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824A -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824A
KR20120078824A KR1020110000090A KR20110000090A KR20120078824A KR 20120078824 A KR20120078824 A KR 20120078824A KR 1020110000090 A KR1020110000090 A KR 1020110000090A KR 20110000090 A KR20110000090 A KR 20110000090A KR 20120078824 A KR20120078824 A KR 20120078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separator
seating
transf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004B1 (ko
Inventor
김선재
홍지준
Original Assignee
(주)열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린기술 filed Critical (주)열린기술
Priority to KR102011000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분리막의 공급방향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리막 안내수단과, 상기 분리막의 일측으로 양극판을 공급하는 제1 전극판 공급수단과, 상기 분리막의 타측으로 음극판을 공급하는 제2 전극판 공급수단과, 양극판 공급지점과 음극판 공급지점에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왕복되는 안착대를 구비하는 안착부와, 안착대의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안착대의 상면에 마련된 전극판 적층체를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와 안착부 사이의 분리막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과,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은 후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전극판 적층체를 회전시키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마다 분리막이 삽입되고 적층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양극판 및 음극판 휘어질 우려 없이 양극판과 음극판과 분리막을 적층할 수 있고, 적층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으로 감싸는 작업까지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내부에 들어있는 활물질의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전지는 화학반응 대신에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전자가 도선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특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자는 전기에너지가 되어서 우리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의 전지기술은 1860년 연축전지의 등장 이래 100년 이상 개량을 거듭하여 고출력화, 고성능화, 경량화, 소형화, 신뢰성 향상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서 그 기술이 크게 진보되어 왔다. 최근 전자 장비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실현되고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 이온 전지는, 리튬 이온의 삽입 및 탈리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어 상호 교번으로 적층되는 음극판 및 양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이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막과, 상기 음극판, 양극판, 분리막 적층부재가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주입되는 유기 전해액 또는 폴리머 전해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는, 리튬 이온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에서 삽입 및 탈리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튬 이온 전지는 소용량의 핸드폰 밧데리로부터 대용량의 전기자동차용 밧데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전극집전체의 면적도 1 내지 70㎠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분리막을 사이에 두면서 음극판과 양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는 구조체를 통상적으로 전극판 적층체라 하고, 전극판 적층체를 분리막으로 수회에 걸쳐 감싼 구조체를 통상적으로 전극조립체라고 하는데, 이와 같은 전극조립체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종류의 방법이 현재까지 제안 및 활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음극판과 양극판을 적층시킨 단위 전극판 적층체를 먼저 제작한 후, 상기 단위 전극판 적층체를 또 다른 단위 전극판 적층체 상에 적층시키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극조립체 제조공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전극판 적층체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차전지용 전극판 적층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10)를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되, 한 쌍의 접착제분사수단(30)을 이용하여 분리막(10)의 양면에 접착제를 분사한다. 접착제가 도포된 분리막(10)의 양면에는 각각 양극판(22)과 음극판(24)이 부착되며, 최초로 적층된 양극판(22)과 음극판(24)은 클램프(40)에 의해 물려 위치가 고정되고, 뒤 이어 적층되는 양극판(22)과 음극판(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적층되었던 양극판(22)과 음극판(24) 상측으로 이동된 후 적층된다. 이때, 양극판(22)과 음극판(24) 사이에 삽입되는 분리막(10)은 Z자 형상으로 접혀지게 되는데, 상측에 위치하는 양극판(22)과 음극판(24)이 최대한 우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분리막(10)의 하부 좌측단이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는바, 분리막(10) 일부가 음극판(24)으로부터 분리되고 양극판(22)의 일부가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트스태킹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뒤 이어 적층되는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을 최초 적층된 양극판(22) 및 음극판(24) 상부에 위치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는바,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을 분리막(1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뿐만 아니라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을 이송시키기 위한 별도의 이송수단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의 양측을 잡아 이동시킬 때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이 자중에 의해 휘어지게 되므로, 양극판(22) 및 음극판(24)의 손상이 우려될 뿐만 아니라 양극판(22)과 음극판(24)과 분리막(10)의 적층구조가 흐트러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양극판 및 음극판 휘어질 우려 없이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시키면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마다 분리막을 삽입시킬 수 있고, 적층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으로 수 회에 걸쳐 둘러싸는 공정까지 자동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분리막의 공급방향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리막 안내수단; 상기 분리막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으로 양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1 전극판 공급수단; 상기 분리막의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으로 음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2 전극판 공급수단;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가 상면에 상기 분리막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양극판 공급지점과 상기 음극판 공급지점에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왕복됨으로써,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는 구조의 전극판 적층체가 상기 안착대 상에서 제작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대의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안착대의 상면에 마련된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는 이송클램프와, 상기 이송클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클램프 이송블록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분리막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은 후 상기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회전시키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은, 