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2676A -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2676A
KR20080002676A KR20070065239A KR20070065239A KR20080002676A KR 20080002676 A KR20080002676 A KR 20080002676A KR 20070065239 A KR20070065239 A KR 20070065239A KR 20070065239 A KR20070065239 A KR 20070065239A KR 20080002676 A KR20080002676 A KR 2008000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sponse signal
door
respons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6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163B1 (ko
Inventor
가즈히로 나까시마
겐따로오 데시마
겐이찌 오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8000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1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by access privileges are related to the ident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60R25/0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operating on the fuel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측 장치(100), 차량측 장치(100)로부터 발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응답 신호를 반환하는 주 휴대기(200), 및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2 응답 신호를 반환하는 부 휴대기(300)를 포함한다. 차량측 장치(100)가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 이는 매칭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차량 도어는 수신된 응답 신호가 제1 또는 제2 응답 신호 중 어느 하나라고 판단될 때 자동적으로 잠금 해제된다. 한편, 엔진 시동은 수신된 신호가 제1 응답 신호라고 판단될 때만 허용된다.
차량측 장치, 주 휴대기, 부 휴대기, 수신기,

Description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는 차량 실외 발신기의 위치 및 차량 실외 발신기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을 도시한 개략도.
도3a는 주 휴대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3b는 부 휴대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4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도어가 잠금되어 있는 상태에서 응답 신호가 매칭 ECU에 공급될 때,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5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엔진 시동을 허용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100:차량측 장치
200:주 휴대기
300:부 휴대기
102:제1 차량 실내 발신기
104:제2 차량 실내 발신기
106:차량 실외 발신기
110:매칭 전자 제어 유닛
[문헌1] 일본특허공개 제2000-104429호 공보
본 발명은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량측 장치와 휴대기 사이에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내 장치를 원격적으로 제어하는 종래의 시스템은,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제2000-104429호(문헌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가 사용자가 소지한 정규의 혹은 인가된 휴대기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전자 키 장치와 같은 휴대기와 차량측 장치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시스템은 스마트 키 시스템이며, 발신기와 휴대기 사이에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도록 차량측 장치로서 발신기를 가진다.
발신기로부터 소정 검출 영역으로 발신 요청 신호가 발신된다. 발신 요정 신호가 발신된 검출 영역 내에 휴대기가 존재할 때, 발신 요청 신호는 휴대기에 의해 수신된다. 휴대기는 발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의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응답 신호는 차량 내에 장착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차량측 장치에 의해 응답 신호에 대한 소정의 매칭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매칭이 확인되면, 응답 신호를 발신한 휴대기는 인가된 휴대기라는 것이 판단된다. 그 결과, 도어가 잠금 해제되고, 또는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엔진 시동이 허용된다.
많은 경우에, 소유자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가족 구성원과 같은 다른 사람들도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휴대기가 차량의 소유자에게 제공된다. 휴대기들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이 휴대기들이 인가된 장치라면 실행되는 제어는 동일하다. 이는 어느 휴대기가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인지 사용자가 인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어린이가 차량에 제일 먼저 탑승하게 되는 경우, 어린이에게 휴대기를 주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차량 실내에 휴대기를 가진 어린이만이 있을 때, 어린이는 우발적으로 엔진을 시동할 수 있고, 차량 실내에 이 어린이만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어린이에게 휴대기를 주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이는 어린이가 먼저 차량에 탑승할 수 있게 하는데 다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와 같이 차량을 운전할 수 없는 사람이, 이러한 사람에 의해 우발적으로 차량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에 제일 먼저 탑승할 수 있게 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태양에 따라서,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차량측 장치와, 제1 및 제2 휴대기를 포함한다. 차량측 장치는 차량 내에 장착되고 발신기, 수신기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발신기는 차량의 실내 및 실외측의 소정의 검출 영역으로 발 신 요청 신호를 발신한다. 발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1 휴대기는 제1 응답 신호를 발신하고, 제2 휴대기는 제1 응답 신호와 상이한 제2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수신기는 휴대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유닛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매칭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기가 있는 검출 영역을 판단한다. 제어 유닛은 응답 신호 및 차량의 실외측의 검출 영역 내의 휴대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차량의 도어를 제어하고, 응답 신호 및 차량의 실내측의 소정의 시동 허용 검출 영역 내의 휴대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은 제1 응답 신호 또는 제2 응답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를 자동적으로 잠금 해제하며, 제1 응답 신호만에 대한 응답으로 엔진의 시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10)은 차량측 장치(100), 제1 휴대기로서 제공된 주 휴대기(200), 및 제2 휴대기로서 제공된 부 휴대기(300)를 포함한다. 휴대기(200 및 3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차량측 장치(100)와 무선 통신가능한 전자 키일 수 있다.
