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823A - 오버헤드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823A
KR20060125823A KR1020067013004A KR20067013004A KR20060125823A KR 20060125823 A KR20060125823 A KR 20060125823A KR 1020067013004 A KR1020067013004 A KR 1020067013004A KR 20067013004 A KR20067013004 A KR 20067013004A KR 20060125823 A KR20060125823 A KR 2006012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tate
link
pos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키 사에키
유키히코 고바야시
다카유키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8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2Power and free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load-carrying belt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traction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주행 레일R에 결합하는 전후 트롤리4, 4에 연결된 캐리어2와, 캐리어2와의 결합상태 및 그 해제상태를 변경 가능한 행거3과, 캐리어2와 행거3을 연결하는 상하 회전 3절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토우바23과, 상기 결합상태 및 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결합해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결합상태로 하여서 행거3이 캐리어2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제상태로 하여서 행거3이 주행 레일R의 하측에 설치된 행거 가이드 레일HR에 지지되어서 토우바23에 의하여 견인되어서 이동하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컨베이어{OVERHEAD CONVEYOR}
본 발명은, 동일한 생산 라인에 있어서 서로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의 피반송물에 대하여 하는 작업,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조립 라인에 있어서 많은 종류의 자동차를 조립하는 작업에 이용할 수 있고, 주행 레일을 주행할 수 있는 캐리어에 매달려 있는 행거에 의하여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오버헤드 컨베이어는, 작업자의 머리 위(예를 들면 공장의 천장 가까이 등)에 가설한 주행 레일(走行 rail)을 전동(轉動)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캐리어(carrier)와, 이 캐리어에 매달려서 하방에 피반송물 지지부를 가로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행거(hange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의 구동은 파워 체인식(power chain式) 구동장치 또는 프릭션 롤러식(friction roller式) 구동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예를 들면 많은 종류의 자동차를 조립하는 차체조립 라인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작업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상기 행거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진 종래의 오버헤드 컨베이어로서, 파워 체인이 주행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는 파워 체인 컨베이어(power chain conveyor)용 레일과, 이 파워 체인 컨베이어용 레일의 하방으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파워 체인에 의하여 구동하는 트롤리(trolley)를 주행 가능하게 안내하는 트롤리용 레일과, 상기 트롤리에 연결한 제1행거와, 이 제1행거에 상하 방향의 신축 기구(伸縮 機構 : 팬터그래프(pantagraph) 기구 등)를 통하여 연결해서 피반송물을 탑재하는 행거 암을 구비한 제2행거와, 상기 트롤리용 레일의 하방에서 평행하게 연장하여 상기 제2행거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로 이루어지고, 이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2행거를 들어올리는 부위에 단차 안내부와, 이 단차 안내부와 연속하는 경사 안내부를 구비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과, 레일 장치로 지지 안내되어서 일정 경로 상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체에 피반송물의 지지부를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상기 일정 경로 중의 소정의 장소에 상기 일정 경로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일정 경로에 따른 지지부 반송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 반송경로의 시작부분에 특정한 상기 이동체로부터 상기 지지부를 이탈하여 상기 지지부 반송경로에 이동하는 분리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부 반송경로의 종단부분에 상기 지지부 반송경로의 지지부를 상기 이동체에 장착시키는 합류 수단을 설치한 것(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등이 있다.
