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5029A - 표면 보호 시트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5029A
KR20070085029A KR1020067004384A KR20067004384A KR20070085029A KR 20070085029 A KR20070085029 A KR 20070085029A KR 1020067004384 A KR1020067004384 A KR 1020067004384A KR 20067004384 A KR20067004384 A KR 20067004384A KR 20070085029 A KR20070085029 A KR 2007008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weight
adhesive
parts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이치무라
미키히로 엔도
Original Assignee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니찌방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5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Abstract

적어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표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그 점착제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의 연화제 및 0 내지 20 중량부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시트.
점착제, 점착체층, 표면 보호 시트,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연화제, 점착 부여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Description

표면 보호 시트 {SURFACE PROTECTION SHEET}
본 발명은 제품의 금속면, 유리면, 플라스틱면, 고무면, 도장면 등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장 완성차의 차체 표면의 상도장 도장면을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점착제층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시트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필름 또는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그 우수한 점착 특성과 안정성 등을 이유로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9-221649). 그러나, 폴리이소부틸렌계 점착제는 점착 특성이 우수하지만, 열가소성은 낮고, 또한 압출 적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들 시트의 제조 방법은 용액 피복법(용전(溶展) 피복)에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가공성이라는 관점에서, 스티렌계 폴리머 등의 열가소성 폴리머를 채용한 점착제를 사용한 보호 시트도 시판되고 있으나, 이들 스티렌계 폴리머를 채용한 보호 시트는 가열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점착력 상승이 커서, 박리 작업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5-74627).
본 발명은 가열 또는 시간 경과 후의 점착력 상승이 적고,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과 박리성이 양호하고, 또한 압출 피복법(열용융 피복법)으로도 제조 가능한 표면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은 적어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표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의 연화제 및 0 내지 20 중량부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2) 본 발명은 적어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표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그 점착제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의 연화제 및 0 내지 20 중량부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3) 본 발명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100:0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기재의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4) 점착제의 용융 유량이 190℃, 2.16 kg에서 0.5 내지 300 g/1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5) 점착 부여 수지가 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6) 연화제가, 오일, 파라핀 왁스, 저분자량 폴리부텐, 저분자량 폴리이소프렌,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저분자량 폴리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7) 점착제 중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HALS), 대전 방지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8) 기재의 자외선 투과율이 1% 이하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면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기재된 점착제의 베이스 폴리머에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를 사용함으로써 스티렌계 유래의 점착제의 가공 적성과 이소부틸렌계 유래의 점착제의 점착 특성을 함께 구비한 표면 보호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표면 보호 시트는 실온에서 저온까지 적당한 점착 특성을 가지고,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 박리성이 양호하고, 또한 가열 후의 점착력 증가가 적고, 또한 피착면의 오염이나 부착 자국이 없으며, 또한 내후성도 좋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표면 보호 시트의 제조 공정이 간단하게 되어, 용액 피복법만이 아니라, 압출 피복법(열용융 방법)으로도 표면 보호 시트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라 함은 표면 보호 시트의 지지체 또는 표면재를 의미하고, 필름 또는 시트의 형태이어도 좋다. 기재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단독, 또는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기재에 사용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EVA, EEA,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이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 직포, 종이, 금속 증착 필름, 금속 등의 열가소성이 없는 필름도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점착제가 있는 기재 면의 반대쪽 면에는 문자, 정보, 모양, 그림, 사진 등의 도안이나 단색을 인쇄하여도 되고, 첨부시에 혼입되기 쉬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요철 모양을 만들어도 된다.
