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991A -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 Google Patents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4991A
KR20080074991A KR1020087014787A KR20087014787A KR20080074991A KR 20080074991 A KR20080074991 A KR 20080074991A KR 1020087014787 A KR1020087014787 A KR 1020087014787A KR 20087014787 A KR20087014787 A KR 20087014787A KR 20080074991 A KR20080074991 A KR 2008007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applying
tension
circular knitting
knitting machin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베리오 로나티
Original Assignee
산토니 에스.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니 에스.피. 에이 filed Critical 산토니 에스.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8007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4Tensioning devices for individu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4Devices for cutt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원편기(3)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프레임(2)과, 상기 지지 프레임(2)에 연합되며 원편기(3)에 의해 제조된 편직물을 절단점(9a) 상에서 튜브형 부분품(5)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수단(9)과, 상기 절단된 부분품(5)을 개방하여 단일의 직물 층으로 잡아당겨 펼치는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과,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에 의해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 펼쳐진 부분품(5)을 수집하는 수집 수단(16)과, 원편기(3)에 의해 제조된 편직물 부분품(5) 제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편직물 부분품(5)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구성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으로부터 상류측에 설치된, 원편기용(3) 장력 인가 장치(1).
Figure P1020087014787
원편기, 장력 인가, 편직물, 회전, 펼침, 비틀림

Description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TENSION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본 발명은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장력 인가 장치는 개방형(OPEN-type)으로 구성되어, 원편기에 의해 제조된 튜브형 편직물(tubular knitted fabric) 부분품을 자동으로 점진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상기 편직물 부분품(piece)의 펼침(spreading)과, 펼쳐진 부분품의 단일 직물 층을 잡아당겨서 절단함으로써 얻어진 그 측면 접착부(weld)들의 펼침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부분품의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들은 여러 사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롤이나 랩(lap) 어느 것에서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력 인가 장치는 원편기 아래에 배치된 회전 가능한지지 프레임과, 직물의 튜브형 부분품의 형상을 전방 이동 중에 적절히 성형할 수 있는 부분품 펼침 요소와, 상기 부분품 펼침 요소로부터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튜브형 부분품을 모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수단과, 절단된 부분품을 개방하여 단일 직물 층으로 잡아당기는 수단과, 직물 장력 부여 조립체와, 단일 직물 층으로 잡아당겨진 부분품을 수집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공지된 바에 의하면, 대직경의 개방형 기계에 있어서는, 직물 상에 영구 접 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물을 튜브형 형상으로 바로 수집하거나 장력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그렇기 때문에, 튜브형 직물은 장력을 인가받기 전에 하나의 종방향 전단날에 의해 개방되어서, 폭이 전체 직물 원주에 대응하는 하나의 층으로 직물 부분품을 펼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의 수집 장치는 일례로 유럽 특허 제456576호 또는 유럽 특허 제1155176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서 수집 장치에는 원편기 아래에 배치되며 원편기의 실린더와 일체로 회전하는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국제 공개 특허 공보 WO20051006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각속도와는 다른 각속도로 회전 작동할 수 있는 수집 장치에 대해서도 공지된 바가 있는데, 이 장치에서 직물은 수집 단계 중에 마찬가지로 비틀림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비틀림은 연사(twisted yarn)의 사용으로 인한 직물 변형을 상쇄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특허의 내용은 직물 수집 장치에 관한 한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특허의 시스템들에는 원편기에서 나오는 튜브형 부분품의 형상을 적절히 성형하도록 구성된 수단이 마련되고, 또한 상기 튜브형 부분품을 모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수단이 마련되며, 그리고 절단된 부분품을 개방하여 하나의 직물 층으로 잡아당기는 수단이 마련된다. 모든 공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은, 직물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과 직물 수집 수단 사이에 배치되며 수집 장치의 여러 부분에서 부분품을 제어되는 방식으로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군의 견인 롤러로 구성된 장력 인가 수단에 연합된다.
이상에서 간단히 설명한 종래 기술은 큰 단점들을 갖는다.
