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712A - 경화 입출금기 - Google Patents

경화 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712A
KR20080045712A KR1020087006453A KR20087006453A KR20080045712A KR 20080045712 A KR20080045712 A KR 20080045712A KR 1020087006453 A KR1020087006453 A KR 1020087006453A KR 20087006453 A KR20087006453 A KR 20087006453A KR 20080045712 A KR20080045712 A KR 2008004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ening
coin
curing
passag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세이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11)를 제공한다. 둥근 형상의 반송수단(22)을 설치한다. 반송수단(22)은, 경화 수입구(16)에 받아들인 경화를 입금 반송 방향으로 1매씩 반송하고, 경화 투출구(17)로 투출하는 경화를 입금 반송 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의 출금 반송 방향으로 1매씩 반송한다. 반송수단(22)을 따라서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다. 수납 투출부(25)는, 동일한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반송수단 (22)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시키기 때문에, 반송수단(22)의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다. 수납 투출부(25)는, 경화를 비정렬 상태로 수납하고, 수납한 경화를 1매씩 반송수단(22)으로 투출한다.

Description

경화 입출금기{COIN RECEIVING AND DISPENSING MACH1NE}
본 발명은, 경화의 입금이나 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점포에서는 레지, 금융기관에서는 창구나 금융 점포 내외에 설치된 ATM(Automatic Tellers Machine;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으로, 고객과의 현금 수수(授受)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POS 레지스터나 전자식 금전 등록기, 및 입출금 관리기 등의 출납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들 출납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현금의 입금이나 출금이 가능한 경화 입출금기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고객에 의해서 입금되는 경화를 위쪽의 입출금 위치에 위치한 입출금 부재로 수수(收受)하고, 이 입출금 부재로부터 경화를 입금용 회전 원반으로 보내주며, 이 회전 원반으로부터 경화 선별 통로로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어, 이 경화 선별 통로에서 경화를 반송하면서, 판별부에 의해서 금종(金種)을 판별함과 함께, 각 금종에 대응한 경화 저장통으로 반송하여 수납하고 있다.
또한, 고객에 대해서 출금할 경우에는, 출금에 필요한 출금 경화를 각 경화 저장통으로부터 반송 벨트로 방출하고, 이 반송 벨트를 회전시켜 출금 경화를 출금 용 회전 원반으로 보내주며, 이 회전 원반을 회전시켜 출금 경화를 아래쪽의 출금 위치에 미리 이동시킨 입출금 부재로 보내주고, 승강기구에 의해서 입출금 부재를 위쪽의 입출금 위치로 상승시켜, 입출금 부재로부터의 출금 경화를 꺼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경화 저장통 이외의 예로서는, 경사 원반 및 이 경사 원반의 표면의 사이에서 경화를 저장하는 저장 호퍼로 구성되는 금종별 저장 호퍼부를 이용하여, 이 금종별 저장 호퍼부의 경사 원반에 의해서 송출한 경화를, 금종별 저장 호퍼부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반송 컨베이어상으로 방출하고, 이 반송 컨베이어를 통해서 그 반송 컨베이어 말단을 향하는 경화 꺼냄구로 송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3708373호 공보(제 8-11 페이지, 도 8-13)
특허 문헌 2 : 일본 실개소 58-190766호 공보(제 6-7 페이지, 도 2)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근래, 점포용 경화 레지 거스름기나 금융기관에서 사용되는 경화 입출금기를 둘러싼 환경으로서, 종래의 장치보다 더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를 요구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입금시에는 입금용 회전 원반, 경화 선별 통로를 통하여 경화 저장통으로 경화를 반송하고, 출금시에는 반송 벨트, 출금용 회전 원반을 통하여 출금 경화를 아래쪽의 출금 위치에 위치하는 입출금 부재로 보내주고 있다. 그 때문에, 입금시와 출금시에 사용되는 경화 통로가 다르므로, 기체(機體)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또한, 입출금 부재를 위쪽의 입출금 위치, 및 아래쪽의 출금 위치에 위치시키는 승강기구를 구비한 것은, 기체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도 되고 있다.
또한, 금종별 저장 호퍼부를 이용하는 경우, 경화 저장통과는 달리, 경화를 정렬하여 겹쳐 쌓아서 수납할 필요가 없고, 비정렬 상태로 경화를 수납하면 되고, 경화를 수납하기 쉬운 이점은 있다.
그러나, 금종별 저장 호퍼부로부터 송출된 경화는, 직접 반송 컨베이어상에 방출되고, 이 반송 컨베이어 말단을 향하는 경화 꺼냄구로 송출하므로, 금종별 저장 호퍼부로부터 송출된 경화는 금종별 저장 호퍼부로부터의 송출시에 계수(計數)할 수 있었다고 해도, 경화를 판별할 수 없고, 예를 들면 다른 금종의 경화,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마모가 심한 경화, 위조화 등의 출금해서는 안되는 경화도 출금해야 할 경화로서 출금되어 버린다. 이렇게 출금해서는 안되는 경화를 출금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면, 상술한 경화 저장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송 컨베이어의 말단에 출금용 회전 원반을 설치하고, 이 회전 원반으로부터 출금 경화를 1매씩 경화 통로로 계속 내보내며, 경화 통로에서 출금 경화를 판별하여, 출금해서는 안되는 경화를 경화 통로 중간에 분기하고, 출금해야 할 경화만을 경화 통로 말단으로부터 송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경화 저장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체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기체 외부로부터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수입구(受入口)와, 상기 기체 외부로 경화를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投出口)와, 상기 경화 수입구로 받아들인 경화 및 상기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는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부가 배면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 가능한 회전 원반, 이 회전 원반의 표면쪽에 경화를 수납하는 호퍼, 및 회전 원반의 둘레면 상부영역으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송출하는 경화 출구를 가지며, 상기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받아들여 비정렬 상태로 수납함과 함께, 이 수납한 경화를 상기 경화 출구로부터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 투출부를 경사 원반 및 호퍼를 가진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경화 저장통과 같이 경화를 정렬하여 겹쳐 쌓아서 수납할 필요가 없고, 비정렬 상태로 경화를 수납할 수 있다. 수납 투출부의 경화를 1매씩 경화 출구로부터 반송수단으로 투출함과 함께, 이 반송수단으로 1매씩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출금 해당 경화로 판단된 출금 경화만을 경화 투출구로 신속하게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기체 외부로부터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수입구와, 상기 기체 외부로 경화를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와, 상기 경화 수입구에 받아들인 경화 및 상기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는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경화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받아들여 비정렬 상태로 수납함과 함께, 이 수납한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반송수단으로 1매씩 반송하고, 이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받아들여 수납 투출부내에 비정렬 상태로 수납하고, 또한, 수납 투출부의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투출하는 경화를 반송수단으로 1매씩 반송하여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며, 그 때문에,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가 공통화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수수(收受) 및 저장하고, 이 저장한 경화를 반송수단에 대해서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저장 조출부(繰出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저장 조출부로부터 반송수단에 대해서 1매씩 계속 내보내어, 경화의 판별이나 수납의 처리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경화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부와,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중 판별부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입금 승인 확인까지 상기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시킴과 함께, 입금 승인 확인후에 상기 일시 보류부로부터 보류 경화를 계속 내보내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중 판별부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함으로써, 입금 승인 확인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로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수단을 구동하는 방향을 바꿈으로써,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에 수납시키거나,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로 투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를 공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대해서 나누는 나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눔 부재에 의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나눌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5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기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 통로부와, 이 제1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을 향하여 되돌아오는 되돌림 통로부와, 이 되돌림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을 향함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2 통로부를 구비하고, 판별부는, 상기 제1 통로부에 설치되고, 수납 투출부는, 복수 구비함과 함께, 상기 반송수단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상기 판별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상기 제1 통로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송수단을 제1 통로부, 되돌림 통로부, 제2 통로부를 구비한 레이아웃으로 하고, 그 제1 통로부에,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판별부 및 복수의 수납 투출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수납 투출부는, 제2 통로부에도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 투출부를 제2 통로부에도 설치했기 때문에, 제1 통로부와 제2 통로부로 나누어 수납 투출부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기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방향의 치수가 짧아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7 또는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판별부는, 제1 통로부에 설치되고,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상기 판별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의해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를 나누는 리젝트 나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리젝트 나눔 기구에 의해,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의해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를 나누어, 정상 경화만이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둥근 형상의 경화 통로와, 이 경화 통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경화 통로내의 경화를 1매씩 눌러 움직여 반송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진 무단형상의 반송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둥근 형상의 경화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무단형상의 반송체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경화 통로내의 경화를 1매씩 눌러 움직여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 경화의 종류마다의 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판별부를 통해서 반송수단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와 수납 투출부에서, 이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며, 계속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로 판별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고, 수납 투출부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계속 내보내어 원래의 수납 투출부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납 투출부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판별부를 통해서 반송수단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와 수납 투출부에 있어서, 수납 투출부내의 경화를 저장 조출부로 이동시키면서 판별부에서 판별한 후, 저장 조출부내의 경화를 원래의 수납 투출부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투출부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수납 투출부를 경사 원반 및 호퍼를 가진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경화 저장통과 같이 경화를 정렬하여 겹쳐 쌓아서 수납할 필요가 없고, 비정렬 상태로 경화를 수납할 수 있어 경화의 수납이 쉬워지므로, 수납 투출부의 경화를 1매씩 경화 출구로부터 반송수단로 투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반송수단으로 1매씩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에서 판별할 수 있고, 출금 해당 경화로 판단된 출금 경화만을 경화 투출구로 신속히 내보낼 수 있어, 종래와 같은 출금용 회전 원반 등이 불필요하고,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수납 투출부의 동일한 경화 출입구로부터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수단의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고,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에서는, 경화를 비정렬 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통내에 겹쳐 쌓아 수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를 바르게 수납하지 못하여 경화가 세워지는 것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이, 경화의 수납, 투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수(收受) 및 저장하고, 이 저장 조출부에 저장한 경화를 반송수단에 대해서 1매씩 계속 내보내어 판별이나 수납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 중에서 판별부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함으로써, 입금 승인 확인이 가능하고, 입금 승인, 확인 후에는 일시 보류부로부터 보류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이나 반환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에 수납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로 투출할 때에는 반송수단을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를 공통화하여 입금 및 출금의 처리를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2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나눔 부재에 의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수납 투출부로 나눌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은, 기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 통로부와, 이 제1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을 향하여 되돌아오는 되돌림 통로부와, 이 되돌림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으로 향함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2 통로부를 구비한 레이아웃으로 하고, 그 제1 통로부에,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판별부 및 복수의 수납 투출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수납 투출부는, 제2 통로부에도 설치했기 때문에, 제1 통로부와 제2 통로부로 나누어 수납 투출부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기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는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판별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한 리젝트 나눔 기구에 의해,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의해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를 나누어 정상 경화만을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2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수단에서는, 둥근 형상의 경화 통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무단형상의 반송체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부에 의해, 경화 통로내의 경화를 1매씩 눌러 움직여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경화 입출금기의 효과에 더하여, 판별부를 통해서 반송수단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와 수납 투출부에 있어서, 이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고, 계속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에서 판별하여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며, 수납 투출부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계속 내보내어 원래의 수납 투출부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투출부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수납 투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4] 상기 수납 투출부의 받아넘김 원반의 돌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블록도이다.
[도 6]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입금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출금 처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상기 수납 투출부의 입금 동작을 (a)∼(e)에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상기 수납 투출부의 출금 동작을 (a)∼(f)에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상기 수납 투출부의 출금 정지시의 동작을 (a)(b)에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 상기 수납 투출부의 2매 경화의 인출 방지 동작을 (a)(b)에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경화 입출금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도 14의 A-A 화살표시의 정면도이다.
[도 16]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수납 투출부 및 경화 통로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7]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회전 원반이 구비된 주워올림부재를 나타내며, (a)는 회전 원반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b)는 회전 원반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8]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회전 원반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내며, (a)는 도 16에 있어서의 B-B 화살표시의 단면도, (b)는 도 16에 있어서의 D-D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19]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회전 원반 및 경화 가이드 부재의 도 16에 있 어서의 E-E 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도 20]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받아넘김 원반의 정면도이다.
