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490A - 정타기 - Google Patents

정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490A
KR20080090490A KR1020087018990A KR20087018990A KR20080090490A KR 20080090490 A KR20080090490 A KR 20080090490A KR 1020087018990 A KR1020087018990 A KR 1020087018990A KR 20087018990 A KR20087018990 A KR 20087018990A KR 20080090490 A KR20080090490 A KR 2008009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nose
nail
diamet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 구보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8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 B25C1/1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generated by detonation of a cartridge
    • B25C1/18Details and accessories, e.g. splinter guards, spall minim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8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정타기는 노즈부(10)를 따라서 콘택트 아암(1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정타기 본체(1)와,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2(3)]를 구비한다. 콘택트 아암(16)의 하단부에 콘택트 노즈[2(3)]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콘택트 노즈[2(3)]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직경의 못을 사용 가능하게 한다. 노즈부(10)의 내경을 사용 못 중, 최대 헤드 직경의 굵은 못(21)에 맞추어 형성한다. 드라이버(5)의 직경을 최소 헤드 직경의 가는 못(22)용의 콘택트 노즈[2(3)]에 맞추어 형성한다. 각 콘택트 노즈[2(3)]의 상부에는 상방이 확대 개방되는 못끝 유도용 원뿔관부(25)를 형성한다. 이 원뿔관부(25)의 상단부를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한다.
정타기, 콘택트 노즈, 원뿔관부, 콘택트 아암, 트리거 레버

Description

정타기 {NAILER}
본 발명은 정타기,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하방에 드라이버를 미끄럼 이동 안내시키는 노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즈부를 따라서 콘택트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정타기 본체와,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를 구비한 정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타기는 기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트리거 레버를 당기는 조작과, 못 타출용 노즈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콘택트 아암을 피타입재에 압입한다는 2개의 조작에 의해 기동용 트리거 밸브를 작동시켜 타격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 아암은 정타기의 안전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지만, 콘택트 아암을 단일 부재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선단부에 콘택트 노즈를 연결하여 콘택트 노즈의 내측의 사출구로부터 못을 타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콘택트 노즈와 콘택트 아암을 일체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콘택트 노즈를 콘택트 아암의 선단부로부터 이탈시켜 노즈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단부 형상이나 사출구 내경이 상이한 콘택트 노즈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타기에서 사용되는 못의 헤드 직경에 맞추어 내경이 상이한 사출구를 형성한 복수의 콘택트 노즈를 선택적으로 정타기에 장착함으로써 상이한 헤드 직경의 못을 1대의 정타기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1496호 공보 참조).
그러나, 노즈부의 내경은 사용하는 못 중, 굵은 못의 헤드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노즈의 내경도 크게 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표준의 헤드 직경의 못보다도 소경의 가는 못을 사용하면, 이 가는 못은 콘택트 노즈의 사출구부 내에서 크게 기울어져 버려 양호한 자세로 유지할 수 없으므로, 타격되었을 때에 좌굴될 우려가 있다. 실제로는, 큰 헤드 직경의 못과 표준의 헤드 직경의 못을 타입하는 것은 가능하나, 표준보다도 가는 못을 타입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었다.
또한, 드라이버의 직경은 표준의 못의 헤드 직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이 못을 타입하였을 때, 피타입재의 표면에 드라이버의 타입 자국이 생겨 양호한 마무리를 확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1 이상의 실시예는 큰 헤드 직경의 못이라도, 표준의 헤드 직경의 못이라도, 또한 표준의 헤드 직경의 못보다도 소경의 가는 못이라도, 확실하고 또한 타입 자국도 생기지 않고 타입하는 것이 가능한 정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하우징의 하방에 드라이버를 미끄럼 이동 안내시키는 노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즈부를 따라서 상단부가 기동용 트리거 레버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정타기 본체와, 각각이 상기 노즈부의 하방에서 노즈부의 축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사용하는 못의 헤드 직경에 대응하여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하단부에 상기 콘택트 노즈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상기 콘택트 노즈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직경의 못을 사용 가능한 것으로 한 정타기에 있어서, 상기 노즈부의 내경을 사용 못 중, 최대 헤드 직경의 굵은 못에 맞추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드라이버의 직경을 최소 헤드 직경의 가는 못용의 콘택트 노즈에 맞추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각 콘택트 노즈의 상부에는 상방이 확대 개방되는 못끝 유도용 원뿔관부를 형성하고, 이 원뿔관부의 상단부를 상기 노즈부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 노즈의 하부에는 스트레이트부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제1 관점의 정타기에 따르면, 내경이 상이한 콘택트 노즈를 선택하여 콘택트 아암에 연결함으로써, 폭넓은 못의 종류를 타입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는 못이나 소헤드 직경의 못에 대해서는 내경이 작은 콘택트 노즈로 마무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노즈부로부터 타출된 못의 못끝 유도용 원뿔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못이 기울어져도 확실하게 콘택트 노즈 내에 취입되어 좌굴되지 않고 타입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의 직경을 최소 직경의 사용 못용의 콘택트 노즈에 맞추어 형성하고 있으므로, 최소 직경의 못을 타입하였을 때라도 피타입재의 표면에 드라이버의 타입 자국이 생기는 경우가 없으므로, 마무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2 관점의 정타기에 따르면, 콘택트 노즈의 하부에는 스트레이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노즈 내의 못의 경사는 작아져, 드라이버가 못의 헤드 직경을 확실하게 타입할 수 있다.