회전축이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분리막이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 사이를 지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은, 양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1 흡착대와, 상기 제1 흡착대가 결합되는 제1 흡착대 승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흡착대 승강블록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1 흡착대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은, 음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2 흡착대와, 상기 제2 흡착대가 결합되는 제2 흡착대 승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흡착대 승강블록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2 흡착대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종방향 이송블록과, 상기 안착대가 장착되며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에 결합되는 승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 및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에 위치될 때보다 상기 안착대가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의 하측을 지날 때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에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인장력이 유지되도록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승강블록에 결합되는 횡방향 이송블록과,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안착대의 상측으로 이송된 후 하강될 때 상기 안착대 상에 안착된 물체를 하향 가압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는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의 이송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는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바는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대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에 제공된 음극판을 하향 가압하고, 상기 제2 고정바는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대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에 제공된 양극판을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상기 안착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는 상기 한 쌍의 종방향 이송블록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이송시켰을 때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이 상면에 거치되는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분리막 거치대 상에 거치된 분리막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분리막 가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와, 상기 각각의 측단클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과,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한 쌍의 측단클램프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은, 상기 측단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상기 이송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이후,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측단클램프가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사전에 설정된 단위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이 단위각도만큼 회전된 이후, 상기 이송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상기 측단클램프는 상기 전극판 적층체 클램핑을 해제하여 상기 분리막 폭방향으로 이송되었다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이를 감싸는 분리막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이송시켰을 때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이 상면에 거치되는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분리막 거치대 상에 거치된 분리막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분리막 가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단클램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게 되는 분리막의 길이만큼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 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대는, 승강 가능한 제1 안착대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제1 안착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안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클램프는 상기 제1 안착대가 하강된 이후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대에 안착된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과 저면을 클림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는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의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병렬 배열되는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안착대는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의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하로 개방되는 안착대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클램프는,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제1 이송바와, 상기 슬릿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저면을 상향 가압하는 제2 이송바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일측이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이송클램프가 장착되는 회동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절단수단 사이의 분리막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분사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분사수단은,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유닛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접착제 분사유닛이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사유닛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양극판 및 음극판의 크기가 크더라도 양극판과 음극판을 휘어질 우려 없이 교번으로 적층시킬 수 있고,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마다 분리막을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고, 분리막을 사이에 두며 적층되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분리막으로 수회에 걸쳐 감싸는 공정까지 자동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전극조립체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안착부와 절단부의 배치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분사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분리막을 사이에 두며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하여 전극판 적층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분리막 절단 및 접착제 도포과정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여분의 분리막으로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극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하여 전극판 적층체를 형성한 이후,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분리막(10)으로 수회에 걸쳐 감싸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양극판과 음극판의 좌우 양측만을 잡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이송시키게 되면 양극판과 음극판의 중단 부위가 아래로 처지게 되므로 양극판과 음극판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 구조가 비틀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분리막(10)의 공급방향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상기 분리막(1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도 4에서는 분리막(10)의 앞면으로부터 앞쪽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양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과, 상기 분리막(10)의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도 4에서는 분리막(10)의 뒷면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음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과, 상기 분리막(10)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410)를 구비하여 상기 양극판 공급지점과 상기 음극판 공급지점에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왕복 이송되는 안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대(410)는 상면에 상기 분리막(10)이 안착된 상태로 양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된 후 양극판을 전달 받게 되므로,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양극판은 안착대(410)의 상면에 안착된 분리막(10) 위에 적층된다. 