[도 21]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받아넘김 원반의 도 20에 있어서의 F-F 화살표시의 측면도이다.
[도 22]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받아넘김 원반의 도 20에 있어서의 G-G 화살표시의 측면도이다.
[도 23] 상기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경화 통로의 제1 통로부의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區分部)를 나타내며, (a)는 경화 통과시의 단면도, (b)는 경화 분기시의 단면도이다.
[도 24] 상기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경화 통로의 제2 통로부의 금종별 구분부를 나타내며, (a)는 경화 통과시의 단면도, (b)는 경화 분기시의 단면도이다.
[도 25]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수납 투출부로부터 출금 경화 도출 통로 및 경화 통로에의 경화의 계속 내보냄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6]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도 25에 계속되는 경화의 계속 내보냄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7] 상기 경화 입출금기의 도 26에 계속되는 경화의 계속 내보냄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8]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회전 원반의 주워올림부재 및 경화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29]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회전 원반의 주워올림부재 및 경화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 30]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회전 원반의 주워올림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1]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에 있어서의 회전 원반을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의 I-I 화살표시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경화 입출금기 12: 기체
16: 경화 수입구 17: 경화 투출구
22: 반송수단 23: 판별부
24: 저장 조출부 25: 수납 투출부
25a: 경화 출입구 27: 경화 통로
28: 반송체 31: 제1 통로부
32: 되돌림 통로부 33: 제2 통로부
36: 돌기부 38: 나눔 부재
66: 리젝트 나눔 기구로서의 투출기구
81: 제어부 88: 기억부
116: 경화 수입구 117: 경화 투출구
121a, 121b, 121c: 수납 투출부 135: 회전 원반
136: 호퍼
178a, 178b, 178c: 경화 출구로서의 출금 경화 도입구
181: 반송수단으로서의 벨트 185: 판별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11)는, 기체(12)를 구비하고, 이 기체(12)의 앞면(도 1 왼쪽)에는 고객이 입금 경화의 투입 조작 및 출금 경화를 꺼내는 조작을 하는 조작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12)의 조작면(13)에는, 입금 경화 등을 기체(12)내에 투입하는 경화 수입구(16)와, 출금 경화 등을 기체(12) 외부로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17)가 기체 앞면에서 보아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경화 투출구(17)로부터 투출된 경화를 받아들이는 받침 접시(18)가 더 배열 설치되어 있다.
기체(12)내에는, 상부가 기체 앞면에서 보아 왼쪽 방향(베이스(21)의 이면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베이스(2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이스(21)의 위쪽을 향하는 표면쪽에는, 경화를 반송하는 반송수단(22), 이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23),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경화를 받아 들여 반송수단(22)으로 1매씩 계속 내보냄과 함께,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납 가능하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24), 및 종류별로 경화를 수납하는 것으로서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납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수납 투출부(25) 등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경화 수입구(16)와 저장 조출부(24)의 사이에는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로 유도하는 슈트(16a)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수단(22) 및 수납 투출부(25) 등에 의해서 경화 수납투출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수단(22)은, 경화를 1열 상태로 하여 경화의 반송을 안내하는 둥근 형상의 경화 통로(27), 및 이 경화 통로(27)내의 경화를 반송하는 무단형상의 반송체 (28)를 구비하고 있다.
경화 통로(27)는, 베이스(21)의 표면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경화의 면이 접하는 통로면(29), 및 이 통로면(29)의 양측에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양측의 가이드측판(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 통로(27)에는, 기체(12)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 통로부(31), 이 제1 통로부(31)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을 향하여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 통로부(32), 이 되돌림 통로부(32)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을 향함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17)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2 통로부(33), 및 이 제2 통로부(33)의 말단으로부터 제1 통로부(31)의 시단에 접속되는 복귀 통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체(28)는, 무단형상의 벨트(35)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35)의 통로면 (29)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복수의 돌기부(36)가 벨트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벨트(35)는, 복수의 풀리(37)에 의해, 경화 통로(27)의 중앙 영역을 통과하여 회동하도록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35)가 인접한 2개의 돌기부(36)의 사이에 경화를 받아들이며, 벨트(35)의 회동에 의해 돌기부 (36)에서 경화를 눌러 움직여 반송한다.
어느 하나의 풀리(37)가 모터에 의해 정역전 구동된다. 즉,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는 입금시에는, 제1 통로부 (31)에서 벨트(35)가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정방향인 제1 방향(이하, 입금 반송 방향 F1이라고 한다)으로 구동되고, 한편,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17)로 투출하는 출금시에는, 입금 반송 방향 F1에 대해서 역방향인 제2 방향(이하, 출금 반송 방향 F2라고 한다)으로 벨트(35)가 구동된다. 따라서, 벨트(35)의 정역전 구동에 의해, 경화 통로(27)내의 경화의 정역 양방향으로 반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경화 통로(27)의 제1 통로부(31)의 아래쪽에는, 앞쪽 위치에 저장 조출부(24)가 배열 설치되고, 이 저장 조출부(24)보다 뒤쪽 위치에 복수로, 예를 들면 3개의 수납 투출부(25)가 제1 통로부(31)를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2 통로부(33)의 아래쪽에는, 복수로, 예를 들면 3개의 수납 투출부(25)가 제2 통로부 (33)를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로부(31)에는, 저장 조출부(24)와 가장 앞쪽 부분의 수납 투출부(25)의 사이에 판별부(23)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경화 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24)의 경화 출입구(24a)가, 제1 통로부(31)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경화 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각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출입구(25a)가, 각 통로부(31,33)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있다.
경화 통로(27)의 경화 출입구(24a) 및 각 경화 출입구(25a)의 위치에는, 경화 출입구(24a) 및 각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를 출납하는지,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반송 방향 하류측에 통과시키는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나누는 나눔 부재(38)가 배열 설치되고 있다. 저장 조출부(24)용 및 각 수납 투출부(25)용 각 나눔 부재(38)는, 방향 등에 차이를 둘 뿐이며, 경화를 나누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1개의 수납 투출부(25)용 나눔 부재(38)를 나타낸다. 이 나눔 부재(38)는, 경화 출입구(25a)에 경화를 안내하는 경화 안내부(39)와, 경화 출입구 (25a)에 경화의 침입을 저지하는 폐색부(40)와, 이들 경화 안내부(39) 및 폐색부 (40)를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경화 안내부(39)는, 경화 출입구(25a)측이 위치하는 경화 통로(27)의 통로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폭방향 한쪽, 즉 하부측이, 경화 출입구(25a)에 대해서 반대측에 위치하는 경화 통로(27)의 폭방향 다른 쪽, 즉 상부측보다도, 반송수단(22)이 입금 반송 방향 F1로 구동될 때의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됨과 함께, 반송수단(22)이 입금 반송 방향 F1로 구동될 때의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오목한 곡면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폐색부(40)에는, 이 폐색부(40)가 폐색 상태일 때에, 아래쪽의 가이드측판 (30)과 동일면이 되어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41)는, 경화 안내부(39) 및 폐색부(40)보다 입금 반송 방향 F1의 하 류측에 위치하고, 경화 통로(27)의 폭방향의 축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솔레노이드 등의 전기적 구동 수단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경화를 경화 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부(25)로 나눌 때, 및 경화를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 통로(27)로 계속 내보낼 때는, 경화 안내부(39)가 경화 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 상태로 한 경화 출입 위치에 나눔 부재(38)가 위치한다. 한편, 경화를 경화 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부(25)로 나누지 않을 때, 및 경화를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 통로(27)로 계속 내보내지 않을 때에는, 경화 안내부(39)가 경화 통로(27)의 통로면(29)에 매몰함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폐색 상태로 한 경화 통과 위치에 나눔 부재(38)가 위치한다. 경화 통로(27)의 통로면(29)에는, 경화 안내부(39)가 출몰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눔 부재(38)의 경화 안내부(39)에는 경화 통로(27)에서 돌출했을 때에 벨트(35)와의 간섭을 피하는 홈부(4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장 조출부(24)용 나눔 부재(38)는, 수납 투출부(25)용 나눔 부재 (38)와 동일한 경화 안내부(39), 폐색부(40) 및 지지부(41)를 구비하고, 전기적 구동 수단으로 구동된다.
또한,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는, 방향 등에 차이가 있을 뿐이며,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1매씩 출납하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하나의 수납 투출부(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납 투출부 (25)는, 상부가 이면 방향을 향하도록 수평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위치(도 2 참조)에서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원반(46), 이 회전 원반(46)의 표면쪽과의 사이에서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47) 및 경화 출입구(25a) 근방에 배치된 받아넘김 원반(48) 등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원반(46)은, 이 회전 원반(46)의 표면이 베이스(21)의 표면과 면(面) 일치가 되도록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 원반(46)은, 벨트(35)나 받아넘김 원반(48)과 연동하고, 경화를 경화 통로(27)로 계속 내보내는 조출 회전 방향(도 3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모터로 회전 구동한다. 회전 원반(46)은, 경화의 막힘이 발생했을 때에 그 경화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서 조출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반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회전 원반(46)의 표면에는, 중앙영역에 원형의 고위부(50)가 형성되고, 이 고위부(50)의 바깥둘레영역에 둥근 형상의 저위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원반 (46)의 고위부(50)와 저위부(51)의 사이에는, 처리하는 경화 중의 최소 경화 두께보다 조금 작은 치수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단차형상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저위부(51)에는, 회전 원반(46)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주워올림부재(53)가, 안둘레측의 원둘레 방향과 바깥둘레측의 원둘레 방향의 2열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소정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바깥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는, 안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보다 회전 원반(46)의 조출 회전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원반(46)이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안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의 사이에서 경화를 1매씩 유지하여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으로 주워 올리고, 바깥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 (53)가 안둘레측의 각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으로 주워 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25a)를 향하여 밀어냄과 함께 받아넘김 원반(48)으로 받아 넘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는, 각 주워올림부재(53)의 사이에서 경화를 1매씩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각 위치마다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원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의 사이에는, 고위부(50)와 저위부(51)의 단차를 경사면으로 하여 주워올림부재(53)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로 유지되지 않는 경화를 하부로 매끄러져 떨어뜨리는 활락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에는,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25a)를 향하여 계속 내보내는 안내 통로(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통로(56)는, 회전 원반(46)의 표면 및 베이스(21)의 표면으로서 경화 통로(27)와 공통의 통로면(29)과, 상하 양측의 가이드 부재(57,58)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위쪽의 가이드 부재(57)는,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으로부터 경화 출입구 (25a)의 한쪽의 가장자리부측에 걸쳐, 회전 원반(46) 및 통로면(29)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고 있다.
아래쪽의 가이드 부재(58)는, 저위부(51)의 표면에 경화가 들어가지 않는 간 격을 두고 대향한 상태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측으로부터 경화 출입구 (25a)의 다른 쪽의 가장자리부측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8)의 안내 통로(56)내에 이르는 안가장자리는, 나눔 부재(38)의 경화 안내부(39)에 연속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8)의 저위부(51)에 대향하는 면에는, 회전 이동하는 각 주워올림부재(53)가 통과하는 홈부(5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58)에 의해, 주워올림부재(53)로 주워 올려진 경화를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로부터 받아들여 경화 출입구(25a)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통로(56)에는, 아래쪽의 가이드 부재(58)의 근방에,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가 출몰 가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60)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구동되며, 나눔 부재(38)의 폐색부(40)가 개방 상태일 때에는 통로면(29)에 매몰하여 경화의 통과를 허용하고, 폐색부(40)가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하여 안내 통로(56)내에 있는 경화를 호퍼(47)내로 낙하시킨다.
