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929A - 세탁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929A
KR20080090929A KR1020070034407A KR20070034407A KR20080090929A KR 20080090929 A KR20080090929 A KR 20080090929A KR 1020070034407 A KR1020070034407 A KR 1020070034407A KR 20070034407 A KR20070034407 A KR 20070034407A KR 20080090929 A KR20080090929 A KR 20080090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sing
water
washing machine
stroke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783B1 (ko
Inventor
김태은
양혜순
양병렬
임정수
김혜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783B1/ko
Priority to US12/007,980 priority patent/US20080244836A1/en
Priority to EP08150665A priority patent/EP1978141A3/en
Priority to RU2008103375/12A priority patent/RU2362848C1/ru
Priority to CN2008100087705A priority patent/CN101280501B/zh
Priority to JP2008033613A priority patent/JP5175116B2/ja
Publication of KR2008009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70Number of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헹굼 성능을 신뢰성있게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제어방법은 세탁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세제수를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와,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고 서른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제수에 포함된 세제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헹굼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헹굼수를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와,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헹굼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의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전류의 크기(I2)를 기준치(Ir)와 비교하여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 경우에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세탁기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수조 50 : 순환장치
51, 52 : 순환유로 53 : 순환펌프
60 : 전극장치 62 : 제1전극
63 : 제2전극 64 : 전극장치 전원부
73 : 전류검출부 74 : 제어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헹굼 성능을 신뢰성 있게 보장하면서도 적정한 횟수만큼 헹굼 행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코스를 입력하면 세탁기는 설정된 코스에 따라 세탁, 헹굼 및 탈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을 세탁한다. 세탁기의 설계 시에 설계자는 각 세탁 코스에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헹굼 횟수를 결정하여 세팅하는데, 보통 이와 같이 세팅된 헹굼 횟수에 따라 세탁물의 헹굼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용자가 투입하는 세제의 양이나 종류 또는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횟수로 세탁물을 헹구게 되면 세탁기의 헹굼 성능을 신뢰성있게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필요 이상으로 물과 전기를 낭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44491호에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탁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헹굼수의 탁도가 설정치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고, 측정된 헹굼수의 탁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종료하도록 한 세탁기의 자동 헹굼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방법에서는 광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에는 헹굼수가 탁도가 설정치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설정치보다 높다고 판단하여 계속하여 헹굼 행정을 실시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사용자는 세탁기의 헹굼 성능을 불신하여 각 세탁 코스에서 세팅되어 있는 횟수에 추가하여 헹굼 횟수를 과다하게 설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세탁물을 깨끗하게 헹구는데 있어 사용자가 설정한 횟수만큼의 헹굼 행정을 실시할 필요가 없 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추가한 헹굼 행정을 모두 실시하게 되면 물과 전력을 낭비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세탁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의 헹굼 성능을 신뢰성있게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되지 않도록 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헹굼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헹굼 행정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순환장치를 가동하여 순환유로를 통해 헹굼수를 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순환유로상에 설치된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헹굼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전류의 크기(I2)를 기준치(Ir)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헹굼 행정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종료하고,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추가하여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헹굼 행정에 앞서 수행되는 세탁 행정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세제수를 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제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전류의 크기(I1)를 기 준치(Iw)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투입한 세제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헹굼 행정 횟수가 추가될 것을 예상하여 디스플레이에 연장된 세탁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최초의 헹굼 행정 시에 급수될 헹굼수의 양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극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고, 헹굼 행정의 종료 전에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극들 중 어느 하나는 은을 포함하는 은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티타늄전극이며,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티타늄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헹굼 행정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된 헹굼 행정의 횟수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 행정의 횟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탁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세제수를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고 서른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제수에 포함된 세제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헹굼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헹굼수를 상기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헹굼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의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전류의 크기(I2)를 기준치(Ir)와 비교하여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 경우에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헹굼 행정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와, 카운팅된 헹굼 행정의 횟수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 행정의 횟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를 초과하더라도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은을 포함하는 은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티타늄전극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티타늄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헹굼 행정의 종료 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은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또 세제수에 과다한 양의 세제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최초의 헹굼 행정에서 급수될 헹굼수의 양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세탁기의 제어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세탁기는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담수를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형의 수조(11)와, 상기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회전드럼(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세탁수와 헹굼수라는 용어는 각각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에서 수조(11)로 공급되는 물을 구분하여 표시한 것이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3)가 설치되고, 또 드럼 세탁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패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컨트롤패널(미도시)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각종 버튼과 조그다이얼이 마련되고, 사용자에게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 도 3 참조)가 설치된다.
