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656A - 실린더 헤드 가스켓 - Google Patents

실린더 헤드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656A
KR20090020656A KR1020087032183A KR20087032183A KR20090020656A KR 20090020656 A KR20090020656 A KR 20090020656A KR 1020087032183 A KR1020087032183 A KR 1020087032183A KR 20087032183 A KR20087032183 A KR 20087032183A KR 20090020656 A KR20090020656 A KR 20090020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cylinder head
full bead
combustion chamb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593B1 (ko
Inventor
가즈야 요시지마
야스마로 다케다
시게오 기요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니혼 개스킷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258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206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니혼 개스킷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2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15/0825Flat gaskets la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1/00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5Flat gaskets without fold 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62Flat gaskets with a bore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실린더 헤드 가스켓은 실린더 헤드측에서 제 1 가스켓 기판 (11), 실린더 블록 (2) 측에서 제 2 가스켓 기판 (12), 가스켓 두께를 조정하는 심 (15), 및 실린더 (3) 의 주변부측에서 면압을 증가시키는 증압판 (16) 을 갖는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에서, 풀 비드 (11a, 12a) 는 실린더 (3) 의 주변부측에서 팽창되고, 하프 비드 (11b, 12b) 는 풀 비드 (11a, 12a) 의 외측 영역에서 팽창된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풀 비드 (11a)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 (12a) 는 풀 비드 (11a, 12a) 의 상부 (11c, 12c) 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심 (15) 및 증압판 (16) 은 상부 (11c, 12c) 사이에 개재된다.

Description

실린더 헤드 가스켓{CYLINDER HEAD GASKET}
본 발명은 엔진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용 엔진, 특히 디젤 엔진의 성능의 향상과 관련하여, 엔진의 연소압이 높아지고, 엔진의 증가된 실린더내 압력에 대한 추세가 진행하고 있다. 증가된 실린더 압력에 대한 추세로 인해,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상대 움직임이 증가되어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량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삽입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에 의해 제공되는 시일링 성능에 대한 요구를 더 높인다.
실린더 주변부측 부분 (연소실 주위) 의 시일링 성능이 향상되도록 의도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일례가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935544 호 참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935544 호는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외부 영역에서보다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두께가 더 큰 가스켓 부판, 및 실린더 주변부 측 영역에 형성된 풀 비드 (full bead) 가 각각 제공된 복수의 가스켓 기판이 적층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개시하고 있다. 가스켓 부판은 인접한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스커트부 사이에 개재되고, 가스켓 부판을 개재한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상부가 다른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상부에 중첩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935544 에 기재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에 따르면, 가스켓 부판의 두께가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외부 영역에서보다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에서 더 크기 때문에, 실린더 주변부에서의 면압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가스켓 부판의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 및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외부 영역이 단일 부재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다중 실린더 엔진에 적용시에 가스켓 부판의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두께를 각각의 실린더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과 실린더 주변부측 영역의 외부 영역 사이의 면압 균형을 각각의 실린더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스켓 부판을 개재한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상부가 다른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상부에 적층되기 때문에, 즉, 인접한 가스켓 기판이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상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적층되기 때문에, 조립 등의 동안에 인접한 가스켓 기판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이러한 어긋남의 발생 지점에서, 밀폐성이 저하하여 면압의 분산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가된 엔진의 실린더내 압력에 관련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 (follow-up characteristic) 을 높이면서 인접한 가스켓 기판 사이의 어긋남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시일링 성능을 보장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실린더 헤드 가스켓이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 가스켓은, 실린더 헤드측에 위치되고 연소실에 연결하기 위한 연소실 구멍을 갖는 제 1 가스켓 기판,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되고 연소실에 연결하기 위한 연소실을 갖는 제 2 가스켓 기판, 두께 조정판, 및 증압판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팽창된 풀 비드를 갖고, 풀 비드의 외측으로 팽창된 하프 비드 (half bead) 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는 풀 비드의 풀 비드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풀 비드 상부 사이에는 두께 조정판 및 증압판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엔진의 실린더내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상대 움직임이 커지고,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탄성을 갖는 복수의 가스켓 기판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질 수 있다.