또한, 호퍼(47)는, 베이스(21)의 표면쪽에 부착되고, 위쪽으로 개구된 형상(도 2 참조)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받아넘김 원반(48)은, 안내 통로(56)와 경화 통로(27)에 걸친 위치에, 받아넘김 원반(48)의 표면이 회전 원반(46) 및 베이스(21)의 표면의 통로면(29)과 면일치되도록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받아넘김 원반(48)의 바깥 둘레부에는, 경화에 닿아 회전 원반(46)측으로부터 경화 통로(27)로 계속 내보내는 돌기체 (62)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받아넘김 원반(48)은, 벨트(35)와 연동하여 회전되어, 벨트(35)가 출금 반송 방향 F2로 이동할 때는, 돌기체(62)가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 통로(27)내에 이동하는 조출 회전 방향으로서, 돌기체(62)로 경화를 회전 원반(46)측으로부터 경화 통로(27)에 계속 내보내는 조출 회전 방향(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벨트(35)가 입금 반송 방향 F1로 이동할 때는, 돌기체(62)가 경화 통로(27)측으로부터 경화 출입구(25a)내로 이동하는 반조출 회전 방향(도 3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체(62)는, 회전 원반(46)의 조출 회전 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는 받아넘김 원반(48)의 표면에 대략 수직으로 경화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멈춤면(63)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면은 경화가 올라타도록 경사면(6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통로부(33)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는, 제1 통로부(31)와 제2 통로부(33)에서 경화의 반송 방향의 방향이 반대로 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통로부(31)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 대해서 방향에 차이를 둘 뿐이며,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 조출부(24)는, 제1 통로부(31)에 설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 대해서 방향이 반대로 될 뿐이며,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벨트(35)가 입금 반송 방향 F1로 이동할 때 받아넘김 원반(48)이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벨트(35)가 출금 반송 방향 F2로 이동할 때 받아넘김 원반(48)이 반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로부(33)의 말단에는,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경화 투출구(17)로 투출시키는 투출기구(6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투출기구(66)는, 나눔 부재(38)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 나눔 부재를 이 용하여 경화를 나눌 수 있다. 한편, 이 투출기구(66)는, 입금시에, 판별부(23)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를 반환하기 위해서 경화 투출구(17)로 나누는 리젝트 나눔 기구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귀 통로부(34)에는, 수납 투출부(25)가 경화로 가득차 다 수납할 수 없는 오버플로우 경화를 경화 통로(27)로부터 분기시키는 분기 기구(6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기체(12)내에는, 분기 기구(68)로 분기된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상자(69)가 탈착 가능하도록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경화 입출금기(11)를 제어하는 제어부(81)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부(81)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23)나 경화 입출금기(11)에 배열 설치되는 각종 센서군(82) 등으로부터 신호를 입력하여, 벨트(35)나 받아넘김 원반(48)을 구동하는 모터 등을 이용한 반송 구동부(83),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의 나눔 부재(38)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나눔 부재 구동부(84), 각 회전원반(46)을 구동하는 모터 등을 이용한 회전 원반 구동부(85), 투출기구(66)의 나눔 부재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투출기구 구동부(86), 및 분기 기구(68)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나 모터 등을 이용한 분기기구 구동부(87) 등을 제어한다.
센서로서는, 경화 통로(27)에 설치되어 있어 이 경화 통로(27)내를 반송하는 경화의 위치를 검지하는 복수의 센서,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의 안내 통로(56)에 설치되어 있어 저장 조출부(24) 및 각 수납 투출부(25)에 대한 경 화의 출납을 검지하는 센서 등이 있다.
제어부(81)는, 기억부(88)를 구비하고, 이 기억부(88)에, 각 수납 투출부 (25)에 수납된 경화의 매수를 기억한다.
그리고, 제어부(81)는, 반송수단(22)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판별부(23)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종류별의 각 수납 투출부(25)로 나누도록 하는 기능,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할 경우에는 반송수단(22)을 입금 반송 방향 F1으로 구동시키고,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17)로 투출할 경우에는 반송수단(22)을 출금 반송 방향 F2으로 구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81)는, 판별부(23)를 통해서 반송수단(22)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24)와 수납 투출부(25)에 있어서, 1개의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고, 계속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하여 기억부(88)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에 수납하여, 수납 투출부(25)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24)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 (24)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계속 내보내어 원래의 수납 투출부(25)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 투출부(25)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경화 입출금기(11)의 입출금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입금 처리를 나타낸다.
고객 등에 의해 경화 수입구(16)에 투입된 입금 경화는, 저장 조출부(24)에 일괄하여 받아들여 저장한다.
벨트(35)를 입금 반송 방향 F1로 구동하여,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저장 조출부(24)의 받아넘김 원반(48)을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 수납 투출부 (25)의 받아넘김 원반(48)을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저장 조출부(24)의 회전 원반(46)을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원반(46)의 주워올림부재(53)로 1매씩 주워 받아넘김 원반(48)으로 받아넘기고, 이 때 나눔 부재(38)를 경화 출입 위치에 요동시킴으로써, 받아넘김 원반(48)으로 경화를 경화 통로(27)에 계속 내보낸다. 따라서,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 통로 (27)에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계속 내보낸다.
저장 조출부(24)로부터 경화 통로(27)로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계속 내보내는 경화는, 회동하는 벨트(35)의 복수의 돌기부(36) 사이에 1매씩 들어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의 일측부에서 경화를 눌러 움직여 경화 통로(27)내를 입금 반송 방향 F1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35)에 의해서 경화 통로(27)내의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경화 통로(27)내를 입금 반송 방향 F1로 이동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해당 종류의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 투출부(25)의 나눔 부재(38)로 경화 통로(27)로부터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출입구(25a)로 나누어, 수납 투출부(25)내로 받아 들여 수납한다. 이 수납 투출부(25)에 경화를 받아들일 때에 그 경화를 센서로 검지하여, 이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수납 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88)에 1매분을 가산하여 갱신시킨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는, 경화 통로(27)의 각 수납 투출부(25)의 위치를 통과시켜 제2 통로부(33)의 말단까지 반송하고, 투출기구(66)로 경화 투출구(17)로 나누어, 받침 접시(18)로 투출하여 반환한다.
어떤 종류의 수납 투출부(25)의 수납 매수가 소정의 가득찬 매수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그 이후의 해당 종류의 경화는 오버플로우 경화로 하고, 경화 통로(27)의 복귀 통로부(34)까지 반송하여, 분기 기구(68)에서 경화 통로(27)로부터 분기하여, 수납상자(69)에 수납한다.
그리고, 투입된 입금 경화의 수납 투출부(25) 또는 수납상자(69)에 수납이 완료하면,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투입된 입금 경화의 각 수납 투출부(25) 또는 수납상자(69)에 수납이 완료한 후, 고객 등의 입금 승인의 확인을 취하는 경우에는, 고객 등에 의해 입금 승인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입금 처리를 종료하고, 또한, 고객 등에 의해 입금 불승인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각 수납 투출부(25) 또는 수납상자(69)에 수납한 만큼의 경화를 각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17)로부터 받침 접시(18)로 투출하여 반환한다. 이 경화의 반환 처리는, 다음에 설명하는 출금 처리와 같은 처리가 된다.
또한, 도 7에 출금 처리를 나타낸다.
벨트(35)를 출금 반송 방향 F2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저장 조출부(24)의 받아넘김 원반(48)을 반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 수납 투출 부(25)의 받아넘김 원반(48)을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고객 등에 의해 지시된 출금액으로부터 산출된 해당 종류의 경화를 1종류씩 순서대로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계속 내보낸다. 해당 금종의 경화를 수납하는 수납 투출부(25)에 대해서는, 회전 원반(46)을 벨트(35)나 받아넘김 원반(48)에 연동하여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 원반(46)의 주워올림부재(53)로 경화를 1매씩 주워올려 받아넘김 원반(48)으로 받아넘기고, 이때 나눔 부재(38)를 경화 출입 위치에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받아넘김 원반(48)으로 경화를 경화 통로(27)로 계속 내보낸다. 따라서,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 통로(27)에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계속 내보낸다.
이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낼 때에 그 경화를 센서로 검지하고, 이 수납 투출부(25)의 경화 수납 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88)로부터 1매분을 감산하여 갱신시킨다.
수납 투출부(25)로부터 경화 통로(27)로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계속 내보내는 경화는, 회동하는 벨트(35)의 복수의 돌기부(36)간에 1매씩 들어가, 반송 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의 타측부에서 경화를 눌러 움직여 경화 통로(27)내를 출금 반송 방향 F2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벨트(35)에 의해서 경화 통로(27)내의 경화를 1매씩 분리하여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경화 통로(27)내를 출금 반송 방향 F2로 이동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된 경화는, 경화 통로(27) 의 복귀 통로부(34)를 통해서 제2 통로부(33)의 말단까지 반송하여, 투출기구(66)에서 경화 투출구(17)로 나누어 받침 접시(18)로 투출하여 출금한다.
판별부(23)에서의 판별의 결과,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는, 경화 통로(27)의 복귀 통로부(34)의 분기 기구(68)로 경화 통로(27)로부터 분기하여, 수납상자(69)에 수납한다. 부족한 종류의 경화는, 수납 투출부(25)로부터 추가하여 계속 내보내게 한다.
모든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17)로부터 투출하면, 출금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경화의 입금 처리와 출금 처리는, 반송수단(22)의 모든 통로부 (31∼34)를 공통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가 공통화되고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입금 처리에 있어서의 수납 투출부(25)에의 경화(도중에 부호 C로 나타내는데, 이하 생략한다)의 나눔 수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경화 통로(27)의 제2 통로부(33)에 배치되는 수납 투출부(25)에의 경화의 나눔 수납 동작을 나타낸다.
입금시에는, 벨트(35)를 입금 반송 방향 F1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수납 투출부(25)의 받아넘김 원반(48)을 반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납 투출부(25)의 회전 원반(46)은 회전시키지 않는다.
도 8(a)(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하는 벨트(35)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로 경화를 눌러 움직여, 경화를 입금 반송 방향 F1로 이동시킨다.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는 경화가 반송되어 온 것을 경화 통로(27)의 센서로 검지 하면, 나눔 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 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경화 출입 위치에 요동시킨다.
개구하는 경화 출입구(25a)의 위치에 경화가 도달하는 것에 의해, 경화의 아래쪽의 버팀목이 없어져 경화 출입구(25a)로 침입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8(d)(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35)의 돌기부(36)로 놀러 움직이는 경화가 나눔 부재(38)의 오목한 곡면형상의 경화 안내부(39)에 닿는 것에 의해, 그 경화를 오목한 곡면형상의 경화 안내부(39)를 따라서 경화 출입구(25a)를 향하여 강제적으로 방향 전환시켜 나누고, 나눈 경화를 안내 통로(56)로부터 수납 투출부(25)내로 받아들인다.
이때,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는 경화 통로(27)로부터 경화 출입구 (25a)에 경화의 침입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를 회전하고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25)내의 경화 수납량이 증가해 나가며,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받아들인 경화가 안내 통로(56)에서 나열되며, 마지막으로 받아들인 경화가 경화 출입구(25a) 부근에서 정지했을 경우에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가 그 정지하고 있는 경화의 위치로 회동해 오는 것에 의해, 돌기체(62)의 경사면(64)에 정지하고 있는 경화가 올라타기 때문에, 그 경화를 안내 통로(56)로부터 강제적으로 띄워 호퍼(47)내로 낙하시킨다. 이에 따라, 수납 투출부(25)내에 실제로 수납할 수 있는 경화의 수납 용량을 증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출금 처리에 있어서의 수납 투출부(25)로부터의 경화의 계속 내보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경화 통로(27)의 제2 통로부 (33)에 배치되는 수납 투출부(25)로부터의 경화의 나눔 수납 동작을 나타낸다.
출금시에는, 벨트(35)를 출금 반송 방향 F2으로 구동하고, 이 벨트(35)에 연동하여 수납 투출부(25)의 받아넘김 원반(48)을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수납 투출부(25)의 회전 원반(46)을 벨트(35)나 받아넘김 원반(48)으로 연동하여 조출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9(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원반(46)의 안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 (53)가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52)의 사이에 경화를 1매씩 유지하여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에 주워올리고,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가 안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 원반(46)의 상부영역으로 주워올린 경화를 경화 출입구 (25a)를 향하여 안내 통로(56)로 밀어내고 있다.
이때,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는 회전 원반(46)으로부터 안내 통로 (56)에 경화의 침입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를 회전하고 있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가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 회전 원반(46)으로부터 안내 통로(56)로 밀어낸 경화의 위치로 회동해 오는 것에 의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가 바깥둘레측의 주워올림부재(53)로부터 경화를 받아들인 경화 출입구(25a)를 향하여 누르면서 계속 내보낸다.
안내 통로(56)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로 경화를 검지하면, 나눔 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 통로(27)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함과 함께 폐색부(40) 가 경화 출입구(25a)를 개방 상태로 하는 경화 출입 위치에 요동시킨다.
