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30B1 - 날염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날염용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30B1
KR101022830B1 KR1020100076694A KR20100076694A KR101022830B1 KR 101022830 B1 KR101022830 B1 KR 101022830B1 KR 1020100076694 A KR1020100076694 A KR 1020100076694A KR 20100076694 A KR20100076694 A KR 20100076694A KR 101022830 B1 KR101022830 B1 KR 101022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rying
printing
drying chamb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백
조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송
Priority to KR102010007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20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 D06B23/22Arrangements of 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ing-liquids, -gases or -vapours, e.g. purification, filtration or distillation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가지 방식 이상의 날염기로부터 날염된 직물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날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복수 개의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들이 층을 이루며 통과되면서 건조되는 건조실과, 상기 원단들을 상기 건조실 내에서 각각 건조하는 복수 개의 건조모듈, 및 상기 건조실 내에서 상기 원단을 각각 이송하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원단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50% 절약할 수 있고, 롤러날염 건조기 설치장소를 100% 줄였으며,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날염용 건조장치{DRYER FOR PRINTING}
본 발명은 날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2가지 방식 이상의 날염기로부터 날염된 원단을 동시에 건조할 수 있는 날염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염은 종이나 실, 직물, 특히 직물을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가 나타나도록 하는 기술로서 여러가지 방식에 의해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날염은 여러 분류방식이 있지만 그 기술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는 염료날염과 안료날염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염료날염에서는 대상이 어떠한 직물로 되어 있는가에 따라 그 직물을 필요한 견뢰도와 색상으로 착색하기에 적절한 염료를 고르고, 풀감을 끓여서 적당하게 넣어 점성이 있는 액에 다른 착색용 약제와 함께 넣고 잘 섞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나타내고자 하는 무늬대로 음각한 날인 롤러 또는 무늬대로 개공을 만든 스크린을 써서 직물을 날인한 뒤, 건조, 증열, 수세하여 무늬 및 색깔(COLOR)이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안료날염에서는 안료, 합성수지(초기 축합물), 용제, 물 등으로 날염품을 만들고 이것을 날인 롤러 또는 스크린을 써서 날염하고자 하는 직물에 날인한 뒤, 가볍게 건조시킨 다음 높은 온도의 건열로 처리하는데, 이를 베이킹(Baking) 또는 큐어링(Curing)이라고 한다. 이렇게 처리하면 안료는 직물에 전혀 친화력이 없는 착색제이지만 합성수지의 단단한 접착력에 의해서 직물을 단단하게 결합되므로, 이것을 수세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펼쳐진 직물을 이송시키면서 작업자가 헤어 드라이어와 같은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게 되었고, 이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균일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생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날염된 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날염용 건조장치는 날염기를 통과한 하나의 원단만을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졌기 때문에, 날염된 원단을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원단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폐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에너지의 소비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된 원단이 건조장치의 바깥쪽에 적층되므로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날염된 원단을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 원단을 건조시키는데 소요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날염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날염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들이 층을 이루며 통과되면서 건조되는 건조실과, 상기 원단들을 상기 건조실 내에서 각각 건조하는 복수 개의 건조모듈, 및 상기 건조실 내에서 상기 원단을 각각 이송하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원단중 상부측 원단은 주행식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이고, 하부측 원단은 롤러식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이다.
