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254A -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254A
KR20060129254A KR1020067013898A KR20067013898A KR20060129254A KR 20060129254 A KR20060129254 A KR 20060129254A KR 1020067013898 A KR1020067013898 A KR 1020067013898A KR 20067013898 A KR20067013898 A KR 20067013898A KR 20060129254 A KR20060129254 A KR 20060129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napped
fabric
gradien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유키 후쿠로
히로카즈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으로서, 상기 입모부의 1 이상의 부분 영역에 있어서, 입모부의 높이가 조금씩 줄어듦으로써, 0.5 ∼ 10도의 경사 각도로 구배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Description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PLUSH FABRIC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바탕 조직부와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입모부의 표면에, 완만한 구배부를 갖는, 고급감이 풍부한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내장재, 인테리어 자재, 의료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하여 입모 포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입모 포백 중에서도 포백 표면에 입체 모양을 갖는 것이, 고급감이 풍부한 입모 포백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입체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물리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과 화학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물리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고온 가열 하에서의 조각 롤의 접압에 의한 형태 부여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 슈라이너 가공 등) 가 알려져 있지만, 중가압 하의 가열롤 사이에 포백을 삽입하기 위해서, 감촉의 경화나 포백의 편평화가 매우 커진다는 문제나, 열 롤에 의한 금속 광택을 발생시켜 열 변색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학적으로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성 소다를 주로 포함하 는 알칼리제 등을 인날(印捺)하고 그 인날한 부분을 용해시켜 요철차 (계단 형상의 단차) 를 형성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나, 무기 또는 유기 용제를 섬유 수축제로서 이용하고 그 섬유 수축제를 입모 포백에 분사함으로써 입모사를 수축시켜 깊고 샤프한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계단 형상의 요철차 또는 깊고 샤프한 요철 모양을 갖는 입모 포백은,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또한, 섬유 수축제를 입모 포백에 분사하는 방법에서는, 섬유 수축제가 통상 고점도이기 때문에 노즐부에서 막히거나 컴퓨터 제어의 특수한 분사 장치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고공보 평2-35075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98863호
발명의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급감이 풍부한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으로서, 상기 입모부의 1 이상의 부분 영역에 있어서, 입모부의 높이가 조금씩 줄어듦으로써, 0.5 ∼ 10도의 경사 각도로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이다.
여기서, 상기 입모부에,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2 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어 있고, 구배부의 구배를 따라 색채가 서서히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배부에 있어서, 최대 입모부 높이와 최소 입모부 높이의 심도차가 0.6 ∼ 1.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모부에 복수의 구배부가 형성되고, 이들 복수의 구배부에 의해 모양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의 최대 입모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미세 오목부의 갯수가 12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이러한 최대 입모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미세 오목부의 총 면적이, 상기 40% 영역의 총면적에 대하여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착색 프린트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의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입모부의 높이를 조금씩 줄임으로써, 0.5 ∼ 1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구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 때,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전의 입모부에, 서로 입모사의 높이를 달리 하는 2 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고, 또한 이러한 입모사가,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할 때, 에칭 처리액 토출 구멍의 구멍 직경이 조금씩 증가하는 부분을 갖는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2 ∼ 5개의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중첩하여 화학적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입모부에 구배부 (1) 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다른 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입모부에 구배가 없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입모 포백에 있어서, 입모부의 입모부 높이 L 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입모 포백에 있어서, 복수의 구배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모양의 일례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A)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B)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입모부는, 상기 바탕 조직부에 편조되거나, 또는 직조되고, 상기 바탕 조직부로부터, 그 적어도 1 면 측에 생성되어 있는 있는 복수의 입모사 (컷트 파일)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입모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사로 구성된다. 입모부를 구성하는 입모사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입모사를 2 종 이상으로 하고, 입모사 높이나, 명도, 색상 등을 서로 다르게 해도 된다. 이러한 입모사는, 통상의 권축(捲縮)이 부여된 권축 입모사여도 되고 비권축 입모사여도 된다. 또한, 권축 입모사와 비권축 입모사로 입모부를 구성하여도 된다. 입모부에 권축 입모사가 포함되어 있으면, 입모사의 도복 저항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 권축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가연(假撚) 권축 가공법, 공기 제트 가공법, 압축 권축법 등이 예시된다.
