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914A -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914A
KR20070003914A KR1020067018264A KR20067018264A KR20070003914A KR 20070003914 A KR20070003914 A KR 20070003914A KR 1020067018264 A KR1020067018264 A KR 1020067018264A KR 20067018264 A KR20067018264 A KR 20067018264A KR 20070003914 A KR20070003914 A KR 2007000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nd cover
binder
superstructure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하텐버그
Original Assignee
테라엘라스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라엘라스트 아게 filed Critical 테라엘라스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0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01C11/226Coherent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other binders, e.g. synthetic material, i.e.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상부구조가 광물골재와 조직 결합재가 결합되어 압축되며, 하층(substratum)에 도포하는 그라운드 덮개(1)에 있어서, 상부구조(6)와 하부구조(2)를 갖춘 다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구조(2)는 하층(substratum)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래층(4)과 상기 상부구조와 접하는 소형(undersize) 입자들의 평균(average) 크기 kballast가 5mm에 달하는 자갈층(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관련한다.
본 발명을 통해 그라운드 덮개는 표면이 밀폐되지 않고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큰 기계적인 하중을 특별한 문제없이 견딜 수 있는 결합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하층, 그라운드 덮개, 결합재, 상부구조, 하부구조

Description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Water-permeable ground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a ground covering}
본원 발명은 하층(substratum)에 도포하기 위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covering)와 관련하며, 각각의 경우에 그라운드 덮개의 상부구조는 광물골재들(mineral aggregates)과 조직 결합 물질들의 압축된 결합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한다.
걷거나 운행하기 위한 도로, 공공장소, 그리고 다른 표면들에 있어 그라운드 덮개에 의해 표면들을 강화하는 것은 잘 알려진 기술이다. 콘크리트, 아스팔트, 돌, 목재 덮개 등은 잘 알려진 기술이다. 표면 수분의 배출과 관련한 단점은 수분흡수성이 낮거나 심지어는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표면들의 밀폐(sealing)와 관련해서 자주 언급이 되고 있으며, 배수시스템에 의해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한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표면 밀폐(surface-sealing)와 관련하여 생태학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는 현상은 강의 흐름에 수분이 증가하게 되고, 많고 지속적인 폭우 또는 빙하가 녹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강에 거대한 급류를 형성하게 한다. 결과는 재앙이 발생하는 것이 다: 더욱 빈번하게 홍수가 발생하고 공공의 하수처리 플랜트가 과부하되면 그라운드 수분의 양을 낮추는데 실패하게 된다.
더 많은 요구사항들이 건설적인 특성과 관련해서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습기발생시의 성능, 해충에 대한 저항성, 방음적인 특성, 화학적인 영향과 화재에 대한 반응성 등과 관련된다. 의미있는 건설적인 인자들을 나타내는 압력에 대한 저항력, 굽힘 탄성력, 구름 또는 접촉과 충격 또는 끌림에 대한 마모 저항성, 프레싱에 대한 저항성과 같은 특성들을 가진 그라운드의 내구성은 대부분의 중요한 요구사항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별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로나 스포츠 그라운드의 건설에 있어서, 플라스틱 격자(grid) 플레이트들은 뛰어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한 격자 플레이트들은 독일 공개공보(DE 197 20 006 C2)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독창적인 형상과 개방 구조의 결과로서, 한편으로는 도보나 운행이 가능하도록 표면강화를 하도록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표면밀폐를 막게 되어 물-제어가 가능하다.
구역으로 놓여지는 격자 플레이트들은 사력층이나 잔디, 양토 또는 부식토와 같은 하층(substratum) 위로 곧장 놓여진다. 또한, 모래 또는 자갈(ballast)층이 하층에 놓여지고 그 위에 격자 플레이트를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모래나 자갈층에 의해서 그라운드의 불균형적인 경사도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포츠 그라운드 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도포 가능하다면 트레드(tread) 층이 몇몇 센티미터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경주용 그라운드가 대체적으로 모래 바닥으로 구성되거나, 골재(목재 또는 플라스틱 조각)들이 포함된 모래의 바닥으로 구성되거나, 나무 조각들로만 구성된 경우에 있어서 트레드층이 격자플레이트와 함께 스포츠 그라운드 덮개의 상부구조를 형성한다. 응력 그리고 변형률 및 트레드층의 결합을 고려할 때, 최종적으로 격자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부에서부터 8 내지 15 센티미터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나, 넓은 영역에 놓여질 때 격자 플레이트들의 비교적 높은 비용과 또한 그들의 평탄하지 않은 구조는 단점이 된다.
