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849A -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착색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착색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849A
KR20080013849A KR1020077020262A KR20077020262A KR20080013849A KR 20080013849 A KR20080013849 A KR 20080013849A KR 1020077020262 A KR1020077020262 A KR 1020077020262A KR 20077020262 A KR20077020262 A KR 20077020262A KR 20080013849 A KR20080013849 A KR 2008001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epoxy
group
compoun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7223B1 (ko
Inventor
노조미 나와
야스유키 데마치
아즈미 사토
히로미츠 이토
요시에 마카베
나오미 사토
나오키 마에다
카즈유키 후치가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2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9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followed by a further chemical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 C08G59/429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together with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염기산(B)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C), 이어서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을 에스테르화시켜서 얻은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더욱 색재(E) 및 광중합개시제(F)를 함유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Figure 112007064395042-PCT00023
(식 중, Cy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원자,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혹은 할로겐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Y 및 Z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n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p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r는 0~4의 수를 나타낸다.)
착색알칼리, 조성물, 밀착성, 내알칼리성, 에폭시수지

Description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COLORED ALKALI-DEVELOPABLE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OLOR FILTERS MADE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모니터,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발광소자패널, 비디오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컬러필터의 작성에 호적하게 사용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성 불포화결합을 가지는 특정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색재, 및 광중합개시제를 함유시킨 것이다. 이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혹은 전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중합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광경화성 잉크, 감광성 인쇄판, 프린트배선판, 각종 포토레지스트 등에 이용되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나 고기능화의 진전에 수반해, 미세패턴을 정밀도 좋게 형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및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하고, 하기 문헌 1에는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 형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폴리카르본산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알칼리 가용성 불포화수지 및 상기 수지를 함유하는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공지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가 충분하지 않고, 이들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는 적절한 패턴형상이나 미세패턴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투명성, 밀착성, 내알칼리성에 매우 뛰어나며, 미세패턴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 3148429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공개 평2003-107702호 공보
특허문헌 3: 특허공개 평2003-89716호 공보
해결하자고 하는 문제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밀착성 및 내알칼리성을 보유한 채, 감도가 충분하며, 적절한 패턴형상이나 미세패턴을 얻을 수 있는 착색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지금까지 없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도, 해상도, 밀착성, 내알칼리성 등에 뛰어나며, 미세패턴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착색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나타내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염기산(B)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C), 계속해서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을 에스테르화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나아가 색재(E) 및 광중합개시제(F)를 함유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1
(식 중, Cy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원자,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혹은 할로겐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Y 및 Z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n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p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r는 0~4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에 있어서, 해당 복수색의 화소패턴 중 적어도 1색 이,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 및 블랙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에 있어서, 해당 블랙매트릭스가,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테에 기초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염기산(B)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C), 계속해서 다관능에폭시부가물(D)을 에스테르화시켜 얻은 반응생성물을 함유하고, 더욱 색재(E) 및 광중합개시제(F)를 포함한다.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에폭시수지(A)에, 상기 불포화-염기산(B)을, 상기 에폭시수지(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염기산(B)의 카르복실기가 0.1~1.0개, 특히 0.4~1.0개가 되는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상기 다염기산무수물(C)은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C)의 산무수물 구조가 0.1~1.0개, 특히 0.4~1.0개가 되는 비율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관능에폭시화합 물(D)은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의 에폭시기가 0.1~1.0개, 특히 0.4~1.0개가 되는 비율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 중, Cy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시클로노닐, 시클로데실 등을 들 수 있다.
X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Cy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X로 나타내는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치환해도 좋은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및 할로겐원자로서는 각각 Y 및 Z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뒤에 예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Y 및 Z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제2부틸, 제3부틸, 아밀, 이소아밀, 제3아밀, 헥실, 헵틸, 옥틸, 이소옥틸, 제3옥틸, 2-에틸헥실, 노닐, 이소노닐, 데실, 이소데실 등을 들 수 있다. Y 및 Z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부틸옥시, 제2부톡시, 제3부톡시, 펜톡시, 헥실옥시, 헵톡시, 옥틸옥시, 2-에틸-헥실옥시 등을 들 수 있다. Y 및 Z로 나타내는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로서는 비닐, 알릴, 부테닐, 프로페닐 등을 들 수 있고, Y 및 Z로 나타내는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취소, 옥소를 들 수 있다.
또한 X로 나타내는 페닐기 및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치환해도 좋은 상기의 알킬기 및 알콕시기, 및 Y 및 Z로 나타내는 상기의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할로겐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취소, 옥소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불소원자로 치환된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로서는 모노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에틸, 퍼플루오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그 조제에 이용되는 상기 에폭시수지(A)가 트리아릴모노시클로알킬메탄 골격을 가짐으로써, 경화물의 기재에의 밀착성, 내알칼리성, 가공성, 강도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경화부를 현상 제거할 때에, 미세패턴이여도 선명한 화상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에폭시수지(A)로서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Cy가 시클로헥실인 것; X가 페닐기인 것; p 및 r이 0인 것; n이 0~5, 특히 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에폭시수지(A)의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No.1~No.9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화합물에 의해 하등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2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3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4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5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6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7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8
Figure 112007064395042-PCT00009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0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A)성분에 (B)성분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C)성분, 이어서 (D)성분을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반응생성물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1]의 반응식으로 표현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우선, (A)성분인 에폭시수지(1)에, (B)성분인 불포화-염기산(2)을 부가시켜서, 에폭시부가물인 화합물(3)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A)성분에의 (B)성분의 부가 반응은 상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에폭시부가물인 화합물(3)에, (C)성분인 다염기산무수물(4)을 반응시켜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하고, 에스테르 화합물인 화합물(5)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에폭시부가물과 (C)성분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상법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에스테르 화합물인 화합물(5)에, 더욱 (D)성분의 다관능에폭시화합물인 디에폭시화합물(6)을 반응시켜서, 목적의 반응생성물인 화합물(7)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과 (D)성분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1