차량측 장치(100)는 제1 차량 실내 발신기(102), 제2 차량 실내 발신기(104) 및 차량 실외 발신기(106)를 가진다. 제1 차량 실내 발신기(102)는 차량 실내의 앞좌석의 주변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의 앞좌석(즉, 운전석 및 조수석)을 포함하지 만 다른 좌석은 포함하지 않는, 키(200 및 300)를 검출하는 검출 영역을 형성한다. 제2 차량 실내 발신기(104)는 차량 실내의 뒷좌석의 주변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의 앞좌석을 제외한 모든 좌석을 포함하는, 키(200 및 300)를 검출하는 검출 영역을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차량 실외 발신기(106)는 제1 내지 제5 차량 실외 발신기(106a 내지 106e)를 가진다. 제1 차량 실외 발신기(106a)는 우측 앞좌석 도어(D 좌석 도어) 또는 D 좌석 도어의 근방에 배치되고, D 좌석 도어의 우측(차량 폭 방향으로 차량의 외부측)에 제1 검출 영역(108a)을 형성한다. 제2 차량 실외 발신기(106b)는 우측 뒷좌석 도어(RR 좌석 도어) 또는 RR 좌석 도어의 근방에 배치되고, RR 좌석 도어의 우측에 제2 검출 영역(108b)을 형성한다. 제3 차량 실외 발신기(106c)는 좌측 앞좌석 도어(P 좌석 도어) 또는 P 좌석 도어의 근방에 배치되고, P 좌석 도어의 좌측에 제3 검출 영역(108c)을 형성한다. 제4 차량 실외 발신기(106d)는 좌측 뒷좌석 도어(LR 좌석 도어) 또는 LR 좌석 도어의 근방에 배치되고, LR 좌석 도어의 좌측에 제4 검출 영역(108d)을 형성한다. 제5 차량 실외 발신기(106e)는 화물칸 도어 또는 화물칸 도어의 근방에 배치되고, 화물칸 도어의 후방에 제5 검출 영역(108e)을 형성한다. 검출 영역(108a 내지 108e)은 각각 차량 실외 발신기(106a 내지 106e)로부터 예컨대, 약 0.7 내지 1.0 m의 반경을 가진다.
차량측 장치(100)는 중앙처리유닛(CPU)(112) 및 메모리(114)를 포함하는 매칭 전자 제어 유닛(ECU)(110)을 더 가진다. CPU(112)는 메모리(114)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예컨대,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도어가 잠금되었을 때, CPU(112)는 약 0.3초와 같은 ??은 시간 주기로 설정된 매 소정의 주기에 순차적으로 이들 5개의 차량 실외 발신기(106a 내지 106e)에 발신 요청 신호인 요정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엔진 시동기 스위치(도시 안됨)가 조작될 때, CPU(112)는 차량 내부 발신기(102 및 104)에 순차적으로 이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요청 신호가 발신기(102 내지 106)에 공급될 때, 발신기(102 내지 106)는 각각의 요청 신호를 차례로 발신한다. 요청 신호는 각각 대응 검출 영역(108a 내지 108e)을 한정한다.
요청 신호가 발신되고 요청신호에 의해 한정된 검출 영역 내에 키(200 또는 300)가 존재할 때, 응답 신호인 응답 신호가 키(200 또는 300)로부터 반환된다. 수신기(116)가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되고, 차량의 실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된다. 이후, 수신기(116)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는 매칭 ECU(110)에 출력된다.
CPU(112)가 서로 상이한 시점에서 이들 발신기(102, 104 및 106)에 순차적으로 요청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어느 검출 영역으로부터 응답 신호가 발신되었는지, 즉, 언제 응답 신호가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어느 검출 영역 내에 키(200 또는 300)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센서(118)가 각각의 출입도어(승객을 좌석에 앉히기 위한 D 좌석 도어, P 좌석 도어, RR 좌석 도어, LR 좌석 도어)의 도어 외부측 손잡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터치 센서(118)는 사용자가 해당 손잡이를 접촉하는 것을 검출하고, 이후에 사용자의 접촉을 지시하는 신호를 매칭 ECU(110)에 공급한다. 화물칸 도어 스위치(120)는 화물칸 도어를 개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화물칸 도어 스위치(120)는 화물칸 도어 상에 차량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후, 화물칸 도어 스위치(120)가 사용자에 의해 화물칸 도어를 열도록 조작될 때, 사용자의 조작을 지시하는 신호가 매칭 ECU(110)에 공급된다.
