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872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872A
KR20160039872A KR1020140133137A KR20140133137A KR20160039872A KR 20160039872 A KR20160039872 A KR 20160039872A KR 1020140133137 A KR1020140133137 A KR 1020140133137A KR 20140133137 A KR20140133137 A KR 20140133137A KR 20160039872 A KR20160039872 A KR 20160039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display unit
drum
rin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360B1 (ko
Inventor
김자연
김영우
오주현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872A/ko
Priority to KR1020210097884A priority patent/KR102469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의류처리 코스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처리 대상물과 함께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와 세탁수 및 헹굼수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탁도 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센서와 탁도 센서에서 감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의 표시부에 추천 코스, 필요한 세제량, 및 예상 헹굼 횟수의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특히,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 내로(예를 들어, 드럼 내로) 투입되는 세탁볼에 의해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 및 세탁수와 헹굼수의 오염도를 감지한 후, 상기 섬유 종류에 기초한 적절한 코스를 표시하고, 상기 오염도에 기초하여 필요한 세제 및 헹굼 횟수 등을 표시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탁기는 건조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즉, 세탁물의 투입구가 캐비닛의 상측에 배치된) 펄세이터 세탁기와,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즉, 세탁물의 투입구가 캐비닛의 전방측에 배치된)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 장치에 처리 대상물 및 세제 등이 투입된 후,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행정은 크게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세탁행정에서는 복수개의 코스 중 원하는 코스를 선택한 후, 적절한 양의 세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헹굼행정은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의 오염도에 따라 1회이상(즉,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처리될 세탁물의 종류(즉, 섬유 종류)에 따라서 어떤 코스에 의해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세탁행정에서 드럼 내로 투입되는 세제의 양은 사용자에 의해 판단되며,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세제가 드럼 내로 투입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드럼 내로 투입되는 세제의 양이 너무 적은 경우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물이 완벽히 제거될 수 없고, 반대로, 세제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 헹굼횟수 증가에 따라 헹굼수 소비량이 증가되거나 헹굼행정 이후에도 세탁물에 잔여 세제가 존재할 정도로 세제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헹굼행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헹굼행정의 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나, 사용자는 세탁행정 이후에 세탁물에 남아 있는 잔여 세제 및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몇 회의 헹굼행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헹굼행정의 횟수가 너무 적은 경우 세탁물에 남아 있는 잔여 세제 및 오염물이 완벽히 제거될 수 없고, 반대로, 헹굼행정의 횟수가 너무 많은 경우 헹굼수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행정에서 드럼 내로 투입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세제의 양을 추천하여 표시해주거나, 바람직한 예상 헹굼행정의 횟수를 표시해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세탁볼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섬유 종류에 기초한 가장 바람직한 추천 코스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의 코스 선택 어려움을 해소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볼에 의해 세탁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어느 정도의 세제가 드럼 내로 투입되어야 하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볼에 의해 헹굼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어느 정도의 헹굼 횟수가 바람직한지 여부(즉, 예상 행굼 횟수)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의류처리 코스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처리 대상물과 함께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및 상기 광학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세탁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 표시부 및 제1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모듈에 수신된 섬유 종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리 대상물이 상기 드럼 내로 수용된 후, 상기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광학 센서가 감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상기 제1통신모듈로부터 전원입력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세탁볼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센서에서 복수개의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통신모듈은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는 1회만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볼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세탁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에서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될 기 설정된 세제의 양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헹굼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볼은 센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센서, 상기 탁도 센서 및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센서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표시부; 제1통신모듈;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고, 광학 센서, 탁도 센서 및 광학 센서와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세탁볼; 및 상기 드럼과 표시부와 제1통신모듈과 세탁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처리 대상물 및 세탁볼이 상기 드럼 내로 수용되는 수용단계;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는지 여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판단단계;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으면,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탁도 센서가 ON되는 센서활성화단계; 상기 광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데이터전송단계; 및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추천코스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전송단계와 상기 추천코스표시단계 