수조(11)의 상부에는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20)와,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30)가 설치되며,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수관(41), 배수밸브(42)를 포함하는 배수장치가 설치된다. 또 수조(11)의 후면 외측에는 세탁, 헹굼 및 탈수동작을 수행하도록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 도 3참조, 도 1 및 도 2에는 미도시)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20)는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각 공간에 세제 및 헹굼제를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본체(10)의 전면부 쪽에 설치된다. 구획된 다수의 공간은 예비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를 보관하기 위한 예비세탁 세제통과, 본 세탁에 사용되는 세제를 보관하기 위한 본 세탁 세제통과, 헹굼에 사용되는 헹굼제를 보관하기 위한 헹굼제통 등으로 구성된다.
급수장치(30)는 외부의 급수호스와 연결되며,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31)와, 이 급수밸브(31)와 세제공급장치(20)를 연결하는 연결관(32)과, 세제공급장치(20)를 거친 물을 수조(11)의 내부로 안내하는 급수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조(11)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20)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세제공급장치(20) 내부의 세제가 물과 함께 수조(1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는 수조(11) 내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장치(50)를 구비한다. 순환장치(50)는 일단이 수조(11)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수밸브(42)에 연결되는 제1순환유로(51)와, 일단이 배수밸브(42)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순환유로(52)와, 제2순환유로(52) 상에 설치되는 순환펌프(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관(41), 제1순환유로(51) 및 제2순환유로(52)와 연결되는 배수밸브(42)는 유로전환이 가능한 삼방밸브로 구성된다. 배수밸브(42)에 의해 제1순환유로(51)와 배수관(41)이 연통되면 수조(11)의 물이 배수되고, 배수밸브(42)에 의해 제1순환유로(51)와 제2순환유로(52)가 연통된 상태에서 순환펌프(53)가 작동하면 수조(11)의 하측에 고여 있던 물이 순환유로(51, 52)를 따라 순환하여 수조(11)의 상측에서 분사노즐(54)을 통해 분사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는 전극장치 케이스(61)와, 전극장치 케이스(61) 내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극(제1전극(62), 제2전극(63))과, 상기 한 쌍의 전극(62, 63)에 DC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장치 전원부(64, 도 3 참조)를 포함하는 전극장치(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극장치(60)는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에서 세제수(세탁수+세제)나 헹굼수의 탁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능하며, 또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에서 세탁물이나 수조(11) 또는 회전드럼(12)을 살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전극장치(60)에서 한 쌍의 전극(62, 63)은 순환유로(52) 상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전극(62, 63)을 순환유로(52) 상에 설치하면 순환유로(52)를 통해 물이 순환할 때에만 전극(62, 63)이 물에 침수되므로, 전극(62, 63)이 오랜 시간 물에 침수됨에 따라 전극(62, 63)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62, 63)을 순환유로(52) 상에 설치하면 순환하는 물의 탁도를 측정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물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전극이 수조 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면 전극은 그 주위에 고여 있는 물의 탁도만을 측정하므로 물에 세제가 균일하게 용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정확한 물의 탁도를 알아낼 수 없게 된다).
전극장치(60)의 한 쌍의 전극(62, 63)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62)은 은(Ag)을 포함하는 은전극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전극(63)은 티타늄(Ti)을 포함하는 티타늄전극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전극(63)에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백금이나 이리듐이 코팅될 수 있다.
제1전극(62)으로 은전극을 사용하면 제1전극(62)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은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은이온의 살균력을 이용하여 회전드럼(12), 수조(11) 및 회전드럼(12) 내의 세탁물을 살균할 수 있다.