게다가, 두께 조정판과 증압판이 별개 부재로서 제공되기 때문에, 증압판의 두께가 엔진의 각각의 실린더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실 구멍측 부분과 연소실 구멍측 부분 외측의 부분 사이의 면압 균형이 각각의 실린더마다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어서, 각각의 실린더에 대해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가스켓 기판이 풀 비드 상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더라도, 제 1 및 제 2 가스켓 기판 사이에는 두께 조정판 및 증압판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 등의 동안에, 제 1 및 제 2 가스켓 기판은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고, 풀 비드 상부는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거의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밀폐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면압의 분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시일링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실린더 헤드 가스켓은 제 1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헤드측에 적층되는 제 3 가스켓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팽창된 제 3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3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팽창된 제 3 하프 비드를 가지며, 제 3 가스켓 기판의 제 3 풀 비드는 제 3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제 3 풀 비드가 상하 방향으로 제 1 풀 비드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 1 가스켓 기판의 제 1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제 3 가스켓 기판은 제 1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헤드측에 적층되고, 제 3 가스켓 기판면의 풀 비드 스커트부 및 제 1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상호 마주한다. 이에 따라, 조립 등의 동안에 제 3 가스켓 기판 및 제 1 가스켓 기판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게 되더라도, 두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부의 상부는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지 않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제 1 양태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 가스켓은 제 2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블록측에 적층되는 제 4 기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 4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팽창된 제 4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4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팽창된 제 4 하프 비드를 가지며, 제 4 가스켓 기판의 제 4 풀 비드는 제 4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제 4 풀 비드가 상하 방향으로 제 2 풀 비드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 2 가스켓 기판의 제 2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라, 제 4 가스켓 기판이 제 2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블록에 적층되고, 제 4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스커트부 및 제 2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상호 마주한다. 이에 따라, 조립 등의 동안에 제 4 가스켓 기판 및 제 2 가스켓 기판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게 되더라도, 두 가스켓 기판의 풀 비드부의 상부는 기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부가 아닌 스커트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인접한 가스켓 기판이 적층되기 때문에, 인접한 가스켓 기판의 상부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어긋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밀폐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면압의 분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시일링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따라, 엔진의 증가된 실린더내 압력과 관련된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을 높이면서 인접한 가스켓 기판 사이의 어긋남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적인 시일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선 (Ⅱ-Ⅱ) 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 은 변형예 1 에 따른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도시하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변형예 2 에 따른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도시하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변형예 3 에 따른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도시하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변형예 4 에 따른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도시하는 도 2 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직렬 4 기통 디젤 엔진 (이하, "엔진" 이라고 한다) 용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을 도시한다. 이 예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은 엔진 (1) 의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치된 하부측 실린더 블록 (2) 과 상부측 실린더 헤드를 체결 볼트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이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개재되어서,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이 시일된다.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은 심 (shim) (15) 과 증압판 (16) 이 함께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가스켓 기판 (제 1~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을 포함한다. 가스켓 기판, 심 (15) 및 증압판 (16) 은 공지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랜스 락 등) 에 의해 일체적으로 체결된다.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은 실린더 (3) 의 위치에 맞추어 형성된 4 개의 연소실 구멍 (17) 을 갖는다. 또,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은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를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 볼트가 삽입되는 복수의 볼트 구멍 (18), 냉각수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각수 구멍 (19), 윤활유가 유동하는 복수의 윤활유 구멍 등을 갖는다.
심 (15) 은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판이고, 엔진 (1) 의 연소실의 미리 결정된 용량을 달성하도록 제공된 일반적으로 평평한 금속판이다. 심 (15) 은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연소실 구멍 (17) 측 (실린더 (3) 의 주변부측)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부로), 예를 들어,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주변부로 연장한다. 심 (15) 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두께가 조정되어서, 엔진 (1) 의 각각의 연소실의 용량이 조정된다.