사이에,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분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코스표시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선택단계;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서 처리 대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단계에서,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단계는, 드럼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세탁볼의 제2통신모듈에서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세탁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단계 이후에, 처리 대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헹굼단계에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헹굼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예상 헹굼 횟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헹굼단계는, 드럼 내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헹굼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세탁볼의 제2통신모듈에서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헹굼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예상 행굼 횟수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은 의류처리장치의 특정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의 입력 또는 의류처리장치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의류처리코스(즉, 세탁코스) 중 처리될 세탁물의 섬유 종류에 따른 바람직한 코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수의 오염도에 기초한 드럼 내로 투입되어야 하는 세제의 양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헹굼수의 오염도에 기초한 바람직한 헹굼 횟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로 세탁볼이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세탁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가 도 3의 세탁볼과 통신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에서 세탁행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헹굼행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래 설명되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스타일러를 포함하는 개념이나, 주로 건조기능을 포함하는 세탁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댐핑 구조, 급수 구조 및 배수 구조 등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하,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 내로 세탁볼이 투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3은 세탁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도어(20),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고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30), 상기 캐비닛(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 또는 세탁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40)을 포함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는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드럼(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터브(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41)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41)는 상기 드럼(40) 내측과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는 도어(20)의 일측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축(Y)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는 도어(20)의 일측부에 상기 캐비닛(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힌지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는 회전가능한 놉(knob) 형태로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에 의해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를 회전 조작하여 원하는 의류처리 코스 등을 선택하고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 코스는 표준 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 워시, 란제리, 이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를 통하여 세탁 행정에서의 세탁 강도, 헹굼 행정에서의 헹굼 횟수, 탈수 코스에서의 탈수 강도 및 세탁수 온도 등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에는 의류처리 코스(즉, 세탁 코스)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1)는 상기 조작부(30)의 전방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작부(30)의 전방표면에 구비된 표시부(31)는 디스플레이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부(31)는 조작부(30)와 별도로, 캐비닛(10)의 외측 표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0) 내측에는 제1통신모듈(14)이 구비되며, 상기 제1통신모듈(14)은 추후 설명될 제2통신모듈(54)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54)은 RFID 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과 함께 상기 드럼(40) 내에 수용되는 세탁볼(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볼(50)은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51) 및 상기 광학 센서(51)에서 감지된 데이터(즉, 감지된 값)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하는 제2통신모듈(54)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광학 센서(51)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즉, 값)은 의류처리장치(1)에 미리 프로그램되어 있는 복수개의 코스 중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에 따른 바람직한 코스를 표시부(31)에 표시하기 위한 인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세탁 코스를 실행하기 전에, 세탁볼(50)이 처리 대상물과 함께 드럼(4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 입력 후 특별한 코스의 선택 없이 조작부(30)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면, 상기 드럼(40) 내에 수용된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 드럼(40)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한다. 여기서, 포량 감지를 위한 드럼(40)의 회전방식은 이미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탁볼(50)은 회전하는 드럼(40) 내에서 처리 대상물과 섞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학 센서(51)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예를 들어, 섬유 조직에 기초한 섬유의 종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드럼(40)이 복수회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는 동안에, 상기 광학 셍서(51)는 드럼(40) 내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처리 대상물과 섞이면서 상기 처리 대상물과 접촉하거나 마주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학 센서(51)는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조직을 촬영하여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판단하게 된다.
광학 센서(51)에 의해 감지된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는 세탁볼(50)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54)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캐비닛(10) 내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14)로 전달된다.
