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513A -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513A
KR20070104513A KR1020077007762A KR20077007762A KR20070104513A KR 20070104513 A KR20070104513 A KR 20070104513A KR 1020077007762 A KR1020077007762 A KR 1020077007762A KR 20077007762 A KR20077007762 A KR 20077007762A KR 20070104513 A KR20070104513 A KR 2007010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lip
sliding surface
lip
main sea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사토
마사루 와타나베
코우이치 미즈노야
타케오 오타니
히데노리 아라이
소우스케 이토
료우타 오쿠보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16C33/782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 F16C33/7823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sealing region of sealing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4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r cooling of the sealing its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54Surface rough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주 시일 립(6)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1)로서,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특성을 개량할 것을 목적으로 하며, 주 시일 립(6)이 상대부재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61)에,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요철가공을 실시한 요철 가공부(63)를 형성하고, 립 엣지(62)로부터 요철 가공부(63)가 형성되기까지의 범위는,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요철가공이 실시되지 않은 플레인부(64)로 하였다. 또한, 요철 가공부에는 표면요철가공이 아닌,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65) 내지는 오목형 나사(67) 또는 격자형상 돌기(68)를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밀봉장치{SEALING DEVICE}
본 발명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에 이용되는 주(主) 시일 립(seal-lip)이 1단의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밀봉장치의 일종인 오일 시일(seal)에 관하여, 밀봉특성 이외에 마찰특성(저(低) 프릭션화)의 개량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쇼크 업소버에는 2단 립 구조의 주 시일 립과 더스트 시일 립으로 이루어진 오일 시일이 사용되며, 이 경우, 주 시일 립의 2단째 시일 립에 표면요철가공(satin finishing), 나사가공(screwing processing), 평행돌기(parallel projections) 등을 형성하여 마찰특성을 개량하는 내용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2단째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에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오일막이 개재(介在)하는 공간을 형성하여 마찰특성을 개량한 것인데,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경우에 적용하였을 때, 밀봉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것은 2단 시일 립 구조와 비교할 때, 작은 접촉폭에 따른 프릭션의 저감, 작은 시일 립 단면에 따른 공간절약화, 내 마모성의 향상과 같은 장점이 있는데,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것에서도 마찰특성의 개량이 요망되어 왔다.
또한, 요철 가공부(roughed portion)에 축방향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에 관하여 하기의 특허문헌 2를 통해 제안된 바 있으나, 특허문헌 2도 주 시일 립이 2단 시일 립 구조인 경우에 형성한 것으로, 밀봉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경우에 설치하는 것에 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355740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138091호
본 발명은 이상의 사항을 감안하여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에 있어서,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특성을 개량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밀봉장치는,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로서, 상기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으로서 립 엣지(lip edge)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離間)된 위치에 요철 가공부(roughed portio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관한 밀봉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으로서 립 엣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3에 관한 밀봉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으로서 립 엣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오목형(船底) 나사(concave threads)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청구항 4에 관한 밀봉장치는,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밀봉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으로서 립 엣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격자형상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거둔다.
