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162B1 -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 Google Patents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162B1
KR101793162B1 KR1020170032070A KR20170032070A KR101793162B1 KR 101793162 B1 KR101793162 B1 KR 101793162B1 KR 1020170032070 A KR1020170032070 A KR 1020170032070A KR 20170032070 A KR20170032070 A KR 20170032070A KR 101793162 B1 KR101793162 B1 KR 10179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ressing
pressure
plat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네트
Priority to KR102017003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81);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복수의 고정판(82); 상기 고정판과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공과 동일선상에 걸림홀이 마련되며 셀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83); 및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 및 가압판의 걸림홀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의 걸림홀과 맞물리는 면취부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이 셀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8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열이 공급되는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으로 고밀도 및 고성능의 리듐전지를 얻을 수 있게 되고, 복수의 가압판이 동시에 복수의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편리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또한, 일정세기를 갖는 복수의 추가가압구를 마련하여 셀의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APPARATUS FOR PRESSING CELL FOR LITHIUM BATTERY FORMATION CHAMBER}
본 발명은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마련된 챔버에 설치되어 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열이 공급되는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상기 셀가압장치는 트레이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판과 이동되는 복수의 가압판 사이에 각각 셀을 배치하여 복수의 가압판이 동시에 복수의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일정세기를 갖는 복수의 추가가압구를 마련하여 셀의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컴퓨터, 컴퓨터 캠코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차전지는 니켈- 카드늄전지(nickel cadmium battery), 연축전지, 니켈 수소전지(nickelmetal hydride battery), 리튬 이온전지(lithium ion battery),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battery), 금속 리튬 2차전지, 공기 아연 축전지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다.
상기 전지들 중 리튬 2차전지(이하, 리튬전지라 함)는 작동 전압이 3.6 V로서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늄(Ni-Cd) 전지나 니켈-수소(Ni-MH)전지에 비해 수명이 약 3배이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는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먼저 활물질과 바인더 및 가소제를 혼합한 물질을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여 양극판과 음극판을 제조하고, 이를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적층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전지셀을 형성한 다음에, 이 전지셀을 전지 케이스에 삽입하고 밀봉함으로써 전지 팩을 완성하는 과정을 취한다.
그리고, 리튬 이차 전지는 조립된 후 바로 출시되지는 않고, 전지가 상기의 모든 공정을 거쳐 불량 없이 조립되었다고 하더라도 이차 전지의 특성인 충방전을 해보지 않고는 양품 판정을 내릴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지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또는 전지 성능 특히 수명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품 출하 전에 반드시 포메이션과 에이징이라는 두 가지 공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중 상기 포메이션 공정은 전지 조립후에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여 전지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포메이션 공정은 상온에서 충전과 방전만을 되풀이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고밀도와 고성능을 갖는 전지를 제작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특2000-0042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는 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마련된 챔버에 설치되어, 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열이 공급되는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트레이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판과 이동되는 복수의 가압판 사이에 각각 셀을 배치하여 복수의 가압판이 동시에 복수의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일정세기를 갖는 복수의 추가가압구를 마련하여 셀의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는, 트레이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복수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공과 동일선상에 걸림홀이 마련되며 셀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 및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 및 가압판의 걸림홀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의 걸림홀과 맞물리는 면취부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이 셀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샤프트는 일단부가 지지판의 일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와 원기둥부를 갖는 슬라이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와 슬라이딩부가 서로 베어링 연결되어 나사부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는 미끄럼 진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조는, 상기 트레이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셀; 상기 셀의 양측에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걸림홀이 마련되며 셀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걸림홀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의 