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839A -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839A
KR20060116839A KR1020067012896A KR20067012896A KR20060116839A KR 20060116839 A KR20060116839 A KR 20060116839A KR 1020067012896 A KR1020067012896 A KR 1020067012896A KR 20067012896 A KR20067012896 A KR 20067012896A KR 20060116839 A KR20060116839 A KR 20060116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oligosaccharide
resin
organic solid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879B1 (ko
Inventor
히사요시 이또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1Pre-melt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Abstract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과 착색제 (유용성 염료,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등)로 구성된 입자상의 분산상이 적어도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수용성 보조제 성분으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분산된 분산체로부터, 상기 보조제 성분을 추출하여, 유기 고체 성분과 착색제로 구성된 착색 입자 (구상 입자 등)를 제조한다. 수지 성분과 보조제 성분의 비율 (중량비)은 수지 성분/보조제 성분 = 55/45 내지 1/99, 착색제의 비율은 상기 유기 고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분산상과 매트릭스의 친화성의 여하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분산상에 대응하는 착색 입자 (착색 수지 입자 등)를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착색제, 올리고당, 매트릭스, 착색 입자

Description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DISPERS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COLORED ORGANIC SOLID PARTICLE}
본 발명은 화장료, 잉크젯 프린터 등에 사용되는 잉크 또는 착색 입자 등의 화상 기록 재료, 분체 도료 등의 도료 및 인쇄 잉크의 착색제 등으로서 유용한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 (수지 입자 등)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유기 고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분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착색된 열가소성 수지의 미립자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기계적인 분쇄법, 예를 들면 착색 성분을 수지와 용융 혼련하여 얻어지는 착색된 수지 조성물을 파쇄기 등으로 조분쇄(粗粉碎)한 후, 제트밀 등을 이용하여 미분쇄하고, 그 후 풍력 분급기 등에 의해 분급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제조 기기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얻어진 입자도 부정형으로 입자 크기에 변동이 있다. 수지 입자의 크기를 고르게 하기 위해서는 분급할 필요가 있으며, 분급에 의해 이용할 수 없는 크기의 수지 입자가 대량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입자끼리의 블록킹, 분산성 및 유동성 등의 관점에서 구상 입자가 바람직하지만, 기계적인 분쇄법으로 구상 미립자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5272호 공보 (특허 문헌 1)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색소를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한 착색 수지를 용융 상태로 하고, 이 용융 상태의 착색 수지를 이 착색 수지가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매체 중에서 액적상 미립자화하여, 이 액적상 미립자를 냉각 고화하는 미립자상 착색 수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공정이 복잡함과 동시에, 액적화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수지를 용해하기 위해 불용성 매체의 온도를 고온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불용성 매체의 종류가 고비점인 유기 용매로 한정된다. 또한 냉각 공정에서는 액적끼리의 융합을 피하기 위해, 0 ℃에 근접할 때까지 냉각할 필요가 있으며, 안정적으로 균일한 입경의 입자를 얻을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76065호 공보 (특허 문헌 2)에는, 미분말화하는 열가소성 수지 (a)에 다른 1 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b)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수지 (a)가 분산상을 형성하고 수지 (b)가 연속상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생성시켜, 수지 (a)는 용해되지 않고 수지 (b)만 용해되는 용매 및 조건으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세정함으로써, 수지 (a)의 구상 미립자를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수지 (a)에 대하여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는 방법도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안료 또는 염료 등의 첨가제가 연속상을 구성하는 수지 (b)측에도 분배되기 때문에, 안료 등의 첨가제를 수지의 기능제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으며,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미분말화하는 수지는 내용제성이 우수한 수지일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분산상과 연속상이 각각 비상용일 필요도 있으며, 분산상 수지의 종류에 따라 연속상의 수지와 용매의 조합을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수지끼리의 조합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수지와 용매의 조합에 대해서도 제한된다. 또한, 분산체를 냉각하는 과정에서, 비상용인 수지끼리는 큰 상분리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한 번 생성된 분산상이 재차 집합하여, 소정 형상의 미립자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연속상을 형성하는 수지는 제품이 되는 수지 미립자에는 하등의 관여도 하지 않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회수되거나, 또는 용해 상태 그대로 폐기되게 된다. 그러나, 용액 중의 수지를 회수하는 것은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수지 미립자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수지 용액을 폐액(廢液)으로서 그대로 폐기한 경우, 환경에 대한 악영향도 우려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75272호 공보 (청구항 1)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176065호 공보 (청구항 1, 단락 번호 [0042])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상과 매트릭스의 상용성 또는 비상용성 및 내용제성의 여하에 관계없이, 간편한 방법에 의해 분산상에 대응하는 착색 입자 (착색 수지 입자 등이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를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분산체, 이 분산체로부터 착색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착색 입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산상을 효율적으로 착색할 수 있으며, 착색제의 사 용 효율을 높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분산체, 착색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착색 입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색 입자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폭을 좁게 할 수 있으며, 구상으로 할 수 있는 분산체, 착색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착색 입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목적은 폐액 등에 의한 환경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분산체 및 착색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적어도 올리고당으로 구성된 수용성 보조제 성분을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과 조합하여 분산체를 형성하는 경우, 유기 고체에 대하여 친화성이 높은 착색제를 선택하면, 착색제를 분산체 중의 분산상측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산체의 매트릭스인 수용성 보조제 성분을 수성 매체를 이용하여 용출 또는 추출하면, 용출액에 착색제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분산체는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상의 분산상 및 적어도 올리고당 (C1)을 포함하는 수용성 보조제 성분 (C)로 구성된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분산상이 상기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착색제 (B)는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염료 (유용성 염료 등) 및 유기 또는 무기 안료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도 있다. 착색제 (B)의 비율은 유기 고체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0 중량부 (예를 들 면, 0.001 내지 10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분산상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0 ㎛ 정도일 수도 있으며, 착색제 (B)의 평균 입경은 분산상의 평균 입경의 50 %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분산상은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 60 이하 및 장경 (長徑)과 단경 (短徑)의 길이의 비 (장경/단경) = 1.5/1 내지 1/1을 갖는 구상 분산상일 수도 있다. 유기 고체 성분 (A)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0 이하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당 (C1)은 적어도 사당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당 (C1)은 전분당, 갈락토 올리고당, 커플링 슈가, 프룩토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키틴 올리고당 및 키토산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당 (C1)의 50 중량% 수용액의 점도는 온도 25 ℃에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경우에 1 Paㆍs 이상일 수도 있다.