상기 각 건조모듈은, 상기 건조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팬, 및 상기 건조팬과 연결되고 상기 각 컨베이어의 상방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건조공기를 각각 분사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각 컨베이어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감싸며 회전하여 원단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망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원단들은 상기 건조실의 하방에 적층된다.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하부측 원단이 건조된 후 토출되는 원단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중 최하부 컨베이어의 하방에는 상기 원단 토출구로의 원단 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주행식 날염기 및 롤러식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을 동시에 건조함으로써, 각 원단을 각각의 건조실을 통해 건조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원단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50% 절약할 수 있고, 따로 시설해야 할 롤러날염 건조기의 설치장소를 100%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부 건조모듈을 통해 원단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로 하부 건조모듈을 통해 건조되는 원단을 건조시킬 수 있고, 반대로 하부 건조모듈을 통해 원단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로 상부 건조모듈을 통해 건조되는 원단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장치의 열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단의 건조속도가 빨라져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하부 컨베이어를 통과한 원단이 하부 컨베이어의 하부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재차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열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단의 건조속도가 빨라져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건조된 원단이 건조실의 하방 즉, 건조장치의 안쪽에 적층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바깥쪽에 적층되는 것에 비해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를 포함한 날염기 전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를 포함한 날염기 전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가 적용된 날염기의 전체시스템은, 주행식 날염기(10), 롤러식 날염기(20), 날염용 건조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식 날염기(10)는 날염대 위에 직물을 고정 부착시켜 놓고 인날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수날염(hand printing)과 동일하나 스퀴징이나 형틀의 이동을 기계화시킨 점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주행식 날염기(10)는 날염용 건조장치(30)의 입구측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롤러식 날염기(20)는 날염 무늬를 구리로 된 롤러에 형으로 조각하고 부에 날염호를 부착시켜 직물에 압착시킴으로써 스크린이 없이 인날한다. 요판날염(오목날염)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인 기계날염법의 하나이다. 즉 모양을 조각한 롤러를 색상마다 3~8개 맞추어 요판인쇄의 방법과 똑같이 모양 속에 날염호를 붙여 그것을 섬유에 인날한다. 롤러는 주로 동 롤러가 이용되며 요판(오목판)에 조각하는 데는 수조각법, 펜타그래프(pentagraph) 조각법 등이 있다. 이러한 롤러식 날염기(20)는 날염용 건조장치(30)의 입구측 아래에 설치된다.
상기 날염용 건조장치(30)는 건조공기를 이용해 주행식 날염기(10)를 통과한 원단(11) 및 롤러식 날염기(20)를 통과한 원단(21)을 동시에 건조시킨다. 건조된 원단(11)(21)은 날염용 건조장치(30)의 안쪽에 적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30)는, 건조실(31), 건조모듈(32)(33), 이송 컨베이어(34)(35), 구동모터(36), 가이드롤러(37) 및 토출 컨베이어(38)(39)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31)은 주행식 날염기(10)를 통과한 원단(11)과 롤러식 날염기(20)를 통과한 원단(21)이 이송되면서 건조공기에 의해 건조되는 곳으로, 일측면에는 원단(11)(21)이 유입되는 원단 유입구(31a)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주행식 날염기(10)로부터 이송된 후 건조된 원단(11)이 토출되는 제1원단 토출구(31b)가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롤러식 날염기(20)로부터 이송된 후 건조된 원단(21)이 토출되는 제2원단 토출구(31c)가 형성된다. 이러한 건조실(31)은 복수 개의 레그(31d)에 의해 바닥면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건조모듈(32)(33)은 주행식 날염기(1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11)을 건조하는 상부 건조모듈(32), 및 롤러식 날염기(2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21)을 건조하는 하부 건조모듈(33)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건조모듈(32)은, 건조실(31)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건조팬(321), 및 건조실(31) 내에서 후술할 상부 컨베이어(34)의 상방에 수평 설치되는 제1송풍덕트(322)를 포함한다.
이 때, 제1건조팬(321)은 건조공기를 제1송풍덕트(322)로 각각 공급해준다. 제1송풍덕트(322)의 일단은 제1건조팬(321)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송풍덕트(322)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분사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322a)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 하부 건조모듈(33)은, 건조실(31)의 외측면 상부 중심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건조팬(331), 및 건조실(31) 내에서 후술할 하부 컨베이어(35)의 상방에 수평 설치되는 제2송풍덕트(332)를 포함한다.
이 때, 제2건조팬(331)은 건조공기를 제2송풍덕트(332)로 각각 공급해준다. 제2송풍덕트(332)의 일단은 제2건조팬(331)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송풍덕트(332)의 하부에는 건조공기가 분사되는 복수 개의 분사구(332a)가 이격 형성된다. 한편, 제2건조팬(331)에 연결되는 제2송풍덕트(332)의 일단부는 상부 건조모듈(32) 및 상부 컨베이어(34)를 통해 원단의 건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제1송풍덕트(322) 및 상부 컨베이어의 앞쪽 또는 뒷쪽에 위치되며, 제2송풍덕트(332)의 타단부는 하부 컨베이어(35)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넓게 확장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34)(35)는, 주행식 날염기(1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11)을 수평 이동시키는 상부 컨베이어(34), 및 롤러식 날염기(2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21)을 수평 이동시키는 하부 컨베이어(35)를 포함한다.
이 때, 이송 컨베이어(34)(35)는, 건조실(31)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구동롤러(341)(351), 건조실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종동롤러(342)(352), 구동롤러(341)(351)와 종동롤러(342)(352)를 감싸며 회전하여 원단(11)(21)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343)(353), 및 구동롤러(341)(351)와 종동롤러(342)(352) 사이에 위치되어 컨베이어 벨트(343)(353)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344)(354)를 포함한다. 각 구동롤러(341)(351)는 건조실(31)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6)와 연동된다.