상기 [화학식 11] 중의 화합물(7)의 구조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에폭시부가물에 (C)성분을 에스테르화시켜서 얻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과 (D)성분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상기 에스테르 화합물 중의 (C)성분 유래의 카르복실기와, (D)성분인 다관능에폭시화합물의 에폭시기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C)성분 유래의 카르복실기과, (D)성분인 다관능에폭시화합물의 에폭시기와의 사이에서 반응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C)성분 및 (D)성분의 사용량은 상기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한 다염기산무수물의 산무수물 구조의 수와, 상기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한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의 에폭시기의 수와의 합이, 1.0개보다 커지는 양, 특히 1.1~2.0개가 되는 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1]에 나타낸 에폭시부가물인 화합물(3)을 얻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화합물(3)에 있어서의 n이 0의 경우, 하기 [화학식 12]의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페놀(8)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9)를 포함하는 모노에폭시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에 따라서 화합물(3)을 얻을 수도 있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2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불포화-염기산(B)은 상기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계피산, 소르빈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말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말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말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말레이트, 디시클로펜타디엔·말레이트 혹은 1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1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1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면 1분자 중에 1개의 히드록실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와 이염기산무수물 또는 카르본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1개의 카르복실기와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하기 화합물 No.10~14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3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4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5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6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7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다염기산무수물(C)은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의 산가를 증대시켜서 패턴형상, 현상성 및 현상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며, 예를 들면, 석신산무수물, 마레인산무수물, 트리멜리트산무수물, 피로멜리트산무수물, 2,2'-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무수물, 에틸렌글리콜비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글리세롤트리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히드로무수프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나딕산무수물, 메틸나딕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릴)-3-메틸-3-시클로헥센-1,2-디카르본산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무수마레인산부가물, 도데세닐무수석신산, 무수메틸하이믹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석신산무수물, 트리멜리산무수물,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이 바람 직하다.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은 상기 광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의 분자량을 증대시켜서 현상속도를 조정하는데에 이용되며, 예를 들면, 다가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다염기산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시클로헥센환 혹은 시클로펜텐환 함유 화합물을 산화제로 에폭시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시클로헥센옥시드 혹은 시클로펜텐옥시드 함유 화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즉,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B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C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E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M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P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S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Z형 에폭시수지 등의 알킬리덴비스페놀폴리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수지; 상기 알킬리덴비스페놀폴리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수지를 수첨하여 얻어지는 수첨비스페놀형 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3-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2-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8-옥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10-데칸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2,2-디메틸-1,3-프로판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헥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프로판,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에탄, 1,1,1-트리(글리시딜옥시메틸)메탄, 1,1,1,1-테트라(글리시딜옥시메틸)메탄,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 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지방족다가알코올의 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롤프로판,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코올에 2종 이상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페놀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비페닐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비스페놀A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화합물; 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3-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5-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1-에폭시에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이소프로필리덴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디시클로펜타디엔디에폭시드,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레이트), 1,2-에폭시-2-에폭시에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에폭시화합물; 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프탈산디글리시딜에테르, 다이머산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2염기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테트라글리시딜디아미노디페닐메탄, 트리글리시딜P-아미노페놀, N,N-디글리시딜아닐린 등의 글리시딜아민류; 1,3-디글리시딜-5, 5-디메틸히단토인,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복소환식 에폭시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등의 디옥시드화합물; 나프탈렌형 에폭시화합물, 트리페닐메탄형 에폭시화합물,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에폭시화합물로서는 시판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BREN-S, EPPN-201, EPPN-501N, EOCN-1020, GAN, GOT(Nippon Kayaku사 제품), Adeka Resin EP-4000, Adeka Resin EP-4003S, Adeka Resin EP-4080, Adeka Resin EP-4085, Adeka Resin EP-4088, Adeka Resin EP-4100, Adeka Resin EP-4900, Adeka Resin ED-505, Adeka Resin ED-506, Adeka Resin KRM-2110, Adeka Resin KRM-2199, Adeka Resin KRM-2720(Adeka사 제품), R-508, R-531, R-710(Mitsui Chemicals사 제품), Epicoat 190P, Epicoat 191P, Epicoat 604, Epicoat 801, Epicoat 828, Epicoat 871, Epicoat 872, Epicoat 1031, Epicoat RXE15, Epicoat YX-4000, Epicoat YDE-205, Epicoat YDE-305(Japan Epoxy Resins사 제품), Sumiepoxy ELM-120, Sumiepoxy ELM-434(Sumitomo Chemical사 제품), Denacoal EM-150, Denacoal EX-201, Denacoal EX-211, Denacoal EX-212, Denacoal EX-313, Denacoal EX-314, Denacoal EX-322, Denacoal EX-411, Denacoal EX-421, Denacoal EX-512, Denacoal EX-521, Denacoal EX-614, Denacoal EX-711, Denacoal EX-721, Denacoal EX-731, Denacoal EX-811, Denacoal EX-821, Denacoal EX-850, Denacoal EX-851, Denacoal EX-911, (Nagase chemteX사 제품), Epolite 70P, Epolite 200P, Epolite 400P, Epolite 40E, Epolite 100E, Epolite 200E, Epolite 400E, Epolite 80MF, Epolite 100MF, Epolite 1500NP, Epolite 1600, Epolite 3002, Epolite 4000, Epolite FR-1500, Epolite M-1230, Epolite EHDG-L(Kyoeisha Chemical사 제품), SB-20(Okamura Oil Mill사 제품), Epicron 720(Dainippon Ink and Chemicals사 제품), UVR-6100, UVR-6105, UVR-6110, UVR-6200, UVR-6228(Union Carbide사 제품), Celoxide 2000, Celoxide 2021, Celoxide 2021P, Celoxide 2081, Celoxide 2083, Celoxide 2085, Celoxide 3000, Cycomer A200, Cycomer MlOO, Cycomer MlOl, Epolead GT-301, Epolead GT-302, Epolead 401, Epolead 403, Epolead HD300, EHPE-3150, ETHB, Epoblend(Daicel Chemical Industries사 제품), PY-306, 0163, DY-022(Ch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품), Suntohto STOOOO, Epotohto YD-011, Epotohto YD-115, Epotohto YD-127, Epotohto YD-134, Epotohto YD-172, Epotohto YD-6020, Epotohto YD-716, Epotohto YD-7011R, Epotohto YD-901, Epotohto YDPN-638, Epotohto YH-300, Neotohto PG-202, Neotohto PG-207(Tohto Kasei사 제품), Blenmer G(NOF사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반응생성물에는 더욱 에폭시화합물(G)을 반응시켜도 좋다. 상기 에폭시부가물(G)은 산가를 조제해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현상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폭시화합물(G)로서는 단관능의 것이 이용되며, 그 구체예로서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에테르, 에틸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이소프로필글리시딜에테르, 부틸글리시딜에테르, 이소부틸글리시딜에테르, t-부틸글리시딜에테르, 펜틸글리시딜에테르, 헥실 글리시딜에테르, 헵틸글리시딜에테르, 옥틸글리시딜에테르, 노닐글리시딜에테르, 데실글리시딜에테르, 운데실글리시딜에테르, 도데실글리시딜에테르, 트리데실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데실글리시딜에테르, 펜타데실글리시딜에테르, 헥사데실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프로파르길글리시딜에테 르, 2-메톡시에틸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p-메톡시페닐글리시딜에테르, p-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크레질글리시딜에테르, 2-메틸크레질글리시딜에테르, 4-노닐페닐글리시딜에테르, 벤질글리시딜에테르, p-쿠밀페닐글리시딜에테르, 트리틸글리시딜에테르, 2, 3-에폭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아마인유, 글리시딜부틸레이트, 비닐시클로헥산모노옥시드,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 스티렌옥시드, 피넨옥시드, 메틸스티렌옥시드, 시클로헥센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하기 화합물 No.15, No.16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의 산가가 20~120mgKOH/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폭시화합물(G)의 사용량은 상기 산가를 만족시키게끔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8
Figure 112007064395042-PCT00019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 상기의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용매를 첨가한 용액상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이용된다.