보조제 성분 (C)는 올리고당 (C1)과 상기 올리고당 (C1)을 가소화하기 위한 수용성 가소화 성분 (C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올리고당 (C1)은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융점 또는 연화점을 나타내거나 또는 분해되며, 가소화 성분 (C2)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이하일 수도 있다. 상기 가소화 성분 (C2)는 당류 및 당알코올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둘시톨 및 만니톨 등)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올리고당 (C1)과 가소화 성분 (C2)의 비율 (중량비)은 올리고당 (C1)/가소화 성분 (C2) = 99/1 내지 50/50일 수도 있다.
상기 분산체에서, 유기 고체 성분 (A)와 보조제 성분 (C)의 비율 (중량비)은 유기 고체 성분 (A)/보조제 성분 (C) = 55/45 내지 1/99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분산체로부터 상기 보조제 성분 (C)를 용출하여,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입자도 포함된다. 이 입자는 평균 입경 0.1 내지 100 ㎛ 및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 60 이하를 가지며, 입자의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가 장경/단경 = 1.5/1 내지 1/1인 구상 입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분산체는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및 착색제와 보조제 성분으로 분산계를 형성하는 조성물 (수지 조성물 등)일 수도 있으며, 두 성분을 동일하게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착색된 유기 고체 성분을 간단히 "유기 고체 성분", 착색된 수지 성분을 간단히 "수지 성분", 수용성 보조제 성분을 "보조제 성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상이란, 진구(眞球)로 한정되지 않으며,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가 장경/단경 = 1.5/1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1.2/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1/1) 정도인 형상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기 고체 성분"이란, 고체인 한 탄소계의 유기 화합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규소 화합물 (실리콘 수지 등) 등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서는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과 착색제로 구성된 분산상을 특정한 수용성 보조제 성분으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입자상으로 분산하기 때문에, 분산상과 매트릭스의 친화성 (상용성 또는 비상용성) 및 내용제성의 여하에 관계없이, 간편한 방법에 의해 분산상에 대응하는 착색 입자 (착색 수지 입자 등)를 공업적으로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 유기 고체 성분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착색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분산상을 효율적으로 착색할 수 있으며, 착색제의 사용 효율을 높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착색제를 분산상측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제 성분을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폐액 등에 의한 환경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 입자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입도 분포폭을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자를 구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착색 수지 입자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분산체]
본 발명의 분산체에서는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상의 분산상이 적어도 올리고당 (C1)을 포함하는 수용성 보조제 성분 (C)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있다.
(A)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 (A)로서는, 통상적으로 수용성 보조제 성분 (C)에 대하여 비상용 또는 소수성 성분 (비수용성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성분 (A)는 통상적으로, 실온 (15 내지 25 ℃ 정도)에서 고체이며, 저분자 화합물일 수도 있고 고분자 화합물 (또는 수지)일 수도 있다. 저분자 유기 고체 성분 (A)의 융점은 40 내지 28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60 ℃) 정도일 수도 있으며, 100 내지 260 ℃ 정도의 비교적 높은 융점을 갖는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고체 성분 (A)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분자의 유기 고체 성분 (A)로서는 예를 들면 왁스류 또는 지질류, 안정화제 (힌더드 페놀계, 힌더드 아민계 및 인계 등의 산화 방지제,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등의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제 등), 대전 방지제, 난연제, 윤활제, 결정핵제, 가황 촉진제, 노화 방지제 및 가황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왁스류 또는 지질류로서는 지방족 탄화수소계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폴리올레핀계 왁스, 파라핀계 왁스 및 미세결정성 왁스 등), 식물성 또는 동물성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밀랍, 셀락 왁스 및 몬탄 왁스 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디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 지방산 아미드 (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에루크산아미드 등), 알킬렌비스 지방산 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아미드 및 에틸렌비스히드록시스테아르산아미드 등) 및 지방산 금속염 (라우르산바륨, 라우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고급 지방산 다가 금속염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류 또는 지질류는 윤활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저분자 유기 고체 성분이어도 상기 수용성 보조제 (C)와 조합함으로써, 입자 (특히 진구상(眞球狀)의 입자)로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저분자 유기 고체 성분 (A)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고체 성분 (A)로서는 고분자 화합물 (수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수지로는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티오)에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술피드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등),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및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의 축합계 열가소성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예를 들면, 할로겐 함유 수지, 비닐에스테르계 수지 및 비닐알코올계 수지 등) 등의 비닐 중합계 열가소성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천연물 유래 수지; 열가소성 실리콘 수지 등] 및 열경화성 수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및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바니시 등)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성분 (A)로서는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 비수용성 수지 (비수용성 열가소성 수지 등)가 사용된다.
