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82B1 -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82B1
KR101791982B1 KR1020160055450A KR20160055450A KR101791982B1 KR 101791982 B1 KR101791982 B1 KR 101791982B1 KR 1020160055450 A KR1020160055450 A KR 1020160055450A KR 20160055450 A KR20160055450 A KR 20160055450A KR 101791982 B1 KR101791982 B1 KR 10179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nveying
unit
belt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백
조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to KR1020160055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H01L41/0471
    • H01L41/0472
    • H01L41/083
    • H01L41/11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1Single-layered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e.g. internal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 사이에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하여 원단을 자동으로 이송하게 하고, 이에 의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CONVEYOR APPARATUS FOR FABRIC TRANSFER AND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원단을 가공하는 가공 공정 사이에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하여 원단을 자동으로 이송하게 하고, 이에 의해 인건비를 절감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도 도모할 수 있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을 가공하는 순서로는 공급된 원단이 일시 저장되는 원단저장부에서 개폭부로 이동한다. 상기 개폭부에서는 원단의 폭 방향 측면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개폭부에서 개폭된 원단은 염색부에서 염색된 후 탈수부에서 탈수된다.
탈수된 원단은 건조부에서 텐타기를 통해 건조되며 나염부에서 프린트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단은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가공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각 공정 사이 원단을 이동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레 등을 이용하여 직접 이동하였다.
따라서, 상기 원단을 이동하기 위해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원단 이동 시 작업자에 안전이 위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을 가공하는 공정 사이에 상기 원단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원단이 이송되게 하고, 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인건비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F)을 가공하는 공정 사이에 배치되어 원단(F)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10)로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구동 롤러(R)에 의해 이동되며 원단(F)이 안착되는 벨트(B)와, 상기 벨트(B) 저면에 구비되어 벨트(B)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T)를 포함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롤러(T)에 설치되는 에너지 발생부(2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에너지 발생부(200)는 다수 층으로 적층된 압전 소자(P)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 유닛(230)과, 상기 압전 소자(P) 사이에 배치된 각각 내부 전극(220)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전극(22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E)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 상면과 벨트(B)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판(210)과, 상기 이송 롤러(T)의 장착홈(T-1)에 삽입되고,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수용하며 상기 가압판(210)은 노출되어 벨트(B)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하우징(26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압판(210)은 벨트(B)의 저면에 접하는 상부 가압판(211)과, 압전 소자 유닛(230)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 가압판(21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압판(211)과 하부 가압판(2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가압판(211)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핀 결합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핀 결합부(250)는 상부 가압판(211) 저면에 구비되는 상부 힌지(251)와, 하부 가압판(212) 상면에 구비되며 상부 힌지(25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힌지(252)와, 벨트(B)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힌지(251)와 하부 힌지(252)를 관통하는 핀(253)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60)은 중공이되 상면은 개방되고,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261)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상면 두께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걸림 고리(262)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261) 내부를 상하 방향 분할하는 수평판(26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263)과 하우징 본체(261) 바닥 사이에 배터리(BAT)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로서, 원단 저장부(M1)와, 원단(F)을 개폭하는 개폭부(M2)와, 원단(F)을 염색하는 염색부(M3)와, 염색된 원단(F)을 탈수하는 탈수부(M4)와, 탈수된 원단(F)을 건조하는 건조부(M5)와, 건조된 원단(F)을 나염하는 나염부(M6)를 포함하되, 상기 원단 저장부(M1) 및 개폭부(M2)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개폭부(M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1)와, 상기 개폭부(M2) 및 염색부(M3)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염색부(M3)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2)와, 상기 염색부(M3) 및 탈수부(M4)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탈수부(M4)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3)와, 상기 탈수부(M4) 및 건조부(M5)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건조부(M5)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와, 상기 건조부(M5) 및 나염부(M6)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나염부(M6)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5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를 포함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원단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하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의 하우징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부착된 에너지 발생부의 하우징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F)을 가공하는 공정(도 6 참조)사이에 배치되어 원단(F)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10)로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구동 롤러(R)에 의해 이동되며 원단(F)이 안착되는 벨트(B)와, 상기 벨트(B) 저면에 구비되어 벨트(B)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T)를 포함한다.
즉, 도시되지 않은 구동 액츄에이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감속기(M)에 의해 증대되어 구동 롤러(R)를 회전한다.
