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7109A - 세탁기 및 세정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7109A
KR20030007109A KR1020020040143A KR20020040143A KR20030007109A KR 20030007109 A KR20030007109 A KR 20030007109A KR 1020020040143 A KR1020020040143 A KR 1020020040143A KR 20020040143 A KR20020040143 A KR 20020040143A KR 20030007109 A KR20030007109 A KR 2003000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electrolytic
electrode
laundr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8669B1 (ko
Inventor
아까기다까요시
하찌야시게미쯔
에이후꾸유우지
후지이겐지
마미야하루오
히가시모모유우지
아라이히데유끼
오오니시가쯔지
요시다겐지
후지이요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기 분해를 이용한 세탁 및 균 제거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개시되면, 전회의 통전 제어의 종료 시점에서의 전극(33)으로의 통전 시간을 EEPROM(93)으로부터 판독한다(스텝 G1). 이 판독한 통전 시간의 연속으로부터 통전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G2). 스텝 G3에서 반전 시간이 되었다고 판정하면, 전극(33)의 통전 제어를 정지하고(스텝 G4), 절환 스위치(98)를 동작하여 전극(33)의 극성을 반전한다(스텝 G5). 극성 반전이 끝나면, 통전 시간을 리셋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하여 통전 제어를 재개한다(스텝 G6 내지 스텝 G8). 전극 표면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방지되어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세정기 {WASHING MACHINE AND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 드럼식 세탁기, 2조식 세탁기 등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나 식기 세척기 등,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세정기)에서는, 통상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세탁겸 탈수조 내에 세제가 용해된 물(세탁액)을 저장하고, 바닥부에 배치된 펄세이터를 회전하게 하여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교반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을 행하고 있다. 즉, 펄세이터에 의한 기계력과 세제의 효과로 세탁물의 오염을 떨어뜨리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세탁기에서는 세탁 운전에 드는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 세제의 사용량을 적게 하고 싶은 바램이 있다.
그래서, 세탁조 내에 저장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장치를 설치하고, 종래의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대신에, 전해 장치로 전기 분해하면서 세탁물에 기계력을 부여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세탁기를 실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전해 세탁 행정에서는 주로 펄세이터의 기계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오염을 박리한다. 그리고, 이 박리한 오염을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한 활성 산소에 의해 분해하여 세탁물로의 오염 재부착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세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세탁물의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탁과 동시에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하고 싶다는 요망도 있다. 이에 대해, 세제를 이용한 세탁 행정이나 상술한 전해 세탁 행정 후에 전해 장치에 의한 전기 분해로 생성한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을 작용시켜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하는 전해 헹굼 행정을 실행하는 세탁기를 실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탁기를 실현하는 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발생한다.
동일한 극성의 상태에서 전극에 통전을 계속하면, 전극 표면에 스케일이 부착되어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전기 분해의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이에 의해 충분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극의 극성을 반전한 후에 통전을 개시하면, 그 때의 전류치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전 개시로부터 수초 내지 수분(약 2분)까지의 동안, 그 이후의 전류, 즉 본래 흐르는 정상 전류보다도 약간 높은 전류가 흐르는 것이 실험 등의 결과 판명되었다. 전극으로의 통전 회로의 보호를 위해 상한 전류치(길게 통전을 계속하면 통전 회로가 파손되는 전류의 임계치)를 설정하고, 이 상한 전류치보다도큰 전류가 흐르면 통전을 정지하여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이 경우, 정상 전류는 상한 전류치보다도 작음에도 불구하고, 극성을 반전한 직후의 통전에 있어서 상한 전류치를 초과했다고 판정되어 전기 분해를 중지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수돗물의 도전율은 염소 등의 함유량이 다른 것 등에 의해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이로 인해,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동되어 전기 분해의 성능이 변동하는 결과,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얻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한, 어떠한 원인에 의해 통전 회로가 파손한 경우, 전극으로 계속 통전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한 전기 분해가 행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전기 분해를 이용한 세탁(세정)이나 균 제거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세탁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전자동 세탁기의 측면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전자동 세탁기의 정면 일부 단면도.
도3은 물 처리 유닛의 일부 단면 측면도.
도4는 물 처리 유닛의 정면으로부터 본 개략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5는 급수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상면판 후방부의 투시 평면도.
도6은 조작부,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한 조작 패널의 평면도.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9는 표준 코스,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부하량과 수위의 관계를 도시한 테이블.
도10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전해 헹굼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11은 전해 헹굼에 있어서, 침지 시간, 교반 시간, 전해 동작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테이블.
도12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전극의 통전 제어를 도시한 흐름도.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14는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부하량 검지 및 수위 설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15는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중간 탈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16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전극의 통전 회로의 개략을 도시한 회로도.
도17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의 전극 이상 판정 처리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조(세탁조, 세정조)
5 : 세탁겸 탈수조(세탁조)
7 : 펄세이터(세탁 수단, 세정 수단)
20 : 제어부(제어 수단, 카운트 수단)
31 : 전해 장치(전해 수단)
32 : 전해조
33 : 한 쌍의 전극
51 : 전류 검출 회로(전류 검지 수단)
93 : EEPROM(불휘발성의 메모리)
98 : 절환 스위치(반전 수단)
98a : 제1 릴레이
98b : 제2 릴레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1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동일 극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 통전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이 미리 정해진 반전 시간이 되면,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하여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으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의 반전 시간이 될 때마다,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따라서, 전극 표면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방지되므로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반전 시간은 스케일이 부착되기 어려운 시간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지만, 빈번한 반전은 전극 표면에 코팅한 산화 촉매가 되는 박막 재료의 박리의 원인이 되므로, 이와 같은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길이의 시간으로 한다. 이로 인해, 이 반전 시간은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결정한다.
본 제1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있어서는,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가 종료하면, 상기 카운트 수단이 여기까지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고, 다음 번의 통전 제어를 개시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통전 시간을 판독하여 이 통전 시간의 연속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수단으로 카운트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서는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거나, 전원 콘센트가 빠지거나 하여 세탁기로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통전 시간을 기억해 둘 수 있어 항상 일정한 통전 시간에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치가 클수록 스케일이 부착되기 쉬워지지만, 이 구성에서는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통전 제어하므로, 스케일이 부착되기까지의 통전 시간이 대략 일정해져 반전 시간을 상세하게 조정하지 않아도 스케일의 부착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2 발명에 관한 세탁기에 따르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소정 시간 경과 후보다도 상기 상한 전류치를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전극으로의 통전 전류의 상한치를 상한 전류치로서 설정하고,이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통전 전류가 흐르면, 통전을 정지하여 전기 분해를 중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전극으로 통전하기 위한 통전 회로의 과전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극의 극성을 반전함으로써 정상시보다도 전극으로의 통전 전류가 커지는 기간은 상한 전류치를 크게 하였으므로, 극성 반전 후의 통전 초기의 전류치 상승이 원인이 되어 전기 분해가 중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3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상기 상한 전류치보다 크더라도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하지 않고 전기 분해를 중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의 극성을 반전함으로써, 정상시보다도 전극으로의 통전 전류가 커지는 기간은 전극으로의 통전 전류가 상한 전류치보다 커지더라도 전기 분해를 중지하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극성 반전 후 통전 초기의 전류치 상승이 원인이 되어 전기 분해가 중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4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을,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상기 전류치에 따라서 바꾸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치를 검지하여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전류치에 따른 간헐 통전을 행한다. 즉,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전류치가 클 수록 통전 정지 시간을 길게 하여 통전과 통전 정지와의 1사이클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전기 분해의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어, 그 결과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상기 구성에서는 간헐 통전에 있어서의 통전시에 통전 전류를 검지하게되지만, 통전 전류치에 따라서 통전 시간을 바꾸도록 한 경우에는 통전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통전 개시 후 바로 통전 전류치를 검지해야만 한다. 이 경우, 통전 초기에는 돌입 전류가 흐르므로, 이 영향을 받아 버려 정확한 통전 전류치를 검지할 수 없다. 따라서, 통전 전류치에 따른 간헐 통전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다. 이 점, 상기 구성에서는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바꾸도록 하고 있으므로, 돌입 전류를 받지 않은 통전 시간 후반에 전류 검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통전 전류치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간헐 통전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5 발명에 관한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에 있어서의 통전 정지 시간 내에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전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전극으로의 급전을 멈추는 이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통전 회로에 있어서의 간헐 통전을 행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트랜지스터)의 고장 등에 의해, 본래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는 간헐 통전에 있어서의 통전 정지시에 전류를 검지하면, 전극으로의 급전을 멈추는 이상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와는 별도로 이것에 직렬로 설치된 안전 보호용 스위치(릴레이 등)를 오프한다. 혹은, 전원 스위치를 오프하여 세탁기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전자의 경우는 전기 분해는 할 수 없게 되지만, 세탁 운전 자체는 계속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세탁 운전이 중지된다.
따라서, 통전을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극에 전류가 흘러 불필요하게 전기 분해가 행해져 버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칭 소자 등은 간헐 통전 제어 중(동작 중)에 고장나는 경우가 많아, 이 구성에서는 이 간헐 통전에 있어서의 통전 정지시에 전류의 검지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신속하게 고장을 검지하여 그 대응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부나 부저 등의 통지 수단에 의해 표시나 소리로 이상 통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6 발명에 관한 세정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동일 극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 통전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이 미리 정해진 반전 시간이 되면,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하여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에 관한 세탁기와 같이, 전극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방지되므로,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7 발명에 관한 세정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정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소정 시간 경과 후보다도 상기 상한 전류치를 크게 설정하거나, 혹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상기 상한 전류치보다 크더라도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하지 않고 전기 분해를 중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이나 제3 발명에 관한 세탁기와 같이, 전극의 극성 반전 후의 통전 초기에 일어나는 전류치 상승이 원인이 되어 전기 분해가 중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8 발명에 관한 세정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을,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상기 전류치에 따라서 바꾸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상기 제4 발명에 관한 세탁기와 같이, 통전과 통전 정지와의 1사이클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므로, 전기 분해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는 결과,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다. 게다가, 돌입 전류를 받지 않는 시점에서의 전류 검지를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정밀도가 높은 통전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원 제9 발명에 관한 세정기는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정지시에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전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소정의 이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구성에서는 상기 제5 발명에 관한 세탁기와 같이, 통전을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극에 전류가 흘러 불필요하게 전기 분해가 행해져 버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 및 세정기의 일실시 형태인 전자동 세탁기에 대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좌우 방향은 정면에서 본 것으로 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이 세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외조(2)가 전방 현수봉(3) 및 후방 현수봉(4)(도면에서는 각 1개씩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 2개씩 존재함)에 의해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현수 지지되어 있다. 이 외조(2)의 상부 전방으로의 돌출에 대응하여 하우징(1)의 전방면 상부도 돌출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의 전방면은 크게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부(16)는 착탈 가능하게 전방면 패널(17)에 의해 씌워져 있다. 이로 인해, 전방면 패널(17)의 상부가 외조(2) 상부의 돌출에 대응하여 돌출하게 된다.