또한, 양극판이 적층된 이후 상기 안착대(410)는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분리막 안내수단(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분리막(10)은 상기 양극판을 덮게 되므로,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음극판은 양극판을 덮은 분리막(10) 위에 적층된다. 또한, 음극판이 적층된 이후 상기 안착대(410)가 양극판 공급지점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음극판 위에 분리막(10)이 덮여지게 되므로, 새롭게 공급되는 양극판은 음극판을 덮는 분리막(10) 위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시키고자 할 때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극판과 음극판이 안착되는 안착대(410)가 왕복 이동하면서 양극판과 음극판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바, 양극판 및 음극판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양극판 및 음극판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리막(10)이 안착대(4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앞쪽과 뒤쪽으로 왕복 이송되면, 새롭게 전달 받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상면에 분리막(10)이 자동으로 덮이게 되므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로 분리막(10)을 삽입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안착대(410)의 상면에 분리막(10)이나 양극판이나 음극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대(410)가 이동할 때 상기 안착대(410)의 상면에 안착된 분리막(10)이나 양극판이나 음극판이 움직이지 아니하도록 상기 안착대(410)의 상면에 안착된 물체(즉, 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 중 어느 하나 이상)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500)과, 상기 안착대(410)의 상면에 마련된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잡아 이송시키는 이송수단(600)과, 상기 이송수단(600)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와 안착부(400) 사이의 분리막(10)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700)과, 이송수단(600)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은 후 상기 분리막(10)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회전시키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8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는 전극판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뿐만 아니라, 전극판 적층체 제작 이후 분리막(10)을 절단하는 공정과 전극판 적층체를 수회에 걸쳐 분리막(10)으로 둘러싸는 공정까지 수행할 수 있는바, 전극조립체 제조를 위한 전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극판 적층체를 분리막(10)으로 둘러싸는 작업은 현재까지 수작업에 의존해 왔는데,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전극판 적층체를 분리막(10)으로 둘러싸는 공정까지 자동화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이 가능해지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안착부(400)와 절단부의 배치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접착제 분사수단(900)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800)의 사시도이다.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분리막(10)은 일반적으로 얇은 필름 형태로 제작되는바, 이송과정에서 일측으로 틀어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에 포함되는 분리막 안내수단(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이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110)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10)은 한 쌍의 안내롤러(110) 사이를 지나 하향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분리막(10)이 한 쌍의 안내롤러(110)를 지나도록 공급되면, 분리막(10)이 일측으로 틀어지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0)는 분리막(10)의 전면과 후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막(10)의 전면과 후면을 타고 구를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야 할 것이며,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0)가 분리막(1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0)를 분리막(10)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이 양극판 및 음극판의 측단을 잡아 이송하게 되면 양극판 및 음극판의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처질 수 있고, 양극판 및 음극판의 측단을 잡는 과정에서 양극판 및 음극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은, 양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1 흡착대(210)와, 상기 제1 흡착대(210)가 결합되는 제1 흡착대 승강블록(220)과,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흡착대 승강블록(220)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1 흡착대 이송블록(230)을 포함하여, 양극판을 한 장씩 분리막(10)의 앞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 역시, 음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2 흡착대(310)와, 상기 제2 흡착대(310)가 결합되는 제2 흡착대 승강블록(320)과,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흡착대 승강블록(320)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2 흡착대 이송블록(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판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이 분리막(10)의 앞면 측에 위치되고 음극판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이 분리막(10)의 뒷면 측에 위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과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의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 및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으로부터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전달받기 위한 안착부(400)는, 분리막(10)의 두께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종방향레일(R)을 따라 이동되는 종방향 이송블록(420)과, 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이 적층되는 안착대(410)가 장착되어 종방향 이송블록(420)에 결합되는 승강블록(430)을 포함하여,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420)이 종방향레일(R)을 따라 왕복됨에 따라 상기 안착대(410)가 양극판 공급지점과 분리막 안내수단(100) 하측과 음극판 공급지점을 지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대(410)의 높이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면, 상기 안착대(410)가 양극판 공급지점이나 음극판 공급지점에 위치되었을 때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간의 거리보다 상기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하측을 지날 때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간의 거리가 더 짧으므로, 상기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하측을 