(열가소성 수지)
(1)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옥시카르복실산을 중축합시켜 얻어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락톤을 개환 중합시켜 얻어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메틸테레프탈산 및 메틸이소프탈산 등의 알킬 치환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및 3,4'-디페닐디카르복실산 등의 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등의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4,4'-디카르복실산 등의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디페닐메탄디카르복실산 및 디페닐에탄디카르복실산 등의 디페닐알칸디카르복실산; 디페닐케톤디카르복실산 등의 탄소수 8 내지 20 정도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이산, 헥사데칸디카르복실산 및 다이머산 등의 탄소수 2 내지 40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이소프탈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및 하이믹산 등의 탄소수 8 내지 12 정도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에는 에스테르 형성 가능한 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틸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산 무수물 및 산 클로라이드 등의 산 할라이드 등도 포함된다.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C2-12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폴리C2-4 알킬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등) 등), 지환족 C6-12 디올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디올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 방향족 C6 -20 디올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나프탈렌디올, 비스페놀 A, F 및 AD 등의 비스페놀류 및 비스페놀류의 알킬렌옥시드 부가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올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옥시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콜산, 락트산, 옥시프로피온산, 옥시부티르산, 글리세린산 및 타르트론산 등의 지방족 C2 -6 옥시카르복실산; 히드록시벤조산 및 옥시나프토에산 등의 방향족 옥시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옥시카르복실산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락톤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및 카프로락톤 등의 C3-12 락톤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락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락톤 중, C4-10 락톤, 특히 카프로락톤 (예를 들면, ε-카프로락톤 등)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이 포함된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및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탄소수 8 내지 20 정도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과, 상기 지방족 디올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및 1,3-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C2-12 디올 등) 또는 상기 지환족 디올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C6-20 디올 등)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진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알킬렌나프탈레이트 등의 알킬렌아릴레이트 단위를 주성분 (예를 들면, 50 중량% 이상)으로 하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공중합 성분에는 반복되는 수가 2 내지 4 정도인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C2 -4 알킬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C2 -4 알킬렌) 단위를 포함하는 글리콜 등] 또는 탄소수 6 내지 12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피메르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및 세박산 등)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예를 들면,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CT) 등의 폴리시클로알칸디C1-4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등의 폴리C2 -4 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이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에 대응하는 폴리C2 -4 알킬렌나프탈레이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 및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액정성 폴리에스테르일 수도 있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예를 들면, 옥살산, 숙신산 및 아디프산 등의 탄소수 2 내지 6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옥살산 및 숙신산 등의 탄소수 2 내지 4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과, 상기 지방족 디올 성분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C2-6 디올 (C2-6 알칸디올),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C2-4 디올 (C2-4 알칸디올))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나 상기 지방족 옥시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글리콜산, 락트산, 옥시프로피온산 및 옥시부티르산 등의 지방족 C2-6 옥시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글리콜산 또는 락트산 등의 지방족 C2 -4 옥시카르복실산)의 호모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개시제 (2관능 또는 3관능의 개시제, 예를 들면 알코올 등의 활성 수소 화합물)를 이용하여 상기 락톤 (바람직하게는 카프로락톤 등의 C4 -10 락톤)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호모폴리락톤 또는 코폴리락톤을 들 수 있다. 공중합 성분에는 반복되는 수가 2 내지 4 정도인 옥시알킬렌 단위를 갖는 폴리C2 -4 알킬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C2 -4 알킬렌) 단위를 포함하는 글리콜 등] 또는 탄소수 6 내지 12 정도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피메르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및 세박산 등)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의 중축합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옥살레이트, 폴리부틸렌옥살레이트 및 폴리네오펜틸렌옥살레이트 등의 폴리C2 -6 알킬렌옥살레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및 폴리네오펜틸렌숙시네이트 등의 폴리C2 -6 알킬렌숙시네이트;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및 폴리네오펜틸렌아디페이트 등의 폴리C2 -6 알킬렌아디페이트 등), 폴리옥시카르복실산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글리콜산 또는 폴리락트산 등), 폴리락톤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셀 가가꾸 고교 (주)제, PCLH7, PCLH4 및 PCLH1 등) 등의 폴리C3 -12 락톤계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코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2종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이용한 코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공중합 수지,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공중합 수지 등의 폴리C2 -4 알킬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공중합 수지 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과 락톤으로부터 얻어지는 코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카프로락톤-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공중합 수지 (부탄디올-숙신산-카프로락톤 삼원 공중합체 등)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일 수도 있다.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저분자량 폴리에스테르디올 등)를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고분자량화한 수지가 바람직하다.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에스테르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쇼와 고분시 (주)제의 "비오노레 #1000", "비오노레 #3000" 및 "비오노레 #6000"의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2)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지환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사용된다. 이들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지방족 디아민 성분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C4-10 알킬렌디아민)과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아디프산, 세박산 및 도데칸이산 등의 C4-20 알킬렌디카르복실산 등)의 축합물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4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1010, 폴리아미드 1012 및 폴리아미드 1212 등), 락탐 (ε-카프로락탐 및 ω-라우로락탐 등의 C4-20 락탐 등) 또는 아미노카르복실산 (ω-아미노운데칸산 등의 탄소수 C4-20 아미노카르복실산 등)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1 및 폴리아미드 6/12 등), 이들의 폴리아미드 성분이 공중합된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6/11 및 폴리아미드 66/12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생분해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생분해성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상기 지방족 디아민 성분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및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C4-10 알킬렌디아민)과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아디프산, 세박산 및 도데칸이산 등의 C4-20 알킬렌디카르복실산 등), 상기 지방족 디올 성분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탄디올 등의 C2-12 알킬렌글리콜 등)의 축합물인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들 수 있다.