즉, 상기 구성을 구비한 청구항 1에 관한 밀봉장치는,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에 형성된 요철 가공부의 요철에 의해, 슬라이딩면에 오일막을 개재(介在)시켜 마찰특성을 개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요철 가공부는 슬라이딩면의 립 엣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이에는 플레인부(plane portion)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인부에 의해 밀봉대상을 시일하여 밀봉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즉,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특성을 개량한다는 양 특성이 양립한 밀봉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이기 때문에, 작은 접촉폭에 따른 프릭션의 저감, 작은 시일 립 단면에 따른 공간절약화 및 내마모성의 향상 등, 종래의 2단 시일 립 구조에 비해 유리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청구항 2 내지 4에 관한 밀봉장치에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추가하여, 요철 가공부가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 내지는 오목형 나사 또는 격자형상 돌기이기 때문에, 요철 가공보다 가공면이 균일해지며, 슬라이딩면에 개재하는 오일막의 양을 일정하게 하여 마찰특성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 내지는 오목형 나사 또는 격자형상 돌기를 성형 가류(加硫)하기 위한 금형을 선반 등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정확한 거칠기(粗度)의 확보 및 균일한 돌기배열의 설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높은 자유도로 마찰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3에 관해서는 이들에 추가하여, 압력부하에 있어서의 시일 립이 전면(全面) 접촉상태일 때에는, 주 시일 립의 선단부의 부상(浮上)이 억제되므로, 플레인부의 접촉폭을 안정시켜 밀봉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비교예의 마찰력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비교예의 누출량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돌기형상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비교예의 마찰력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비교예의 누출량에 관한 비교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밀봉장치(sealing device)
2 : 금속링(metal ring)
3 : 시일 본체(seal main body)
4 : 고정 밀접부(fixed tight contacting portion)
5 : 시일부
6 : 주 시일 립(main seal lip)
61 : 슬라이딩면(sliding surface)
62 : 립 엣지(lip edge)
63 : 요철 가공부(roughed portion)
64 : 플레인부(plane portion)
65 : 돌기(projections)
66 : 선단부(top end portion)
67 : 오목형 나사(concave threads)
68 : 격자형상 돌기(lattice-shaped projections)
7 : 더스트 시일 립(dust seal lip)
71 : 제 1 시일 립(first seal lip)
72 : 제 2 시일 립(second seal lip)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는 특별히 한정적으로 기재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며,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장치(1)는 단면이 원통형상인 금속링(2)과, 금속링(2)에 가류(加硫)접착되어 있는 고무형상 탄성체로 이루어진 시일 본체(3)를 구비한다. 시일 본체(3)는 금속링(2)의 외주측에서 밀봉대상측(내부측)에 위치하며 도시되지 않은 하우징에 밀착되는 고정 밀접부(4)와, 금속링(2)의 내주측에 위치하며 도시되지 않은 축에 대해 밀접하여 슬라이딩하는 시일부(5)가 일체 가류에 의해 금속링(2)에 가류접착되어 있다. 시일부(5)는 금속링(2)보다 내부측에 위치하며 내부측을 향해 연장되고 주로 내부 유체인 오일을 시일하는 기능을 갖는 1단 시일 립 구조의 주 시일 립(6)과, 금속링(2)보다 외부측에 위치하며 외부측을 향해 연장되고 주로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시일하는 기능을 갖는 더스트 시일 립(7)으로 이루어지며, 더스트 시일 립(7)은 제 1 시일 립(71)과 이것보다 내부측에 있는 제 2 시일 립(72)으로 이루어진 2단의 시일 립 구조로 되어 있다.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에는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요철 가공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 가공부(63)는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기 위해 표면요철가공(표면에 배 껍질과 같은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립 엣지(62)로부터 요철 가공부(63)까지의 소정 거리 사이에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인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요철가공에 의한 표면의 거칠기(粗度)는, 요철의 깊이가 0.5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요철 가공부(63)는 립 엣지(62)에서 0.2 내지 1mm 이간된 위치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장치(1)를 장착한 경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에 형성된 요철 가공부(63)가 상대부재인 축과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면(61)에 오일막을 개재시켜 마찰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마찰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인 실시예 1과, 슬라이딩면에 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플레인부를 형성하지 않고서 슬라이딩면 전면에 표면요철가공을 실시한 경우(비교예 2)에 대한 마찰력의 비교 데이터이다. 이 결과를 통해서도 실시예 1에서, 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에 비해 마찰력이 개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요철 가공부(63)는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인부(64)가 축과 슬라이딩함으로써, 밀봉대상인 오일을 시일하여 밀봉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누출량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과, 슬라이딩면에 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플레인부를 형성하지 않고서 슬라이딩면 전면에 표면요철가공을 실시한 경우(비교예 2)에 대해 실시한 누출량의 비교 데이터이다. 이 결과를 통해서도 실시예 1에서, 슬라이딩면 전면에 표면요철가공을 실시한 경우(비교예 2)에 비해 누출량이 현저히 감소하며, 또한 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와 비교하여도 누출량의 증가가 적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즉, 실시예 1에서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어 양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봉대상측(내부측)에 위치하는 주 시일 립의 접촉폭을 금속링의 축방향 두께(t)에 대하여 0.5 내지 1.0t 정도로 함으로써, 립의 강성(剛性)이 높아지고 내압(耐壓)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상의 주 시일 립에 대해 저(低) 프릭션화가 가능해지며, 슬라이딩시의 오일막(油膜))의 양을 안정시키는 것으로 마찰력의 안정(마찰력 특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요철 가공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은, 오일막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므로, 표면요철가공(satin finished) 이외의 나사가공(screwing processed), 평행돌기(parallel projections) 등, 그 목적하는 범위 내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 하다.