기재 중에는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산화티타늄이나 카본블랙을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층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기재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대하여)이고, 필요에 따라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HALS), 대전 방지제, 윤활제 중, 적어도 1종을 배합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 또는 시트는 단층이어도 되고, 적층체이어도 좋다. 이들 기재 필름 또는 시트에, 점착제를 용전 피복법 또는 압출 피복법(열용융 피복)으로 부여함으로써 표면 보호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시트에는 기재 필름에 점착제를 용전 피복법 또는 압출 피복법으로 피복하여 제작된 필름(표면 보호 필름)도 포함된다. 한편, 점착제를 용전 피복법 또는 압출 피복법으로 부여함으로써 기재 필름 또는 시트면 위에 형성된 점착제층은 기재 필름 또는 시트 면 전체를 덮고 있어도 되고, 일부에 격자상의 점착제층이 없는 부분이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 보호 시트(표면 보호 필름)는 사용 전에 롤 상태로 감겨 있어도 좋다. 또한, 표면 보호 시트(표면 보호 필름)는 필요에 따라서 기재 필름 또는 시트의 점착제층이 있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박리제에 의한 박리제 처리를 해 두어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표면 보호 시트」라 함은 제품을 수송 또는 보관할 때, 또는 제품의 가공시에 그 제품의 금속면, 유리면, 플라스틱면, 고무면, 도장면 등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술한 기재와 점착제층으로 제작되는 시트(점착 시트) 또는 필름(점착 필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면 보호 시트를 제작하기 위하여 점착제와 기재를 공압출(열용융 피복) 할 경우에는 인접 수지의 영향을 받으므로, 점착제의 용융 유량( MFR으로도 나타낸다)과 기재 수지의 용융 유량을 고려하여야 한다. 점착제의 용융 유량과 기재 수지의 용융 유량의 차이가 너무 크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기재 수지의 용융 유량은 점착제의 용융 유량과 같은 정도이거나 그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재 수지의 용융 유량이 점착제의 용융 유량보다 클 경우에는, 그 차이는 190℃, 2.16 kg의 조건에서 20 g/10 min 이내, 바람직하게는 10 g/10 min 이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라 함은 상온에서는 고무 탄성을 나타내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되어 성형할 수 있는 고분자 재료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공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라 함은 스티렌과 이소부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스티렌 함량이 3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중량%이며, 나머지 부분이 모두 이소부틸렌인 공중합체이다.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 유량은 230℃, 2.16 kg에서 0.01 내지 150 g/10 min이다.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제품으로는 MFR (230℃, 2.16 kg)=0.6 g/10 min인 (주)가네카 제품인 "SIBSTER102T" 등을 들 수 있으나, 상기 규정의 용융 유량을 가지는 상기 규정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점착제의 용융 유량은 압출 적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190℃, 2.16 kg에서 0.5 내지 300 g/10 min, 더욱 바람직하게는 190℃, 2.16 kg에서 0.5 내지 200 g/10 min, 특히 바람직하게는 190℃, 2.16 kg에서 0.5 내지 100 g/10 min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연화제 및/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연화제 및/또는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에는,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10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부틸 고무 또는 폴리이소부틸렌 중 하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라 함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분자 중에 존재하는 고무상(소프트 세그먼트)과 수지상(하드 세그먼트) 중 수지상 (하드 세그먼트)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의미한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품에는 예를 들면 미츠이 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미라스토머" 등이 있으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부틸 고무」라 함은 이소프렌과 이소부틸렌이 공중합된 합성 고무를 의미한다. 부틸 고무 제품에는, 예를 들면 JSR(주) 제품인 "부틸065" 등이 있으나, 부틸 고무를 포함하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이소부틸렌」이라 함은 이소부틸렌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폴리이소부틸렌의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엑손 모빌·케미칼사 제품인 "비스타넥스" 등이 있으나, 폴리이소부틸렌을 포함하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점착 부여 수지」라 함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배합함으로써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점착성을 띄게 하는 기능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점착 부여 수지로서, 로진계 수지, 텔펜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스티렌계 수지, 또는 지방족계, 지환족계 또는 방향족계 등의 석유 수지 등의 적어도 1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로진 수지 또는 그 변성 로진 수지로 이루어지는 로진계 수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 로진계 수지가 글리세린 에스테르화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화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이다. 이것은 내열성, 내후성이 좋기 때문이다. 점착 부여 수지의 제품에는, 예를 들면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주) 제품인 파인 크리스탈 KE100(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이나 KE311, 에스테르 검 H나 HP, 또는 리카하큐레스(주) 제품인 "펜탈린 H, 포랄 85, 105" 등이 있으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점착성을 갖게 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점착 부여 수지의 점착제 중의 함유량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2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9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8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중량부이다. 점착 부여 수지의 함유량은 피착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연화제」라 함은 점착제의 저온시에 있어서의 점착성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는 물질을 말하고, 연화제로서, 오일, 파라핀 왁스, 저분자량 폴리부텐, 저분자량 폴리이소프렌,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량 폴리α-올레핀 중 적어도 1종류를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오일에는 파라핀 오일, 방향족계 오일, 나프텐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오일 제품에는 예를 들면 신닛폰세키유가가쿠(주) 제품인 닛세키하이졸 SAS 등이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파라핀 왁스에는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파라핀 왁스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신닛폰세키유가가쿠(주)제의 125°파라핀 등이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저분자량 폴리부텐」이라 함은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5000 정도인 액상 폴리부텐을 의미하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폴리부텐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데미쓰 코산(주) 제품인 "이데미쓰 폴리부텐", 신닛폰세키유가가쿠(주) 제품인 "닛세키폴리부텐 HV100, HV300" 등이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폴리이소프렌」이라 함은 분자량이 수천 내지 6만 정도인 이소프렌 중합체인 액상 폴리이소프렌을 의미하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폴리이소프렌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쿠라레(주) 제품인 "쿠라푸렌 LIR" 등이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이라 함은 점도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50000 정도의 폴리이소부틸렌을 의미하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제품으로는, 예를 들면 신닛폰세키유가가쿠(주) 제품인 "테트락스 3T" 등이 있다.