한편, 각 컨베이어 벨트(343)(353)는 망 형태로 형성되어, 건조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롤러(37)는 건조실(31) 내에서 하부 컨베이어(35)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건조실(31)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원단 토출구(31c)로의 원단 토출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토출 컨베이어(38)(39)는 건조실(31)의 외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건조실(31)을 통과하면서 건조된 원단(11)(21)이 원단 적층조(40)(50)에 각각 적층되도록 이송한다. 이러한 토출 컨베이어(38)(39)는, 구동롤러(381)(391), 종동롤러(382)(392), 컨베이어 벨트(383)(393) 및 구동모터(384)(39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날염용 건조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주행식 날염기(1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11)이 건조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원단(11)이 건조실(31)로 유입되면 상부 컨베이어(34)에 의해 원단(11)이 건조실(31)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제1건조팬(321)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제1송풍덕트(322)를 통해 상부 컨베이어(34) 쪽으로 분사됨으로써, 원단(11)이 건조된다.
건조가 완료된 원단(11)은 건조실(31)의 출구측에 형성된 제1원단 토출구(31b)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후 토출 컨베이어(38)를 통해 원단 적층조(40)에 적층된다. 이 때, 토출 컨베이어(38) 및 원단 적층조(40)는 건조실(31)의 하방에 위치된다.
이어서, 롤러식 날염기(20)로부터 이송되어온 원단(21)이 건조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원단(21)이 건조실(31)로 유입되면 하부 컨베이어(35)에 의해 원단(21)이 건조실(31)의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이송된다.
이 과정에서 제2건조팬(331)으로부터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제2송풍덕트(332)를 통해 하부 컨베이어(35) 쪽으로 분사됨으로써, 원단(21)이 건조된다.
건조가 완료된 원단(21)은 건조실(31)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2원단 토출구(31c)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 후 토출 컨베이어(39)를 통해 원단 적층조(50)에 적층된다. 이 때, 토출 컨베이어(39) 및 원단 적층조(50)는 건조실(31)의 하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원단이 제2원단 토출구(31c)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하부 컨베이어(35)의 하방에 위치된 가이드롤러(37)에 의해 원단(21)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된다.
한편, 상,하부 컨베이어(34)(35)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343)(353)는 망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송풍덕트(322)로부터 분사되는 건조공기중 원단(11)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건조공기외의 건조공기는 컨베이어 벨트(343)를 관통한 후 하부로 전달되어 하부 컨베이어(35)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21)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2송풍덕트(332)로부터 분사되는 건조공기중 원단(21)을 건조하는데 사용되는 건조공기 외의 건조공기는 컨베이어 벨트(353)를 관통한 후 하부로 전달되어 제2원단 토출구(31c)를 향해 이송되는 원단(21)을 재차 건조시키고, 아울러 상부 컨베이어(44)를 관통하여 상부 컨베이어(44)를 통해 이송되는 원단(11)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 날염용 건조장치에 의하면, 주행식 날염기(10) 및 롤러식 날염기(20)를 통과한 원단(11)(21)을 동시에 건조함으로써, 각 원단(11)(21)을 각각의 건조실을 통해 건조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원단(11)(21)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건조공간이 축소되어,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된다. 특히, 주행식 날염기(10) 및 롤러식 날염기(20)와 같이 서로 다른 염색방법에 의해 염색된 원단의 건조시 그 효과가 크다. 즉, 주행식 날염기(10)의 경우에는 염색방법의 특성상 건조기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염색이 이루어져 염색된 원단이 건조기로 공급되고, 롤러식 날염기(20)의 경우에는 염색방법의 특성상 건조기의 하방에서 염색이 이루어져 염색된 원단이 건조기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날염기(10)(20)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원단이 서로 상충되지 않게 공급될 수 있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염색된 원단의 동시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건조모듈(32)을 통해 원단(11)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로 하부 건조모듈(33)을 통해 건조되는 원단(21)을 건조시킬 수 있고, 반대로 하부 건조모듈(33)을 통해 원단(21)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로 상부 건조모듈(32)을 통해 건조되는 원단(11)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건조장치의 열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단의 건조속도가 빨라져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하부 컨베이어(35)를 통과한 원단(21)이 하부 컨베이어(35)의 하부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재차 건조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열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원단의 건조속도가 빨라져 제품의 양산성이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건조된 원단(11)(21)이 건조실의 하방 즉, 건조장치의 안쪽에 적층되기 때문에, 건조장치의 바깥쪽에 적층되는 것에 비해 공간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0 : 주행식 날염기 20 : 롤러식 날염기