상기 구동 롤러(R)가 회전되면 벨트(B)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롤러(R)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B)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벨트(B)상에 원단(F)을 배치하면, 가공 공정 사이에 상기 원단(F)이 자동으로 이송되어 원단(F) 이송을 위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작업자의 안전 또한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원단을 이송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가 다른 종류나 구성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10)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싱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롤러(T)는 상술된 바와 같이 벨트(B)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B)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 롤러(T)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인 것도 가능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의 폭 방향 중심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된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벨트(B)에 있는 원단(F)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 롤러(T)는 벨트(B)의 중앙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지지 롤러(T2)와 상기 제2지지 롤러(T2) 양 측단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벨트(B)의 폭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1 지지 롤러(T1) 및 제2지지 롤러(T3)를 포함한다.
상기 제2지지 롤러(T2)는 그 저면에 배치된 제2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1지지 롤러(T1)와 제3지지 롤러(T3)는 제1지지부(110) 및 제3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에 의해 원단(F)을 가공 공정 사이에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를 사용하면서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널리 알려진 압전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라고 하는 것은 외력에 의해 체적이 변화하면 전기가 발생되는 특성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지지 롤러(T)에 압전 소자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 롤러(T)는 벨트(B)의 저면에서 회전되므로, 상기 지지 롤러(T)에 설치된 압전 소자는 벨트(B)에 의해 가압 되었다가 회전 후 가압 상태가 회전되어 압전 소자에 주기적인 외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외력을 이용하여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생산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지지 롤러(T)에 설치되는 에너지 발생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발생부(2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층으로 적층된 압전 소자(P)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 유닛(230)과, 상기 압전 소자(P)사이에 배치된 각각 내부 전극(220)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전극(22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E)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 상면과 벨트(B)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판(210)과, 상기 이송 롤러(T)의 장착홈(T1)에 삽입되고,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수용하며 상기 가압판(210)은 노출되어 벨트(B)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하우징(260)을 포함한다.
즉, 지지 롤러(T1)의 장착홈(T-1)에 하우징(260)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260)에는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이 수용된다.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은 높이 방향으로 다수 층 적층된 압전 소자(P)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 소자(P)사이에는 내부 전극(220)이 배치된다.
상기 압전 소자(P)가 가압 되면 전기가 발생하며, 상기 발생된 전기는 상기 내부 전극(220)과 외부 전극(E)을 통해 후술되는 배터리(BAT)로 향한다.
상기 압전 소자(P)를 가압하기 위해 가압판(210)이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210)은 벨트(B)의 저면과 압전 소자(P) 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즉, 벨트(B)가 상기 가압판(210)을 가압하면 그 힘이 압전 소자(P) 측으로 전달되어 전기가 생산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판(210)이 벨트(B)에 의해 가압 되도록 상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260)으로부터 노출된다.
생산된 전기는 내부 전극(220)과 외부전극(E)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내부 전극(220)과 외부 전극(E)은 전도성 재질의 와이어(W)에 의해 통전된다.
상기 외부 전극(E)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P)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외부 전극(E1)과 제2외부 전극(E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외부 전극(E1)과 제2외부 전극(E2)은 각각 다른 층의 내부 전극(2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6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수용하며 상기 가압판(210)은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되 상면은 개방되고,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261)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상면 두께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걸림 고리(262)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261) 내부를 상하 방향 분할하는 수평판(26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우징 본체(261)가 중공이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지지 롤러(T)의 장착홈(T-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261)의 상면 두께부 내측 방향으로 링 형상의 걸림 고리(262)가 형성되어 외부 전극(E)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61) 내부 수평 방향으로 수평판(263)이 형성되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된다.