연화제로서 사용되는「저분자량 폴리α-올레핀」이란 말단 부분에 이중 결합이 있는 알켄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연화제로서 사용되는 저분자량 폴리α-올레핀의 제품에는, 예를 들면 이데미쓰코산(주) 제품인 "이데미쓰 폴리α-올레핀"이나 우베코산(주) 제품인 "APAO"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화제 제품은 점착제의 저온시에 있어서의 점착성을 조정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되고, 상기 제품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연화제의 점착제 중의 함유량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중량부이다. 연화제의 함유량은 저온 특성이나 피착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분자량 1만 내지 100만)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 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등이 있고,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제품에는 예를 들면 클레이톤 폴리머 재팬(주) 제품인 "클레이톤 G1657" 등을 들 수 있으나, 스티렌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의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분자량 1만 내지 100만)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등이 있고,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제품에는 예를 들면 JSR(주) 제품인 "다이나론1320P" 등을 들 수 있으나, 스티렌을 포함하는 랜덤 공중합체의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공중합체와의 중량비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전체를 100으로 하였을 때에,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공중합체=100:0 내지 50:5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6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70:30이다. 이 때, 스티렌계 공중합체란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산화 방지제」라 함은 산화 열화에 의한 점착제의 점착력의 변화 및 응집력의 저하를 막는 기능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산화 방지제에는 예를 들면 페놀계 산화 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 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아니하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상기 산화 방지제 중 적어도 1종류를 배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제품에는 예를 들면, 가와구치가가쿠고교(주) 제품인 "안테지 W500, W400, W300, BHT, SP, DBH, DHA, Crystal", 스미토모가가쿠고교(주) 제품인 "스미라이자 TPL, TPP" 등을 들 수 있으나, 산화 열화에 의한 점착제의 점착력의 변화 및 응집력의 저하를 막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자외선 흡수제」라 함은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 산화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자외선 흡수제에는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미립자 산화 세륨 등의 무기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상기 자외선 흡수제 중 1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제품에는 예를 들면, 치바·스페셜티·케미컬(주) 제품인 "치누빈 P" 등을 들 수 있으나,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산화 열화(劣化)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자외선 안정제」에는 예를 들면 힌다드아민(HALS)계 자외선 안정제,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안정제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상기 자외선 안정제 중 1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대전 방지제」라 함은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대전 방지제에는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상기 전도성 수지, 상기 전도성 필러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상기 대전 방지제 중 1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 제품에는 예를 들면, 카오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일렉트로스트리퍼" 등을 들 수 있으나,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면 상기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윤활제」라 함은 플라스틱의 성형 가공시 및 성형 가공후의 제품 표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윤활제에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아미드, 스테아린산칼슘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상기 윤활제 중 1 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예를 들면 5 중량부 이하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 또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로 본 발명의 점착제에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 중 1종류 이상을 배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석,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충전제로서는 폴리에틸렌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재 시트 또는 필름의 박리제 처리에 사용되는 박리제로는 장쇄 알킬계 박리제, 실리콘계 박리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기재의 자외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 [니혼훈코(주)V-570]를 사용하여 190 내지 400 nm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190 내지 400 nm에 걸쳐 측정된 기재의 광선 투과율이 최대값이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점착제의 피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각종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압출피복(열용융 피복)법 또는 용전 피복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를 혼련할 경우, 이하에 한정하지 않지만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니더, 밴버리 믹서 등의 혼련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압출 피복법(열용융 피복)로서는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층 또는 다층의 기재 수지와 공압출에 의한 제법이나, 기재 필름(시트)에 압출 용융 피복하는 제법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는 주지인 피드 블록 다이 또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 등의 다층 다이가 있는 30 mmφ 압출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용융 혼련한 후, 상기 기재 수지와 용융 공압출함으로써 동시에 제막(製膜)하여 본 발명의 표면 보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필름(시트) 수지용 압출기의 설정 온도는 100 내지 28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이다. 점착제용 압출기의 설정 온도는 1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20℃이다. 다이의 설정 온도는 100 내지 28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30℃이다. 인출 속도는 0.1 내지 300 m/ min,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m/ min이다.