모터일 수 있는 엔진을 제어하기 위해 엔진 ECU(122)가 제공되고 매칭 ECU(110)에 대하여 신호를 발신 또는 수신하도록 차량내 LAN을 통해서 매칭 ECU(110)에 접속된다. 엔진 ECU(122)는 매칭 ECU(110)에 의해 엔진 시동이 허용되었을 때 엔진의 다양한 제어를 실행한다.
유사하게, 본체 ECU(124)는 매칭 ECU(110)에 대하여 신호를 발신 또는 수신하도록 차량내 LAN을 통해서 매칭 ECU(110)에 접속된다. 본체 ECU(124)는 매칭 ECU(11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도어 잠금 기구(126)를 제어한다. 도어 잠금 기구(126)는 출입도어 및 화물칸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이로 인해 출입도어 및 화물칸 도어를 잠금 해제 상태로 만들다. 도어 잠금 기구(126)는 차량내 장치 중 하나이다.
주 휴대기(200)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수신부의 수신기(202)가 발신기(102 내지 106)로부터 발신된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되고, 수신된 요청 신호를 ECU(204)에 출력한다. 잠금 해제 스위치(206) 및 잠금 스위치(208)는 사용자가 도어 잠금 해제 신호 및 도어 잠금 신호의 발신을 각각 지시할 때 조작되도록 제공된다. 이들 스위치(206 및 208)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이들 신호는 ECU(204)에 출력된다.
잠금 해제 스위치(206)는 또한 차량측으로부터의 요정 신호 및 키(200 또는 300)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발신에 의거하여 도어 잠금 제어 기능을 정지 또는 재시작하기 위한 제어 변경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엔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이고, D 좌석 도어는 닫히고, D 좌석 도어는 잠금 해제된 소정의 차량 상태에서, 잠금 해제 스위치(206)는 잠금 해제 신호를 발신하도록 조작되며, 이로 인해 도어 잠금 제어 기능의 제어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수신기(202)에 의해 수신된 차량측 장치(100)의 요청 신호가 ECU(204)에 공급될 때, ECU(204)는 제1 응답 신호를 발신부의 발신기(204)에 출력하기 위해, 제1 ID 코드를 포함하는 제1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잠금 해제 스위치(206) 및 잠금 스위치(208)로부터의 신호가 ECU(204)에 입력될 때, ECU(204)는 발신기에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잠금 신호를 출력한다. 발신기(210)는 ECU(204)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발신한다. 수신기(202), ECU(204) 및 발신기(210)는 내장 배터리(도시 안됨)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서 조작된다. 수신기(202), ECU(204), 및 발신기(210)는 배터리가 소진되면 조작하지 않는다.
계전기(212)는 배터리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력 공급원으로서 차량의 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전파로써 조작된다. 이후 계전기(212)는 제1 응답 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차량에 발신한다. 차량의 발신기는 엔진 시동 스위치(도시 안됨)의 근방에 배치된다. 주 휴대기(200)가 엔진 시동 스위치에 근접하게 운반될 때, 계전기(212)는 주 휴대기(200)를 조작가능하게 만드는 전력을 생성 한다.
주 휴대기(200)에는 내장형 기계식 키(214)가 제공된다. 기계식 키(214)는 D 좌석 도어의 도어 키 실린더 내로 끼워질 수 있다. 기계식 키(214)가 도어 잠금 키 실린더 내로 삽입되고 종래 방식으로 키 실린더 내에서 회전식으로 조작될 때 도어는 잠금 해제 또는 잠금될 수 있다.
부 휴대기(30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부 휴대기(300)는 주 휴대기(200)의 것과 유사한 수신기(202) 및 발신기(210)를 포함하고, 수신기(202) 및 발신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ECU(302)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주 휴대기(200)와는 달리, 부 휴대기(300)는 잠금 해제 스위치(206), 잠금 스위치(208), 계전기(212), 및 기계식 키(214)를 가지지 않는다. 부 휴대기(300)가 이들 부품(206, 208, 212, 214)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부 휴대기(300)는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목걸이형, 팔찌형, 또는 열쇠고리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부 휴대기(30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수신기(202)에 의해 수신된 요청 신호가 ECU(302)에 공급될 때, ECU(302)는 제2 응답 신호를 발신기(210)에 출력하기 위해 제1 ID 코드와는 상이한 제2 ID 코드를 가지는 제2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매칭 ECU(110), 특히 그 CPU(112)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도어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휴대기(200 또는 300)의 응답 신호가 수신기(116)에 의해 수신되고 매칭 ECU(110)에 공급될 때 실행된다.