도 9(c)(d)(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로 누르면서 계속 내보내는 경화는,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경화 통로(27)에 침입하고, 나눔 부재(38)의 오목한 곡면형상의 경화 안내부(39)를 따라서 이동하면서, 벨트 (35)의 돌기부(36) 사이에 들어가는 것과 함께, 경화 출입구(25a)의 출금 반송 방향 F2의 측부측으로 유도되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로부터 경화 통로 (27)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 상으로 갈아탄다.
도 9(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35)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돌기부(36)가 경화 통로(27)의 아래쪽의 가이드측판(30)상에 실려 있는 경화에 닿아, 그 경화를 출금 반송 방향 F2로 반송한다.
또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투출부(25)로부터 필요 매수의 경화의 계속 내보냄을 안내 통로(56)의 센서로 검지하면, 회전 원반(46)을 정지시키고, 마지막으로 계속 내보내는 경화가 경화 통로(27)에 완전하게 침입한 타이밍에서,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눔 부재(38)를, 경화 안내부(39)가 경화 통로 (27)의 통로면(29)에 매몰함과 함께 폐색부(40)가 경화 출입구(25a)를 폐색 상태로 하는 경화 통과 위치로 요동시킨다.
회전 원반(46)을 정지시켜도, 곧바로는 정지하지 않고, 후속의 경화를 회전 원반(46)으로부터 안내 통로(56)내로 보내지만, 나눔 부재(38)를 경화 통과 위치에 요동시킴과 함께, 안내 통로(56)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 원반(46)으로부터 안내 통로(56)내에 이송되는 후속의 경화를 호 퍼(47)내로 낙하시킨다. 이에 따라, 경화 출입구(25a)를 닫은 나눔 부재(38)의 폐색부(40)에 후속의 경화가 접촉하여 그 나눔 부재(38)가 파손하거나 경화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반(48)의 돌기체(62)로 경화를 경화 통로(27)에 계속 내보내고 있는 도중에, 경화가 돌기체(62)로부터 벗어나 안내 통로(56)내로 낙하하여 후속의 경화와 2매 연속하여 늘어섰을 경우, 이 타이밍에 안내 통로(56)의 센서가 경화를 검지함으로써, 돌기체(62)로부터의 경화의 탈락이 발생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나눔 부재(38)를 경화 통과 위치로 요동시킴과 함께, 안내 통로(56)의 통로면(29)으로부터 돌출부(60)를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안내 통로(56)내의 2매 연속한 경화를 호퍼(47)내로 낙하시킨다. 이에 따라, 2매의 경화가 함께 계속 내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수납 투출부(25)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저장 조출부(24)에의 경화의 나눔 수납 동작, 및 저장 조출부(24)로부터의 경화의 계속 내보냄 동작도, 수납 투출부(25)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수납 투출부(25)의 동일한 경화 출입구(25a)로부터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송수단 (22)의 입금 반송 경로와 출금 반송 경로를 공통화할 수 있어, 보다 소형의 경화 입출금기(1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 투출부(25)에서는, 경화를 비정렬 상태로 수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통내에 겹쳐 쌓아 수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를 바르게 수납하지 못하여 경화가 세워지는 것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으며, 경화의 수납, 투출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조출부(24)와 수납 투출부(25)는 기본 구성을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반송수단(22)은, 기체(12)의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 통로부(31)와, 이 제1 통로부(31)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을 향하여 되돌아오는 되돌림 통로부(32)와, 이 되돌림 통로부(32)의 말단으로부터 기체(12)의 앞쪽을 향함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17)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2 통로부 (33)를 구비한 레이아웃으로 하고, 그 제1 통로부(31)에, 반송수단(22)을 입금 반송 방향 F1로 구동시켰을 때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판별부(23) 및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설치했기 때문에, 경화 입출금기(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특히, 수납 투출부(25)를, 제1 통로부(31)와 제2 통로부(33)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기체(12)의 전후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부(23)를 통해서 반송수단(22)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24)와, 어느 하나의 수납 투출부(25)에 있어서, 이 수납 투출부 (25)로부터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어, 계속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23)에서 판별하여 기억부(88)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24)에 수납하여, 수납 투출부(25)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24)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24)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계속 내보내어 원래의 수납 투출부(25)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각 수납 투출부(25)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반송수단(22)의 제1 통로부(31)만을 따라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 예이다. 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11)에 비해, 전후방향의 길이는 길어지지만, 상하 방향의 높이가 낮아져, 높이가 낮은 것을 요구하는 기계에 적절하다.
다음에, 도 13에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반송수단(22)의 제1 통로부(31) 및, 제2 통로부(33)의 통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제1 통로부(31)의 하부측으로부터 저장 조출부(24), 판별부(23), 복수의 수납 투출부(25)를 배치한 예이다. 이 경화 입출금기(11)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경화 입출금기(11)에 비해, 상하 방향의 높이는 높아지지만, 전후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길이가 짧은 것이 요구되는 기계에 적절하다.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수단(22)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 가능하게 하고, 경화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일시 보류부를 구비한 것에 의해, 경화 수입구(16)에 기체(12)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중에서 판별부(23)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입금 승인 확인까지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시킴과 함께, 입금 승인 확인후에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한 경화를 계속 내보내며, 입금 승인시에는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하고, 입금 불승인시에는 경화 투출구(17)로부터 반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 일시 보류부는, 저장 조출부(24)나 수납 투출부(25)로 기본 구성이 동일해도 좋고, 경화 통로(27)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 가능하게 한다. 일시 보류부는, 전용의 일시 보류부를 설치해도 좋고, 수납 투출부 (25)의 하나를 일시 보류부로서 이용해도 좋다. 일시 보류부에 수납한 경화를 수납 투출부(25)에 수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시 보류부로부터 경화 통로(27)에 계속 내보낸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고, 일시 보류부내의 모든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면, 이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각 수납 투출부(25)에 수납시킨다.
다음에, 도 14내지 도 27에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입출금기는, 기체(111)를 가지며, 이 기체(111)의 앞면쪽(도 14의 오른쪽, 도 15의 정면)은 고객이 입금 경화의 투입과 출금 경화의 꺼냄 등을 조작하는 고객용 조작면(112)이 되고, 기체(111)의 뒷면쪽(도 14의 왼쪽, 도 15와 반대면)은 계원(係員)이 경화의 보충이나 회수 등을 조작하는 계원용 조작면(113)으로 되어 있다. 기체(111)의 고객용 조작면(112)의 상부영역에는, 입금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수입구(116)와, 입금 리젝트 경화, 입금 반환 경화, 출금 경화가 송출되는 경화 출금구로서의 경화 투출구(117)가 앞면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경화 수입구(116)에는, 경화면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는 세로 자세에서의 복수매의 경화의 일괄 투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경화 투출구(117)는, 고객이 손가락을 넣어 경화를 꺼낼 수 있는 경화 투출구틀 (118)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기체(111)내에는, 예를 들면 500원, 10원 및 100원의 3개의 금종의 출금 경화를 금종별로 비정렬 상태로 저장하여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수납 투출부(121a, 121b,121c)가 기체(111)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는 것과 함께, 수납 투출 부(121a,121b,121c)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출금 경화를 상부로 보내는 안내 통로로서의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 투출부 (121a,121b,121c)의 앞부분 영역에 나란히, 입금 경화를 수수(收受)하여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저장 조출부(123)가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저장 조출부(123)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입금 경화를 상부로 보내는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수납 투출부(121a,121b,121c) 및 저장 조출부(123)의 상부영역에는,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로부터 송출되는 출금 경화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로부터 송출되는 입금 경화를 받아 들여 반송하는 것과 함께 종류별로 구분하는 경화 통로(12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투출부(121a, 121b,121c),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 저장 조출부(123),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 및 경화 통로(125)는, 상부가 배면 방향(도 15의 정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된 베이스(126)의 표면쪽에 배치되어 있다.
기체(111)내의 앞부분 영역에는, 경화 통로(125)로 구분된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117)에 반송하는 등 경화를 상하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127)가 배치되고, 경화 수입구(116)에 투입된 입금 경화를 저장 조출부(123)로 유도하는 입금 경화 슈트(128)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111)내의 경화 통로(125)의 표면쪽을 향함과 함께 수납 투출부 (121a,121b,121c)의 위쪽 영역에는, 예를 들면 500원, 10원, 100원 및 50원의 4개의 금종 경화를 금종별로 비정렬 상태로 일시 보류하는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 (129a,129b,129c,129d)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111)내의 하부영역에는 경화를 금종별로 회수하는 회수부(130)가 배치되고, 기체(111)내의 상부영역에는 보충 경화를 보충하는 보충부(131)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투출부(121a, 121b,121c)는, 공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각, 상부가 배면 방향(이면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축선에 배치되는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원반(135), 및 이 회전 원반(135)의 표면의 사이에 경화(도중에 부호 C로 나타내고, 이하 생략한다)을 저장하는 호퍼(136)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원반(135)의 둘레면 상부영역에는,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에 의해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출금 경화 조출구(137)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원반(135)은, 베이스(126)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배치됨과 함께 베이스(126)의 표면쪽과 면일치로 배치되어, 조출 회전 방향인 정회전 방향(도 14 및 도 16 반시계 회전 방향)과 역전 방향(도 14 및 도 16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호퍼(136)는, 베이스(126)의 표면쪽에 부착되어 있다.
호퍼(136)의 적어도 하부영역에는 방출구(138)가 형성되고, 이 방출구(138)를 폐색하는 가동 호퍼부(139)가 축부(140)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장 조출부(123)로부터 계속 내보낼 수 없는 이물질을 도시하지 않은 이물질 검지센서 등으로 검지했을 경우에, 가동 호퍼부(139)를 개방하여 이물질을 방출구(138)로부터 아래쪽으로 방출 가능하게 한다.
