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89B1 -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89B1
KR101952289B1 KR1020180018011A KR20180018011A KR101952289B1 KR 101952289 B1 KR101952289 B1 KR 101952289B1 KR 1020180018011 A KR1020180018011 A KR 1020180018011A KR 20180018011 A KR20180018011 A KR 20180018011A KR 101952289 B1 KR101952289 B1 KR 10195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uide
bar
knitting machin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태
이재용
김범준
민병철
박정석
김민국
김재돈
원종헌
이건형
고문영
Original Assignee
(주)유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영산업 filed Critical (주)유영산업
Priority to KR102018001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3/00Stretching, tentering or spreading textile fabrics; Producing elasticity in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기로 제직한 원형의 원단을 개폭기를 통해 평면으로 개폭할 때 원단을 팽팽하게 펼쳐주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에 주름이나 틀어짐이 일어나지 않고 위곡도 생기지 않도록 펼쳐줌으로써 개폭 작업을 세밀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양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고 원단의 손실이나 불량도 줄일 수 있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편기와 개폭기의 사이에서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 내부에 위치되어 원단을 펼쳐주는 것으로,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단을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1차로 펼쳐주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타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1차로 펼쳐진 원단을 전후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좌우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2차로 펼쳐주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편기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SLITTER}
본 발명은 환편기로 제직한 원형의 원단을 개폭기를 통해 평면으로 개폭할 때 원단을 팽팽하게 가이드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갑피 등에 사용되는 원단은 두께감과 탄력성 및 인열강도 등을 보장하기 위해 환편기를 사용하여 복수 가닥의 폴리에스터사와 복수 가닥의 폴리우레탄사 등을 합사한 후 편직하여 제직한다.
상기한 환편기를 통해 제직한 원단은 환편기의 제직 구조에 따라 양단이 없이 연속으로 이어지는 원형으로 제직된다.
상기와 같이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은 제직 공정 이후에 염색 등을 포함하는 가공 공정 등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평면 형태로 개폭하여 원단롤에 권취한다. 즉, 원단의 일측 또는 양측을 환편기의 하부에 설치된 개폭기의 절단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평면 형태로 개폭하여 원단롤에 권취한다.
여기서 환편기와 개폭기의 사이에는 환편기에 의해 제직된 원형의 원단을 그 내측에서 펼쳐주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가 구비된다. 즉, 환편기에 의해 제직된 원형의 원단은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의해 펼쳐진 상태에서 개폭기에 의해 개폭된다.
한편, 종래의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는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바와, 각 수평바의 일단에 각각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측부바와, 각 수평바의 타단에 각각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측부바와, 제1측부바와 제2측부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구성된다.
따라서 환편기에 의해 제직된 원단이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의해 펼쳐질 때 수평바와 제1측부바의 연결부와 수평바와 제2측부바의 연결부가 원단과 접촉되면서 원단의 양측이 각진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수평바와 제1측부바의 연결부 사이와, 수평바와 제2측부바의 연결부위 사이가 빈공간임에 따라 원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각을 해소할 수도 없다.
상기와 같이 원단을 양측이 각진 형태로 펼쳐지게 되면 원단에 주름이 생길 뿐만 아니라 틀어짐도 발생함으로써 원단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개폭기의 절단칼로 절단할 때 정해진 위치와 방향에 맞게 절단할 수 없어 양품의 원단 생산이 어렵고 원단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바의 단부에 측부바가 연결된 형태와, 수평바와 측부바 간의 연결각도에 따라 수평바와 측부바의 연결부보다 측부바의 단부가 외측으로 더 돌출됨에 따라 개폭기의 절단칼을 측부바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폭기의 절단칼이 측부바의 하부에 위치될 경우 원단이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이미 통과하여 팽팽하게 펼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 일측 또는 양측이 개폭기의 절단칼에 절단됨에 따라 정해진 위치와 방향에 맞게 절단할 수 없으므로 원단 불량이 증가하고 원단 손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1982호, 2017.10.25.자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38845호, 1988.11.22.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을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1차로 펼친 후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를 갖도록 2차로 펼쳐서 원단의 개폭을 정해진 위치와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함으로써 양품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고 원단 손실과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는 환편기와 개폭기의 사이에서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 내부에 위치되어 원단을 펼쳐주는 것으로,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단을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1차로 펼쳐주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타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1차로 펼쳐진 원단을 전후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좌우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2차로 펼쳐주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편기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는 전후측에 각각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의 일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1호형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의 타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2호형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측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호형가이드바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경사가이드바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호형가이드바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경사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경사가이드바의 사이와, 상기 한 쌍의 제2경사가이드바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개폭기의 절단칼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호형가이드바와 상기 제1경사가이드바의 연결부위와 상기 제2호형가이드바와 상기 제2경사가이드바의 연결부위는 상기 수평가이드바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측가이드부재와 상기 타측가이드부재의 단부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환편기에 의해 제직되는 상기 원단의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 조절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공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축공과 연통하도록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나사공에 나사 체결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축공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환편기에 의해 제직된 원형의 원단을 각지지 않는 양단이 둥근 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도록 1차로 펼친 후 다시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단면형상을 갖도록 1차로 펼쳐줌으로써 원단에 주름, 틀어짐, 위곡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개폭을 가능하게 하여 원단의 품질을 높이고 불량율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원단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원단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환편기와 개폭기의 사이에서 원단의 내측에 구비되어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을 팽팽하게 펼쳐서 개폭기로 안내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는 원단을 주름, 틀어짐, 위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지지 않게 팽팽하게 펼쳐 개폭기로 안내함으로써 개폭기를 통해 원단의 일측 또는 타측을 정해진 위치와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절단하여 원활하게 개폭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편기(200)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F)의 내부에 위치되어 원단(F)을 펼쳐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10), 제2가이드부(120), 연결부(130), 고정부(140) 및 조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가이드부(110)는 양측이 둥근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환편기(200)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되어 배출되는 원단(F)을 각지지 않게 1차로 펼쳐주는 구성이다.