(제 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1)의 주요부 단면을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주 시일 립의 슬라이딩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적인 단면을 나타내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에,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65)가 등간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면(61)에 형성되는 요철 가공부(63)에 축방향으로 평행한 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립 엣지(62)로부터 돌기(65)까지의 소정 거리 사이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인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65)가 형성되는 위치는 립 엣지(62)에서 0.2 내지 1mm 이간된 위치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립 엣지(62)에서 0.3 내지 0.7mm 이간된 위치부터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플레인부(64)가 형성되는 립 엣지(62)로부터의 거리는 0.2 내지 1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립 엣지(62)에서 0.3 내지 0.7mm 이간된 위치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돌기(65)의 단면형상은 삼각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의 돌기의 꼭지각(α)은 60 내지 1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기의 치수 형상에 있어서는, 높이(H)는 2 내지 500㎛, 돌기간 간격(돌기의 정점(頂点)간 거리 ; L)은 0.005 내지 1.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탄성적인 접촉을 가미하면, 높이(H)는 5 내지 100㎛, 돌기간 간격(L)은 0.01 내지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밀봉장치(1)를 장착한 경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의 요철 가공부(63)에 형성된 돌기(65)가 축과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면(61)에 오일막을 개재시켜 마찰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돌기(65)는 요철 가공부(63)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면(61)에 개재하는 오일막의 양을 일정하고도 균일하게 하여 마찰특성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돌기(65)는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플레인부(64)가 축과 슬라이딩함으로써, 밀봉대상인 오일을 시일하여 밀봉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 2로서, 돌기의 꼭지각을 90°, 돌기 높이(H)를 0.3mm, 돌기간 간격을 0.15mm로 한 경우에 대하여, 슬라이딩면에 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슬라이딩면 전면에 축방향 돌기를 형성한 경우(비교예 3)와의 비교결과를 도 6, 7에 나타낸다. 이 결과를 통해서도, 실시예 1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즉, 마찰력에 있어서는, 비교예 1(요철 가공부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개선이 확인되었으며, 누출량에 있어서는, 비교예 3(축방향 돌기를 전면에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현저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2에서도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양 특성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를 가류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선반 등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거칠기의 확보 및 균일한 돌기배열의 설정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높은 자유도로 마찰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 밀봉대상측(내부측)에 위치하는 주 시일 립의 접촉폭을 금속링의 축방향 두께(t)에 대하여 0.5 내지 1.0t 정도로 함으로써, 립의 강성이 높아지고 내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형상의 주 시일 립에 대하여 저 프릭션화가 가능해지고, 슬라이딩시의 오일막의 양을 안정시킴으로써 마찰력의 안정(마찰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에,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오목형 나사(67)가 등간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면(61)에 형성되는 요철 가공부(63)에 축방향으로 평행한 복수의 오목형 나사(67)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립 엣지(62)로부터 오목형 나사(67)까지의 소정 거리 사이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인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제 3 실시형태에서의 밀봉장치(1)를 장착했을 경우, 복수의 오목형 나사(67)가 요철 가공부(63)에 설치되어 있는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이 상대부재와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면(61)에 오일막을 개재시켜 마찰특성 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오목형 나사(67)는 요철 가공부(63)에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61)에 개재하는 오일막의 양을 일정하고도 균일하게 하여 마찰특성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오목형 나사(67)는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 사이에 형성된 플레인부(64)가 상대부재와 슬라이딩함에 따라, 밀봉대상인 오일을 시일하여 밀봉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력부하에 있어서의 시일 립(6,7)이 전면(全面) 접촉상태에서는, 주 시일 립(6)의 선단부(66)가 부상(浮上)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플레인부(64)의 접촉폭을 안정시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오목형 나사(67)를 성형가류하기 위한 금형을 선반 등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거칠기의 확보 및 균일한 오목형 나사의 설정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높은 자유도로 마찰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밀봉장치(1)의 주요부의 단면을 나타내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에,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격자형상 돌기(68)가 등간격으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슬라이딩면(61)에 형성되는 요철 