외조(2)의 내부에는, 주위벽에 다수의 탈수 구멍을 갖는 세탁겸 탈수조(5)가 탈수조 축(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있다. 외조(2) 및 세탁겸 탈수조(5)는 본 발명의 세탁조(세정조)를 구성하고 있다. 세탁겸 탈수조(5)의 바닥부에는 외조(2) 내에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펄세이터(7)(본 발명의 세탁 수단, 세정 수단에 상당)가 배치되어 있다. 외조(2)의 바닥부에는 펄세이터(7) 및 세탁겸 탈수조(5)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기구(10)는 탈수조 축(6), 탈수조 축(6)에 내장된 펄세이터(7)의 회전축인 블레이드 축(9), 탈수조 축(6) 및 블레이드 축(9)과 동축적으로 설치된 모터(8), 모터(8)의 동력을 블레이드 축(9)에만 전달하거나, 혹은 블레이드 축(9)과 탈수조 축(6)의 양 쪽으로 전달하거나 하는 절환 클러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구동 기구(10)에 의해 주로 세탁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는 펄세이터(7)만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운전시에는 세탁겸 탈수조(5)와 펄세이터(7)를 일체로 일방향(이것을 정회전 방향으로 함)으로 회전시킨다. 또, 세탁겸 탈수조(5)는 모터(8)가 1회전함으로써 1회전한다. 한편, 블레이드 축(9)의 도중에는 감속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펄세이터(7)는 감속 기구에 의한 감속비에 따라서 회전한다.
외조(2)의 상부 후방에는 내부에 수용한 세제 등을 투입하기 위한 세제 용기(12)를 구비한 주수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제 용기(12)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 수용부(12a)와 섬유 유연제를 수용하는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로 구획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수구(11)의 우측에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2연속 급수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수 밸브(13)의 제1 밸브(13a)는 세제 수용부(12a)에 연결되어 있고, 제2 밸브(13b)는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밸브(13a)가 개방되면, 외부의 급수 꼭지 등으로부터 세제 수용부(12a)로 수돗물이 유입하여 하방의 세탁겸 탈수조(5) 내를 향해 수돗물이 토출된다. 이 때, 세제 수용부(12a)에 세제가 넣어져 있으면, 수돗물과 함께 세제가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된다. 한편, 제2 밸브(13b)가 개방되면, 외부의 급수 꼭지 등으로부터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로 수돗물이 유입하여 하방의 세탁겸 탈수조(5) 내를 향해 수돗물이 토출된다. 이 때,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에 섬유 유연제가 넣어져 있으면, 수돗물과 함께 섬유 유연제가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된다.
주수구(11)의 좌측에는 욕실물 펌프(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욕실물 펌프(59)는 제1 밸브(13a)와 마찬가지로, 세제 수용부(12d)에 연결되어 있다. 욕실물 펌프(59)가 구동되면, 세제 수용부(12a)에 욕실물이 유입하여 하방의 세탁겸 탈수조(5) 내를 향해 욕실물이 토출된다.
외조(2) 바닥부의 전방 단부, 즉 최저부에는 배수관(14)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이 배수관(14)은 배수 밸브(1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배수관(14)의 타단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립 가능한 배수 호스를 거쳐서 외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있다. 배수 밸브(15)의 개폐 동작은 상술한 클러치의 절환동작과 관련되어 있고, 부설된 토크 모터(26)(도7 참조)가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배수 밸브(15)는 폐쇄한 상태이고, 펄세이터(7)는 세탁겸 탈수조(5)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토크 모터(26)를 작동시켜 와이어를 도중까지 견인하면, 배수 밸브(15)가 폐쇄된 상태에서 펄세이터(7)와 세탁겸 탈수조(5)가 연결되고, 와이어를 다시 견인하면 펄세이터(7)와 세탁겸 탈수조(5)가 연결된 상태에서 배수 밸브(15)가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에서는, 외조(2) 및 세탁겸 탈수조(5)를 전방으로 경사시킴으로써, 그 상면 개구가 수직 상방보다도 전방을 향하고 있다. 즉, 외조(2)의 중심축선(CL)은 연직선(VL)에 대해 미리 정하는 경사 각도 α만큼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세탁기의 전방에 선 사용자가 세탁겸 탈수조(5)의 바닥부를 확인하기 쉽고, 또한 세탁물을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각도 α를 5 내지 20도 정도의 범위로 하면, 충분히 세탁물을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하우징(1)의 돌출을 지나치게 크게 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경사 각도 α를 약 10도로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외조(2)의 외주벽 하부에는 전해 장치(31)(본 발명의 전해 수단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유닛화되어 있고, 외조(2)와는 별개의 부재로 만들어져 나사 등에 의해 외조(2)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외조(2)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있고, 전방면 패널(17)을 제거한 것만으로 전해 장치(31)가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해 장치(31)의 수리 및 교환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전해 장치(31)는 외조(2)와는 별개의 부재로 설치된 전해조(32)와, 이 전해조(32) 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33)과, 전해조(32) 상부(69)와 외조(2)를 잇는 상부 통수로(34)와, 전해조(32)의 하부와 외조(2)를 잇는 하부 통수로(35)를 갖고 있다.
전해 장치(31)는 외조(2)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세탁 수위가 되었을 때에 한 쌍의 전극(33)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기는 높이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331)은 제1 전극(33a)과 제2 전극(33b)으로 이루어지고, 제1 전극(33a) 및 제2 전극(33b)은 모두 사각형의 박형판형을 이루고 있다. 전해조(32)는 외조(2)의 주위벽면에 대한 깊이 치수(D1 참조)가 작아지는 박형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극(33a) 및 제2 전극(33b)은 각각의 전극 표면이 외조 주위벽에 대면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전해조(3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조(2)로부터 외측으로의 전해 장치(31)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탈수에 있어서 외조(2)가 진동했을 때에 전해 장치(31)가 하우징(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전해 장치(31)의 전해조(32)를 외조(2)에 일체로 형성하여 전극(33)을 외조(2) 내부에 부착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 좁은 외조(2)의 내부에서는 전극(33)을 조립하기 어렵고, 또한 전극(33)을 보수나 재활용할 때에 제거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해 장치(31)는 외조(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물 처리 유닛(60)을 갖고 있다.
물 처리 유닛(60)은 조립시에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되고, 예를 들어 단독으로 상술한 전해 장치(31)를 구성하도록 전해조(32)와, 전해조(32) 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33)과, 전해조(32)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갖는다. 전해조(32)와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 처리 유닛(6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조(2)의 전방측 하부에 정면에서 보아 우측에 부착되고, 하우징(1) 내의 구석부와 외조(2) 사이의 빈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에는 통전 회로(30)(도7 참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전 회로(30)는 트랜스(61) 등을 갖고 있다. 트랜스(61)는 통상 대중량이지만, 정면에서 보아 우측이 되는 하우징(1) 코너를 이루어 고강도의 전방면부(62)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또한, 트랜스(61)를 외조(2)의 바닥부(64)에 부착해도 좋고, 이 경우 트랜스(61)의 대중량을 이용하여 외조(2)의 진동을 억제하는 데 바람직하다.
물 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하우징(1)의 서비스용 개구부(16)의 근방에 있고, 서비스용 개구부(16)를 통해 조립 작업, 수리나 교환 등의 보수 작업, 재활용을 위한 분해 작업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서로 근접하고 있으므로, 서로의 전기적 접속도 용이하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나사 체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상술한 작업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 및 트랜스(61)는 모터 회전 제어용 전장 부품, 예를들어 모터(8)에 내장된 모터용 회전 센서(24)(도7 참조), 하우징(1)의 좌측 전방면부(63)에 부착된 인버터 구동부(23)(도7 참조)를 포함하는 제어용 회로 기판(65), 이들을 접속하는 배선 부품(도시하지 않음) 등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트랜스(61) 등으로부터 전해시에 발생하는 소음이 모터(8)의 회전 제어에 미치는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전극(33)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32)의 최대면, 예를 들어 전방면부(7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 전방면부(71)에 대응한 크기의 평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전극(33)은 대면적으로 할 수 있고, 소요의 표면적을 소수의 전극(33)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전극(33)은 베이스재의 표면에 산화 촉매가 되는 박막 부재를 코팅하여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재는, 예를 들어 티탄제이고, 박막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이 이용되고 있다. 박막 부재로서는, 그 밖에 금, 팔라듐, 백금 이리듐, 산화 티탄 등이 있다. 각 평판형 전극(33)은 이 판면에 따른 방향의 양측이 되는 대향단부로 보유 지지되어 소정의 전극간 피치로 유지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33)에 서로 반대의 극성이 되는 전압이 인가되어 물을 전해한다.
또한, 전극(33)은 서로 반대의 극성이 되는 한 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매의 전극(33)을 그 판면끼리를 대향시켜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또한, 5매의 전극(33)을 그 판면끼리를 대향시켜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전극(33)이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전극(33)의 극성을 교대로 교체하여 배치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적어도 한 쌍의 전극(33)이 있으면 좋으며, 이하, 한 쌍의 전극(33)이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전극(33)은 그 상하 양단부를 전해조(32)에 의해 보유 지지하게 된다. 전극(33)의 상단부가 전해조(32) 내부에 형성된 오목부(77) 내에 보유 지지된다. 이 오목부(77)는 전해조(32)의 상면부(75)에 내부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한 쌍의 리브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전극(33)의 하단부가 단자 커버(85)를 거쳐서 전해조(32)의 하면부(76)에 보유 지지된다. 단자 커버(85)는 실부스러기가 저장되지 않도록, 전극(33)의 하단부를 씌우면서 전해조(32)의 하면부(76)와 전극(33)의 하단부 사이를 밀봉한다. 또한, 전극(33)은 좌우 양측에서 보유 지지되어도 좋다.
전극간 피치(D2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33)끼리의 간격(D3 참조)은, 예를 들어 2 ㎜ 이상 또한 5 ㎜ 이하의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2 ㎜ 미만인 경우에는, 실부스러기가 전극(33) 사이로 들어가면 부착하기 쉬워져 전해 효율이 저하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내구성도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간격이 5 ㎜를 초과하면, 전해 효율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높은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어 실용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간격은 2 ㎜ 이상 또한 5 ㎜ 이하이면, 높은 내구성과 높은 전해 효율을 실용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전해조(32)는 외조(2)와 다른 재질로 하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전해조(32)를 외조(2)와 같은 종류의 재질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경우, 재활용시의 전해조(32)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전해조(32)의 재료는 오레핀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다. 이 수지는 외조(2)에도 이용되어세제나 표백제 등의 약제를 포함하는 물에 대해 내약품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재료는 유리 섬유 등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이 수온 상승시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전해조(32)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부(76)와, 이 하면부(76)의 주위로부터 급상승하는 전방면부(71), 후방면부(72), 우측면부(73) 및 좌측면부(74)와 상면부(75)를 갖고 있다. 이들 각 면부(71 내지 76)에 의해 둘러싸이는 내부에 전극(33)이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전해조(32)는 전방면부(71) 및 후방면부(72)가 대향하는 방향에 따라서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극(33)은 전방면부(71)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해조(32)는 상하로 분할 가능한 한 쌍의 분할 부재(78, 79)(도2 참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해조(32)의 상부(69)는 경사져 있어 한 쪽 측방이 높게 되어 있고, 전해조(32)의 상면부(75)가 정면에서 보아 우측 상승으로 경사져 있다. 그 높아진 위치에 대응하는 후방면부(72)로부터 상부 통수로(34)가 연장되어 있다. 전해조(32)의 하단부 위치가 되는 후방면부(72)로부터 하부 통수로(35)가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상하 방향에 따라서 늘어서 있다. 통수로(34, 35)는 단면 원형의 관으로 이루어져 전해조(32)의 후방면부(7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전해조(32) 내와 외조(2) 내를 연통하고,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하는 부재이면 좋으며 형상은 관에 한정되지 않고, 전해조(32)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나 외조(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고려된다.