평평하고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표면 구조를 가진 덮개들은 독일 공개공보(DE 197 33 588 A1)에 나타나 있다. 물을 흡수하는 덮개는 광물골재들과 조직 부착제에 의해 혼합되어 생산된다. 상기의 혼합물은 완전히 견고해지지 않고 변형가능한 상태에서 도포되어 축적된다. 대부분의 조직 결합재들(binding materials)은 투입물(charge)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재가 광물골재들과 함께 혼합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과정은 경화되기 전에 진행된다.
결합된(bound) 광물골재들로 이루어진 이러한 덮개에 대한 단점은 하층(substratum)과의 결합력이 약하다는 것이고, 이는 외부의 그라운드의 주기적인 냉동과 해동에 의해서 바로 기계적인 응력과 변형률을 손상시킨다. 건물 재료들의 화학적, 물리적 및 생물학적인 부식, 풍화, 하부토양의 파괴등은 이로부터 기인한 다.
명백하게 공공 건물의 책임자들은 그러므로 그라운드 덮개는 표면이 밀폐되지 않기를 바라면서 탈 것들(vehicles)과 같은 큰 기계적인 하중을 특별한 문제없이 견디면서, 넓은 영역이 싼 비용으로 덮어지기를 바란다.
이러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목적은 심지어는 복잡한 형상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라도 공지된 그라운드 덮개 및 격자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비용이 저렴한 그라운드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계적인 하중 수용력(loading capacity)과 관련하여, 그라운드 덮개는 덮여진 영역을 사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들도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단순하면서 저렴한 방법으로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에 관련한다. 이에 따를 때, 그라운드 덮개는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갖춘 다수의 층 구조를 가지며, 하층(substratum)에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래층과 상부구조와 접하는 자갈층을 갖는다. 자갈층내의 소형(undersize) 입자의 평균(average) 크기 kballast는 5mm 또는 그 이상에 달한다.
실제로, 단순히 격자시스템이나 결합된(bound) 광물골재들로 이루어진 덮개의 공급수명과 부하 수용력은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본원발명과 같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구성된 덮개 구조의 결과로서 결합된 광물골재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하층으로 물-흡수능력과 관련한 상부구조의 긍정적인 특성을 채택할 수 있다. 하부구조의 대부분의 재료들은 하부구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층에 균일한 하중분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심지어는 상부구조에서 집중적인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하층과 접하는 넓은 모래층에 분산됨으로써, 상부구조의 압력-부하 수용력(pressure-loading capacity)은 이미 알려진 방법들에 비교할 때 결정적으로 상승된다.
수분 조절력과 관련하여 하부구조내의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상부구조와의 연결통로(passage)에 의해서 더 큰 장점을 가진다. 많은 비중의 양토를 가진 하층에 있어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의 물 저장능력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면의 물은 상부구조를 관통하여 하부구조에 의해서 흡수되어 수평적으로 배분된다. 이에 따라, 거대한 양의 물은 짧은 시간내에 채워질 수 있고 하층(substratum) 또는 배수 시설이 물을 배출시킬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러한 배수능력은 높은 공극률(voidage)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다양한 돌의 크기나 광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극률(voidage)도 방음에 탁월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덮개의 실시예들은 탁월한 물-흡수 값을 보여주고 있다. 필드분석에서, DIN 18 035-6, 섹션 5.1.6.3 과 섹션 5.1.6.2에 따라서 그라운드 덮개의 물-흡수 값은 결정되고 종래의 물-흡수하는 스포츠 그라운드 구조와 비교되었다. 여기에서, DIN 18 035-6에서 요구량들은 여러 차례 반복해서 만족되었다. 47 mm의 상부구조의 두께 d0의 층의 경우에서 물-흡수 값 k*=0.51 cm/s였다. DIN 18 035-6, 테이블 3에 따를 때 요구사항은 0.01 cm/s 이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부구조의 자갈의 각각 크기는 물-흡수 값과 그라운드의 물 조절력에 더욱 더 만족할 만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소형(undersize)의 입자들이 5mm 또는 그 이상에 대해서 평균(average) 결정(grain) 크기에 관한 탁월한 값을 제시한다. 시행을 반복하면서 자갈의 평균(average) 결정(grain) 크기 kballast는 5 내지 16mm, 16 내지 22mm, 16 내지 32mm의 범위에 놓여진다. 상기에 언급된 범위 중 하나에 놓인 자갈층의 결정에서, 자갈층은 다양한 결정 크기의 자갈들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압축된 자갈층의 평균(average) 층의 두께 ds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mm 사이가 적합하다.