걸림홀과 맞물리는 면취부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이 셀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셀의 대각선 반대편 절반크기의 면적을 가압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샤프트는 일단부가 지지판의 일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를 갖는 슬라이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와 슬라이딩부가 서로 베어링 연결되어 나사부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는 미끄럼 진퇴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샤프트의 인접부인 지지판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샤프트의 가압에 의한 가압판에 추가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가압구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가가압구는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는 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마련된 챔버에 설치되어, 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열이 공급되는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고밀도 및 고성능의 리듐전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트레이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판과 이동되는 복수의 가압판 사이에 각각 셀을 배치하여 복수의 가압판이 동시에 복수의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편리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또한, 일정세기를 갖는 복수의 추가가압구를 마련하여 셀의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를 나타낸 전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 요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트레이출입도어 개폐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트레이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온도조절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그립퍼 관련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그립퍼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제1장착틀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제2장착틀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가 적용된 챔버의 그립퍼 가압샤프트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를 갖는 챔버는, 일측에 정비통로(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트레이통로(12)가 마련된 챔버본체(10)와, 상기 정비통로(11)와 연결되는 정비용도어(20)와, 상기 트레이통로(12)와 연결되는 트레이출입도어(30)와, 상기 정비용도어(20) 일측에 마련되어 챔버본체(10)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히터(40)와, 상기 챔버본체(10) 내에 마련되어 셀(45)이 탑재된 트레이(50)를 떠받치는 트레이받침대(60)와, 상기 트레이받침대(60)의 양측에서 트레이(50) 방향으로 유동되며 셀(45)에 전원을 인가하는 그립퍼(71)와, 상기 트레이(50) 일측에 마련되어 셀(45)에 압력을 가하는 셀가압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는, 트레이(50)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8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81)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관통공(82a)을 갖는 복수의 고정판(82)과, 상기 고정판(82)과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공(82a)과 동일선상에 걸림홀(83a)이 마련되며 셀(45)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45)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83)과, 상기 고정판(82)의 관통공(82a) 및 가압판(83)의 걸림홀(83a)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83)의 걸림홀(83a)과 맞물리는 면취부(84a)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83)이 셀(45)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84)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샤프트(84)는 일단부가 지지판(81)의 일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84b)와, 나사부(84b)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84a)와 원기둥부(84c)를 갖는 슬라이딩부(84d)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84b)와 슬라이딩부(84d)가 서로 베어링(84e) 연결되어 나사부(84b)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84d)는 미끄럼 직진 진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샤프트(84)의 인접부인 지지판(81)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샤프트(84)에 의해 가압된 가압판(83)에 추가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가압구(85)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추가가압구(85)는 나사 방식으로 조여서 상기 가압판(83)을 가압하여 가압판(83)에 원하는 가압력을 추가로 보강하기 위해 소정의 세기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너트러너를 이용한 후 가압이 완료되면 별도의 너트(86)로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추가가압구(85)가 가압된 개수를 확인하여 셀(45)에 가해진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셀가압장치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트레이통로(12)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31)의 출몰로드(31a)를 조작하여 랙기어(32)를 이동시키면 이와 치합되어 있던 피니언기어(33)가 축회전되고 이와 함께 커넥팅로드(34)가 상향 축 회전되면서 트레이출입도어(30)를 개방한 후 트레이운반장치(운반로봇 등)가 트레이(50)를 챔버본체(10) 내부로 운반하여 양측 트레이받침대(60)에 올려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를 닫고 나서 챔버본체(10) 내부가 밀폐된 상태로 히터(40)를 통해 열(대략 70-80도)을 공급하고 셀가압장치를 통해 셀(45)을 가압(대략 10㎟ 당 10g)하면서 그립퍼(71)을 통해서 충방전 공정을 반복하면서 셀(45)의 포메이션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셀가압장치에서는 각각의 고정판(82)과 가압판(83) 사이에 셀(45)을 투입하고 나서 가압샤프트(84)를 조이면 이 가압샤프트(84)와 맞물려있는 복수의 가압판(83)이 일체로 동시에 이동하여 대응되는 고정판(82)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셀(45)을 가압한다.