(3)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류와 폴리올류 (예를 들면 디올류)와 필요에 따라 쇄신장제(鎖伸長劑)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올류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및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류 중에서도 특히 디올류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 및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등)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폴리올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디올류로서는 폴리에스테르디올 (숙신산, 아디프산 및 아젤라산 등의 C4-12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및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C2 -12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 및 ε-카프로락톤 등의 C4 -12 락톤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또는) 상기 지방족 디올 성분과 상기 락톤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디올 등),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비스페놀 A-알킬렌옥시드 부가체 등), 폴리에스테르에테르디올 (디올 성분의 일부로서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디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쇄신장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C2-10 알킬렌글리콜 이외에, 디아민류 [지방족 디아민류 (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및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등 직쇄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및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등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 폴리알킬렌폴리아민 등), 지환족 디아민류 (이소포론디아민 등), 방향족 디아민류 (페닐렌디아민 및 크실릴렌디아민 등)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폴리(티오)에테르계 수지
폴리(티오)에테르계 수지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및 폴리술피드계 수지 (폴리티오에테르계 수지)가 포함된다. 폴리알킬렌글리콜로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알킬렌글리콜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폴리C2 -4 알킬렌글리콜 등)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폴리(티오)에테르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에는 비스페놀류 (비스페놀 A 등)를 베이스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6)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에는 디할로게노디페닐술폰 (디클로로디페닐술폰 등)과 비스페놀류 (비스페놀 A 또는 그의 금속염 등)의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술폰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및 폴리알릴술폰 수지 (상품명: RADE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폴리술폰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7)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α-C2-6 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폴리(메틸펜텐-1) 등의 올레핀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올레핀과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8)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C1 -18 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및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에는 폴리(메트)아크릴산C1 -5 알킬,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9)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로서는 스티렌계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 등)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비닐톨루엔 공중합체,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체 등), 스티렌계 단량체와 공중합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AS 수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 등;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A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폴리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AC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세트산비닐-스티렌 공중합체 (AXS 수지) 등의 스티렌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고무 성분의 존재하, 적어도 스티렌계 단량체를 그래프트 중합한 그래프트 중합체, 예를 들면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HIPS 또는 고무 그래프트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 고무-스티렌 공중합체 (AES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스티렌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0) 비닐계 수지
비닐계 수지에는 비닐계 단량체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또는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 함유 비닐 단량체 [예를 들면, 염소 함유 비닐 단량체 (예를 들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및 클로로프렌 등), 불소 함유 비닐 단량체 (예를 들면, 플루오로에틸렌 등) 등], 카르복실산비닐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크로톤산비닐 및 벤조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비닐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닐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염화비닐리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 불소 수지 (예를 들면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및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등), 비닐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닐계 수지에는 상기 비닐에스테르계 수지의 유도체, 예를 들면 비닐알코올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비닐포르말 및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상기 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 등도 포함된다. 이들의 비닐알코올계 수지 중, 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특히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에서, 소수성 공단량체 유닛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서의 에틸렌 유닛 등)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친수성의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을 친수성 수지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조제 성분 (C)에 대한 친화성의 면에서, 소수성 공단량체 유닛의 비율을 예를 들면, 10 내지 40 중량% 정도로 조정할 수도 있다.
(11) 셀룰로오스 유도체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 셀룰로오스카르바메이트류 (셀룰로오스페닐카르바메이트 등) 및 셀룰로오스에테르류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등)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셀룰로오스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및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아실셀룰로오스); 질산셀룰로오스, 황산셀룰로오스 및 인산셀룰로오스 등의 무기산 에스테르; 질산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혼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셀룰로오스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오스, 이소프로필셀룰로오스 및 부틸셀룰로오스 등의 C2-6 알킬셀룰로오스 등), 아랄킬셀룰로오스 (예를 들면, 벤질셀룰로오스 등) 및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생분해성의 면에서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치환도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평균 치환도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2),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5) 정도이다.
(12)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는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 및 불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블록 공중합체인 경우에 블록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트리 블록 구조, 멀티 블록 구조 및 성형(星形) 블록 구조 등일 수도 있다.
수지 성분의 열 변형 온도 (예를 들면, JIS K 7206으로 규정되는 비카트(Vicat) 연화점)는 60 내지 300 ℃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80 내지 26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40 ℃ (예를 들면 110 내지 2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30 ℃ (예를 들면 130 내지 220 ℃) 정도이다.