그 밖의 특징 및 효과는 실시예의 기재 및 첨부한 클레임으로부터 명백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에 관한 정타기 본체에 굵은 못용 콘택트 노즈를 연결한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3은 콘택트 아암과 콘택트 노즈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정타기 본체에 가는 못용 콘택트 노즈를 연결한 경우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정타기 본체
2, 3 : 콘택트 노즈
10 : 노즈부
15 : 트리거 레버
16 : 콘택트 아암
25 : 원뿔관부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정타기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3은 콘택트 아암과 콘택트 노즈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4는 정타기 본체에 가는 못용 콘택트 노즈를 연결한 경우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정타기는 정타기 본체(1)와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2)(도1, 도2 참조), 콘택트 노즈(3)(도4 참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타기 본체(1)에는 에어 챔버(4) 내에 저장된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못을 타격하는 드라이버(5)를 일체로 결합한 타격 피스톤(6)과 상기 타격 피스톤(6)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 타격 실린더(7)로 구성되어 있는 타격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격 기구를 수용한 하우징(8)의 하방에는 노즈부(10)가 설치되어 있다. 노즈부(10)의 후방측은 개구부를 통해 매거진(11)에 연속 설치되어 있다. 매거진(11) 내의 못은 못 공급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노즈부(10)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8) 내에는 타격 실린더(7) 내로 에어 챔버(4) 내의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타격 피스톤(6)을 구동시키도록 타격 기구를 구동시켜 정타기를 기동시키는 트리거 밸브(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리거 밸브(13)는 그립부(14)의 하부에 배치되는 트리거 레버(15)의 당김 조작과, 다음에 서술하는 콘택트 아암(16)에 연결된 콘택트 노즈(2, 3)를 피타입재(a)의 표면으로 압박하는 것의 2개의 조작에 의해, 타격 기구를 구동시켜 타격 실린더(7) 내로 압축 공기를 도입하여 타격 피스톤(6)을 구동시켜 정타기를 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택트 아암(16)은 노즈부(10)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상단부(16a)는 트리거 레버(15)의 콘택트 레버(1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 노즈[2(3)]는 노즈부(10)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콘택트 아암(16)의 하단부(16b)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택트 노즈[2(3)]의 하단부를 피타입재(a)의 표면으로 압박함으로써, 콘택트 아암(16)은 하우징(8)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콘택트 레버를 밀어 올린다. 또한, 트리거 레버(15)를 인상 조작함으로써, 콘택트 레버는 트리거 밸브(13)의 밸브 스템(19)을 압입하여 트리거 밸브(13)를 작동시켜 타격 기구를 구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정타기는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2, 3)를 구비하여 콘택트 노즈(2, 3)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직경의 못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콘택트 노즈(2, 3)는 콘택트 아암(16)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노즈[2(3)]의 상부에는 연결용 오목 함몰부(18a)[제1 오목 함몰부(18a)]가 형성되고, 콘택트 아암(16)의 하부에는 연결용 오목 함몰부(18b)[제2 오목 함몰부(18b)]가 형성되고, 제2 오목 함몰부(18b)에 끼워 맞춘 탄성체(20)에 콘택트 노즈[2(3)]의 제1 오목 함몰부(18a)를 압입하여 끼워 맞춤으로써, 콘택트 아암(16)에 콘택트 노즈[2(3)]가 탄성체(20)를 개재하여 연결 유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체(20)를 이용하여 조립 부착하므로, 공구없이 교환할 수 있다.