제1통신모듈(14)로 전달된 섬유 종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31)에는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섬유 종류에 따른 기 설정된 추천 코스는 캐비닛(1) 내에 구비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된 추천 코스를 참고하여 바람직한 코스를 선택한 후 상기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드럼(40), 상기 표시부(31) 및 상기 제1통신모듈(14)을 제어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1통신모듈(14)에 수신된 섬유 종류의 데이터(또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31)에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센서(51)가 감지 작동을 시작하는 시점은 처리 대상물과 세탁볼(50)이 상기 드럼 내로 수용된 후, 상기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40)이 회전하는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광학 센서(51)의 감지 작동은 상기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40)이 회전하는 동안 계속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0)를 조작하여 특정 코스를 실행시켰을 때, 또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코스의 선택 없이 조작부(3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를 실행시켰을 때, 또는 사용자가 조작부(30)를 통해 처리 대상물의 무게나 양을 판단하도록 명령했을 때,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해 드럼(40)이 회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처리 대상물과 세탁볼(50)을 드럼(40) 내로 투입한 후,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기만 하면,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해 드럼(4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면, 세탁볼(50)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54)은 캐비닛(10) 내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14)로부터 전원입력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세탁볼(50)이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이 입력되면, 제어부(13)의 명령에 따라 제1통신모듈(14)은 전원 입력의 신호를 세탁볼(50)의 제2통신모듈(54)로 전달하고, 이하 설명될 세탁볼(50)에 구비된 제어유닛(53)은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세탁볼(50)에 구비된 센서(예를 들어, 광학 센서 및 탁도 센서)가 ON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의류처리장치(1) 전원 입력에 따라서, 상기 드럼(40) 내로 투입된 세탁볼(50)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드럼(40) 내에서 처리 대상물과 함께 섞여서 회전되는 세탁볼(50)의 광학 센서(51)가 복수개의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2통신모듈(54)은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는 1회만 상기 제1통신모듈(14)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라 복수개일 경우, 드럼(40) 내에서 처리 대상물과 함께 섞여서 회전되는 세탁볼(50)의 광학 센서(51)는 복수개의 섬유 종류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세탁볼(50)의 위치에 따라서, 세탁볼(50)은 동일한 섬유 종류를 여러번 박복해서 감지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 동일한 섬유 종류를 감지할 때마다 제2통신모듈(54)이 섬유 종류의 데이터를 모두 제1통신모듈(14)로 전달할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통신모듈(14)과 제2통신모듈(54) 사이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센서(51)에서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가 복수회 감지된 경우, 상기 제2통신모듈(54)은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는 최초 감지된 1회만 상기 제1통신모듈(14)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53)은 광학 센서(51)에서 감지된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반복되는 데이터는 삭제하고 상이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만이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되도록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광학 센서(51)는 처리 대상물의 양이 아닌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광학 센서(51)는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에 따른 추천 코스를 표시부(31)에 표시하기 위해 처리 대상물에 어떠한 종류의 섬유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볼(50)은 드럼(40) 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탁도(또는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탁도 센서(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세탁 행정에서 필요한 세제의 양 및 헹굼 행정에서 수행될 예상 행굼 횟수를 표시부(31)에 표시하기 위한 인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탁도 센서(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상기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3)는 상기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에서 상기 드럼(40) 내로 투입될 기 설정된 세제의 양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드럼(40) 내로 세탁수가 공급된 후, 드럼(40)의 회전을 동반한 세탁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탁도 센서(52)는 세탁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되고,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3)는 제2통신모듈(54)로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세제의 양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세탁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에 따른 바람직한 세제의 양 또는 기 설정된 세제의 양은 의류처리장치(1) 내에 구비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상기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세제량에 대한 데이터중, 제2통신모듈(54)에 수신된 세탁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장 바람직한 세제량의 정보가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헹굼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즉, 세탁 행정이 완료되고 헹굼 수가 공급된 후에), 상기 탁도 센서(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는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3)는 상기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드럼(40) 내로 헹굼수가 공급된 후, 드럼(40)의 회전을 동반한 헹굼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탁도 센서(52)는 헹굼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되고,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3)는 제2통신모듈(54)로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헹굼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에 따른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는 의류처리장치(1) 내에 