주목되는 점으로는, 편직기에서의 직물 장력 인가는 추가로 중요한 섬유 기능들을 갖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직물 장력 인가가 직물 제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최적의 고품질 직물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아주 정확하게 조절되는 것은 기본이기 때문이다. 또한, 장력 인가는 직물을 수집 장치 안으로 밀어 넣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데, 그에 따라 제조되는 직물에 연속하는 장력 인가력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분품 펼침 장치,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 및 다수의 복귀 및 잡아당김 롤러와 같은 수집 장치의 여러 부분의 기계적 저항을 극복하기도 하여야 한다.
종래의 장력 인가 시스템은 제조되는 직물에 작용하는 장력 인가력을 아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지 못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종래의 장력 인가 시스템들은 수집 장치의 여러 기계적 부분들의 마찰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마찰력은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며 약간의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시간에 다라 변화하는 영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조되는 직물에 대한 장력 인가는 항상 약간은 부정확하고, 이와 함께 부정적 영향, 즉 편직 조직 자체를 변형시킬 수 있는 과도한 장력 인가나 혹은 너무 낮은 장력 인가나 혹은 해당 시점에서의 불균일한 장력 인가 등에 기인한 저품질과 같은 부정적 영향이 직물의 품질에 미친다. 더욱이, 종래의 장력 인가 수단은 수집 장치의 나머지 기계적 부분들의 영향을 정확히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지나치게 대형화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항상 아주 거대하 고 고비용이 든다. 결국에는,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20051006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린더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수집 장치의 경우에서는, 직물은 여러 기계적 부분들과의 부분품 마찰을 증가시키는 비틀림을 겪게 되고, 그에 따라 속도 차가 높은 경우에는 공지의 장력 인가 시스템으로는 직물의 비틀림을 방지하지 못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 주어진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결점들을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근간으로 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되는 직물에 아주 정확하고 시간에 따라 일정한 장력을 인가할 수 있고 기계적 부분들과의 부분품 마찰을 감소시킨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력 인가 장치가 실린더와 다른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조건 하에서도 아주 신뢰성 있게 직물에 장력을 인가하여 직물의 어떠한 비틀림도 방지할 수 있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은 크기를 가지며 너무 고가는 아니며 실행하기에 간단한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목적들은 기본적으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해결 수단들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의 내용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단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대해 수직인 평면을 따라서 도시한 본 발명 장치의 두 번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들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도면 부호 1로 나타내었다.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는, 실린더(4) 상에서 편직물을 튜브형 부분품(5)으로 제조하도록 설계된 공지의 원편기(3) 아래에 배치된 지지 프레임(2)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2)은 수직 중심 축(6)을 중심으로 해서 실린더(4)와 일체로 회전하고, 상기지지 프레임(2)과 원편기(3) 모두를 지지하는 고정 구조체(7) 내측에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1)에는 원편기(3)의 실린더(4)의 회전 속도와는 다른 각속도로 지지 프레임(2)을 회전시킬 수 있게 설계된 작동 수단이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2)의 상부 부분 근처에는 실린더(4)로부터 나오는 부분품(5)을 펼치고 성형하는 펼침 및 성형 수단(8)이 있다. 상기 펼침 및 성형 수단(8)은 튜브 형 부분품(5)의 원통형 형상을 그 튜브형 부분품의 전방 이동 중에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설계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그 튜브형 부분품의 섹션의 형상을 직물의 절단 및 후속하는 잡아당김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원형에서 직사각형으로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직물의 품질에 위해가 되는 영구적인 접힘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튜브형 직물의 부분품을 결코 완전히 편평하게 되지 않는다는 점은 주지되어야 한다.