또한 관련된 공지기술로서, 서로 다른 높이의 위치로 물품을 반송시키는 경로에 있어서 경사 경로에 있어서도 수평 경로에 있어서도 반송 용구(프레임 및 행거 등)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반송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일정 경로를 따라 가설한 레일에 롤러를 통하여 전동이 자유롭도록 매달린 전후의 트롤리의 하측방(下側方)에 그 진행 방향과 거의 평행 상태로 위치시킨 프레임의 전후 양단 근방부로부터 전후의 행거를 피벗 지지(pivot 支持)하여 늘어뜨림과 아울러, 상기 전후의 트롤리의 적어도 일방과 상기 프레임과의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타방의 트롤리와 상기 프레임을 피벗 지지 상태로 해서 이 피벗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을 상하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롤러를 설치하여 이 롤러에 작용하는 캠 레일을 상기 경로의 경사부를 따라서 설치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81615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06143호 공보
(특허문헌3)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공소42-1144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상과 같은 종래의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있어서, 특허문헌1의 구성에서는, 상기 제1행거(캐리어)와 상기 피반송물을 탑재하는 행거 암을 구비한 제2행거는 상기 상하 방향의 신축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행거의 흔들림 방지와 승강(乘降)의 안내를 겸하는 가이드 레일을 컨베이어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 방향의 신축 기구의 구성이 복잡함(특히, 상기 상하 방향의 신축 기구로서 팬터그래프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팬터그래프 기구의 상단의 일방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상기 제1행거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상단의 일방의 바로 아래의 하단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를 상기 제2행거에 설치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신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구성에서는, 상기 이동체 (캐리어)와 상기 피반송물의 지지부가 완전하게 분리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 수단, 상기 합류 수단 및 분리한 상기 지지부에 이동력(移動力)을 부여하는 이동력 부여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상기 분리 및 합류를 위한 제어가 복잡해짐에 따라 신뢰성이 저하되고 또한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행거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캐리어(상기 전후의 트롤리)에 대하여 상기 전후의 행거의 높이를 가변(可變)하게 하기 위하여 특허문헌3의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캐리어의 전후 방향의 중심(상기 전후의 트롤리 간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전후의 행거 간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상기 캐리어에 대한 상기 행거의 높이 위치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행거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행거의 전후 방향의 이동은, 특히 상기 캐리어의 높이와 상기 행거의 높이의 차이를 크게 했을 경우에 현저해지게 된다. 따라서 어느 캐리어 및 행거에 의하여 반송되는 피반송물과, 상기 캐리어와 행거의 앞 또는 뒤의 캐리어 및 행거에 의하여 반송되는 피반송물이 충돌 또는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충돌 또는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는, 피반송물 간의 거리를 크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이면서 상기 행거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고, 작업성 및 신뢰성의 향상 또한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의 높이와 상기 행거의 높이의 차이를 크게 하더라도 상기 피반송물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는,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주행 레일에 결합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후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어 전후(前後)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후부에 캐리어측 전결합공(前結合孔)과 후결합공(後結合孔)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캐리어 프레임,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앞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설치된 가로 캐리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앞판과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뒤판이 설치된 행거 프레임, 상기 행거 프레임에 매달려 설치되어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행거 암으로 이루어지는 행거와, 상기 주행 레일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행거를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로 캐리어 프레임에 좌우 방향 축(軸)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前端)이 축지지(軸支持)됨과 아울러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後端)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후단이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이 축지지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토우바(towbar)와, 상기 제2링크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 상기 제1링크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 또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협각(夾角)이 소정 각도보다 커지게 되는 것을 제한하는 협각 확대제한 수단과,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전결합 핀(前結合 pin)을 상기 행거측 전결합공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前結合 狀態)와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前解除 狀態)와,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후결합 핀(後結合 pin)을 상기 행거측 후결합공에 결합시킨 후결합 상태(後結合 狀態)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후해제 상태(後解除 狀態)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이 가능한 결합해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캐리어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행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토우바에 의하여 견인되어서 이동하는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2링크의 전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와 상기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의 하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 또는 상기 협각 확대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협각의 소정 각도를,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와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후 트롤리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행거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도록 설정하게 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이, 상기 제2링크의 전방 돌출부를 상기 행거 프레임에 접촉시키는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이,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전후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좌우회전 링크에 상기 결합 핀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회전 링크에 설치한 캠 팔로워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결합시켜 상기 캠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좌우회전 링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의 좌우 방향에 대한 이동을 하는 것이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제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결합 핀과 상기 행거측 결합공의 위치 맞춤을, 상기 토우바의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중심축(樞軸)에 장착한 롤러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실시하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행 레일의 경사 상승구간 또는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 상기 경사 상승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게 되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트롤리의 하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4는 결합해제 전환수단의 설명용 배면도로서, (a)는 동작 설명도, (b)는 결합 핀과 행거측 결합공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5는,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6은,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7은, 반송경로에 설치한 위치 맞춤용 캠 레일의 설명도이다.