상기 용매로서는 통상 상기의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메틸아밀케톤, 디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1,2-디메톡시에탄, 1,2-디에톡시에탄,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계 용매; 초산메틸, 초산에틸, 초산-n-프로필, 초산이소프로필, 초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계 용매; 메탄올, 에탄올, 이소-또는 n-프로판올, 이소-또는 n-부탄올, 아밀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BTX계 용매; 헥산, 헵탄, 옥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탄화수소계 용매; 페르핀유, D-리모넨, 피넨 등의 테르펜계 탄화수소유; 미네랄스피릿, Swazole #310(Cosmo Matsuyama Oil사), Solvesso #100(Exxon Chemical사) 등의 파라핀계 용매;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방향족탄화수소계 용매; 카르비톨계 용매, 아닐린,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초산, 아세토니트릴, 이황화탄소, 테트라히드로푸란,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케톤류 혹은 셀로솔브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함유량은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차지하는 전고형분 농도가 5~40질량%, 특히 15~30질량%가 되게끔 조정하면 좋다.
상기 용매는 (A)성분에 (B)성분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해, (C)성분, 이어서 (D)성분으로 에스테르화시켜,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 (G)성분을 반응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용액상 조성물 중, 1~70중량%, 특히 3~30중량%가 되는 양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색재(E)로서는 안료 및 염료를 들 수 있다. 어느 것을 첨가할지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고, 안료 및 염료의 어느 일방을 이용해도, 혹은 양방을 병용해도 좋다. 안료 및 염료는 각각 특히 안료분산법 및 염색법에 의해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복수의 안료를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 유기안료의 구체예를 컬러인덱스(C.I.) 번호로 나타낸다.
·Pigment Blue:
<C.I>1, 1:2, 1:x, 9:x, 15, 15:1, 15:2, 15:3, 15:4, 15:5, 15:6, 16, 24, 24:x, 56, 60, 61, 62
·Pigment Green:
<C.I> 1, 1:x, 2, 2:x, 4, 7, 10, 36
·Pigment Orange
<C.I> 2, 5, 13, 16, 17:1, 31, 34, 36, 38, 43, 46, 48, 49, 51, 52, 59, 6
0, 61, 62,64
·Pigment Red
<C.I> 1, 2, 3, 4, 5, 6, 7, 9, 10, 14, 17, 22, 23, 31, 38, 41, 48:1, 48:2, 48:3, 48:4, 49, 49:1, 49:2, 52:1, 52:2, 53:1, 57:1, 60:1, 63:1, 66, 67, 81:1, 81:3, 81:x, 83, 88, 90, 112, 119, 122, 123, 144, 146, 149, 166, 168, 169, 170, 171, 172, 175, 176, 177, 178, 179, 184, 185, 187, 188, 190, 200, 202, 206, 207, 208, 209, 210, 216, 224, 226
·Pigment Violet:
<C.I> 1, 1:Ⅹ , 3, 3:3, 3:Ⅹ , 5:1, 19, 23, 27, 32, 42
·Pigment Yellow
<C.I> 1, 3, 12, 13, 14, 16, 17, 24, 55, 60, 65, 73, 74, 81, 83, 93, 95,
97, 98, 100, 101, 104, 106, 108, 109, 110, 113, 114, 116, 117, 119, 120, 126, 127, 128, 129, 138, 139, 150, 151, 152, 153, 154, 156, 175
또 흑색안료로서는 Mitsubishi Chemical사 제품의 카본블랙 #2400, #2350, #2300, #2200, #1000, #980, #970, #960, #950, #900, #850, MCF88, #650, MA600, MA7, MA8, MAll, MAlOO, MA220, IL30B, IL31B, IL7B, ILllB, IL52B, #4000, #4010, #55, #52, #50, #47, #45, #44, #40, #33, #32, #30, #20, #10, #5, CF9, #3050, #3150, #3250, #3750, #3950, Diablack A, Diablack N220M, Diablack N234, Diablack I, Diablack LI, Diablack LH, Diablack N339, Diablack SH, Diablack SHA, Diablack LH, Diablack H, Diablack HA, Diablack SF, Diablack N550M, Diablack E, Diablack G, Diablack R, Diablack N760M, Diablack LR, Cancarb사 제품의 카본블랙 Thermax N990, N991, N907, N908, N990, N991, N908, Asahi Carbon 사 제품의 카본블랙 Asahi #80, Asahi #70, Asahi #70L, Asahi F-200, Asahi #66, Asahi #66U, Asahi #50, Asahi #35, Asahi #15, AsahiThermal, Deggusa AG사 제품의 카본블랙 ColorBlack Fw200, ColorBlack Fw2, ColorBlack Fw2V, ColorBlack Fw1, ColorBlack Fw18, ColorBlack S170, ColorBlack S160, SpecialBlack6, SpecialBlack5, SpecialBlack4, SpecialBlack4A, SpecialBlack250, SpecialBlack350, PrintexU, PrintexV, Printex140U, Printexl40V(모두 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밀로리블루, 산화철, 산화티타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실리카, 알루미나, 코발트계, 망간계, 탤크, 크롬산염, 페로시안화물, 각종 금속황산염, 황화물, 셀렌화물, 인산염군청, 감청, 코발트블루, 세룰리안블루, 비리디안, 에메럴드그린, 코발트그린 등의 무기안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안료는 복수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염료로서는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트리아릴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알리자린 염료, 아크리딘 염료, 스틸벤염료, 티아졸 염료, 나프톨 염료, 퀴놀린 염료, 니트로 염료, 인다민 염료, 옥사진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시아닌 염료 등의 염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복수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색재(E)의 함유량은 용액상 조성물로 한 상기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70질량%, 특히 5~60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중합개시제(F)로서는 종래 기지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벤조페논, 페닐비페닐케톤, 1-히드록시-1-벤조일시클로헥산, 벤질, 벤질디메틸케탈, 1-벤질-1-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벤조일)프로판, 2-모르폴릴-2-(4'-메틸티오)벤조일프로판, 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디에틸티오크산톤, 에틸안트라퀴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벤조인부틸에테르, 2-히드록시-2-벤조일프로판, 2-히드록시-2-(4'-이소프로필)벤조일프로판, 4-부틸벤조일트리클로로메탄, 4-페녹시벤조일디클로로메탄, 벤조일개미산메틸, 1,7-비스(9'-아크리디닐)헵탄, 9-n-부틸-3,6-비스(2'-모르폴리노이소부틸로일)카르바졸,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메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하기 화합물 No.17, No.18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벤조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20