상기 골재들의 결정(grain) 크기 또한 물리적으로 그라운드 덮개의 침투력에 영향을 미친다. 골재들의 평균(average) 결정(grain) 크기는 1 내지 7mm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그라운드 덮개의 층구조는 기계적인 저항력에 상당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심지어는 평균(average) 결정 크기가 5mm의 값의 이상의 크기라도 물리적으로 분열이 발생하는 위험의 증가없이 크게할 수 있다. 이러한 침투력은 결정의 직경의 증가에 따라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덧붙여서, 이러한 결정 크기들에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물과 조직적인 미세한 부분들이 들어감으로 인한 침투력의 감쇠는 낮아진다.
상부구조의 오픈된-흡수공(open-pore)의 구조는 결과적으로 표면 마찰계수를 크게 하므로, 그라운드 덮개는 운송수단에 대한 미끄럼 방지, 산책로, 계단과 강연공간들을 위해 적합하며, 사고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압력-부하 수용력과 양호한 물-흡수력과 관련하여 상부구조의 가장 적합한 두께는 30 내지 60mm 사이에서 결정된다. 물론 더 낮은 값들도 가능하지만 이럴 경우 압력-부하 수용력과 관련하여서는 떨어질 수 있다. 상부구조에 대한 층의 두께를 더 크게 할 경우 단지 압력-부하 수용력에 대한 약간의 향상을 가져오게 할 뿐, 그라운드 덮개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최적범위는 그러므로 상기에 언급된 범위에 놓여진다.
일반적으로 결정-크기의 분류(distribution)는 DIN 66145에 의해서 정의된다. 파라미터 n은 적어도 9에 이르며, 각각의 경우에 1% 의 크기초과나 크기감소 입자들을 무시하면서 결정된다.
결합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이핵형(two-component)의 폴리우레탄 결합재가 적합하다. 이핵형(two-domponent)의 에폭시 레진(resin) 결합재 또는 일핵형(one-component)의 폴리우레탄 결합재도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핵형(two-domponent)의 에폭시 레진 결합재가 상품명 Kryorit를 사용하는 Koch Marmorit 회사를 통해서 만들어져 이용될 수 있다.
이핵형(two-domponent) 에폭시 레진 결합재를 사용함에 있어 중요한 잇점은 환경친화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덮개는 예를 들어, 곰팡이 류에 어떠한 독성효과를 주지 않으며, 그리고 미생물적으로 파괴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라운드 덮개로부터 녹아 분리될 수 있는 물질들은 쉽게 파괴될 수 있음을 재료 테스트에서 확인했다. 워싱(washing) 테스트에서는 표면의 물과 덮개의 물질들간에는 화학적 상호작용이 없음을 증명하였고, 그러므로 표면 물은 덮개를 관통하여 스며들어 하수시스템으로 유도되거나 지하수로 안전하게 배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덮개는 어떠한 환경적인 악영향없이 흙이나 자갈 워싱시스템에 사용 단계 후에는 처분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분쇄(comminution) 후에 그래뉼러(granular)된 재료로서 재사용 또한 가능하다.
상기 결합재를 처리할 때, 두가지 방법이 구별된다. 만약 상부구조 또는 하부구조의 구성요소들이 단편조각이거나 모래가 고정되기 위한 것이라면, 이런 요소들은 앞서 기술되었던 균질(homogenized)의 결합재와 현장(in situ)에서 유리하게 혼합되고 배치된다. 자갈 또는 다른 비교적 거친 낱알의 재료가 고정되기 위한 것이라면, 에폭시 레진 또는 폴리우레탄과 강화제들이 또한 현장(in situ)에서 혼합되고, 자갈 표면에 액체형태로 분사된다. 결합재는 내부로 흘러서 각각의 자갈 결정들 또는 그래뉼러(granular)된 재료를 서로 결속한다.