스텝(S10)에서, 소정의 매칭 프로세스가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코드에 대해서 실행된다. 매칭 프로세스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사전에 등록된 휴대기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 휴대기(200)로부터 발신된 제1 응답 신호 및 부 휴대기(300)로부터 발신된 제2 응답 신호는 등록된 것으로 가정한다.
후속 스텝(S20)에서, ID 코드가 일치되는지(등록 코드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수신된 신호가 제1 응답 신호 또는 제2 응답 신호가 아닐 때, 이 루틴은 종결된다. 한편, 수신된 신호가 제1 응답 신호 또는 제2 응답 신호일 때, 스텝(S30)이 실행된다. 여기서, CPU(112)가 차량 실외 발신기(106)로부터 발신된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인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 스텝(S10) 및 스텝(S20)이 실행되기 때문에, 응답 신호를 발신한 휴대기(200 또는 300)가 차량의 외부측의 검출 영역 내에 위치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텝(S20)은 또한 휴대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후속 스텝(S30)에서, 스텝(S20)에서 그 매칭이 수용된 휴대기가 주 휴대기(200)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판단이 긍정이면, 스텝(S60)의 프로세스가 즉시 실행된다. 한편, 판단이 부정이면, 즉, 매칭이 수용된 휴대기가 부 휴대기(300)이면, 제어는 스텝(S40)으로 진행된다.
스텝(S40)은 또한 위치 검출 섹션으로서 조작한다. 주 휴대기(200)가 차량 실외 발신기(106)의 검출 영역 또는 차량 실내 발신기(102 및 104)의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스텝(S40)의 판단을 수행하기 위해 스 텝(S40)의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 요청 신호가 차량 실내 발신기(102, 104) 및 차량 실외 발신기(106)로부터 서로 상이한 시기에 발신될 수 있다. 이후에, 제1 응답 신호가 수신기(116)에 의해 수신될 때, 스텝(S40)에서의 판단은 긍정이 된다. 주 휴대기(200)가 차량 실외에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때 차량 실외 발신기(106)로부터 주기적으로 발신된 요청 신호에 의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텝(S40)의 판단이 긍정일 때, 제어는 스텝(S30)에서 주 휴대기(200)가 검출되었다고 판단될 때와 같이 스텝(S60)으로 진행된다. 한편, 판단이 부정일 때, 즉, 주 휴대기(200)는 검출되지 않았을 때, 제어는 스텝(S50)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스텝(S20)에서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고 판단된 부 휴대기(300)의 검출 영역이 조작 허용된 도어의 검출 영역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조작 허용된 도어는 D 좌석 도어, RR 좌석 도어, P 좌석 도어, LR 좌석 도어 및 화물칸 도어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미리 설정된다. 조작 허용된 도어의 검출 영역은 각각의 조작 허용된 도어에 인접하게 설정된 검출 영역이다.
많은 도어 중에서 조작 허용된 도어는 주 휴대기(200)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변경은 부 휴대기(300)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의해서는 이루어 지지 않는다.
스텝(S50)에서의 판단이 긍정이면, 제어는 스텝(S60)으로 진행된다. 스텝(S60)에서, 스텝(S20)에서 매칭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이후의 시간 주에 중에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로서 설정된 센서(118) 또는 스위치(120)가 도어 개방을 위 해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터치 센서(118) 및 화물칸 도어 스위치(120) 중 어느 하나는 주 휴대기(200) 및 부 휴대기(3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로서 설정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휴대기(300)용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는 주 휴대기(200)용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의 일부, 예컨대, 조작 허용 도어 내에 배치된 센서(118) 및 스위치(120)로서만 한정된다. 또한,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의 설정은 주 휴대기(20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변경될 수 있지만, 부 휴대기(3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는 변경되지 않는다.
스텝(S60)에서의 판단이 긍정이면, 스텝(S70)에서의 프로세스 및 후속 스텝이 실행되고,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잠금 해제된다. 한편, 스텝(S60)에서의 판단이 부정이면, 이 루틴은 도어를 잠금 해제하지 않고 종결된다. 또한, 부 휴대기(300)가 스텝(S50)에서 조작 허용된 도어의 검출 영역 내에 있지 않다고 판단될 때, 이 루틴은 도어를 잠금 해제하지 않고 종결된다.
스텝(S70)에서, 스텝(S20)에서 매칭이 확인된 휴대기가 주 휴대기(200)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판단이 긍정이면, 스텝(S90)이 실행된다. 한편, 판단이 부정이면, 즉, 매칭이 수용된 휴대기가 부 휴대기(300)이면, 제어는 스텝(S80)으로 진행된다.