지날 때 분리막(10)(더 명확하게는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이 구겨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대(410)가 장착된 승강블록(430)은, 상기 안착대(410)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 및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의 하측에 위치될 때보다 상기 안착대(410)가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하측을 지날 때 하강됨으로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막(10)이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상기 분리막(10)이 비틀어지거나 구겨질 수 있고,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에 인가되는 인장력의 크기가 너무 크면 상기 분리막(10)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대(410)가 장착된 승강블록(430)은, 상기 안착대(410)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분리막 안내수단(100)과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에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인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420)이 종방향레일(R)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서서히 하강되었다가 서서히 상승되어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대(410) 상에 적층 구조로 안착되는 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을 안착대(4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0)은,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승강블록(430)에 결합되는 횡방향 이송블록(510)과,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5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안착대(410)의 상측으로 이송된 후 하강될 때 상기 안착대(410) 상에 안착된 물체(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 중 하나 이상이 적층된 전극판 적층체)를 하향 가압하는 고정바(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바(520)가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방향 이송블록(510)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을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고정바(520)의 상측에 분리막(10)과 양극판 또는 음극판이 추가적으로 적층되었을 때 안착대(410)와 멀어지는 수평방향 즉,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라 후진하여 전극판 조립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후, 일정 높이 상승한 다음 다시 추가적으로 적층된 분리막(10)과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진하여 추가적으로 적층된 분리막(10)과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하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의 적층이 반복되는 동안 안착대(410) 상에 적층된 전극판 적층체를 안정적으로 안착대(410)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착대(410)의 상측에 안착된 전극판 적층체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바(52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바(520)가 전극판 적층체를 하향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바(520)의 상측에 분리막(10)과 양극판이 추가적으로 적층되었을 때 상기 고정바(520)가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후진하는 동작과, 일정 높이 상승하는 동작과, 추가적으로 적층된 분리막(10)과 양극판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전진하는 동작과, 다시 추가적으로 적층된 분리막(10)과 양극판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동작이 모두 이루어진 후, 상기 안착대(410)가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되어야 한다. 즉, 고정바(52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4가지의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야 안착대(410)가 이송될 수 있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고정수단(500)에는, 분리막(10)과 음극판이 추가로 적층되었을 때 이들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1 분리바와, 분리막(10)과 양극판이 추가로 적층되었을 때 이들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제2 분리바가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고정바(522)는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에 의해 상기 안착대(410)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410)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410)에 제공된 음극판을 하향 가압하고, 상기 제2 고정바(524)는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200)에 의해 상기 안착대(410)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410)가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300)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410)에 제공된 양극판을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바(520)가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로 구성되면, 제1 고정바(522)가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빠지도록 후진하는 동안 제2 고정바(524)가 전극판 적층체를 하향 가압하도록 전진하고, 제2 고정바(524)가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빠지도록 후진하는 동안 제1 고정바(522)가 전극판 적층체를 하향 가압하도록 전진하게 되므로, 분리막(10)과 양극판과 음극판을 다수 개 적층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는 전극판 적층체의 좌우측(분리막(10) 폭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양측)을 모두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420)은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상기 안착대(4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는 상기 한 쌍의 종방향 이송블록(420)에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이 사전에 설정된 개수만큼 모두 적층되어 전극판 적층체 제작이 완료되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감쌀 수 있는 길이만큼 여유분을 남겨두고 분리막(10)을 절단시켜야 하는데, 절단부위의 분리막(10)을 고정시키지 아니하면 분리막(10) 절단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리막(10) 절단 이후 여유분의 분리막(10)이 아래로 떨어지게 되어 여유분의 분리막(10)으로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는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수단(700)은, 상기 이송수단(600)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이송시켰을 때 상기 이송수단(600)과 상기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이 상면에 거치되는 분리막 거치대(710)와, 상기 분리막 거치대(710) 상에 거치된 분리막(10)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분리막 가압블록(720)과,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720)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 거치대(710)와 상기 안착대(410) 사이의 분리막(10)을 절단하는 절단날(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날(730)은 분리막 가압블록(720)이 분리막 거치대(710)의 상측에 밀착되도록 하강된 후 상기 분리막(10)을 절단하게 되는바 분리막(10) 절단부위가 흔들리지 아니하게 됨으로 인하여 분리막(10)을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고, 분리막(10) 절단이 완료된 이후 여유분의 분리막(10) 끝단이 분리막 가압블록(720)과 분리막 거치대(710) 사이에 고정되므로 향후 여유분의 분리막(10)으로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는 작업이 가능해진다.