가공부(63)에 격자형상 돌기(6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립 엣지(62)로부터 격자형상 돌기(68)까지의 소정 거리 사이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인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자형상 돌기(68)로서는, 도 9(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격자형상이어도 무방하며, 도 9(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격자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 격자형상 돌기를 형성하는 격자의 크기는, 도 9(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딩면에 개재시키는 오일막의 양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상기한 구성의 제 4 실시형태의 밀봉장치(1)를 장착했을 경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의 요철 가공부(63)에 형성된 격자형상 돌기(68)가 상대부재와 슬라이딩하므로, 슬라이딩면(61)에 오일막을 개재시켜 마찰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격자형상 돌기(68)는 요철 가공부(63)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면(61)에 개재하는 오일막의 양을 일정하고도 균일하게 하여 마찰특성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격자형상 돌기(68)는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까지 형성되지 않으며, 그 사이에 형성된 플레인부(64)가 상대부재와 슬라이딩함으로써, 밀봉대상인 오일을 시일하여 밀봉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격자형상 돌기를 성형가류하기 위한 금형을 선반 등으로 가공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한 거칠기의 확보 및 균일한 돌기배열의 설정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높은 자유도로 마찰력 특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주 시일 립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에 있어서, 밀봉특성을 확보하면서 마찰특성을 개량한 밀봉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Claims (4)

  1. 쇼크 업소버에 사용되는 주 시일 립(6)이 1단 시일 립 구조인 밀봉장치(1)로서,
    상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으로서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요철 가공부(6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으로서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돌기(6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으로서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축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오목형 나사(67)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시일 립(6)의 슬라이딩면(61)으로서 립 엣지(62)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된 위치에 격자형상 돌기(68)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면의 요철 가공부 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KR1020077007762A 2004-09-24 2005-08-03 밀봉장치 KR20070104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6258 2004-09-24
JPJP-P-2004-00276258 2004-09-24
JP2005026456 2005-02-02
JPJP-P-2005-00026456 2005-02-02
JP2005193488A JP2006242373A (ja) 2004-09-24 2005-07-01 密封装置
JPJP-P-2005-00193488 2005-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513A true KR20070104513A (ko) 2007-10-26

Family

ID=3608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62A KR20070104513A (ko) 2004-09-24 2005-08-03 밀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070241515A1 (ko)
EP (1) EP1793146A1 (ko)
JP (1) JP2006242373A (ko)
KR (1) KR20070104513A (ko)
CN (1) CN101027512A (ko)
WO (1) WO2006033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2373A (ja) * 2004-09-24 2006-09-14 Nok Corp 密封装置
US7828300B2 (en) * 2006-09-21 2010-11-09 Nok Corporation Sealing device for reciprocating shaft
EP2171192A4 (en) * 2007-06-12 2013-06-26 Moonju Hardware Co Ltd HINGE DAMPER
JP2009058051A (ja) * 2007-08-31 2009-03-19 Nok Corp 往復動軸用密封装置
JP2009144763A (ja) * 2007-12-12 2009-07-02 Nok Corp 逆止弁
CN102906472B (zh) * 2010-03-12 2016-03-16 Skf公司 低摩擦密封
IT1401377B1 (it) * 2010-08-09 2013-07-18 Skf Ab Unita' di guida e tenuta, in particolare per uno stelo di un ammortizzatore monotubo e complesso anulare di tenuta per la stessa
JP5692504B2 (ja) * 2010-09-21 2015-04-01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20130154192A1 (en) * 2011-12-15 2013-06-20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Us, Inc. Sealing assembly
ITTO20120307A1 (it) * 2012-04-06 2013-10-07 Skf Ab Dispositivo anulare di tenuta
JP5879206B2 (ja) * 2012-05-31 2016-03-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リンダ装置
WO2014183542A1 (zh) * 2013-05-16 2014-11-20 烟台润蚨祥油封有限公司 往复运动密封件
JP2015014303A (ja) * 2013-07-03 2015-01-22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6150737B2 (ja) * 2014-02-03 2017-06-21 株式会社ニフコ ダンパー装置
EP3411214A4 (en) 2016-02-05 2019-11-20 Havi Global Solutions, LLC MICROSTRUCTURED SURFACE HAVING ENHANCED INSULATION AND CONDENSATION RESISTANCE
US10687642B2 (en) 2016-02-05 2020-06-23 Havi Global Solutions, Llc Microstructured packaging surfaces for enhanced grip
MX2018012173A (es) 2016-04-07 2019-03-07 Havi Global Solutions Llc Bolsa de fluido con microestructura interna.