그런데, 도2에 도시하는 굵은 못(21)용의 콘택트 노즈(2)의 사출구(23)의 내 경은 굵은 못(21)의 헤드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고, 도4에 도시하는 가는 못(22)용의 콘택트 노즈(3)의 사출구(24)의 내경은 가는 못(22)의 헤드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 노즈는 헤드 직경이 상이한 사용 못의 크기에 맞추어, 사출구의 내경이 대경인 것부터 소경인 것까지 있으나, 여기서는 편의상 사용하는 못의 중간 정도 크기의 못용의 콘택트 노즈는 생략하고, 사용하는 못 중 최대의 헤드 직경을 갖는 굵은 못(21)을 타입하기 위한 내경을 갖는 콘택트 노즈(2)(도1, 도2 참조)와 최소 헤드 직경의 가는 못(22)용의 내경을 갖는 콘택트 노즈(3)(도4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콘택트 노즈(2, 3)의 사출구(23, 24)의 상부에는 상기 타격 기구에 의해 타출된 못이 노즈부(10)로부터 콘택트 노즈[2(3)]로 이동할 때에 기울어져도 주워 넣을 수 있도록, 상방이 확대 개방되는 못끝 유도용 원뿔관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뿔관부(25)의 상단부는 상기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뿔관부(25)는 가는 못용 콘택트 노즈(3)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못(22)이 어느 정도 피타입재(a) 내에 타입된 상태나 소헤드 직경이고 가늘고 짧은 못의 하단부가 피타입재(a)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라도, 그 못끝을 콘택트 노즈(3)의 원뿔관부(25)에 주워 넣도록 유도하여, 확실하게 드라이버(5)가 못의 헤드부를 타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노즈[2(3)]에 있어서, 상기 원뿔관부(25)의 내측의 테이퍼면(26)의 하부에는 스트레이트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26)과 스트레이트부(27)는 R면(28)을 개재하여 연속되어 있다. 노즈부(10)의 내경은 최대 헤 드 직경의 굵은 못(21)에 맞추어 설정되므로, 타입 도중에 있어서 가는 못(22)에 대해 못의 경사가 발생한다. 그로 인해, 콘택트 노즈[2(3)] 내에서 못이 기울어져도 드라이버(5)가 못 헤드부를 타격할 수 있도록, 선단부로부터의 스트레이트 길이(h)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레이트부(27)는, 도4와 같이 콘택트 노즈[2(3)]의 선단부를 피타입재(a)의 표면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못[22(21)]의 헤드부가 원뿔관부(25)에 결합하고, 축부가 상기 스트레이트부(27)의 하단부 내측에 결합되었을 때에 드라이버(5)의 하단부가 못[22(21)]의 헤드부의 절반 이상을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소헤드 직경이고 가늘고 긴 못(22)의 경우에는, 못을 타입하는 과정에서 노즈부(10)의 하단부 내측과 콘택트 노즈(3)의 하단부 내측에서 가이드되어 확실하게 드라이버(5)가 못 헤드부의 절반 이상을 두드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잘못하여 내경이 작은 콘택트 노즈(3)에 최대 헤드 직경의 못을 사용하였을 때나, 이송의 문제에 의해 못이 걸렸을 때에 콘택트 노즈[2(3)]가 파괴되지 않도록 테이퍼 하부(29)의 두께를 강도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택트 노즈[2(3)]의 선단부 형상은 용도에 맞춘 타입이 가능하도록 스파이크 갈고리나 플로어용, 골함석(corrugated iron)의 파형이나 산형에 맞춘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에 대해, 정타기 본체(1)의 노즈부(10)의 내경은 굵은 못(21)의 최대 헤드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5)의 직경은 가는 못(22)의 최소 헤드 직경용 콘택트 노즈[2(3)]의 내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노즈부(10)의 내경은 최대 헤드 직경에 맞추어 설정되고, 최소 헤드 직경의 가는 못(22)용의 내경의 콘택트 노즈(3)는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작으나, 드라이버(5)는 상기 가는 못(22)용의 콘택트 노즈(3)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노즈(3) 내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노즈(3)의 내경이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소경이라도 못을 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정타기의 사용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굵은 못(21)을 타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정타기 본체(1)의 콘택트 아암(16)의 하단부에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굵은 못(21)용의 콘택트 노즈(2)를 연결한다. 이것에 따르면, 노즈부(10)의 내경과 콘택트 노즈(2)의 내경은 모두 굵은 못(21)의 최대 헤드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5)의 직경은 가는 못(22)의 최소 헤드 직경용 콘택트 노즈(3)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5)는 확실하게 굵은 못(21)을 타격하여 피타입재 중에 타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타기에 의해 가는 못(22)을 타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정타기 본체(1)의 콘택트 아암(16)의 하단부에 도4에 도시하는 가는 못(22)용의 콘택트 노즈(3)를 연결한다. 