상기 언급된 결합물질들의 높은 결합력의 결과로서 넓은 영역의 재료들이 응집과 모세관반응으로 인해 매우 좋은 점착력(adhesion)으로 결합된다. 이것은 상기 언급되었던 그라운드 덮개의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압력-부하 수용력에 덧붙여서 기여한다.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인접하는 층사이의 결합은 높은 부하 수용력에 매우 효과적이며 이로 인해 또한 탈것(vehicle)에 대해 그라운드 덮개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매우 자주 시각적으로 끌리는 그라운드 공간 컬러링의 구성은 바람직하다. 골재로서 색깔있는 석영 모래 또는 자연석들을 사용함으로써, 200가지가 넘는 칼라의 변화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그라운드 덮개의 컬러링(coloring)의 구성에 제한은 없다. 건축가들은 이러한 칼라 영향들을 인상적인 방법으로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특히 잘 안다.
덧붙여서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저항치들은 운송도로 덮개의 적합성에 중요하고, 본원 발명에 일치하는 그라운드 덮개는 높은 공극도의 결과로서 또한 탈것의 소음을 예를 들어 아스팔트보다 더 확실한 방법으로 흡수할 수 있다. 특별히 가장 적합한 값은 상부구조에 적어도 45%의 공극도를 갖는 경우이다.
본원 발명의 그라운드 덮개와 관련하여 더 효과적인 구현예는 청구항 11 내지 14의 특징으로부터 비롯된다.
본원 발명에 있어,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한 목적은 청구항 15의 특징들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에 따를 때, 생산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하층에 결합재와 모래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을 도포,
상기 결합재와 모래의 혼합물을 압축,
상기 모래층에 결합재와 자갈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을 도포,
상기의 최종 도포된 층에 골재들과 결합재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로 구성된 상부층의 도포,
상기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의 압축, 그리고
상기 층들의 경화 단계.
강력한 층들의 서로간의 결합은 첫번째 층을 압축한 후에 경화되기 전에 그 위로 다른 층을 곧바로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것은 중단되지 않는 연속도포와 층에 의해 층을 가압하는 것을 요구한다.
더 효과적인 본원 발명의 그라운드 덮개와 관련한 실시예는 청구항 16항 내지 20항의 특징으로부터 비롯된다.
도 1 은 이단층의 하부구조를 가지며 하층에 도포된 그라운드 덮개의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삼단층의 하부구조를 가지며 하층에 도포된 그라운드 덮개의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의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그라운드 덮개(1)의 절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현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삼단층을 가지는데, 최저면에는 하부구조(2)가 하층(3)에 도포된다. 하부구조(2)가 도포되기 전에 하층(3)은 먼저 준비되어져야 한다. 하층(3)은 서리가 방지되는 40 내지 60cm의 깊이의 더그(dug)이다. 하부구조(2)와 하층(3) 사이의 연결은 해동-냉동 주기에 따른 부식적인 작용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이러한 파진 깊이는 추천된다.
하부구조(2) 자체는 하층과 접촉하는 일련의 모래, 소위 모래층(4)과, 그 위로 배치된 자갈층(5)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먼저 결합재와 모래가 함께 혼합된 투입물(charge)이 투입된다. 결합재는 이핵형(two-component) 폴리우레탄 결합재이다. 이핵형 에폭시 레진 또는 일핵형 폴리우레탄 결합재도 정확하게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투입물(charge)이 투입된 이후에, 변형가능하고 경화되지 않는 동안 방해가 없다면 혼합은 진행된다. 이로 인해 모래층(4)을 하층(3)에 될 수 있으면 평평하고 균일하게 도포함으로써 자리를 잡게 된다. 압축된 모래층(4)의 층두께 dsand는 적어도 20mm에 달한다.
이미 진행중인 모래층(4)의 압축과 경화 후에는 자갈층(5)이 도포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소형(undersize) 입자들의 평균(average) 크기가 5mm에 달하는 입자들에 있어, 자갈의 평균(average) 결정(grain) 크기 kballast 는 5 내지 16mm의 범위에 있다. 균일한 특성들은 한정된 결정 크기 범위에서 얻어진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혼합물을 모래층(4)에 가능하면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해 자갈은 결합재와 혼합된다. 이후에, 자갈층(5)는 기계적인 진동기에 의해 압축된다. 그럼으로써, 자갈층 (5)는 약 500mm의 평균(average) 층두께 ds 를 가진다.