상기 입모사를 형성하는 폴리 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글리콜 성분으로 제조된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주로 테레프탈산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글리콜 성분으로서는 주로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및 테트라메틸렌글리콜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알킬렌글리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글리콜 성분 이외에 제 3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그 제 3 성분으로서는, 양이온 염료 가염성 음이온 성분, 예를 들어, 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 테레프탈산 이외 의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 및 알킬렌글리콜 이외의 글리콜 화합물,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 A, 비스페놀술폰 중 1 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택 제거제 (이산화 티탄), 미세 구멍 형성제 (유기 술폰산 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3 산화 2 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대전 방지제 (술폰산 금속염), 흡습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 입자 중 1 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섬유 섬도 (번수), 또는 이들 중 1 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모부 형성용 사조의 총 섬도 (번수) 등에 제한은 없지만, 단섬유 섬도는 0.5 ∼ 5dtex, 또한 입모부 형성용 사조의 총 섬도는 30 ∼ 300dtex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섬유 섬도가 0.1dtex 미만이면, 얻어지는 도복(倒伏) 저항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얻어지는 입모부의 감촉이 과도하게 부드러워지는 경우가 있고, 또 그것이 10dtex 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입모부의 감촉이, 과도하게 거칠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입모부 형성용 사조의 총 섬도가 30dtex 미만인 경우나 반대로 300dtex 를 초과하는 경우, 권축 가공이나 타 사조와의 혼섬 등의 실 가공시나 제편직시의 취급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단섬유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은 없고, 통상의 원형 단면 이외에 삼각, 편평, 잘록함 부여 편평, 십자형, 6 모양, 혹은 중공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입모부 형성용 사조는, 2 종 이상의 구성 사조로 이루어지는 복합사여도 되고, 그 때, 구성 사조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서로 다르게 하거나 착색제를 넣음으로써, 이색 또는 이염색성으로서도 좋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도 1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모부의 1 이상의 부분 영역에 입모부의 높이 L 가 조금씩 줄어듦으로써 구배부 (1) 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배부는, 입모부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입모사의 선단부를 후기하는 바와 같이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입모부에 구배부가 형성됨으로써, 입모부의 높이가 높은 곳은 담색으로 보이고, 한편 입모부의 높이가 낮은 곳은 그늘이 져서 농색으로 보이고, 게다가 구배에 따라 담색에서 농색으로 서서히 농담이 변화하기 때문에, 고급감이 얻어진다.
여기서, 그 구배부의 경사 각도 A 가 0.5 ∼ 10도 (바람직하게는 1 ∼ 3도) 의 범위 내인 것이 중요하다. 그 경사 각도 A 가 10도보다 큰 예각이면 담색에서 농색으로 급격하게 명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고급감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그 경사 각도가 0.5도보다 작으면 충분하게 명도가 변화하지 않아, 역시 만족스러운 고급감을 얻을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도 3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배가 없는 단차가 있는 요철이 입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고급감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도 2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모부에,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 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고, 구배에 따라서 색채가 서서히 변화하면, 특히 우수한 고급감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배부에 있어서, 구배부의 최대 입모부 높이와 최소 입모부 높이의 심도차 H 가 0.6 ∼ 1.0㎜ 의 범위인 것이 만족스러운 고급감을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입모부의 최대 입모부 높이 L 로서는, 1 ∼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3㎜) 인 것이 만족스러운 고급감을 얻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입모부가 바탕 조직부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90도 미만) 경우, 입모부의 입모부 높이 L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배도에 있어서, 구배부의 표면 (경사 표면) 에는 미세 요철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배부 표면에 미세 요철이 적고 매끄러우면 구배에 따라 담색 (최대 파일 높이 측) 에서 농색 (최소 파일 높이 측) 으로 서서히 명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만족스러운 고급감이 얻어진다. 이러한 미세 요철의 적음의 기준으로서, 구배부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미세 오목부의 갯수가 12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개/㎠)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그 오목부의 총 면적이 상기 40% 영역의 총 면적에 대하여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0%)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미세 오목부의 조금 매끄러운 구배는, 후기와 같이 복수개의 로터리 스크린에 의해 중첩하여 에칭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 구배부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이란, 도 1에 있어서 0.4W 에 상당하는 영역의 구배부 표면적이다.
