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884A - 공기압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압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884A
KR20080095884A KR1020087020339A KR20087020339A KR20080095884A KR 20080095884 A KR20080095884 A KR 20080095884A KR 1020087020339 A KR1020087020339 A KR 1020087020339A KR 20087020339 A KR20087020339 A KR 20087020339A KR 20080095884 A KR20080095884 A KR 2008009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pe
tire
width
circumferential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끼히로 기와끼
료오이찌 와따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08009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11/1218Three-dimensional shape with regard to depth and exten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inusoidal or zigzag at the tread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2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 circumferential rib and having blocks defined by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압 타이어는 트레드에 있어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둘레 홈(3)과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폭 홈(5)에 의해 구획된 블록을 구비한다. 블록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둘레 사이프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조종 성능, 특히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레드, 둘레 사이프, 노면, 코너링 성능, 지그재그 패턴

Description

공기압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복수의 둘레 홈(circumferential grooves)과 복수의 폭 홈(lateral grooves)에 의해 구획된 블록을 트레드 상에 갖는 공기압 타이어(pneumatic tire)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립력(소위, 엣지 효과)을 향상시켜 설상 노면이나 빙상 노면에서의 조종 성능을 향상시키는 공기압 타이어에 관하여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1에는 복수의 둘레 홈과 복수의 폭 홈에 의해 구획된 블록에,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사이프(lateral sipes)가 형성된 공기압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기압 타이어에서는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있어서 엣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조종 성능(특히, 발진 가속 성능·제동 성능)이 향상되어 있다. 그러나,이 공기압 타이어로는 코너링 시에 트레드와 노면의 마찰이 작아져 옆으로의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옆으로의 미끄러짐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최근의 공기압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circumferential sipes)가 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하기 특허 문헌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타이어 직경 방향을 향해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가 블록에 형성된 공기압 타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공개2000-190711호 공보(제2 페이지 내지 제4 페이지, 제1도)
특허 문헌2 : 일본 특허 공개2002-254906호 공보(제2 페이지 내지 제3 페이지, 제1도)
그러나, 폭 사이프 외에 둘레 사이프가 블록에 형성된 종래의 공기압 타이어에서는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차량 장착 시의 내측 블록에 하중이 크게 집중되어, 이 내측 블록(inside blocks)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고속 주행 중인 커브나 작은 직경 커브에서의 코너링 시에 외측 블록(outside blocks)에 하중이 크게 집중되어 이 외측 블록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내측 블록이나 외측 블록의 대변형에 의해 충분한 엣지 효과를 얻을 수 없어, 드라이 노면이나 설상 노면, 빙상 노면에서의 조종 성능(특히 발진 가속 성능·제동 성능·코너링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제동 성능·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압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압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둘레 홈과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폭 홈에 의해 구획된 블록을 갖는 트레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블록」에는 타이어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는 블록(리브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도 포함한다. 그리고, 각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를 갖고 있다. 둘레 사이프 중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둘레 사이프 중 상기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으면, 외측 둘레 사이프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지그재그 패턴이 서로 걸려 코너링 횡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된다. 그 결과, 외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외측 블록의 변형을 억제해서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 노면이나 웨트 노면, 빙설 노면 등의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조종 성능, 특히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진·제동 전후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어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이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사이프가 상기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폭 사이프가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있어서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이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폭 사이프 중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고, 폭 사이프 중 상기 타이어 적도선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내측폭 방향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을 향해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측 폭 방향 사이프의 타이어 직경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가 서로 걸리게 되어,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증대된다. 그 결과, 내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내측 블록의 변형을 억제해서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 노면이나 웨트 노면, 빙설 노면 등의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이나 제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폭 사이프가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폭 사이프가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코너링 횡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어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종 성능, 특히 코너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둘레 사이프의 깊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내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둘레 사이프의 깊이의 차가 1㎜ 이내인 것으로 한다. 또한, 내측 폭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의 깊이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내측 폭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의 깊이의 차가 1㎜ 이내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둘레 사이프의 지그재그 횟수가 폭 사이프의 지그재그 횟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공기압 타이어가 승용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승용차란 10인까지의 사람(드라이버 포함)이 탈 수 있는 차를 가리키며, 예를 들어 보통 자동차나 소형 자동차, 경자동차 등이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내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둘레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내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폭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외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 둘레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외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외측 폭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변경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내측 블록 및 외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둘레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변경예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내측 블록 및 외측 블록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폭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만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일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은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는 비드나 카카스층, 벨트층(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래디얼 타이어(윈터 타이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는 승용차에 장착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압 타이어(1)의 트레드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둘레 홈(3)과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폭 홈(5)에 의해 구획된 블록(7)을 갖고 있다. 이 블록(7)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9)와,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사이프(11)가 형성되어 있다.