최종적으로, 최종단계에서 보여질 수 있는 개방된 흡수공을 갖는 상부구조 (6)의 도포되어 축적된다. 먼저, 150g/cm2 양의 결합재가 상부구조(6) 과 하부구조 (2)를 각각 굳건한 교착을 위해서 자갈층(5)내로 뿌려진다. 결합재의 관통 깊이는 약 150mm 에 이른다. 결합재가 경화되기 전에 미리 광물골재층은 도포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결합재와 혼합된 광물골재들의 혼합물이 여전히 변형가능한 상태에서 도포된다. 골재들은 앞서 실시예에서 사용된 색깔이든 화강암을 포함하여 화강암, 규암, 현무암 및 수정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화강암의 평균(average) 결정 크기는 2 내지 5mm의 범위에 놓인다. 결정 크기의 분류(distribution)는 DIN 66145에 따라 적어도 9의 매개변수를 가지며 각 경우마다 1%의 크기초과나 크기감소 입자들은 무시되면서 정의된다.
혼합물이 도포된 후에, 이것은 롤러를 통해 압축되고 칼날이 장착된 평탄용 스크리드(screed)로서 평탄화된다. 압축은 10 내지 50 N/cm2의 접촉력이 효과적이다. 압축 후의 상부구조는 50mm의 층두께 d0를 갖는다. 압축후에, 상부구조는 경화된다. 이로써, 그라운드 덮개는 개시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어느 층을 아래에 놓여진 층에 도포하기 전에 아래의 층이 경화된 층인 경우에는 이런 과정은 불필요하다. 대조적으로, 아직 경화되기 전에 층을 도포하는 것은 서로간의 층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결과가 된다.
본원 발명에 따를 때 그라운드 덮개(1)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는 또 다른 모래층(4')의 결과로서 더욱 더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추가된 모래층(4')은 자갈층(5)에 도포되고, 하층면과 접촉한 모래층(4)과 마찬가지로 결합재에 의해 고정화된다. 더 양호한 접착력을 위해, 결합재는 자갈층(5)에 모래층(4')가 도포되기 전에 자갈층(5)에 뿌려진다. 압축 후에, 상부구조 6를 도포하여 축적하는 것은 도 1에 따르는 실시예에 기재된 같은 방법을 따른다.
본원 발명은 하층(substratum)에 도포하기 위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관련하며 또한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가진다.

Claims (20)

  1. 상부구조가 광물골재와 조직 결합재가 결합되어 압축되며, 하층(substratum)에 도포하는 그라운드 덮개(1)에 있어서,
    상부구조(6)와 하부구조(2)를 갖춘 다층구조를 가지며,
    상기 하부구조(2)는 하층(substratum)과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래층(4)과 상기 상부구조와 접하는 소형(undersize) 입자들의 평균(average) 크기 kballast가 5mm에 달하는 자갈층(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covering).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와 상기 하부구조(2), 상기 하부구조(2)의 층들은 각각 접착에 의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들의 그래뉼화된 결정 크기 kz는 1 내지 7mm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의 평균(average) 층두께 d0 는 30 내지 60mm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의 공극률(voidage)은 45% 까지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골재들은 규암, 화강암, 현무암 및 석영(quartz)에서 선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골재들은 1 내지 3mm, 2 내지 3mm, 2 내지 4mm, 2 내지 5mm 또는 3 내지 7mm 범위의 결정의 평균(average) 크기 dk를 가지면서 한정된(narrow) 결정 크기 분포(distribution)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골재들은 둥근 결정과 적어도 20%의 각진 결정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이핵형(two-component) 에폭시 레진 결합재 또는 일핵형(one-component) 폴리우레탄 결합재 또는 이핵형(two-component) 폴리우레탄 결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의 골재들의 일부분은 색깔이 가미되며, 상기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석영(quartz) 모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모래층(4)의 평균(average) 층두께 dsand는 20mm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층(5)은 소형(undersize) 입자들을 가지며, 상기 소형(undersize) 입자들의 평균(average) 크기 kuballast는 5mm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 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층(5)의 평균(average) 결정(grain) 크기 kballast는 5 내지 16mm, 16 내지 22mm 또는 16내지 32mm의 범위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층(5)의 평균(average) 층두께 ds는 400 내지 500mm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3)에 결합재와 모래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을 도포;
    상기 결합재와 모래의 혼합물을 압축;
    상기 모래층(4)에 결합재와 자갈(5)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을 도포;
    상기의 최종 도포된 층에 골재들과 결합재의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로 구성된 상부층의 도포;
    상기 여전히 변형가능한 혼합물의 압축;