또한, 입모부의 복수의 부분 영역에 있어서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구배도에 의해 모양이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고급감이 증가하여 바람직하 다. 이러한 모양으로는, 도 5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정방형 (1 변의 길이로는 1 ∼ 3㎝ 정도가 적당하다.) 이 평면적으로 연속하는 모양, 물방울 무늬, 격자 모양, 체크 모양 등이 예시된다. 또,도 5에 있어서 담색부가 입모부의 높이가 높은 곳이고, 한편 농색부가 입모부의 높이가 낮은 곳이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의 편직 조직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경파일 직물, 위파일 직물, 싱커 파일 편물, 러셀 파일 편물, 트리코트트 파일 편물 등의 루프 파일을 컷트하여 얻어진 컷트 파일 포백이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에 있어서, 바탕 조직부에 이용되는 사조의 종류, 섬유의 종류, 단사 섬도, 총 섬도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은 없고, 통상의 입모 포백에 이용되는 유기 섬유 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섬유 사조로는, 면, 양모, 마, 비스코스레이온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의 바탕 조직부용 사조는 폴리에스테르 멀티 필라멘트 사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에 의해서 바람직한 감촉과 염색성을 갖는 바탕 조직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의 입모부에 있어서의 입모사의 분포는 34000 ∼ 220000dtex/㎠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입모사 밀도가 34000dtex/㎠ 미만이면, 에칭 처리시, 입모부 중의 입모사가 용이하게 도복해 버려, 에칭 작용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그것이 220000dtex/㎠ 를 초과하면, 에칭 처리시, 알칼리 처리액의 입모부에 대한 침투성이 나빠져 만족스러운 에칭 처리를 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예를 들어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고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루프 파일부로 구성되는 파일 포백을 제편직 한 후, 그 포백의 루프파일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컷트하여 입모 포백으로 한다.
그 때, 입모부를 구성하는 입모사는 1 종류여도 되지만, 서로 입모사 높이를 달리하는 2 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고, 또한 이들 입모사가,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입모 높이와 색채가 다른 다종류의 입모사가 입모부에 포함되어 있으면, 구배부를 형성하였을 때, 구배부의 구배에 따라 색채가 서서히 변화하기 때문에 특히 우수한 고급감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무착색 (백색) 이고 또한 입모사 높이가 높은 입모사와, 착색되고 또한 입모사 높이가 낮은 입모사로 입모부를 구성하고, 에칭 처리에 의해 구배부를 형성하면, 입모부의 높이가 높은 곳은 백색으로 보이고, 한편 입모부의 높이가 낮은 곳은 유색 (有色) 으로 보이고, 게다가 구배에 따라 백색에서 유색으로 서서히 색채가 변화하기 때문에, 고급감이 얻어진다. 또한, 입모사 높이가 높은 입모사와 입모사 높이가 낮은 입모사의 중간의 입모사 높이를 갖는 입모사가 포함되고, 또한 중간의 입모사 높이를 갖는 입모사가 그 밖의 색에 착색되어 있으면, 다양한 색채 변화가 얻어지고, 또한 고급감이 향상된다.
또, 입모사의 높이를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파일 포백을 제편직할 때, 입모사용 사조로서, 비등수 수축률이 다른 2 종 이상의 사조를 이용하여 입모부를 형성한 후, 열 처리하는 방법이나, 입모사용 사조로서 비권축 사조와 권축 사조를 동일하게 조절하여 혼직시킨 혼섬사를 이용하여 입모부를 형성한 후, 권축을 발현시키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이어서, 그 입모 포백의 입모부에,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입모부의 높이를 조금씩 줄이고, 0.5 ∼ 1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구배부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용이하게 제조된다.
여기서,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할 때, 에칭 처리액 토출 구멍의 구멍 직경이 조금씩 증가하는 부분을 갖는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터리 스크린의 표면에는, 에칭 처리액의 토출 구멍이 복수 천공되어 있고, 또한 적어도 그 토출 구멍의 구멍 직경이 조금씩 증가하는 부분이 있다. 큰 구멍 직경을 갖는 토출 구멍으로부터는 다량의 에칭 처리액이 토출되기 때문에, 입모부가 깊게 에칭되어 파일부의 높이가 낮아진다. 한편, 작은 구멍 직경을 갖는 토출 구멍으로부터는 소량의 에칭 처리액밖에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입모부는 얕게 에칭된다. 그 결과, 상기 입모부의 1 이상의 부분 영역에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칭에 의해 입모부에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 그 로터리 스크린에 이것에 대응하여 모양 형상으로 토출 구멍이 배열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입모부에 도 4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정방형이 평면적으로 연속하는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모양 형상으로 토출 구멍이 배열되어 있을 필 요가 있다.
상기 로터리 스크린의 갯수로서는, 2 ∼ 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1개째의 로터리 스크린에서 형성한 구배에, 2개째 이후의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여 추가로 에칭 처리를 반복 실시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미세 요철이 적은 매끄러운 구배가 얻어진다. 또한, 로터리 스크린의 갯수로서는 5개로 충분하고, 6개 이상에서는비용이 상승될 우려가 있다.