기재 필름(시트)에 압출 용융 피복할 경우, 기재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뿐만 아니라, 종이, 금속, 직포, 부직포 등의 비열가소성의 기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용전 피복법은 이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톨루엔, 헥산 등의 용제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농도로 용해하고, 당업자에게 주지의 피복법으로 피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표면 보호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와 필름을 상호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MFR=0.6 g/10 min (230℃, 2.16 kg) 10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로진에스테르계 점착 부여 수지 파인크리스탈 KE100 15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4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페놀계 산화 방지제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치누빈 P 1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혼련한 후, 아래의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광 선 투과율 0.5% 미만)와 함께 아래의 조건으로 공압출 제막을 실시하고, 박리제 처리 후에 기재 두께 60㎛, 점착제 두께 10㎛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한편, 상기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자외선 투과율은 니혼훈코(주) 제품인 분광 광도계(V-570)를 사용하고, 60㎛ 두께 필름의 190 내지 400 nm의 광선 투과율의 최대치를 측정하였다.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Basell사제 폴리프로필렌(모프렌 440 g MFR=1.3 g/10 min (230℃, 2.16 kg)), JSR제 에틸렌부텐 고무 "EB m2011P"과 이시하라산교(주)제 산화 티타늄(타이페크 A220)을 73:20:7의 중량비로, 이축 혼련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로 혼련한 후, 펠렛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멀티매니폴드 다층 다이가 있는 30 mmφ 압출기로 기재 수지와 상기 혼련한 점착제 조성물(혼련물)을 공압출 제막함으로써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압출 조건: 설정 온도: 필름 수지용 압출기 200 내지 230℃, 점착제용 압출기 170 내지 220℃, 다이 230℃, 인출 속도 10 m/ min.
실시예 2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100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4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의 기재 두께 60㎛, 점착제 두께 10㎛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3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10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파인크리스탈 KE100 18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10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T 다이 압출법으로 제막한 아래의 백색 폴리프로필렌 수지(광선 투과율 0.5% 미만) 로 이루어지는 60㎛ 두께의 시트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다음으로 그 편면을 장쇄 알킬계 박리제를 피복하여 박리제 처리한 후, 그 시트의 반대면 (비박리제 처리면)에 톨루엔에 용해한 상기 조성의 점착액(고형분 22%)을 피복하고, 점착제 두께 10㎛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여기에서, T다이 압출법이란 가열된 다이스의 좁은 간극으로부터 용융 수지를 압출하여 필름을 성형하거나 하는 제막방법을 가리키고, 점착제를 기재 상에 압출하면 점착 시트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2층, 3층을 동시에 압출하여 다층 필름의 제조도 가능하다.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이데미쓰 세키유가가쿠제, J-452 HP MFR=3.5 g/10 min (230℃, 2.16 kg)), JSR제 에틸렌부텐 고무 "EB m2011P"과 산화 티타늄(이시하라산교(주)제, 타이페크 A220)을 73:20:7의 중량비로, 이축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로 혼련한 후, 펠렛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혼련한 후, 상기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함께 실시예 1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공압출 제막을 실시하고, 압출 적성을 확인하였지만, 특별한 문제는 없었다.