스텝(S80)은 또한 위치 검출 섹션으로서 조작하고, 주 휴대기(200)가 차량 실외 발신기(106)의 검출 영역 또는 차량 실내 발신기(102 또는 104)의 검출 영역 내에서 검출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S80)의 판단은 스텝(S40)과 유사 하기 때문에, 스텝(S40)의 판단 결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요청 신호가 다시 차량 실내 발신기(102, 104) 및 차량 실외 발신기(106)로부터 서로 상이한 시기에 발신될 수 있다.
스텝(S80)에서의 판단이 긍정이면, 제어는 스텝(S90)으로 진행되고, 소정의 정상 잠금 해제 조작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예컨대, 만일 모든 출입 도어의 잠금 해제의 조작이 정상 잠금 해제 조작으로서 설정되면, 이로 인해 스텝(S90)의 프로세스는 모든 출입 도어를 잠금 해제하도록 실행된다.
한편, 스텝(S80)에서의 판단이 부정이면, 제어는 스텝(S100)으로 진행되고, 소정 제한적 잠금 해제 조작이 실행된다. 제한적 잠금 해제 조작은 도어의 일부만의 잠금 해제로서 설정된다. 예컨대, 이 제한적 잠금 해제의 조작은 그 터치 센서(118)가 접촉된 RR 좌석 도어 또는 LR 좌석 도어에 대해서만 실행될 수 있고, 이는 통상 어린이에 대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텝(S90 및 S100)은 도어 제어 섹션으로서 조작한다. 어느 도어가 정상 잠금 해제 조작 시에 잠금 해제 되고, 어느 도어가 제한적 잠금 해제 조작 시에 잠금 해제 되는지는 부 휴대기(300)로부터 발신된 신호가 아닌 주 휴대기(200)로부터 발신된 신호에 의해서만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잠금 해제 제어 이후에, 엔진 시동을 허용하는 프로세스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 주기에서 실행된다.
스텝(S200)에서, 엔진 시동 스위치의 조작이 검출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판단이 부정이면, 스텝(S200)에서의 프로세스는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판단이 긍정이면 제어는 스텝(S210)으로 진행된다. 스텝(S210)에서 잠금 해제 조작 시에 사용되는 휴대기, 즉 그 매칭이 도사의 스텝(S20)에서 확인된 휴대기가 부 휴대기(300)인지 여부가 확인된다. 판단이 긍정이면, 제어는 스텝(S240)으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S210)에서의 판단이 부정이면, 제어는 스텝(S220)으로 진행된다.
스텝(S200)의 프로세스는 위치 검출 섹션으로서 조작하고, 이는 부 휴대기(300)가 차량 실내에서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은 도4의 프로세스를 실행한 결과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 실내 발신기(102 및 104)로부터 요청 신호를 서로 상이한 시기에 다시 발신하고, 수신기(116)에 의해 수신되는 제2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스텝(S220)의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텝(S220)에서의 판단이 부정이면, 즉, 잠금 해제 조작에 사용된 키가 부 휴대기(300)가 아니고, 부 휴대기(300)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는 스텝(S230)으로 진행된다.
스텝(S230)에서, 정상 영역에서 요청 신호를 발신함으로서 차량 내의 정상 영역에서 실내 매칭이 실행된다. 정상 영역은 엔진 시동을 허용하기 위한 시동 허용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차량 실내가 정상 영역으로 설정되고, 후속적으로 제1 차량 실내 발신기(102) 및 제2 차량 실내 발신기(104)는 요청 신호를 발신하도록 지시된다.
스텝(S210) 또는 스텝(220)에서의 판단이 긍정이면, 즉, 도어가 부 휴대기(300)에 의해 잠금 해제되거나, 부 휴대기(300)가 검출되면, 제어는 스텝(S240) 으로 진행된다. 스텝(S240)에서, 축소된 영역 내에서 요청 신호를 발신함으로써 차량 내의 축소된 영역에서 실내 매칭이 실행된다. 축소된 영역은 시동 허용 영역인 정상 영역 보다 좁은 영역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차량 실내 발신기(102)의 검출 영역이 축소된 영역으로 설정되고, 제1 차량 실내 발신기(102) 만이 요청 신호를 발신하도록 지시된다.