상기 로터리 스크린의 토출 구멍의 배열 밀도는, 가로 세로 모두 50 ∼ 90열/2.54cm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로터리 스크린으로부터의 토출량으로서는, 15 ∼ 25㎤/㎡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토출량이 25㎤/㎡ 보다 많으면 알칼리 처리액이 막힘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반대로, 그 토출량이 15㎤/㎡ 보다 적으면 알칼리 처리액이 입모부에 부착될 때에 얼룩이 지기 쉬운 우려가 있다.
상기 복수개의 로터리 스크린에 있어서, 토출 구멍의 구멍 수 및/또는 배열은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1개째의 로터리 스크린에서 입모부에 구배를 형성한 후, 2개째의 로터리 스크린에서는, 그 구배부의 최소 높이 측에만 겹쳐서 에칭 처리할 수 있도록 2개째의 로터리 스크린의 토출 구멍의 구멍 수 및/또는 배열을 바꾸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3개째 이후의 로터리 스크린에 대해서도, 구배부의 최소 높이 측에만 겹쳐 에칭 처리할 수 있도록 토출 구멍의 구멍 수 및/또는 배열을 바꾸어도 된다.
상기 알칼리 처리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30% 리퀴드 알칼리의 가성 소다 30 ∼ 70중량% 와, 고형분 15% 의 에칭용 원호 (元糊) (예 를 들어, 아다치 염료 주식회사 제조 세르펄 587) 70 ∼ 30중량% 로 이루어지는 점도 400 ∼ 800푸아즈의 날염호가 매우 적합하게 예시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입모 포백에는, 공지된 착색 프린트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45483호에개시된 잉크젯식 나염) 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의 염색 마무리 가공이 실시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의 피수 가공, 자외선 차폐 혹은 항균제, 소취제, 방충제, 축광제, 재귀 반사제,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각종 가공을 부가 적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예 중의 각 측정 항목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등수 수축률
둘레 길이 1.125m 의 검척기를 이용하여, 시료를 10 회전 샘플링 하여 실패를 만들고, 스케일 판에 장치되어 늘어뜨려진 걸개에 그 실패를 건 후, 하부에 실패의 총중량의 1/30 의 하중을 매달고, 처리 전의 실패의 길이 L1 을 읽는다. 다음으로 하중을 제거하고, 실패를 무명 봉투에 넣어 비등수에 30분 담근다. 그 후 실패를 꺼내고,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하여 24 시간 풍건한 후, 다시 스케일 판에 장치되어 늘어뜨려진 걸개에 걸고 하부에 상기와 동일한 하중을 걸고 처리 후의 실패의 길이 L2 를 판독한다. 비등수 수축률 (BWS) 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BWS (%) = (L1 - L2)/L1 × 100
권축률
둘레 길이 1.125m 의 검척기를 이용하여 총 섬도 3333dtex 의 실패를 만들고, 스케일 판에 장치되어 늘어뜨려진 걸개에 걸고 하부에 6g 의 최초 하중과 600g 의 하중을 걸고, 실패의 길이 L0 를 판독한 후, 신속하게 하중을 제거함과 함께 스케일 판으로부터 떼어내어, 비등수에 30 분 침지시켜, 권축 발현 처리를 실시한다. 그 후 실패을 꺼내, 여과지로 수분을 제거하여 24 시간 풍건한 후, 다시 스케일 판에 매달고, 상기 하중을 걸어 1 분 후의 실패의 길이 L1 를 판독하고, 이어서, 신속하게 이 하중을 제외하고 1 분 후의 실패의 길이 L2 를 판독한다. 권축률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권축률 (%) = (L1 - L2)/L0 × 100
경사 각도 A
길이 5㎝ × 5cm 의 정방형의 시료를 포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재단하여,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VHX 를 사용하여, 입모부의 최정상부부터 알칼리 처리된 최하부에의 경사 방향과, 수평 방향의 경사 각도 A (도) 를 측정하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심도차 H
길이 5㎝ × 5cm 의 정방형의 시료를 포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재단하여,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VHX 를 사용하여, 입모부의 최정상부부터 알칼리 처리된 최하부까지의 깊이 H (㎜) 를 측정하 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구배부의 길이 W
길이 5㎝ × 5cm 의 정방형의 시료를 포백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재단하여,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 디지털 마이크로 스코프 VHX 를 사용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구배부의 길이 W (㎜) 를 측정하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6) 구배부의 단위 면적 당의 오목부 갯수 및 오목부 비율
아카시 빔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제조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SX-40 을 사용하여, 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오목부의 갯수 (개/㎠) 를 측정하여 오목부 갯수로 하였다. 또한, 하기 식에 의해 오목부 비율 (%) 을 산출하였다. 또, n 수는 5 로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오목부 비율(%) = (면적 0.05㎟ 이상의 오목부의 총면적)/(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의 면적) × 100
고급감
시험자 3 명에 의해, 고급감을 하기 4 단계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5 급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특히 우수하다.