실시예4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50부
·스틸렌계 랜덤 공중합체(HSBR):JSR㈜ 다이나론 1320P 5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파인크리스탈 KE100 15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4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점착제 조성의 기재 두께 60㎛, 점착제 두께 10㎛의 점착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3에 기재된 점착 부여 수지의 중량부수를 18 중량부에서 0 중량부로 변경하고, 연화제의 부수를 100 중량부에서 270 중량부로 변경하고, 실시예 3에 기재된 용전 피복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기재된 연화제의 부수를 100 중량부에서 270 중량부로 변경하고, 실시예 3에 기재된 용전 피복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 중 SIBS를 SEPS(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주) 쿠라레 제품 세프론 2063 MFR=7 g/10 min(230℃ 2.16 kg))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 중 점착 부여 수지수량을 35 중량부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이데미쓰 세키유가가쿠제 폴리프로필렌(J-452HP MFR=3.5 g/10 min (230℃, 2.16 kg)), JSR제 에틸렌부텐 고무 "EB m2011P"과 산화 티타늄(이시하라산교(주)제, 타이페크 A220)을 73:20:7의 중량비로, 이축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서 200℃로 혼련한 후, 펠렛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10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파인크리스탈 KE100 30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23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혼련한 후, 아래의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함께 공압출 제막을 실시하였으나, 점착제가 가장자리부에 치우쳐, 균일한 점착 시트를 얻을 수 없었다.
비교예 4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10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파인크리스탈 KE100 15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4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혼련한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MFR=1.6 g/10 min (230℃, 2.16 kg)의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함께 공압출 제막을 실시하였지만, 점착 시트의 기재면에 나무결 상의 무늬가 생기고, 또한 점착제면이 요철상이 되어, 균일한 점착 시트를 얻을 수는 없었다.
비교예5
·스틸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IBS):
(주) 카네카 SBSTER102T 100부
·점착 부여 수지: 아라카와 가가쿠고교㈜ 파인크리스탈 KE100 25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10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미리 혼련한 후, 아래의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함께 공압출 제막을 실시하고, 박리제 처리 후에 기재 두께 60㎛, 점착제 두께 10㎛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백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이데미쓰 세키유가가쿠 제품인 폴리프로필렌(J-452HP MFR=3.5 g/10 min (230℃, 2.16 kg)), JSR제 에틸렌부텐 고무 "EB m2011P"과 산화 티타늄(이시하라산교(주) 제품, 타이페크A220)을 73대 20대 7의 중량비로, 이축 혼련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로 혼련한 후, 펠렛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6
·스틸렌계 랜덤 공중합체(HSBR):
JSR㈜ 다이나론 1320P MFR=0.6 g/10 min (230℃, 2.16 kg) 100부
·연화제: 신닛뽄 세키유가가쿠㈜ 닛세키 폴리부텐 HV300 40부
·산화 방지제: 가와구치 가가쿠고교㈜ 안테지 W500 1부
·자외선 흡수제: 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 치누빈 P 1부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기재 두께 60㎛, 점착제 두께 10㎛의 상기 점착제 조성을 가지는 점착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3의 SIBS를 SIS(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주) 니혼제온 제품, 쿠인타크 3421C)로 바꾸고, 실시예 3에 기재된 용전 피복법으로 점착 시트의 제작을 행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3의 SIBS를 폴리이소부틸렌(PIB, 엑손 모빌·케미칼사 비스터넥스 mmL80)으로 변경하고, 실시예 3에 기재된 용전 피복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5의 연화제의 중량부 수를 270 중량부에서 400 중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MFR 측정 및 얻은 점착 시트의 점착 특성 평가, 실용성 평가는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용융 유량 측정
용융 유량은 (주) 야쓰다 세이미쓰 기카이 세이사쿠쇼 제품인 유량 지수 시험기 KAYENESS 7053을 사용하고, JIS K 721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 온도 190℃, 하중 2.16 kg의 조건하에서 측정을 하였다.
압출 적성은 압출물의 거친 표면(샤크스킨, 나무결상 등)이나 멜트 플렉쳐( melt fracture) 등의 외관 이상의 유무, 또한 현저한 층 두께 불균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점착 특성 평가
도막에 대한 점착력: 180°박리력, 피착체; 난접착성(難接着性) 아크릴계 도막,박리 속도;0.3 m/ min(JIS Z 0237 준거), 측정 분위기;23℃, -20℃.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 180°박리력, 피착체; 난접착성 아크릴계 도막, 박리 속도:40 m/ min, 가열 처리:70℃×5 시간 후, 실온까지 방치 냉각, 측정 분위기:23℃(JIS Z 0237준거)
* 난접착성 아크릴 도막은 PPG사제, 젖음성 (JIS K6768에 준거) 30 dyn/cm 미만의 자동차용 접착성 아크릴 도막 클리어를 사용하였다.