그리고, 셀(45)을 가압한 상태의 가압판(83)에 추가로 가압력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추가가압구(85)를 이용하여 추가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가압이 완료되면 추가가압구(85)에 너트(86)를 체결하여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가압구조는, 트레이(90)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9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91)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셀(45)과, 상기 셀(45)의 양측에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걸림홀이 마련되며 셀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92)과, 상기 가압판(92)의 걸림홀(92a)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92)의 걸림홀(92a)과 맞물리는 면취부(93a)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92)이 셀(45)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9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판(92)은 셀(45)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셀(45)의 대각선 반대편 절반크기의 면적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샤프트(93)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단부가 지지판(91)의 일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미도시)와, 나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93a)를 갖는 슬라이딩부(93b)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와 슬라이딩부가 서로 베어링 연결되어 나사부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는 미끄럼 진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샤프트(92)의 인접부인 지지판(91)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가압샤프트의 가압에 의한 가압판에 추가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가압구(미도시)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셀(45)을 포메이션하기 위한 나머지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챔버본체(10)의 정비용도어(20)는 상기 정비통로(11)와 힌지봉(13)으로 힌지 연결되어 좌우로 개폐되고,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는 상기 트레이통로(12) 일측에 마련된 별도의 개폐수단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의 개폐수단은, 상기 트레이통로(12) 일측에 마련되어 상하로 출몰로드(31a)를 갖는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출몰로드(31a)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랙기어(32)와, 상기 랙기어(32)와 치합되어 축 회전되는 피니언기어(33) 및 상기 피니언기어(33)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와 힌지 연결되어 힌지 회전되는 커넥팅로드(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트레이출입도어(3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로드(34)는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가 힌지 연결된 상태로 축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트레이출입도어(30)와 인접 연결되는 한 쌍으로 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받침대(60)는, 상기 챔버본체(1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된 한 쌍의 하판(61)과, 상기 하판(61)의 상방으로 직립되는 복수의 기둥(62)과, 상기 기둥(62)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판(63) 및 상기 상판(63)에 놓이는 트레이(50)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는 지지부(6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64)는, 상기 상판(63)에 놓인 트레이(50)의 양측면을 감싸는 측벽체(64a)와, 상기 트레이(50)의 진입방향 선단부를 감싸는 선벽체(64b)와, 상기 트레이(50)의 진입방향 후단부를 감싸는 후단지지부(6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단지지부(64c)는, 상기 상판(63)의 저면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판(63)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회전대(64c1) 및 상기 회전대(64c1)의 하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판(63)의 관통부(63a)를 통해 상판(63)의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지렛대(64c2)를 포함하여, 상기 상판(63)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50)에 상기 지렛대(64c2)의 타단부가 눌리면서 상기 일단부가 상기 회전대(64c1)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대(64c1)가 상기 트레이(50)의 후단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63)의 저면과 지렛대(64c2) 사이에 탄성체(코일스프링)(65)가 마련되어 상기 지렛대(64c2)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렛대(64c2)와 회전대(64c1)가 원상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히터(40)의 열공급 구조는, 상기 챔버본체(10)를 향하는 상기 정비용도어(20)의 상, 하단부에 각각 마련된 상, 하부순환통로(21,22)와, 상기 하부순환통로(22)의 일측에 마련된 하부순환팬(23)과, 상기 트레이(50)의 직상방인 상기 챔버본체(10)의 천정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순환통로(21)와 연통되는 순환덕트(24)와, 상기 순환덕트(24)의 일측에 마련된 상부순환팬(25)을 포함하여, 상기 히터(40)의 열기가 하부순환팬(23)에 의해 챔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부순환팬(25)에 의해 상향 대류하여 상방의 트레이(50)를 거치면서 상기 셀(45)을 가열한 후 정비용도어(20)로 회수되고 나서 재차 상기 히터(40)에 의해 가열되어 챔버본체(10)로 다시 공급되는 대류순환방식의 열공급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의 하방에 상기 열기공급량을 제어하여 셀(45)에 가해지는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부(51)는, 상기 하부순환통로(22)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면에 통공(52a)이 형성된 온도조절덕트(52)와, 상기 온도조절덕트(52)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통공(52a)과 연통되는 통공(53a)이 마련된 개폐판(53)과, 상기 개폐판(53)의 상면에 배치되는 랙기어(54) 및 상기 랙기어(54)와 치합되어 상기 개폐판(53)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통공(52a)의 개도를 조절하는 피니언기어(55)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립핑 시스템은, 상기 그립퍼(71)가 장착되는 장착틀(72)이 마련된 그립핑본체(73)와, 상기 트레이(50) 방향으로 상기 그립핑본체(73)를 진퇴시키는 슬라이더(74)와, 상기 슬라이더(74)를 폭 방향으로 유동 안내하는 레일(75) 및 상기 슬라이더(74)와 일측이 연결되고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76)에 축착되어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록(7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핑본체(73), 