스텝(S230) 또는 스텝(S240)에서의 프로세스 이후에, 제어는 스텝(S250)으로 진행된다. 매칭이 확인되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스텝(S230) 및 스텝(S240)에서 요청 신호가 발신된 이후에 소정 시간 주기 내에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스텝(S250)의 판단은 부정이다. 한편,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소정 매칭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따라서, 스텝(S250)에서의 프로세스도 매칭 섹션으로서 조작한다. 매칭의 결과로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사전에 등록된 휴대기에 상응하지 않을 때라도, 스텝(S250)에서의 판단은 부정이다. 스텝(S250)에서의 판단이 부정일 때, 이 루틴은 종결되고 엔진 시동은 금지된다.
스텝(S250)에서의 판단이 긍정일 때, 즉, 매칭이 확인될 때, 제어는 스텝(S260)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매칭이 확인된 휴대기가 주 휴대기(200)인지 여부가 더 확인된다. 판단이 긍정이면, 스텝(S270)에서 엔진 시동 허용 신호가 엔진 ECU(122)로 출력된다. 엔진 시동 허용 신호를 수신한 엔진 ECU(122)는 따라서 엔진을 시동한다.
스텝(S260)에서의 판단이 부정이면, 즉, 매칭이 확인된 키가 부 휴대기(300)이면, 제어는 스텝(S280)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부 휴대기(300)이기 때문에 엔 진 시동이 금지된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해 스피커(도시 안됨)로부터 경보가 발행된다. 스텝(S270) 및 스텝(S280)에서의 프로세스는 엔진 또는 모터 제어 섹션으로서 조작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서, 주 휴대기(200)로부터의 제1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는 잠금 해제되고 엔진 시동이 허용된다. 그렇지만, 부 휴대기(300)로부터의 제2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는 잠금 해제되지만, 엔진 시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 휴대기(300)가 차량을 운전할 수 없는 어린이와 같은 사람에 의해 소지될 때, 부 휴대기(300)를 가진 사람은 주 휴대기(200)를 가진 사람이 차량에 도달하기 전까지 단지 차량 내에 탑승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차량이 단지 부 휴대기(300)를 가지는 사람에 의해 부적절하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도아가 부 휴대기(300)로부터의 제2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잠금 해제될 때,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이 운전석 및 보조석만을 포함하고 뒷좌석을 포함하지 않는 좁은 영역으로 한정된다. 이로 인해, 엔진 또는 모터가 부 휴대기(300)만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우발적으로 시동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한, 제한적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운전석 및 전방 보조석을 포함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려고 할 때 엔진 시동은 주 휴대기(200)를 가진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을 때 허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부 휴대기(300)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도어의 수는 주 휴대기(200)에 의해 잠금 해제되는 도어의 수보다 적다. 따라서, 부 휴대 기(300)만을 가진 사용자가 불필요한 도어를 열어서 의도하지 않게 인접 차량을 충격하는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매칭이 확인된 휴대기가 부 휴대기(300)일 때의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는 매칭이 확인된 휴대기가 주 휴대기(200)일 때의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의 일부이다. 따라서, 예컨대, 잠금 해제 제어는 부 휴대기(300)만을 가지는 사용자에 대해 불필요한 도어로부터 수행될 수 없어서, 잠금 해제 제어는 운전석용 출입 도어 상에 배치된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지 않으므로, 부 휴대기(300)만을 가진 사용자가 불필요한 도어를 개방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실시예는 많은 다른 방식으로 조정 및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린이와 같이 차량을 운전할 수 없는 사람이, 이러한 사람에 의해 우발적으로 차량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량에 제일 먼저 탑승할 수 있게 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차량의 외부 및 내부의 소정 검출 영역에 발신 요청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발신기(102, 104 및 106)와,
    발신기의 발신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휴대기(200, 300)와,
    휴대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16)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해 소정의 매칭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한 매칭 수단(110)과,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응답 신호에 의거하여 휴대기가 존재하는 검출 영역을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수단(110)과,
    매칭 수단에 의해 매칭된 응답 신호 및 차량 외부의 검출 영역 내의 휴대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차량의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제어 수단(110)과,
    매칭 수단에 의해 매칭된 응답 신호 및 차량 내부의 소정의 시동 허용 검출 영역 내의 휴대기의 위치에 의거하여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엔진 제어 수단(110)을 포함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이며,
    휴대기(200, 300)는 제1 응답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제1 휴대기(200)와 제1 응답 신호와 상이한 제2 응답 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제2 휴대기(200)를 포함하고,
    도어 제어 수단(110)은 제1 응답 신호 또는 제2 응답 신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 해제하고,
    엔진 제어 수단(100)은 단지 제1 응답 신호만에 대한 응답으로 엔진의 시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제1 응답 신호의 경우에 비해서, 제2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보다 좁게 설정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차량 내의 모든 좌석을 포함하고,
    제2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차량 내의 운전석 및 전방 보조석만을 포함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차량 내부의 검출 영역 내에서 제2 휴대기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차량 내부의 검출 영역 내에서 제2 휴대기가 검출될 때, 보다 좁게 설정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검출 영역 내에서 제2 휴대기가 검출되지 않을 때, 시동 허용 검출 영역은 차량 내의 모든 좌석을 포함하고,
    차량 내부의 검출 영역 내에서 제2 휴대기가 검출될 때, 시동 허용 검출 영 역은 차량 내의 운전석 및 전방 보조석만을 포함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잠금 해제된 도어는 제1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잠금 해제된 도어의 단지 일부인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1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잠금 해제되는 도어는 검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제1 휴대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 단지 제2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모두 잠금 해제 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는 휴대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고 휴대기가 차량 외부의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조건 하에서 도어의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대한 응답으로 잠금 해제되고,
