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742A -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742A
KR20080112742A KR1020070061520A KR20070061520A KR20080112742A KR 20080112742 A KR20080112742 A KR 20080112742A KR 1020070061520 A KR1020070061520 A KR 1020070061520A KR 20070061520 A KR20070061520 A KR 20070061520A KR 20080112742 A KR20080112742 A KR 2008011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bar
console box
safety
driv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333B1 (ko
Inventor
윤춘진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6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33B1/ko
Priority to US12/157,351 priority patent/US7823680B2/en
Priority to EP08010856.6A priority patent/EP2006456B1/en
Priority to JP2008158816A priority patent/JP5408911B2/ja
Priority to CN200810127140XA priority patent/CN101332772B/zh
Publication of KR2008011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운전실캡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안전바(safety bar)를 운전자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작동음을 동시에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안전바의 회동됨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고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가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와,
콘솔박스중 운전실캡의 출입구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1,2로킹홈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커버와,
커버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시 조작레버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는 안전바와,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장착되고, 안전바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2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구를 포함한다.
중장비, 운전실캡, 콘솔박스, 안전바, 작동음 발생장치

Description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console box of safety bar with function sound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안전바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솔박스에 장착되는 안전바 작동시 작동음을 발생하는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제1사용상태도(조작레버 작동가능한 상태),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제2사용상태도(조작레버 작동 불가능한 상태)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조작레버
3; 운전실캡
6; 커버
7; 제1로킹홈
9; 몸체
11; 보스
13; 탄성부재
15; 캡
17; 제2고정볼트
19; 제2스토퍼
본 발명은 운전실캡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안전바(safety bar)를 운전자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 작동음을 발생시켜, 안전바의 회동됨을 운전자에게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을 이탈하기 위하여 안전바를 회동시키는 경우 작동음을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에게 안전바의 작동상태(up 또는 down)를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석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는 콘솔박스(2)와,
콘솔박스(2)에 각각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한 조작으로 붐실린더 등의 작업장치를 원격제어하는 조작레버(1)(RCV lever)와,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 콘솔박스(2)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시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신호를 자동으로 단속하여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안전바(4)(safety bar)를 포함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는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 공간이 좁아 운전자 출입이 불편한 경우, 운전자에 의해 운전실캡(3)의 후방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콘솔박스(2)를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시킴에 따라 출입공간을 확보하는 틸팅레버이다.
즉, 운전자가 작업중일 경우에는 안전바(4)를 수평방향(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됨)로 회동시킴에 따라, 조작레버(1)에 전기적 신호가 접속(on)되므로 조작레버(1)를 조작하여 붐 등의 작업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하거나, 운전석에서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안전바(4)를 수직방향(도면에 실선으로 도시됨)로 회동시킴에 따라,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자동으로 차단(off)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조작레버(1)를 무의식적으로 조작하거나 운전석을 이탈할 경우 신체의 일부가 조작레버(1)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작업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안전바(4)가 수평방향을 유지하는 경우 조작레버(1)를 조작하여 작업할 수 있는 작업모드이고, 안전바(4)가 수직방향을 유지하는 경우 조작레버(1)를 조작하여도 작업이 불가능한 작업해제모드로서 판단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안전바(4)의 회동상태(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따른 시각적인 판단으로 안전바(4)가 작업모드 또는 작업해제모드로 변환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로 인해 안전바(4)가 작업해제모드 즉,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전환되지않은 경우, 운전자가 순간적인 부주의로 인해 조작레버(1)를 조작하거나 신체의 일부가 조작레버(1)에 접촉되는 경우, 운전자 의사에 반하여 장비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출입구측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안전바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작동음을 동시에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에게 안전바의 회동됨을 확실하게 전달하므로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장비를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고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가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와,
콘솔박스중 운전실캡의 출입구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1,2로킹홈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커버와,
커버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시 조작레버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는 안전바와,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장착되고, 안전바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2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작동음 발생구는,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와,
보스에 내장되고, 제1,2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볼과,
보스 내부에서 작동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보스에 결합되고, 관통공을 통해 제1,2로킹홈에 결합되는 작동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2로킹홈의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커버를 콘솔박스에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와,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형성되고, 안전바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2고정볼트의 간섭을 받아 안전바를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고 작업장치(붐, 아암 등)를 원격제어하는 조작레버(1)(RCV lever)가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2)와,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2)의 외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콘솔박스(2)의 외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 제1,2로킹홈(7,8)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커버(6)와,
커버(6) 외측면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볼트(10)에 의해 고정되고, 회동시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on,off)하는 안전바(4)(safety bar)와,
안전바(4)의 몸체(9) 내측면에 장착되고, 안전바(4)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 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2로킹홈(7,8)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일예로서 "딸그닥" 소리를 말함)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구를 포함한다.