분리막(10) 절단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800)에 의하여 전극판 적층체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전극판 적층체가 여유분의 분리막(10)으로 감싸지도록 한다.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800)은 이와 같은 동작이 가능하도록, 이송수단(600)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와, 상기 각각의 측단클램프(810)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과,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한 쌍의 측단클램프 이송블록(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적층체의 양측을 잡은 후 여분의 분리막(10)이 모두 전극판 적층체를 감쌀 때까지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이 회전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측단클램프(810)까지 여분의 분리막(10)에 의해 수회에 걸쳐 감싸지게 되므로, 상기 측단클램프(810)가 쉽게 빠지지 아니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단클램프(810)는 여분의 분리막(10)이 일정량만큼 전극판 적층체를 감싼 이후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완전히 빠지도록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후퇴하였다가 다시 전진하여, 여분의 분리막(10)이 일정량 감싸진 전극판 적층체를 잡아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은, 상기 측단클램프(810)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이송클램프(610)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이후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측단클램프(810)가 분리막(10)으로 감싸지도록 사전에 설정된 단위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이송클램프(610)는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이 단위각도만큼 회전된 이후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며, 상기 측단클램프(810)는 전극판 적층체 클램핑을 해제하여 상기 분리막(10) 폭방향으로 이송되었다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이를 감싸는 분리막(10)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단클램프(810)가 회전됨에 따라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게 되는 분리막(10)의 길이만큼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여분의 분리막(10) 끝단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여분의 분리막(10) 끝단을 잡아 고정시키고 있는 절단수단(700)은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는 분리막(10)의 길이만큼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800) 측으로 이송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여분의 분리막(10)이 전극판 적층체를 감쌀 때 여분의 분리막(10)이 전극판 적층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600)과 상기 절단수단(700) 사이에 위치하는 여분의 분리막(10)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분사수단(90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 분사수단(9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유닛(910)과,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접착제 분사유닛(910)이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사유닛 이송블록(9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유닛(910)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접착제 분사유닛(910)의 내부 구성 및 접착제 분사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600)은, 상기 안착대(410)의 상면에 마련된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는 이송클램프(610)와, 상기 이송클램프(610)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1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클램프 이송블록(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안착대(410)가 하나의 블록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과 저면을 잡아 클램핑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대(410)는, 승강 가능한 제1 안착대(412)와, 상기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르는 제1 안착대(41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안착대(414)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자 할 때 상기 제1 안착대(412)가 하강하도록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안착대(412)가 하강되면,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한 쌍의 제2 안착대(414)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대(414)에 안착된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과 저면을 잡아 클림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적층체의 가운데 부위만을 클램핑하게 되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좌우측이 아래로 처지게 되어 변형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클램프(610)는 전극판 적층체의 가운데 부위만을 클램핑하는 것이 아니라 전극판 적층체의 좌우측까지 모두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전극판 적층체와 접촉되는 부위가 전극판 적층체의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바(520)와 제2 안착대(414)는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할 때 상기 이송클램프(610)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는 상호 이격되도록 병렬 배열되고, 상기 제2 안착대(414)는 상기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 사이의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하로 개방되는 안착대(410) 슬릿(415)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클램프(610)는 상기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제1 이송바(612)와, 상기 슬릿(415)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저면을 상향 가압하는 제2 이송바(614)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분의 분리막(10)이 모두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게 되어 전극조립체가 제작된 이후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전극조립체를 이송벨트(B)로 넘길 수 있도록, 상기 이송수단(600)은 일측이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블록(62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이송클램프(610)가 장착되는 회동블록(6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클램프(610)가 회동블록(630)에 의해 이송클램프 이송블록(62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상기 회동블록(630)이 회동됨에 따라 이송클램프(610)가 이송클램프 이송블록(620)을 넘어 이송벨트(B)의 상측에 위치되는바, 상기 전극조립체는 이송벨트(B) 상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분리막(10)을 사이에 두며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하여 전극판 적층체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도 13은 분리막(10) 절단 및 접착제 도포과정을 도시하며, 도 14 내지 도 16은 여분의 분리막(10)으로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막 안내수단(100)을 통해 공급되는 분리막(10)의 끝단을 안착대(410)의 상면에 고정시킨 후, 종방향 이송블록(420)과 승강블록(430)을 작동시켜 상기 안착대(410)를 양극판 공급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막(10)의 끝단은 고정바(520)에 의해 안착대(410) 상면에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바(522)만으로 분리막(10) 끝단을 안착대(410) 상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를 모두 사용하여 분리막(10) 끝단을 안착대(410) 상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안착대(410)가 양극판 공급지점에 위치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착대(210)를 안착대(410) 상면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흡착대(210)의 저면에 흡착된 양극판을 분리막(10) 및 제1 고정바(522)의 상측에 안착시키고, 제1 고정바(522)를 분리막(10)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양극판과 분리막(10) 사이에서 빠지도록 함과 동시에 제2 고정바(524)를 양극판의 상면으로 이송시킨 후 하강시켜 상기 양극판 및 분리막(10)이 제2 고정바(524)에 의해 안착대(41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제1 고정바(522)가 양극판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제1 흡착대(210)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410)는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된다. 