하부 통수로(35)를 통해 물은 외조(2) 내로부터 전해조(32)로 유입하고, 하부 통수로(35)는 유입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부 통수로(34)를 통해 전해조(32)에서 처리된 물이 외조(2)로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부 통수로(34)는 유출로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흐름은, 예를 들어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한 외조(2) 내의 수류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34, 35)에서의 물이 흐르는 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흐름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입과 유출에 대응하는 한 쌍의 통수로(34, 35)가 있으면 좋고, 이들 중 적어도 한 쪽 통수로를 복수의 통수로에 의해 구성하여,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통수로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단일 통수로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통수로 내에 유입과 유출을 위한 한 쌍의 수로를 구획하지 않고 설치하여 통수로를 유입과 유출로 겸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통수로(35)를 유입로로 하고, 상부 통수로(34)를 유출로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34, 35)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킹(81)을 거쳐서 외조(2)에 연결되어 있다. 패킹(81)은 양 통수로(34, 35)에 대해 마찬가지이고, 통수로(34)에 대해 설명한다.
패킹(81)은 통형의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통수로(34)의 외주면에 패킹(81)의 내주가 끼워 넣어져 있다. 패킹(81)의 외주가 외조(2)의외측면(66)(주위벽면)에 있는 접속 구멍(67)에, 외조(2)의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다. 패킹(81)은 관형의 통수로(34)와 접속 구멍(67) 사이에 긴 밀봉 거리를 확보한다. 패킹(81)은 그 통의 직경 방향으로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부착되고, 접속 구멍(67)의 내주와 통수로(34)의 외주 사이를 밀봉한다. 패킹(81)은 그 통의 직경 방향 및 축방향에 따라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킹(81)은 대응하는 접속 구멍(67) 및 통수로(34) 각각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패킹(81)은 한 쌍의 통수로(34, 35)끼리의 피치와, 한 쌍의 접속 구멍(67)끼리의 피치 사이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패킹(81)은 외조(2)에 온수를 저장했을 때에 생기는 열변형을 흡수하여 파손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81)으로서 상술한 통형 외에, O링이나 시트형인 것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조(32)에는 한 쌍의 통수로(34, 35)의 근방에, 외조(2)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어 4개의 부착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80)의 삽통 구멍을 통과하는 나사(86)가 외조(2)의 외측면(66)에 세워 설치된 보스(68)에 외측으로부터 나사 삽입되어 있다.
전극(33)의 단자(84)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해조(32)의 하면부(76)를 통해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령 결로나 세탁조로부터의 일수에 의해 물방울이 전해조(32)의 외벽에 부착한다고 해도, 이와 같은 물방울이 한 쌍의 전극(33) 단자(84)끼리를 단락하는 경우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단자(84) 사이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극(33)의 단자(84)끼리의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87)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판(87)은 상술한 물방울의이동을 저지하여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획판(87)은 전해조(32)에 일체로 형성된 부착부(80)와 겸용되어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다.
물 처리 유닛(60)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이루어진다. 전해조(32)의 분할 부재(78, 79)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한 쪽 분할 부재(78)에 전극(33)을 조립한다. 한 쌍의 분할 부재(78, 79)를 맞추고, 그 맞춤 부분을 밀봉하여 물 처리 유닛(6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자형의 전해조(32)를 갖는 물 처리 유닛(60)에서는 외조(2)로의 조립 전에 그 단일 부재로, 예를 들어 밀봉 성능이나 전해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패킹(81)을 거쳐서 외조(2)의 접속 구멍(67)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넣는다. 전해조(32)의 부착부(80)를 외조(2)의 보스(68)에 나사 체결 고정한다. 전극(33)의 단자(84)와 통전 회로(3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반대 조작에 의해 물 처리 유닛(60)을 외조(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보수 작업이나 재활용을 위한 분해 작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물 처리 유닛(60)은 외조(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물 처리 유닛(60)의 외조(2)로의 조립 부착 작업, 물 처리 유닛(60)에 대한 보수 작업, 재활용을 위한 분해 작업 등을 외조(2)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조(2)와 세탁겸 탈수조(5) 사이에 전극(33)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외조(2) 내의 공간이나 그곳에 저장하는 물이 충분히 필요해지지만, 이에 대해 물 처리 유닛(60)을 외조(2)의 외측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공간이나 물이 충분히 필요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하기 쉬운 물 처리 유닛(60)으로서는 외조(2)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물 처리 유닛(60)은 한 쌍의 전극(33)과 외조(2)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80)를 포함하고, 단일 부재 또는 외조(2)와 협동하여 세탁에 사용하는 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세제를 혼입하는 일 없이 물에 세정 성능을 갖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을 외조(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거 작업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특히, 귀금속을 포함하는 전극(33)의 경우에는 재활용을 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또한, 물 처리 유닛(60)이 전해조(32)와 한 쌍의 전극(33)을 포함함으로써, 물 처리 유닛(60)을 조립이나 보수시에 단일 부재로 취급할 수 있어 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상자형의 전해조(32) 내에 전극(33)을 양 쪽으로 보유 지지함으로써, 물 처리 유닛(60)을 취급할 때에 엄중한 주의를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립, 보수, 분해 등의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겸 탈수조(5)가 외조(2) 내에 수용되어 있어 탈수시에 진동하는 경우라도, 전극(33)은 양 쪽으로 견고하게 보유 지지된다. 이에 의해, 전극(33)이 전해조(32) 내에서 탈락하는 것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물 처리 유닛(60)과 외조(2)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81)을 설치함으로써, 물 처리 유닛(60)을 외조(2)에 부착할 때에 패킹(8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외조(2)와 이에 대응하는 물 처리 유닛(60)의 부분 사이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게다가 물 처리 유닛(60)과 외조(2) 사이의 밀봉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을 위한 접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제거나 분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설치함으로써, 전해조(32)와 외조(2) 사이의 물의 유입과 유출을 분담할 수 있어 물을 전해조(32)와 외조(2)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므로, 처리된 물을 낭비 없이 외조(2) 내에 공급하여 세탁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세탁력, 항균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조(2)로부터의 물을 전해조(32) 내에서 유동시켜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처리된 물이 전해조(32)로부터 나온 후에 바로 전해조(32)로 복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외조(2)의 외측면(66)에 설치한 박형 상자형의 전해조(32)에, 높이 위치가 다른 한 쌍의 통수로(34, 35)를 설치함으로써, 물의 고임이나 공기 정체의 발생을 억제 할 수 있어 물을 상하로 흘려 효율 좋게 전해할 수 있다(도3의 화살표 참조).
또한, 전해조(32) 내에서 물이 위를 향해 흐르는 경우에는 경사형으로 높아진 전해조(32)의 상부(69)에 상부 통수로(34)를 설치함으로써, 전해조(32) 내를 상방을 향해 흐르는 물을 경사에 따라서 상부 통수로(34)로 안내할 수 있고, 빠르게 유출시켜 물을 유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하단부의 하부 통수로(35)는 전해조(32) 내의 물 고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해조(32) 내의 물을 유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극(33)은 물이 흐르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특히, 전극(33)은 물이 외조(2) 내에 대해 순환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전해된 물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 내의 물을 입구로부터 흡입하여 출구로부터 나오게 함으로써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 기구를 설치하고, 이 순환 기구에 전극(33)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순환 기구는 외조(2)의 하부와 상부를 잇는 통수 가능한 관으로 이루어지는 수로와, 이 수로에 물을 흘리는 전동 펌프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환 기구의 구성은 본원 출원인의 다른 출원인 특허 출원2000-196894 등에 개시된 것이다. 또한, 그 밖에 물을 순환시키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해조(32)가 외조(2)의 외면에 대한 깊이 치수가 작은 박형 상자형으로 됨으로써, 외조(2)의 외면으로부터의 물 처리 유닛(60)의 돌출을 적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 외면으로서의 외측면(66)에 따르는 박형 전해조(32)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시의 물 처리 유닛(60)과 하우징(1)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하우징(1)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조(2)의 외면으로서의 바닥부(64)에 따르는 박형의 전해조(32)인 경우에는 사용 후에 전해조(32)로부터 배수하기 위한 배관 등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를 외조(2)의 하부, 예를 들어 바닥부(64) 및 외측면(66)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외조(2) 내에 낮은 수위로 저장된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조(2)로의 급수 도중에 전해 처리하여 전해를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있다. 또한, 저수위로 물을 전해하여 이용하는 코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를 외조(2)의 외측면(66)에 설치하고, 또한 통수로(35)를 전해조(32)의 하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외조(2)로부터의 배수시에 전해조(32) 내부의 물을 통수로(35)를 통해 외조(2)로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적어도 일부를 외조(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해조(32)는 외조(2)의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또는 외조(2)의 내면에 오목부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외조(2)의 내형을 대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외조(2) 내의 공간 효율이 저하하는 것이나, 필요 이상으로 물을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해조(32)의 내면과 외조(2)의 내면이 연속되는 경우에는, 내면끼리를 경사지게 하여 물이 외조(2) 내와 전해조(32) 내 사이에서 흐르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외조(2)로부터의 물에는 실부스러기가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실부스러기가 전극(33)에 부착되면, 전극(33)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거나, 전해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염려된다. 이로 인해, 이하와 같이 하여 실부스러기가 물 처리 유닛(60)으로 들어가도 문제가 없도록 하고 있다.
전극(33)의 코너부(82)에는 라운딩(83)(도4에 일부만 도시)이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33)에 엣지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부스러기가 전극(33)의 코너부(82)에 걸리기 어렵고, 또한 이탈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가령 실부스러기가 걸린다고 해도, 수류에 의해 코너부(82)로부터 자율적으로 이탈할 수 있다.
라운딩(83)으로서는, 전극(33)의 판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라운딩 외에, 판면에 따르는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라운딩도 포함한다. 라운딩은 적어도 일부의 코너부에 있으면 되지만, 보다 많은 코너부, 특히 수중에 있는 모든 코너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3)끼리의 간격(D3)은 실부스러기가 부착되지 않는 거리로 되어 있다. 이 거리로서는, 예를 들어 2 ㎜ 이상이 바람직하다. 2 ㎜ 미만의 거리에서는 실부스러기가 막히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전극(33)과 전해조(32)의 간격(D4)은 상술한 거리로 해도 좋으며, 또는 0, 즉 전극(33)과 전해조(32) 사이에 간극을 개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실부스러기의 부착에 의한 물의 유동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의 전극(33)으로의 접촉이 실부스러기에 의해 방해받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부스러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전해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부스러기가 물 처리 유닛(60) 내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므로, 실부스러기용의 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실부스러기에 대한 보수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세탁기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외조(2)의 바닥부(64)로부터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 발생 장치(8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기포 발생 장치(88)와 물 처리 유닛(60)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기포 발생 장치(88)는 공기 펌프(89)와, 이 공기 펌프(89)의 공기 토출구에접속되어 공기(에어)를 이송하기 위한 공기 호스(90)와, 공기 호스(90)의 단부가 접속되어 외조(2) 내에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노즐(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세탁시에 기포 발생 장치(88)를 동작시키면 노즐로부터 공기가 취출되고, 세탁겸 탈수조(5)의 구멍을 통해 그 내부로 들어가 펄세이터(7)의 하방에 기포가 발생한다. 이 기포는 회전하는 펄세이터(7)에 의해 교반되어 다수의 미세한 기포에 파열된다. 이 미세한 기포가 세탁물에 접촉하여 파열할 때에 초음파를 발생한다. 이 때에 초음파 영역의 충격파가 생기고, 이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 성분의 박리가 촉진되므로, 기포를 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세정 능력을 높일 수 있다.