전술한 작동음 발생구는,
안전바(4)의 몸체(9) 내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11)와,
보스(11)에 내장되고, 제1,2로킹홈(7,8)에 착탈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볼(12)과,
보스(11) 내부에서 작동볼(12)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3)(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와,
보스(11)에 결합되고, 관통공(15)을 통해 제1,2로킹홈(7,8)에 결합되는 작동볼(12)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14)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1,2로킹홈(7,8)의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커버(6)를 콘솔박스(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16,17)와,
안전바(4)의 몸체(9) 내측면에 형성되고, 안전바(4)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제1,2고정볼트(16,17)의 간섭을 받아 안전바(4)를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18,19)를 더 포함한다.
이때, 운전석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2)와, 콘솔박스(2)에 각각 설치되고 작업장치의 구동을 원격제어하는 조작레버(1)와,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 콘솔박스(2)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시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는 안전바(4)를 포함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기술내용과 실질 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안전바(4)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콘솔박스(2)의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는 온(on)상태를 유지한다(조작레버(1)의 작업모드로 전환됨을 의미함).
따라서, 운전석의 운전자는 조작레버(1)를 조작하여 장비의 작업장치(붐 등을 말함)의 구동을 제어하여 작업할 수 있다.
전술한 안전바(4)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안전레버(4)의 몸체(9)에 내설된 작동음 발생구의 작동볼(12)이 커버(6) 외측면에 형성된 제1로킹홈(7)에 결합된다. 이때 안전레버(4)는 몸체(9) 내부에 형성된 제1스토퍼(18)가 커버(6)에 고정된 제1고정볼트(16)에 접촉되어 간섭을 받게 되므로, 안전레버(4)는 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작동볼(12)이 제1로킹홈(7)에 결합시 운전자는 안전바(4)가 수평방향으로 변환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작동볼(12)이 제1로킹홈(7)에 결합시 운전자는 작동음(딸그닥 소리를 말함)을 듣을 수 있어 안전레 버(4)가 수평방향으로 변환된 것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안전레버(4)가 수평방향으로 정확하게 변환된 것을 확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캡(3)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안전바(4)를 운전실캡(3)의 바닥면쪽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콘솔박스(2)의 조작레버(1)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오프(off)시킨 상태이다(조작레버(1)의 작업해제모드로 전환됨을 의미함).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실캡(3)에 승차하거나, 작업도중 운전석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경우에, 조작레버(1)를 만지거나 또는 운전자의 신체 일부가 조작레버(1)와 접촉되는 경우에도 조작레버(1)는 조작되지않게 되므로, 장비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안전바(4)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안전레버(4)의 몸체(9)에 내설된 작동음 발생구의 작동볼(12)이 커버(6) 외측면에 형성된 제2로킹홈(8)에 결합된다. 이때 안전레버(4)는 몸체(9) 내부에 형성된 제2스토퍼(19)가 커버(6)에 고정된 제2고정볼트(17)에 접촉되어 간섭을 받게 되므로, 안전레버(4)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즉, 작동볼(12)이 제2로킹홈(8)에 결합시 운전자는 안전바(4)가 수직방향으로 변환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작동볼(12)이 제2로킹홈(8)에 결합시 운전자는 작동음(딸그닥 소리를 말함)을 듣을 수 있어 안전레버(4) 가 수직방향으로 변환된 것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안전레버(4)가 수직방향으로 정확하게 변환된 것을 확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중장비의 운전석 좌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중, 출입구측의 콘솔박스(2)에 설치되는 안전바(4)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안전바(4)의 몸체(9)에 설치된 작동음 발생구가 작동음("딸그닥" 소리를 말함)을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는 시각적으로 안전바(4)의 회동됨을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청각적으로 안전바(4)의 회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실캡의 출입구측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안전바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작동음을 동시에 발생시킴에 따라, 운전자에게 안전바의 회동됨을 시각 및 청각적인 수단을 통해 확실하게 전달하므로 운전자가 부주의로 인해 장비를 오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운전석의 좌우측에 장착되고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작레버가 각각 설치되는 콘솔박스;
    상기 콘솔박스중 운전실캡의 출입구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제1,2로킹홈이 외측면에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회동시 상기 조작레버에 접속되는 전기적 신호를 단속하는 안전바; 및
    상기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안전바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2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음 발생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음 발생구는,
    상기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형성되는 원통형 보스;
    상기 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2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작동볼;
    상기 보스 내부에서 상기 작동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보스에 결합되고,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1,2로킹홈에 결합되는 작동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로킹홈의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를 콘솔박스에 고정하는 제1,2고정볼트와,
    상기 안전바의 몸체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전바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1,2고정볼트의 간섭을 받아 안전바를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 정지시키는 제1,2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