    제2 응답 신호의 경우의 도어 잠금 해제 제어를 위해 검출되는 도어의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는 제1 응답 신호의 경우의 도어의 잠금 해제 허용 스위치의 단지 일부인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제1 휴대기가 검출 영역 중 어느 하나에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될 때, 제1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도어 잠금 해제 제어를 위해 검출되는 잠금 해제 스위치는 모두 제2 응답 신호만에 대한 응답으로 검출되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제어 수단 및 엔진 제어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휴대기에 의해 원격으로 변경가능하지만, 제2 휴대기에 의해서는 변경 불가능한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휴대기(200) 만이 수동으로 도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도어의 키 실린더와 결합가능한 기계식 키(214)와, 제1 응답 신호가 제1 휴대기로부터 발신되도록 엔진 시동 스위치의 근방에 배치된 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소정 주파수의 전파로부터 전력을 받는 계전기를 가지는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070065239A 2006-06-30 2007-06-29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082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82075A JP4535031B2 (ja) 2006-06-30 2006-06-30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JP-P-2006-00182075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676A true KR20080002676A (ko) 2008-01-04
KR100825163B1 KR100825163B1 (ko) 2008-04-24

Family

ID=3855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65239A KR100825163B1 (ko) 2006-06-30 2007-06-29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4199B2 (ko)
JP (1) JP4535031B2 (ko)
KR (1) KR100825163B1 (ko)
CN (1) CN100595797C (ko)
DE (1) DE10200702521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89035B2 (en) * 2005-07-20 2007-10-30 Lear Corporation Seat folding apparatus with a passive radio frequency link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JP4604904B2 (ja) * 2005-08-01 2011-0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200670A1 (en) * 2006-02-27 2007-08-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state of vehicle closure
US9024721B2 (en) 2006-02-27 2015-05-0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anging state of vehicle closure
JP2007332739A (ja) *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4535031B2 (ja) * 2006-06-30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JP4404100B2 (ja) * 2007-03-06 2010-01-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載器
US8299894B1 (en) 2008-02-29 2012-10-30 John Semeniuk Vehicle unlocking systems
US8487743B2 (en) * 2008-08-18 2013-07-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alet keyfob system
US20100148920A1 (en) * 2008-12-15 2010-06-17 Earl Warren Philmon Automated presence detector for motor vehicles
CN102087760B (zh) * 2009-12-04 2013-01-02 以勤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认证干扰系统
KR101369777B1 (ko) * 2009-12-22 2014-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 장치 및 인체 통신을 이용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방법
US8755949B2 (en) 2009-12-22 2014-06-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lematics system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portable device having telematics function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service using human body communication
KR101251531B1 (ko) * 2011-09-21 2013-04-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원격시동 시스템 및 방법
US9102299B2 (en) * 2011-12-21 2015-08-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river identification by a remote device
CN102541005B (zh) * 2011-12-30 2017-07-18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汽车远程控制装置和方法
JP5928876B2 (ja) * 2012-03-01 2016-06-01 株式会社デンソー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US8933778B2 (en) * 2012-09-28 2015-01-13 Intel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key fob pairing for multi-factor security
US9373208B2 (en) * 2013-09-11 2016-06-21 Sony Corporation Secure remote control for operating closures such as garage doors
JP6142775B2 (ja) * 2013-10-28 2017-06-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エンジン始動操作システム
EP3090412A2 (en) * 2013-12-31 2016-11-0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Bluetooth verification for vehicle access systems
JP6421620B2 (ja) * 2015-01-26 2018-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
JP6515833B2 (ja) * 2016-02-11 2019-05-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19513616A (ja) * 2016-04-05 2019-05-30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ドアが直後に開放されることを示すピクトグラムの自動表示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WO2017191480A1 (en) * 2016-05-02 2017-11-09 Dura Automotive Systems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US10223852B2 (en) * 2016-11-09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vehicle access
US10487564B2 (en) * 2017-05-03 2019-11-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ctuator adjustment for autonomous vehicles