둘레 사이프(9)는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IN)에 위치하는 내측 둘레 사이프(9A)와, 외측(OUT)에 위치하는 외측 둘레 사이프(9B)에 의해 구성된다. 즉, 내측 둘레 사이프(9A)는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IN)에 위치하는 블록(7)(이하, 내측 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외측(OUT)에 위치하는 블록(7)(이하, 외측 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폭 사이프(11)는 타이어 적도면(CL)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IN)에 위치하는 내측 폭 사이프(11A)와, 외측(OUT)에 위치하는 외측 폭 사이프(11B)에 의해 구성된다. 즉, 내측 폭 사이프(11A)는 내측 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폭 사이프(11B)는 외측 블록에 형성되어 있다.
내측 둘레 사이프(9A)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이 내측 둘레 사이프(9A)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폭 사이프(11A)는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이 내측 폭 사이프(11A)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내측 폭 사이프(11A)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3회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2회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어도 물론 된다.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이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도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또한,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굴곡을 3회 반복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을 2회 반복해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외측 폭 사이프(11B)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 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이 외측 폭 사이프(11B)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스트레이트)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둘레 사이프(9)의 트레드에서의 둘레 굴곡 횟수는 블록(7)(내측 블록 및 외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폭 사이프(11)의 폭 굴곡 횟수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둘레 사이프(9A)의 깊이(D1)는 접지면(트레드와 노면 사이)에 있어서의 물이나 눈 등을 흡수·배수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측 둘레 사이프(9B)의 깊이(D2)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폭 사이프(11A)의 깊이(D3)는 외측 폭 사이프(11B)의 깊이(D4)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예1)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에 설치된 둘레 사이프(9)[내측 둘레 사이프(9A) 및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둘레 사이프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또한,이하에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와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둘레 사이프(9A)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내측 둘레 사이프(9A)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타 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변경예2)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변경예에 그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폭 사이프(11)[내측 폭 사이프(11A) 및 외측 폭 사이프(11B)]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폭 사이프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폭 사이프(11A)는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내측 폭 사이프(11A)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폭 사이프(11B)는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외측 폭 사이프(11B)는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변경예3)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변경예에 그치지 않고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폭 사이프(11A) 모두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내측 폭 사이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 폭 사이프(11A)의 적어도 일부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 숄더 에어리어(S)에 위치하는 블록(7)의 내측 폭 사이프(11A)만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 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트레드 센터 에어리어(C)와 트레드 숄더 에어리어(S) 사이의 트레드 미들 에어리어(M)에 위치하는 블록(7)의 내측 폭 사이프(11A)만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둘레 사이프(9B) 모두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외측 둘레 사이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 둘레 사이프(9B)의 적어도 일부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 숄더 에어리어(S)에 위치하는 블록(7)의 외측 둘레 사이프(9B)만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트레드 미들 에어리어(M)에 위치하는 블록(7)의 외측 둘레 사이프(9B)만이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는 비드나 카카스층, 벨트층(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 일반적인 래디얼 타이어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기압 타이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래디얼 타이어 이외의 타이어(예를 들어, 바이어스 타이어)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는 승용차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공기압 타이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용차 이외의 차(예를 들어, 버스·트럭)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둘레 사이프(9)[내측 둘레 사이프(9A) 및 외측 둘레 사이프(9B)]는 각 블록(7)에 1개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둘레 