또 제2전극(63)으로 티타늄전극을 사용하는 것은 세탁 행정이나 헹굼 행정에서 전극장치(60)를 센서로 사용할 때 전극(62, 63)이 이온화되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티타늄은 이온화경향이 낮아 티타늄전극인 제2전극(63)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티타늄은 거의 산화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는 도 3과 같이 신호입력부(71), 수위감지부(72), 전류검출부(73) 및 제어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입력부(71)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세탁코스와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74)에 입력하고, 상기 수위감지부(72)는 수조(11)에 급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또 전류검출부(73)는 한 쌍의 전극(62, 63)에 전압이 인가될 때 한 쌍의 전극(62, 63)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74)로 전달한다.
제어부(74)는 신호입력부(71)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선택된 세탁코스에서 부하량(세탁물의 무게)에 따라 설정된 세탁 시간과 헹굼수량을 저장하고 있다. 또 제어부(74)는 세탁 행정에서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전류값(Iw)과, 헹굼 행정에서 헹굼수의 탁도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전류값(Ir)을 저장하고 있다. 세제는 물에 용해되었을 때 전해질로 작용하므로 세제수나 헹굼수에 전극(62, 63)을 담가 전압을 인가할 때 검출되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여 세제수나 헹굼수에 녹아 있는 세제의 양을 알아낼 수 있다.
제어부(74)는 전류검출부(73)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투입한 세 제의 양이나 헹굼 행정에서 헹굼수에 남아 있는 세제의 양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헹굼 행정의 조건(예를 들면, 헹굼수량)을 변경한다. 즉 제어부(74)는 사용자가 과다한 양의 세제를 투입하였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최초 헹굼 행정에서 정해진 헹굼수의 양보다 많은 양의 헹굼수를 급수하여 헹굼 행정을 실시한다. 또 헹굼 행정에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가 기준치(Ir)보다 작으면 헹굼이 충분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 헹굼 행정을 종료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위와 같은 구성의 세탁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회전드럼(12)의 내부에 세탁물을 넣고 사용자가 세탁코스, 세탁 온도, 헹굼 횟수 추가 등과 같은 운전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가 신호입력부(71)를 통해 제어부(74)에 입력된다.
그러면 제어부(74)는 신호입력부(71)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탁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먼저 동작 온인가를 판단한다(S100).
동작 온이면, 제어부(74)는 회전드럼(12)에 투입된 부하량(세탁물의 무게)을 감지한 후(S102), 감지된 부하량에 따라 세탁 시간(a), 헹굼수량(b) 등을 설정한다(S104).
이어서 제어부(74)는 급수밸브(31)를 개방하여 수조(11) 내부에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물(구체적으로, 세탁수)과 함께 세제를 투입한다(S106).
세제수(세탁수+세제)가 수조(11)로 공급된 후 제어부(74)는 순환장치(50)의 순환펌프(53)를 가동하여 순환유로(51, 52)를 통해 세제수를 순환시킨다. 그러면 수조(11)에 하측에 담수된 세제수가 수조(11)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분사노즐(54)을 통해 회전드럼(12)의 내부로 분사되는데, 이에 따라 세탁물이 골고루 적셔지고 세제가 물에 균일하게 용해된다(S108).
제어부(74)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S110), 그 결과 일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세제수가 순환되는 상태에서 순환유로(52) 상에 설치된 제1전극(62)과 제2전극(63)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티타늄전극인 제2전극(63)을 양극, 은전극인 제1전극(62)을 음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은전극인 제1전극(62)이 산화반응에 의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전극(62)과 제2전극(63)에 전압이 인가되면 순환유로(52)를 지나는 세제수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데, 전류검출부(73)는 두 전극(62, 63)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I1)를 검출한다(S112).
그러면 제어부(74)는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14), 그 결과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세탁 행정을 진행한다(S120). 즉 제어부(74)는 회전드럼(12)의 회전으로 세제수(물+세제)가 세탁물에 잘 섞이도록 하면서 회전드럼(12)과의 마찰력과 세탁물의 낙하하는 힘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 행정을 진행한다.