바람직한 수지로서는 수불용성 열가소성 수지 (또는 소수성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비닐계 수지 (예를 들면, 할로겐 함유 수지, 비닐에스테르계 수지 및 비닐알코올계 수지 등), 생분해성 수지 [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예를 들면, 폴리락트산계 수지 또는 폴리C3 -12 락톤계 수지 등),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등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보조제 성분 (C)와의 용융 혼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의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유기 고체 성분 (A)를 상기 생분해성 수지로 구성하면, 생분해성이 우수한 수지 입자를 얻을 수도 있다.
수지 성분 (열가소성 수지 등)의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또는 점도 평균 분자량으로 예를 들면, 500,000 이하 (예를 들면, 10,000 내지 50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400,0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350,000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의 측정이 곤란한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는, 점도 평균 분자량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수지 성분의 혼련 시간 또는 혼련 온도 등에 따라서도 조절할 수 있다.
(B) 착색제
착색제 (B)로서는 수지 또는 플라스틱의 착색에 이용되는 색소류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착색제를 분산상에 효율적으로 분배시켜, 보조제 성분 (C)를 용출 또는 추출하기 위한 용매에 착색제가 추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염료 또는 안료 [유용성 염료 (솔벤트 염료 등), 분산 염료, 배트 염료, 황화 염료, 아조 염료 (나프톨 염료) 및 안료 (무기 안료 및 유기 안료 등)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 (B)는 분산상에 분배되기 때문에, 분산상은 착색제 (B)에 의해 유채색 (황색, 주황색, 적색, 보라색, 청색 및 녹색 등) 또는 무채색으로 착색 가능하다.
상기 수불용성 염료 (유용성 염료, 분산 염료 및 배트 염료 등)로서는, 아조 염료 (디스퍼스 옐로우 3 등의 황색 염료; 패스트 오렌지 GC 염기를 디아조화하여 나프톨 AS에 커플링한 염료, 디스퍼스 오렌지 3 등의 주황색 염료; 디스퍼스 레드 1 등의 적색 염료; 디스퍼스 블랙 1 등의 흑색 염료 등), 안트라퀴논 염료 (배트 옐로우 2, 3 등의 황색 염료; 디스퍼스 레드 11, 15 등의 적색 염료; 디스퍼스 바이올렛 1 등의 보라색 염료; 배트 블루 1, 3, 14, 솔벤트 블루 11 등의 청색 염료 등), 축합 다환 퀴논계 염료 (배트 옐로우 4 등의 황색 염료; 배트 오렌지 3 등의 주황색 염료; 배트 블루 4 등의 청색 염료; 배트 그린 1, 디스퍼스 그린 1 등의 녹색 염료 등), 트렌계 염료 (배트 레드 23 등의 적색 염료 등), 인디고이드 염료 (배트 바이올렛 2 등의 보라색 염료; 배트 블루 1 등의 청색 염료 등), 프탈로시아닌 염료, 카르보늄이온 염료, 니트로 염료, 퀴놀린 염료 및 나프토퀴논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로서는, 백색 안료 (이산화티탄 (소수화 이산화티탄 등), 산화아연 및 황화아연 등), 체질 안료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카올린 점토, 탈크 및 벤토나이트 등), 흑색 안료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써멀 블랙, 램프 블랙 및 케첸 블랙 등의 카본 블랙 등), 적색 안료 (벵갈라 등의 산화철, 연단(鉛丹), 몰리브덴 레드 및 카드뮴 레드 등), 황색 안료 (산화납, 황연, 황색 산화철 및 카드뮴 옐로우 등), 청색 안료 (감청색 및 군청색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강자성 재료를 무기 안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자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철, 코발트 및 니켈 등의 강자성 금속 (분말); 마그네타이트 및 페라이트 등의 강자성 합금 (분말); 자성 산화철 등의 강자성 금속 산화물 (분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기 안료로서는, 아조계 안료 [불용성 아조 안료 또는 아조 레이크 안료, 예를 들면 황색, 주황색 또는 적색 안료 (예를 들면, 피그먼트 레드 1, 3, 4, 6, 48, 57:1 (적색 202호) 등의 β-나프톨계 아조 안료; 피그먼트 레드 37, 피그먼트 오렌지 13 등의 피라조론계 아조 안료 등), 녹색 안료 (피그먼트 그린 10 등의 아조 화합물의 금속 착염 등) 등 이외에, 축합 아조 화합물, 고분자량 아조 안료, 아조 메틴기를 포함하는 아조 안료 및 아조 메틴 안료 등],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구리 프탈로시아닌, 예를 들면 피그먼트 블루 15, 15:3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의 청색 안료, 피그먼트 그린 7 (프탈로시아닌 그린) 등], 퀴나크리돈계 안료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등의 보라색 안료 등),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우 110 등의 황색 안료 등), 페리논ㆍ페릴렌계 안료 (피그먼트 레드 179, 190 등의 적색 안료 등), 트렌계 안료 (피그먼트 블루 60 등의 청색 안료 등), 디옥사진 안료 (피그먼트 바이올렛 23 등의 보라색 안료 등), 안트라퀴논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우 108, 123, 피그먼트 레드 83, 177 등의 황색, 주황색 또는 적색 안료 등), 인디고 또는 티오 인디고계 안료 (인디고, 인디고 백색 등의 청색 안료; 인디루빈 등의 보라색 안료; 티오 인디고, 피그먼트 레드 88 등의 적색 안료 등), 아닐린 블랙 등의 흑색 안료, 디케토피롤로피롤계 안료, 벤즈이미다졸론 화합물, 디아릴라이드 엘로우 (피그먼트 옐로우 8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제는 형광 안료 또는 염료 및 촉광 안료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 수용성 보조제 성분 (C)에 비해,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착색제 (수불용성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하면, 분산체에서 착색제를 분산상 (유기 고체 성분 (A))측에 분배시킬 수 있으며, 착색제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착색제 중, 유채색 또는 흑색의 수불용성 염료 (유용성 염료 등), 무기 안료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 및 카본 블랙 등의 흑색 안료 등), 유채색 유기 안료 등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를 분산상에 효율적으로 함유 (또는 내포)시켜 분산상을 착색하기 위해, 착색제 (B)의 입자 크기는 분산상의 입자 크기보다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착색제 (B)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분산상 (또는 얻어지는 착색 입자)의 평균 입경의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일 수도 있다. 유용성 염료 등의 수불용성 염료는 분자 크기로 유기 고체 성분 (A) 중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안료의 평균 입경은 2 ㎚ 내지 10 ㎛ 정도의 넓은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 ㎚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0 ㎚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유용성 염료는 분자 크기이기 때문에, 입자 (또는 분산상)의 크기 축소를 도모하는 경우에는, 유용성 염료를 선택하면 유리하다.