    상기 층들의 경화 단계; 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 산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는 상기 상부구조와 접하는 하부구조(2)의 층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미리 하부구조(2)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또 다른 모래층(4)이 상기 자갈층(5)이 도포된 이후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8. 제 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층(5)이 상기 모래층(4)에 도포되기 전에, 예를 들면 뿌리는 방식으로 상기 모래층에 도포되는 결합재의 층(4)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19. 제 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구조(6)는 상기 자갈층(5)에 도포되기 전에, 예를 들어 뿌리는 방식으로 상기 자갈층(5)에 도포되는 결합재의 층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20. 제 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의 층의 관통 깊이 t는 적어도 150mm 에 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덮개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1020067018264A 2004-02-07 2005-01-14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방법 KR20070003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06165A DE102004006165B4 (de) 2004-02-07 2004-02-07 Wasserdurchlässig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odenbelags
DE102004006165.3 2004-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914A true KR20070003914A (ko) 2007-01-05

Family

ID=3480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264A KR20070003914A (ko) 2004-02-07 2005-01-14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70223998A1 (ko)
EP (1) EP1716291A1 (ko)
KR (1) KR20070003914A (ko)
CN (1) CN1981090A (ko)
AU (1) AU2005211168A1 (ko)
CA (1) CA2555307A1 (ko)
DE (1) DE102004006165B4 (ko)
MX (1) MXPA06009497A (ko)
RU (1) RU2370588C2 (ko)
WO (1) WO2005075741A1 (ko)
ZA (1) ZA2006074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1004B2 (en) * 2006-07-19 2008-04-01 Shaw & Sons, Inc. Aquifer replenishment system
US8162563B2 (en) * 2006-07-19 2012-04-24 Oceansafe Llc Aquifer replenishment system with filter
CN1948622B (zh) 2006-10-31 2012-04-18 易志坚 聚合物改性水泥孔隙混凝土路面结构及施工方法
FR2910182A1 (fr) * 2006-12-18 2008-06-20 Thomson Licensing Sas Perfectionnement aux antennes planaires a fente rayonnante
DE102007039650A1 (de) 2007-08-22 2009-02-26 Henkel Ag & Co. Kgaa Verklebter Bodenbelag
PL2193107T3 (pl) * 2007-09-14 2020-03-31 Basf Se Sposób wytwarzania zawierających minerały warstw ścieralnych dla wyłożeń podłoża
DE102008019439A1 (de) 2008-04-17 2009-10-22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m Verkleben von Granulaten
DE102008030954A1 (de) * 2008-07-02 2010-01-14 Kohlstadt, Hans-Peter Wasserdurchlässiger, befahrbarer mehrschichtiger Bodenbelag und seine Herstellung
DE202008008740U1 (de) 2008-07-02 2008-09-04 Kohlstadt, Hans-Peter Wasserdurchlässiger, befahrbarer mehrschichtiger Bodenbelag
DE202008010793U1 (de) 2008-08-05 2008-10-16 Kohlstadt, Hans-Peter Sanierung eines wasserdurchlässigen, befahrbaren mehrschichtigen Bodenbelages mit Rissen
DE102008039595A1 (de) 2008-08-25 2010-03-04 Kohlstadt, Hans-Peter Sanierung eines wasserdurchlässigen, befahrbaren mehrschichtigen Bodenbelages mit Rissen
DE112009003630T5 (de) * 2008-11-28 2012-08-02 Bridge Co., Ltd. Straßenbelagkörper,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Straßenbelagkörpers und eine Gussform für Beton
DE102008044395A1 (de) 2008-12-05 2010-06-10 Wacker Chemie Ag Dränbeton-Zusammensetzung
PL2516345T3 (pl) 2009-12-21 2021-02-08 Soiltec Gmbh Kompozytowa struktura nawierzchni
CA2691669A1 (en) * 2010-02-01 2011-08-01 Chris Andersen Road mat