즉, 제1가이드부(110)는 원단(F)의 내부에서 원단(F)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틀어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지지 않는 양측이 둥근 직사각형상의 수평단면을 갖도록 1차로 팽행하게 펼쳐주는 것이다.
이때 제1가이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측에 각각 상호 평행을 이루면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111a)(111b)와, 수평가이드(111a)(111b)의 일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수평가이드(111a)(111b)의 타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2호형가이드바(11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원단(F)의 내측전면과 내측후면은 각각 수평가이드바(111a)(111b)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원단(F)의 내측좌면과 내측우면은 각각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제2호형가이드바(113)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원단(F)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원단(F)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10)를 구성하는 수평가이드바(111a)(111b)와 제1호형가이드바(112) 및 제2호형가이드바(113)의 외측면이 이루는 형상에 의해 주름이나 틀어짐 없이 양측이 둥근 직사각형의 수평단면 형태를 갖도록 팽행하게 펼쳐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부(110)에 의해 1차로 펼쳐진 원단(F)을 위곡이 생기지 않도록 2차로 펼쳐주는 구성이다.
즉, 제2가이드부(120)는 제1가이드부(110)에 의해 주름과 틀어짐이 없이 팽팽하게 펼쳐진 원단(F)을 정해진 위치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절단하여 개폭할 수 있도록 원단(F)을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수평단면을 갖도록 2차로 팽팽하게 펼쳐주는 것이다.
이때 제1가이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10)의 일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121)와, 제1가이드부의 타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타측가이드부재(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부재(121)는 제1호형가이드바(112)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단부가 서로 만나는 각도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부재(122)는 제2호형가이드바(113)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단부가 서로 만나는 각도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원단(F)의 내측좌면과 내측우면은 각각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의 중간부부터 단부까지 밀착되고, 원단(F)의 내측전면과 내측후면은 각각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의 단부와 밀착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원단은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의 형상과 이들이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제2호형가이드바(113)와의 이루는 각각의 형상에 의해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곡이 생기지 않고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면서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수평단면 형태를 갖도록 펼쳐지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의 사이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원단(F) 절단을 위한 개폭기(300)의 절단칼(31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개폭기(300)의 절단칼(310)을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의 사이에서 전후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태로 펼쳐진 원단(F)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원단(F)의 일측 또는 양측을 개폭기(300)의 절단칼(310)을 통해 절단하여 개폭할 때 정해진 위치와 방향을 따라 정확하게 원단(F)을 절단하여 개폭할 수 있다.