기포 발생 장치(88)는 세정력을 높이는 원래의 능력에다가, 전해조(32)의 하부(70)로부터 전해조(32)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공기 공급 수단은 물 처리 유닛(60)의 전해조(32) 내에서의 물을 상방을 향해 흐르도록 촉진함으로써 수류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공기 호스(90)는 도중에 분기하고 있어 한 쪽 단부가 노즐에 이르고, 다른 쪽 단부가 전해조(32)에 이어져 있다.
전해조(32)의 하부(70)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호스(90)로부터의 공기가 공급되는 단일 공기 공급구(91)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91)는 복수라도 좋다. 전해 처리시에 공기 펌프(89)는 동작된다. 공기 공급구(91)로부터 전해조(32) 내에 공급되는 공기는 기포(E)가 되어 전해조(32) 내를 부상하여 상부 통수로(34)를 통해 외조(2)로 흐른다(도4의 일점 쇄선의 화살표 참조). 이에 수반하여, 공기의 흐름에 의해 전해조(32) 내에 저장된 물이 유동되게 된다(도4의 파선 화살표 참조). 특히, 전해조(32)의 상부(69)가 경사져 그 높은 위치에 통수로(34)가 있는 경우에는 기포가 전해조(32)로부터 빠르게 유출되므로, 물도 보다 한층 흐르기 쉬워진다. 기포가 전극(33) 사이에 정체되는 일도 없다. 그 결과, 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전해 능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전압을 낮게 할 수 있어, 트랜스(61) 등의 전장 부품을 소형화하거나, 저비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그 소비 전력량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는 평면에서 보아 전극(33)과 포개어지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고, 또한 전극(33)을 향하지 않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는 전극(33)에 접촉되지 않도록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에 기인하는 전해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는 전해조(32)의 하면부(76) 구석에 전극(33)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소정 거리는 공기가 전극(33)에 통상 접촉하지 않는 거리, 예를 들어 10 ㎜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기 공급구(91)와 상부 통수로(34)는 정면에서 보아 대각선 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가 전해조(32) 내를 흐르는 거리가 길어지므로, 물을 움직이기 쉽게 할 수 있다. 공기 공급구(91)와 하부 통수로(35)는 정면에서 보아 좌우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부 통수로(35)로부터 먼 곳에 있는 흐르기 어려운 물을 공기에 의해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조(32) 내의 물을 흐르기 쉽게 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해할 수 있다. 게다가, 이로 인한 공기는 외조(2) 내로 유도되어 세정력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공기 펌프(89)는 전해조(32)에만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하에서는 기포 발생 장치(88)를 생략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1로 복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의 상면은 상면판(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면판(18)의 중앙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8a)가 설치되어 있고, 이 투입구(18a)는 상부 덮개(19)로 개폐 가능하게 씌워져 있다. 상면판(18)의 전방부에는 조작 패널(48)이 설치되어있다.
도6은 조작 패널(48)의 평면도이다. 조작 패널(48)에는 조작부(21) 및 표시부(28)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21)로서는 본체에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원 키(49), 세탁 운전을 개시하기 위한 스타트 키(36),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키군(37), 균 제거 플러스 키(42), 욕실물 키(43) 등이 설치되어 있다.
코스 키군(37)은 표준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표준 코스 키(38), 자동 흐름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자동 흐름 코스 키(39), 세제 제로 코스를 설정하기 위한 세제 제로 코스 키(40), 급속 코스, 찌든 때 코스, 모포 코스, 약세탁 코스, 드라이 코스 중에서 희망하는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41)로 이루어진다. 스타트 키(36)는 세탁 운전을 일시 정지하기 위한 일시 정지 키의 기능을 겸한다.
표준 코스는 표준적인 세탁 운전을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자동 흐름 코스는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으로 세탁 운전을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급속 코스는 세탁 운전 시간이 짧은 세탁 코스이다. 찌든 때 코스는 고농도의 세제액을 사용하여세탁을 행하는 세탁 코스이다. 모포 코스는 모포나 이불 등의 큰 것을 세탁하는 세탁 코스이다. 약세탁 코스는 란제리 등의 손상이 가기 쉬운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 코스이다. 드라이 코스는 드라이 세제를 이용하여 드라이 마크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 코스이다. 이들의 세탁 코스는 세제를 사용하는 코스이며, 세제가 혼입된 수돗물이나 욕실물(세제액)을 외조(2) 내에 저장하고, 세제액을 이용하여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세탁한다.
세제 제로 코스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코스로, 외조(2) 내에 저장한 수돗물이나 욕실물을 전해 장치(31)에 의해 전기 분해하여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이용하여 펄세이터(7)의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세탁한다.
균 제거 플러스 키(42)는 표준 코스, 자동 흐름 코스, 급속 코스, 찌든 때 코스, 모포 코스, 약세탁 코스에 있어서, 세제로 세탁한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 조작하는 키이다.
욕실물 키(43)는 욕실물을 사용하여 세탁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 조작하는 키이다. 사용자는 이 욕실물 키(43)를 조작하여 세탁 행정(세탁)으로부터 최후의 헹굼 행정(헹굼 2)까지의 행정 중 어느 행정까지 욕실물을 사용하는지를 선택할 수 있다. 단, 균 제거 플러스 키(42)에 의해 균 제거 설정이 이루어진 때 및 세제 제로 코스 키(40)에 의해 세제 제로 코스가 설정되었을 때에는 욕실물의 사용이 제한된다.
표시부(28)로서는 각 코스 키(38, 39, 40)로 설정된 세탁 코스나 선택 키(41)로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는 코스 표시 LED(45), 균 제거 플러스 키(42)에 의해 균 제거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균 제거 표시 LED(46), 욕실물 키(43)에 의해 욕실물의 사용이 설정된 행정을 나타내는 욕실물 표시부(47), 세제 제로 코스나 균 제거 설정시에 있어서, 전해 및 균 제거의 진행 형편을 나타내는 전해 진행 표시부(50), 세탁물의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표시하기 위한 세제량 표시부(44), 운전의 나머지 시간이나 이상 표시 등을 세그멘트 표시하는 세그멘트 표시부(5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세제량 표시부(44)에서는 세제컵의 눈금 안에 복수개의 LED가 구비되고, 세제량에 대응한 갯수의 LED가 점등함으로써 세제량을 표시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의 중심에는 CPU, RAM, ROM, 타이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부(20)(본 발명의 설정 수단, 카운트 수단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2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다. 제어부(20)에는 조작부(21)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고, 외조(2)의 내부에 저류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 센서(22)로부터 수위 검출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20)에는 상부 덮개(19)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개폐 검지 스위치(57)가 접속되어 있다. 상부 덮개(19)가 개방되어 있으면, 이 상태를 제어부(20)는 스위치(57)의 내부 회로의 온 오프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에는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세탁물의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탈수시에 외조(2)가 이상 진동하면 이것을 검지하는 불균형 검지 스위치(58)로부터 불균형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20)는 인버터 구동부(23)를 거쳐서 모터(8)의 회전을 제어하는 동시에, 부하 구동부(25)를 거쳐서 토크 모터(26), 급수 밸브(13) 및욕실물 펌프(59)의 동작을 제어한다. 토크 모터(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27)와 배수 밸브(15)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표시부(28) 및 운전 종료나 이상을 알리는 부저(29)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8)에는 그 회전에 따른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센서(24)가 설치되어 있고, 그 펄스 신호는 제어부(20)에 입력되어 있다. 이 회전 센서(24)는 모터(8), 즉 세탁겸 탈수조(5)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한 쌍의 전극(33)은 트랜스(61)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전 회로(30)를 거쳐서 제어부(20)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로부터 통전을 지시하는 신호가 출력되면, 통전 회로(30)가 동작하여 한 쌍의 전극(33)에 통전된다. 통전 회로(30)에는 전류 검출 회로(51)(본 발명의 전류 검지 수단에 상당)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류 검출 회로(51)는 전극(33)으로 통전되는 통전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여 검출한 전류치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의 ROM(20a) 내에는 상기한 각 세탁 코스의 시퀀스가 기억되어 있다. 코스 키군(37)의 조작에 의해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이 세탁 코스에 대응한 시퀀스가 ROM(20a) 내로부터 판독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이 시퀀스에 따라서 모터(8) 등의 각종 부하를 제어하여 선택된 세탁 코스의 세탁 운전을 실행한다.
제어부(20)에는 통전하지 않아도 데이터의 기억이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EEPROM(93)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EEPROM(93)은 제어부(20)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도16은 통전 회로(30)의 개략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통전 회로(30)는 상용전원(94)의 교류 전압 100V를 강압하는 트랜스(95)와 이 트랜스(95)에 의해 강압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평활함으로써 이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한 쌍의 전극(33)으로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직류 전압 회로(96)와 제어부(20)에 의해 조작되어 전극(33)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97)와, 한 쌍의 전극(33)으로의 통전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 스위치(98)(본 발명의 반전 수단에 상당)와, 이 절환 스위치(98)와 스위칭 트랜지스터(97) 사이에 설치한 제어부(20)에 의해 조작되는 제3 릴레이(99)로 구성된다. 절환 스위치(98)는 제어부(20)에 의해 조작되는 제1 릴레이(98a)와 제2 릴레이(98b)로 이루어진다. 제1 릴레이(98a)는 제1 전극(33a)에, 제2 릴레이(98b)는 제2 전극(33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 릴레이(98a)의 접점이 단자(a)측으로 쓰러지고, 제2 릴레이(98b)의 접점이 단자(d)측으로 쓰러진 상태에서는 제1 전극(33a)이 양극, 제2 전극(33b)이 음극이 되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97)가 온하면 제1 전극(33a)으로부터 제2 전극(33b)으로 전류가 흐른다. 반대로, 제1 릴레이(98a)의 접점이 단자(b)측으로 쓰러지고, 제2 릴레이(98b)의 접점이 단자(c)측으로 쓰러진 상태에서는 제2 전극(33b)이 양극, 제1 전극(33a)이 음극이 되므로, 제2 전극(33b)으로부터 제1 전극(33a)으로 전류가 흐른다. 또한, 상용 전원(94)과 트랜스(95) 사이에는 전원 스위치(49)의 접점부(49a)가 개재하고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는 전해 장치(31)를 구비한 상기 구성에 의해, 표준 코스 등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는 세탁 운전 코스에 있어서, 세탁물이 헹굼과 동시에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1 특징점으로하고 있다. 이하, 이 제1 특징점에 대해 표준 코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8의 흐름도는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표준 코스가 설정되어 스타트 키(36)가 눌려지면,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이 개시된다.
우선, 세탁겸 탈수조(5) 내에 급수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세탁겸 탈수조(5)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 즉 부하량을 검지한다(스텝 S1). 구체적으로는, 펄세이터(7)를 단시간 회전시키고, 그에 의한 관성 회전이 계속되는 시간[회전 센서(24)로부터의 펄스 신호의 총수]에 따라서 부하량을 결정하고 있다. 물론, 부하량 검지는 이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어떤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표준 코스에 있어서의 정격 부하량(한번에 세탁이 가능한 세탁물의 부하량)을 8 ㎏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정격 부하량에 맞추어 세탁겸 탈수조(5)의 크기(용적)나 모터(8)의 성능(출력) 등을 미리 실험 등을 행함으로써 설정하고 있다.
스텝 S1에서 부하량이 검지되면, 도9에 도시한 표준 코스에 있어서의 부하량과 수위(수량)의 관계 테이블에 의거하여,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탁 수위를 설정한다(스텝 S2). 또한, 정격 부하량은 8 ㎏으로 하고 있으므로, 최고 수위는 6 내지 8 ㎏에 대응한 수위, 591 ℓ로 하고 있다. 다음에, 검지한 부하량에 따른 세제량을 세제량 표시부(44)에 표시한다(스텝 S3). 사용자는 이 세제 표시부(44)의 표시를 보고, 적량의 세제를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한다. 이렇게 하여, 부하량에 따른 수위의 설정 및 세제량의 표시가 종료되면 본격적인 세탁 운전으로 이행한다.