사이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블록(7)에 복수개(예를 들어, 2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1)에 따르면, 내측 블록 및 외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제동 성능·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둘레 사이프(9A)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내측 폭 사이프(11A)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측 폭 사이프(11A)의 타이어 직경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가 서로 지지하게(걸리게) 되어,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어 내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둘레 사이프(9B)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고, 외측 폭 사이프(11B)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외측 둘레 사이프(9B)의 타이어 직경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 그가 서로 지지하게(걸리게) 되어,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횡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어 외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측 블록이나 외측 블록의 변형을 억제하여 엣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드라이 노면이나 웨트 노면, 빙설 노면 등의 노면 상태에 상관없이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이나 제동 성능, 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둘레 사이프(9A) 및 외측 둘레 사이프(9B)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횡력에 대한 강도가 더욱 증대되어 엣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코너링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폭 사이프(11A) 및 외측 폭 사이프(11B)는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반복하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발진 시나 제동 시에 있어서의 하중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어 엣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진 가속 성능이나 제동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1, 2의 공기압 타이어를 이용해서 시험을 행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어떤 것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공기압 타이어에 관한 데이터는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에 있어서 측정되었다.
·타이어 사이즈 : 195/65R15(56 피치)
·휠 사이즈 : 15×6JJ
·내압 조건 : 200kPa
·하중 조건 : 드라이버 1명+60㎏
·시험 차량 : FR차(배기량 2.500cc)
실시예 및 비교예1, 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사이프 패턴을 표1 상부에 나타낸다.
타이어 직경 방향 패턴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내측 둘레 사이프 직선 형상 직선 형상 지그재그
내측 폭 사이프 지그재그 직선 형상 지그재그
외측 둘레 사이프 지그재그 직선 형상 지그재그
외측 폭 사이프 직선 형상 직선 형상 지그재그
설상 노면 코너링 성능 6.0 5.0 4.0
제동 성능 103 100 97
발진 가속 성능 103 100 98
빙상 노면 코너링 성능 6.0 5.0 5.5
제동 성능 103 100 103
발진 가속 성능 104 100 104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에서는 내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측 폭 사이프 및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비교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내측 둘레 사이프, 내측 폭 사이프, 외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비교예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내측 둘레 사이프, 내측 폭 사이프, 외측 둘레 사이프 및 외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1, 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에서는 둘레 사이프 및 폭 사이프의 타이어 직경 방향의 패턴 이외에는 동일하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1, 2 및 실시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의 코너링 성능, 제동 성능 및 발진 가속 성능(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에 관한 결과를 표1 하부에 나타낸다.
<코너링 성능>
각 공기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으로 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의 테스트 코스를 주행하여, 코너링 시에 있어서의 차량 거동의 정확성과 반응 속도를 프로 드라이버가 필링 평가하였다(10점 만점). 또한, 수치가 클수록 코너링 성능이 우수하다.
그 결과, 실시예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비교예1, 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와 비교하여 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에서의 코너링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동 성능>
비교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으로 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의 테스트 코스를 속도 20㎞/h로 주행하여 브레이크를 걸고 나서 0㎞/h가 될 때까지의 거리(제동 거리)를 "100"으로 했다. 이것에 기초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제동 거리를 측정하여 상대값을 산출했다. 또한, 제동 거리가 짧을수록 제동 성능이 우수하다.
그 결과, 실시예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비교예1, 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와 비교하여 설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비교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와 비교하여 빙상 노면에서의 제동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진 가속 성능>
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의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비교예1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으로 속도 0㎞/h로부터 25㎞/h가 될 때까지의 시간(가속 시간)을 "100"으로 하였다. 이것에 기초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가속 시간을 측정하여 상대값을 산출했다. 또한, 가속 시간이 짧을수록 발진 가속 성능이 우수하다.