한편,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2호형가이드바(113)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가 되는 부분은 수평가이드바(111a)(111b)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2호형가이드바(113)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가 되는 부분이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111a)(111b)를 따라 각각 좌우 수평으로 연장한 가상선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이드부(110)에 의해 원단(F)이 1차로 펼쳐질 때 제1경사가이드바(121a)(121b)와 제2경사가이드바(122a)(122b)에 의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주름이나 틀어짐을 유발할 수 있는 각이 원단(F)에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130)는 일측가이드부재(121)와 타측가이드부재(122)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즉, 연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가이드부재(121)와 타측가이드부재(122)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일측가이드부재(121)와 타측가이드부재(122)가 수평가이드바(111a)(111b)와 이루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140)는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를 환편기(200)의 하부에 수직으로 마련된 회전축(210) 상에 고정시켜 환편기(20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고정부(140)는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가이드바(111a)(111b)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바(141)와, 지지바(141)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회전축(210)이 관통하는 축공(142a)이 상하로 형성되며 축공(142a)과 연통하도록 일측에 나사공(142b)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142)와, 나사공(142b)에 나사 체결식으로 삽입되어 축공(142a)을 관통한 회전축(210)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부재(14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바(141)에 의해 수평가이드바(111a)(111b)의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된 고정플레이트(142)를 고정부재(143)를 통해 환편기(200)의 회전축(210)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제1가이드부(110)와 제2가이드부(120)가 환편기(200)의 회전축(21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환편기(200)에 의해 제직된 원단(F)을 주름이나 틀어짐 없이 위곡이 생기지 않도록 원활하게 펼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142)는 평면 기준으로 양단이 전후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고 돌출된 양단에 각각 지지바(141)가 관통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바(141)를 통해 제1가이드부(110)와 연결을 견고하게 하여 회전축(210)과의 회전시 진동이나 반동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조절부(150)는 연결부(1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2가이드부(120)에 의해 펼쳐지는 원단(F)의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조절부(150)는 제2가이드부(1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30)의 양단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돌출된 길이에 의해 원단(F)의 좌우 폭을 더 늘려 펼치는 것이다.
이때 조절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양측에 각각 외삽되어 연결부(130)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일측에 연결부(130)의 외주면 일측을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관(151)과, 나사공(151a)에 나사 체결식으로 삽입되어 연결부(130)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시켜 슬라이딩관(151)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52)와, 슬라이딩관(151)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부가 둥근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관(151)의 고정 위치에 따라 제2가이드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단(F)의 좌우 폭을 늘리는 조절단(15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단(153)이 제2가이드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관(151)을 연결부(130)에서 슬라이딩시킨 후 고정부재(152)로 슬라이딩관(151)을 연결부(130)에 고정시키면 제2가이드부(120)에 의해 펼쳐지는 원단(F)의 좌우 폭을 간편하게 늘릴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150)에는 고정부재(152)를 슬라이딩관(151)의 나사공에 나사 체결되어 삽입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관(151)의 타측에 설치되고 슬라이딩관(151)의 길이에 대등되며 나사공이 노출되도록 나사공(151a)과 대응되는 연장나사공(154a)이 형성된 연장플레이트(15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단, 조절단(153)이 제2가이드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개폭기(300)의 절단칼(310)을 통해 정해진 위치와 방향으로 원단(F)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칼(310)이 조절부(150) 바로 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가이드부(110)와 연결부(130)에는 환편기(200)에 의해 제직되는 원단(F)의 전후 폭 및 좌우 폭에 대응되게 좌우 길이 조절 가능하게 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호형가이드바(112)와 제2호형가이드바(113)의 양단에 기설정된 길이를 가진 연장바(112a)(113a)가 각각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수평가이드바(111a)(111b)의 양단에 연장바(112a)(113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수평가이드바(111a)(111b)가 관형태로 구성되며, 수평가이드바(111a)(111b)의 양단에 고정부재(114)가 나사 체결식으로 관통 삽입되어 연장바(112a)(113a)를 압착 고정함으로써 좌우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가이드부재(12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연결바(131)와, 타측가이드부재(12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2연결바(132)와, 제1연결바(131)의 단부와 제2연결바(132)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일단과 타단에 삽입되는 연결관(133)과, 연결관(133)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나사 체결식으로 삽입되어 제1연결바(131)의 단부와 제2연결바(132)의 단부를 압착 고정하는 고정부재(134)를 포함함으로써 좌우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가이드장치
110: 제1가이드부
111a, 111b: 수평가이드바
112: 제1호형가이드바
112a: 연장바
113: 제2호형가이드바
112b: 연장바
14: 고정부재
120: 제2가이드부
121: 일측가이드부재
121a, 121b: 제1경사가이드바
122: 타측가이드부재
122a, 122b: 제2경사가이드바
130: 연결부
131: 제1연결바
132: 제2연결바
133: 연결관
134: 고정부재
140: 고정부
141: 지지바
142: 고정플레이트
142a: 축공
142b: 나사공
143: 고정부재
150: 조절부
151: 슬라이딩관
152: 고정부재
153: 조절단
154: 연장플레이트
154a: 연장나사공
200: 환편기
210: 회전축
300: 개폭기
310: 절단칼
F: 원단

Claims (8)