이것에 따르면,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콘택트 노즈(3)의 내경의 쪽이 소경으로 되어 있으나, 콘택트 노즈(3)의 사출구(24)의 상부에는 원뿔관부(25)가 형성되고, 원뿔관부(25)의 상단부는 상기 노즈부(10)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뿔관부(25)는 못끝을 콘택트 노즈[2(3)]의 내측에 주워 넣도록 유도되므로, 못이 기울어져도 좌굴되지 않아 확실하게 타격하여 피타입재(a) 중에 타입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버(5)의 직경은 최소 헤드 직경의 사용 못용의 콘택트 노즈(3)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소 헤드 직경의 못을 타입하였을 때라도, 피타입재(a)의 표면에 드라이버(5)의 타입 자국이 생기는 경우가 없으므로, 마무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콘택트 노즈[2(3)]의 하부에는 스트레이트부(2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콘택트 노즈[2(3)] 내의 못의 경사는 작기 때문에, 드라이버(5)가 못의 헤드부를 확실하게 타입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노즈(2, 3)의 크기에 따라서 색이나 문자를 바꿈으로써,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 콘택트 노즈(2, 3)를 간단하게 식별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정타기에 따르면, 내경이 상이한 콘택트 노즈를 선택하여 콘택트 아암에 연결함으로써, 폭넓은 못의 종류를 타입하는 것이 가능해져, 굵은 못에 대해서는 내경이 큰 콘택트 노즈를 연결함으로써, 가는 못이나 소헤드 직경의 못에 대해서는 내경이 작은 콘택트 노즈로 확실하게 타입하여 마무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하고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6년 2월 3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06-026668호)을 기초로 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본 발명은 정타기,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하방에 드라이버를 미끄럼 이동 안내시키는 노즈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즈부를 따라서 콘택트 아암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정타기 본체와,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콘택트 노즈를 구비한 정타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드라이버를 미끄럼 이동 안내시키는 노즈부와,
    이 노즈부를 따라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콘택트 아암과,
    상기 콘택트 아암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콘택트 노즈를 구비하고,
    상기 노즈부의 내경은 사용 못 중, 최대 헤드 직경의 굵은 못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버의 직경은 최소 헤드 직경의 가는 못용의 콘택트 노즈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노즈는 상부에 상방이 확대 개방되는 못끝 유도용 원뿔관부를 갖고, 이 원뿔관부의 상단부는 상기 노즈부의 내경보다도 큰 정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아암의 상단부는 기동용 트리거 레버의 근방에 배치되고,
    사용하는 못의 헤드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콘택트 노즈를 교환함으로써 상이한 직경의 못을 사용 가능한 정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노즈는 하부에 스트레이트부를 갖는 정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관부는 내측에 테이퍼면을 갖고,
    상기 테이퍼면과 상기 스트레이트부는 R면을 개재하여 연속되는 정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노즈의 상부에는 제1 오목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콘택트 아암의 하부에는 제2 오목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오목 함몰부와 상기 제2 오목 함몰부 사이에 탄성체를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콘택트 아암에 상기 콘택트 노즈가 상기 탄성체를 개재하여 연결 유지되는 정타기.
KR1020087018990A 2006-02-03 2007-02-02 정타기 KR200800904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6668A JP5055775B2 (ja) 2006-02-03 2006-02-03 釘打機
JPJP-P-2006-00026668 2006-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490A true KR20080090490A (ko) 2008-10-08

Family

ID=3832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990A KR20080090490A (ko) 2006-02-03 2007-02-02 정타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15086B2 (ko)
EP (1) EP1980370B1 (ko)
JP (1) JP5055775B2 (ko)
KR (1) KR20080090490A (ko)
CN (1) CN101378883B (ko)
AT (1) ATE540782T1 (ko)
AU (1) AU2007210496A1 (ko)
TW (1) TWI457212B (ko)
WO (1) WO2007088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7406B2 (en) * 2005-05-08 2009-12-29 Shenzhen Yuanheng Electronmagnetic Tech. Co., Ltd. Nailing machine driven by pressurized gas in liquid state
JP5218330B2 (ja) * 2009-08-14 2013-06-26 マックス株式会社 衝撃工具
TWI706836B (zh) * 2013-07-04 2020-10-11 日商美克司股份有限公司 扣件敲擊工具
JP6380740B2 (ja) * 2014-05-16 2018-08-29 マックス株式会社 ファスナー打ち込み工具
JP2016120573A (ja) *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マキタ 打ち込み工具
JP6604068B2 (ja) * 2015-07-21 2019-11-13 マックス株式会社 打込み工具