펼침 및 성형 수단 아래에는 절단 수단(9)이 배치되고, 상기 절단 수단은 지지 프레임(2)에 연합되며, 절단 모선을 따른 절단점(9a) 상에서 튜브형 부분품(5)을 점진적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절단 수단(9)은 절단 모터(10) 또는 고정형 절단 요소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 날(rotary blade)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 수단(9)의 하류측에는 절단된 직물의 부분품(5)을 개방하여 잡아당기는 종래의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력 인가 장치(1)는 편직물의 부분품(5)에 장력을 인가하기 위한 장력 인가 수단(12)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 인가 수단은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으로부터 상류측에 배치되고, 직물의 부분품(5)이 원편기(3)에 의하여 바르게 제조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의 부분품(5)에 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의 부분품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절단 수단(9) 근처나, 상기 절단 수단(9)의 하류측이나, 혹은 적어도 절단점(9a)으로부터 하류측에 배치시키는 것이 좋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절단 수단(9)은 주로 상기 장력 인가 수단(12) 아래에 배치되지만, 절단점(9a)은 상기 장력 수단(12) 위에 있다.
상기 장력 인가 수단(12)은 나란히 배치되어 직물 부분품의 제1 플랩(5a)의 적어도 일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나란히 배치되어 직물 부분품의 제2 플랩(5b)의 적어도 일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를 포함한다.
2개의 플랩에 장력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장력 인가 롤러는 편질물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균일한 힘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직물 부분품(5)의 제1 플랩(5a)의 상기 부분은 절단 수단(9)에 의하여 절단된 2개의 직물 단부의 적어도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직물 부분품(5)의 제2 플랩(5b)의 상기 부분은 절단 수단(9)에 의하여 절단된 2개의 직물 단부의 적어도 제2 단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력 인가 수단(12)에 계합되지 않은 직물 부분품(5)의 중간 부분(5c)의 전방 이동을 수반하도록 구성되고, 절단점(9a)과 대면하며, 부분품의 제1 플랩(5a)의 상기 부분과 부분품의 제2 플랩(5b)의 상기 부분 사이에 포함된, 안내 요소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좋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물 부분품(5) 상의 내부 장력 인가 롤러(13b, 14b)는 상기 중간 부분(5c)에 근접한 부분품(5)과 완전히 계합되지 않으므로 직물의 가로방향 연장부보다 짧고, 반면에 직물 부분품(5) 상의 외부 장력 인가 롤러(13a, 14a)는 상기 내부 장력 인가 롤러(13b, 14b)보다 더 길거나 혹은 그 만큼 길다.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도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고, 도시된 경우에서처럼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와 평행한 것도 좋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가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해 경사진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서 수직 또는 수평의 V형으로 배치된 2개의 평면에 있는 것도 좋다.
절단 수단이 도시된 경우에서처럼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서 연장되지 않는 경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는 모두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 중 적어도 하나와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 중 적어도 하나가 장력 인가 모터(17)에 의해 작동되고, 그 나머지 롤러들은 상기 장력 인가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2개의 롤러에 의해 당겨지거나, 혹은 장력 인가 롤러들 모두가 장력 인가 모터(17)에 의해서 직접 구동될 수 있는데, 상기 장력 인가 모터는 모든 장력 인가 롤러에 대해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인가 수단(12)은 직물의 부분품(5)에 작용하는 장력 인가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고, 자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원편기(3)의 제어 시스템에 연 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직물의 부분품(5)에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인가 수단(12)은 펼침 수단(8) 상에서 절단 수단(9) 및 절단점(9a)으로부터 상류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력 인가 수단(12)은, 여전히 튜브형인 직물의 부분품의 제1 플랩(5a)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며 하나는 직물의 부분품(5)의 내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외측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직물의 부분품의 제2 플랩(5b)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며 하나는 직물의 부분품(5)의 내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외측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장력 인가 롤러(13a, 13b, 14a, 14b)는 직물의 부분품(5)과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무질이 입혀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특별한 장력 인가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장력 인가 장치는 직물의 부분품(5)의 전방 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으로부터 하류측에 배치되는 보조 장력 인가 수단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장력 인가 수단은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장력 인가 수단(12)으로부터 하류측에는 절단된 부분품을 개방하여 단일의 직물 층으로 잡아당겨 펼치는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과,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에 의하여 단일의 직물 층으로 잡아당겨 펼쳐진 부분품을 수집하는 수집 수단(16)이 설치된다.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은, 절단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품(5) 및 그 측면 접합부를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2) 상에 겉돌게 장착되거나 혹은 바람직하기로는 잡아당김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펼침 롤러(11a, 11b)와, 부분품을 잡아당기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가 구비된 복귀 롤러(15)를 포함한다. 상기 펼침 롤러(11a, 11b)는, 유럽 특허 공보 EP1155176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점(9a)에 대향된 부분품(5)의 영역에 배치된 서로 나란한 상단부들로부터 시작되어 전개되며 하향으로 기울어진 발산 선(divergent line)들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거나, 혹은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동일 평면에 배열될 수 있다.