또한, 착색제 (B)는 유기 고체 성분 (A)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착색제를 열가소성 수지 [유기 고체 성분 (A) 또는 유기 고체 성분 (A)에 상용의 유기 고체 성분 (열가소성 수지 등) 등]로 미리 희석하여, 마스터 배치의 상태로 이용할 수도 있다. 마스터 배치는 관용의 혼련기 (상기 예시한 혼련기 등)를 이용하여 유기 고체 성분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성분과 동일한 종류의 수지 등) 등]과 착색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마스터 배치 중의 착색제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관용의 농도, 예를 들면 5 내지 20 중량% 정도일 수도 있다.
분산상에서, 착색제 (B)의 비율은 유기 고체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200 중량부 (예를 들면, 0.001 내지 100 중량부) 정도의 넓은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001 내지 70 중량부 (예를 들면, 0.00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5 중량부 (예를 들면, 0.02 내지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C) 수용성 보조제 성분
수용성 보조제 성분은 적어도 올리고당 (C1)을 포함한다. 또한, 올리고당의 열 용융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수용성 보조제 성분은 추가로 상기 올리고당을 가소화하기 위한 수용성 가소화 성분 (C2)를 포함할 수 있다. 올리고당 (C1)과 수용성 가소화 성분 (C2)를 조합하면, 유기 고체 성분 (A)와의 혼련에서 수용성 보조제 성분 (C)의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보조제 성분은 유기 고체 성분 및 착색제와 조합하여 분산체를 형성한 후, 적절하게 용출 또는 세정함으로써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 (수지 입자 등)를 형성할 수 있다.
(C1) 올리고당
올리고당 (C1)은 2 내지 10 분자의 단당류가 글리코시드 결합을 개재하여 탈수 축합된 호모올리고당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단당류 및(또는) 당알코올이 2 내지 10 분자 글리코시드 결합을 개재하여 탈수 축합된 헤테로올리고당으로 크게 구별된다. 올리고당 (C1)로서는 예를 들면 이당류 내지 십당류를 들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당류 내지 육당류의 올리고당이 사용된다. 올리고당은 통상적으로 상온에서 고체이다. 또한, 이들의 올리고당은 무수물일 수도 있다. 또한, 올리고당에서 단당류와 당알코올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올리고당은 복수의 당 성분으로 구성된 올리고당 조성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올리고당 조성물이어도 간단히 올리고당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올리고당 (또는 올리고당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당류로서는 트레할로오스 (예를 들면, α,α-트레할로오스, β,β-트레할로오스 및 α,β-트레할로오스 등), 코지비오스, 니게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소포로오스, 라미나리비오스, 셀로비오스 및 겐티오비오스 등의 호모올리고당;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팔라티노오스, 멜리비오스, 루티노오스, 프리메베로스 및 투라노스 등의 헤테로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삼당류로서는 말토트리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오스 및 셀로트리오스 등의 호모올리고당; 만니노트리오스, 솔라트리오스, 멜레치토오스, 플란테오스, 겐티아노스, 움벨리페로스, 락토스쿠로오스 및 라피노오스 등의 헤테로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사당류로서는 말토테트라오스 및 이소말토테트라오스 등의 호모올리고당; 스타키오스, 셀로테트라오스, 스코로도오스, 리키노스 및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당 또는 당알코올이 결합된 테트라오스 등의 헤테로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사당류 중,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단당류 또는 당알코올이 결합된 테트라오스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21589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며,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만노오스, 크실로오스 및 아라비노오스 등의 단당류 또는 소르비톨, 크실리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결합된 테트라오스를 예시할 수 있다.
오당류로서는 말토펜타오스 및 이소말토펜타오스 등의 호모올리고당;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이당류가 결합된 펜타오스 등의 헤테로올리고당을 들 수 있다.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이당류가 결합된 펜타오스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21589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으며, 파노오스의 환원 말단에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셀로비오스 및 트레할로오스 등의 이당류가 결합된 펜타오스를 예시할 수 있다.