US10434837B2 (en) * 2017-09-28 2019-10-08 Hanon Systems Rib seal on front of dash seal
EP3501960B1 (en) * 2017-12-22 2021-11-10 Campagnolo S.r.l. Bicycle bottom bracket
JP7011716B2 (ja) * 2018-07-09 2022-01-27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JP7058573B2 (ja) * 2018-08-29 2022-04-22 日立Astemo株式会社 緩衝器
CN111015521B (zh) * 2018-10-09 2020-10-09 山东莱阳市昌誉密封产品有限公司 一种降低盒式油封摩擦扭矩的加工方法及其专用喷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4969A (en) * 1966-09-27 1970-10-20 Gen Motors Corp Seal
US3501155A (en) * 1967-05-22 1970-03-17 Gen Motors Corp Bi-directional seal
DE1750169C3 (de) * 1968-04-04 1974-06-12 Goetzewerke Friedrich Goetze Ag, 5673 Burscheid Wellendichtring
US3621952A (en) * 1969-11-05 1971-11-23 Gen Motors Corp Spring loaded piston rod seal
ZA732297B (en) * 1972-04-10 1974-01-30 Repco Res Proprietary Ltd Improved fluid seal
DD107968A1 (ko) * 1972-05-23 1974-08-20
US4118856A (en) * 1974-12-02 1978-10-10 Garlock Inc Bi-directional hydrodynamic shaft seal method
JPS55100749A (en) * 1979-01-29 1980-07-31 Oki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bubble counter
US4288083A (en) * 1980-02-07 1981-09-08 International Packings Corporation Hydrodynamic shaft seal
US4360085A (en) * 1980-11-24 1982-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hock absorber with deflector for high pressure rebound oil
DE3323741C2 (de) * 1983-07-01 1986-07-03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Wellendichtring
US4560177A (en) * 1984-08-09 1985-12-24 Chicago Rawhide Mfg. Co. Contoured shaft seal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US4705277A (en) * 1984-11-08 1987-11-10 Microdot Inc. Hydrodynamic seal
US4822058A (en) * 1987-10-01 1989-04-18 Federal-Mogul Corporation Radial lip seal
JPH02121668A (ja) * 1988-11-01 1990-05-09 Tokyo Electric Co Ltd 浴中ポンプ
JPH02136858A (ja) * 1988-11-18 1990-05-25 Canon Inc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2136858U (ko) * 1989-04-19 1990-11-15
US5195757A (en) * 1991-06-10 1993-03-23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Patterned textured seal
JP3150861B2 (ja) * 1994-12-15 2001-03-26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往復動用密封装置
JP3261275B2 (ja) * 1994-12-28 2002-02-2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密封装置
DE19708932C1 (de) * 1997-03-05 1998-07-09 Contitech Formteile Gmbh Faltenbalg
JPH11270697A (ja) * 1998-03-23 1999-10-05 Nok Corp オイルシール
JP4244442B2 (ja) * 1998-06-12 2009-03-25 Nok株式会社 密封装置
US6736404B1 (en) * 1999-11-04 2004-05-18 Dana Corporation Shaft for use with annular sea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322082B1 (en) * 2000-03-20 2001-11-27 Skf Usa Inc. High pressure seal with contoured stamping I. D.
JP2001355740A (ja) 2000-06-15 2001-12-26 Nok Corp オイルシール
JP2002022027A (ja) * 2000-07-04 2002-01-23 Nok Corp オイルシール
JP2002206644A (ja) * 2001-01-12 2002-07-26 Nok Corp 密封装置
US6729624B1 (en) * 2001-02-20 2004-05-04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Radial shaft seal
US7025357B2 (en) * 2001-06-08 2006-04-11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Shaft seal having lip supports
JP2003074710A (ja) * 2001-08-30 2003-03-12 Nok Corp 密封装置
JP2004138091A (ja) * 2002-10-15 2004-05-13 Nok Corp 往復動シール
JP2006242373A (ja) * 2004-09-24 2006-09-14 Nok Corp 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41515A1 (en) 2007-10-18
US20080272556A1 (en) 2008-11-06
JP2006242373A (ja) 2006-09-14
US20080272558A1 (en) 2008-11-06
WO2006033202A1 (ja) 2006-03-30
EP1793146A1 (en) 2007-06-06
CN101027512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4513A (ko) 밀봉장치
US10612660B2 (en) Gasket
JP5365484B2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EP2151612B1 (en) Oil seal
US4844484A (en) Floating lip seal with reinforced flexible portion
JP5041137B2 (ja) 密封装置
KR102362482B1 (ko) 실 링
EP2821661B1 (en) Sealing device
JP2011094667A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KR20200018671A (ko) 밀봉장치
CN111492161B (zh) 密封装置
JP6689491B2 (ja) ガスケット
JP5545420B1 (ja) シールリング
JP7051310B2 (ja) 密封装置
JP2007232014A (ja) ガスケット
JP2003074707A (ja) 密封装置
WO2020080408A1 (ja) 密封装置
JP5076475B2 (ja) シールリング及び密封構造
JP7428557B2 (ja) 密封装置
JP2008121846A (ja) バックアップリング
JP5504649B2 (ja) 密封装置
JP2018168896A (ja) 密封装置
CN215487381U (zh) 内置刮油环的螺纹环和减振器
JP6456262B2 (ja) シールリング
JP2005233217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