(식 중, X1은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은 R, OR, COR, SR, CONRR' 또는 CN을 나타내고, R2는 R, OR, COR, SR 또는 NRR'을 나타내고, R3은 R, OR, COR, SR 또는 NRR'을 나타내고, R 및 R'은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할로겐원자 및/또는 복소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이들 중 알킬기 및 아랄킬기의 알킬렌 부분은 불포화결합, 에테르결합, 티오에테르결합 또는 에스테르결합에 의해 중단되어 있어도 좋고, 또 R 및 R'은 하나가 되어서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n은 0~5이다.
Figure 112007064395042-PCT00021
(식 중, X1, R1, R2, R3, R 및 R'은 상기 화합물 No.17과 동일하며, X1'은 할로겐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Z는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나타내고, m 및 n은 각각 1~5의 수를 나타내고, R1'은 R, OR, COR, SR, CONRR' 또는 CN을 나타내고, R2'은 R, OR, COR, SR 또는 NRR'을 나타내고, R3'은 각각 R, OR, COR, SR 또는 NRR'을 나타내고, R4는 디올잔기 또는 디티올잔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개시제(F)의 함유량은 용매를 첨가해 용액상 조성물로 한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30중량%, 특히 0.5~5중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더욱 불포화결합을 가지는 모노머, 연쇄이동제, 계면활성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결합을 가지는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산이소부틸, 아크릴산N-옥틸, 아크릴산이소옥틸, 아크릴산이소노닐, 아크릴산스테아릴, 아크릴산메톡시에틸, 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산아연,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터셔리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롤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쇄이동제로서는 티오글리콜산, 티오사과산, 티오살리실산, 2-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3-메르캅토낙산, N-(2-메르캅토프로피오닐)글리신, 2-메르캅토니코틴산, 3-[N-(2-메르캅토에틸)카르바모일]프로피온산, 3-[N-(2-메르캅토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 N-(3-메르캅토프로피오닐)알라닌, 2-메르캅토에탄술폰산, 3-메르캅토프로판술폰산, 4-메르캅토부탄술폰산, 도데실(4-메틸티오)페닐에테르, 2-메르캅토에탄올, 3-메르캅토-1,2-프로판올, 1-메르캅토-2-프로판올, 3-메르캅토-2-부탄올, 메르캅토페놀, 2-메르캅토에틸아민, 2-메르캅토이미다졸, 2-메르캅토-3-피리디놀, 2-메르캅토벤조티아졸, 메르캅토초산, 토리메틸롤프로판트리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 트) 등의 메르캅토화합물, 상기 메르캅토화합물을 산화하여 얻어지는 디술피드화합물, 요오드초산, 요오드프로피온산, 2-요오드에탄올, 2-요오드에탄술폰산, 3-요오드프로판술폰산 등의 요드화알킬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본산염 등의 불소계면활성제, 고급지방산 알칼리염, 알킬술폰산염, 알킬황산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고급아민할로겐산염,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은 조합시켜서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나아가 열가소성 유기중합체를 이용함으로써 경화물의 특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유기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스티렌-(메타)아크릴산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폴리아크릴아미드, 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아니솔, 하이드로퀴논, 피로카테콜, 제3부틸카테콜, 페노티아진 등의 열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촉진제; 충전제; 소포제; 레벨링제 등의 관용의 첨가물을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롤코팅, 커튼코팅, 각종의 인쇄, 침지 등의 공지의 수단으로, 금속, 종이, 플라스틱 등의 지지기체상에 적용된다. 또 일단 필름 등의 지지기체상에 처리한 후, 다른 지지기체상에 전사할 수 있고, 그 적용방법에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특히 제한은 없고, 광경화성 도료, 광경화성 접착제, 인쇄판, 인쇄배선판용 포토레지스트 등의 각종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액정디스플레이, 플라스마디스플레이, 일렉트로루미네센스패널,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컬러필터의 화소부의 형성에 이용하는데 호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킬 시에 이용되는 활성광의 광원으로서는 파장 300~450nm의 광을 발광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초고압수은 수은증기아크, 카본아크, 크세논아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해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고, 해당 복수색의 화소패턴 중 적어도 1색이, 색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혹은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 및 블랙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고, 해당 블랙매트릭스가, 색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투과성 기재로서는 어느 정도의 강성과 평활성이 있으면 특히 제한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지만, 컬러필터가 투과형으로서 이용될 경우에는 더욱 투명성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용할 수 있는 투과성 기재로서는 유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등의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으며, 미리,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
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 이외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또는 크롬 등의 금속에 의해서 블랙매트릭스를 설치해 두어도 좋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든다.