CN102465483B (zh) * 2010-11-01 2013-12-25 华中农业大学 人行道侧渗流带
JP5813308B2 (ja) * 2010-11-30 2015-11-1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保水性舗装及びその製造方法
US8312690B1 (en) * 2012-02-29 2012-11-20 T.B. Penick & Sons, Inc. Pervious concret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pervious concrete
CN102776821A (zh) * 2012-08-07 2012-11-14 张美玲 一种分层透水砖
US20140272369A1 (en) * 2013-03-14 2014-09-18 Jonathan Todd King Pervious concrete permeable grout
BE1021351B1 (nl) * 2014-10-20 2015-11-05 Green Road Nv Werkwijze en samenstelling voor het aanleggen van een ecologische, waterdoorlaatbare oppervlakteverharding
CN104452583B (zh) * 2014-11-04 2016-04-06 江苏中路工程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复合抗滑磨耗层、制备方法及用途
CN104480825A (zh) * 2014-12-03 2015-04-01 河南力新彩石建材有限公司 一种透水型胶筑透水石的施工方法
EP3402926B1 (en) * 2016-01-15 2020-03-11 Allnex Netherlands B.V. Road surfacing composition
ES2716406T3 (es) * 2016-03-23 2019-06-12 Holcim Technology Ltd Estructura de pavimento de hormigón que comprende una capa de base de hormigón y una capa de desgaste de hormigón mejorado con elastómero
RU2651733C1 (ru) * 2016-12-02 2018-04-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ргСинтезРесурс" Вяжущее для пролива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слоев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CN108265582A (zh) * 2016-12-30 2018-07-10 上海美潘新材料科技有限公司 透水混凝土配置方法
CN106884364A (zh) * 2017-04-20 2017-06-23 北京市政路桥建材集团有限公司 一种快速施工的水泥混凝土桥面防水粘结层及其施工方法
DE202017002433U1 (de) * 2017-05-06 2018-08-07 Karl Kortmann Bausatz mit Betonelementen
JP7095959B2 (ja) * 2017-07-26 2022-07-05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路面の処理方法
CN109183558A (zh) * 2018-09-14 2019-01-11 北京城建十六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人行步道、其层料的制备方法及其施工方法
DE102019123161B4 (de) 2019-08-29 2022-07-28 Andreas Stieglbauer Straßenbelagsystem
RU2728622C1 (ru) * 2020-01-16 2020-07-30 Евгений Евгеньевич Усо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крытия дорожек с эффектом дренажа
CN112176818A (zh) * 2020-07-18 2021-01-05 王春成 一种公路工程用排水结构
CN111996860A (zh) * 2020-07-21 2020-11-27 湖南砼艺市政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生态冷拌透水沥青构造的路面结构的施工工艺
DE102022120632A1 (de) 2022-08-16 2024-02-22 Lutz Weiler Fahrbahn- oder Gehwegbela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17107633B (zh) * 2023-08-26 2024-05-17 宁波天意卓越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彩色人行道的钢桥面铺装结构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8436A1 (de) * 1967-07-27 1971-04-15 Basf Ag Frostschutzschicht im Unterbau von Fahrbahnen
US3687021A (en) * 1970-02-24 1972-08-29 Billy R Hensley Vertically draining flat structures
US3690227A (en) * 1970-07-14 1972-09-12 Lloyd G Welty Frictional self-draining structure
AT318693B (de) * 1973-06-08 1974-11-11 Chemie Linz Ag Verfahren zur Verhinderung eines Wassertransportes aus tieferen Bodenschichten zur Eisgrenze in frostgefährdeten Böden
US3870422A (en) * 1974-06-07 1975-03-11 Medico Christine Porous pavement
US4523755A (en) * 1981-05-28 1985-06-18 Egon Turba Surface for sports areas, particularly tennis courts, and its manufacture
US4797026A (en) * 1984-05-09 1989-0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Expandable sand-grid for stabilizing an undersurface
US4708516A (en) * 1984-06-22 1987-11-24 Miller E James Asphalt pavement
JPS63315710A (ja) * 1987-03-07 1988-12-23 日本植生株式会社 透水性を有するスポ−ツサ−フエ−スの施工方法
DE58901980D1 (de) * 1988-09-07 1992-09-10 Hofmann Jeckel Hanne Tennisplatzbelag.