회전 원반(135)의 표면에는, 중앙영역에 원형의 고위부(141)가 형성되고, 이 고위부(141)의 바깥둘레영역에 고위부(141)로 처리하는 경화중에서 최소 경화 두께보다 조금 작은 치수만큼 낮은 저위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원반(135)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제1 소정반경영역 r1로서, 고위부(141)와 저위부(142)의 단차부에는, 경화의 둘레가장자리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가 형성되어 있다(도 18(b) 참조). 이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서, 저위부(142)에는,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로부터의 반경 방향 치수가 처리하는 경화중에서 최대 경화지름보다 조금 큰 치수로 되어 경화의 배면을 유지하는 경화면 유지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경화면 유지부(144)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 r2에는,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에 돌출하는 복수의 주워올림부재(145)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각 주워올림부재(145)는,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시에, 처리하는 최대 경화지름으로부터 최소 경화지름까지의 어느 하나의 경화라도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의 사이에 경화 1매를 유지하여 회전 원반 (135)의 상부영역에 주워 올릴 수 있다. 주워올림부재(145)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시에, 회전 방향으로 대향하여 경화에 접촉하는 금속제의 핀(146)과 후속하는 가이드부(147)를 가지며, 이 금속제의 핀(146)에 의해 주워올림부재(145)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가이드부(147)는 수지제이고, 경화면 유지부(144)로부터 핀(146)의 선단을 향해서 경사형상의 가이드 부위(147a), 및 이 가이드 부위(147a)와 핀(146)을 접속하는 접속 부위(147b,147b)로 구성되어 회전 원반(135)을 역전시키는 처리시에, 이 가이드부(147)에 의해 경화가 핀(146) 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경화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화면 유지부(144)에 있어서의 제2 소정 반경영역 r2보다 반경 방향 바깥쪽의 제3 소정 반경영역 r3에는,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경화 무너뜨림 겸용의 주워올림부재(148)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주워올림부재 148은, 복수의 주워올림부재 145에 각각 대응하여 주워올림부재 145보다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 방향에 대해서 후방으로 소정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주워올림부재 148은, 주워올림부재 145와 동일하게 핀(146)과 가이드부(147)로 구성되어 있다.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는, 원둘레 방향의 복수의 주워올림부재(145)에 대응하여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형성되고, 이들 각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의 원둘레 방향 길이는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시에 대응하는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서 1매의 경화를 유지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복수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 사이에는, 고위부(141)와 저위부(142)의 단차부를 경사면으로 하여, 경화를 아래쪽으로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활락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원반(135)의 상부영역에 있어서, 회전 원반(135)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 즉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 방향에 대응한 방향으로 경화를 계속 내보내는 출금 경화 조출구(137)를 구성하는 상하의 경화 가이드 부재(151,152)가 배치되어 있다. 위쪽인 한쪽의 경화 가이드 부재(151)는, 회전 원반(135)의 상부영역으로부터 출금 경화 조출구(137)에 걸쳐, 회전 원반(13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아래쪽인 다른 쪽의 경화 가이드 부재(152)는, 경화면 유지부(144)의 표면에 근접 대향하여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로부터 계속해서 경화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주워올림부재(145)와의 사이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유지하여 회전 원반(135)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안내한다. 이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경화면 유지부(144)에 대향하는 면에는, 회전이동하는 주워올림부재 145 및 주워올림부재 148이 통과하는 홈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경화 가이드 부재(152)에는, 출금 경화 조출구(137)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보내지는 경화를 경화면 유지부(144)에 접하는 경화 1층에 대해서 다층과 겹쳐지는 나머지 경화를 호퍼(136)내에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154)는, 경화 가이드 부재(152) 윗가장자리에, 경화면 유지부(144)에 접하는 경화가 두께 방향으로 1매 실리는 치수의 가이드면(155), 및 이 가이드면(155)을 남기고 경화를 미끄러져 떨어뜨리는 경사면(156)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 122b,122c)는, 공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각, 출금 경화 조출구(137)와 경화 통로(125)의 사이에, 기체(111)의 후방을 향하여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를 위쪽으로 방향 변환하여 송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장 뒷부분의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만은, 기체(111)의 후방을 향하여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를 대략 180° 방향 변환하여 전방으로 송 출하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는, 각각, 베이스(126)의 표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회전 원반(135)의 경화면 유지부(144)와 면일치로 경화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통로면(159)을 가지고 있다. 이 통로면(159)의 안둘레쪽 및 바깥둘레쪽의 양측에는,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연속하여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경화 가이드 부재(151) 및 경화 가이드 부재(152)가 배치되어 있다.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에는, 각각, 출금 경화 조출구(137)와 경화 통로(125)의 입구 근방의 사이에,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에 닿아 이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경화 통로(125)를 향하여 반송하는 받아넘김 원반(160)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받아넘김 원반(160)은, 베이스 (126)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아넘김 원반(160)은, 회전 원반 (135)의 경화면 유지부(144) 및 통로면(159)과 대략 면일치로 회전 원반(135)의 회전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에 배치되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면부(162)를 가지고 있다.
이 회전면부(162)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잘린 부분(163)이 형성되고, 이 잘린 부분(163)에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에 닿아 이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경화 통로(125)를 향하여 반송하는 돌기체(164)가 적어도 1개 배치되어 있다.
이 돌기체(164)는, 회전축(161)을 직교하여 관통하는 지축(165)에 의해서 받 아넘김 원반(16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요동할 수 있게 축지지되고, 이 지축 (165)에 장착된 힘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66)으로 회전면부(162)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즉 받아넘김 원반(160)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힘이 가해지고, 회전면부(162)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한 상태로 잘린 부분(163)의 가장자리에 닿아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이 돌기체(164)의 돌출 상태에서는, 회전면부(162)의 표면쪽에 처리하는 최소 경화 두께보다 작은 치수만큼 돌출하고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조출부(123)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보다 경화 수수량(收受量)이 적고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와 공통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주요 구성을 나타내면, 상부가 배면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가 되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입금 경화를 수수 (收受)하는 회전 원반(135), 이 회전 원반(135)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입금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1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원반(135)의 둘레면 상부영역에는,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에 의해 입금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입금 경화 조출구(16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는,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와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주요 구성을 나타내면, 통로면(159), 돌기체(164)를 가진 받아넘김 원반(16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통로(125)는, 각 출금 경 화 도출 통로(122a,122b,122c)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의 상부영역에 기체 (111)의 뒤부분으로부터 앞부분 방향을 향해서 설치되는 제1 통로부(172), 이 제1 통로부(172) 말단인 앞부분으로부터 경화의 반송 방향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후에 제1 통로부(172) 위쪽을 향해 되돌아오는 되돌림 통로부(173), 및 이 되돌림 통로부(173) 말단인 상부로부터 제1 통로부(172)의 위쪽 영역인 기체(111)의 후부를 향하여 경화를 반송하는 제2 통로부(174)를 구비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로부(172∼174)는,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로부터 연속하여 경화의 배면을 가이드하는 베이스(126)의 표면에 형성된 통로면(175)을 가지며, 이 통로면(175)의 통로 폭방향 양측에는,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로부터 연속하여 경화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는 경화 가이드 부재(176,17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통로부(172)에는,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로부터 송출되는 출금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출구로서의 각 출금 경화 도입구(178a,178b, 178c),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로부터 송출되는 입금 경화를 받아들이는 입금 경화 도입구(179)가 형성되어 있다. 출금 경화 도입구(178a,178b,178c)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를 통해서 경화 통로(125)에 대해서 경화를 송출하는 경화 출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뒷부분의 출금 경화 도입구(178a)를 제외한 각 출금 경화 도입구 (178b,178c) 및 입금 경화 도입구(179)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 상류측의 가장자리부 에는, 각각, 각 출금 경화 도입구(178b,178c) 및 입금 경화 도입구(179)로부터 경화 통로(125)에 경화의 도출을 허용함과 함께, 제1 통로부(172)의 반송 방향 상류측인 후부측으로부터 반송해 오는 경화가 각 출금 경화 도입구(178b,178c) 및 입금 경화 도입구(179)에 들어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레버(180)가 요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어 있다. 각 규제 레버(180)는 스프링 힘과 스토퍼에 의해 실선 수평 자세로 위치되며, 아래쪽으로부터의 경화의 상승시에는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경화에서 위쪽(1점 쇄선 상승 위치)로 요동되어, 경화의 제1 통로부(172)에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통로부(172∼174)에 걸쳐서, 받아넘김 원반(160)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주는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반송하는 반송수단으로서의 벨트 (18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벨트(181)의 통로면(175)에 대향하는 면에는 벨트 (181)의 길이 방향으로 처리하는 최대 경화지름보다 큰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돌기부(18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벨트(181)는 통로면(175)에 대해서 처리하는 최대두께 경화보다 큰 치수로 대향 배치되고, 돌기부(182)는 그 단면이 통로면(175)에 대해서 처리하는 최소 경화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벨트(181)는, 제1 통로부(172)의 시단부, 제1 통로부(172)의 입금 경화 도입구(179)의 근방, 및 제1 통로부(172)의 종단부, 제2 통로부(174)의 시단부 및 종단부의 각각의 안둘레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풀리(183,183,183,183, 18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받아넘김 원반(160)과 공통의 구동 기구로 구동되어 각 받아넘김 원반(16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각 받아넘김 원반(160)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주는 경화를 벨트 길이방향의 돌기부(182) 사이에 받아들여 1매씩 분리한 상태로, 경화의 반송 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돌기부(182)로 경화를 눌러 반송한다. 한편, 각 받아넘김 원반(160) 및 벨트(181)에 의한 경화의 반송 속도는, 각 회전원반(135)에 의한 경화의 계속 보내는 속도보다 다소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통로부(172)에는, 각 금종의 각 출금 경화 도입구(178a,178b, 178c)의 반송 방향 후단에, 500원, 10원, 100원의 회수 경화를 금종별로 구분하는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184b,184c)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1 통로부(172)의 각 출금 경화 도입구(178a,178b,178c) 및 입금 경화 도입구(179)보다 반송 방향 후단에는, 경화를 판별하는 판별부(18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2 통로부(174)에는, 판별부(185)에서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출금 경화를 출금 해당 경화와 출금 비해당 경화로 구분함과 함께 입금 리젝트 경화를 구분하는 출금 경화 구분부(186), 50원, 100원, 10원 및 500원의 경화를 각 금종별로 구분하는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187b,187a)가 반송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와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 187b,187a)는 모두 동일 구조로 구성되고, 또한, 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 및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187b,187a)와 제1 통로부(172)의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184b,184c)는, 제2 통로부(174)와 제1 통로부(172) 의 반송 방향의 차이에 대응하여 방향이 다를 뿐이고, 기본적으로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 및 도 23에 있어서, 제1 통로부(172)의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 (184a,184b,184c) 중의 하나인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에서는, 통로면(175)으로부터 아래쪽의 경화 가이드 부재(176)(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 및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187b,187a)에서는 경화 가이드 부재(177))에 걸쳐 개구부(188)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88)내에 분기 부재(189)가 통로 방향(반송 방향)으로 평행한 축부(190)를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분기 부재(189)는, 축부(190)로 지지되는 지지부(191)를 가지며, 이 지지부(191)의 상단에 분기 비해당 금종의 경화를 통과시키는 통과 가이드부(192)가 설치되고, 지지부(191)의 배부(背部)에 분기 해당 금종의 경화를 개구부(188)의 배부측에 넣어 분기시키는 분기 가이드부(19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분기 부재(189)의 지지부(191)에는 각 아암(194)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각 분기용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통과 가이드부(192)가 개구부(188)에 위치하는 통과 위치와 분기 가이드부(193)가 개구부(188)에 위치하는 분기 위치로 변환된다.
통과 가이드부(192)는, 통로 방향으로부터 보아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경화를 지지하여 통과 가능하도록 하는 통과홈(195)을 가지며, 도 23(a)에 나타내는 통과 위치일 때에는, 통과홈(195)의 오른쪽면 및 저면이 통로면(175) 및 경화 가이드 부재(176)의 경화 지지 가장자리부(176a)와 대략 면일치가 되어 이들 통로 면(175) 및 경화 가이드 부재(176)의 경화 지지 가장자리부(176a)와 함께 경화의 하부에 있어서의 배면 및 둘레가장자리를 가이드하여, 경화의 통과를 허용한다. 한편, 통과홈(195)의 좌면은, 우면에 대해서 최대 경화 두께 보다 약간 커지는 치수가 되어 경화의 통과를 허용한다. 또한, 도 23(b)에 나타내는 분기 위치일 때에는, 개구부(188)의 표면쪽에 퇴피한다.
분기 가이드부(193)는, 표면쪽으로부터 보아 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상부측이 제1 통로부(172)의 통로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여 제1 통로부(172)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경사부(196), 이 경사부(196)의 하부측으로부터 제1 통로부 (172)의 통로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수직부(197)를 가지고 있다. 분기 가이드부 (193)에는, 벨트(181)의 돌기부(182)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서 잘린 부분(19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가이드부(193)는, 도 23(b)에 나타내는 분기위치일 때에는, 통로면(175)으로부터 표면쪽에 돌출하여, 제1 통로부(172)를 반송하고 있는 경화를 경사부(196) 및 수직부(197) 또는 지지부(191)의 배면측을 통해서 개구부(188) 내에 넣는다. 또한, 도 23(a)에 나타내는 통과 위치일 때에는, 경사부 (196) 및 수직부(197)는 개구부(188)의 배면측으로 퇴피한다.
그리고, 도 24에는, 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 및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187b,187a) 중의 하나인 금종별 구분부(187a)를 나타내고, 상술한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는, 제2 통로부(174)와 제1 통로부(172)의 반송 방향의 차이에 대응하여 방향이 다를 뿐, 기본적으로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통로부(172)의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184b,184c)의 배부측에는,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184a,184b,184c)로 구분한 경화를 회수부(130)로 유도하는 회수용 슈트(200a,200b,200c)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의 배부측에는, 이 출금 경화 구분부(186)로 구분한 경화를 반송부(127)로 유도하는 출금용 슈트(20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통로부(174)의 각 금종별 구분부(187d,187c,187b,187a)의 배부측에는, 각 금종별 구분부(187a,187b,187c,187d)로 구분한 경화를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로 유도하는 각 일시 보류용 슈트(202a,202b,202c,202d)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부(127)는, 기체(111)내의 앞부분 영역에서 경화 통로(125)의 표면쪽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리프트(205)를 구비하고, 이 리프트(205)내에 경화를 수수(收受)하여 반송하는 바켓(206)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 바켓(206)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바켓(206)은, 복수매의 출금 경화를 수수(收受) 가능하게 하고, 한쪽에 셔터 (207)에 의해서 개폐되는 방출구(208)가 형성되고, 바켓(206)의 저부가 방출구 (208)를 향하여 경화를 안내하도록 경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켓(206)은, 리프트(205)의 상하 방향 중간 영역으로서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 의해 구분되어 출금용 슈트(201)를 통해서 이송되는 출금 경화를 수수 (收受)하는 정위치의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 리프트(205)의 상부영역으로서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117)에 방출하는 출금 경화 방출 위치 H2, 리프트(205)의 상하 방향 중간영역의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보다 위쪽 영역으로서 출금 중지시에 출금 경화를 방출하는 출금 중지 경화 방출 위치 H3, 리프트(205)의 하부영역으로서 저장 조출부(123)로부터 방출되는 이물질을 수수하는 이물질 수수위치 H4의 각 위치를 정지 위치로 하여, 각 위치로 이동한다.