증압판 (16) 은 연소실 구멍 (17) 주위의 면압을 높이기 위해서 제공되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금속판이다. 도 1 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압판 (16) 은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연소실 구멍 (17) 주위에 제공된다. 구체 적으로, 증압판 (16) 은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측부의 단부로부터 이하에 설명될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가 상호 대향하는 위치의 외부에 있는 영역까지 연장한다. 증압판 (16) 의 두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연소실 구멍 (17) 주위의 면압이 연소실 구멍 (17) 주위의 영역의 외부 영역의 면압보다 높아져서, 연소실 구멍 (17) 주위 영역과 그의 외측의 영역 사이의 면압 균형을 조정하게 된다.
가스켓 기판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측 (도 2 에서의 상부측) 과 실린더 블록 (2) 측 (도 2 에서의 하부측) 의 각각에 가스켓 기판이 2 개씩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3 가스켓 기판 (13) 이 심 (15) 및 증압판 (16) 의 상부측에 적층되어 있고, 제 2 가스켓 기판 (12)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이 심 (15) 및 증압판 (16) 의 하부측에 적층되어 있다. 즉,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이 심 (15) 및 증압판 (16) 이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2 가스켓 기판 (12) 사이에 삽입된 채 상호 대향되도록 제공되고, 제 3 가스켓 기판 (13)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제 3 가스켓 기판 (13) 과 제 4 가스켓 기판 (14) 사이에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이 삽입된 채 상호 대향되도록 제공된다.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은 탄성을 갖고 실린더 블록 (2) 및 실린더 헤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루미늄계 합금, 주철 등 보다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SECC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은 그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 된다. 심 (15) 및 증압판 (16) 을 가로질러 상호 대향하는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은 가스켓 기판의 적층 방향 (상하 방향) 과 직교하는 평면 ("기판면" 이라고 한다) 에 대하여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은, 그 연소실 구멍 (17) 측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측부) 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는 풀 비드부 (11a, 12a) 를 갖는다. 풀 비드부 (11a, 12a) 는 팽창 방향으로 상호 대향된다 (풀 비드부 (11a) 는 하방으로 팽창된 형상을 갖고, 풀 비드부 (12a) 는 상방으로 팽창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측부에 있는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일부분에 형성된 풀 비드부 (11a) 는 실린더 블록 (2) 측 (하부측) 을 향하여 팽창된 역 V 자 단면 형상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을 갖는다. 한편,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측부에 있는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일부분에 형성된 풀 비드부 (12a) 는 실린더 헤드측 (상부측) 을 향하여 팽창된 역 V 자 단면 형상 (대략 사다리꼴) 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1a, 12a) 에 있어서, 심 (15) 및 증압판 (16) 을 가로질러 마주보면서 상호 가까이 있는 상부 (11c, 12c) 와 그 스커트부는 심 (15) 및 증압판 (16) 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풀 비드부 (11a, 12a) 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높은 가스 시일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풀 비드부 (11a) 및 풀 비드부 (12a) 는 폭 (도 2 에서 좌우 방향의 치수) 이 동일하고 팽창량이 동일하도록 설계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1a, 12a) 는 연소실 구멍 (17) 의 주변부로부터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풀 비드부 (11a) 의 상부 (11c) 까지의 치수가 연소실 구멍 (17) 의 주변부로부터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2a) 의 상부 (12c) 까지의 치수와 동일하도록 설계된다.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는 연소실 구멍 (17) 으로부터 멀리 있는 증압판 (16) 의 단부의 연소실 구멍 (17) 측에 제공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며 제공된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사이에 심 (15) 및 증압판 (16) 이 개재된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는 하프 비드부 (11b, 12b) 가 연소실 구멍 (17) 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측부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측) 에 형성된다. 하프 비드부 (11b, 12b) 의 팽창 방향은 상호 반대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측에 있는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일부분에 형성된 하프 비드부 (11b) 가 실린더 블록 (2) 측을 향해 팽창된다. 