반면에 S114의 판단결과,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세탁 행정을 진행한다. 제어부(74)는 후에 실시될 최초 헹굼 행정에서 공급될 헹굼수량을 변경한다. 즉 최초 설정된 헹굼수량(b)보다 많은 양의 헹굼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헹굼수량을 재설정한다(S116). 또 위와 같이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74)는 세탁 시간이 연장될 것을 예상하여 최초 설정된 세탁 시간(a)에 일정 시간(예를 들면 헹굼 행정을 추가로 한 번 더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14)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74)는 디스플레이(14)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는 메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차후에 적정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S118).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헹굼 행정을 시작한다. 최초 헹굼 행정이 시작되면 제어부(74)는 급수밸브(31)를 개방하여 설정된 양만큼의 헹굼수를 수조(11)로 공급한다. 전술한 세탁 행정에서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고 판단됨에 따라 최초 헹굼 행정의 헹굼수량이 재설정된 경우에는 재설정된 양만큼의 헹굼수가 공급된다. 반면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지 않았다고 판단되어 그대로 세탁 행정이 진행된 경우에는 최초 설정된 헹굼수량(b) 만큼의 헹굼수가 공급된다(S122).
헹굼수가 공급되면 최초 헹굼 행정이 실시되고, 제어부(74)는 헹굼 행정이 1회 실시되었다고 카운트한다(S122, S124).
최초 헹굼 행정이 종료되면 다음 회의 헹굼 행정이 진행되고, 제어부(74)는 헹굼 행정이 1회 더 실시되었다고 카운트한다. 이와 같이 헹굼 행정시마다 헹굼횟수(n)를 카운트하는 것은 헹굼 행정이 실시되는 횟수에 제한을 두어 물이나 전력이 과다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최초 헹굼 행정 후에 헹굼 행정에서는 최초 설정된 양(b)만큼의 헹굼수가 급수된다(S128, S130).
당해 헹굼 행정이 종료되기 전에 제어부(74)는 순환펌프(53)를 가동하여 수 조(11) 내의 헹굼수를 순환유로(51, 52)를 통해 순환시키고, 제1전극(62)과 제2전극(63)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에는 세탁 행정에서와 같이 티타늄전극인 제2전극(63)을 양극, 은전극인 제1전극(62)을 음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순환유로(52)를 지나는 헹굼수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데, 전류검출부(73)는 두 전극(62, 63) 사이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I2)를 검출한다(S132).
이어서 제어부(74)는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4).
그 결과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어부(74)는 당해 헹굼 행정이 마지막 헹굼 행정이라고 인식하고, 당해 헹굼 행정이 끝나기 전에 전극장치 전원부(64)을 제어하여 제1전극(62)과 제2전극(63)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한다(S138). 즉 제어부(74)는 은전극인 제1전극(62)을 양전극, 티타늄전극인 제2전극(63)을 음전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1전극(62)에서 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은이온이 헹굼수로 공급된다. 이러한 은이온들은 순환하는 헹굼수와 함께 회전드럼(12)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살균한다. 또 위와 같이 제1전극(62)과 제2전극(63)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면 전극 세척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제1전극(62)을 음극으로, 제2전극(63)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할 때 제1전극(62)에는 양전하를 가지는 오염물질이 부착되고, 제2전극(63)에는 음전하를 가지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데, 두 전극(62, 63)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면 위와 같은 오염물질이 척력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S134의 판단결과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를 초과하는 경 우에는 카운트된 헹궁횟수(n)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횟수(N)에 도달하였는지 비교한다(S136). 비교 결과 카운트된 헹굼횟수(n)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횟수(N)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S128으로 피드백되어 헹굼 행정을 한 번 더 실시하면서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S134의 비교결과 카운트된 헹굼횟수(n)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횟수(N)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위에서 설명한 S138을 진행하여 세탁물을 살균하고 전극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제어부(74)는 마지막 헹굼 행정의 헹굼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고(S140), 헹굼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헹굼 행정을 최종적으로 종료한 후(S142), 탈수 행정(S144)을 거쳐 세탁 동작을 종료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헹굼수의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하여 세탁물의 헹굼이 완료되는 시점에 헹굼 행정이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함으로써 헹굼 성능을 신뢰성있게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하게 물과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세제를 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세제를 과다하게 투입하였다는 정보를 알려 줌으로써 향후 사용자가 적정 세제량을 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헹굼 행정의 횟수에 제한을 둠으로써 전극장치가 오작동하는 경우에 계속하여 헹굼 행정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극장치를 이용하여 헹굼수의 탁도 측정 및 살균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되므로 전극의 수명이 연장되고, 전극장치의 동작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헹굼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헹굼 행정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순환장치를 가동하여 순환유로를 통해 헹굼수를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유로상에 설치된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헹굼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류의 크기(I2)를 기준치(Ir)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헹굼 행정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종료하고,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헹굼 행정을 추가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에 앞서 수행되는 세탁 행정에서 상기 순환유로를 통해 세제수를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제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 는 단계;