GB2249102B (en) * 1990-10-24 1993-03-31 Fibrescreed Ltd Structural material and drain
JP2864078B2 (ja) * 1992-09-07 1999-03-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道路等の敷設方法
US5460649A (en) * 1994-06-06 1995-10-24 Strassman; David R. Fiber-reinforced rubber asphalt composition
US5511899A (en) * 1995-02-03 1996-04-30 Greater Lebanon Refuse Authority Light duty roadway surface from recycled waste asphalt roofing shingle materials
US5788407A (en) * 1995-05-01 1998-08-04 Hwang; Ik Hyun Paving method of water-permeable concrete
DE19605990C2 (de) * 1996-02-16 1999-11-04 Gisbert Trawny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odenbelags, insbesondere Wegebelags, sowie Bodenbelag
FR2746821B1 (fr) * 1996-03-28 1998-06-26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Nouvelle structure de chaussee, realisee a partir de materiaux rigides
DE19622852A1 (de) * 1996-05-19 1997-11-20 Helmut Fischer Flächenbefestigung mit Körnungsausfallsand und Polybutadienöl
DE19651748A1 (de) * 1996-12-12 1998-06-18 Claus Dieter Ihle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oder dessen Vorfertigung eines drainagefähigen Schüttgutbelages und/oder Bauelementes für den Bahn-, Straßen- und Wegebau und Hoch- und Tiefbau
DE19720006C2 (de) * 1997-05-13 2002-06-13 Willibald Hergeth Bodenbelag und Decke für Sportplätze
DE19733588A1 (de) * 1997-08-02 1999-02-18 Koch Marmori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durchlässigen Beläg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selben
DE19757746A1 (de) * 1997-12-23 1999-06-24 Quarz Color Steidle Baustoff G Außenbelag mit wasserdurchlässigen Eigenschaften
DE29816625U1 (de) * 1998-09-16 1998-12-10 Amberger Kaolinwerke Eduard Ki Bauelemente zum Belegen von Flächen
DE20002066U1 (de) * 1999-04-06 2000-07-20 Theelen Joerg Versickerungssystem
AT4413U1 (de) * 2000-06-13 2001-07-25 Kleinhagauer Manfred Köder für den fischfang
GB0108701D0 (en) * 2001-04-06 2001-05-30 Formpave Ltd A reinforced permeable paving structure
US6766817B2 (en) * 2001-07-25 2004-07-27 Tubarc Technologies, Llc Fluid conduction utilizing a reversible unsaturated siphon with tubarc porosity action
US7351004B2 (en) * 2006-07-19 2008-04-01 Shaw & Sons, Inc. Aquifer replenish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5741A1 (de) 2005-08-18
AU2005211168A2 (en) 2005-08-18
MXPA06009497A (es) 2007-08-02
CA2555307A1 (en) 2005-08-18
EP1716291A1 (de) 2006-11-02
DE102004006165B4 (de) 2007-01-18
CN1981090A (zh) 2007-06-13
RU2370588C2 (ru) 2009-10-20
ZA200607415B (en) 2007-12-27
AU2005211168A1 (en) 2005-08-18
DE102004006165A1 (de) 2005-08-25
US20070223998A1 (en) 2007-09-27
RU2006132178A (ru)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3914A (ko) 물을 흡수할 수 있는 그라운드 덮개와 이를 생산하기 위한방법
AM et al.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ervious concrete specifications for Maryland conditions.
US11479506B2 (en) Dry mix an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bed ash and related methods
KR100604212B1 (ko) 투수 기능을 갖는 탄성포장재 시공 방법
KR100557300B1 (ko) 토질암반층 조성물, 그의 조성방법 및 그 조성물에 의한도로의 시공방법
US20090038511A1 (en) Carriageway and ground surfacing for carriageways
KR100734177B1 (ko) 격자망을 가지는 탄성포장 구조체
CN108755325B (zh) 一种寒区装配式道路及其施工方法
DE202004001884U1 (de) Wasserdurchlässiger Bodenbelag
JP2006169830A (ja) 弾性舗道の施工方法
WO1999057200A1 (en) Synthetic resin composition, and permeable pavement and permeable material using the same
RU155397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окрыт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JP2006177072A (ja) 土木用被覆材及びそれを用いた路面や法面の被覆方法並びに路面や法面の被覆構造
JP2000178910A (ja) 舗装構造
KR100701925B1 (ko) 재생 시멘트콘크리트 및 탄성칩을 이용한 투수성 바닥재의시공방법
JP3101756U (ja) 歩道構造
JP3065294B2 (ja) 排水性コンクリートの道路舗装工法
KR101627229B1 (ko) 불투수성 고강도 중간층과 배수성 표층을 동시에 포설하는 도로포장 시공 방법
JP5711781B2 (ja) 透水性舗装及びその施工方法
KR950008588B1 (ko) 포장용 다공성 유색 투수팔트 및 이의 포장방법
KR200393573Y1 (ko) 폐시멘트콘크리트 및 탄성칩으로 시공한 투수성 탄성바닥재
KR20080012839A (ko) 차도 및 차도를 위한 지반 포장
JPH07113206A (ja) 透水性舗装法
Kokot et al. Improv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low noise section
SK500512014A3 (sk) Podkladová vrstva inžinierskej konštrukcie a sposob jej vytvore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