구비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상기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행굼 횟수에 대한 데이터중, 제2통신모듈(54)에 수신된 헹굼수의 탁도 또는 오염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장 바람직한 헹굼 횟수의 정보가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표시부(31)에 필요한 헹굼 횟수의 정보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는 조작부(30)의 조작을 통하여 헹굼 횟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세탁볼(50)은 구형(spherical)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가 상기 세탁볼(50)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는 세탁볼(50)의 둘레방향 일측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는 구형 세탁볼(50)의 적도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세탁볼(50)에는 상기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55)이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55)에는 상술한 제2통신모듈(54)과 베터리 유닛(56)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55)에는 상기 광학 센서(51), 상기 탁도 센서(52) 및 상기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5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볼(50) 내의 베터리 유닛(56) 및 회로기판(55) 등의 구성을 세탁수 및 헹굼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세탁볼(50)의 외부 표면은 수밀처리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14)과 세탁볼(50)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54)이 통신하는 구조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의류처리장치가 도 3의 세탁볼과 통신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볼(50)에 구비된 제어유닛(53)은 광학 센서(51, 탁도 센서(52) 및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13)는 조작부(30)에 구비된 표시부(31) 및 제1통신모듈(14)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14)은 상기 제2통신모듈(54)과 양방향 통신 가능하도록(예를 들어, RFID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53)은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에 기초하여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53)은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에 기초하여 세탁볼(50)의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를 ON 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3)은 포량의 감지를 위한 드럼(40)의 회전 시에 광학 센서(51)가 세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도록 광학 센서(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53)은 광학 센서(51)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발송되도록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유닛(53)은 광학 센서(51)가 복수개의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2통신모듈(54)이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는 1회만 상기 제1통신모듈(14)로 전달하도록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유닛953)은 세탁 행정 및 헹굼 헹정에서 탁도 센서(5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제2통신모듈(54)을 통해 제1통신모듈(14)로 발송되도록 제2통신모듈(54)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는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메모리(70)에 저장된 섬유 종류에 따른 기 설정된 추천 코스의 정보 및 세탁수의 오염도에 따른 기 설정된 세제의 양에 대한 정보 또는 헹굼수의 오염도에 따른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통신모듈(54)로부터 발송된 신호가 제1통신모듈(14)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1통신모듈(14)에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70)에 저장된 정보들 중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를 구비하는 세탁볼(50)의 사용에 의해,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1)의 표시부(31)를 통하여 세탁물의 섬유 종류에 따른 바람직한 추천 코스의 정보, 세탁 행정에 필요한 바람직한 세제량의 정보, 및 예상되는 헹굼 횟수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의류처리장치(1)의 특징들이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의류처리장치(1)를 통해 발생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처리 대상물 및 세탁볼(50)이 드럼(40) 내로 수용되는 수용단계(S100), 상기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는지 여부가 제어부(13)에서 판단되는 판단단계(S200), 상기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으면, 세탁볼(50)에 구비된 광학 센서(51)와 탁도 센서(52)가 ON되는 센서활성화단계(S300), 상기 광학 센서(51)에 의해 감지된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세탁볼(50)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되는 데이터전송단계(S400), 및 상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제어부(13)가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하는 추천코스표시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단계(S100)에서는 처리 대상물(즉, 세탁물) 및 세탁볼(50)이 드럼(40) 내로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1)를 구동시키기 전에 도어(20)를 오픈한 상태에서 세탁물 및 세탁볼(50)이 드럼(40) 내로 수용될 것이다.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는 상기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는지 여부가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부(13)에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킨다는 것은 세탁볼(50)에 구비된 베터리 유닛(56)에 의해 세탁볼(50)의 광학 센서(51) 및 탁도 센서(52)에 전원이 공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세탁볼(50)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은 의류처리장치(1)의 특정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의 입력 또는 의류처리장치(1)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자동으로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에 전원을 입력한 후, 복수개의 코스들 중 특정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을 조작부(30)를 통해 입력하거나, 또는 의류처리장치(1)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을 조작부(30)를 통해 입력하면, 세탁볼(5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볼(50)의 활성화명령은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14)에서 발신되어 세탁볼(50)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54)에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활성화단계(S300)에서는 상기 판단단계(S200)에서 세탁볼(50)을 활성솨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을 때 세탁볼(50)에 구비된 광학 센서(51)와 탁도 센서(52)가 ON으로 된다.