  1. 환편기와 개폭기의 사이에서 환편기에 의해 원형으로 제직된 원단 내부에 위치되어 원단을 펼쳐주는 것으로,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원단을 양측이 둥근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1차로 펼쳐주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타측에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일측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1차로 펼쳐진 원단을 전후폭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좌우폭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2차로 펼쳐주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편기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의 단부를 수평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축공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축공과 연통하도록 일측에 나사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나사공에 나사 체결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축공을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일측을 압착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전후측에 각각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의 일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1호형가이드바; 및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의 타단을 둥글게 연결하는 제2호형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호형가이드바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1경사가이드바로 구성되고,
    상기 타측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호형가이드바의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방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제2경사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경사가이드바의 사이와, 상기 한 쌍의 제2경사가이드바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개폭기의 절단칼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형가이드바와 상기 제1경사가이드바의 연결부위와 상기 제2호형가이드바와 상기 제2경사가이드바의 연결부위는
    상기 수평가이드바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가이드부재와 상기 타측가이드부재의 단부를 평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연결부는
    상기 환편기에 의해 제직되는 상기 원단의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 길이 조절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8. 삭제
KR1020180018011A 2018-02-13 2018-02-13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11A KR101952289B1 (ko) 2018-02-13 2018-02-13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11A KR101952289B1 (ko) 2018-02-13 2018-02-13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89B1 true KR101952289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11A KR101952289B1 (ko) 2018-02-13 2018-02-13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8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187A (en) * 1973-09-12 1977-03-29 Vyzkumny A Vyvojovy Ustav Zavodu Vseobecneho Strojirenstvi Fabric spread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880002843Y1 (ko) * 1986-11-07 1988-08-06 송유철 환편기의 원단 개폭장치
KR20010101968A (ko) * 1999-02-23 2001-11-15 빅노니 에스.알.엘 원형 편물기에서 생산된 편직물을 스트레칭 및 수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85820A (ko) * 2001-05-09 2002-11-16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환편기
WO2006119717A1 (en) * 2005-05-11 2006-11-16 Amtek, Spol. S.R.O.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knitwork wide drawing-off
KR20080074991A (ko) * 2005-11-18 2008-08-13 산토니 에스.피. 에이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KR20090038596A (ko) * 2007-10-16 2009-04-21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원형 편물기의 권취장치
KR101791982B1 (ko) 2016-05-04 2017-10-31 주식회사 삼송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4187A (en) * 1973-09-12 1977-03-29 Vyzkumny A Vyvojovy Ustav Zavodu Vseobecneho Strojirenstvi Fabric spread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KR880002843Y1 (ko) * 1986-11-07 1988-08-06 송유철 환편기의 원단 개폭장치
KR20010101968A (ko) * 1999-02-23 2001-11-15 빅노니 에스.알.엘 원형 편물기에서 생산된 편직물을 스트레칭 및 수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00225B1 (ko) * 1999-02-23 2007-03-26 산토니 에스.피. 에이 원형 편물기에서 생산된 편직물을 스트레칭 및 수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85820A (ko) * 2001-05-09 2002-11-16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환편기
WO2006119717A1 (en) * 2005-05-11 2006-11-16 Amtek, Spol. S.R.O.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knitwork wide drawing-off
KR20080074991A (ko) * 2005-11-18 2008-08-13 산토니 에스.피. 에이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KR20090038596A (ko) * 2007-10-16 2009-04-21 쌍용기계공업주식회사 원형 편물기의 권취장치
KR101791982B1 (ko) 2016-05-04 2017-10-31 주식회사 삼송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7885A (en) Winding device for split knitted fabric
KR960007865A (ko) 전개반전 감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환편기
KR101952289B1 (ko)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20010101968A (ko) 원형 편물기에서 생산된 편직물을 스트레칭 및 수집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969068B1 (ko)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96B1 (ko)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TW200809029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knitwork wide drawing-off
KR20080074991A (ko) 원편기용 장력 인가 장치
CN207846074U (zh) 一种具有调节长度功能的衣服布料用裁剪装置
KR20090038596A (ko) 원형 편물기의 권취장치
KR100925582B1 (ko) 환편기
RU97121582A (ru) Бельевой барабан машин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6995340B2 (ja) 丸編機における筒状編地の反転装置、巻取装置および収納方法
JPH105469A (ja) 長尺生地の縁縫いのための三つ巻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三つ巻装置
JP4035863B2 (ja) ミシン目加工刃
JPH02112453A (ja) 開反巻取装置付き編組機
US638361A (en) Paper-fringing machine.
EP0654101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web cutting in the former of a paper machine
KR102668633B1 (ko) 환편기용 편물의 오픈 겸용 권취장치
CN207419010U (zh) 一种包边拉筒
KR20230117791A (ko) 환편기용 편물의 오픈 겸용 권취장치
US1963644A (en) Cellophane winder and cutter
US1321161A (en) thomas
JP3099106B2 (ja) 長尺生地の縁縫い用の三つ巻装置
KR102365054B1 (ko) 초배지 제조용 슬릿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