JP6635102B2 (ja) * 2017-10-24 2020-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635103B2 (ja) * 2017-10-24 2020-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EP3744580B1 (en) * 2019-05-29 2022-06-01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Identification of vehicle occupants in a vehicle
JP7338565B2 (ja) * 2020-06-01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認証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721144B2 (en) * 2021-08-24 2023-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iminating unexpected activation of components of a vehicle when parked in a garag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2966A (en) * 1987-05-21 1993-10-12 Trw Inc. Transmitter for remote control system for door locks
SE500633C2 (sv) * 1992-03-02 1994-08-01 Scarinus Dev Ab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att fjärrstyra en eller flera av ett fordons funktioner
US5602535A (en) * 1994-07-15 1997-02-11 The Friedkin Corporation Vehicle security system based on two step communication range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US6140938A (en) * 1995-04-14 2000-10-31 Flick; Kenneth E. Remote control system suitable for a vehicle and having remote transmitter verification
JP3538954B2 (ja) * 1995-04-20 2004-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19990080356A (ko) * 1998-04-16 1999-11-05 권혁도 자동차 도난방지 및 경보장치
US20050242923A1 (en) * 1998-04-16 2005-11-03 David Pearson Passive entry systems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DE19839355C1 (de) * 1998-08-28 2000-04-13 Daimler Chrysler Ag Fahrzeugsicherungssystem mit Keyless-Go-Funktionalität
JP3632463B2 (ja) 1998-09-30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KR20000074203A (ko) * 1999-05-19 2000-12-15 이용훈 차량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0035920A (ko) * 1999-10-04 2001-05-07 이상훈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리모트 컨트롤
FR2800782B1 (fr) * 1999-11-10 2001-12-21 Valeo Securite Habitacl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systeme d'acces et/ou de demarrage dit "mains libres"
DE10018762B4 (de) * 2000-04-15 2011-06-22 Volkswagen AG, 38440 Diebstahlsich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146037A1 (de) * 2000-09-23 2002-06-13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576767B2 (ja) * 2001-07-30 2010-11-10 マツダ株式会社 遠隔解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ユーザー端末及び該ユーザー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プログラム
JP3738981B2 (ja) * 2001-09-28 2006-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遠隔操作システム
US6744364B2 (en) * 2001-10-25 2004-06-01 Douglas L. Wathen Distance sensitive remote control systems
JP2004068419A (ja) * 2002-08-06 2004-03-04 Mazda Motor Corp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4276523B2 (ja) * 2003-11-14 2009-06-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5273264A (ja) * 2004-03-24 2005-10-06 Tokai Rika Co Ltd 作動制御装置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JP4435632B2 (ja) * 2004-07-09 2010-03-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KR100569190B1 (ko) * 2004-07-12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키 레벨인식 기능을 갖는 이모빌라이저 장치
JP2006233533A (ja) * 2005-02-24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遠隔操作装置
US7400243B2 (en) * 2005-06-28 2008-07-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vehicle
US20070040650A1 (en) * 2005-08-18 2007-02-22 Handley Steven L Wireless controlled security system
JP4535031B2 (ja) * 2006-06-30 2010-09-0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25211B4 (de) 2013-01-31
KR100825163B1 (ko) 2008-04-24
JP4535031B2 (ja) 2010-09-01
DE102007025211A1 (de) 2008-01-03
JP2008008111A (ja) 2008-01-17
US7474199B2 (en) 2009-01-06
CN100595797C (zh) 2010-03-24
CN101097634A (zh) 2008-01-02
US20070229219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163B1 (ko) 차량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JP3988618B2 (ja) 車両の遠隔制御装置
KR100776110B1 (ko) 차량-탑재 장비 제어 시스템
JP4604904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529762B2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JP3976186B2 (ja) 無線式施解錠装置
JP3646077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US8089343B2 (en) Smart entry system
JP2015190273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217724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7945316B (zh) 门控制系统、控制装置和移动装置
KR100817659B1 (ko) 차량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40385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JP2010077666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5168052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9209578A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4367195B2 (ja) 車両の無線式自動暗号照合施解錠装置
KR100749606B1 (ko) 차량 탑재 기기 제어 시스템, 차량측 유닛 및 휴대기
JP5257129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10077887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4288701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2005200895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7275931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00262A (ja) ドア施解錠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