슬라이더(74), 레일(75), 회전축(76), 이동블록(77)은 트레이(5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대칭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회전축(76) 단부 사이에는 베벨기어(78)가 치합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축(76)이 트레이(50)를 향해 서로 동일한 진퇴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핑본체(73)와 슬라이더(74) 사이에는 상기 그립핑본체(7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부(79)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79)는 그립퍼(71)를 통해 셀(45)의 양단부를 집을 때 서로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서로 간의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셀(45)의 양단부를 향해 직접 다가가지 않고 상기 그립퍼(71)를 셀(45)의 양단부보다 높게 상승시킨 다음 상기 셀(45)의 양단부를 감싼 상태로 하강한 후 그립퍼(71)를 조여 셀(45)을 그립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71)는 일측에 셀(45)의 양단부를 집는 그립편(71c)이 마련된 제1, 2그립퍼(71a,71b)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틀(72)은 각각의 제1, 2그립퍼(71a,71b)가 장착되도록 하는 제1, 2장착틀(72a,72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그립퍼(71a)는 일측에 걸림홈(71a1)이 마련되고, 상기 제1장착틀(72a)은 상기 제1그립퍼(71a)가 장착되는 오목부 형상의 장착부(72a1)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72a1)를 직교 관통하여 제1그립퍼(71a)의 걸림홈(71a1)과 맞물리는 면취부(72c1)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제1그립퍼(71a)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샤프트(72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그립퍼(71a)는 중앙에 상기 제2그립퍼(71b)가 배치되도록 오목하게 패인 배치부(71a2)가 마련된 디귿자 형상으로, 상기 배치부(71a2)의 상하단부에 각각 상기 걸림홈(71a1)이 마련되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1장착틀(72a)에 각각 상기 가압샤프트(72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그립퍼(71b)는 일측에 걸림홈(71b1)이 마련되고, 상기 제2장착틀(72b)은 상기 제2그립퍼(71b)가 장착되는 장착부(72b1)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72b1)를 직교 관통하여 제2그립퍼(71b)의 걸림홈(71b1)과 맞물리는 면취부(72c1)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제2그립퍼(71b)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가압샤프트(72c)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그립퍼(71a,71b)의 걸림홈(71a1,71b1)은 상향 오목하게 패인 형상으로 해당 가압샤프트(72c)의 면취부(72c1)의 상방에서 하강시켜 상기 걸림홈(71a1,71b1)이 상기 면취부(72c1)를 감싸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샤프트(72c)는 일단부가 제1, 2장착틀(72a,72b)의 일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축회전 이동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72c2)와, 나사부(72c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72c1)와 원기둥부(72c3)를 갖는 직진형 슬라이딩부(72c4)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72c2)와 슬라이딩부(72c4)가 서로 베어링(72C5) 연결되어 나사부(72c2)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72c4)는 미끄럼 직진 진퇴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72a1,72b1)는 제1, 2장착틀(72a,72b)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가압샤프트(72c)의 외주면은 면취부(72c1)와 원기둥부(72c3)가 연속되어 복수의 제1, 2그립퍼(71a,71b)가 장착되도록 하며, 면취부(72c1)와 원기둥부(72c3)의 경계인 단턱부에 상기 걸림홈(71a1,71b1)의 양측 테두리가 걸린 상태로 일체형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2d는 제1, 2그립퍼(71a,71b)와 맞닿아 전원을 인가하는 배선접합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는 셀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가 마련된 챔버에 설치되어, 셀의 포메이션 공정에서 열이 공급되는 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고밀도 및 고성능의 리듐전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 내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판과 이동되는 복수의 가압판 사이에 각각 셀을 배치하여 복수의 가압판이 동시에 복수의 셀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편리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일정세기를 갖는 복수의 추가가압구를 마련하여 셀의 가압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라 작업성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챔버본체 11 : 정비통로
12 : 트레이통로 13 : 힌지봉
20 : 정비용도어 21 : 상부순환통로
22 : 하부순환통로 23 : 하부순환팬
24 : 순환덕트 25 : 상부순환팬
30 : 트레이출입도어 31 : 실린더
32 : 랙기어 33 : 피니언기어
24 : 커넥팅로드 40 : 히터
45 : 셀 50 : 트레이
51 : 온도조절부 52 : 온도조절덕트
53 : 개폐판 54 : 랙기어
55 : 피니언기어 60 : 트레이받침대
61 : 하판 62 : 기둥
63 : 상판 64 : 지지부
65 : 탄성체 71 : 그립퍼
72 : 장착틀 73 : 그립핑본체
74 : 슬라이더 75 : 레일
76 : 회전축 77 : 이동블록
78 : 베벨기어 79 : 승강부
81 : 지지판 82 : 고정판
83 : 가압판 84 : 가압샤프트
85 : 추가가압구 91 : 지지판
92 : 가압판 93 : 가압샤프트

Claims (4)

  1. 트레이의 마주보는 테두리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판;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등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고정되고 일측에 관통공을 갖는 복수의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일정간격 평행하게 이격되고 일측에 상기 관통공과 동일선상에 걸림홀이 마련되며 셀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셀을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판;
    상기 고정판의 관통공 및 가압판의 걸림홀을 직교 관통하여 가압판의 걸림홀과 맞물리는 면취부를 갖고 상기 직교 방향으로 진퇴되면서 상기 가압판이 셀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게 하는 가압샤프트; 및