우선,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 제어부(20)는 급수 밸브(13)의 제1 밸브(13a)를 개방하여 설정한 세탁 수위까지 급수한다(스텝 S4). 이에 의해, 수돗물에 세제가 용해되는 세제액이 외조(2) 내에 저장된다. 세탁 수위까지 급수하면 제1 밸브(13d)를 폐쇄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펄세이터(7)를 소정 속도로 좌우 양방향으로 반전 회전함으로써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의 세탁을 행한다(스텝 S5).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세제의 효과 및 수류[펄세이터(7)의 기계력]의 효과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세제의 효과에 의해 떨어진 오염이 세탁물로의 재부착이 방지된다. 그리고, 소정의 세탁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하면, 펄세이터(7)는 정지하여 세탁을 종료한다. 제어부(20)는 배수 밸브(15)를 개방하여 외조(2) 내로부터의 세탁액을 배수한다(스텝 S6).
이렇게 하여, 세탁 행정이 종료하면, 중간 탈수를 행한다(스텝 S7). 제어부(20)는 세탁겸 탈수조(5)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의 탈수를 행한다.
중간 탈수가 종료하면, 제어부(20)는 금회의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으로 균 제거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 사용자는 표준 코스에 있어서 헹굼과 동시에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하고 싶은 경우, 세탁 운전을 개시하기 전에 균 제거 플러스 키(42)를 눌러 균 제거의 설정을 한다.
스텝 S8에 있어서, 균 제거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통상의 헹굼을 행한다. 표준 코스에서는 헹굼 행정을 2회 실행한다. 우선, 1회째의 헹굼 행정으로서 탈수 헹굼을 행한다(스텝 S9). 즉, 제어부(20)는 세탁겸 탈수조(5)를, 예를 들어 30 rpm 정도로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제1 밸브(133)를 개방하여 급수한다. 이에 의해, 중간 탈수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5)의 내벽에 달라붙은 세탁물에 구석구석까지 물을 머금게 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세탁겸 탈수조(5)를, 예를 들어 1000 rpm 정도로 고속 회전시켜 세탁물을 탈수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세제분을 물과 함께 불어날려 제거한다. 또한, 탈수 헹굼은 급수와 동시에 세탁겸 탈수조(5)를 고속 회전시켜 탈수하는 형태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1회째의 헹굼 행정이 종료하면, 최후의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 우선, 제어부(20)는 제1 밸브(13a)를 개방하여 설정한 세탁 수위까지 급수한다(스텝 S10). 이 급수를 하는 동안, 어느 정도의 수위까지 물이 저장되면, 제어부(20)는 제2 밸브(13b)를 온/오프 제어하여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에 미리 수용된 섬유 유연제를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한다.
세탁 수위까지 급수되면, 제어부(20)는 제1 밸브(13a)를 폐쇄한다. 그리고, 급수를 멈춘 상태에서 펄세이터(7)를 좌우로 반전 회전하여 세탁물을 교반하여 세탁물의 저장 헹굼을 행한다(스텝 S11). 이에 의해, 세탁물이 헹구어진다. 펄세이터(7)를 회전시켜 헹굼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헹굼 시간(예를 들어 2분 30초)이 경과하면 펄세이터(7)를 정지하여 저장 헹굼을 종료한다. 제어부(20)는 배수 밸브(15)를 개방하여 외조(2) 내로부터의 헹굼액을 배수한다(스텝 S12). 또한, 이최후의 헹굼 행정은 세탁 수위에 도달해도 급수를 계속하는 주수 헹굼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최후의 헹굼 세탁 행정이 종료하면, 최종 탈수를 행한다(스텝 S13). 이 최종 탈수에서는 중간 탈수보다도 탈수 시간을 길게 잡아 세탁물을 충분히 탈수한다. 그리고, 이 최종 탈수가 종료되면, 표준 코스의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8에 있어서 균 제거의 설정이 이루어져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헹굼과 동시에 세탁물을 균 제거하는 헹굼을 행한다. 상술한 통상의 헹굼과 마찬가지로, 헹굼 행정은 2회 실행한다. 우선, 1회째의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 이 1회째의 헹굼 행정에서는 탈수 헹굼이 아니고, 저장 헹굼을 행한다. 즉, 설정된 세탁 수위까지 급수 후, 급수를 정지한 상태에서 세탁물을 교반하여 세탁물을 헹군다(스텝 S14, S15). 그리고, 펄세이터(7)를 동작시키고 나서 소정의 헹굼 시간(예를 들어, 4분)이 경과하면, 저장 헹굼을 종료하여 배수를 행한다(S16). 저장 헹굼은 탈수 헹굼에 비해 사용하는 물의 양은 많아지지만, 그 만큼 헹굼 능력은 높아진다. 따라서, 통상의 헹굼 경우의 탈수 헹굼(1회째의 헹굼 행정) 종료 후에 비해 세탁물 속의 세제분은 보다 희석된다. 또한, 이 1회째의 헹굼 행정은 주수 헹굼으로 해도 좋다.
1회째의 헹굼 행정을 종료하면, 2회째의 중간 탈수를 실행한 후(스텝 S17), 마지막의 헹굼 행정으로 이행한다. 이 마지막 헹굼 행정에서는, 우선 세탁겸 탈수조(5) 내로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 S18). 제어부(20)는 세탁겸 탈수조(5) 내의수위가 세탁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정지하지만, 이 급수 중, 세탁 수위보다도 낮은 소정 수위(예를 들어, 도9의 테이블에 있어서 2순위 아래의 수위)까지 도달하면 헹굼과 동시에 세탁물을 균 제거하는 전해 헹굼을 개시한다(스텝 S19). 물론, 이 소정 수위에 있어서는 전해 장치(31)의 한 쌍의 전극(33)은 물에 잠긴다.
이 전해 헹굼은 전기 분해에 의해 발생한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효과에 의해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하는 것이지만, 출원인이 행한 실험 등의 결과,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한번에 세탁물에 작용시킨 쪽이 농도가 낮은 전해수를 서서히 작용시키는 것 보다도 세탁물의 균 제거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 전해 헹굼에서는 우선,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를 생성하는 침지 행정을 실행하고, 계속해서 이 농도가 높아진 전해수를 한번에 외조(2) 내로 확대하여 세탁물에 작용시키는 균 제거 헹굼 행정을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이 전해 헹굼 동작을 도10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해 헹굼이 개시되면, 우선 침지 행정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20)는 펄세이터(7)를 정지한 상태에서, 전해 장치(31)를 동작시켜 전기 분해를 개시한다(스텝 U1).
수돗물에는 철, 칼슘, 마그네슘, 염소 등의 함유물이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전기 분해에 의해 전해조(32) 내에서 생성된 전해수 속에는 활성 산소가 발생하고 있는 동시에, 차아염소산(HC1O) 및 차아염소산 이온(HC1O-)이 발생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면, 양극(+측)이 되는 전극(33)측에서는 물과 이에함유된 염소와의 화학 반응에 의해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이 발생한다. 또한, 차아염소산이 분해될 때 등에 활성 산소가 발생한다. 이 때, 펄세이터(7)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외조(2) 내 및 전해조(32) 내의 물은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전해조(32) 내나 외조(2) 내의 전해조(32) 근방 부위에는 서서히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가 생성되어 온다.
전기 분해를 개시한 후 1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면(스텝 U2), 제어부(20)는 침지 행정의 실행 시간인 침지 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균 제거 헹굼 행정의 실행 시간, 즉 펄세이터(7)에 의해 교반 동작을 행하는 시간인 교반 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전해 장치(31)를 동작시키는 시간인 전해 동작 시간을 결정한다(스텝 U3).
수돗물의 도전율은 염소 등의 함유량이 다른 것 등에 의해 지역에 따라 달라진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통전 회로(30)의 과전류에 대한 보호의 점으로부터, 또한 전개 분해 성능을 안정시킨다는 점으로부터 후술하는 통전 제어에 의해 전극(33)으로의 통전 전류의 크기(이후, 통전 전류치라 함)가 목표 전류치 3.5A(암페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전 전류치에 따른 간헐 통전에 의해 평균적인 전류치가 3.5A 정도가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3.5A 이하인 경우에는 연속 통전하게 된다. 이 경우, 수돗물의 도전률이 낮아져야만 통전 전류치가 작아지므로, 전해 능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소정의 농도가 되기까지 시간이 길게 걸려 버린다. 또한, 외조(2) 내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외조(2) 내로 확대되었을 때에 전해수는 보다 희석되므로,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를 보다 높게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세탁물의 부하량이 많아질수록 전해수를 세탁물 전체에 작용시키는 데 시간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이 준비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이 테이블을 이용하여 1분 경과시에 전류 검출 회로(51)에 의해 검지된 통전 전류치 및 설정된 세탁 수위(수량)에 의거하여 침지 시간을 결정한다. 즉, 통전 전류치가 작을수록, 또한 세탁 수위가 높을수록 침지 시간을 길게 한다. 또한, 이 침지 시간에 대응하도록 전해 동작 시간을 결정한다. 즉,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해 동작 시간을 길게 한다. 또한, 세탁 수위, 즉 세탁물의 부하량에 의거하여 교반 시간을 결정한다. 즉, 부하량이 많기 때문에 세탁 수위가 높을수록 교반 시간을 길게 한다.
이렇게 하여 결정된 침지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침지 행정이 실행되고, 전해조(32) 내나 외조(2) 내의 전해조(32) 근방 부위에는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가 축적된다.
침지 시간이 경과하면 침지 행정을 종료하고, 다음에 균 제거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 즉, 침지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스텝 U4), 제어부(20)는 펄세이터(7)를 좌우로 반전 회전시킨다. 또한, 공기 펌프(89)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 펌프(89)를 동작시켜 공기를 전해조(32) 내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외조(2) 내와 전해조(32) 내 사이에서 물이 순환하기 시작하고, 전해조(32) 내나 외조(2) 내의 전해조(32) 근방 부위에 축적된 차아염소산이나 차아염소산 이온의 농도가 높은 전해수가 한번에 외조(2) 내로 확산된다. 그리고, 농도가 높은 전해수가 한번에 세탁물에 작용하여 세탁물이 균 제거된다.
전해 동작 시간은 침지 시간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고, 이로 인해 균 제거 헹굼 행정이 개시되더라도 전기 분해가 계속된다. 따라서, 전해수는 계속 생성되어 침지 행정에서 축적한 차아염소산뿐만 아니라, 새롭게 발생한 차아염소산도 세탁물에 작용한다. 단, 장시간의 통전에 의한 전극(33)의 소모를 억제하기 위해, 전해 동작 시간은 침지 시간과 교반 시간을 맞춘 전해 헹굼 시간보다도 짧게 설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균 제거 헹굼 행정의 도중에 전해 동작 시간이 경과한다.
전해 동작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스텝 U6), 제어부(20)는 전해 장치(31)의 동작을 정지한다(스텝 U7). 이 후는, 펄세이터(7)의 동작에만 의해 균 제거 헹굼 행정이 계속된다. 이 사이도 이미 생성된 전해수 속에서 세탁물이 교반되므로 세탁물이 다시 균 제거된다.