출금 경화 방출 위치 H2 및 출금 중지 경화 방출 위치 H3에는, 각각, 각 위치에 위치하는 바켓(206)의 셔터(207)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 개폐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의 바켓(206)으로부터 방출되는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117)로 유도하는 방출용 슈트(209), 출금 중지 경화 방출 위치 H3의 바켓(206)으로부터 방출되는 경화를 저장 조출부(123)로 유도하는 출금 중지 경화용 슈트(210), 또, 이물질 수수위치 H4의 바켓(206)에 대해서 저장 조출부(123)의 가동 호퍼부(139)의 개방과 회전 원반(135)의 역전으로 의해 방출되는 이물질을 유도하는 이물질용 슈트(2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프트(205)는, 기체(111)내의 격납 위치와 기체(111) 바깥쪽으로서 고객용 조작면(112)측인 앞면쪽에 열린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가동 틀(212)에 지지되고 있다. 이 제2 가동 틀(212)은, 예를 들면 리프트(205)의 외곽을 공용하고, 기체(111)측에 대해 상하의 복수의 힌지(213)에 의해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들 힌지(213)에 의해서 격납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 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리프트(205)의 아랫면은 개구되어, 이 리프트(205)의 아래쪽에 이물질 회수상자(214)가 기체(111)의 앞부분쪽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켓(206)을 이물질 수수위치 H4보다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저장 조출부(123)의 가동 호퍼부(139)의 개방과 회전 원반(135)의 역전에 의해 방출되는 이물질을 이물질 회수상자(214)로 회수할 수 있다.
다음에,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는 각 일시 보류용 시트(202a,202b,202c,202d)의 아래쪽 위치에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 및 회수용 슈트(217)의 위쪽 위치에 대응하여, 경화 통로(125)의 표면쪽을 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는 수납 투출부(121c)와 저장 조출부(123)의 사이의 위쪽 위치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는, 각 금종별 구분부(187a, 187b,187c,187d)로 구분하여 각 일시 보류용 슈트(202a,202b,202c,202d)에 의해서 유도되어 경화를 비정렬 상태로 수수(收受)하여 일시 보류한다. 이들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의 저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바닥판이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바닥판이 도시하지 않은 개폐기구에 의해서 개폐된다.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의 바닥판의 개방에 의해서 방출되는 경화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에 수수(收受)된다.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의 바닥판의 개방에 의해서 방출되는 경화는, 수납 투출부(121c)와 저장 조출부 (123)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수용 슈트(217)를 통해서 회수부(130)로 유도된다.
또한,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는, 기체(111)내의 격납 위치와 기체(111) 바깥쪽으로서 왼쪽 방향으로 열린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가동 틀(218)에 지지되고 있다. 이 제1 가동 틀(218)은, 기체(111)의 뒷부분쪽에 대해서 복수의 힌지(219)에 의해 요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이들 힌지(219)에 의해서 격납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회수부(130)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아래쪽에서 기체 (111)의 전후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500원, 10원 및 100원용 각 금종별 회수부 (223a,223b,223c), 및, 금종별 회수부(223c)의 앞부분쪽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50원용 금종별 회수부(223d)를 구비하고, 이들 각 금종별 회수부(223a,223b,223c,223d)가 기체(111)의 뒷부분쪽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금종별 회수부(223a,223b,223c)는, 각 금종별 회수용 경화 구분부 (184a,184b,184c)로 구분되어 회수용 슈트(200a,200b,200c)에 의해 유도되는 회수 경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가동 호퍼부(139,139,139)의 개방에 의해서 방출되는 회수 경화를 수납한다.
금종별 회수부(223d)는, 50원 경화를 수납하는 것으로, 입금 처리시에 50원 경화가 금종별 구분부(187d)로 구분되어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에 일시 보류된 후, 입금 승인시 및 입금 비승인시에도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로부터 방출되어 회수용 슈트(217)에 의해 유도되어 수납된다.
다음에, 보충부(131)는, 기체(111)에 설치된 인출 가이드(227)에 의해서, 기 체(111)내의 경화 통로(125)의 상부에서 기체(111)내에의 격납과 기체(111)의 후방에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화 보충 틀(228)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화 보충 틀(228)에는, 기체(111)의 전후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상하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보충 경화를 저장하는 보충 경화 저장 호퍼(229)를 가지며, 이 보충 경화 저장 호퍼(229)의 저면에 보충 경화 반송 컨베이어(2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충 경화 반송 컨베이어(230)는, 표면에 보충 경화를 얹어 놓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보충 경화를 앞부분 영역을 향하여 보낸다.
경화 보충 틀(228)의 전단에는, 보충 경화 반송 컨베이어(230)에서 앞부분 영역을 향하여 보내진 보충 경화를 받아들여 저장함과 함께 1매씩 계속 내보내는 보충 경화 저장부(231)가 배치되어 있다. 이 보충 경화 저장부(231)는, 상술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나 저장 조출부(123)에 대해서 경사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반대가 됨과 함께 경화의 계속 내보내는 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반대가 되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나 저장 조출부(123)와 공통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주요 구성을 나타내면, 상부가 앞면으로부터 보아 왼쪽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가 되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입금 경화를 수수하는 회전 원반(135), 이 회전 원반(135)의 표면과의 사이에서 보충 경화를 저장하는 호퍼(13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원반(135)의 둘레면 상부영역에는,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에 의해 보충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는 보충 경화 조출구(232)가 형성되어 있다.
보충 경화 저장부(231)의 보충 경화 조출구(232)에는, 이 보충 경화 조출구 (232)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보충 경화를 1매씩 간격을 두고 상부에 보내는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는, 상술한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 및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와 기본적인 구성은 공통으로 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주요 구성을 나타내면, 돌기체(164)를 가진 받아넘김 원반(16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경화 보충 틀(228)에는, 보충 경화 저장부(231)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보충 경화를,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을 통해서 1매씩 받아들임과 함께, 뒷부분영역을 향하여 반송하는 보충용 경화 통로(234)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보충용 경화 통로(234)에는,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주는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반송하는 벨트(235)가 배열 설치되고, 이 벨트(235)는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와 동일한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벨트(235)가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의 받아넘김 원반(160)과 공통의 구동 기구에 의해서 받아넘김 원반(16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의 받아넘김 원반(160)에 의해 1매씩 분리 상태로 보내주는 보충 경화를 벨트 길이방향의 돌기 사이에 받아들여 1매씩 분리한 상태에서, 보충 경화의 반송 방향 뒤쪽에 위치하는 돌기로 보충 경화를 눌러 반송한다.
보충용 경화 통로(234)의 앞부분 영역에는, 반송하는 보충 경화를 판별하는 보충용 판별부(236)가 배치되어 있다.
보충용 경화 통로(234)에는, 100원, 10원 및 500원의 보충 경화를 금종별로 구분하는 각 보충용 금종별 구분부(237c,237b,237a)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보충 용 금종별 구분부(237b)와 보충용 금종별 구분부(237a)의 사이에 보충 리젝트 경화 구분부(238)가 설치되어 있다. 각 보충용 금종별 구분부(237c,237b,237a) 및 보충 리젝트 경화 구분부(238)는, 상술한 출금 경화 구분부(186) 및 각 금종별 구분부 (187d,187c,187b,187a)와 동일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충용 경화 통로(234)의 하부에는, 각 보충용 금종별 구분부(237c,237b, 237a)로 구분된 보충 경화를 금종별로 받아들여 비정렬 상태로 일시 보류하는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239c,239b,239a)가 배치되어 있다.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239c,239b,239a)의 저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바닥판이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이들 바닥판이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서 개폐한다.
또한, 기체(111)측에는, 보충 승인시에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 (239c,239b,239a)의 보충 경화를 수납 투출부(121c,121b,121a)로 이송하는 각 금종별의 보충용 슈트(240c,240b,240a)가 배치되어 있다. 보충용 슈트(240c,240b, 240a)는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와 함께 제1 가동 틀(218)에 지지되어 기체(111)내의 격납 위치와 기체(111) 바깥쪽의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경화 보충 틀(228)의 뒷부분에는, 보충 리젝트 경화 구분부(238)로 구분된 보충 리젝트 경화를 수납하는 리젝트 박스(241)가 경화 보충 틀(228)의 뒷부분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4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경화 입출금기에 의한 각 처리에서의 경화의 흐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입금 처리시에는, 경화 수입구(116)로부터 투입되는 입금 경화를 저장 조출부(123)에 수수하고, 이 저장 조출부(123)로부터 입금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에 계속 내보냄과 함께, 입금 경화 도출 통로(124)의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에 의해 입금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받아들여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 사이에 받아넘기고, 이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에 의해 입금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경화 통로 (125)를 따라서 반송한다.
경화 통로(125)에서 반송하는 입금 경화를 판별부(185)에 의해 판별한다. 판별의 결과, 정규(正規)로 판별된 500원, 10원, 100원, 50원의 입금 경화는, 제2 통로부(174)의 금종별 구분부(187a,187b,187c,187d)에서 금종별로 구분하여,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에 일시 보류한다. 또한, 1원이나 5원 등의 입금 대상 외 경화나 판별 불가능한 경화 등의 리젝트 경화로 판별된 입금 리젝트 경화는, 제2 통로부(174)의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서 구분하여, 미리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에서 대기하고 있던 리프트(205)의 바켓(206)에 수납한다.
투입된 입금 경화의 일시 보류 등이 완료된 후, 입금 리젝트 경화가 있을 경우에는, 리프트(205)의 바켓(206)을 출금 경화 방출 위치 H2까지 상승시켜, 바켓 (206)내의 입금 리젝트 경화를 경화 투출구(117)로 방출하여 반환한다.
그리고, 입금 승인시에는,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입금 경화로서 출금에 사용하는 500원 경화, 10원 경화, 100원 경화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에 금종별로 수납하고,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입금 경화로서 출금에 사용하지 않은 50원 경화는 금종별 회수부(223d)로 회수 수납하여, 입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입금 불승인시에는, 먼저,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입금 경화는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에 금종별로 수납하고,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d)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입금 경화는 금종별 회수부 (223d)에 회수 수납한다.
일시 보류한 입금 경화의 화폐량에 상당하는 반환해야 할 화폐량을 500원, 10원, 100원의 경화의 조합으로 반환한다. 즉, 입금 반환 해당 금종의 수납 투출부 (121a,121b,121c)로부터 1금종씩 차례대로 입금 반환 경화를 계속 내보낸다. 즉,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의 받아넘김 원반(160,160,160) 및 경화 통로 (125)의 벨트(181)를 각각 회전시킴과 함께,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회전 원반(135,135,135)을 1금종씩 차례대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1금종씩이지만,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입금 반환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에 계속 내보냄과 함께,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 (122a,122b,122c)의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에 의해 입금 반환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받아들여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 사이에 받아넘기고, 이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에 의해 입금 반환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경화 통로(125)를 따라서 반송한다.
경화 통로(125)를 반송하는 입금 반환 경화는, 판별부(185)로 판별 및 카운트한 후에, 출금 경화 구분부(186)로 구분하여, 미리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에서 대기하고 있던 리프트(205)의 바켓(206)에 수납한다.