우선, 유리 등의 투명기판에,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핀코팅, 롤코팅, 커튼코팅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해 도포한다. 그 다음에, 소정의 패턴의 포토마스크를 통해서 노광하고, 미노광부를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성 수용액에 의해 제거해 현상한다. 이것을 소망의 색수의 투명착색피막(화소패턴)이 형성될 때까지 반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노광 감도가 양호하기 때문에, 산소차단막을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더 나은 노광감도의 향상을 목적으로서 노광공정 전에 산소차단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마련해도 좋다.
상기의 방법은 투명착색피막의 형성뿐만 아니라, 블랙매트릭스를 설치할 때
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기판에의 도포를 대신해, 일단 원통상의 전사몸통에 지지된 이른바 블랭킷이나 필름 등의 전사지지체상으로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 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이것을 기판으로 전사하는 방법을 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는 복수색의
화소패턴 및/또는 블랙매트릭스의 형성에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조성물을 이용하는 점 이외는, 종래의 컬러필터와 동일한 것이며, 용도에 따라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지고 그 구성에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투과성 기재와, 이 투과성 기재상에 패턴화되어서 배열된 복수색의 착색 투명피막 및 필요에 따라서 배열된 블랙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이들의 피막에 입사한 백색광을 그 피막의 색채로 착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를 액정표시장치에 이용할 경우에는 종래의 컬러필터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장치에 구비하면 좋다. 액정디스플레이,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발광소자패널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는 입사광으로서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이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입사하는 태양광 등이 이용되며, 컬러필터를 투과한 착색광에 의해 컬러화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는 컬러 비디오카메라나 디지털카메라 등의 고체촬상장치에 이용되는 이미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등에 이용된다. 고체촬상소자의 구성부품으로서 마련된 컬러필터는 촬영대상에서부터 입사한 광을 분광하는 역할을 다한다. 여기서 분광된 광은 수광소자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이것을 기록함으로써 컬러화상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을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1의 제조
<스텝 1> 1,1-비스(4'-히드록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의 제조
비페닐시클로헥실케톤 70.5g, 페놀 200.7g 및 티오초산 10.15g을 집어넣고, 트리풀루오로메탄술폰산 40.0g을 18℃에서 20분 걸쳐서 적하하였다. 17~19℃에서 18시간 반응 후, 물 500g을 첨가해 반응을 정지시켜, 톨루엔 500g을 첨가해, 유기층을 pH3~4가 될 때까지 수세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였다. 톨루엔, 물 및 과잉의 페놀을 유거하였다. 잔사에 톨루엔을 첨가하여 석출한 고체를 여별하고, 톨루엔으로 분산세정하여 담황색 결정 59.2g(수율 51%)을 얻었다. 상기 담황색 결정의 융점은 239.5℃이며, 상기 담황색 결정은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스텝 2>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의 제조
스텝 1에서 얻어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 57.5g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195.8g을 집어넣고,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리드 0.602g을 첨가해 64℃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54℃까지 승온해, 24중량% 수산화나트륨수용액 43.0g을 적하하고, 30분 교반하였다.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물을 유거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216g을 첨가해 수세 후, 24중량% 수산화나트륨 2.2g을 적하하였다. 80℃에서 2시간 교반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3중량% 모노인산 나트륨수용액으로 중화해, 수세를 행하였다. 용매를 유거해, 황색 고체 57g(수율 79%)을 얻었다(융점 64.2℃, 에폭시 당량 282, n=0.04). 상기 황색 결정은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스텝 3>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1의 제조
스텝 2에서 얻어진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이하, 화합물 a라고도 함) 1695g, 아크릴산(이하, 화합물 b-1이라고도 함) 443g, 2,6-디-tert-부틸-p-크레졸 6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11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425g을 집어넣고, 120℃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718g 및 무수석신산(이하, 화합물 c-1이라고도 함) 482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25g을 첨가해 10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나아가, 스텝 2에서 얻어진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이하, 화합물 d-1이라고도 함) 508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18g을 첨가해 120℃에서 12시간, 80℃에서 2시간, 40℃에서 2시간 교반 후,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463g를 더해서,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인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1을 얻었다(Mw=4200, Mn=2100, 산가(고형분) 55mgKOH/g).
아울러,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1이 함유하는 반응생성물은 (A)성분인 화합물 a에 (B)성분인 화합물 b-1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C)성분인 화합물 c-1의 산무수물 구조가 0.8개의 비율로 (D) 성분인 화합물d의 에폭시기가 0.3개의 비율로 에폭시부가물과 화합물 c-1 및 화합물 d-1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은 것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화합물 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화합물 b의 카르복실기가 1.0개의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제조예 2]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2의 제조
제조예 1의 스텝 2에서 얻어진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a) 43g, 아크릴산(화합물 b-1) 33.6g, 2,6-디-tert-부틸-p-크레졸 0.04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21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8g을 집어넣고, 120℃에서 1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4g 및 무수석신산(화합물 c-1) 10g을 첨가해 10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더욱 비스페놀Z글리시딜에테르(화합물 d-2) 8g을 첨가해 120℃에서 4시간, 90℃에서 3시간, 60℃에서 2시간, 40℃에서 5시간 교반 후,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9g을 첨가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인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2를 얻었다(Mw=4600, Mn=2100, 산가(고형분) 54mgKOH/g).
또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2가 함유하는 반응생성물은 (A)성분인 화합물 a에 (B)성분인 화합물 b-1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C)성분인 화합물 c-1의 산무수물 구조가 0.8개의 비율로, (D)성분인 화합물 d-2의 에폭시기가 0.3개의 비율로 에폭시부가물과 화합물 c-1 및 화합 물 d-2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은 것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화합물 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화합물 b의 카르복실기가 1.0개의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제조예 3]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3의 제조
제조예 1의 스텝 2에서 얻어진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a) 1695g, 아크릴산(화합물 b-1) 443g, 2,6-디-tert-부틸-p-크레졸 6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11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425g을 집어넣고, 120℃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931g 및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이하, 화합물 c-2라고도 함) 741g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25g을 첨가해 7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나아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이하, 화합물 d-3이라고도 함) 313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463g을 첨가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인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3을 얻었다(Mw=3000, Mn=1700, 산가(고형분) 43mgKOH/g).