4 급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우수하다.
3 급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약간 양호하다.
2 급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약간 불만족스럽다.
1 급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불량이다.
[실시예 1]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 (얀 카운트 : 56dtex/24개, 비등수 수축률 10%,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와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 (얀 카운트 : 84dtex/72개, 권축률 25%,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를 공지된 인터레이스 노즐을 이용하여 공기 혼직시킨 폴리에스테르 혼섬 사조 (얀 카운트 : 140dtex/96개) 를 입모 포백의 입모사용 사조로서 사용하고, 한편, 지조직 형성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라멘트 사조 (얀 카운트 : 56dtex/24개,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고, 이러한 필라멘트 사조를 28 게이지의 트리코트 경편기 (카루마이야사 제조) 의 바디 전체에 공급하여 하기 편조직에서 편밀도 69코스/2.54㎝, 28웰/2.54㎝ 의 파일 편물을 편성하였다.
지조직 : 백 하프 조직 (백 : 23/10, 프론트 : 10/12 에 의한 편방)
얻어진 편물을 주식회사 히사카 제작소 제조 액류 염색기로 130℃ × 30 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 후, 통상 사용되는 방법 하 가공 (풀 컷트 기모 → 셔링 → 모할 (毛割) → 셔링 → 프리셋트) 을 실시하여, 컷트 파일 (입모 길이 2㎜) 을 갖는 편밀도 64코스/2.54㎝, 35웰/2.54㎝ 의 입모 포백 (입모사 밀도가 97217dtex/㎠) 을 얻었다.
이러한 컷트 파일 포백에 있어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에서 입모사 높이가 높은 입모사가 형성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에서 입모사 높이가 낮은 입모사가 형성되어 있었다.
한편, 30% 리퀴드 알칼리의 가성 소다 54중량% 와, 고형분 15% 의 에칭용 원호 (예를 들어, 아다치 염료 주식회사 제조 세르펄 587) 46중량% 로 이루어지는 점도 600푸아즈의 알칼리 처리제를 준비하였다.
이어서, 하기의 토출 구멍을 갖고 토출량이 20.0㎤/㎡ 인 로터리 스크린 (다카키 조각 주식회사 제조) 을 3개 사용하여, 상기 입모 포백의 입모부에, 도 5 (농색부가 깊게 에칭되어 있다.) 에 나타내는 모양 형상에 구배부를 형성하였다. 그 때, 3개의 로터리 스크린에 의한 에칭 개소가 겹치도록 하였다. 또, 입모부에 형성된 그 모양에 있어서, 기본 단위가 되는 정방형의 1 변의 길이는 1㎝ 이었다.
(토출 구멍)
배열 밀도 : 가로 세로 모두 70열/2.54㎝
도 5 에 나타내는 모양에 대응되여 토출 구멍이 분포 (최농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장 구멍 직경이 큰 토출 구멍이 배치되고, 담색부에 걸쳐서 서서히 구멍 직경이 작은 토출 구멍을 배치하고, 최담색부에 대응되는 위치는 구멍이 없는 것으로 한다.)
토출 구멍의 형상 : 직경 0.068㎜
그리고, 그 포백을 온도 130℃, 시간 5 분 동안 건열 건조시킨 후, 온도 165℃, 시간 8 분 동안의 고온 스팀 처리를 실시하고, 뜨거운 물로 씻고, 찬물로 헹구고, 입모부가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입모부에 복수의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는 입모 포백을 얻었다.
그 입모 포백에 있어서, 구배부의 경사 각도 A 가 2도, 심도차 H 가 0.8㎜, 구배부의 길이 W 가 10㎜ 이었다. 또한, 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오목부 갯수가 90개/㎠, 오목부 비율 2% 이고, 구배부 표면에 미세 요철이 적고 매끄러웠다. 또한 구배부의 구배에 따라 입모부의 높이가 높은 곳은 담색으로 보이고, 한편 입모부의 높이가 낮은 곳은 그늘이 되어 농색으로 보이고, 또한 구배에 따라 담색에서 농색으로 서서히 농담이 변화하기 때문에,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우수한 것 (4 급) 이었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 (얀 카운트 : 56dtex/72개,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를 히터 길이 : 2m, 열 처리 온도 : 200℃, 열 처리 속도 : 500m/min, 오버 피드율 : 5% 의 조건 하에서 열 처리 한 비등수 수축률 3% 의 비권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를 얻었다.