이때, 안착대(4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하측을 지날 때 안착대(410)와 분리막 안내수단(100) 간의 거리가 안착대(410)와 분리막 안내수단(100) 사이의 분리막(10) 길이보다 짧으므로, 상기 분리막(10)이 접히거나 구겨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대(410)는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되는 동안 분리막(10)에 어느 정도의 인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즉, 분리막(10)이 팽팽하게 잡아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한편, 안착대(410)가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되면 제2 흡착대(310)가 안착대(410)의 상측으로 이송되어 저면에 흡착된 음극판을 안착대(410)에 추가적으로 적층시키게 되는데,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의 하측을 지나 음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양극판의 상면은 분리막(10)으로 덮여지게 되므로, 상기 음극판은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 상측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되는 안착대(410)가 분리막 안내수단(100)을 가운데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왕복하게 되면, 새롭게 안착된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상면에 분리막(10)이 자동으로 추가 적층되므로,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로 분리막(10)을 삽입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흡착대(310)에 의해 음극판이 추가적으로 적층되면, 양극판을 하향 가압하고 있던 제2 고정바(524)는 분리막(10)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로부터 빠지게 되고, 제1 고정바(522)는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음극판의 상면으로 이동한 후 하향 가압함으로써 새롭게 적층된 분리막(10)과 음극판을 포함한 전극판 조립체 전체를 안착대(4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안착대(410)에 안착된 전극조립체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바(520)가 제1 고정바(522)와 제2 고정바(524)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바(522)가 분리막(10)과 양극판 사이로부터 빠지는 동안 제2 고정바(524)가 새롭게 적층된 분리막(10) 및 양극판을 포함한 전극판 조립체를 안착대(410)에 고정시킬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바(524)가 양극판과 분리막(10) 사이로부터 빠지는 동안 제1 고정바(522)가 새롭게 적층된 분리막(10) 및 음극판을 포함한 전극판 조립체를 안착대(4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 고정바(524)가 새롭게 적층된 음극판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제2 흡착대(310)는 원위치로 복귀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대(410)는 양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안착대(410)가 음극판 공급지점으로부터 양극판 공급지점으로 이송될 때에도, 분리막(10)이 접히거나 구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볼록한 원호방향의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양극판 및 음극판 적층과정이 수차례 반복되어 양극판과 음극판이 사전에 설정된 개수만큼 적층된 전극판 조립체가 완성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600)의 이송클램프(610)는 안착대(410)에 위치된 전극판 조립체를 클램핑한 후, 절단수단(700)에 포함되는 분리막 가압블록(720)과 분리막 거치대(710) 사이를 지나고, 접착제 분사수단(900)의 하측을 지날 때까지 전극판 조립체를 이송시킨다. 전극판 조립체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720)은 분리막 거치대(710)를 향해 하강되어 분리막 가압블록(720)과 분리막 거치대(710) 사이의 분리막(10)을 고정시키고, 분리막 가압블록(720)에 장착된 절단날(730)은 분리막(10)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막(10)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 분사유닛(910)은 분사유닛 이송블록(920)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분리막(1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분리막(10) 절단 및 접착제 도포가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클램프(610)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 사이로 전극판 조립체를 이송시키고,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조립체의 양측을 잡아 고정시킨 후, 이송클램프(610)는 전극판 조립체 클램핑을 해제하고 상기 전극판 조립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송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조립체의 양측 끝단만을 잡게 되면,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조립체 클램핑을 해제하였을 때 전극판 조립체의 가운데 부위가 아래로 처지게 되므로, 상기 측단클램프(810)는 전극판 조립체의 가운데 부위까지 클램핑할 수 있도록 분리막(10)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단클램프(810)는, 이송클램프(610)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즉,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조립체를 클램핑하는 부위를 벗어난 지점만을 클램핑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조립체를 완전히 잡으면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은 분리막(10) 폭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에 결합된 측단클램프(810) 역시 자전하게 되는바, 상기 전극판 적층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분의 분리막(10)에 의해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감싸지게 된다. 이때,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있는 측단클램프(810) 역시 여분의 분리막(10)에 의해 감싸지게 되는데, 상기 여분의 분리막(10)이 측단클램프(810)를 여러겹으로 감싸게 되면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아니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여분의 분리막(10)이 측단클램프(810)를 1회 또는 2회에 걸쳐 감싸게 되면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820)의 자전은 중지되고, 이송클램프(610)가 전극판 조립체(여분의 분리막(10)으로 감싸진 전극판 조립체)를 클램핑하며,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는 전극판 조립체로부터 빠지도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된다.(도 16 참조)
이와 같이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가 전극판 조립체로부터 완전히 빠진 이후,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810)는 여분의 분리막(10)으로 감싸진 전극판 조립체를 다시 클램핑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여분의 분리막(10)이 추가적으로 전극판 조립체를 감싸도록 한다. 물론, 상기 이송클램프(610)는 측단클램프(810)가 회전되기 이전에 클램핑을 해제한 후 전극판 조립체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전방으로 이송되어야 할 것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과정이 수차례 반복되어 여분의 분리막(10)이 모두 전극판 조립체를 감싸게 되어 전극조립체가 완성되면, 이송클램프(610)는 상기 전극조립체를 클램핑하고 회동블록(630)은 이송클램프(610)가 이송벨트(B)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회전되는바, 전극조립체는 이송벨트(B)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를 이용하면, 분리막(10)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교번으로 적층시켜 전극판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과, 여분의 길이를 두고 분리막(10)을 절단하는 공정과, 여분의 분리막(10)으로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 전극조립체를 완성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조립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극조립체 제조장치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측단만을 잡고 이송시켜가면서 적층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극판과 음극판을 안착대(4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안착대(410) 자체를 이송시켜가면서 양극판과 음극판을 적층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양극판과 음극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분리막 100 : 분리막 안내수단