수집 수단(1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 펼쳐진 부분품 위에서 구르며 대응하는 수집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롤러를 포함하거나, 혹은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진 부분품을 수집하기 위한 바스켓 또는 랩핑(lapping 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원편기(3) 및 수집 장치(1)의 나머지 부분들은 종래의 방식이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구조적 관점에서 설명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실린더(4)로부터 나온 튜브형 부분품(5)은 부분품을 펼치고 성형하는 펼침 및 성형 수단(8)에 의해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인 부분적 편평 섹션으로 점차 그 형상이 성형된다.
이어서 튜브형 부분품(5)은 절단점(9a) 상의 모선을 따라서 절단 수단(9)에 의해 절단되고, 반면에 반대측 모선 상에서는 평탄화 및 접힘 형성을 방지하는 회 전 요소와 같은 가이드가 활주한다. 이어서 절단된 부분품의 2개의 플랩(5a, 5b)에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 및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 각각에 의해 장력이 인가되는데, 상기 롤러들은, 외측의 롤러들에 의해서만 부분적으로 장력을 인가받으며 절단선(9a)에 대향된 모선 상에 배치된 중간 부분(5c)은 자유롭게 유지한 채로 가능한 한 균일한 견인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부분품(5)에 가능한 한 많이 계합된다.
이어서 절단 부분품(5)은 복귀 롤러(15) 상에 옮겨져서 완전히 개방될 때까지 펼침 롤러(11a, 11b)에 의해서 점진적으로 펼쳐져서 잡아당겨진다.
상기 복귀 롤러로부터 나온 단일 층의 직물 부분품(5)은, 다수의 롤(roll)이나 혹은 필요하다면 다수의 중첩 랩(lap)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수집 수단(16)에, 가능하기로는 다른 전송 롤러(transmission roller)들을 지나가게 함으로써 이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이점들이 달성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에 의하면, 공지의 장력 인가 시스템의 통상적인 단점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직물에 대해 아주 정확하고 시간에 따라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여러 가지 점들 중에서도 바로 이 점에 의해, 우수하고 일정한 품질의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력 인가 장치에 의하면, 이 장치가 실린더와 다른 각속도로 회전하는 경우라 해도 직물에 아주 신뢰성 있게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하여, 직물의 어떠한 비틀림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는 아주 합리적이고 소형인 장력 인가 장치 덕분에 전체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끝으로, 본 발명은 저비용이며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

Claims (30)

  1. 원편기(3)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 프레임(2)과,
    상기 지지 프레임(2)에 연합되며 원편기(3)에 의해 제조된 편직물을 절단점(9a) 상에서 튜브형 부분품(5)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단 수단(9)과,
    상기 절단된 부분품(5)을 개방하여 단일의 직물 층으로 잡아당겨 펼치는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과,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에 의해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 펼쳐진 부분품(5)을 수집하는 수집 수단(16)과,
    원편기(3)에 의해 제조된 편직물 부분품(5) 제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직물 부분품(5)에 장력을 인가할 수 있게 구성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을 포함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으로부터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절단 수단(9) 근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절단 수단(9)의 절단점(9a)으로부터 하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수단(12)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1 플랩(5a)의 적어도 일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2 플랩(5b)의 적어도 일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1 플랩(5a)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절단 수단(9)에 의하여 절단된 2개의 직물 단부의 적어도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2 플랩(5b)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절단 수단(9)에 의하여 절단된 2개의 직물 단부의 적어도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장력 인가 수단(12)으로부터 자유로운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중간 부분(5c)의 전방 이동을 수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절단점(9a)과 대면하며, 상기 부분품(5)의 제1 플랩(5a)의 상기 부분과 상기 부분품의 제2 플랩(5b)의 상기 부분 사이에 포함된 안내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7.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도 동일 평면에 있고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에 대해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0.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는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가 놓여 있는 평면에 대해 경사진 평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V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가 나란히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 중 적어도 하나가 장력 인가 모터(17)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가 장력 인가 모터(17)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상기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가 하나의 공동인 장력 인가 모터(17)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수단(12)은 상기 편직물 부분품(5)에 작용하는 장력 인가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편기로부터 나오는 튜브형 부분품(5)을 펼치고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2)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절단 수단(9)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펼침 및 성형 수단(8)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으로의 장력 인가 수단(12)이 