30 : 날염용 건조장치 31 : 건조실
32 : 상부 건조모듈 33 : 하부 건조모듈
34 : 상부 컨베이어 35 : 하부 컨베이어
36 : 구동모터 37 : 가이드롤러
38,39 : 토출 컨베이어 40,50 : 원단 적층조

Claims (7)

  1. 복수 개의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들이 층을 이루며 통과되면서 건조되는 건조실;
    상기 원단들을 상기 건조실 내에서 각각 건조하는 복수 개의 건조모듈; 및
    상기 건조실 내에서 상기 원단을 각각 이송하는 복수 개의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중 상부측 원단은 주행식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이고, 하부측 원단은 롤러식 날염기를 통과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건조모듈은,
    상기 건조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팬; 및
    상기 건조팬과 연결되고 상기 각 컨베이어의 상방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로 건조공기를 각각 분사하는 송풍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베이어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종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감싸며 회전하여 원단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망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을 통과한 원단들은 상기 건조실의 하방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의 바닥면에는 하부측 원단이 건조된 후 토출되는 원단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중 최하부 컨베이어의 하방에는 상기 원단 토출구로의 원단 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염용 건조장치.
KR1020100076694A 2010-08-10 2010-08-10 날염용 건조장치 KR101022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94A KR101022830B1 (ko) 2010-08-10 2010-08-10 날염용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694A KR101022830B1 (ko) 2010-08-10 2010-08-10 날염용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830B1 true KR101022830B1 (ko) 2011-03-17

Family

ID=4393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694A KR101022830B1 (ko) 2010-08-10 2010-08-10 날염용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982B1 (ko) * 2016-05-04 2017-10-31 주식회사 삼송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1A (ja) * 1992-11-13 1995-01-20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KR100417273B1 (ko) 2001-05-30 2004-02-05 이범선 포일 공정, 주름 공정 및 번-아웃 공정 겸용 원단 처리장치 및 그 이용 방법
JP2005290593A (ja) * 2004-03-31 2005-10-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41A (ja) * 1992-11-13 1995-01-20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KR100417273B1 (ko) 2001-05-30 2004-02-05 이범선 포일 공정, 주름 공정 및 번-아웃 공정 겸용 원단 처리장치 및 그 이용 방법
JP2005290593A (ja) * 2004-03-31 2005-10-20 Konica Minolta Holdings Inc 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982B1 (ko) * 2016-05-04 2017-10-31 주식회사 삼송 원단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원단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800B1 (ko) 디지탈프린팅 원단 코팅장치
CN108517632B (zh) 一种纺织布浸染装置
KR100927951B1 (ko) 직물섬유 안료염색 가공장치
CN205416711U (zh) 一种织物转移印花装置
KR100989905B1 (ko) 디지털 프린터용 텍스타일 양면 건조장치
KR101007844B1 (ko) 타워형 건조장치
CN113605076A (zh) 一种智能制造用纺织物色牢度检查装置
KR101022830B1 (ko) 날염용 건조장치
KR20190069405A (ko) 다중 벨트 및 다중 구역 직물 건조기
CN102785466A (zh) 一种柔版滚筒式转移印花系统及印花方法
CN214458844U (zh) 一种服装面料染整设备
JP2017530036A (ja) 両面刷りされた印刷枚葉紙を均一に乾燥させるための装置を備える枚葉紙オフセット輪転印刷機
KR20110058011A (ko) 종이 염색장치 및 염색방법
CN216466888U (zh) 一种涤纶面料无水印染装置
KR20120046892A (ko) 날염 및 침염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염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072043A1 (en) Heated iron or roller for a textile printing apparatus
CN210561154U (zh) 一种具有熨烫功能的印染设备
KR200277626Y1 (ko)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CN202428785U (zh) 塑料膜印刷烘干机
CN219903816U (zh) 纺织喷墨印染装置及纺织喷墨印染设备
CN110525047A (zh) 一种3d打印喷涂快速干燥
CN205416712U (zh) 一种织物转移印花装置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KR200378683Y1 (ko) 복합기능을 갖는 섬유가공기
CN219430024U (zh) 一种皮革染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