반환해야 할 화폐량분의 입금 반환 경화를 판별부(185)에서 판별함과 함께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서 구분한 것을 검지하면, 리프트(205)의 바켓(206)을 정위치의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로부터 출금 경화 방출 위치 H2까지 상승시켜, 바켓 (206)내의 입금 반환 경화를 경화 투출구(117)로 방출하여 반환한다.
또한, 출금 처리시에는, 출금 금액에 상당하는 화폐량분을 500원, 10원, 100원의 조합으로 출금하는 것으로, 출금 해당 금종의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1금종씩 차례대로 출금 경화를 계속 내보낸다. 그 순서는 판별부(185)에 가까운 순서, 즉 수납 투출부(121c,121b,121a)의 순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다음 금종의 경화를 계속 내보냄에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처리에서는,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의 받아넘김 원반(160,160,160) 및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를 회전시킴과 함께, 출금 해당 금종의 수납 투출부(121a, 121b,121c)의 회전 원반(135,135,135)을 1금종씩 차례대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1금종씩이지만,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출금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에 계속 내보내는 동시에,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의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에 의해 출금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받아들여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 사이에 받아넘기고, 이 경화 통로(125)의 벨트(181)의 돌기부(182)에 의해 출금 경화 를 1매씩 구분 상태로 경화 통로(125)를 따라서 반송한다.
경화 통로(125)를 반송하는 출금 경화를 판별부(185)에서 판별하고, 정규의 출금 경화는,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서 구분하여, 미리 출금 경화 수수 위치 H1에서 대기하고 있던 리프트(205)의 바켓(206)에 수납하여 일시 보류한다.
판별부(185)에서 정규라고 확인되지 않았던 출금 비해당 경화인 출금 리젝트 경화는, 출금 경화 구분부(186)를 통과하여, 해당 금종의 금종별 구분부(187a, 187b,187c,187d)로 구분하여,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129c,129d)에 일시 보류한다. 출금 리젝트 경화가 확인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금종의 출금 경화를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재차 계속 내보낸다.
출금 금액에 상당하는 화폐량분의 출금 경화를 판별부(185)에서 판별함과 함께,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서 구분한 것을 검지하면, 리프트(205)의 바켓(206)을 출금 경화 방출 위치 H2까지 상승시켜, 바켓(206)내의 출금 경화를 경화 투출구 (117)로 방출하여 출금한다.
출금 리젝트 경화가 있었을 경우에는, 각 금종별 일시 보류부(129a,129b, 129c)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출금 리젝트 경화를 하부의 바닥판의 개방으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에 수납한다.
또한, 보충 처리시에는, 기체(111)내에 경화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초기 보충, 및 기체(111)내의 경화가 감소했을 때의 중간 보충이 있지만, 모두 동일한 처리가 이루어진다.
기체(111)의 뒷부분영역에 경화 보충 틀(228)을 인출하여, 보충 경화 저장 호퍼(229)에 보충 경화를 투입하고, 경화 보충 틀(228)을 기체(111)내에 격납한다. 보충 경화는, 출금에 사용하는 500원 경화, 10원 경화, 100원 경화로 한다.
보충 경화 반송 컨베이어(230)에 의해 보충 경화 저장 호퍼(229)내의 보충 경화를 보충 경화 저장부(231)에 적량씩 보내주고, 이 보충 경화 저장부(231)로부터 보충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에 계속 내보냄과 함께, 이 보충 경화 도출 통로(233)의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에 의해 보충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받아들여 보충용 경화 통로(234)의 벨트(235)의 돌기 사이에 받아넘겨, 이 보충용 경화 통로(234)의 벨트(235)의 돌기에 의해 입금 경화를 1매씩 구분 상태로 보충용 경화 통로(234)를 따라 반송한다.
보충용 경화 통로(234)를 반송하는 보충 경화를 보충용 판별부(236)에 의해 판별한다.
보충용 판별부(236)에 의한 판별의 결과, 정규라 판별된 500원, 10원, 100원의 보충 경화는, 보충용 금종별 구분부(237a,237b,237c)에서 금종별로 구분하고,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239a,239b,239c)에 일시 보류한다.
보충용 판별부(236)에 의한 판별 결과, 1원이나 5원 등의 보충 대상 외 경화나 판별 불가능 경화 등의 리젝트 경화로 판별된 보충 리젝트 경화는, 보충 리젝트 경화 구분부(238)에서 구분하여, 리젝트 박스(241)에 수납한다. 보충 경화 수납 지령에 의해,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239a,239b,239c)에 일시 보류하고 있던 500원, 10원, 100원의 보충 경화를, 바닥판(도시하지 않음)의 개방으로 각 보충용 금종별 일시 보류부(239a,239b,239c)로부터 방출하여 보충용 슈트(240a,240b,240c) 를 통해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에 수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경화 입출금기에서는, 수납 투출부(121a,121b, 121c)를 회전 원반(135)과 호퍼(136)로 구성하므로, 금종별 수납통과 같이 경화를 정렬하여 겹쳐 쌓아서 수납할 필요가 없고, 비정렬 상태로 경화를 수납할 수 있어 경화의 수납을 하기 쉬우므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경화를 1매씩 각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122b,122c)로부터 경화 통로(125)에 신속히 보낼 수 있는 동시에 판별할 수 있고, 출금 해당 경화로 판단된 출금 경화만을 경화 투출구(117)에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다. 게다가 입금 경화를 출금 경화에 사용할 수 있지만, 입금 경화를 일시 보류한 후,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 보내는 경우에 경화를 정렬하여 겹쳐 쌓아서 수납시킬 필요가 없고, 비정렬 상태로 경화를 수납할 수 있어, 경화를 수납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기체(111)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각 구성의 배치에 의해, 예를 들면 고객과 계원과의 양쪽 모두가 조작하기 쉬운 매우 적합한 배치의 경화 입출금기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송부(127)에서는, 출금 해당 경화를 바켓(206)에 의해서 경화 투출구(117)로 신속하게 송출할 수 있어, 벨트에 의한 반송에 비해 경화 잔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경화 통로(125)를 제1 통로부(172), 되돌림 통로부(173) 및, 제2 통로부(174)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 통로부(172,174)에 따른 방향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통로부(172) 말단으로부터 제2 통로부(174) 시단까지의 사이에 설치된 출금 경화 구분부(186)에 의해서 출금 해당 경화만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제2 통로부(174)에 대해 출금 비해당 경화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수납 투출부(121a)로부터 경화 통로 (125)에의 경화의 인출 분리 반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에 의해, 수납 투출부 (121a)의 하부영역에서 경화면 유지부(144)에 배면이 유지되는 경화(C1)를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서 1매 유지하여 회전 원반 (135)의 상부영역으로 주워올려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 보낸다.
이 때,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 복수매의 경화가 브리지 형상으로 겹쳐 주워 올리려고 해도,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 (143)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는 1매의 경화만이 유지되어 브리지 형상으로 겹쳐진 경화는 낙하한다. 특히, 원둘레 방향의 복수의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 (143) 사이에는 활락부(15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브리지 형상으로 겹쳐진 경화가 활락부(150)를 통해서 빠른 시점에 확실하게 낙하한다. 그 때문에,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 1매의 경화만을 유지하여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 보낼 수 있어, 출금 경화 조출구(137) 근방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 경화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원반(135)의 상부영역으로 주워올려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 이송되는 경화(C2)를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로부터 경화 가이드 부재(152)로 받아들이고, 이 경화 가이드 부재(152)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 경화를 1매 유지하 여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회전 원반(135)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의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를 향하여 계속 내보낸다.
이 때,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154)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다층 상태로 이송되는 경화를 경화면 유지부(144)에 접하는 경화만의 1층으로 하여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에 보냄과 함께 나머지 경화를 미끄러져 떨어뜨리므로,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에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로 반송할 수 있고, 출금 경화 조출구(137) 부근에서 경화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 규제 가이드부(154)로부터 미끄러져 떨어뜨린 경화를 수납 투출부(121)에 수수(收受)하므로, 미끄러져 떨어뜨린 경화도 계속 내보낼 수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에 계속 내보내는 경화(C3)를, 주워올림부재(145)로부터 이어받은 주워올림부재(148)에 의해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사이에 유지하여 계속 내보낸다. 그리고, 주워올림부재(148)에 의해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사이에 유지하여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로 계속 내보내는 경화(C4)를,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에 받아 넘긴다.
이때, 회전 원반(13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경화를 계속 내보내는 출금 경화 조출구(137)에 도달하는 영역, 혹은 출금 경화 조출구(137)의 근방영역 등에서, 경화 가이드 부재(152)와 주워올림부재(145)의 사이에 경화의 브리지가 발생해도, 경화 무너뜨림 겸용의 주워올림부재(148)에 의해 경화의 브리지를 무너뜨릴 수 있어, 경화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는,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사이에 정체하는 경화를 맞물려 넣어도 스프링 힘에 저항하여 회전면부(162)내로 매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경화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로 계속 내보내진 경화(C5)를,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로 누르면서 대략 U자형의 출금 경화 도출 통로(122a)를 따라 반송하여, 경화(C5)의 반송 방향을 왼쪽방향으로부터 위쪽을 통해서 오른쪽방향으로 향하게 하도록 방향 변환한다.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로 누르면서 경화 통로(125)의 시단영역으로 반송한 경화(C6)는, 통로면(159)과 벨트(181)의 사이에서, 또한 벨트(181)의 길이방향의 돌기부(182) 사이로 들어간다.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는 경화 통로(125)의 시단영역에 경화(C7)를 반송한 후에, 그 경화(C7)로부터 이반(離反)하여 다음에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를 받아들여 나간다.
받아넘김 원반(160)의 돌기체(164)가 이반한 경화(C8)에 벨트(181)의 돌기부 (182)가 닿아, 이 돌기부(182)로 경화(C8)를 누르면서 경화 통로(125)를 따라서 반송한다.
이와 같이, 회전 원반(135)의 표면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와 경화면 유지부(144)와 주워올림부재(145)로 경화 1매를 유지하여 회전 원반(135)의 상부영역으로 주워 올리는 동시에, 회전 원반(135)의 상부영역에서 주워올림부재 (145)와의 사이에서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로부터 경화 가이드 부재(152)에 받아들인 경화를 출금 경화 조출구(137)로부터 회전 원반(135)의 둘레가장자리 바깥쪽으로 계속 내보내므로, 경화를 계속 내보내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돌기체(164)를 가진 받아넘김 원반(160)에 의해, 출금 경화 조출구 (137)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경화를 1매씩 분리 상태에서 후단을 향하여 반송하므로, 경화를 확실하게 후단의 경화 통로(125)로 보낼 수 있다.
한편, 수납 투출부(121a)에 한정하지 않고, 수납 투출부(121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다른 수납 투출부(121b,121c), 저장 조출부(123) 및 보충 경화 저장부 (231)에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도 28에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는 주워올림부재의 다른 예이며, 회전 원반(135)에는, 경화면 유지부(144)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인 회전축(134)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 r2로부터 제3 소정 반경영역 r3의 범위에, 반경 방향으로 1개로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에 최소 경화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돌출하는 돌기부(280)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돌기부(280)에, 주워올림부재(145)와 경화 무너뜨림 겸용의 주워올림부재(148) 양쪽 모두의 기능을 일체로 갖게 하고 있다.
이 돌기부(280)에 대응하여,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홈부(153)도 지름 방향으로 1개 형성된다. 이 홈부(153)와 회전 원반(135)의 경화면 유지부(144)와의 간격 t는, 홈부(153)에 경화가 들어가지 않도록, 처리하는 최소 경화 두께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된다.
다음에, 도 29에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도 주워올림부재의 다른 예이며, 회전 원반(135)에는, 경화면 유지부(144)에 있어서의 회전축선인 회전축(134)으로부터의 제2 소정 반경영역 r2로부터 제3 소정 반경영역 r3의 범위에, 반경 방향으로 3개로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81)가 원둘레 방향으로 소정피치로 고정 배치되어 있다. 이들 반경 방향으로 3개의 돌기부(281)에, 주워올림부재(145)와 경화 무너뜨림 겸용의 주워올림부재(148) 양쪽 모두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이 돌기부(281)에 대응하여, 경화 가이드 부재(152)의 홈부(153)도 지름 방향으로 3개 형성된다. 이들 홈부(153)의 폭은 좁고, 홈부(153)에 경화가 들어가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돌기부(281)는 반경 방향으로 3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도 30에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회전 원반(135)에는 각 주워올림부재 145 및 각 주워올림부재 148이 배부측으로부터 표면쪽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부(283)가 형성되고, 회전 원반 (135)의 배면측에는 각 주워올림부재 145 및 각 주워올림부재 148을 지지하여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에 돌출하는 판 스프링(284)이 배치되어 있다.