KR1020070061520A 2007-06-22 2007-06-22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KR101045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20A KR101045333B1 (ko) 2007-06-22 2007-06-22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US12/157,351 US7823680B2 (en) 2007-06-22 2008-06-10 Console box for heavy equipment having safety bar with function sound device
EP08010856.6A EP2006456B1 (en) 2007-06-22 2008-06-14 Console box for heavy equipment having safety bar with function sound device
JP2008158816A JP5408911B2 (ja) 2007-06-22 2008-06-18 作動音発生装置を有する安全バー付きの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200810127140XA CN101332772B (zh) 2007-06-22 2008-06-19 用于包括具有功能声音装置的安全栓的重型设备的控制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520A KR101045333B1 (ko) 2007-06-22 2007-06-22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742A true KR20080112742A (ko) 2008-12-26
KR101045333B1 KR101045333B1 (ko) 2011-06-30

Family

ID=3971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520A KR101045333B1 (ko) 2007-06-22 2007-06-22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23680B2 (ko)
EP (1) EP2006456B1 (ko)
JP (1) JP5408911B2 (ko)
KR (1) KR101045333B1 (ko)
CN (1) CN101332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7169B1 (ja) * 2015-03-30 2016-02-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10378183B2 (en) * 2016-10-21 2019-08-13 Komatsu Ltd. Work vehicle
JP6577539B2 (ja) * 2017-08-23 2019-09-1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操作装置
JP6826549B2 (ja) * 2018-03-09 2021-02-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102016287B1 (ko) * 2019-07-02 2019-08-29 안국수 굴삭기용 콘솔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626A (en) * 1975-09-10 1977-02-22 Deere & Company Linkages for moving and retaining a control lever to and in a non-use position
JPH0132104Y2 (ko) * 1985-11-11 1989-10-02
JPH0642271Y2 (ja) * 1988-07-26 1994-11-0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操作レバーの安全装置
JPH064128Y2 (ja) * 1989-12-07 1994-02-02 株式会社丸山製作所 無段変速機用操作装置
JP3118747B2 (ja) * 1995-06-09 2000-12-18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操作系のロック装置
KR980009677A (ko) * 1996-07-31 1998-04-30 김무 중장비용 안전레버장치
JP2001073411A (ja) 1999-09-07 2001-03-21 Tokai Rika Co Ltd 安全ロックレバーの移動機構
JP2001329572A (ja) * 2000-05-22 2001-11-3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ゲートロックレバー跳ね上げ機構
JP4488329B2 (ja) 2000-12-05 2010-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車両の操縦系ロックレバー装置
US6971279B2 (en) * 2003-02-12 2005-12-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ontrol lever safety apparatus for heavy equipment
KR20050017786A (ko) * 2003-08-08 2005-02-23 우영식 회전식 다출력 밸브의 스텝핑 장치
JP3963887B2 (ja) * 2003-11-14 2007-08-22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ゲートロック装置
JP2005146678A (ja) * 2003-11-17 2005-06-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位置決め装置
KR100652873B1 (ko) * 2005-02-18 2006-1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 운전실내 안전레버 시스템
US8689939B2 (en) * 2008-05-27 2014-04-08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Step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ree harvester having leve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2147A (ja) 2009-01-08
CN101332772A (zh) 2008-12-31
US20080316016A1 (en) 2008-12-25
JP5408911B2 (ja) 2014-02-05
EP2006456A3 (en) 2012-08-01
EP2006456B1 (en) 2013-08-14
EP2006456A2 (en) 2008-12-24
KR101045333B1 (ko) 2011-06-30
CN101332772B (zh) 2013-06-05
US7823680B2 (en)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333B1 (ko) 작동음 발생장치를 갖는 안전바가 장착되는 중장비용콘솔박스
US8607686B2 (en) Controlled vehicle turret apparatus and method
JP5268868B2 (ja) 充電自動車用の充電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JP2012087555A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18532912A (ja)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
KR101610499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JP2012117225A (ja) 建設機械のサイドカメラ取付構造
JP5881128B1 (ja) 荷役車両
JP5681919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20140165469A1 (en) Drive arrangement of the motorized adjustment of a closure element of a motor vehicle
JP5480100B2 (ja) ドアロック装置
EP3502360B1 (en)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battery
JP2017149362A (ja) 燃料電池車両
KR101747269B1 (ko) 작업 기계의 엔진의 정지 스위치 장치
KR101306132B1 (ko) 스위치 어셈블리
JPH01254439A (ja) ミキサ車の無線操作装置
JP2021066000A (ja) 回転軸モジュールおよびロボット
JP5154500B2 (ja) 船舶用制御装置
JP2007329144A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1459322B1 (ko) 조작레버의 제한장치
JP2002114487A (ja) 移動式クレーンの非常停止装置
TWI767777B (zh) 電動轉向鎖定裝置
KR20210117820A (ko) 건설장비의 경적장치
JP2005534550A (ja) 電話機用保持装置
JP6876016B2 (ja) 制御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03

Effective date: 2011041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