한편,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측에 있는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일부분에 형성된 하프 비드부 (12b) 는 실린더 헤드측을 향해 팽창된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하프 비드부 (11b, 12b) 에 있어서, 그 상부 (11d, 12d) 는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2 가스켓 기판 (12) 사이에 심 (15) 이 개재된 채 상호 마주하고, 그 스커트부는 심 (15) 으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형성된다. 하프 비드부 (11b, 12b) 는 실린더 헤 드 가스켓 (10) 의 높은 액체 시일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하프 비드부 (11b, 12b) 는 팽창단을 연소실 구멍 (17) 으로부터 멀리 있는 측까지 연장함으로써 얻어진 단면 형상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즉,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하프 비드부 (11b, 12b) 는 폭 (도 2 에서 좌우 방향의 치수) 및 팽창량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어서, 연소실 구멍 (17) 의 주변부로부터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하프 비드부 (11b) 의 상부 (11d) 까지의 치수가 연소실 구멍 (17) 의 주변부로부터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하프 비드부 (12b) 의 정부 (12d) 까지의 치수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하프 비드부 (11b, 12b) 의 팽창량은 풀 비드부 (11a, 12a) 의 팽창량과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실린더 헤드측에 적층되는 제 3 가스켓 기판 (13) 은 기판면에 대해서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형상과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 3 가스켓 기판 (13) 은 제 2 가스켓 기판 (12) 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헤드측을 향해 팽창되는 역 V 자 단면 형상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을 갖는 풀 비드부 (13a) 는 실린더 (3) 의 주변부측에 있는 제 3 가스켓 기판 (13) 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측을 향해 팽창된 하프 비드부 (13b) 가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측에 있는 제 3 가스켓 기판 (13) 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제 3 가스켓 기판 (13) 은 그 풀 비드부 (13a) 가 제 1 가스켓 기판 (11) 의 풀 비드부 (11a) 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제공된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3 가스켓 기판 (13) 의 풀 비드부 (11a, 13a) 에 있어서, 그 스커트부는 상호 마주하고, 그 상부 (11c, 13c) 가 상호 떨어져 있게 된다.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실린더 블록 (2) 측에 적층되는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기판면에 대해서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형상에 대칭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블록 (2) 측을 향해 팽창된 역 V 자 단면 형상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을 갖는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실린더 (3) 의 주변부측에 있는 제 4 가스켓 기판 (14) 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 (2) 측을 향해 팽창되는 하프 비드부 (14b) 가 실린더 (3) 의 주변부의 외측에 있는 제 4 가스켓 기판 (14) 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풀 비드부 (14a) 가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2a) 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제공된다. 제 2 가스켓 기판 (12)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의 풀 비드부 (12a, 14a) 에 있어서, 그 스커트부가 상호 마주하고, 그 상부 (12a, 14c) 는 상호 떨어져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의 형상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및 제 3 가스켓 기판 (13) 의 형상은 풀 비드부 및 하프 비드부의 팽창 방향에서만 서로 상이하다. 이와 같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에 있어서는, 풀 비드부 및 하프 비드부의 팽창 방향에서만 서로 상이한 형상의 가스켓 기판이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에 따라, 이하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이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배치되고 체결 볼트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될 때,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의 풀 비드부 (11a ~ 14a) 및 하프 비드부 (11b ~ 14b) 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변형되어서,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이 시일링된다.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의 압축 결과,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의 탄성이 제 1 ~ 제 4 가스켓 기판 (11 ~ 14) 에서 복원력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에서는, 탄성을 갖는 복수의 가스켓 기판 (11 ~ 14) 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엔진 (1) 의 실린더내 압력이 높아질 때,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상대 움직임이 커져서,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이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배치된다면,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질 것이다.