즉, 상기 센서활성화단계(S300)에서는, 제1통신모듈(14)에서 발신된 세탁볼(50)의 활성화명령이 상기 제2통신모듈(54)에 수신된다. 그러면, 센서볼(50)에 구비된 제어유닛(53)은 광학 센서(51)와 탁도 센서(52)를 작동 가능한 상태(즉, ON)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400)에서는, 상기 광학 센서(51)에 의해 감지된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다.
이때,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는 제2통신모듈(54)에서 신호로 변환되어 발송되고,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1통신모듈(14)은 상기 신호를 다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3)에 전달한다.
즉,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제어부(13)는 제1통신모듈(14)로부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추천코스표시단계(S600)에서는,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부(31)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31)에 상기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된 추천 코스의 정보를 참고하여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에 따른 바람직한 코스를 조작부(30)를 통해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섬유 종류에 따른 바람직한 코스는 의류처리장치(1)에 구비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전송단계(S400)와 상기 추천코스표시단계(S600) 사이에,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어부(13)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분석단계(S500)를 더 포함한다.
즉, 분석단계(S500)에서, 제어부(13)는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처리 대상물에 어떤 종류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및 처리 대상물에 포함된 섬유 종류들에 기초한 바람직한 추천 코스는 어떤 코스인지 여부를 분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코스표시단계(S600)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선택단계(S700),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서 처리 대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단계(S8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탁단계(S800)에서, 상기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세탁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표시부(3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세탁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한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31)에 표시된 추천 세제량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1) 내로 투입될(즉, 드럼(40) 내로 투입될) 세제의 양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전에 이미 세제가 드럼(40) 내로 투입된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31)에 표시된 추천 세제량을 참고하여 드럼(40) 내로 세제가 추가적으로 투입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단계(S800) 이후에, 처리 대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단계(S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헹굼단계(S900)에서는, 상기 탁도 센서(52)에서 감지된 헹굼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예상 헹굼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헹굼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한 기 설정된 예상 헹굼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된 예상 헹굼 횟수를 참고하여 바람직한 헹굼 횟수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조작부(30)의 조작을 통하여 표시부(31)에 표시된 예상 헹굼 횟수를 그대로 선택하거나, 헹굼 행정의 횟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탁단계(S800) 내에서 또는 상기 헹굼단계(S900) 내에서 1회 이상의 탈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상기 세탁단계(S800)와 헹굼단계(S900) 사이에서, 또는 상기 헹굼단계(S900) 이후에, 1회 이상의 탈수 및 배수가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세탁단계 또는 헹굼단계에서 세탁볼이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서 세탁행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세탁행정(S800)에서는 소정 양의 세탁수 및 세제가 드럼(40) 내로 투입된 후 드럼(40)의 회전과 함께 1회 세탁 행정이 수행된다.
구체절으로, 코스선택단계(S700) 이후에 실행되는 상기 세탁단계(S800)는 세탁수 공급 단계(S810), 오염량 데이터 전송 단계(S820), 오염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S830), 추천 세제량 표시 단계(S840), 및 세제 투입 및 드럼 회전 단계(S85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 공급 단계(S810)에서는 처리 대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수가 의류처리장치(1) 내로(즉, 드럼(40) 내로) 분사된다.
오염량 데이터 전송 단계(S820)에서는 세탁볼(50)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처리 대상물이 충분히 세탁수에 잠길만큼 또는 처리 대상물이 충분히 세탁수에 젖을 만큼 세탁수가 드럼(40) 내로 분사된 이후에 세탁볼(50)이 세탁수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S830)에서는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세탁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부(13)에서 수집하여 분석한다. 즉, 제어부(13)는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세탁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하여 세탁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한다.