도8은,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한 상태(피반송물의 높이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9는,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한 상태(피반송물의 높이가 낮은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실시예의 전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주행 레일을 따라 캐리어가 전진하는 방향을 전(前)(도면에서 화살표 A방향 참조), 그 반대측을 후(後)라고 하여 전방으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기 캐리어를 본 경우에 양측을 좌우라고 한다.
도1~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1은 우측면도, 도2는 트롤리의 하측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배면도(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3에 있어서는, 레일R에 결합하는 트롤리는 로드 트롤리4를 나타내고 있다. 오버헤드 컨베이어1은, 주행 레일R을 따라 주행 가능한 캐리어2 및 캐리어2에 매달린 피반송물W1 또는 W2를 지지하는 행거3 등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2는,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 선두 트롤리5, 후미 트롤리6,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구동 막대7, 앞 로드 트롤리4와 선두 트롤리5를 연결하는 연결 막대8, 뒤 로드 트롤리4와 후미 트롤리6을 연결하는 연결 막대9, 전후의 로드 트롤리4 사이에 가설되어서 전후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후부에 캐리어측 전결합공10a 및 캐리어측 후결합공10b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캐리어 프레임10, 10과,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10, 10의 앞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설치된 가로 캐리어 프레임11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는, 예를 들면 대략 I자 모양의 모노 레일(mono rail)인 주행 레일R 위를 전동하는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롤러4a 및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평 롤러4b, 4b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R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선두 트롤리5는, 주행 레일R 위를 전동하는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롤러5a 및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평 롤러5b, 5b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R에 결합되는 것이고, 후미 트롤리6은, 주행 레일R상을 전동하는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롤러6a 및 상하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평 롤러6b, 6b를 구비하여 주행 레일R에 결합되는 것이다.
캐리어2의 로드 트롤리4, 4, 선두 트롤리5, 후미 트롤리6, 구동 막대7 및 연결 막대8, 9의 좌우 측면에는 대략 수직면이 형성되어 있고, 반송경로에 설치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프릭션 롤러가 가로 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직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프릭션 롤러의 구동력에 의하여 캐리어2에 추진력이 부여되어 캐리어2는 주행 레일R을 따라 주행한다.
행거3은, 행거 프레임12와 상기 행거 프레임12에 매달려 설치되어 피반송물W1 또는 W2를 지지하는 행거 암20, 2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행거 프레임12는, 전후좌우의 프레임13, 14, 15, 16과, 상기 뒤 프레임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좌우의 지지부재17, 17과,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10a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전결합공18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앞판18과,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10b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후결합공19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뒤판19를 구비한다.
캐리어2와 행거3은, 캐리어2의 가로 캐리어 프레임11에 전단21a가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행거 프레임12의 후단 즉 뒤 프레임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재17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21과, 상기 제1링크21의 후단2lb에 후단22b가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행거 프레임12의 후단에 전단22a가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제2링크2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1링크21 및 제2링크22는 좌우로 설치되어, 상하 회전 3절 링크기구인 토우바23, 2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2링크22의 전방에 대한 회전은, 후술하는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을 구성하는 전방 돌출부24가 행거 프레임12의 상면(뒤 프레임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지지부재17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는, 캐리어측 전결합공10a에 결합하게 되는 전결합 핀25a를 행거측 전결합공18a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와,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10b에 결합하게 되는 후결합 핀25b를 행거측 후결합공19a에 결합시킨 후결합 상태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후해제 상태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이 가능한 결합해제 전환수단26의 설명용 배면도(후방으로부터 본 도면)로서, 도4(a)는 동작 설명도, 도4(b)는 전결합 핀25a와 행거측 전결합공18a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또한 도4는, 전방의 결합해제 전환수단, 즉 캐리어측 전결합공10a에 결합하게 되는 전결합 핀25a를 행거측 전결합공18a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을 나타내고 있지만, 뒤쪽의 결합해제 전환수단, 즉 캐리어측 후결합공10b에 결합하게 되는 후결합 핀25b를 행거측 후결합공19a에 결합시킨 후결합 상태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후해제 상태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을 하는 것도 동일한 구성이다.