상기 수평판(263)으로 이루어진 하부 공간, 즉, 상기 수평판(263)과 하우징 본체(261) 바닥 사이에 배터리(BAT)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과 연결되어 발생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63)의 양 측에는 관통공(263-1,263-2)을 각각 형성하여 외부 전극(E)이 관통 후 배터리(BAT)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AT)는 외부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발생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롤러(T)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롤러(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벨트(B) 또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상기 가압판(210) 역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판(210)은 벨트(B)의 저면에 접하는 상부 가압판(211)과, 압전 소자 유닛(230)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 가압판(2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가압판(211)과 하부 가압판(2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가압판(211)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핀 결합부(2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핀 결합부(25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의 저면에 접하는 상부 가압판(211)과, 압전 소자 유닛(230)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 가압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가압판(211)과 하부 가압판(2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가압판(211)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핀 결합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핀 결합부(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가압판(211) 저면에 구비되는 상부 힌지(251)와, 하부 가압판(212) 상면에 구비되며 상부 힌지(25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힌지(252)와, 벨트(B)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힌지(251)와 하부 힌지(252)를 관통하는 핀(25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힌지(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힌지(251)는 상기 하부 힌지(252)사이에 삽입되는 바아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힌지(251)와 하부 힌지(252) 모두 핀(253)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벨트(B)가 벨트 중심 라인(CL)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되는 경우 가압판(210)이 이에 따라 경사지게 되어 벨트(B)의 경사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 가공 장치는 원단 저장부(M1)와, 원단(F)을 개폭하는 개폭부(M2)와, 원단(F)을 염색하는 염색부(M3)와, 염색된 원단(F)을 탈수하는 탈수부(M4)와, 탈수된 원단(F)을 건조하는 건조부(M5)와, 건조된 원단(F)을 나염하는 나염부(M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단 저장부(M1) 및 개폭부(M2)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개폭부(M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1)가 구비된다.
즉, 원단 저장부(M1)로부터 개폭부(M2)측으로 원단이 이송되는데, 상기 원단은 본 발명의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즉, 제1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1)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이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또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폭부(M2) 및 염색부(M3) 사이에도 제2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2)가 설치되어 원단을 염색부(M3)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송한다.
상기 염색부(M3)에서 염색된 원단은 상기 염색부(M3) 및 탈수부(M4) 사이에 설치된 제3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3)에 의해 탈수부(M4)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송한다.
상기 탈수부(M4)에서 탈수된 원단은 상기 탈수부(M4) 및 건조부(M5) 사이에 설치되는 제4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에 의해 건조부(M5)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송한다.
상기 건조부(M4)에서 텐터 공정을 통해 건조된 원단은 상기 건조부(M5) 및 나염부(M6)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나염부(M6)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5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를 통해 나염부(M6)로 이송되어 프린트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원단 가공 장치에 의하면 각 가공 공정사이에 이송되는 원단이 상기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어 작업자가 필요없어 인건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 또한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컨베이어 장치 110 : 제1지지부
120 : 제2지지부
200 : 에너지 발생부 210 : 가압판
211 : 상부 가압판 212 : 하부 가압판
220 : 내부 전극 230 : 압전 소자 유닛
250 : 핀 결합부 260 : 하우징
261 : 하우징 본체 262 : 걸림 고리
263 : 수평판

Claims (5)

  1. 원단(F)을 가공하는 공정사이에 배치되어 원단(F)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10)로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구동 롤러(R)에 의해 이동되며 원단(F)이 안착되는 벨트(B)와, 상기 벨트(B) 저면에 구비되어 벨트(B)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T)와, 상기 지지 롤러(T)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에너지 발생부(2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에너지 발생부(200)는 다수 층으로 적층된 압전 소자(P)로 이루어지는 압전 소자 유닛(230)과,
    상기 압전 소자(P)사이에 배치된 각각 내부 전극(220)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전극(22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E)과,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 상면과 벨트(B)의 저면사이에 배치되는 가압판(210)과,