별도로, 흑색 안료에 의해 수지 착색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 (얀 카운트 : 84dtex/36개, 권축률 25%,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를 얻었다.
또한 별도로, 양이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 를 용해 방사하고, 3500m/분의 권취 속도로 감아낸, 양이온 염료 가염성의 부분 배향 미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사조를, 연신 장치의 온도 65℃ 의 제 1 롤러와 온도 75℃ 의 제 2 롤러 사이에서 열 세트를 실시하지 않고 연신 배율 1.4 배로 연신함으로써, 비등수 수축률 45% 의 비권축 폴리에틸렌테레프탈 레이트 필라멘트 사조 (얀 카운트 : 56dtex/24개) 를 얻었다.
이어서, 이러한 3 사조를 공지된 인터레이스 노즐을 이용하여 공기 혼직시킨 폴리에스테르 혼섬 사조 (얀 카운트 : 205dtex/132개) 를 입모 포백의 입모사용 사조로서 이용하고, 한편, 지조직 형성용 사조로서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사조 (얀 카운트 : 167dtex/48개, 비등수 수축률 10%, 테이진 화이버 주식회사 제조) 를 이용하고, 이들 필라멘트 사조를 28 게이지의 폴 싱커를 구비한 트리코트 경편기 (카르마이야사 제조) 의 전체에 공급하여 하기 편조직에서 편밀도 66코스/2.54㎝, 28웰/2.54㎝ 의 파일 편물을 편성하였다.
조직 : 백 : 10/12, 프론트 : 10/01
얻어진 루프 파일 포백을 셔링기 (닛기 주식회사 제조) 에 제공하여, 루프 파일의 선단 부분 0.2㎜ 를 컷트하여, 컷트 파일을 형성하였다. 이 컷트 파일 포백을, 건열 셋터에 제공하여, 확포 (擴布) 상태에서, 온도 : 180℃, 시간 : 45초간의 열 처리를 실시하여, 컷트 파일 중의 비권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를 안정화시키고, 안료에 의해 수지 착색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가연 권축 가공 사조의 권축을 충분히 형성시키고, 또한 비권축 양이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사조를 충분히 열수축시켰다.
이러한 컷트 파일 포백에 있어서, 비권축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 필라멘트 사조에서 가장 입모사 높이가 높은 입모사 (2) 가 형성되고, 비권축 양이온 염료 가염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사조에서 가장 입모사 높이가 낮은 입모사 (4) 가 형성되고, 안료에 의해 수지 착색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에서 중간의 입모사 높이의 입모사 (3) 이 형성되어 있었다.
얻어진 컷트 파일 포백에, 주식회사 히사카 제작소 제조 액류 염색기로 양이온 염료 (청색) 를 이용하여 130℃ × 30 분간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 후, 건조, 프리셋트를 실시하여 컷트 파일 (입모사의 높이 2㎜) 을 갖는 편밀도 68코스/2.54㎝, 30웰/2.54㎝ 의 입모 포백 (입모사 밀도가 129, 642dtex/㎠) 을 얻었다. 얻어진 입모 포백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알칼리 처리제를 이용하여, 동일한 가공을 실시하였다.
그 입모 포백에 있어서,도 2 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고, 구배부의 구배 각도 A 가 2도, 심도차 H 가 0.8㎜, 구배부의 길이 W 가 10㎜ 이었다. 또한, 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오목부 갯수가 100개/㎠, 오목부 비율 5% 이며, 구배부 표면에 미세 요철이 적고 매끄러웠다. 또한, 구배부의 구배에 따라 입모부의 높이가 가장 높은 곳은 백색으로 보이고, 이어서 흑색, 그리고, 입모부의 높이가 가장 낮은 곳이, 흑색과 청색이 섞인 색으로 보이고,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매우 우수한 것 (5 급) 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로터리 스크린의 갯수를 2개로 바꾸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입모부가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입모부에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 입모 포백을 얻었다.