그 결과, 실시예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는 비교예1, 2에 관한 공기압 타이어와 비하여 설상 노면 및 빙상 노면에서의 발진 가속 성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외측 블록의 강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조종 성능, 특히 발진 가속 성능·제동 성능·코너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공기압 타이어이며,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둘레 홈과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폭 홈에 의해 구획된 블록을 갖는 트레드를 구비하고,
    상기 각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사이프를 갖고 있으며,
    상기 둘레 사이프 중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둘레 사이프 중 상기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사이프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레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사이프가 상기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폭 사이프 중 상기 타이어 적도면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 고 연장되어 있고,
    상기 폭 사이프 중 상기 타이어 적도선에 대하여 차량 장착 시에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폭 사이프가 타이어 직경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폭 사이프가 트레드 폭 방향으로 지그재그 패턴을 갖고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둘레 사이프 및 상기 외측 둘레 사이프의 깊이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폭 사이프 및 상기 외측 폭 사이프의 깊이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사이프의 지그재그 횟수가 상기 폭 사이프의 지그재그 횟수보다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용차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 타이어.
KR1020087020339A 2006-02-20 2007-02-20 공기압 타이어 KR20080095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42855 2006-02-20
JP2006042857 2006-02-20
JPJP-P-2006-00042855 2006-02-20
JPJP-P-2006-00042857 2006-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884A true KR20080095884A (ko) 2008-10-29

Family

ID=3843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339A KR20080095884A (ko) 2006-02-20 2007-02-20 공기압 타이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10221B2 (ko)
EP (1) EP1987964B1 (ko)
JP (1) JP4769858B2 (ko)
KR (1) KR20080095884A (ko)
CN (1) CN101384441B (ko)
AT (1) ATE497888T1 (ko)
DE (1) DE602007012415D1 (ko)
RU (1) RU2381109C1 (ko)
WO (1) WO2007097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6603B2 (ja) * 2006-11-27 2009-08-19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0023586A (ja) * 2008-07-16 2010-02-0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5559878B2 (ja) * 2009-06-29 2014-07-23 ミシュラン ルシェルシュ エ テクニー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タイヤの雪上静止摩擦、ハイウェイ磨耗、およびオフロード性能の改善のための、方法ならびに構成
FR2956355B1 (fr) * 2010-02-12 2012-05-18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vehicules a deux roues comportant une bande de roulement presentant des incisions.
FR2956354A1 (fr) * 2010-02-12 2011-08-19 Michelin Soc Tech Pneumatique pour vehicules a deux roues comportant une bande de roulement presentant des incisions.
JP5250063B2 (ja) * 2011-02-28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790166B2 (ja) * 2011-06-02 2015-10-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3826873B (zh) * 2011-09-28 2016-08-17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US9463670B2 (en) * 2011-10-04 2016-10-11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CN103182906B (zh) * 2011-12-28 2015-12-02 建大橡胶(中国)有限公司 雪地用轮胎
JP5454602B2 (ja) * 2012-03-14 2014-03-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48995B2 (ja) * 2012-03-14 2016-07-0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629286B2 (ja) * 2012-05-15 2014-11-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19780B2 (ja) * 2012-06-08 2016-11-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ITTO20120871A1 (it) * 2012-10-05 2014-04-06 Bridgestone Corp Striscia di battistrada per un pneumatico invernale provvista di intagli tridimensionali
JP5942795B2 (ja) * 2012-11-07 2016-06-2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287554B2 (ja) * 2014-04-30 2018-03-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NL2009980C2 (en) * 2012-12-13 2014-06-16 Ct Voor Tech Informatica B V A method of producing glass products from glass product material and an assembly for performing said method.