또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3이 함유하는 반응생성물은 (A)성분인 화합물 a에 (B)성분인 화합물 b-1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C)성분인 화합물 c-2의 산무수물 구조가 0.8개의 비율로, (D)성분인 화합물 d-3의 에폭시기가 0.4개의 비율로 에폭시부가물과 화합물 c-2 및 화합물 d-3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화합물 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화합물 b의 카르복실기가 1.0개의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제조예 4]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4의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PE-3A(아크릴산유도체, Kyoeisha Chemical사 제품) 37.3g, 석신산무수물 12.5g, 트리페닐포스핀 0.087g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0.050g을 집어넣고, 100℃에서 3시간 교반하고, 다관능아크릴기를 가지는 불포화-염기산(이하, 화합물 b-2라고도 함)을 얻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a) 138g, 아크릴산(화합물 b-1) 27.7g, 2,6-디-tert-부틸-p-크레졸 0.51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90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44g을 집어넣고, 12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65.4g 및 석신산무수물(화합물 c-1) 40.0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2.1g을 첨가해 10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나아가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d-1) 41.4g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0.56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8.0g을 첨가해 90℃에서 1시간, 12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36g을 첨가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인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4를 얻었다(Mw=6700, Mn=2700, 산가(고형분) 51mgKOH/g).
또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4가 함유하는 반응생성물은 (A)성분인 화합물 a에 (B)성분인 화합물 b-1 및 b-2를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C)성분인 화합물 c-1의 산무수물 구조가 0.8개의 비율로, (D)성분인 화합물 d-1의 에폭시기가 0.3개의 비율로 에폭시부가물과 화합물 c-1 및 화합물 d-1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화합물 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화합물 b-1의 카르복실기가 0.75개, 화합물 b-2의 카르복실기가 0.25개의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제조예 5]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5의 제조
라이트에스테르 G201P(메타크릴산유도체, Kyoeisha Chemical사 제품) 26.8g, 무수석신산 12.5g, 트리페닐포스핀 0.087g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0.039g을 집어넣고, 100℃에서 3시간 교반하고, 다관능(메타)아크릴기를 가지는 불포화-염기산(이하, 화합물 b-3이라고도 함)을 얻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a) 138g, 아크릴산(화합물 b-1) 27.7g, 2,6-디-tert-부틸-p-크레졸 0.50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90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37g을 집어넣고, 12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63.8g 및 석신산무수물(화합물 c-1) 40.0g 및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2.1g을 첨가해 10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나아가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1-시클로헥실메탄(화합물 d-1) 41.4g 및 2,6-디-tert-부틸-p-크레졸 0.56g, 프로피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8.0g을 첨가해 90℃에서 1시간, 12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 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132g을 첨가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인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5를 얻었다(Mw=4800, Mn=2400, 산가(고형분) 54mgKOH/g).
또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5가 함유하는 반응생성물은 (A)성분인 화합물 a에 (B)성분인 화합물 b-1 및 b-3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C)성분인 화합물 c-1의 산무수물 구조가 0.8개의 비율로, (D)성분인 화합물 d-1의 에폭시기가 0.3개의 비율로 에폭시부가물과 화합물 c-1 및 화합물 d-1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서 얻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화합물 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화합물 b-1의 카르복실기가 0.75개, 화합물b-3의 카르복실기가 0.25개의 비율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비교 제조예 1]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6의 제조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수지(에폭시 당량 231) 184g, 아크릴산 58g, 2,6-디-tert-부틸-p-크레졸 0.26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11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3g을 집어넣고, 120℃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35g 및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41g을 첨가해 10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더욱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6.5g을 첨가해, 120℃에서 4시간, 90℃에서 3시간, 60℃에서 2시간, 40℃에서 5시간 교반 후,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90g을 첨가해 목적물의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6을 얻었다(Mw=5000, Mn=2100, 산가(고형분) 92.7mgKO
H/g).
[비교 제조예 2]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7의 제조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에폭시 당량 190) 154g, 아크릴산 59g, 2,6-디-tert-부틸-p-크레졸 0.26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11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3g을 집어넣고, 120℃에서 1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365g 및 무수프탈산 45g을 첨가해 10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더욱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에폭시 당량 190) 7.0g을 더해 120℃에서 4시간, 90℃에서 3시간, 60℃에서 2시간, 40℃에서 5시간 교반 후,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90g을 첨가해 목적물의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7을 얻었다(Mw=7500, Mn=2100, 산가(고형분) 91mgKOH/g).
[비교 제조예 3]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8의 제조
<스텝 1> 1,1-비스(4'-히드록시페닐)-1-(1''-비페닐)에탄의 제조
페놀 75g 및 4-아세틸비페닐 50g을 60℃에서 가열 용융시켜, 3-메르캅토프로피온산 5g을 첨가해 교반하면서 염화수소가스를 24시간 불어넣고, 그 후 72시간 반응시켰다. 70℃의 온수에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180℃까지 가열해서 증발물을 유거하였다. 잔사에 크실렌을 첨가해서 냉각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취, 감압건조하여 담황색 결정 65g(수율 68%)을 얻었다. 상기 담황색 결정의 융점은 184℃이며, 상기 담황색 결정은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스텝 2>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에탄의 제조
스텝 1에서 얻어진 1,1-비스(4'-히드록시페닐)-1-(1''-비페닐)에탄 37g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149.5g을 집어넣고,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크롤리드 0.45g을 첨가해 64℃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54℃까지 승온해, 24중량% 수산화나트륨수용액 32.6g을 적하하고, 30분 교반하였다.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물을 유거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 140g을 첨가해 수세 후, 24중량% 수산화나트륨 1.7g을 적하하였다. 80℃에서 2시간 교반 후, 실온까지 냉각하고, 3중량% 모노인산나트륨수용액에서 중화하고, 수세를 행하였다. 용매를 유거하고, 황색 점성 액체 38.7g(수율 80%)을 얻었다(에폭시 당량 248, n=0.04). 상기 황색 점성 액체는 목적물임을 확인하였다.
<스텝 3>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8의 제조
스텝 2에서 얻어진 1,1-비스(4'-에폭시프로필옥시페닐)-1-(1''-비페닐)에탄 49.6g, 아크릴산 14.4g, 2,6-디-tert-부틸-p-크레졸 0.05g, 테트라부틸암모늄아세테이트 0.14g 및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27.4g을 집어넣고, 120℃에서 13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41.5g 및 석신산무수물 4.3g을 첨가해 10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나아가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0.34g을 첨가해 120℃에서 4시간, 90℃에서 3시간, 60℃에서 2시간, 40℃에서 5시간 교반 후,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34g을 첨가해, 프로필렌글리콜-1-모노메틸에테르-2-아세테이트 용액으로서 목적물의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8을 얻었다(Mw=3
700, Mn=1900, 산가(고형분) 93mgKOH/g).