US10584272B2 (en) * 2015-12-07 2020-03-10 Schlumberger Norge As Microsphe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tion in oil-based drilling fluids
US11123850B2 (en) 2016-06-30 2021-09-21 Black & Decker Inc. Cordless concrete nailer with removable lower contact trip
CN106625432B (zh) * 2016-12-19 2018-10-02 重庆金诺克机械制造有限公司 防止射钉反弹的射钉器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0437A (en) * 1964-05-18 1966-07-12 Cavell X Boyle Shoe for automatic nailing machine
US3826419A (en) * 1971-09-21 1974-07-30 G Maestri Device for sequentially driving large headed gimp nails
US4018254A (en) * 1975-11-17 1977-04-19 Textron, Inc. Installation tool apparatus
JPS55111778U (ko) * 1979-01-31 1980-08-06
US4239143A (en) * 1979-05-21 1980-12-16 Olin Corporation Driver assembly for small-diameter fasteners
JPH0251079A (ja) 1988-08-12 1990-02-21 Hitachi Ltd 電子回路試験装置
JPH0251079U (ko) * 1988-09-30 1990-04-10
US5927163A (en) * 1993-02-17 1999-07-27 G. Lyle Habermehl Screwdriver with slotted nose for collated screws
US5437404A (en) * 1993-07-13 1995-08-01 Illinois Tool Works Inc. Adjustable shear block assembly
US5452835A (en) * 1994-08-01 1995-09-26 Illinois Tool Works Inc. Positioning mechanism for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JP3301232B2 (ja) * 1994-10-14 2002-07-15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のドライバブレード
DE19947464A1 (de) * 1999-10-02 2001-04-05 Hilti Ag Bolzensetzgerät zum Eintreiben von Bolzen oder dergleichen in Bauteile
JP4656274B2 (ja) * 2001-05-16 2011-03-23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における釘打ち出し案内機構
US6808101B2 (en) * 2002-05-24 2004-10-26 Illinois Tool Works Inc. Framing tool with automatic fastener-size adjustment
US6761299B2 (en) * 2002-09-18 2004-07-13 Illinois Tool Works Inc. Magazine clutch assembly
US6852092B2 (en) * 2002-10-02 2005-02-08 Advanced Medical Optics, Inc. Handpiece system for multiple phacoemulsification techniques
JP4348995B2 (ja) * 2003-05-08 2009-10-21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における釘の打出し案内機構
JP4214833B2 (ja) * 2003-05-09 2009-01-28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における釘の打込みガイド機構
JP4120574B2 (ja) * 2003-12-04 2008-07-16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のコンタクトノーズ連結機構
JP4420205B2 (ja) * 2004-04-28 2010-02-24 マックス株式会社 釘打機の釘案内装置
CN2750897Y (zh) * 2004-07-22 2006-01-11 黄文胜 打钉枪
US8146891B2 (en) * 2008-04-10 2012-04-03 Reconnx, Inc. Powered tool utilizing interchangeable driver assemblies for removal of various sized fasteners from a hos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8883A (zh) 2009-03-04
JP5055775B2 (ja) 2012-10-24
EP1980370A4 (en) 2010-11-03
EP1980370A1 (en) 2008-10-15
TW200734131A (en) 2007-09-16
ATE540782T1 (de) 2012-01-15
TWI457212B (zh) 2014-10-21
CN101378883B (zh) 2013-09-11
EP1980370B1 (en) 2012-01-11
WO2007088968A1 (ja) 2007-08-09
US7815086B2 (en) 2010-10-19
US20090020582A1 (en) 2009-01-22
JP2007203419A (ja) 2007-08-16
AU2007210496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0490A (ko) 정타기
US6745928B2 (en) Trigger valve apparatus for pneumatic tool
US20060157527A1 (en) Nailing drive guide mechanism for nailing machine
US6578750B2 (en) Nail hammering guide mechanism in nailing machine
JP4207700B2 (ja) 釘打機における打込みガイド機構
JP4214833B2 (ja) 釘打機における釘の打込みガイド機構
JP5354839B2 (ja) フロア施工用釘打機
JP2000061865A (ja) 釘打機の安全装置
JP3794276B2 (ja) 釘打機
JP2014046424A (ja) 打込機
JP4682540B2 (ja) 釘打機の射出部及びその製造方法
JP7073197B2 (ja) 打ち込み工具
JP4569521B2 (ja) 打込機
JP5201402B2 (ja) 打込機
JPH0616659Y2 (ja) 繰返し作動式打撃工具における反動吸収機構
JP2016049604A (ja) 打込機
JPH07314347A (ja) 打込機の先端ガイド装置
JP2003089075A (ja) 釘打機
JP2009196062A (ja) 打ち込み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