JP5870047B2 (ja) * 2013-01-08 2016-02-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RU2667710C2 (ru) * 2013-02-28 2018-09-24 Пирелли Тайр С.П.А. Зимняя шина
CN104228469A (zh) * 2013-06-24 2014-12-24 建大橡胶(中国)有限公司 雪地轮胎
WO2015100079A1 (en) * 2013-12-24 2015-07-02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Tire with grooves having variable depth
CN106103140A (zh) * 2014-03-07 2016-11-09 普利司通美国轮胎运营有限责任公司 以刀槽花纹为特色的轮胎胎面
JP5920532B2 (ja) * 2014-05-01 2016-05-1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29010B2 (ja) * 2014-06-13 2018-05-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10603961B2 (en) 2014-10-07 2020-03-31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6374826B2 (ja) * 2015-04-09 2018-08-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RU2689645C1 (ru) * 2015-11-12 2019-05-28 Бриджстоун Корпорейшн Шина
JP6929613B2 (ja) * 2015-11-12 2021-09-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6627554B2 (ja) * 2016-02-15 2020-0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790495B2 (ja) * 2016-06-24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822195B2 (ja) * 2017-02-15 2021-01-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62130B2 (ja) * 2018-07-19 2019-08-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83747B2 (ja) * 2018-12-03 2022-12-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RU2751726C1 (ru) * 2021-01-13 2021-07-16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ижнекамскшина" Протектор шины и пластинк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в вулканизационной форме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3D щелевидной прорези в блоке протектора шин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7006A (ja) * 1989-04-07 1990-10-31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06127217A (ja) * 1992-10-13 1994-05-1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H08244417A (ja) * 1995-03-10 1996-09-24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スタッドレス空気入りタイヤ
JP4424774B2 (ja) 1998-04-22 2010-03-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6427737B1 (en) * 1998-04-22 2002-08-06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having at least four sipes
ES2199515T3 (es) 1998-12-23 2004-02-16 Pirelli Pneumatici S.P.A. Neumaticos para ruedas de vehiculos.
JP4743956B2 (ja) * 2000-12-20 2011-08-1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086176B2 (ja) 2001-03-01 2008-05-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3811045B2 (ja) * 2001-03-27 2006-08-16 日本碍子株式会社 サイプブレード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4743B2 (ja) 2001-04-05 2007-03-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648179B2 (ja) * 2001-07-18 2005-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加硫金型
JP2004203128A (ja) * 2002-12-24 2004-07-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6452B2 (ja) 2003-09-29 2009-08-1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7637295B2 (en) 2003-09-29 2009-12-29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with tread including sipes having bent portions formed with zigzag shape with amplitude in radial direction
JP2004026158A (ja) * 2003-10-20 2004-01-29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スタッドレス空気入りタイヤ
JP3898692B2 (ja) 2003-12-03 2007-03-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138688B2 (ja) * 2004-03-25 2008-08-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689402B2 (ja) * 2005-08-10 2011-05-2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97309A1 (ja) 2007-08-30
US8210221B2 (en) 2012-07-03
CN101384441B (zh) 2010-12-01
ATE497888T1 (de) 2011-02-15
RU2381109C1 (ru) 2010-02-10
US20100224297A1 (en) 2010-09-09
DE602007012415D1 (de) 2011-03-24
CN101384441A (zh) 2009-03-11
EP1987964A4 (en) 2009-10-21
EP1987964A1 (en) 2008-11-05
EP1987964B1 (en) 2011-02-09
JPWO2007097309A1 (ja) 2009-07-16
JP4769858B2 (ja)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884A (ko) 공기압 타이어
JP529473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65554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24569B1 (ko) 공기입 타이어
JP464346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74726A (ja) 空気入りタイヤ
EP0688685A2 (en) Pneumatic Tires
JP200619292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92878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92946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5116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298060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901860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94371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09075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75116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656989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4867617A (zh) 轮胎
JP2010125901A (ja) タイヤ
JP462805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9184414A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7346277B2 (ja) タイヤ
CN111791649B (zh) 轮胎
RU2791336C1 (ru) Шина
EP4056385A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