여기에서 증압판 (16) 이 심 (15) 에 대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금 이동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심 (15) 및 증압판 (16) 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비해, 증압판 (16) 의 이러한 미끄러짐이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시에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심 (15) 과 증압판 (16) 이 별도의 부재이기 때문에, 증압판 (16) 의 두께가 엔진 (1) 의 각 실린더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 (3) 주변부의 측부의 부분과 그의 외측의 부분 사이의 면압 균형이 각 실린더마다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어, 각 실린더마다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3 가스켓 기판 (13) 은 풀 비드부 (11a, 13a) 의 스커트부가 서로 마주하고, 그 상부 (11c, 13c) 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적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가스켓 기판 (12)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은 풀 비드부 (12a, 14a) 의 스커트부가 서로 마주하고, 그 상부 (12c, 14c) 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적층되어 있다. 이로써, 조립 등의 동안에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3 가스켓 기판 (13) 의 사이, 또는 제 2 가스켓 기판 (12) 과 제 4 가스켓 기판 (14) 사이에서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발생하더라도, 풀 비드부의 상부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는 않는다. 즉, 인접한 가스켓 기판의 상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가스켓 기판이 적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접한 가스켓 기판의 상부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밀폐성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고, 면압의 분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어서, 안정적인 시일링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판의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가 서로 마주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사이에 심 (15) 및 증압판 (16) 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더라도,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거의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많은 경우에, 증압판 (16) 은 거의 강성을 갖지 않는 약 0.08 ~ 0.12 mm 두께의 금속판이다. 이에 따라,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2 가스켓 기판 (12) 사이에 증압판 (16) 만이 삽입되고 심 (15) 등은 없는 경우에,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2 가스켓 기판 (12) 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증압판 (16) 이 가압되고 구부러지고,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당히 어긋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증압판 (16) 뿐만 아니라 심 (15) 도 제 1 가스켓 기판 (11) 과 제 2 가스켓 기판 (1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심 (15) 은 약 0.3 ~ 0.5 mm 의 두께의 금속판이다. 심 (15) 및 증압판 (16) 이 삽입된다면, 증압판 (16) 만이 삽입되는 경우보다 높은 강성이 달성된다. 이 구성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1 가스켓 기판 (11) 및 제 2 가스켓 기판 (12) 의 풀 비드부 (11a, 12a) 의 상부 (11c, 12c) 사이의 어긋남을 감소시켜서, 그 어긋남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심 (15) 에 대해 강성이 높은 소재가 사용된다면, 상기에 언급된 어긋남의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가스켓 기판 (11 ~ 14) 의 적층이 엔진의 증가된 실린더내 압력에 관련된 실린더 블록 (2) 과 실린더 헤드 사이의 간격에 대한 추종성을 높인다. 추종성은 적층되는 가스켓 기판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되는 가스켓 기판의 수가 3 개로 감소된다면, 추종성이 약간 저하하지만, 엔진의 실린더내 압력이 상기에 설명된 경우보다 약간 낮은 경우에는 이러한 배열이 효과적이다. 이 배열의 경우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 제 3 가스켓 기판 (21 ~ 23) 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20) 을 형성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 제 3 가스켓 기판 (31 ~ 33) 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30) 을 형성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변형예 1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20) 은 도 2 에 도시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으로부터 제 4 가스켓 기판 (14) 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도 4 에 도시된 변형예 2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30) 은 도 2 에 도시된 상기에 서술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으로부터 제 3 가스켓 기판 (13) 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변형예 1, 2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20, 30) 은 또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실린더 블록이 알루미늄계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오픈 데크 구조인 경우에는, 변형예 1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20) 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실린더 헤드 가스켓 (20) 이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삽입되고 이들이 체결 볼트를 통해 일체적으로 결합될 때, 실린더 라이너 (워터 쟈켓의 내측부) 에 대응하거나 그 실린더 라이너를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의 일부분이 압축되어서, 복원력이 발생하고 그 부분이 일종의 스프링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강성이 높은 실린더 헤드는 스프링으로서는 작용하지 않는다.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와 사이의 시일링의 관점에서는, 스프링으로서 작용하 는 실린더 블록의 측부에서보다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지 않는 실린더 헤드의 측부에 가스켓 기판을 더 많이 적층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또한, 적층되는 가스켓 기판의 수가 2 개로 감소된다면, 추종성이 저하하지만, 엔진의 실린더내 압력이 상기에 설명된 경우보다 낮다면 이러한 배열은 효과적이다. 이 배열의 경우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스켓 기판 (41) 및 제 2 가스켓 기판 (42) 은 실린더 헤드 가스켓 (40) 을 형성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변형예 3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40) 은 도 2 에 도시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으로부터 제 3 가스켓 기판 (13) 및 제 4 가스켓 기판 (14) 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변형예 3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40) 은 또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한다.