육당류로서는 말토헥사오스 및 이소말토헥사오스 등의 호모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올리고당은 유기 고체 성분과의 용융 혼련성의 관점에서, 적어도 사당류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당은 다당류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올리고당 조성물일 수도 있다. 올리고당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당류를 포함한다. 올리고당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전분당 (전분당화물), 갈락토 올리고당, 커플링 슈가, 프룩토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키틴 올리고당 및 키토산 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분당은 전분에 산 또는 글루코아밀라아제 등을 작용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당 조성물이며, 복수개의 글루코오스가 결합된 올리고당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전분당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와 가세이 고교 (주)제의 환원 전분당화물 (상품명: PO-10, 사당류의 함유량 90 중량%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갈락토 올리고당은 락토오스에 β-갈락토시다아제 등을 작용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당 조성물이며, 갈락토실락토오스와 갈락토오스-(글루코오스)n의 혼합물 (n은 1 내지 4의 정수)일 수도 있다.
커플링 슈가 전분과 수크로오스에 시클로덱스트린 합성 효소(CGTase)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당 조성물이며, (글루코오스)n-수크로오스의 혼합물 (n은 1 내지 4의 정수)일 수도 있다.
프룩토 올리고당은 당에 프룩토푸라노시다아제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당 조성물이며, 수크로오스-(프룩토오스)n의 혼합물 (n은 1 내지 4의 정수)일 수도 있다.
이들의 올리고당 조성물에서, 용융 혼련에서의 급격한 점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올리고당 조성물 중의 삼당류 및 사당류 (특히 사당류)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60 중량% 이상 (6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 (70 내지 1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 (80 내지 100 중량%), 특히 90 중량% 이상 (90 내지 100 중량%)일 수도 있다.
올리고당은 환원형 (말토오스형)일 수도 있으며, 비환원형 (트레할로오스형)일 수도 있는데, 환원형의 올리고당은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환원형의 올리고당으로서는 유리된 알데히드기 또는 케톤기를 가지며, 환원성을 나타내는 당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코지비오스, 니게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소포로오스, 라미나리비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락토오스, 팔라티노오스, 멜리비오스, 루티노오스, 프리메베로스 및 투라노스 등의 이당류; 말토트리오스, 이소말토트리오스, 파노오스, 셀로트리오스, 만니노트리오스 및 솔라트리오스 등의 삼당류; 말토테트라오스, 이소말토테트라오스, 셀로테트라오스 및 리키노스 등의 사당류; 말토펜타오스 및 이소말토펜타오스 등의 오당류; 말토헥사오스 및 이소말토헥사오스 등의 육당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올리고당은 천연물인 다당류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환원에 의해 제조되는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제조물이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혼련에 의해 효과적으로 유기 고체 성분과 보조제 성분을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올리고당의 점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온도 25 ℃에서 측정한 경우에 올리고당의 50 중량% 수용액의 점도는 1 Paㆍs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00 Paㆍs 정도), 바람직하게는 2 Paㆍs 이상 (예를 들면, 2 내지 250 Paㆍs, 특히 3 내지 100 Paㆍs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 Paㆍs 이상 (예를 들면, 4 내지 50 Paㆍs 정도), 특히 6 Paㆍs 이상 (예를 들면, 6 내지 50 Paㆍs 정도)이며, 고점도 올리고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리고당 (C1)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A)의 융점 또는 연화점, JIS K 7206으로 규정되는 비카트 연화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올리고당의 종류 [예를 들면, 환원 전분당화물 등의 전분당 등]에 따라서는 융점 또는 연화점을 나타내지 않고, 분해 (열 분해)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분해 온도를 올리고당 (C1)의 "융점 또는 연화점"으로 할 수도 있다.
올리고당 (C1)의 융점 또는 연화점과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의 온도차는 예를 들면, 1 ℃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8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예를 들면, 10 내지 7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60 ℃ 정도)이다. 올리고당 (C1)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유기 고체 성분 (A)의 종류 등에 따라 70 내지 300 ℃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90 내지 29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80 ℃ (예를 들면, 110 내지 27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60 ℃ (예를 들면, 130 내지 260 ℃)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올리고당의 무수물은 높은 융점 또는 연화점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트레할로오스의 경우, 이수화물의 융점은 97 ℃이지만, 무수물의 융점은 203 ℃이다. 올리고당의 융점 또는 연화점이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보다 높으면, 용융 혼련에서의 올리고당의 급격한 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올리고당의 열 열화도 억제할 수 있다.