세로 캐리어 프레임10의 앞부분에 고정된 브래킷29에 전후 방향축29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로 회전하는 대략 L자 모양의 좌우회전 링크27에는 상기 전결합 핀25a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상단에는 캠 팔로워2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경로의 소정의 장소에는, 상기 캠 팔로워28이 결합되는 결합부30a를 구비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 축30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캠 레일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 레일30의 상단30c는 에어 실린더31의 로드31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송경로의 소정의 장소에 있어서, 대략 L자 모양의 좌우회전 링크27의 캠 팔로워28이 캠 레일30의 결합부30a에 결합된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31을 구동하여 로드31a를 신축시킴으로써, 캠 레일30은 전후 방향축30b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좌우회전 링크27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결합 핀25a도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31의 로드를 신장시키면 도4에서의 2점 쇄선과 같이 전결합 핀25a를 행거측 전결합공18a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를 실현할 수 있고, 에어 실린더31의 로드를 수축시키면 도4에서의 실선과 같이 전결합 핀25a가 행거측 전결합공18a로부터 빠지는 상기 전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의하여 상기 후결합 상태 및 후해제 상태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캐리어2 및 행거3에는 구동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하는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26 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결합 핀25a의 외경은, 선단 부분의 외경이 앞판18을 지지하는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4(b)에서의 외경d0은 50mm 정도, 외경d1은 40mm 정도). 따라서 전결합 상태, 즉 앞판18을 전결합 핀25a가 지지한 상태에서 행거측 전결합공18a로부터 전결합 핀25a가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상기 전결합 핀25a의 선단 부분(외경d0 부분)이 앞판18의 측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전결합 핀25a가 행거측 전결합공18a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L자 모양의 좌우회전 링크27의 하단27a와 세로 캐리어 프레임10의 하면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스프링32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의 북원력에 의하여 전결합 핀25a는 행거측 전결합공18a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전결합 핀25a와 상기 행거측 전결합공18a의 결합이 갑자기 해제되어서 캐리어2로부터 행거3이 낙하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 및 도6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결합상태 및 해제상태가 전환 가능한 기능을 사용하여 상기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하는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5는, 행거 가이드 레일HR이 고행거 가이드 레일HRH 및 저행거 가이드 레일HRL로 분기(分岐)되는 경우를, 도6은 고행거 가이드 레일HRH 및 저행거 가이드 레일HRL이 행거 가이드 레일HR로 합류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5에서의 위치B의 상태는,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서, 행거 프레임12의 좌우의 프레임15, 16의 전후에 설치된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롤러33, 33(도2 및 도3 참조)을 행거 가이드 레일HR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함으로써 도5에서의 위치C의 상태, 즉 상기 수직 롤러33, 33이 저행거 가이드 레일HRL에 결합하여 행거3이 토우바23에 의하여 견인되어서 주행하는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위치C의 상태에서 상기 수직 롤러33, 33을 고행거 가이드 레일HRH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위치B로부터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 그대로 주행시킴과 아울러, 행거 가이드 레일HR의 분기부의 직전 위치(도5 중 L 참조)에 있어서는 행거 가이드 레일HR(도3 참조)의 상측의 수평 연장부를 없애고, 행거 가이드 레일HR의 단면 형상을 대략 L자 모양으로 하면 좋다. 이렇게 하여 예를 들면 위치C에 있어서, 행거3 및 상기 행거3에 지지된 피반송물(예를 들면 W2)의 높이를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바닥면FL 위에 서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강요하여 작업성 및 안전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신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도5의 위치C와 같이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에 있어서도, 행거3은 토우바23을 통하여 캐리어2에 의하여 견인되기 때문에 행거3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신규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5의 위치C의 상태에 있어서 제2링크22의 전방에 대한 회전은, 제2링크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인 제2링크22의 전방 돌출부24를, 행거 프레임12의 상면 즉 뒤 프레임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지지부재17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제한된다. 