추천 세제량 표시 단계(S840)에서, 제어부(13)는 분석된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세제의 양 중 바람직한 추천 세제량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한다.
즉, 메모리(70)에는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다른 복수개의 세제량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3)는 이러한 복수개의 세제량들 중 분석된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추천 세제량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세제 투입 및 드럼 회전 단계(S850)에서는,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된 추천 세제량의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적정량의 세제가 의류처리장치(1) 내로(즉, 드럼(40) 내로) 투입된 후 드럼(40)의 회전과 함께 세탁행정이 시작될 수 있다.
물론, 의류처리장치(1)의 구동 전에 미리 일정 량의 세제가 의류처리장치(1) 내로 투입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어부(13)는 분석된 세탁수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추가로 투입되어야 할 세제의 양이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 헹굼행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헹굼단계(S900)에서는 소정 양의 헹굼수가 드럼(40) 내로 투입된 후 드럼(40)의 회전과 함께 1회 이상의 헹굼 행정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세탁단계(S800) 이후에 실행되는 상기 헹굼단계(S900)는 헹굼수 공급 단계(S910), 오염량 데이터 전송 단계(S920), 오염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S930), 예상 헹굼 횟수 표시 단계(S940), 및 유연제 투입 단계(S950)를 포함할 수 있다.
헹굼수 공급 단계(S910)에서는 처리 대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수가 의류처리장치(1) 내로(즉, 드럼(40) 내로) 분사된다.
오염량 데이터 전송 단계(S920)에서는 세탁볼(50)에 의해 감지된 헹굼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제2통신모듈(54)로부터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에도, 처리 대상물이 충분히 헹굼수에 잠길만큼 또는 처리 대상물이 충분히 헹굼수에 젖을 만큼 헹굼수가 드럼(40) 내로 분사된 이후에 세탁볼(50)이 헹굼수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량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단계(S930)에서는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헹굼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제어부(13)에서 수집하여 분석한다. 즉, 제어부(13)는 제1통신모듈(14)로 전송된 헹굼수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하여 헹굼수의 오염 정도를 판단한다.
예상 헹굼 횟수 표시 단계(S940)에서, 제어부(13)는 분석된 헹굼수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복수개의 예상 헹굼 횟수의 데이터들 중 바람직한 예상 헹굼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표시부(31)를 제어한다.
즉, 메모리(70)에는 헹굼수의 오염 정도에 다른 복수개의 예상 헹굼 횟수들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3)는 이러한 복수개의 예상 헹굼 횟수의 정보들 중 분석된 헹굼수의 오염 정도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예상 헹굼 횟수가 표시부(31)에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된 예상 헹굼 횟수에 따라 헹굼 행정이 수행될 경우, 처리 대상물에 잔류할 수 있는 세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처리 대상물에 세제가 잔류하지 않으면서 헹굼수를 절약할 수 있는 바람직한 헹굼 횟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31)에 표시된 예상 헹굼 횟수만큼 헹굼 행정을 수행하도록 조작부(30)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30)의 조작을 통하여 헹굼 행정의 횟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유연제 투입 단계(S950)에서는, 헹굼 행정이 복수회 수행되는 경우에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는 헹굼 행정에서 유연제가 드럼(40) 내로 투입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는 복수회의 헹굼 행정 중 마지막 헹굼 행정이 시작될 때 유연제가 드럼(40) 내로 투입되도록 의류처리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연제는 의류처리장치(1)의 소정 공간(예를 들어, 세제 투입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어부(13)는 이러한 유연제가 드럼(40) 내로 투입되는 시기를 판단하여 유연제를 투입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특징들은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은 탈수행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주제에 해당하는 세탁단계에서 추천 세제량을 표시하는 특징 및 헹굼단계에서 예상 헹굼 횟수를 표시하는 특징을 중심으로 기재되어 있다.