상기 부분품(5)을 펼치고 성형하는 펼침 및 성형 수단(8) 상에서 상기 절단 수단(9)으로부터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수단은,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1 플랩(5a)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며 하나는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내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외측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제1 장력 인가 롤러(13a, 13b)와,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제2 플랩(5b)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작동 가능하게 작용하며 하나는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내측에 있고 다른 하나는 외측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제2 장력 인가 롤러(14a, 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인가 롤러(13a, 13b, 14a, 14b)는 상기 편직물 부분품(5)과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 무질로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물 부분품(5)의 전방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으로부터 하류측에 배치되는 보조 장력 인가 수단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수단(16)은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진 부분품(5)을 수집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수단(16)은 단일 층으로 잡아당겨 펼쳐진 부분품 위에서 구르며 대응하는 수집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과 상기 수집 수단(16)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복귀 롤러(15)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단된 부분품(5)을 개방하여 잡아당겨 펼치는 상기 개방 및 잡아당김 수단(11)은, 절단에 의하여 얻어진 부분품(5) 및 그 측면 접합부를 펼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잡아당김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펼침 롤러(11a, 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9)은 절단 모터(1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 날(rotary blad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9)은 고정형 절단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 인가 장치(1)가, 원편기(3)의 실린더(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원편기(3)의 실린더(4)와 일체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2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력 인가 장치(1)에, 이 장력 인가 장치가 원편기(3)의 실린더(4)의 회전 속도와는 다른 각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동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30. 원편기(3)로서,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력 인가 장치(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편기.
KR1020087014787A 2005-11-18 2006-10-27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KR200800749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40A ITBS20050140A1 (it) 2005-11-18 2005-11-18 Dispositivo di tiraggio per macchine tessili circolari
ITBS2005A000140 2005-1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991A true KR20080074991A (ko) 2008-08-13

Family

ID=3795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4787A KR20080074991A (ko) 2005-11-18 2006-10-27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00400B2 (ko)
EP (1) EP1951942A2 (ko)
JP (1) JP2009516090A (ko)
KR (1) KR20080074991A (ko)
CN (1) CN101310062B (ko)
BR (1) BRPI0618701A2 (ko)
IT (1) ITBS20050140A1 (ko)
TW (1) TW200736435A (ko)
WO (1) WO200705793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96B1 (ko) *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89B1 (ko) *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8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0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신발 갑피용 원단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116B1 (en) * 2009-10-14 2011-03-15 Pai Lung Machinery Mill Co., Ltd. Fabric collection structure for fabric cutting apparatus
JP2011088709A (ja) * 2009-10-22 2011-05-06 Hakuryu Kikaisho Kofun Yugenkoshi ウエブ裁断装置の巻き取り機構
DE102011080769A1 (de) * 2011-08-10 2013-02-14 Mall + Herlan Gmbh Effektive Produktionslinie für Aerosoldosen
JP2014095157A (ja) * 2012-11-07 2014-05-22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丸編機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10415165B2 (en) * 2014-10-06 2019-09-17 Santoni S.P.A. Open-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open and width-variable web production with a knitted fabric take-down and/or collecting assembly
CN112623839A (zh) * 2020-12-24 2021-04-09 康美特(厦门)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针织大圆机组的开幅卷布机及其伺服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8300A (en) * 1969-10-31 1973-02-27 E Aronoff Apparatus for rolling tubular fabrics
US4314462A (en) * 1978-02-02 1982-02-09 Institut Textile De Fr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flexible tube between annular and flattened cross section
FR2661925B1 (fr) 1990-05-10 1993-07-02 Legay Alain Methode de stockage d'un tricot sortant d'un metier circulaire a tricoter et metier pour la mise en óoeuvre de la methode.