한편, 적층되는 가스켓 기판의 수를 5 개 이상으로 증가시켜서 추종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은 엔진의 실린더내 압력이 높은 경우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5 개의 가스켓 기판 (51 ~ 55) 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 가스켓 (50) 을 형성하도록 적층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변형예 4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50) 은 도 2 에 도시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의 실린더 헤드측에 제 5 가스켓 기판 (61) 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변형예 4 의 실린더 헤드 가스켓 (50) 은 또한 상기에 설명된 실린더 헤드 가스켓 (10) 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달성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 제 3 가스켓 기판 (53) 및 제 5 가스켓 기판 (61) 이 풀 비드부 (53a, 61a) 의 상부 (53c, 61c) 가 서로 마주하도록 적층되기 때문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평평한 금속판 (62) 이 제 3 가스켓 기판 (53) 및 제 5 가스켓 기판 (61)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제 3 가스켓 기판 (53) 및 제 5 가스켓 기판 (61) 이 기판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풀 비드부 (53a, 61a) 의 상부 (53c, 61c) 가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거의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적층되는 가스켓 기판의 수가 6 개 이상인 배열에서도, 인접한 가스켓 기판이 그의 풀 비드 상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적층된다면 인접한 가스켓 기판 사이에 일반적으로 평평한 금속판이 삽입된다.
상기의 설명에서, 심이 실린더 헤드 측에 배치되고 증압판이 실린더 블록 (2) 측에 배치되었지만, 심을 실린더 블록 (2) 측에 배치하고 증압판을 실린더 헤드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7)

  1. 실린더 헤드측에 위치되고, 실린더에 의해 규정되는 연소실에 연결하기 위한 연소실 구멍을 갖는 제 1 가스켓 기판,
    실린더 블록측에 위치되고, 제 1 가스켓 기판의 연소실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소실에 연결하기 위한 연소실 구멍을 갖는 제 2 가스켓 기판,
    두께 조정판,
    증압판을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 사이에 삽입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으로서,
    상기 제 1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실린더 블록을 향해 팽창된 제 1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1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실린더 블록을 향해 팽창된 제 1 하프 비드를 가지며,
    상기 제 2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실린더 헤드를 향해 팽창된 제 2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2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를 향해 팽창된 제 2 하프 비드를 가지며,
    제 1 가스켓 기판 및 제 2 가스켓 기판은 제 1 풀 비드의 풀 비드 상부 및 제 2 풀 비드의 풀 비드 상부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두께 조정판 및 증압판이 제 1 풀 비드의 상부와 제 2 풀 비드의 상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헤드측에 적층되고 제 1 가스켓 기판의 연소실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소실 구멍을 갖는 제 3 가스켓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실린더 헤드를 향해 팽창된 제 3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3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를 향해 팽창된 제 3 하프 비드를 가지며,
    제 3 가스켓 기판의 제 3 풀 비드는 제 3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제 3 풀 비드가 제 1 풀 비드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 1 가스켓 기판의 제 1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켓 기판의 실린더 블록측에 적층되고, 제 2 가스켓 기판의 연소실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소실 구멍을 갖는 제 4 가스켓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가스켓 기판은 연소실 구멍측에서 실린더 블록을 향해 팽창된 제 4 풀 비드를 갖고, 또한 제 4 풀 비드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에서 실린더 블록을 향해 팽창된 제 4 하프 비드를 가지며,
    제 4 가스켓 기판의 제 4 풀 비드는 제 4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가 제 4 풀 비드가 제 2 풀 비드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 2 가스켓 기판의 제 2 풀 비드의 풀 비드 스커트부와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판은 연소실 구멍의 주변부로부터 제 1 풀 비드의 상부 및 제 2 풀 비드의 상부가 서로 대향되는 위치보다 연소실 구멍으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까지 연장하는 폭을 갖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조정판은 연소실 구멍의 주변부로부터 실린더 헤드 가스켓 주변부까지 연장하는 폭을 갖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압판은 연소실 구멍의 주변부에서 면압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린더 헤드 가스켓의 두께는 상이한 두께를 갖는 두께 조정판으로 교체함으로써 조정되는 실린더 헤드 가스켓.