즉, 세탁단계 내에서, 또는 헹굼단계 내에서, 또는 상기 세탁단계와 헹굼단계 사이에 각각 1회 이상의 탈수행정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헹굼단계 이후에는 1회 이상의 탈수행정을 포함하는 탈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10 캐비닛 13 제어부
14 제1통신모듈 20 도어
30 조작부 31 표시부
40 드럼 50 세탁볼
51 광학 센서 52 탁도 센서
53 제어유닛 54 제2통신모듈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고, 의류처리 코스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제1통신모듈; 및
    상기 처리 대상물과 함께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고, 상기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및 상기 광학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세탁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표시부 및 제1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모듈에 수신된 섬유 종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이 상기 드럼 내로 수용된 후, 상기 처리 대상물의 무게 또는 양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이 회전될 때 상기 광학 센서가 감지 작동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제2통신모듈이 상기 제1통신모듈로부터 전원입력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세탁볼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에서 복수개의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2통신모듈은 동일한 섬유 종류에 대한 데이터는 1회만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볼은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세탁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세탁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탁 행정에서 상기 드럼 내로 투입될 기 설정된 세제의 양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헹굼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헹굼 행정의 횟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볼은 센서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 센서, 상기 탁도 센서 및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센서 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표시부; 제1통신모듈;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되고, 광학 센서, 탁도 센서 및 광학 센서와 탁도 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통신모듈에 전송하는 제2통신모듈을 구비하는 세탁볼; 및 상기 드럼과 표시부와 제1통신모듈과 세탁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처리 대상물 및 세탁볼이 상기 드럼 내로 수용되는 수용단계;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는지 여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판단단계;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있으면,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탁도 센서가 ON되는 센서활성화단계;
    상기 광학 센서에 의해 감지된 처리 대상물의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2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데이터전송단계; 및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코스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추천코스표시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와 상기 추천코스표시단계 사이에,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섬유 종류와 관련된 데이터가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코스표시단계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코스가 선택되는 코스선택단계; 및
    선택된 코스에 따라서 처리 대상물을 세탁하기 위한 세탁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탁단계에서,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는,
    드럼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단계;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탁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세탁볼의 제2통신모듈에서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세탁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추천 세제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단계 이후에,
    처리 대상물을 헹구기 위한 헹굼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헹굼단계에서,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된 헹굼수 오염도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예상 헹굼 횟수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헹굼단계는,
    드럼 내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
    상기 탁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헹굼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세탁볼의 제2통신모듈에서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1통신모듈로 전송된 헹굼수 오염량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수집 및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예상 행굼 횟수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명령은 의류처리장치의 특정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명령의 입력 또는 의류처리장치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기 위한 명령의 입력에 따라서 자동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33137A 2014-10-02 2014-10-02 의류처리장치 KR102284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37A KR102284360B1 (ko) 2014-10-02 2014-10-02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97884A KR102469629B1 (ko) 2014-10-02 2021-07-2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137A KR102284360B1 (ko) 2014-10-02 2014-10-02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84A Division KR102469629B1 (ko) 2014-10-02 2021-07-2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872A true KR20160039872A (ko) 2016-04-12
KR102284360B1 KR102284360B1 (ko) 2021-08-02

Family

ID=558009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137A KR102284360B1 (ko) 2014-10-02 2014-10-02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97884A KR102469629B1 (ko) 2014-10-02 2021-07-26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84A KR102469629B1 (ko) 2014-10-02 2021-07-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4360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089B1 (ko) * 2017-08-23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1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2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3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2424A (ko) * 2018-12-12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9676A (ko) * 2016-07-15 2019-03-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구조 정보에 의해 직물의 처리 파라미터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WO2020055158A1 (ko)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N111212941A (zh) * 2017-10-12 2020-05-29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以及洗衣机的动作方法