IT1252504B (it) * 1991-09-23 1995-06-19 Vignoni Srl Avvolgi-pezze per macchine circolari da maglieria
JPH0860501A (ja) * 1994-08-08 1996-03-05 Fukuhara Seiki Seisakusho:Kk 開反巻取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丸編機
IT1293739B1 (it) * 1997-07-18 1999-03-10 Mecmor Spa Dispositivo per il tiraggio di tessuti a maglia in macchine per maglieria, particolarmente per macchine circolari a grande diametro.
IT1309184B1 (it) 1999-02-23 2002-01-16 Vignoni Srl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distendere e raccogliere untessuto a maglia prodotto da macchine tessili circolari.
ITFI20020023A1 (it) * 2002-02-06 2003-08-06 Pilotelli Macchine Tessili S R Dispositivo tirapezza per una macchina da maglieria circolar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tirapezza
US6601412B1 (en) * 2002-08-21 2003-08-05 Mayer Industries, Inc. Takedown uni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TE470739T1 (de) * 2004-04-14 2010-06-15 Santoni & C Spa Rund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m abnehmen der von einer rundstrickmaschine erzeugten wa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96B1 (ko) *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89B1 (ko) *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8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0B1 (ko) *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신발 갑피용 원단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0400B2 (en) 2009-10-13
CN101310062A (zh) 2008-11-19
TW200736435A (en) 2007-10-01
ITBS20050140A1 (it) 2007-05-19
BRPI0618701A2 (pt) 2012-12-04
WO2007057935A2 (en) 2007-05-24
US20080283648A1 (en) 2008-11-20
WO2007057935A8 (en) 2008-12-11
JP2009516090A (ja) 2009-04-16
CN101310062B (zh) 2011-03-30
EP1951942A2 (en) 2008-08-06
WO2007057935A3 (en) 200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4991A (ko)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US5566558A (en) Fabric slitting and take-up mechanis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P1155176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collecting a knitted fabric produced by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2112258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winden eines Vorgarnes auf eine Spule
JP5453684B2 (ja) 編み地チューブをカットする回転可能ブレードを備えた丸編み機
CN103437012A (zh) 纺纱机自动接头装置
TWI670401B (zh) 具縮小尺寸之基底框架之用於針織品的開放式圓形針織機
EP1256646B1 (de) Rundstrickmaschine
EP3204545A1 (en) Open-type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open and width-variable web production with a knitted fabric take-down and/or collecting assembly
CZ2005302A3 (cs) Okrouhlý pletací stroj se zařízením pro široký odtah pleteniny
TWI670402B (zh) 具有織物之取下及收集組之用於針織品的開放式圓編機
TW201508111A (zh) 用於開放式圓編機中之織物之取下及/或收集組的張緊輥輪
US1963644A (en) Cellophane winder and cutter
US3802035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double knit fabric
US1768736A (en) Apparatus for cutting textile materials
KR100917691B1 (ko) 원편기 및 그 원편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을 수집하는 방법
KR200235373Y1 (ko) 정방기의 스펀텍스사 센터링 장치
JP2008527188A (ja) 丸編機および丸編機によって製造された編地の回収方法
ITVE960003A1 (it)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fezionata.
ITFI960144U1 (it) Macchina perfezionata per la produzione di filati a maglia,quali a catenella e simili
CZ2005439A3 (cs) Okrouhlý pletací stroj se zarízením pro široký odtah pleteni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