유지력 측정: 유리판의 일단에 폭 20 mm×길이 50 mm의 점착 시트를 면적 20×20 mm2이 접하도록 붙이고, 1 kg의 롤러를 이용하여 1 왕복하여 압착한다. 30분간 방치한 후, 유리판(첨부면)을 수직으로 하고 점착 시트의 여유 부분에 1 kg의 분동을 매달고, 소정의 분위기 온도 하(23℃)에서 1시간 방치 후, 점착 시트의 어긋남을 0.1mm 단위로 읽었다. 한편, 점착 시트가 늘어나는 경우에는 점착 테이프 등으로 점착 시트의 배면에 배판을 덧대어 측정하였다.
실용성 평가
박리 작업성: 난접착성 아크릴 도료를 도장한 도장판에 점착제가 피복된 점착 시트를 첨부, 70℃×5 h의 가열 처리 후, 상온까지 방치 냉각하고, 손으로 박리할 때의 작업성을 평가하였다.
5% 신장 첨부 테스트: 점착제가 피복된 점착 시트를 5% 신장이 되도록 늘린 후, 난접착성 아크릴 도료를 도장한 도장판에 첨부하고, 40℃×12 h 가열 후의 점착 시트의 불량(점착 시트의 수축이나 점착제 나머지 등)을 확인하였다. 점착 시트는 폭 15 mm×길이 80 mm이다.
Figure 112006015306993-PCT00001
Figure 112006015306993-PCT00002
Figure 112006015306993-PCT00003
―: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 : 박리 작업 시에 박리 저항이 크기 때문 연속적인 박리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오염이 있다는 것은 난점착성 아크릴 도막의 점착 시트를 박리한 부분에 점착제의 성분의 일부가 남고, 흐림 또는 변색 등이 관찰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
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1, 2, 4의 점착 시트는 모두 압출 적성이 양호하고 적절한 점착력을 가지는 동시에 가열 후의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의 상승이 적고, 재박리성이 양호한 표면 보호 시트로서 밸런스가 좋은 점착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의 점착 시트는 점착제를 용전 피복법으로 피복하였으나, 표면 보호 시트로서 밸런스가 좋은 점착 특성을 나타내었다. 가열후의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 상승이 적고, 실용성도 양호하였다. 또한, 이 점착제는 압출 적성도 양호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SEPS(스티렌계 블록 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시트는 가열후에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이 크게 상승되고, 박리 작업성이 떨어지는 점착 시트이ㅇ어서, 표면 보호 시트로서는 부적당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 수량을 35 중량부로 한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는 가열 후의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의 상승은 없었지만, 저온 특성이 낮은 점착 시트였다. 비교예 3은 MFR가 지나치게 높아서 압출 적성이 불충분하였다. 비교예 4는 MFR가 지나치게 낮아서 압출 적성이 불충분하였다. 또한, 용전 피복법으로 피복한 점착 시트(용전물)에 있어서도 5% 신장 첨부 테스트에서 수축이 관찰된 표면 보호 시트로서는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한편,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점착 부여 수지 수량을 25 중량부로 한 비교예 5의 점착 시트는 가열 후의 도막에 대한 고속 박리력이 높아지고, 박리시의 작업성이 저하되어, 표면 보호 시트로서는 부적당하였다. 비교예 6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 베이스의 점착 시트는 박리 작업성이 떨어졌지만, 실시예 4의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에 SIBS를 블렌드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는 양호한 박리 작업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교예 7의 디엔계 블록 폴리머인 SIS(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 시트는 박리 작업성에 있어서, 박리후의 도막에 점착 자국이 관찰되었다. 한편, 실시예 3의 SIBS를 채용한 점착 시트에서는 점착 자국 불량은 없었다. 비교예 8의 PIB(폴리이소부틸렌)을 사용한 점착 시트는 박리 작업성은 문제가 없었지만, 주름 없이 깨끗하게 붙이기 위하여 5% 정도의 장력을 가하여 첨부하고, 여름 철의 도막 온도를 상정, 40℃, 12시간 가열하였을 경우(5% 신장 첨부 테스트), 점착 시트에 수축이 일어나고, 도막에 점착 자국이 관찰되었다. 한편, 실시예 3의 점착 시트는 동일한 조건 하에 있어서도 기재의 수축이나 점착 자국 불량은 관찰되지 않았다. 연화제의 양을 400 중량부로 한 비교예 9의 점착 시트에서는 도막이 뿌옇게 흐려지고, 유지력 시험에 있어서 낙하가 인정되었지만, 연화제량이 270 중량부에 있어서의 실시예 5(점착 부여 수지량 0 중량부), 6(점착 부여 수지량 18 중량부)의 점착 시트에서는 그러한 것은 관찰되지 않고 표면 보호 시트로서 양호한 점착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금속면, 글래스면, 플라스틱면, 고무면, 도장면 등을 보호하는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장 완성차의 수송 기간 중 또는 옥외 보관 기간 중에 있어서 차체 표면의 상도장 도장면의 손상, 광택 흐려짐, 변색 등으로부터 보 호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있는 표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의 연화제 및 0 내지 20 중량부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시트.