WO2020111616A1 (ko) * 2018-11-30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67067A1 (en) * 2019-02-15 2020-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KR20200130849A (ko) * 2018-03-09 2020-11-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출력 모듈 및/또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KR20200130848A (ko) * 2018-03-09 2020-11-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방출 모듈 및 센서 모듈을 갖는 장치
CN112714812A (zh) * 2018-09-12 2021-04-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包括该衣物处理装置的线上系统
CN113136689A (zh) * 2020-01-17 2021-07-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纸质异物检测方法
KR102309448B1 (ko) * 2020-12-28 2021-10-06 최철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오염 정도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57134B2 (en) 2016-12-21 2024-01-02 Henkel Ag & Co. Kgaa Retrofittable sensor unit for controlling a dosing device
WO2024085672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탁도를 감지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3552A (ko) * 2021-12-31 2023-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332A (ja) * 2002-05-24 2005-09-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センサ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80090929A (ko)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30044764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6332A (ja) * 2002-05-24 2005-09-0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センサー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80090929A (ko) * 2007-04-06 2008-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30044764A (ko) * 2011-10-24 2013-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 제어 시스템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676A (ko) * 2016-07-15 2019-03-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구조 정보에 의해 직물의 처리 파라미터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US11857134B2 (en) 2016-12-21 2024-01-02 Henkel Ag & Co. Kgaa Retrofittable sensor unit for controlling a dosing device
KR101939089B1 (ko) * 2017-08-23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1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2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90021743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11212941B (zh) * 2017-10-12 2023-02-24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以及洗衣机的动作方法
CN111212941A (zh) * 2017-10-12 2020-05-29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以及洗衣机的动作方法
US11535967B2 (en) 2017-10-12 2022-12-2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US20210032793A1 (en) * 2018-03-07 2021-02-04 Henkel Ag & Co. Kgaa Apparatus with a discharge module and sensor module
KR20200130849A (ko) * 2018-03-09 2020-11-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출력 모듈 및/또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KR20200130848A (ko) * 2018-03-09 2020-11-20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방출 모듈 및 센서 모듈을 갖는 장치
JP2021535822A (ja) * 2018-09-12 2021-12-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衣類処理装置及びそれを含むオンラインシステム
CN112714812A (zh) * 2018-09-12 2021-04-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包括该衣物处理装置的线上系统
WO2020055158A1 (ko) 2018-09-12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CN112714812B (zh) * 2018-09-12 2023-04-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及包括该衣物处理装置的线上系统
US11910920B2 (en) 2018-09-12 2024-02-27 Lg Electronics Inc.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online system
WO2020111616A1 (ko) * 2018-11-30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2424A (ko) * 2018-12-12 2019-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20167067A1 (en) * 2019-02-15 2020-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US11479896B2 (en) 2019-02-15 2022-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garments
CN113136689A (zh) * 2020-01-17 2021-07-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纸质异物检测方法
KR102309448B1 (ko) * 2020-12-28 2021-10-06 최철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오염 정도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085672A1 (ko) * 2022-10-19 202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탁도를 감지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629B1 (ko) 2022-11-22
KR20210097659A (ko) 2021-08-09
KR102284360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629B1 (ko) 의류처리장치
US9212446B2 (en) Laundry machine and washing method with steam for the same
KR100740841B1 (ko) 스팀 세탁 방법
KR102395012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471988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15749A (ko) 세탁기에 사용되는 악세서리
KR20170086207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34653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03730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054430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WO2008148844A2 (en) A washer/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80161A (ja) 洗濯機
KR20020004583A (ko) 세탁기의 주의사항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114206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도 조정장치 및 방법
KR20130070809A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세탁 제어 방법
KR1014875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725324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27193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urse of washing machine
JP6978984B2 (ja) 洗濯機
KR100672606B1 (ko) 세탁 장치
KR20200121643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4952A (ko) 히팅 세탁 제어 방법
KR100857781B1 (ko) 세탁기 및 그 세탁포 오염도 측정에 따른 세탁방법
KR20130080105A (ko) 건조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KR20230120274A (ko) 세탁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