그 입모 포백에 있어서, 구배부의 구배 각도 A 가 2도, 심도차 H 가 0.8㎜, 구배부의 길이 W 가 10㎜, 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오목부 갯수가 120개/㎠, 오목부 비율 20% 이며, 구배부 표면에 미세 요철이 조금 보였지만,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우수한 것 (4 급) 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입모 포백에, 통상의 잉크젯에 의해 착색 프린트를 실시하였다. 착색 프린트를 실시한 그 포백은, 보는 각도에 따라서 깊이가 있고 또한 치밀한 구배차가 있는 외관이며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로터리 스크린의 토출량을 26.3㎤/㎡ 로 변경하고 또한 로터리 스크린의 갯수를 1개로 바꾸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입모부에 미세 요철이 많은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 입모 포백을 얻었다.
그 입모 포백에 있어서, 구배도의 구배 각도 A 가 2도, 심도차 H 가 0.8㎜, 구배부의 길이 W 가 10㎜ 이었다. 또한, 구배 부분의 최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오목부 갯수가 150개/㎠, 오목부 비율 25% 이고, 구배부 표면에 미세 요철이 보였지만, 고급감이라는 면에서 약간 양호 (3 급) 하였다.
본 발명의 입모 포백은, 입모부 표면에 완만한 구배부를 갖고 고급감이 풍부하기 때문에, 차량 내장재, 인테리어 자재, 의료 등의 분야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실용성을 갖는 것이다.

Claims (11)

  1. 유기 섬유 사조(絲條)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으로서, 상기 입모부의 1 이상의 부분 영역에 있어서, 입모부의 높이가 조금씩 줄어듦으로써, 0.5 ∼ 10도의 경사 각도로 구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모부에,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어 있고, 구배부의 구배에 따라 색채가 서서히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에 있어서, 최대 입모부 높이와 최소 입모부 높이의 심도차(深度差)가 0.6㎜ ∼ 1.0㎜ 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구배부에 의해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의 최대 입모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미세 오목부의 갯수가 12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부의 최대 입모부 높이 측 40% 영역에 있어서, 면적 0.05㎟ 이상의 미세 오목부의 총 면적이 상기 40% 영역의 총면적에 대해서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7. 제 1 항에 있어서,
    착색 프린트가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
  8. 유기 섬유 사조로 이루어지는 편직 조직을 갖는 바탕 조직부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부로 구성되는 입모 포백의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고, 입모부의 높이를 조금씩 줄임으로써, 0.5 ∼ 10도의 경사 각도를 갖는 구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전의 입모부에, 서로 입모사 높이를 달리 하는 2 종 이상의 입모사가 포함되고, 또한 이들의 입모사가, 명도 또는 색상, 혹은 명도 및 색상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의 제 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입모부를 화학적 에칭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할 때, 에칭 처리액 토출 구멍의 구멍 직경이 조금씩 증가하는 부분을 갖는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2 ∼ 5개의 로터리 스크린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중첩시켜 화학적 에칭 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모 포백의 제조 방법.
KR1020067013898A 2003-12-16 2004-12-13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9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7640 2003-12-16
JPJP-P-2003-00417640 2003-1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254A true KR20060129254A (ko) 2006-12-15

Family

ID=3469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898A KR20060129254A (ko) 2003-12-16 2004-12-13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22585A1 (ko)
EP (1) EP1703013A1 (ko)
JP (1) JP4500266B2 (ko)
KR (1) KR20060129254A (ko)
CN (1) CN1914369A (ko)
TW (1) TW200525065A (ko)
WO (1) WO2005059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865A1 (ja) * 2005-04-08 2006-10-19 Seiren Co., Ltd. 凹凸加工用布帛
KR101093542B1 (ko) * 2006-04-12 2011-12-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원단의 3차원 에칭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단
US7575027B2 (en) * 2007-01-05 2009-08-18 Min-San Huang Weave with visual color variation
US7673378B1 (en) * 2007-02-22 2010-03-09 Product Concepts Residential, L.L.C. Method of manufacturing decorative carpet tile
WO2012063316A1 (ja) * 2010-11-08 2012-05-18 株式会社ワコール 編地及び股付衣類
CN104032464B (zh) * 2014-05-29 2016-05-18 宁波大千纺织品有限公司 一种立体拉毛绒布面料及其制备方法
CN111005135A (zh) * 2018-10-05 2020-04-14 尤尼吉可贸易有限公司 单绒头针织物及鞋内装件
US20220024173A1 (en) * 2018-11-16 2022-01-27 Denka Company Limited Thermoplastic resin sheet having hair-like bodies, and molded article thereof
CH716114A1 (de) * 2019-04-24 2020-10-30 Schoeller Tech Ag Flächige Velourmaschenware.