  2. 적어도 기재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표면 보호 시트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300 중량부의 연화제 및 0 내지 20 중량부 미만의 점착 부여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와, 스티렌/이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 이외의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100:0 내지 50:5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표면 보호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착제의 용융 유량은 190 ℃, 2.16 kg에서 0.5 내지 300 g/10 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표면 보호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는 수소 첨가된 로진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표면 보호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연화제는 오일, 파라핀 왁스, 저분자량 폴리부텐, 저분자량 폴리이소프렌,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및 저분자량 폴리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인 표면 보호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점착제 중에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HALS), 대전 방지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표면 보호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재의 자외선 투과율은 1% 이하인 것인 표면 보호 시트.
KR1020067004384A 2005-01-14 2006-01-16 표면 보호 시트 KR20070085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0389 WO2006075383A1 (ja) 2005-01-14 2005-01-14 表面保護シート
WOPCT/JP2005/000389 2005-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5029A true KR20070085029A (ko) 2007-08-27

Family

ID=3667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84A KR20070085029A (ko) 2005-01-14 2006-01-16 표면 보호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286571A1 (ko)
EP (1) EP1837384B1 (ko)
JP (1) JP3887402B2 (ko)
KR (1) KR20070085029A (ko)
CN (1) CN1942313B (ko)
AT (1) ATE461256T1 (ko)
DE (1) DE602006012931D1 (ko)
WO (2) WO2006075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512A (ja) * 2005-11-01 2007-05-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5155527B2 (ja) * 2005-06-06 2013-03-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048964B2 (ja) * 2006-04-11 2012-10-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11097A (ja) * 2006-10-06 2008-05-15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27447A (ja) * 2006-11-20 2008-06-05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08087720A1 (ja) * 2007-01-17 2008-07-24 Nichiban Company Limited 表面保護シート
JP4890340B2 (ja) * 2007-05-01 2012-03-07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300310B2 (ja) * 2008-04-25 2013-09-25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176811B1 (ko) * 2008-09-11 2012-08-24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DE102008047964A1 (de) 2008-09-18 2010-03-25 Tesa Se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FR2939142B1 (fr) * 2008-12-03 2010-12-31 Michelin Soc Tech Objet pneumatique pourvu d'une couche etanche aux gaz a base de deux elastomeres thermoplastiques
DE102008060113A1 (de) * 2008-12-03 2010-07-29 Tesa Se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JP5626949B2 (ja) * 2008-12-12 2014-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塗膜保護シート
JP4831706B2 (ja) * 2009-09-04 2011-12-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ポリマー積層体およびそれをインナーライナーに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WO2011062932A1 (en) * 2009-11-18 2011-05-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013045B1 (ko) 2009-11-18 2019-08-2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다층 광학 필름
JP5586928B2 (ja) * 2009-12-01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CN101906275A (zh) * 2010-06-28 2010-12-08 苏州斯迪克电子胶粘材料有限公司 透气性保护膜
JP5330350B2 (ja) 2010-07-07 2013-10-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ライナー用ポリマー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KR101886455B1 (ko) * 2010-09-07 2018-08-0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점착 시트 및 전자 디바이스
JP5247852B2 (ja) 2010-11-05 2013-07-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5225431B2 (ja) 2010-12-06 2013-07-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トリッ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EP2805997B1 (en) 2012-01-16 2023-03-08 Ajinomoto Co., Inc. Resin composition for sealing
JP5868748B2 (ja) 2012-03-19 2016-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JP2013194130A (ja) 2012-03-19 2013-09-30 Nitto Denko Corp 塗膜保護シート