[실시예 1]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1의 조제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1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1을 얻었다.
[실시예 2]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2의 조제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2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2를 얻었다.
[실시예 3]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3의 조제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3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5.6g, 할로겐화동프탈로시아닌계 안료(Toyo Ink Mfg사 제품 "6YK") 0.6g, 벤조페논 1.8g 및 에틸셀로솔브 80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3을 얻었다.
[실시예 4]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4의 조제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4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4를 얻었다.
[실시예 5]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5의 조제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5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5를 얻었다.
[비교예 1]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6의 조제
비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6의 12g에 대하여, 토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6을 얻었다.
[비교예 2]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7의 조제
비교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7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lOO")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7을 얻었다.
[비교예 3]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8의 조제
비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 No.8의 12g에 대하여,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8g, 벤조페논 1.8g, 카본블랙(Mitsubishi Chemical사 제품 "MA100") 3.2g 및 에틸셀로솔브 75g을 첨가해 잘 교반하고,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8을 얻었다.
얻어진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No.1~8의 평가를 아래와 같 이 행하였다.
즉, 기판상에 r-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에톡시실란을 스핀코트하여 잘 스핀건조시킨 후,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핀코트(1300r.p.m, 50초간)하여 건조시켰다. 70℃에서 20분간 프리베이크를 한 후, 폴리비닐알코올 5중량% 용액을 코트하여 산소차단막으로 하였다. 70℃ 20분간의 건조 후, 소정의 마스크를 이용해, 광원으로서 초고압수은램프를 이용해서 노광 후, 2.5중량% 탄산나트륨 용액에 25℃에서 30초간 침지해 현상하고, 잘 수세하였다. 수세 건조 후, 230℃에서 1시간 베이크하여 패턴을 정착시켰다. 얻어진 패턴에 대해서,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감도>
노광시에, 노광량이 100mJ/cm2로 충분했던 것을 a, 100mJ/cm2에서는 불충분하고, 200mJ/cm2에서 노광한 것을 b로 하였다.
<해상도>
노광 현상시에, 선폭 10㎛이하라도 양호하게 패턴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을 A, 선폭 10~30㎛이면 양호하게 패턴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을 B, 선폭 30㎛이상의 것이 아니면 양호한 패턴 형성을 할 수 없었던 것을 C로 평가하였다.
<밀착성>
JIS D O202의 시험방법에 따라서, 도막에 모자이크형상으로 크로스컷을 넣고, 이어서 셀로판테이프에 의해 필링테스트를 행해, 모자이크의 박리의 상태를 목 시에 의해 평가하였다. 전혀 박리가 인정되지 않았던 것을 ○, 박리가 인정된 것을 ×으로 하였다.
<내알칼리성>
가열처리 후의 도막을 a)5중량% NaOHaq.중 24시간, b)4중량% KOHaq.중 50℃에서 10분간, C)1중량% NaOHaq.중 80℃에서 5분간의 조건으로 침지하고, 침지 후의 외관을 목시에 의해 평가하였다. 어느 조건에 있어서도 외관변화도 없고 레지스트의 박리도 전혀 없었던 것을 ○, 어느 조건에 있어서 레지스트의 들뜸이 보여지거나 레지스트의 박리가 인정된 것을 ×로 하였다.
알칼리현상성 감광성 수지 조성물 감도 해상도 밀착성 내알칼리성
No.1(실시예 1) a A
No.2(실시예 2) a A
No.3(실시예 3) a A
No.4(실시예 4) a A
No.5(실시예 5) a A
No.6(비교예 1) b C × ×
No.7(비교예 2) b C × ×
No.8(비교예 3) b C × ×
실시예 1~5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고감도이면서 해상도에 뛰어난 것이였다. 또 얻어진 도막은 기판과의 밀착성 및 내알칼리성에 뛰어난 것이였다.
그것에 대해서, 비교예 1~3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가 낮기 때문에 노광량을 많게 하지 않을 수 없고, 해상도가 저하해, 선폭 30㎛이상이 아니면 형성할 수 없고, 얻어진 도막의 기판과의 밀착성, 내알칼리성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 해상도, 투명성, 밀착성, 내알칼리성 등에 뛰어나며, 미세패턴을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일반식(I)으로 표현되는 에폭시수지(A)에 불포화-염기산(B)을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부가물에 대하여, 다염기산무수물(C), 이어서 다관능에폭시화합물(D)을 에스테르화시켜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알칼리 현상성 수지 조성물에, 더욱 색재(E) 및 광중합개시제(F)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64395042-PCT00022
    (식 중, Cy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원자,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상기 페닐기 또는 탄소원자수 3~10의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혹은 할로겐원자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Y 및 Z는 각각 독립하여, 탄소원자수 1~10의 알킬기, 탄소원자수 1~10의 알콕시기, 탄소원자수 2~10의 알케닐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고, 알킬기, 알콕시기 및 알케닐기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n은 0~10의 수를 나타내고, p는 0~4의 수를 나타내고, r은 0~4의 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부가물은 상기 에폭시수지(A)의 에폭시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불포화-염기산(B)의 카르복실기가 0.1~1.0개로 부가시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에스테르화는 상기 에폭시부가물의 수산기 1개에 대하여, 상기 다염기산무수물(C)의 산무수물 구조가 0.1~1.0개가 되는 비율로 동시에 상기 다관능 에폭시화합물(D)의 에폭시기가 0.1~1.0개가 되는 비율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 중, Cy가 시클로헥실기이며, X가 페닐기이며, p 및 r이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색의 화소패턴 중 적어도 1색이,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5. 적어도, 투과성 기재와, 복수색의 화소패턴 및 블랙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구비하는 컬러필터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의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KR1020077020262A 2005-06-20 2006-06-05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17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78853 2005-06-20
JPJP-P-2005-00178853 2005-06-20
PCT/JP2006/311193 WO2006137257A1 (ja) 2005-06-20 2006-06-05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該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849A true KR20080013849A (ko) 2008-02-13
KR101317223B1 KR101317223B1 (ko) 2013-10-15

Family

ID=3757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262A KR101317223B1 (ko) 2005-06-20 2006-06-05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5407B2 (ko)
JP (1) JP4684293B2 (ko)
KR (1) KR101317223B1 (ko)
CN (1) CN101133363B (ko)
TW (1) TW200715051A (ko)
WO (1) WO200613725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62B1 (ko) * 2011-03-10 2013-10-29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유전율 차광층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7307A (ko) * 2015-12-08 2017-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5246B2 (ja) * 2006-02-01 2011-04-20 凸版印刷株式会社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4878876B2 (ja) * 2006-03-15 2012-02-15 株式会社Adeka エポキシ樹脂、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及びアルカリ現像性感光性樹脂組成物