교반 시간이 종료되기 2분전, 즉 전해 헹굼이 종료되기 2분 전이 되었다고 판단되면(스텝 U8), 제어부(20)는 제2 밸브(13b)를 온/오프 제어하여 섬유 유연제 수용부(12b)에 급수하여 섬유 유연제를 세탁겸 탈수조(5) 내에 투입한다(스텝 U9). 이 때, 동시에 제1 밸브(13a)도 개방하여 급수함으로써, 섬유 유연제를 연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섬유 유연제의 투입에 의해, 균 제거된 세탁물은 더욱 부드럽게 마무리된다. 이렇게 하여, 교반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되면(스텝 U10), 제어부(20)는 펄세이터(7)를 정지하여 전해 헹굼을 종료한다(스텝 U11).
이와 같이 하여, 전해 헹굼이 종료되면 배수를 행하여(스텝 S20) 마지막의 헹굼 행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최종 탈수를 실행하여(스텝 S13)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
그런데, 제어부(20)는 전해 헹굼에 있어서 전해 장치(31)를 동작하고 있는 동안, 한 쌍의 전극(33)에 흐르는 전류의 통전 제어를 행하고 있고, 이 통전 제어의 처리에 대해 이하, 도12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전극(31)에 통전한다(스텝 K1). 다음에, 전류 검출 회로(51)에 의해 통전 전류치를 검지한다(스텝 K2). 검지한 통전 전류치가 보호 전류치 12A를 초과하고 있으면(스텝 K3에서 예), 즉시 통전을 정지하여 통전 제어를 중지한다(스텝 K4). 보호 전류치는 통전 회로(30)를 구성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97)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통전 전류의 임계치로서 설정된 것이다. 보호 전류치를 초과하면 즉시 통전을 정지함으로씨 과전류에 의한 스위칭 트랜지스터(97)의 파괴가 방지된다.
통전 시간 4초가 경과하기까지 스텝 K2, K3의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통전 시간이 경과하면, 직전에 검지한 통전 전류치가 목표 전류치 3.5A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K6). 목표 전류치 이하이면, 이 통전 전류치가 하한 전류치 0.3A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K7), 하한 전류치보다도 작지 않거나, 혹은 작더라도 그것이 소정 횟수(예를 들어 3회)에 도달하지 않으면(스텝 K8에서 아니오), 스텝 K1로 복귀한다. 즉, 통전은 정지되는 일 없이 전극(33)은 연속 통전되게 된다.
한편, 스텝 K6에서 목표 전류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통전을 정지하는 동시에(스텝 K10) 통전 전류치에 따라서 통전 정지 시간을 결정한다(스텝 K11).즉, 통전 시간과 통전 정지 시간의 1사이클에 있어서의 통전 전류의 평균치가 목표 전류치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계산식 등을 이용하여 연산한다.
통전 정지 시간 = 통전 시간 × (통전 전류치 - 목표 전류치)/목표 전류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목표 전류치를 3.5A, 통전 시간을 4초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통전 전류가 7A이면 통전 정지 시간은 4초가 된다.
통전 정지 시간을 결정하면, 다음에 전극(33)의 극성을 반전한 후, 통전 시간이 소정 시간(2분 간)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K 12). 소정 시간은 극성을 반전함으로써 통전 초기에 일어나는 통전 전류치의 상승이 안정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그리고, 소정 시간 2분을 경과하고 있으면, 상한 전류치를 예를 들어 9A로 설정한다(스텝 K13).
그리고, 통전 전류치가 상한 전류치 8A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K12), 상한 전류치를 초과하지 않거나, 혹은 초과하고 있어도 그것이 소정 횟수(예를 들어 3회)에 도달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K13에서 아니오), 스텝 K11에서 결정한 통전 정지 시간이 경과하면(스텝 K14에서 예), 스텝 K1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목표 전류치를 초과하는 통전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전극(33)으로 간헐 통전이 행해져 통전 전류의 평균치가 목표 전류치가 되도록 제어된다.
스텝 K16에서 정지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될 때까지, 전극(33)으로의 통전 정지 기간 중에도 통전 전류치의 검지를 행한다(스텝 K18). 그리고, 이 검지 결과, 전류가 흐르고 있다고 판정하면(스텝 K19), 통전 회로(30)의 통전 및 정지를 행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97)가 고장이라 판단하여 통전 제어를 중지한다. 이와같은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또한 통전 회로(30)에 있어서 제3 릴레이(99)를 오프하여 전극(33)으로의 급전을 끊도록 한다. 또한, 이 결과를 EEPROM(93)에 기억시켜 세탁 운전이 종료하면 세그멘트 표시부(52)에 이상 표시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후의 전해 장치(31) 동작을 금지함으로써 이후의 세탁 운전에서 전해 장치(31)가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서비스맨 등에 의해 수리가 행해져 이상 해제 조작이 이루어지면, EEPROM으로부터 기억이 소거되어 다시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통전 제어에 있어서의 전극(33)으로의 통전 정지 기간 중에 통전 전류를 검지하여 전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97)가 고장이라 판단하여 통전 제어를 중지하는 동시에, 전극(33)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기 분해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종료하여 스텝 K9나 스텝 K17에서 이것이 판단되면 통전 제어를 종료한다.
또한, 목표 전류치, 상한 전류치, 하한 전류치와 비교하는 통전 전류치를 통전 시간 경과 직전에 검지한 통전 전류치로 하고 있는(비교하는 통전 전류치를 통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에 검지하고 있음) 것은 통전 초기에는 돌입 전류가 흘러 전류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돌입 전류의 영향이 없는 정확한 통전 전류치를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통전 전류의 평균치가 목표 전류치가 되도록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통전 전류치에 따라서 바꾸도록 하고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통전 전류치에 따라서 통전 시간을 바꾸도록 한 경우에는 통전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통전 개시 후 바로 통전 전류치를 검지해야만 한다. 이 경우, 상술한 돌입 전류의 영향을 받아 버려 정확한 통전 전류치를 검지할 수 없다. 따라서, 통전 전류치에 따른 간결 통전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없다. 이 점,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바꾸도록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돌입 전류를 받지 않는 통전 시간 후반에 전류 검지를 행할 수 있으므로, 통전 전류치를 정확하게 검지할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간결 통전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전해 헹굼에 있어서는 헹굼수 속의 세제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에서 세제가 많이 이용되고, 이 세제를 충분히 헹굴 수 없어 세탁물 속에 많이 남은 상태에서 마지막 헹굼으로 전해 헹굼이 행해지는 경우 등이다. 이와 같이 세제 농도가 높은 상태에서 전기 분해가 행해진 경우에는, 세제 속의 성분의 영향에 의해 통상의 물(수돗물)과는 달리 원하는 전기 분해가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그 세제 성분에 의해 매우 도전율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과전류가 흘러, 이대로 동작을 계속하고 있으면 전해 장치(31)의 통전 회로(3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는 과전류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제 농도가 높은 것을 판단하기 위한 상한 전류치를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헹굼수 속의 세제 농도가 높아짐으로써 헹굼수의 도전율이 매우 양호해지고, 통전 전류치가 8A를 초과하면, 상술한 통전 제어에 있어서의 스텝 K12에서 상한 전류치를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스텝 K13에서 소정 횟수가 되었다고 판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미 전극(33)의 극성을 반전시켰는지의(전류의 통전 방향을 반전시킴)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K19), 극성을 반전시키고 있지 않으면 반전시키고(스텝 K20), 스텝 K1로 복귀하여 다시, 통전 제어를 개시한다. 한편, 이미 극성의 반전을 행하고 있으면, 즉 극성을 반전시켜도 상한 전류치를 초과한다는 상황이 변하지 않게 되면, 통전 제어를 중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한 전류치를 초과하는 통전 전류를 검지하면 전극(33)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 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반전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극성을 반전시킨다. 출원인이 행한 실험 등의 결과, 극성을 반전시킨 후에 전극(33)으로 통전하면 각종 조건에 의해 시간은 다르지만, 통전을 개시하고나서 수초 내지 수분(약 2분) 사이, 그 후의 정상시보다도 통전 전류치가 약 1A(암페어) 정도 커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로 인해, 정상시에는 상한 전류치를 초과하는 통전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라도 극성을 반전한 후의 초기 통전시에 상한 전류치를 초과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전극(33)의 통전 제어가 중지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통전 제어의 스텝 K12에 있어서, 전극(33)의 극성을 반전하고나서, 통전 시간이 2분간을 경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하면, 상한 전류치를, 극성의 반전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통전 전류치의 상승에 맞추어 정상시의 전류치 9A보다도 큰 값, 예를 들어 10A로 설정한다(스텝 K23). 따라서, 극성의 반전이 원인이 되어 불필요하게 전극(33)의 통전 제어가 중지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런데, 전극(33)에 코팅된 박막 재료는 전해 장치(31)를 동작시킬 때마다소모되어 가므로, 오래 사용하고 나면 나중에는 결국 완전히 없어져 버린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박막 재료가 없어진 상태에서 전기 분해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베이스재가 용출해 버려, 이것이 세탁 중인 의류에 부착되어 세탁물이 더러워져 버릴 우려가 있다. 박막 재료가 소모되어 없어져 버려 베이스재만이 남아 버린 경우에는, 정상시와 동일하게 전압을 가해도 전극(33)에는 극단적으로 전류가 흘러 없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는, 또한 전극(33)에 코팅된 박막 재료가 없어졌다고 판단하기 위한 하한 전류치를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극(33)의 박막 재료가 완전히 없어져 버림으로써, 전극(33)에 전류가 매우 흐르기 어려워져 통전 전류치가 0.3A보다 작아지면, 스텝 K7에서 하한 전류치보다도 작다고 판정하고, 또한 스텝 K8에서 소정 횟수가 되었다고 판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극(33)으로의 통전을 정지하여(스텝 K18), 상술한 상한 전류치를 초과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텝 K19에서 이미 극성의 반전을 행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통전 제어를 중지한다.
또한, 전해 헹굼의 도중에서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중지되고, 전해 장치(31)의 동작을 중지해도 헹굼 자신은 속행한다. 이에 의해, 적어도 헹굼 성능은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단, 침지 행정은 헹굼 성능에는 그다지 기여하지 않으므로 전해 장치(31)의 동작을 중지한 경우에는, 침지 행정을 중지하여 균 제거 헹굼 행정(이 때는 단순히 헹굼이 됨)으로 이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통전 제어가 중지된 경우에는 물을 갈아 넣어 다시 전해 헹굼을 행해도 좋다.
그런데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 코스로서 세제 제로코스를 구비한 것을 제2 특징점으로 하고 있다. 이하,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 동작에 대해 도13 내지 도15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세제 제로 코스는 피지 오염이나 땀 오염을 중심으로 한 비교적 가벼운 오염 의류를 세탁하는 데 적합한 코스이고, 전기 분해에 의한 전해수로 세탁함으로써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코스이다.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피부가 민감한 아기 의류의 세탁에 가장 적절하다. 또한, 세제 제로 코스는 환언하면 전해 세탁 코스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세제 제로 코스라 칭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세제 제로 코스가 설정되어 스타트 키(36)가 눌려지면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이 개시된다.
우선, 부하량 검지 및 수위 설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F1). 이 부하량 검지 및 수위 설정 처리의 동작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우선 세탁겸 탈수조(5) 내에 급수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세탁겸 탈수조(5)에 투입된 세탁물의 부하량을 검지한다(스텝 F101).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정격 부하량을 4.5 ㎏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정격 부하량에 맞추어 전해 장치(31)의 성능(출력) 등을 미리 실험 등을 행함으로써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전해 장치(31)는 상술한 표준 코스와 같이 세탁물의 균 제거를 행할뿐이면, 표준 코스의 정격 부하량인 8 ㎏의 세탁물에 대해서도 충분히 균 제거를 행할 수 있는 성능을 갖고 있다.