JP5961474B2 (ja) * 2012-07-31 2016-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3709947A (zh) * 2012-09-28 2014-04-09 日东电工株式会社 表面保护片
JP2014162821A (ja) * 2013-02-22 2014-09-08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JP6137491B2 (ja) * 2014-03-31 2017-05-3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タイヤ用粘着シート
JP6417863B2 (ja) * 2014-08-26 2018-11-0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シート
FR3037966B1 (fr) * 2015-06-24 2019-08-16 Novacel Film adhesif sensible a la pression et son utilisation pour la protection de surfaces
WO2018178781A2 (en) * 2017-03-31 2018-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rising low molecular weight polyisobutylene polymer and styrene isobutylene block copolymer
CN109825160A (zh) * 2018-12-27 2019-05-31 新纶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高阻隔性铝塑膜及其粘合涂层的制备方法
WO2021024303A1 (ja) * 2019-08-02 2021-02-11 Apmジャパン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並びに通信機器用粘着剤及び光学パネル用粘着剤
CN112322235A (zh) * 2020-09-28 2021-02-05 宏源防水科技集团有限公司 可自主产生斥水层的非沥青基预铺防水卷材用热熔压敏胶
CN115011177A (zh) * 2022-07-14 2022-09-06 江苏锐剑科技有限公司 一种三元乙丙防水卷材用环保底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29035C3 (de) * 1973-06-07 1978-03-3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wendung einer Mischung aus einem Äthylen-Methylacrylat-Copolymerisat und einem klebrigmachenden Harz als Haftkleber
JP2974533B2 (ja) * 1993-03-26 1999-11-1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3370198B2 (ja) * 1993-12-28 2003-01-27 三井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962645B2 (ja) * 1993-12-28 1999-10-1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812949A (ja) * 1994-07-01 1996-01-16 Sekisui Chem Co Ltd 粘着フィルムもしくはテープ
JPH0920881A (ja) * 1995-07-07 1997-01-21 Sony Chem Corp 粘着剤および粘着テープ
JPH09176581A (ja) * 1995-12-26 1997-07-08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
JPH09235524A (ja) * 1996-02-28 1997-09-09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0298514A (ja) * 1997-04-28 1998-11-10 Mitsui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WO1999023186A1 (fr) * 1997-10-31 1999-05-14 Nichiban Company Limited Feuille adhesive sensible a la pression protectrice de surface et composition adhesive sensible a la pression pour ladite feuille
JP4188464B2 (ja) * 1998-09-08 2008-11-26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0104030A (ja) * 1998-09-29 2000-04-11 Arakawa Chem Ind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当該粘着剤組成物用粘着付与剤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409647B2 (ja) * 1999-01-18 2010-02-03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EP1743928A1 (en) * 2004-03-26 2007-01-17 Kaneka Corporation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2313A (zh) 2007-04-04
WO2006075745A1 (ja) 2006-07-20
CN1942313B (zh) 2011-10-26
JP3887402B2 (ja) 2007-02-28
EP1837384B1 (en) 2010-03-17
WO2006075383A1 (ja) 2006-07-20
ATE461256T1 (de) 2010-04-15
EP1837384A1 (en) 2007-09-26
JPWO2006075745A1 (ja) 2008-06-12
DE602006012931D1 (de) 2010-04-29
US20080286571A1 (en) 2008-11-20
EP1837384A4 (en)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5029A (ko) 표면 보호 시트
JP4275191B1 (ja) 表面保護シート
KR101614820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또는 시트
KR101690353B1 (ko) 표면 보호 필름
US20100143633A1 (en) Surface protection sheet
JP337019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6257247A (ja) 粘着フィルム
JP4115787B2 (ja) 表面保護シート
TW201033322A (en) Surface protective film
JPH09239915A (ja) 表面保護用粘着シート
JP5420211B2 (ja) 保護フィルム
JP2007076127A (ja) 粘着フィルム
JP2013194130A (ja) 塗膜保護シート
JP6396221B2 (ja) カバーテープ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カバーテープ
JP5102226B2 (ja) 表面保護シート
JP6515917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011561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3121856A1 (ja) 粘着シート
WO2013121855A1 (ja) 粘着シート
JP6231919B2 (ja) カバーテープ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カバーテープ
JP2002226813A (ja) 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JP56156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121847A1 (ja) 表面保護シート
JP2003213485A (ja) 金属メッキ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2020026531A (ja) 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