JP4571598B2 (ja) * 2006-06-27 2010-10-2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保護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US20080292993A1 (en) * 2006-12-22 2008-11-27 Canon Kabushiki Kaisha Photo-cationic polymerizable epoxy resin composition, liquid discharge he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46093B2 (ja) * 2006-12-26 2014-07-09 株式会社Adeka 重合性化合物及び重合性組成物
JP5127245B2 (ja) * 2007-01-29 2013-01-23 株式会社Adeka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
US8791169B2 (en) 2011-01-27 2014-07-29 Lg Chem, Ltd. Fluorene-based resin polymer an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CN103459514A (zh) * 2011-04-20 2013-12-18 株式会社艾迪科 具有α-氰基丙烯酸酯结构的新型化合物、染料以及着色感光性组合物
KR101349622B1 (ko) * 2011-08-26 2014-01-10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광중합성 불포화 수지,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차광성 스페이서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6120574B2 (ja) * 2012-01-31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性ネガ型樹脂組成物、微細構造体、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液体吐出ヘッド
JP6205289B2 (ja) * 2014-02-14 2017-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パターン形成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3980249B (zh) * 2014-05-30 2016-01-20 安徽省新星药物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苯甲酸阿格列汀的精制方法
JP2023537612A (ja) * 2020-08-14 2023-09-04 ブルーワー サイエンス アイ エヌ シー. 持続的接合及びパターニングの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8429A (ja) 1989-10-24 1991-06-25 Sumitomo Bakelite Co Ltd 缶の蓋部の封緘方法
JPH04198173A (ja) * 1990-11-28 1992-07-17 Sumitomo Chem Co Ltd 不斉誘起触媒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学活性シアノヒドリン誘導体の製造法
JP3120547B2 (ja) 1992-03-31 2000-12-25 東レ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ペースト
JP2000053746A (ja) * 1998-08-06 2000-02-22 Nippon Shokubai Co Ltd 感光性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樹脂を含む感光性樹脂組成物
US6727042B2 (en) * 2000-01-17 2004-04-27 Showa Highpolymer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DE60017470T2 (de) * 2000-02-14 2005-12-29 Taiyo Ink Mfg. Co. Ltd. Phot0- oder wärmehärtende zusammensetzungen zur herstellung matter filme
AU2001286239A1 (en) * 2000-09-16 2002-04-02 Goo Chemical Co., Ltd. Ultraviolet-curable resin composition and photosolder resist ink containing the composition
JP2003089716A (ja) 2001-02-20 2003-03-28 Nagase Chemtex Corp アルカリ可溶性不飽和樹脂及びこれを用いる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JP2003107702A (ja) * 2001-09-27 2003-04-09 Sumitomo Chem Co Ltd 樹脂組成物
JP2004138950A (ja) * 2002-10-21 2004-05-13 Sumitomo Chem Co Ltd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4263142A (ja) * 2003-03-04 2004-09-24 Goo Chemical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紫外線硬化性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5239817A (ja) * 2004-02-25 2005-09-08 Dainippon Ink & Chem Inc 酸ペンダント型エポキシアクリレート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硬化性樹脂組成物
JP4698586B2 (ja) 2004-03-25 2011-06-08 株式会社Adeka 新規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該フェノール化合物から誘導し得る新規エポキシ樹脂
KR101169822B1 (ko) * 2004-09-17 2012-07-3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및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JP4198101B2 (ja) 2004-09-17 2008-12-17 株式会社Adeka 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562B1 (ko) * 2011-03-10 2013-10-29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유전율 차광층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7307A (ko) * 2015-12-08 2017-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4293B2 (ja) 2011-05-18
KR101317223B1 (ko) 2013-10-15
TWI348074B (ko) 2011-09-01
CN101133363B (zh) 2011-04-20
CN101133363A (zh) 2008-02-27
TW200715051A (en) 2007-04-16
US7875407B2 (en) 2011-01-25
WO2006137257A1 (ja) 2006-12-28
JPWO2006137257A1 (ja) 2009-01-08
US20090202750A1 (en)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223B1 (ko)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TWI514070B (zh) A color resist composition and a color filter using the composition
KR20190039858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수지막이 형성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392964B1 (ko) 차광막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경화시킨 차광막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30044860A (ko) 광중합성 불포화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알칼리 가용형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
US20030175615A1 (en)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JP2003176343A (ja) 光重合性不飽和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可溶型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KR101308954B1 (ko) 알칼리 현상성 감광성 수지조성물
JP2007248678A (ja)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該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KR102312785B1 (ko) 광중합성 불포화 수지,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차광성 스페이서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4878876B2 (ja) エポキシ樹脂、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及びアルカリ現像性感光性樹脂組成物
KR101323562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유전율 차광층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TWI690543B (zh) 鹼可溶性樹脂
JP5014054B2 (ja)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該基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7286369A (ja)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該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2007292807A (ja) 液晶分割配向制御用突起付き基板及び該基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9275148A (ja) 新規化合物、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及びアルカリ現像性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7284578A (ja) エポキシ樹脂、アルカリ現像性樹脂組成物及びアルカリ現像性感光性樹脂組成物
JP6420634B2 (ja) レジスト組成物、カラーレジスト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5112948B2 (ja)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分割配向制御用突起付き基板及び該基板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2000256428A (ja) 硬化性樹脂及びその組成物
JP4675246B2 (ja) 着色アルカリ現像型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2011099034A (ja) ポリカルボン酸樹脂及びポリカルボン酸樹脂組成物
JP2002220407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