또한 이렇게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2링크22의 전방에 대한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는, 도5의 위치B와 같이,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 사이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행거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이 대략 일치하도록(도면에서 CL 참조), 상기 제2링크의 전방에 대한 회전을 제한하는 소정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 사이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행거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을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고,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예를 들면 도5의 위치B의 상태)와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예를 들면 도5의 위치C의 상태)에서, 전후의 로드 트롤리4, 4 사이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행거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도록 상기 소정 각도를 설정하면 좋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캐리어2의 높이와 행거3의 높이의 차이가 커져도 상기 피반송물이 전후로 이동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의 억제를 보다 간단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이 아니라, 제1링크21이 하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상기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은, 예를 들면 가로 캐리어 프레임11의 하면에 제한판41(도5의 위치C 참조)을 설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반송물의 높이의 고저(高低)에 의하여도 전후 트롤리4, 4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행거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도록 상기 제1링크의 하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캐리어2의 높이와 행거3의 높이와의 차이가 커져도 상기 피반송물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 또는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이 아니라, 제1링크21과 제2링크22의 협각이 소정 각도(도5에서의 각도α 참조)보다 커지는 것을 제한하는 협각 확대제한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상기 협각 확대제한 수단은, 예를 들면 제1링크21과 제2링크22의 협각이 소정 각도보다 커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1링크21의 후단2lb와 제2링크22의 후단22b의 중심축 또는 그 주위에 스토퍼를 설치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협각 확대제한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피반송물의 높이의 고저에 의하여도 전후 트롤리4, 4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행거3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도록 소정 각도(도5에서의 각도α 참조)를 설정함으로써,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화시켜서 캐리어2의 높이와 행거3의 높이의 차이가 커져도 상기 피반송물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도6에서의 위치D 및 위치E는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서, 도6에서의 위치F 및 G는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E의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부터 위치F의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의 이행은, 행거 프레임12의 상기 수직 롤러33, 33을 저행거 가이드 레일HRL에 결합시킨 상태로부터 고행거 가이드 레일HRH와 저행거 가이드 레일HRL이 합류한 후에, 전결합 핀25a와 행거측 전결합공18a가 맞추어지도록 또한 후결합 핀25b와 행거측 후결합공19a가 맞추어지도록 주행 레일R과 행거 가이드 레일HR의 거리를 설정함과 아울러,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반송경로에 설치한 위치 맞춤용 캠 레일38에 상기 토우바23의 제1링크21의 후단2lb와 제2링크22의 후단22b의 중심축에 장착한 롤러36, 36(도2 및 도3 참조)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과 상기 결합공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맞춤을 한 후에, 도4와 같은 결합해제 전환수단26에 의하여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결합 핀25a와 행거측 전결합공18a의 끼워 맞춤 및 후결합 핀 25b와 행거측 후결합공19a의 끼워 맞춤을 헐거운 끼워 맞춤(clearnce fit)으로 하여서 클리어런스(clearnce)를 크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4(b)의 d0은 50mm정도, d1은 40mm 정도인 것에 대하여, 행거측 전결합공18a의 내경D1은 60mm 내지 70mm 정도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전결합 핀25a와 행거측 전결합공18a의 결합 및 분리(상기 결합의 해제)를 보다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주행 레일R과 행거 가이드 레일HR 사이의 거리 및 위치 맞춤용 캠 레일38의 장착 위치에 다소의 오차가 있어도, 상기 클리어런스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의 이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어런스에 의하여 레일R, 트롤리4의 롤러4a, 4b 또는 행거 가이드 레일HR 등이 마모되어도, 소모품으로서 상기 마모된 레일 등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오버헤드 컨베이어1은 전체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행 레일R의 경사 상승구간 또는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 상기 경사 상승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행거3(피반송물)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수직 롤러33, 33을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HR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 구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기울어진 자세로 이동하여도 상기 행거3은 기울지 않아 상기 행거3으로부터 상기 피반송물이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이 아닌 단순한 반송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여 행거 가이드 레일HR을 없애고 주행 레일R 만으로 하고, 작업 영역에서만 행거 가이드 레일HR을 설치하여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결합 및 해제를 전환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도8 및 도9는,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8 및 도9에 있어서는, 레일R에 결합하는 로드 트롤리4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8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바닥면FL 위에 서있는 작업자가 피반송물W1의 하부에 부품을 조립할 경우에 적당한 피반송물W1의 높이가 높은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9는,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바닥면FL위에 