    검출된 전류의 크기(I1)를 기준치(Iw)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투입한 세제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헹굼 행정 횟수가 추가될 것을 예상하여 디스플레이에 연장된 세탁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I1)가 기준치(Iw) 이상인 경우 최초의 헹굼 행정 시에 급수될 헹굼수의 양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되고, 헹굼 행정의 종료 전에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극들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 중 어느 하나는 은을 포함하는 은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티타늄전극이며, 상기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티타늄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카운팅된 헹굼 행정의 횟수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 행정의 횟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세탁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세제수를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경로 상에 설치되고 서른 다른 재질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세제수에 포함된 세제량의 과다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헹굼 행정에서 수조에 담수된 헹굼수를 상기 순환경로를 통해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헹굼수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의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류의 크기(I2)를 기준치(Ir)와 비교하여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 이하인 경우에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의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카운팅된 헹굼 행정의 횟수가 최대로 허용되는 헹굼 행정의 횟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검출된 전류의 크기(I2)가 기준치(Ir)를 초과하더라도 헹굼 행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 중 어느 하나는 은을 포함하는 은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티타늄을 포함하는 티타늄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기 티타늄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의 종료 전에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은전극을 양극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세제수에 과다한 양의 세제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세제가 과다하게 투입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최초의 헹굼 행정에서 급수될 헹굼수의 양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34407A 2007-04-06 2007-04-06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52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407A KR101052783B1 (ko) 2007-04-06 2007-04-06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2/007,980 US20080244836A1 (en) 2007-04-06 2008-01-17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EP08150665A EP1978141A3 (en) 2007-04-06 2008-01-25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RU2008103375/12A RU2362848C1 (ru) 2007-04-06 2008-01-29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ой
CN2008100087705A CN101280501B (zh) 2007-04-06 2008-01-29 洗衣机的控制方法
JP2008033613A JP5175116B2 (ja) 2007-04-06 2008-02-14 洗濯機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407A KR101052783B1 (ko) 2007-04-06 2007-04-06 세탁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29A true KR20080090929A (ko) 2008-10-09
KR101052783B1 KR101052783B1 (ko) 2011-07-29

Family

ID=3959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407A KR101052783B1 (ko) 2007-04-06 2007-04-06 세탁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44836A1 (ko)
EP (1) EP1978141A3 (ko)
JP (1) JP5175116B2 (ko)
KR (1) KR101052783B1 (ko)
CN (1) CN101280501B (ko)
RU (1) RU2362848C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41A (ko)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60039872A (ko) * 2014-10-02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60392A1 (en) * 2018-02-19 2019-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031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세탁수 순환 장치 및 방법
JP2011019607A (ja) * 2009-07-14 2011-02-03 Panasonic Corp 洗濯機
JP5381471B2 (ja) * 2009-08-05 2014-01-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2011041586A (ja) * 2009-08-19 2011-03-03 Panasonic Corp 洗濯機
JP2011050662A (ja) * 2009-09-04 2011-03-17 Panasonic Corp 洗濯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1055926A (ja) * 2009-09-08 2011-03-24 Panasonic Corp 洗濯機
US9534338B2 (en) * 2009-12-16 2017-01-0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JP2011200519A (ja) * 2010-03-26 2011-10-13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US8321983B2 (en) 2010-10-05 2012-12-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ycle of operation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JP2012130812A (ja) * 2012-04-13 2012-07-12 Panasonic Corp 洗濯機
