209039726U (zh) 一种锁边机的收线装置
KR200254539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의 구동풀리 변속장치
JP2018058681A (ja) 原反ロール解反装置
GB2037335A (en) Yarn Storage and Feeding Device
KR100341548B1 (ko) 커버링기의 커버링사 능진운동장치
JP2008527188A (ja) 丸編機および丸編機によって製造された編地の回収方法
JP5710415B2 (ja) テープ生地製造装置
JPS60304B2 (ja) 巻取機
JP2003105646A (ja) 中空紙糸製造装置及び方法
KR20090092964A (ko) 장식사 자수를 위한 랙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