서있는 작업자가 피반송물W1의 측부에 부품을 조립할 경우에 적당한 피반송물W1의 높이가 낮은 상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결합상태 및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행거 프레임12의 좌우의 프레임15, 16의 전후에 설치된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롤러33, 33을 행거 가이드 레일HR에 결합시켜서, 상기 행거 가이드 레일HR의 높이 설정에 의하여 피반송물의 크기의 차이(예를 들면 도1의 피반송물W1, W2 참조) 또는 피반송물에 대하여 작업을 하는 장소의 높낮이의 차이에 따라서 피반송물의 높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이면서, 행거3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신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8 및 도9과 같은 작업 영역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34, 34 및 가이드 레일(예를 들면 행거 가이드 레일HR)과, 상하 방향의 흔들림 방지용 롤러35, 35 및 가이드 레일37, 37이 설치되어 있어 작업 영역에 있어서 피반송물이 흔들려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8 및 도9와 같이, 작업 영역에 설치된 롤러 체인식 구동장치39에 캐리어2의 가로 캐리어 프레임11에 설치한 결합 도그40을 결합시키면, 작업 영역에 있어서의 피반송물의 이동을 확실하면서 정밀도가 좋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주행 레일에 결합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후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어 전후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후부에 캐리어측 전결합공 및 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캐리어 프레임,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앞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가 로로 설치된 가로 캐리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앞판 및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뒤판이 설치된 행거 프레임, 상기 행거 프레임에 매달려 설치되어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행거 암으로 이루어지는 행거와, 상기 주행 레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행거를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로 캐리어 프레임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이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후단이 축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이 축지지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토우바와, 상기 제2링크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 상기 제1링크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 또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의 협각이 소정 각도보다 커지게 되는 것을 제한하는 협각 확대제한 수단과,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전결합 핀을 상기 행거측 전결합공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 및 상기결합을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와,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후결합 핀을 상기 행거측 후결합공에 결합시킨 후결합 상태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후해제 상태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이 가능한 결합해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캐리어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행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토우바에 의하여 견인되어서 이동하는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가 변경 가능하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상기 행거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작업에 적당한 높이로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신뢰성의 향상 및 비용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의 높이와 상기 행거의 높이의 차이를 크게 하더라도, 상기 피반송물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와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후 트롤리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행거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게 되도록,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2링크의 전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 상기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의 하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 또는 상기 협각 확대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협각의 소정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은, 상기 제2링크의 전방 돌출부를 상기 행거 프레임에 접촉시킴 으로써 전후의 피반송물의 충돌 또는 접촉의 억제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은,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전후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좌우회전 링크에 상기 결합 핀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회전 링크에 설치한 캠 팔로워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결합시켜, 상기 캠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좌우회전 링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 및 행거에는 구동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면서도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상기 해제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결합 핀과 상기 행거측 결합공과의 위치 맞춤을, 상기 토우바의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중심축에 장착한 