CN112981693A (zh) * 2021-02-24 2021-06-18 浙江真爱时尚家居有限公司 一种拉舍尔毛毯的经编割绒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5051A (en) * 1970-10-05 1973-08-28 Kimberly Clark Co High-loft, nonwoven paneling material and covering
JPS5631073A (en) * 1979-08-20 1981-03-28 Teijin Ltd Production of artificial leather
US4255231A (en) * 1979-06-13 1981-03-10 Congoleum Corporation Carpet etching
JPS56140167A (en) * 1980-03-31 1981-11-02 Teijin Ltd Production of artificial leather
JPS5771485A (en) * 1980-10-20 1982-05-04 Teijin Ltd Production of swede like raised fabric with pattern
JPS57121643A (en) * 1981-01-21 1982-07-29 Kanebo Gosen Kk Raised product and method
JPS58136855A (ja) * 1982-01-22 1983-08-15 カネボウ株式会社 毛皮様繊維構造物
JPS59187685A (ja) * 1983-04-04 1984-10-24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立毛布帛の立体模様付与方法
US4576848A (en) * 1985-06-24 1986-03-18 Fieldcrest Mills, Inc. Pile fabrics as woven terry fabrics with diagonal grooves of cut pile
JP3401730B2 (ja) * 1992-10-13 2003-04-28 株式会社クラレ 先細繊維、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立毛製品
JPH10298863A (ja) * 1997-04-25 1998-11-10 Suminoe Textile Co Ltd 凹凸模様を有するパイル布帛の製造方法
US6035749A (en) * 1997-07-22 2000-03-14 Haselwander; Jack G. Patterned shearing of pile fabrics
US6640680B2 (en) * 1999-01-27 2003-11-04 Eagle Automati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culpting carpet
US6471896B1 (en) * 1999-04-02 2002-10-29 Seiren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cloth
JP2000345483A (ja) * 1999-04-02 2000-12-12 Seiren Co Ltd 立体模様を形成するための布帛の処理方法及び処理された布帛
JP2002155451A (ja) * 2000-11-16 2002-05-31 Yamazaki Corp パイル製品及びその製法
WO2004029348A1 (ja) * 2002-09-26 2004-04-08 Teijin Fibers Limited 多色繊維パイル布帛及び凹凸模様付き多色繊維パイル布帛
US7435264B2 (en) * 2003-11-12 2008-10-14 Milliken & Company Sculptured and etched textile having shade contrast corresponding to surface etched regions
JP4343014B2 (ja) * 2004-04-13 2009-10-1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緻密超短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ーシート部材
JP2006045731A (ja) * 2004-08-06 2006-02-16 Teijin Fibers Ltd ソフトな風合いと耐摩耗性を有する深色性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22585A1 (en) 2007-05-31
JPWO2005059237A1 (ja) 2007-07-12
WO2005059237A1 (ja) 2005-06-30
EP1703013A1 (en) 2006-09-20
CN1914369A (zh) 2007-02-14
JP4500266B2 (ja) 2010-07-14
TW200525065A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085B2 (en) Concave and convex-patterned multi-colored fiber pile fabric
KR20070006899A (ko)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129254A (ko) 입모 포백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45731A (ja) ソフトな風合いと耐摩耗性を有する深色性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08002029A (ja) 立毛布帛の製造方法および立毛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
JP4155853B2 (ja) 織編物
JP3989883B2 (ja) 凹凸模様付き多色パイル布帛
WO2018123532A1 (ja) 繊維構造体
JP5430163B2 (ja) 立毛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50722A (ja) 立毛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部材
JP2005320654A (ja) 新規外観パイル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
JP2009138291A (ja) 立毛布帛および車輌内装材
JP3770345B2 (ja) 立毛パイル織編物の製造方法
JP5090985B2 (ja) 立毛経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立毛経編地および内装材
JP3279936B2 (ja) パイル布帛
JP2006316370A (ja) 黒ずみが抑制された立毛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2008144288A (ja) ポリエステル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2006152495A (ja) ソフトな風合いと濃淡コントラストを有するシボ外観編物および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3391156B2 (ja) パイル布帛
JPH0223616B2 (ko)
JPH08291440A (ja) パイル布帛
JPH11200188A (ja) パイル布帛
JP2000303305A (ja) 意匠性重ねモアレ布帛
JPH0967782A (ja) パイル布帛
JP2001355162A (ja) 天然毛皮調経編立毛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