KR1020087032183A 2006-07-03 2007-07-02 실린더 헤드 가스켓 KR101147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83314 2006-07-03
JP2006183314A JP4314251B2 (ja) 2006-07-03 2006-07-03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PCT/IB2007/001806 WO2008004078A1 (en) 2006-07-03 2007-07-02 Cylinder head gas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656A true KR20090020656A (ko) 2009-02-26
KR101147593B1 KR101147593B1 (ko) 2012-05-21

Family

ID=3862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183A KR101147593B1 (ko) 2006-07-03 2007-07-02 실린더 헤드 가스켓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23230B2 (ko)
EP (1) EP2041459B8 (ko)
JP (1) JP4314251B2 (ko)
KR (1) KR101147593B1 (ko)
CN (1) CN101484735B (ko)
RU (1) RU2401393C2 (ko)
WO (1) WO20080040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827B1 (ko) * 2012-05-22 2013-10-16 동아공업 주식회사 코팅부를 갖는 가스켓
KR101326845B1 (ko) * 2011-11-29 2013-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스켓
KR101509784B1 (ko) * 2009-09-03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관용 가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4097B2 (ja) * 2007-09-12 2010-09-01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5035695B2 (ja) * 2008-09-12 2012-09-26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5212667B2 (ja) 2008-09-18 2013-06-19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10090945A (ja) * 2008-10-06 2010-04-22 Nippon Gasket Co Ltd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5344222B2 (ja) * 2008-12-26 2013-11-20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におけるオイル落し穴のシール構造
CN102549317B (zh) * 2009-06-24 2014-11-05 费德罗-莫格尔公司 汽缸盖垫片
WO2011024812A1 (ja) * 2009-08-26 2011-03-03 Nok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及び金属ガスケット用金型の製造方法
JP5327013B2 (ja) * 2009-11-19 2013-10-3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振動抑制構造
KR101154403B1 (ko) * 2009-12-03 2012-06-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가스켓 유닛
EP2681470B1 (en) * 2011-03-03 2018-01-24 Federal-Mogul Corporation Cylinder head gasket
US8616557B2 (en) * 2011-10-06 2013-12-31 Federal-Mogul Corporation Multilayer gasket with segmented integral stopper feature
US8814171B2 (en) * 2011-10-25 2014-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gine sealing assembly
AT512134B1 (de) * 2011-11-07 2013-08-15 Bernecker & Rainer Ind Elektronik Gmbh Hygienegerechtes anzeige- und bediengerät
US9027935B2 (en) * 2012-01-31 2015-05-12 Federal-Mogul Corporation Gasket with a compression limiter
US9970548B2 (en) * 2013-03-14 2018-05-15 Federal-Mogul Llc Multi-layer gasket
EP3003426B1 (de) 2013-05-30 2021-03-10 SHL Medical AG Vorrichtung zur abgabe eines fluids an einen patienten
US20150226153A1 (en) * 2014-02-13 2015-08-13 Federal Mogul Corporation Cylinder head gasket for high load and motion applications
JP6398147B2 (ja) * 2014-02-28 2018-10-03 日本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US10359003B2 (en) * 2014-06-23 2019-07-23 Tenneco Inc. Cylinder head gasket with compression limiter and full bead loading
US10634251B2 (en) * 2014-08-20 2020-04-28 Tenneca Inc. Multi-layer gasket assembly
GB2532971A (en) * 2014-12-03 2016-06-08 Gm Global Tech Operations Llc Cylinder head gasket
DE102015120782A1 (de) * 2015-11-25 2017-06-01 Elringklinger Ag Flachdichtung sowie eine Flachdichtung enthaltender Dichtverband
CN105332819B (zh) * 2015-12-14 2017-10-3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气缸盖垫片的缸口环定位结构