회전 원반(135)의 정회전시에, 경화와 닿는 주워올림부재 145나 주워올림부재 148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판 스프링(284)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주워올림부재 145나 주워올림부재 148이 회전 원반(135)의 배면측으로 퇴피할 수 있기 때문에, 경화의 막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1에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회전 원반(135)의 표면쪽은 경화면 유지부(144)와 면일치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는 회전 원반(135)의 앞면쪽에 돌출하는 경화면 유지 돌기(286)로 형성되며, 활락부(150)는 원둘레 방향의 경화면유지 돌기 (28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화 출금구인 경화 투출구(117)은, 경화 수입구(116)와 따로 따로 구성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경화 수입구(116)를 함께 구성해도 좋다.
또한, 회수부(130)는, 금종별 회수에 한정하지 않고, 일괄 회수해도 좋다.
또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 저장 조출부(123) 및 보충 경화 저장부 (231)에 관하여, 회전 원반(135)은, 회전축(134)을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 중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회전축(134)을 갖지 않는 경우는, 회전 원반(135)의 둘레가장자리에 회전 원반(135)의 위치 결정 겸 자세 유지용 복수의 롤러와 회전 원반 (135)의 회전용 구동 롤러를 설치한다.
회전 원반(135)에는, 활락부(150)를 형성하지 않고, 경화 둘레가장자리 유지부(143)를 원둘레 방향의 전역에 형성해도 좋다.
수납 투출부(121a,121b,121c) 및 저장 조출부(123)의 호퍼(136)의 개폐 가능한 가동 호퍼부(139)는, 호퍼(136)의 하부영역의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호퍼(136)의 전역의 경우라도 좋다.
한편, 공통의 구동 기구에 의해 받아넘김 원반(160,160,160,160)을 구동하고 있지만, 각 받아넘김 원반(160,160,160,160)을 독립의 구동 기구로 구동하여도 좋 다. 또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회전 원반(135,135,135)을 1개의 구동 기구로 구동하고, 이 구동 기구와 회전 원반(135,135,135)의 사이에 구동 전달용 전기적 클러치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회전 원반(135,135,135)의 구조, 및 각 받아넘김 원반(160,160,160)의 구조는 치수가 완전히 동일하므로, 수납 투출부(121a,121b,121c)의 금종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처리 시장에 따라 입출금 처리량이 많은 금종을 경화 통로(125)의 하류측, 즉 판별부(185)에 가까운 위치로 하여, 판별부(185)에 가까운 금종의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로부터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이 경화 처리상, 효율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납 투출부(121a,121b,121c)를 금종별 치수에 맞춘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점포에 있어서는 레지,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창구나 금융점포 내외에 설치되는 ATM(Automatic Tellers Machine;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에 이용된다.

Claims (11)

  1. 기체 외부로부터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수입구와,
    상기 기체외에 경화를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와,
    상기 경화 수입구에 받아들인 경화 및 상기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는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부가 배면 방향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회전 가능한 회전 원반, 이 회전 원반의 표면쪽에 경화를 수납하는 호퍼, 및 회전 원반의 둘레면 상부영역으로부터 상기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송출하는 경화 출구를 가지며, 상기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받아 들여 비정렬 상태로 수납함과 함께, 이 수납한 경화를 상기 경화 출구로부터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2. 기체 외부로부터 경화를 받아들이는 경화 수입구와,
    상기 기체 외부로 경화를 투출하는 경화 투출구와,
    상기 경화 수입구에 받아들인 경화 및 상기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는 경화를 1매씩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이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반송수단에 대해서 경화를 출납하는 경화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상기 판별부에서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받아 들여 비정렬 상태로 수납함과 함께, 이 수납한 경화를 상기 경화 출입구로부터 1매씩 투출하는 수납 투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를 수수(收受) 및 저장하고, 이 저장한 경화를 반송수단에 대해서 1매씩 계속 내보내는 저장 조출부(繰出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경화를 일시 보류하는 일시 보류부와,
    경화 수입구에 기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경화중 판별부에서 정상 경화로 판별한 경화를 입금 승인 확인까지 상기 일시 보류부에 일시 보류시킴과 함께, 입금 승인 확인후에 상기 일시 보류부로부터 보류 경화를 계속 내보내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저장 조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수납 투출부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계속 내보내어 경화 투출구로 투출하는 경우에는 반송수단을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제2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서 반송수단으로 반송하는 경화를 수납 투출부에 대해서 나누는 나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7. 제 5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기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설치되는 제1 통로부와, 이 제1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을 향하여 되돌아오는 되돌림 통로부와, 이 되돌림 통로부의 말단으로부터 기체의 한쪽을 향함과 함께, 그 말단이 경화 투출구를 향해서 설치되는 제2 통로부를 구비하고,
    판별부는, 상기 제1 통로부에 설치되고,
    수납 투출부는, 복수 구비함과 함께, 상기 반송수단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상기 판별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상기 제1 통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수납 투출부는, 제2 통로부에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판별부는, 제1 통로부에 설치되고,
    반송수단을 제1 방향으로 구동시켰을 때의 상기 판별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에, 상기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의해서 정상 경화로 판별되지 않은 경화를 나누는 리젝트 나눔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송수단은, 둥근 형상의 경화 통로와, 이 경화 통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경화 통로내의 경화를 1매씩 눌러 움직여 반송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가진 무단형상의 반송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경화의 종류마다의 매수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판별부를 통해서 반송수단으로 서로 경화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장 조출부와 수납 투출부에서, 이 수납 투출부로부터 경화를 1매씩 계속 내보내며, 계속 내보내진 경화를 판별부로 판별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고, 판별한 경화를 저장 조출부에 수납하고, 수납 투출부내의 모든 경화가 저장 조출부로 이동한 후, 저장 조출부내의 모든 경화를 1매씩 순서대로 계속 내보내어 원래의 수납 투출부에 수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납 투출부내에 수납되어 있던 경화 매수를 정밀 조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 입출금기.
KR1020087006453A 2005-09-21 2006-09-11 경화 입출금기 KR20080045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73657 2005-09-21
JP2005273657 2005-09-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712A true KR20080045712A (ko) 2008-05-23

Family

ID=3788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453A KR20080045712A (ko) 2005-09-21 2006-09-11 경화 입출금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0336B2 (ko)
EP (1) EP1927955B1 (ko)
JP (1) JP4988580B2 (ko)
KR (1) KR20080045712A (ko)
CN (1) CN101268496B (ko)
WO (1) WO2007034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0336B2 (en) 2005-09-21 2012-07-03 Glory Ltd.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4960690B2 (ja) 2006-12-08 2012-06-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CN101925933B (zh) 2008-01-28 2013-03-20 光荣株式会社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WO2009125482A1 (ja) * 2008-04-10 2009-10-1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274549B2 (ja) * 2008-04-24 2013-08-2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WO2010010614A1 (ja) * 2008-07-23 2010-01-2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機
JP5616026B2 (ja) * 2009-02-03 2014-10-2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5414393B2 (ja) * 2009-07-03 2014-02-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441256B2 (ja) 2009-12-28 2014-03-12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2012174039A (ja) * 2011-02-22 2012-09-10 Glory Ltd 硬貨入出金機
EP3252721B1 (en) 2011-02-22 2021-09-01 Glory Ltd. Coin feeding apparatus
JP5775776B2 (ja) * 2011-09-28 2015-09-0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硬貨入出金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DE102011001870A1 (de) 2011-04-07 2012-10-1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Münzen
JP6147550B2 (ja) * 2012-09-10 2017-06-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繰出装置、硬貨処理機および硬貨繰出方法
JP6241224B2 (ja) * 2013-11-22 2017-12-06 レシ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硬貨識別装置
EP3239937A4 (en) * 2014-12-22 2018-10-24 Nippon Conlux Co., Ltd. Coin payout device
JP2015109113A (ja) * 2015-03-10 2015-06-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2018198008A (ja) * 2017-05-24 2018-12-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ZA201904689B (en) * 2018-07-30 2020-05-27 Cima Machine for depositing and dispensing coins
SG10201808711XA (en) * 2018-10-02 2020-05-28 Genting International Gaming & Resort Tech Pte Ltd Chip processing self-service kiosk
JP7214509B2 (ja) * 2019-03-06 2023-01-30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コイン搬送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イン処理装置
JP2020160858A (ja) * 2019-03-27 2020-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11270545B2 (en) * 2019-12-17 2022-03-08 International Currency Technologies Corporation Coin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8537A (en) * 1971-06-23 1972-10-17 Westermann Werner F Coin sorting and conveying apparatus
JPS58190766A (ja) 1982-04-20 1983-11-07 Regie Natl Usines Renault 自動車用タコメ−タの表示装置
JPS58190766U (ja) 1982-06-15 1983-12-19 オムロン株式会社 自動販売機等の硬貨処理装置
JPS599787A (ja) * 1982-07-09 1984-01-19 株式会社湊製作所 硬貨自動入出金機
US4558711A (en) * 1983-07-08 1985-12-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oin processing apparatus
JPS60163193A (ja) * 1984-02-03 1985-08-26 ロ−レルパンクマシン株式会社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557270B2 (ja) * 1990-03-14 1996-11-2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硬貨導入装置
JP2945235B2 (ja) * 1993-03-19 1999-09-0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2838641B2 (ja) * 1993-12-17 1998-12-1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処理機の受け入れ不能硬貨除去装置
JPH10228556A (ja) * 1997-02-17 1998-08-25 Glory Ltd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金処理機の残留硬貨類搬送装置
JP3708373B2 (ja) * 1999-07-29 2005-10-19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JP2002260067A (ja) 2001-02-28 2002-09-13 Glory Ltd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出金機
JP3550370B2 (ja) * 2001-03-05 2004-08-04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硬貨釣銭機
US7066807B2 (en) * 2002-03-12 2006-06-27 Asahi Seiko Co., Ltd. Compact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4336519B2 (ja) * 2003-05-14 2009-09-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4346961B2 (ja) * 2003-05-30 2009-10-21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入出金機
US7255639B2 (en) * 2004-07-15 2007-08-14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Coin delivery device and separator device for a coin processing apparatus
JP4665087B2 (ja) * 2005-01-05 2011-04-06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入出金装置
US8210336B2 (en) 2005-09-21 2012-07-03 Glory Ltd.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7955A4 (en) 2010-08-18
US8210336B2 (en) 2012-07-03
CN101268496A (zh) 2008-09-17
JPWO2007034699A1 (ja) 2009-03-19
CN101268496B (zh) 2011-02-09
EP1927955B1 (en) 2013-03-20
WO2007034699A1 (ja) 2007-03-29
EP1927955A1 (en) 2008-06-04
JP4988580B2 (ja) 2012-08-01
US20090047888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712A (ko) 경화 입출금기
JPH0472277B2 (ko)
US8261904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20070090015A (ko) 동전 입출금기
EP2131334A1 (en) Coin handling method and coin handling device
JP4988748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3813474B2 (ja) 硬貨入出金機
JP3973861B2 (ja) 硬貨入出金機
JP2006185237A (ja) 硬貨入出金機
JP3499702B2 (ja) 硬貨入出金機
JPS626396A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2702903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保留機構
JP3664948B2 (ja) 硬貨処理機
WO2009125482A1 (ja) 硬貨処理装置
JPH10228556A (ja) 硬貨搬送装置および硬貨入金処理機の残留硬貨類搬送装置
JP3214841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3862974B2 (ja) 硬貨入出金機
JP4017845B2 (ja) 硬貨入出金機
JP4585887B2 (ja) 硬貨入出金機
JP3867753B2 (ja) 硬貨処理装置
JP3877938B2 (ja) 硬貨処理機
JP3774289B2 (ja) 硬貨入出金機
JPH021647Y2 (ko)
JPH0337090Y2 (ko)
JPH11353522A (ja) 硬貨入出金機の硬貨入出金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