    상기 가압샤프트의 가압에 의한 가압판에 추가로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가압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샤프트는 일단부가 지지판의 일측과 나사 결합되도록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면취부와 원기둥부를 갖는 슬라이딩부가 마련되고, 상기 나사부와 슬라이딩부가 서로 베어링 연결되어 나사부의 정역 축 회전되는 동안 슬라이딩부는 미끄럼 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가압구는 상기 가압샤프트의 인접부인 지지판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가압구는 상기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KR1020170032070A 2017-03-14 2017-03-14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KR10179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70A KR101793162B1 (ko) 2017-03-14 2017-03-14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070A KR101793162B1 (ko) 2017-03-14 2017-03-14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162B1 true KR101793162B1 (ko) 2017-11-03

Family

ID=6038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070A KR101793162B1 (ko) 2017-03-14 2017-03-14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16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3481A (zh) * 2019-04-29 2019-10-11 宜宾茂泰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倍率软包电池的热压化成方法
CN110600785A (zh) * 2019-09-17 2019-12-20 苏州高迈新能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转盘结构的电芯模组堆叠装置
KR20200042801A (ko)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단락 검사와 활성화 공정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포메이션 장치
CN112271366A (zh) * 2020-11-04 2021-01-26 靖江市亚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船用锂电池模组紧固结构
KR20210051281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순차 가압 포메이션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포메이션 방법
CN113437367A (zh) * 2021-07-29 2021-09-24 江西安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锂电池外壳固定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WO2022164032A1 (ko) * 2021-02-01 2022-08-04 (주)에이프로 이재 유닛을 구비한 가압 활성화 장치
US11482763B2 (en) 2018-08-09 2022-10-25 Lg Energy Solution, Ltd.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185B1 (ko) * 2012-05-18 2012-08-10 (주)대흥정밀산업 이차전지용 가압 트레이
KR101181303B1 (ko) 2012-01-20 2012-09-11 주식회사 비주 리튬이온전지용 프레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303B1 (ko) 2012-01-20 2012-09-11 주식회사 비주 리튬이온전지용 프레스장치
KR101173185B1 (ko) * 2012-05-18 2012-08-10 (주)대흥정밀산업 이차전지용 가압 트레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2763B2 (en) 2018-08-09 2022-10-25 Lg Energy Solution, Ltd. Device for charging and discharging secondary battery
KR20200042801A (ko) 2018-10-16 2020-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단락 검사와 활성화 공정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포메이션 장치
CN110323481A (zh) * 2019-04-29 2019-10-11 宜宾茂泰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倍率软包电池的热压化成方法
CN110600785A (zh) * 2019-09-17 2019-12-20 苏州高迈新能源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转盘结构的电芯模组堆叠装置
KR20210051281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순차 가압 포메이션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포메이션 방법
EP3886231A4 (en) * 2019-10-30 2022-02-16 Lg Energy Solution, Ltd. SEQUENTIAL PRESSING FORMING JIG AND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2271366A (zh) * 2020-11-04 2021-01-26 靖江市亚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船用锂电池模组紧固结构
WO2022164032A1 (ko) * 2021-02-01 2022-08-04 (주)에이프로 이재 유닛을 구비한 가압 활성화 장치
CN113437367A (zh) * 2021-07-29 2021-09-24 江西安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锂电池外壳固定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162B1 (ko)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셀가압장치
KR101830350B1 (ko)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그립핑시스템
KR101793155B1 (ko)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용 열기순환구조
KR102164460B1 (ko) 가압 트레이
US9318730B2 (en) Tray for holding pouch-type batteries
EP3121868B1 (en) Pressurization device for battery cells
KR101780200B1 (ko) 리튬전지 포메이션 챔버구조
US10056597B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between grid and electrode tab of secondary battery
KR20200056531A (ko) 이차 전지의 탑 캡 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방법
KR20120095122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210145534A (ko) 전지 셀에 부착 가능한 접착 테이프용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102169162B1 (ko) 가압 활성화 공정 설비
KR20210051281A (ko) 순차 가압 포메이션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포메이션 방법
KR20100121366A (ko) 2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994003B (zh) 一种动力锂电池组装用工装
CN102884656A (zh) 二次电池用极板的真空干燥装置及干燥方法
EP1261062A2 (en) Lamination apparatus for an automated manufacturing system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N105070948A (zh) 软包锂离子电池化成分容设备
CN214469753U (zh) 圆柱电芯热传导式真空干燥箱
CN213600745U (zh) 一种软包锂电池批量测试设备
KR10235860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KR102322077B1 (ko) 폴딩플레이트를 구비한 2차전지 스테킹 장치
KR101738600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KR101543063B1 (ko) 기둥형 배터리 셀 용접용 지그
KR20210120266A (ko) 배터리 팩의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적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