스텝 F101에서 부하량이 검지되면, 검지한 부하량이 정격 부하량 4.5 ㎏을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F102). 정격 부하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도9에 도시한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부하량과 수위(수량) 관계의 테이블에 의거하여 검지된 부하량에 따른 세탁 수위를 설정한다(스텝 F103). 또, 정격 부하량은 4.5 ㎏으로 하고 있으므로, 최고 수위는 3 내지 4.5 ㎏에 대응한 수위, 431 ℓ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세제 제로 코스에서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세제량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
한편, 스텝 F102에서 정격 부하량을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되면, 세탁물을 지나치게 투입하고 있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과투입 사인을 출력한다(스텝 F104). 즉, 부저(29)를 간헐 동작하여 「삐, 삐, 삐, 삐」라는 부저음을 울리는 동시에, 예를 들어「U8」과 같은 사용자 에러(사용자의 조작 실수로 일어나는 에러)의 표시를 세그멘트 표시부(52)에 출력한다. 부저음은 정지하지만, 스타트 키(36)가 눌려졌다고 판정할 때까지 사용자 에러 표시는 계속된다. 또한, 과투입 사인의 부저음은 부저의 온 오프 시간을 바꾸는 등 함으로써, 다른 고장 이상이나 사용자 에러를 알리는 이상음과는 구별되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가 과투입 사인을 알게 되어 스타트 키(36)를 누르면, 스텝 F105에서 이것을 판정하여 과투입 사인의 출력, 즉 사용자 에러 표시를 정지하는 동시에 세탁 운전을 중단한다(스텝 F106).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과투입된 세탁물이 제거되고, 스타트 키(36)가 다시 눌려지면, 스텝 F107에서 이것을 판정하여 세탁 운전을 다시 개시한다.
그런데, 세탁 수위가 설정되어 부하량 검지 및 수위 설정 처리가 종료되면,다음에 애벌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 우선, 제1 밸브(133)를 개방하여 세탁겸 탈수조(5) 내로의 급수를 개시한다(스텝 F2).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수위가 세탁 수위에 도달하면 제1 밸브(13a)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하지만, 이 급수 중, 세탁 수위보다도 낮은 소정 수위(예를 들어, 도9의 테이블에 있어서 2순위 아래의 수위)까지 도달하면, 전해 애벌 세탁을 개시한다(스텝 F3). 물론, 이 소정 수위에 있어서는 전해 장치(31)의 전극(33)은 물에 잠긴다.
우선, 펄세이터(7)를 좌우 반전 회전함으로써 외조(2) 내에서 수류를 발생시킨다. 동시에, 전해 장치(31)를 동작한다. 또한, 공기 펌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기 펌프를 동작시켜 공기를 전해조(32) 내에 공급한다. 이 때, 균 제거 표시부(50b)는 점등 상태에서 전해 표시부(50a)가 점등으로부터 점멸로 바뀌어 전기 분해 중인 취지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분해를 행함으로써 전해수 속에는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은 물론, 전극(33) 근방에 있어서는 활성 산소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 전해수는 약알칼리성의 성질을 갖는다. 펄세이터(7)의 교반 동작이나 공기 펌프(89)의 공기 공급에 의해 물이 전해조(32) 내와 외조(2) 내 사이에서 왕래하고, 외조(2) 내는 서서히 전해수로 채워지게 된다. 세탁물에 부착된 오염은 알칼리수의 효과 및 수류[펄세이터(7)의 기계력]의 효과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세탁물로부터 떨어지게 된 오염은 전해조(32) 내에서 활성 산소가 작용하여 분해되어 오염이 세탁물에 다시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차아염소산 및 차아염소산 이온은 대부분이 오염 속의 잡균으로 작용해 버리므로, 여기에서의 세탁물의 균 제거 효과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전해 애벌 세탁을 개시한 후 소정의 애벌 세탁 시간(예를 들어 3분)이 경과하면, 전해 장치(31)의 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펄세이터(7)를 정지하고, 외조(2) 내로부터 배수를 행하여 애벌 세탁 행정을 종료한다(스텝 F4). 이렇게 하여 이 애벌 세탁 행정에 의해 세탁물의 오염이 크게 제거된다.
이 전해 애벌 세탁 행정에 있어서도, 전해 헹굼 행정과 마찬가지로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이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세제가 잘못 투입되어 애벌 세탁의 물의 세제 농도가 높아지는 등의 원인에 의해, 통전 전류치가 매우 커진 경우에는 전해 애벌 세탁의 도중에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중지된다. 그러나, 펄세이터(7)의 동작은 계속되고, 애벌 세탁 자신은 계속된다. 이 때, 세제가 원인이면, 세제의 효과에 의해 전해수가 작용하지 않는 만큼의 오염 제거가 보충된다. 또한, 세제가 원인이 아닌 경우라도 다소 오염 제거는 악화되지만, 애벌 세탁으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격적인 세탁을 행하기 전에 세탁물의 오염을 대충 떨어뜨리려는 애벌 세탁의 목적으로부터 생각하면, 이 애벌 세탁 행정에서는 전해 장치(31)의 수명이나 소비 전력 등을 고려하여 전해 장치(31)를 동작시키지 않고 전기 분해를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애벌 세탁 행정이 종료되면, 중간 탈수를 실행한다(F5). 이 중간 탈수 동작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세탁겸 탈수조(5)를 기동하여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킨다(스텝 F501). 이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세탁물이 탈수된다.그리고, 소정의 탈수 시간이 경과하면, 세탁겸 탈수조(5)를 정지하여 중간 탈수를 종료한다(스텝 F502, F503).
그런데, 탈수 동작 중에는 불균형 검지 스위치(58)에 의해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세탁물의 불균형, 즉 이 불균형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외조(2)의 이상한 진동을 검지하고 있다. 그리고, 불균형 검지 스위치(58)에 의해 외조(2)의 이상한 진동을 검지하면, 스텝 F504에서 세탁물이 불균형 상태라고 판정하고, 세탁겸 탈수조(5)를 정지하여 탈수를 중단한다(스텝 F505). 그리고,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세탁물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불균형 수정 동작(푸는 동작)을 행한다(스텝 F506).
불균형 수정 동작에서는 우선, 제1 밸브(13a)를 개방하여 급수를 개시한다(스텝 F561). 다음에, 설정된 세탁 수위가 이 세제 제로 코스에 있어서의 최고 수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F562). 최고 수위가 아닌 경우에는, 설정된 세탁 수위까지 급수하면, 제1 밸브(13a)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스텝 F563, F565).
한편, 스텝 F562에서 설정된 세탁 수위가 최고 수위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최고 수위보다도 높은 풀림 수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이 풀림 수위까지 급수하여 제1 밸브(13a)를 폐쇄한다(스텝 F564, F565). 이 풀림 수위는, 예를 들어 표준 코스에 있어서의 세제 제로 코스의 최고 수위보다도 2순위 위인 511 ℓ의 수위로 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세탁 수위가 최고 수위인 경우, 풀림 수위를 최고 수위보다도 높게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즉, 정격 부하량보다도 조금 많은 세탁물이 넣어진 경우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부하량 검지에 있어서 잘못하여정격 부하량 이내라고 검지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세탁 수위는 정격 부하량에 따른 수위, 즉 세제 제로 코스에서의 최고 수위가 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부하량에 대해 수량이 부족해져 버려 세탁물이 단자 상태가 되기 쉽고, 세탁조 내에서 세탁물이 불균형이 되기 쉽다. 따라서, 최고 수위가 설정된 정황 하에서 불균형이 검지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격 부하량보다도 조금 많아지고 있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 최고 수위의 수량에서는 실제 부하량에 대해 물 부족이 되어 충분히 풀 수 없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급수가 종료되면 펄세이터(7)를 기동하여 반전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을 교반한다(스텝 F566). 이에 의해 세탁물이 풀리게 되어 세탁겸 탈수조(5) 내의 세탁물의 불균형이 해소된다. 이렇게 하여, 소정의 풀림 시간이 경과하면, 펄세이터(7)를 정지하여 배수를 행한 후, 불균형 수정 동작을 종료한다(스텝 F567 내지 F569). 불균형이 해소되면 탈수 동작을 재개한다.
이와 같이, 세탁 수위가 최고 수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불균형 검지가 이루어지면, 최고 수위보다 높은 풀림 수위까지 급수하여 이 수위에서 세탁물을 교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세탁물이 정격 부하량보다 조금 많은 상태일지라도 확실하게 풀 수 있다.
그런데, 중간 탈수를 종료하면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F6 내지 F8). 전해 세탁 행정에서의 동작은 상술한 전해 애벌 세탁 행정에서의 동작과 동일하지만, 전해 장치(31) 및 펄세이터(7)를 동작시키는 전해 세탁 시간을 애벌 세탁 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애벌 세탁 시간 3분에 대해 전해세탁 시간은 10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전해 세탁 행정에 의해, 세탁물의 오염이 충분히 제거된다.
이 전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도,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잘못 세제가 투입되어 세탁물에 세제분이 많이 남은 상태에서 전해 세탁이 행해지고, 세탁수의 전해 농도가 높아지는 등의 원인에 의해 통전 전류치가 매우 커진 경우에는 전해 세탁 도중에서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중지된다. 이 때, 펄세이터(7)의 동작은 계속되고, 세탁 자신은 계속된다. 이 전해 세탁 행정에서는 애벌 세탁 행정의 경우와는 달리, 세탁물의 오염을 충분히 떨어뜨릴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세제 투입이 원인이면, 세제의 효과에 의해 세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그 세제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나 세제 투입이 원인이 아닌 경우(후술하는 입욕제 등 다른 도전율을 좋게 하는 물질의 투입이 원인임)에는 전해 장치(31)를 정지해 버리는 것은 충분한 세정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통전 전류가 커져 전해 세탁 행정의 도중에서 전해 장치(31)의 동작을 중지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추가 전해 세탁 행정이 실행된다.
전해 세탁 행정이 종료되면, 2회째의 중간 탈수가 실행된다(스텝 F9). 이 2회째의 중간 탈수 동작은 최초의 중간 탈수 동작과 동일하다.
2회째의 중간 탈수가 종료되면, 통전 전류치가 상한 전류치를 초과함으로써 전해 세탁 행정의 도중에서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중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F10). 중지되어 있지 않으면, 전해 헹굼 행정으로 이행한다. 한편, 전해세탁 행정의 도중에서 전해 장치(31)의 동작이 중지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추가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F11 내지 F13). 이 추가 전해 세탁 행정의 동작은 애벌 세탁 행정이나 전해 세탁 행정과 동일하지만, 전해 장치(31) 및 펄세이터(7)를 동작시키는 추가 세탁 시간을 애벌 세탁 시간보다도 길고 전해 세탁 시간보다도 짧게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추가 세탁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전해 세탁 행정에 의해 다소는 세탁되어 있으므로 전해 세탁 시간 정도의 시간은 필요 없으며, 그러나, 애벌 세탁 행정보다는 충분히 세탁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추가 전해 세탁 행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또한 3회째의 중간 탈수를 행한 후(스텝 F14), 전해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F15 내지 F17).