110 : 안내롤러 200 : 제1 전극판 공급수단
210 : 제1 흡착대 220 : 제1 흡착대 승강블록
230 : 제1 흡착대 이송블록 300 : 제2 전극판 공급수단
310 : 제2 흡착대 320 : 제2 흡착대 승강블록
330 : 제2 흡착대 이송블록 400 : 안착부
410 : 안착대 412 : 제1 안착대
414 : 제2 안착대 415 : 슬릿
420 : 종방향 이송블록 430 : 승강블록
500 : 고정수단 510 : 횡방향 이송블록
520 : 고정바 522 : 제1 고정바
524 : 제2 고정바 600 : 이송수단
610 : 이송클램프 612 : 제1 이송바
614 : 제2 이송바 620 : 이송클램프 이송블록
630 : 회동블록 700 : 절단수단
710 : 분리막 거치대 720 : 분리막 가압블록
730 : 절단날 800 : 적층체 회전수단
810 : 측단클램프 820 : 측단클램프 회전블록
830 : 측단클램프 이송블록 900 : 접착제 분사수단
910 : 접착제 분사유닛 920 : 분사유닛 이송블록
R : 종방향레일 B : 이송벨트

Claims (18)

  1. 분리막의 공급방향을 하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리막 안내수단;
    상기 분리막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으로 양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1 전극판 공급수단;
    상기 분리막의 타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으로 음극판을 하향 공급하는 제2 전극판 공급수단;
    상기 분리막과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를 구비하며, 상기 안착대가 상면에 상기 분리막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양극판 공급지점과 상기 음극판 공급지점에 교번으로 위치되도록 왕복됨으로써,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양극판과 음극판이 교번으로 적층되는 구조의 전극판 적층체가 상기 안착대 상에서 제작되도록 하는 안착부;
    상기 안착대의 상면에 안착된 물체를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안착대의 상면에 마련된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는 이송클램프와, 상기 이송클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클램프 이송블록을 포함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분리막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수단;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은 후 상기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회전시키는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은,
    회전축이 평행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분리막이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 사이를 지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은,
    양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1 흡착대와, 상기 제1 흡착대가 결합되는 제1 흡착대 승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흡착대 승강블록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1 흡착대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은,
    음극판 흡착을 위한 흡착홀이 저면에 형성되는 제2 흡착대와, 상기 제2 흡착대가 결합되는 제2 흡착대 승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흡착대 승강블록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제2 흡착대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종방향 이송블록과, 상기 안착대가 장착되며 승강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에 결합되는 승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 및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에 위치될 때보다 상기 안착대가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의 하측을 지날 때 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분리막 안내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에 사전에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인장력이 유지되도록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승강블록에 결합되는 횡방향 이송블록과, 상기 횡방향 이송블록에 승강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안착대의 상측으로 이송된 후 하강될 때 상기 안착대 상에 안착된 물체를 하향 가압하는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의 이송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는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고정바는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대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에 제공된 음극판을 하향 가압하고, 상기 제2 고정바는 상기 제1 전극판 공급수단에 의해 상기 안착대 상에 음극판이 제공되었을 때부터 상기 안착대가 상기 제2 전극판 공급수단의 하측으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안착대에 제공된 양극판을 하향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상기 안착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는 상기 한 쌍의 종방향 이송블록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이송시켰을 때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이 상면에 거치되는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분리막 거치대 상에 거치된 분리막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분리막 가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전극판 적층체 중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양측을 잡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와, 상기 각각의 측단클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과, 상기 한 쌍의 측단클램프 회전블록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한 쌍의 측단클램프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은, 상기 측단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상기 이송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이후,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측단클램프가 분리막으로 감싸지도록 사전에 설정된 단위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측단클램프 회전블록이 단위각도만큼 회전된 이후, 상기 이송클램프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클램핑하고, 상기 측단클램프는 상기 전극판 적층체 클램핑을 해제하여 상기 분리막 폭방향으로 이송되었다가 상기 전극판 적층체 및 이를 감싸는 분리막을 함께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이송시켰을 때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이 상면에 거치되는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분리막 거치대 상에 거치된 분리막을 하향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분리막 가압블록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분리막 가압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막 거치대와 상기 안착대 사이의 분리막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단클램프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전극판 적층체를 감싸게 되는 분리막의 길이만큼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전극판 적층체 회전수단 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승강 가능한 제1 안착대와,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을 따르는 제1 안착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안착대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클램프는 상기 제1 안착대가 하강된 이후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대 사이로 진입하여 상기 한 쌍의 제2 안착대에 안착된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과 저면을 클림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상기 종방향 이송블록의 이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병렬 