    상기 이송 롤러(T)의 장착홈(T-1)에 삽입되고, 상기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수용하며 상기 가압판(210)은 노출되어 벨트(B)에 의해 가압되게 하는 하우징(26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롤러(T)는 벨트(B)의 저면에서 회전하고, 상기 에너지 발생부(200)는 상기 지지 롤러(T)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롤러(T)의 회전에 의해 벨트(B)와의 접촉에 의해 주기적인 외력을 받아 에너지를 생산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210)은 벨트(B)의 저면에 접하는 상부 가압판(211)과, 압전 소자 유닛(230)의 상면에 접하는 하부 가압판(21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압판(211)과 하부 가압판(212)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가압판(211)이 벨트(B)의 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핀 결합부(250)를 포함하되,
    상기 핀 결합부(250)는 상부 가압판(211) 저면에 구비되는 상부 힌지(251)와, 하부 가압판(212) 상면에 구비되며 상부 힌지(25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힌지(252)와, 벨트(B)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부 힌지(251)와 하부 힌지(252)를 관통하는 핀(253)을 포함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60)은 중공이되 상면은 개방되고, 압전 소자 유닛(230)과 내부 전극(220) 그리고 외부 전극(E)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261)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상면 두께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 전극(E)이 삽입되는 걸림 고리(262)와, 상기 하우징 본체(26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우징 본체(261) 내부를 상하 방향 분할하는 수평판(26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263)과 하우징 본체(261) 바닥 사이에 배터리(BAT)가 구비되고 상기 외부 전극(E)과 연결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5. 제1항에 기재된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로서,
    원단 저장부(M1)와, 원단(F)을 개폭하는 개폭부(M2)와, 원단(F)을 염색하는 염색부(M3)와, 염색된 원단(F)을 탈수하는 탈수부(M4)와, 탈수된 원단(F)을 건조하는 건조부(M5)와, 건조된 원단(F)을 나염하는 나염부(M6)를 포함하되,
    상기 원단 저장부(M1) 및 개폭부(M2)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개폭부(M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1)와,
    상기 개폭부(M2) 및 염색부(M3)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염색부(M3)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2)와,
    상기 염색부(M3) 및 탈수부(M4)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탈수부(M4)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3)와,
    상기 탈수부(M4) 및 건조부(M5)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건조부(M5)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와,
    상기 건조부(M5) 및 나염부(M6) 사이에 설치되어 원단을 나염부(M6)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5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10-4)를 포함하는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KR1020160055450A 2016-05-04 2016-05-0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KR10179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50A KR101791982B1 (ko) 2016-05-04 2016-05-0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50A KR101791982B1 (ko) 2016-05-04 2016-05-0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82B1 true KR101791982B1 (ko) 2017-10-31

Family

ID=6030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450A KR101791982B1 (ko) 2016-05-04 2016-05-04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89B1 (ko)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96B1 (ko)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8B1 (ko)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20210117403A (ko) * 2020-03-19 2021-09-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분류를 위한 물품 인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30B1 (ko) * 2010-08-10 2011-03-17 주식회사 삼송 날염용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830B1 (ko) * 2010-08-10 2011-03-17 주식회사 삼송 날염용 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289B1 (ko)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52296B1 (ko) 2018-02-13 2019-02-26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101969068B1 (ko) 2018-02-13 2019-04-15 (주)유영산업 원단 개폭용 가이드장치
KR20210117403A (ko) * 2020-03-19 2021-09-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분류를 위한 물품 인식 장치
KR102395003B1 (ko) * 2020-03-19 2022-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품 분류를 위한 물품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982B1 (ko)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WO2017099438A1 (ko) 원단 제조기의 히팅 롤러
KR101793162B1 (ko)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CN101443486A (zh) 用于在电解系统中输送待处理物品的方法、夹具和装置
KR20120078824A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JP5502503B2 (ja) ウエハ搬送装置およびウエハ搬送方法
KR20210039988A (ko) 인쇄물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시스템 및 방법
CN111834609B (zh) 蓄电池极板连续微波干燥方法
WO2002004293A1 (f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couvercles
JP2016069189A (ja) システムライン
KR20130085808A (ko) 온도 최적제어형 컨베이어 이송식 핫멜트 합지기 및 그의 발열 제어방법
CN210647366U (zh) 一种基于色彩识别纸板分选装置
CN214458889U (zh) 一种纺织面料高效定型设备
CN112893021A (zh) 玻璃纤维布封边用涂覆装置
CN214522691U (zh) 一种逐层印刷的彩印设备
CN105692046A (zh) 一种布匹高低位运送设备
JP2018067389A (ja) 電極搬送装置
JP2000106854A (ja) 包装食品殺菌装置および殺菌方法
CN217263510U (zh) 一种印刷机的纸板上料装置
CN215490903U (zh) 一种化学品干燥机的加料装置
CN211340019U (zh) 一种用于丝光机的加湿装置
CN212538674U (zh) 一种蓄电池极板连续干燥用微波窑
KR101420322B1 (ko) 효율이 향상된 건조유닛을 구비한 롤투롤 인쇄장치
KR102409314B1 (ko) 이송롤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라미네이팅 장치
CN217043343U (zh) 一种移动式筛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