JP6408659B1 (ja) * 2017-07-18 2018-10-17 石川ガスケット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20220243815A1 (en) * 2021-02-02 2022-08-04 Tenneco Inc. Combustion cylinder head gaske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6070A (ja) * 1989-07-13 1991-02-27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辞書
JP2935544B2 (ja) 1990-07-11 1999-08-16 日本リークレス工業株式会社 メタルガスケット
JP3040798B2 (ja) * 1990-07-16 2000-05-15 日本リークレス工業株式会社 メタルガスケット
FR2687732B1 (fr) * 1992-02-25 1994-05-27 Meillor Sa Joint de cula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H05340476A (ja) * 1992-06-09 1993-12-21 Japan Metal Gasket Co Ltd 金属ガスケット
JP3241171B2 (ja) * 1993-06-21 2001-12-25 株式会社フジタ 土圧および水圧検出器
JP2925920B2 (ja) * 1994-03-09 1999-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金属ガスケット
JPH08121597A (ja) * 1994-10-24 1996-05-14 Nippon Riikuresu Kogyo Kk メタルガスケット
JP2932369B2 (ja) * 1996-08-20 1999-08-09 株式会社ケットアンドケット 金属ガスケット
JP2001012611A (ja) * 1999-06-30 2001-01-16 Nippon Gasket Co Ltd 金属製ガスケット
JP2001082610A (ja) * 1999-09-10 2001-03-30 Ket & Ket:Kk 金属ガスケット
JP4631128B2 (ja) * 2000-04-17 2011-02-16 大豊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AU2001266072B2 (en) * 2000-06-15 2005-12-08 Reinz-Dichtungs-Gmbh Flat gaske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DE10101604B4 (de) * 2001-01-16 2005-02-17 Federal-Mogul Sealing Systems Gmbh Metallische Zylinderkopfdichtung
DE10200544B4 (de) * 2002-01-09 2005-04-28 Federal Mogul Sealing Sys Spa Zylinderkopfdichtung zum Ausgleich von lokalen Absenkungen im Bereich des Verpressungsbegrenzers
JP4298335B2 (ja) * 2003-03-17 2009-07-15 日本リークレス工業株式会社 シリンダーヘッド用メタルガスケット
US7374177B2 (en) * 2004-09-21 2008-05-20 Federal-Mogul World Wide, Inc. Enhanced multilayer metal gask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84B1 (ko) * 2009-09-03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관용 가스켓
KR101326845B1 (ko) * 2011-11-29 2013-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가스켓
KR101318827B1 (ko) * 2012-05-22 2013-10-16 동아공업 주식회사 코팅부를 갖는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01393C2 (ru) 2010-10-10
CN101484735A (zh) 2009-07-15
JP2008014334A (ja) 2008-01-24
JP4314251B2 (ja) 2009-08-12
EP2041459B1 (en) 2011-11-09
EP2041459B8 (en) 2014-07-16
US8123230B2 (en) 2012-02-28
EP2041459A1 (en) 2009-04-01
CN101484735B (zh) 2013-09-11
WO2008004078A1 (en) 2008-01-10
KR101147593B1 (ko) 2012-05-21
RU2008152825A (ru) 2010-08-10
US20090189359A1 (en) 200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593B1 (ko) 실린더 헤드 가스켓
JP4875356B2 (ja) ガスケット
KR100759661B1 (ko) 가스켓
JP3197395B2 (ja) 金属ガスケット
EP0459060B1 (en) Metallic gasket
KR100681417B1 (ko) 금속 개스킷
JP4909753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EP1564453A1 (en) Cylinder head gasket
KR20090087418A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 및 실린더 헤드 개스킷의 설계방법
JP4499051B2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930744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3118043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H09105462A (ja) 金属製ガスケット
JP4011264B2 (ja) 金属ガスケット
KR200416238Y1 (ko) 실린더 헤드 개스킷용 스토퍼
JP5753315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H0685964U (ja) 積層型金属板ガスケット
JP2928191B2 (ja) 金属製ガスケッ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4826935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2004218526A (ja) 金属ガスケット
JPH09229198A (ja) 金属製ガスケット
JP2588998Y2 (ja) 金属ガスケット
JP2001065696A (ja) シリンダヘッドガスケット
JP2005291339A (ja) 金属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