배열되는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안착대는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의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하로 개방되는 안착대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클램프는, 상기 제1 고정바와 제2 고정바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는 제1 이송바와, 상기 슬릿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전극판 적층체의 저면을 상향 가압하는 제2 이송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일측이 상기 이송클램프 이송블록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이송클램프가 장착되는 회동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과 상기 절단수단 사이의 분리막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분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분사수단은,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 분사유닛과, 상기 분리막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접착제 분사유닛이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분사유닛 이송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20110000090A 2011-01-03 2011-01-03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131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90A KR101319004B1 (ko) 2011-01-03 2011-01-03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090A KR101319004B1 (ko) 2011-01-03 2011-01-03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24A true KR20120078824A (ko) 2012-07-11
KR101319004B1 KR101319004B1 (ko) 2013-10-16

Family

ID=4671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090A KR101319004B1 (ko) 2011-01-03 2011-01-03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00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86B1 (ko) * 2012-07-24 2014-03-13 한화테크엠주식회사 배터리 제조 장치
KR101429132B1 (ko) * 2013-03-06 2014-08-27 유일에너테크(주) 극판 와인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셀
KR20150058977A (ko) * 2013-11-21 2015-05-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결합방법
CN105501999A (zh) * 2015-11-23 2016-04-20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蓄电池摆放周转装置
CN105680070A (zh) * 2014-12-08 2016-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堆的激活装置
WO2017016400A1 (zh) * 2015-07-24 2017-02-02 江苏华东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叠片装置
KR101981010B1 (ko) * 2018-08-01 2019-08-28 정연길 이차 전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CN111618603A (zh) * 2020-05-27 2020-09-04 均普工业自动化(苏州)有限公司 一种镍镉电池的装配及焊接生产线
WO2021194285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082B1 (ko) * 2018-09-07 2019-03-18 조기봉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WO2022039497A1 (ko) * 2020-08-21 2022-0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접착층 코팅부, 그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24096693A1 (ko) *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7371A (ja) * 1990-10-29 1992-06-15 Yuasa Corp 蓄電池用極板群の製造法とその装置
KR200244341Y1 (ko) 2001-05-23 2001-10-29 주식회사 코캄엔지니어링 자동화된 리튬 2차전지 제조 시스템
KR101140447B1 (ko) * 2007-09-19 2012-04-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스택 제조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686B1 (ko) * 2012-07-24 2014-03-13 한화테크엠주식회사 배터리 제조 장치
KR101429132B1 (ko) * 2013-03-06 2014-08-27 유일에너테크(주) 극판 와인딩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셀
KR20150058977A (ko) * 2013-11-21 2015-05-2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결합방법
CN105680070A (zh) * 2014-12-08 2016-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燃料电池堆的激活装置
US9985298B2 (en) 2014-12-08 2018-05-29 Hyundai Motor Company Activation apparatus of fuel cell stack
US10644357B2 (en) 2015-07-24 2020-05-05 Tsinghua University Lithium ion battery stacking device
WO2017016400A1 (zh) * 2015-07-24 2017-02-02 江苏华东锂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锂离子电池叠片装置
CN105501999A (zh) * 2015-11-23 2016-04-20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蓄电池摆放周转装置
CN105501999B (zh) * 2015-11-23 2018-07-06 天能电池(芜湖)有限公司 蓄电池摆放周转装置
KR101981010B1 (ko) * 2018-08-01 2019-08-28 정연길 이차 전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WO2020027395A1 (ko) * 2018-08-01 2020-02-06 정연길 이차 전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CN112585793A (zh) * 2018-08-01 2021-03-30 裕日有限公司 二次电池制造设备和使用该设备的二次电池制造方法
US11670794B2 (en) 2018-08-01 2023-06-06 Youilet Co., Lt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WO2021194285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23517320A (ja) * 2020-03-25 2023-04-2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セル製造装置及び方法
CN111618603A (zh) * 2020-05-27 2020-09-04 均普工业自动化(苏州)有限公司 一种镍镉电池的装配及焊接生产线
CN111618603B (zh) * 2020-05-27 2021-07-09 均普工业自动化(苏州)有限公司 一种镍镉电池的装配及焊接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004B1 (ko)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004B1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1287415B1 (ko)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KR101287417B1 (ko)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테이핑장치
KR101220981B1 (ko) 이차전지용 전극판 적층장치
US111014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1090076B1 (ko) 2차 전지의 전극탭 필름 열융착장치
KR102043113B1 (ko) 2차전지셀 정렬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2차전지셀 적층 시스템
US201502633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stacks
JP2007329111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袋入り電極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287413B1 (ko) 전극판 적층체 랩핑장치
JP2007329112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287414B1 (ko)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적층장치
CN111816928A (zh) 一种锂电池电芯多张叠片设备及叠片方法
CN114122527B (zh) 一种电芯循环供外板叠片生产线及其生产工艺
US202301483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nit Cells
KR101287416B1 (ko) 전극판 적층장치
US20220336839A1 (en) Composite device and laminating machine
JP5831488B2 (ja) 電池用樹脂シートの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KR20210096269A (ko) 전극 적층체의 제작 방법 및 장치
KR101241928B1 (ko) 포켓팅 전극체 제조장치
KR20120065479A (ko) 필름 이송장치
CN221102331U (zh) 一种隔膜送料装置及叠片机
KR100597266B1 (ko) 보호테이프 부착장치
KR20040079537A (ko) 와인딩 타입의 셀 스태킹머신용 와인딩 장치
KR101287410B1 (ko)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