이 전해 헹굼 행정의 동작은 표준 코스에 있어서 균 제거의 설정이 이루어져, 최종 헹굼 행정에서 전해 헹굼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침지 시간, 교반 시간, 전해 동작 시간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지만, 표준 코스에 비해 정격 부하량(최고 수위)이 적으므로, 침지 시간 및 전해 동작 시간은 통전 전류치에만 의거하는 것으로 하여, 교반 시간은 일정하게 하고 있다. 또한, 교반 시간은 표준 코스에 있어서의 동일한 수위나 통전 전류치에 대응하는 교반 시간보다 길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전해 헹굼 행정이 종료하면, 중간 탈수보다도 탈수 시간이 긴 최종 탈수를 행한다(스텝 F18). 이 최종 탈수의 탈수 동작도 탈수 시간이 긴 것뿐, 중간 탈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최종 탈수가 종료하면 세제 제로 코스의 세탁 운전을 종료한다.
또한, 전해 애벌 세탁의 실행 시간[전해 장치(31)의 동작 시간] 및 전해 세탁의 실행 시간을 통전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통전 전류치가 작을수록 실행 시간을 길게 한다. 또한, 전해 애벌 세탁의 실행 시간[전해 장치(31)의 동작 시간] 및 전해 세탁의 실행 시간을 세탁물의 부하량, 수량(수위)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부하량이나 수량이 많을수록 실행 시간을 길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세정 성능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동일 극성의 상태에서 전극(33)에 통전을 계속하면, 전극 표면에 스케일이 부착되어 전극 사이로 전류가 흐르기 어려워져 전기 분해의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서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전극(33)의 극성을 정기적으로 반전시키는 극성 반전 제어를 행하고 있고, 이하, 이 동작을 도17의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전해 장치(31)가 동작되는, 즉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개시되면, 우선 전회의 통전 제어의 종료 시점에서의 전극(33)으로의 통전 시간을 EEPROM(93)으로부터 판독한다(스텝 G1). 그리고, 이 판독한 통전 시간의 연속으로부터 통전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스텝 G2). 다음에, 카운트한 통전 시간이 미리 정해진 반전 시간, 예를 들어 60분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G3). 반전 시간을 짧게 하면 그만큼 스케일은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전극(33)의 빈번한 반전은 전극 표면에 코팅한 산화 촉매가 되는 박막 재료의 박리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반전 시간은 스케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박막 재료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간으로 하고 있어,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결정한다.
스텝 G3에서 반전 시간이 되었다고 판정하면, 전극(33)의 통전 제어를 정지하여 전극(33)으로의 통전을 정지한다(스텝 G4). 그리고, 절환 스위치(98)를 동작하여 전극(33)의 극성을 반전한다(스텝 G5). 예를 들어, 제1 전극(33a)이 양극, 제2 전극(33b)이 음극인 경우에는 제1 릴레이(98a)의 접점을 단자(a)측으로부터 단자(b)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2 릴레이(98b)의 접점을 단자(d)측으로부터 단자(c)측으로 절환한다. 이에 의해, 제1 전극(33a)이 음극으로, 제2 전극(33b)이 양극이 된다. 이렇게 하여 극성 반전이 종료되면, 통전 시간을 리셋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하고, 통전 제어를 재개한다(스텝 G6 내지 스탭 G8). 그리고, 스텝 G3으로 복귀한다.
스텝 G3에서 반전 시간이 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전극(33)의 통전 제어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G9). 통전 제어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G3으로 복귀한다. 한편, 통전 제어가 종료되어 있으면, 통전 시간의 카운트를 정지한다(스텝 G10). 그리고, 여기까지 카운트한 통전 시간을 EEPROM(93)에 기억시켜(스텝 G11) 극성 반전 제어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는 전극(33)으로의 통전 시간이 소정의 반전 시간이 될 때마다 전극(33)의 극성을 반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극 표면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방지되어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93)을 구비하고,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가 종료되면, 여기까지 카운트한 통전 시간을 EEPROM(93)에 기억하여 다음 번의 통전 제어를 개시하면 EEPROM(93)으로부터 통전 시간을 판독하여, 이 통전 시간의 연속으로부터 카운트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원 스위치(49)가 오프되거나 전원 콘센트가 빠지거나 하여 기기로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통전 시간을 기억해 둘 수 있어 항상 일정한 통전 시간으로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전극(33)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함으로써, 전극(33)으로 흐르는 전류치가 대략 일정(평균적으로 대략 일정)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스케일이 부착되기까지의 통전 시간이 대략 일정해져 반전 시간을 상세하게 조정하지 않아도 스케일 부착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세탁기 및 세정기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자동 세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조와 외조 내에 설치된 횡축형의 드럼으로 세탁조를 구성하는, 이른바 드럼식 세탁기라도 좋다. 또한, 세탁조를 일조로 하여 탈수조를 별도로 설치한, 소위 이조식 세탁기라도 좋다.
본 발명의 세탁 수단은 펄세이터(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에서 생기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는 세탁겸 탈수조가 세탁 수단이 된다.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는, 드럼이나 드럼에 설치된 세탁물 교반용의 버플이 세탁 수단이 된다. 중요한 것은, 기기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수단이면 된다.
본 발명의 전해 수단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세탁조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은 아니며, 세탁조 내에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세탁 운전에 의해 세탁조 내의 물이 순환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탁조에 저장된 물을 전기 분해하고 있지만, 전해 수단은 세탁조 내로 급수하는 전해수를 전기 분해하는 것으로 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세탁조 내에 공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수돗물만을 전기 분해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돗물의 전기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 식염이나 탄산수소 나트륨 등을 수돗물에 첨가하여 피전해 용액으로 하여, 이것을 전기 분해하도록 해도 좋다.
제6 내지 제9 발명에 관한 세정기는 본 실시 형태의 전자동 세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고, 그 밖의 세탁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예를 들어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정기나 의료 및 실험용 기구를 세정하는 기구 세정기라도 좋다. 중요한 것은,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이면 된다.
그 밖의 본 발명 취지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는 전극 표면으로의 스케일 부착이 방지되어 안정된 세정 성능이나 균 제거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거나 전원 콘센트가 빠지거나 하여 기기로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통전 시간을 기억해 둘 수 있어 항상 일정한 통전 시간으로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케일이 부착되기까지의 통전 시간이 대략 일정해져 반전 시간을 상세하게 조정하지 않아도 스케일 부착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동일 극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 통전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이 미리 정한 반전 시간이 되면,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하여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가 종료하면, 상기 카운트 수단이 여기까지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기억하고, 다음 번의 통전 제어를 개시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통전 시간을 판독하여 이 통전 시간의 연속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수단으로 카운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단위 시간당 상기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치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소정 시간 경과 후보다도 상기 상한 전류치를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탁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질 때까지는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상기 상한 전류치보다 크더라도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하지 않고 전기 분해를 중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을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상기 전류치에 따라서 바꾸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기계력에 의해 세탁하는 세탁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탁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탁 수단의 동작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탁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에 있어서의 통전 정지 시간 내에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전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전극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는 이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동일 극성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 통전한 통전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한 상기 통전 시간이 미리 정해진 반전 시간이 되면,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하여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9.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기 위한 반전 수단과,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해 세정 행정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소정의 상한 전류치보다도 큰 경우에는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시켜 전기 분해를 중지하는 동시에, 상기 반전 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킨 경우에는 극성을 반전한 후 소정 시간의 통전이 이루어지기 까지는 소정 시간 경과 후보다도 상기 상한 전류치를 크게 설정하거나, 혹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가 상기 상한 전류치보다 크더라도 상기 전해 수단을 정지하지 않고 전기 분해를 중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0.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된 전류치에 따라서 상기 전극으로 간헐 통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간헐 통전을, 통전 시간을 고정하여 통전 정지 시간을 상기 전류치에 따라서 바꾸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1. 피세정물을 수용하는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 내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 수단과,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여 세정에 사용되는 물을 전기 분해하는 전해 수단과, 상기 세정 수단 및 전해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전해 수단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세정 수단의 동작에 의해 피세정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는 전해 세정 행정을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세정기로서,
    전기 분해를 위해 상기 전극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검지하는 전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극으로의 통전 정지시에 상기 전류 검지 수단에 의해 전류가 검지된 경우에는, 상기 전극으로의 급전을 정지하는 이상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KR10-2002-0040143A 2001-07-12 2002-07-11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8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12782A JP3631174B2 (ja) 2001-07-12 2001-07-12 洗濯機、及び洗浄機
JPJP-P-2001-00212782 2001-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7109A true KR20030007109A (ko) 2003-01-23
KR100478669B1 KR100478669B1 (ko) 2005-03-24

Family

ID=1904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143A KR100478669B1 (ko) 2001-07-12 2002-07-11 세탁기 및 세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631174B2 (ko)
KR (1) KR100478669B1 (ko)
CN (1) CN1308527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733B1 (ko) * 2003-07-03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은 용액을 이용한 살균 세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94B1 (ko) * 2003-03-14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전극센서 전원인가방법
JP3638018B1 (ja) * 2003-11-10 200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N100355942C (zh) * 2003-11-18 2007-12-19 海尔集团公司 用于洗衣机带隔膜式电解槽逆向电解的控制方法
JP5383435B2 (ja) * 2009-10-29 2014-01-0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5909506B2 (ja) * 2012-01-23 2016-04-26 シャープ株式会社 水浄化装置および消毒液製造装置
US9451867B2 (en) 2012-01-26 2016-09-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nd ozone generator
WO2020217453A1 (ja) * 2019-04-26 2020-10-29 神田 智一 洗浄液生成装置、洗浄・コーティング液生成装置
CN113638182A (zh) * 2020-05-11 2021-11-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装置、衣物处理设备、存储介质
CN112244710B (zh) * 2020-09-30 2022-03-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892A (ja) * 1984-12-28 1986-07-14 共同印刷株式会社 携帯用カ−ド
JP3275106B2 (ja) * 1992-12-14 2002-04-15 日本インテック株式会社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H07171569A (ja) * 1993-12-21 1995-07-11 Janome Sewing Mach Co Ltd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H07171570A (ja) * 1993-12-21 1995-07-11 Janome Sewing Mach Co Ltd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3409448B2 (ja) * 1994-07-06 2003-05-26 東陶機器株式会社 無隔膜型電解槽を備えたイオンリッチ水生成装置
JP3465367B2 (ja) * 1994-08-23 2003-11-10 東陶機器株式会社 イオンリッチ水生成装置
JP3316385B2 (ja) * 1996-08-27 2002-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0314440B1 (ko) * 1999-03-12 2001-11-15 구자홍 세탁기
TW465610U (en) * 1999-04-30 2001-11-21 Sanyo Electric Co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733B1 (ko) * 2003-07-03 201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은 용액을 이용한 살균 세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1174B2 (ja) 2005-03-23
CN1397677A (zh) 2003-02-19
KR100478669B1 (ko) 2005-03-24
CN1308527C (zh) 2007-04-04
JP2003024692A (ja) 200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664B1 (ko) 전기 세탁기
TW579399B (en) Electrical washing machine
KR100476296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8669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6295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KR100479407B1 (ko) 세탁기 및 세정기
JP4204579B2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2008188460A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2004358274A (ja) 洗濯機、及び洗浄機
JP4549405B2 (ja) 洗濯機
JP3827197B2 (ja) 洗濯機
JP3631217B2 (ja) 電気洗濯機
JP3631219B2 (ja) 電気洗濯機
JP3754329B2 (ja) 洗濯機
JP2003126592A (ja) 電気洗濯機
JP2003000990A (ja) 洗濯機
JP3634812B2 (ja) 電気洗濯機
JP2003154193A (ja) 電気洗濯機
JP3631218B2 (ja) 電気洗濯機
JP2003000988A (ja) 洗濯機
JP2003126593A (ja) 電気洗濯機
JP2003154194A (ja) 電気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