롤러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접촉시켜 실시하므로, 상기 결합 핀과 상기 결합공과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면서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의하면, 상기 주행 레일의 경사 상승구간 또는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 상기 경사 상승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경사 구간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기울어진 자세로 이동해도 상기 행거는 기울지 않아 상기 행거로부터 상기 피반송물이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주행 레일에 결합하는 적어도 한 쌍의 전후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어 전후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후부에 캐리어측 전결합공(前結合孔) 및 후결합공(後結合孔)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 캐리어 프레임,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앞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설치된 가로 캐리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앞판 및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행거측 후결합공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뒤판이 설치된 행거 프레임, 상기 행거 프레임에 매달려 설치되어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행거 암으로 이루어지는 행거와,
    상기 주행 레일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행거를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로 캐리어 프레임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前端)이 축지지(軸支持)되고 또한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후단(後端)이 축지지 되고 또한 상기 행거 프레임의 후단에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전단(前端)이 축지지 된 제2링크로 이루어지는 토우바와,
    상기 제2링크가 전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 상기 제1링크가 하방으로 소정 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 또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협각(夾角)이 소정 각도보다 커지게 되는 것을 제한하는 협각 확대제한 수단과,
    상기 캐리어측 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전결합 핀(前結合 pin)을 상기 행거측 전결합공에 결합시킨 전결합 상태(前結合 狀態)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전해제 상태(前解除 狀態)와, 상기 캐리어측 후결합공에 결합하게 되는 후결합 핀(後結合 pin)을 상기 행거측 후결합공에 결합시킨 후결합 상태(後結合狀態)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하는 후해제 상태(後解除 狀態)로 결합과 해제의 전환이 가능한 결합해제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캐리어와 일체가 되어서 이동하는 상태와,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해제 상태(前解除狀態) 및 후해제 상태(後解除狀態)로 하여 상기 행거가 상기 행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서 상기 토우바(towbar)에 의하여 견인되어서 이동하는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행거 암에 지지된 피반송물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결합 상태와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해제 상태에서, 상기 전후 트롤리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행거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대략 같아지게 되도록,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2링크의 전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 상기 제1링크 회전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의 하방에 대한 회전의 소정 각도 또는 상기 협각 확대제한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협각의 소정 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회전제한 수단은, 상기 제2링크의 전방 돌출부를 상기 행거 프레임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해제 전환수단은, 상기 세로 캐리어 프레임의 전후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좌우회전 링크에 상기 결합 핀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회전 링크에 설치한 캠 팔로워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결합 시켜, 상기 캠 레일을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좌우회전 링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상태로부터 상기 결합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결합 핀과 상기 행거측 결합공의 위치 맞춤을, 상기 토우바의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중심축에 장착한 롤러를 반송경로에 설치한 캠 레일에 접촉시킴으로써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일의 경사 상승구간 또는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 상기 경사 상승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제 상태 및 후결합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하강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전결합 상태 및 후해제 상태로 하여 상기 행거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행거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피반송물을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컨베이어.
KR1020067013004A 2004-03-19 2005-03-15 오버헤드 컨베이어 KR200601258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1141A JP4265454B2 (ja) 2004-03-19 2004-03-19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
JPJP-P-2004-00081141 2004-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823A true KR20060125823A (ko) 2006-12-06

Family