CN104841662B (zh) * 2014-02-19 2017-04-05 宇宙电路板设备(深圳)有限公司 一种湿制程设备清洗方法及装置
KR102206464B1 (ko) * 2014-02-21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6013361A (ja) * 2014-07-03 2016-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466659B1 (ko) * 2015-10-07 2022-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5467848B (zh) * 2015-12-11 2019-01-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控制方法及装置
KR102557925B1 (ko) 2016-05-30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466662B1 (ko) * 2016-06-14 2022-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8121899A (ja) * 2017-02-01 2018-08-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09957946B (zh) * 2017-12-22 2023-01-06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循环过滤装置及洗衣机
CN108315947A (zh) * 2018-01-16 2018-07-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洗涤控制方法
WO2020046955A1 (en) 2018-08-27 2020-03-05 Ecolab Usa Inc. System and technique for extracting particulate-containing liquid samples without filtration
KR20210037305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026293B (zh) * 2021-03-09 2022-04-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397B2 (ja) * 1979-06-14 1984-08-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すすぎ検知装置
JPS62199073U (ko) * 1986-06-07 1987-12-18
DE3904222A1 (de) * 1989-02-13 1990-08-16 Lang Apparate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ogrammablaufsteuerung von waschmaschinen
JPH04240485A (ja) * 1991-01-25 1992-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濁度検知装置
JPH04288194A (ja) * 1991-03-18 1992-10-13 Hitachi Ltd 洗濯機の洗濯制御方法
GB2266898B (en) 1992-05-09 1995-09-20 Hotpoint Ltd Washing machines
IT1276421B1 (it) * 1995-06-16 1997-10-31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Macchina di lavaggio, con mezzi di impostazione della prestazione di risciacquo,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DE19638514A1 (de) * 1996-09-20 1998-03-26 Aeg Hausgeraete Gmbh Arbeitsfluidführendes Reinigungsgerät
KR19980078252A (ko) * 1997-04-26 1998-11-16 배순훈 세탁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세탁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세탁기
DE19748706A1 (de) * 1997-11-04 1999-05-06 Bosch Siemens Hausgeraete Automatisch gesteuerte Waschmaschine mit einem Laugenumwälzsystem
JP2000051576A (ja) * 1998-08-04 2000-02-22 Sharp Corp 洗濯機
KR20030044491A (ko) 2001-11-30 2003-06-09 대우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자동 헹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59663A (ko) * 2002-01-03 2003-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2801850Y (zh) * 2005-06-21 2006-08-02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循环水喷淋式滚筒洗衣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441A (ko) * 2014-08-05 201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60039872A (ko) * 2014-10-02 201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97659A (ko) * 2014-10-02 202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9160392A1 (en) * 2018-02-19 2019-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42634B2 (en) 2018-02-19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78141A2 (en) 2008-10-08
JP2008253735A (ja) 2008-10-23
CN101280501B (zh) 2012-07-04
JP5175116B2 (ja) 2013-04-03
KR101052783B1 (ko) 2011-07-29
CN101280501A (zh) 2008-10-08
EP1978141A3 (en) 2009-12-16
US20080244836A1 (en) 2008-10-09
RU2362848C1 (ru) 200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78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6939488B (zh)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以及洗衣机
JPH10258258A (ja) 電解水生成装置付き洗浄装置
JP2011200519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565508B2 (ja) 食器洗浄機
KR100695173B1 (ko) 세제 농도 검출용 센서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 및 그것을이용한 식기 세척방법
JP4900159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30007109A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9407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JP2004057856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3297252B2 (ja) 食器洗浄機
JP2013090663A (ja) イオン溶出装置、洗濯機及びイオン溶出方法
KR100609502B1 (ko) 세탁기
JP2004057855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CN114867899B (zh) 洗衣机
JP4681168B2 (ja) 漏水検出装置および食器洗浄機
CN221083569U (zh) 洗碗机
KR100447503B1 (ko) 무세제 세탁기의 전기 분해 장치 세척 방법
JP3948983B2 (ja) 洗濯機
JP2004254929A (ja) 食器洗浄機
JP2003325426A (ja) 食器洗浄機
JP2004229807A (ja) 食器洗浄機
JP2004147837A (ja) 食器洗浄装置
JP2010201054A (ja) 洗濯機
JP2005102832A (ja) 食器洗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