ID=3499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004A KR20060125823A (ko) 2004-03-19 2005-03-15 오버헤드 컨베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65454B2 (ko)
KR (1) KR20060125823A (ko)
CN (1) CN100411927C (ko)
WO (1) WO20050901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1B1 (ko) * 2010-09-10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
KR20190023531A (ko) * 2017-08-29 2019-03-08 세메스 주식회사 이송 장치
CN111940176A (zh) * 2020-08-15 2020-11-17 林高兴 一种无动力铸件自动下料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23393B (zh) * 2007-06-11 2012-12-1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双轨悬挂旋转输送机
JP5092652B2 (ja) * 2007-09-28 2012-12-05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1439805B (zh) * 2007-11-20 2010-12-08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牵引装置
CN101817448A (zh) * 2010-04-09 2010-09-01 无锡市顺达物流涂装设备有限公司 一种双轨悬挂式输送装置
CN102910176A (zh) * 2011-08-02 2013-02-06 盐城海旭数控装备有限公司 悬挂式新能源轨道公交车用悬挂装置
CN103538857B (zh) * 2013-10-17 2015-12-30 济南拓展输送设备有限公司 一种悬挂输送机专用快速挂钩及悬挂轴
WO2016064950A1 (en) * 2014-10-21 2016-04-28 Corning Incorporated Glas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CN105150044B (zh) * 2015-10-22 2018-05-18 湖州南浔欧耐特木业有限公司 木门生产用全自动打磨装置
CN105858489A (zh) * 2016-05-18 2016-08-17 南通中港涂装设备有限公司 涂装生产线用输送机
CN106514173A (zh) * 2016-11-28 2017-03-22 李亚企 汽车门板卡扣全自动组装机
CN107128655B (zh) * 2017-06-26 2023-07-21 日照市七星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步进式的转运车自动返回装置
CN107650919B (zh) * 2017-10-31 2023-07-07 中唐空铁集团有限公司 一种悬挂空铁紧急降落系统
JP6583399B2 (ja) * 2017-12-13 2019-10-02 マツダ株式会社 搬送装置
CN108465986A (zh) * 2018-04-08 2018-08-31 广西汽车集团有限公司 用于辊床式焊接生产线台车的切换机构
KR101936554B1 (ko) * 2018-10-24 2019-01-08 유지봉 이동식 전력구 감시장치
CN113017201B (zh) * 2021-04-27 2024-06-18 东莞市奇裕制鞋机械有限公司 一种改进挂篮驱动机构的制鞋生产线
CN113788288B (zh) * 2021-09-17 2023-03-21 迅展机械(无锡)有限公司 一种悬挂式输送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53Y2 (ko) * 1972-08-04 1979-02-02
JPS5833143B2 (ja) * 1980-01-28 1983-07-18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複動式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ハンガ−吊下げ装置
JPS5833144B2 (ja) * 1980-03-04 1983-07-18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複式トロリ・コンベヤ装置
JPH0684204B2 (ja) * 1986-07-23 1994-10-26 義尚 吉田 懸吊式円筒ベルトコンベヤのトロリハンガ
JPH07315218A (ja) * 1994-05-27 1995-12-05 Daifuku Co Ltd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US5829575A (en) * 1997-01-10 1998-11-03 Williams; Alan S. Load bar assembly
SE509402C2 (sv) * 1997-05-29 1999-01-25 Eton Construction Ab Anordning för frammatning av produktbärare för flyttbart anordnade på en skena
CN2331530Y (zh) * 1998-06-19 1999-08-04 中美合资扬州通华半挂车有限公司 横向稳定运输半挂车
JP3976223B2 (ja) * 2000-09-14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搬送装置および車体搬送方法
JP4120257B2 (ja) * 2002-04-15 2008-07-16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設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921B1 (ko) * 2010-09-10 2013-01-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장치
KR20190023531A (ko) * 2017-08-29 2019-03-08 세메스 주식회사 이송 장치
CN111940176A (zh) * 2020-08-15 2020-11-17 林高兴 一种无动力铸件自动下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34000A (zh) 2007-03-21
WO2005090136A1 (ja) 2005-09-29
CN100411927C (zh) 2008-08-20
JP2005263111A (ja) 2005-09-29
JP4265454B2 (ja)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5823A (ko) 오버헤드 컨베이어
US6814219B2 (en) Overhead conveyor
CN103171842B (zh) 物品保管设备以及物品保管设备中的维修方法
CA2390936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ehicle bodies
JP4752929B2 (ja) 車両の組立ライン
CN107298289B (zh) 汽车焊装主焊线主夹具空中输送系统
CN114746331B (zh) 车辆的悬架装置的组装方法、组装装置以及混流生产线
KR10184538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 시스템의 고장차량 견인방법
CN111482780B (zh) 搬送系统
US5433154A (en) Detachable monorail conveyor system
US8939698B2 (en) Ceiling traveling vehicle and method for preventing protrusion from ceiling traveling vehicle
KR101360045B1 (ko) 다차종 차체 조립 시스템의 사이드 패널 얼라인 장치
JPH06227648A (ja) ワーク搭載装置
JP6474341B2 (ja) 連結装置
KR20170052132A (ko)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 시스템의 고장차량 견인방법
JP2012136329A (ja) ワーク搬送装置
JP6999396B2 (ja) 台車と搬送車との連結分離構造
JP2009227185A (ja) 車両組立ラインにおけるドア搬送装置およびドア搬送方法
JP3646022B2 (ja) 自動二輪車の吊下治具
JP3032184B2 (ja) 自動車の組立ラインにおける同期搬送装置
JP2722901B2 (ja) 上下搬送装置間の移載設備
JP4266626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JPH11222163A (ja) トラクタ・トレーラの電空接続装置
JP3551715B2 (ja) 搬送設備
JP6448435B2 (ja) 台車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