(C2) 수용성 가소화 성분
수용성 가소화 성분 (C2)로서는 올리고당 (C1)이 수화되어 시럽 상태가 되는 현상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류 및 당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가소화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 당류
당류로서는 올리고당 (C1)을 유효하게 가소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단당류 및(또는) 이당류가 사용된다. 이들의 당류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당류로서는 트리오스, 테트로오스, 펜토오스, 헥소오스, 헵토오스, 옥토오스, 노노오스 및 데코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은 알도오스 또는 케토오스일 수도 있으며, 디알도오스 (당의 유도체이며 탄소쇄 양쪽 말단이 알데히드기인 화합물, 예를 들면 테트라아세틸갈락토헥소디알도오스, 이도헥소디알도오스 및 크실로펜토디알도오스 등), 복수의 카르보닐기를 갖는 단당류 (오손 및 오노스 등의 알도알코케토오스 등), 메틸기를 갖는 단당류 (알트로메틸로오스 등의 메틸당 등), 아실기 (특히 아세틸기 등의 C2-4 아실기 등)를 갖는 단당류 (상기 알도오스의 아세틸체, 예를 들면 알데히드글루코오스펜타아세틸 화합물 등의 아세틸체 등),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당류 (당산 또는 우론산 등), 티오당, 아미노당 및 디옥시당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단당류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로오스 (에리트로오스 및 트레오로오스 등), 펜토스 (아라비노오스, 리보오스, 리키소오스, 디옥시리보오스 및 크실로오스 등), 헥소오스 (알로오스, 알트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굴로오스, 이도오스, 갈락토오스,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푸코오스, 람노오스, 탈로오스, 갈락투론산, 글루쿠론산, 만누론산 및 글루코사민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단당류는 헤미아세탈 결합에 의해 환상 구조를 형성한 환상 이성체일 수도 있다. 단당류는 선광성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D형, L형 및 DL형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들의 단당류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당류로서는 올리고당 (C1)을 가소화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이당류 중, 저융점 또는 저연화점을 갖는 이당류 (예를 들면 겐티오비오스, 멜리비오스 및 트레할로오스 (이수화물) 등), 상기 단당류의 호모 및 헤테로 이당류에 상당하는 이당류 (예를 들면, 글루쿠론산과 글루코오스가 α-1,6 글리코시드 결합된 글루쿠로노글루코오스 등의 알도비오우론산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당류는 열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환원당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당류로서는 유리된 단당류 이외에 상기 이당류 중, 저융점 또는 저연화점인 환원당 (예를 들면, 겐티오비오스 및 멜리비오스 등)을 들 수 있다.
(b) 당알코올
당알코올로서는 알디톨 (글리시톨) 등의 쇄상 당알코올일 수도 있으며, 이노시톨 등의 환식 당알코올일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는 쇄상 당알코올이 사용된다. 이들의 당알코올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쇄상 당알코올로서는 테트리톨 (트레이톨 및 에리트리톨 등), 펜티톨 [펜타에리트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아도니톨), 크실리톨 및 리키시톨 등], 헥시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굴리톨, 탈리톨, 둘시톨 (갈락티톨), 알로둘시톨 (알리톨) 및 알트리톨], 헵티톨, 옥티톨, 노니톨, 데시톨 및 도데시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당알코올 중,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둘시톨 및 만니톨이 바람직하다. 당알코올은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및 크실리톨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가소화 성분 (C2)는 상온 (예를 들면, 15 내지 20 ℃ 정도)에서 액체 (시럽상)일 수도 있지만, 취급성 등의 면에서 통상적으로 고체인 경우가 많다. 보조제 성분 (C)를 올리고당 (C1)과 가소화 성분 (C2)로 구성하면, 올리고당 (C1)이 명료한 융점 또는 연화점을 나타내지 않는 열 분해성 올리고당이어도, 유효하게 가소화 또는 연화할 수 있다.
가소화 성분 (C2)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통상적으로,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A)의 융점 또는 연화점, JIS K 7206으로 규정되는 비카트 연화점) 이하이다. 또한, 가소화 성분 중에는 고융점 (예를 들면 200 ℃ 이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올리고당과 공존시키면 실제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융해되는 물질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은 실제의 융점 (260 ℃)보다 저온 (예를 들면 160 내지 180 ℃ 정도)에서 올리고당에 대한 가소화 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자신도 융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융점의 가소화 성분은 단독으로는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의 열 변형 온도에서 융해되지 않기 때문에 이용할 수 없지만, 올리고당과 조합함으로써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융점보다 저온에서 올리고당에 대한 가소화 효과를 발휘하는 가소화 성분 (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 등)에서는, 올리고당에 대하여 가소화 효과를 발휘하는 온도를 가소화 성분 (C2)의 "융점 또는 연화점"으로 할 수도 있다.
보조제 성분 (C)의 융점 또는 연화점은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이상일 수도 있으며, 열 변형 온도 이하일 수도 있다. 유기 고체 성분 (A) 및 보조제 성분 (C)는 적어도 혼련 온도 (또는 성형 가공 온도)에서 용융 또는 연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제 성분 (C)의 융점 또는 연화점과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의 온도차는 0 내지 100 ℃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3 내지 80 ℃ (예를 들면 3 내지 55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 (예를 들면, 5 내지 4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 (예를 들면, 10 내지 35 ℃)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보조제 성분 (C)의 융점 또는 연화점과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의 온도차가 작은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온도차가 0 내지 20 ℃ 정도인 경우), 고화 속도가 높은 보조제 성분 (C) (예를 들면, 당 성분)에 의해 단시간에 분산 형태를 고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제 성분 (C) (예를 들면, 올리고당 (C1)과 가소화 성분 (C2)를 포함하는 보조제 성분)의 용융 유량(melt flow rate)은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A)의 융점 또는 연화점, 상기 비카트 연화점)보다 30 ℃ 높은 온도에서 JIS K 7210으로 규정되는 용융 유량을 측정한 경우에 1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40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이상 (예를 들면, 5 내지 3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예를 들면, 10 내지 20 정도)일 수도 있다.
보조제 성분 (C)에서, 가소화 성분 (C2)의 비율 (중량비)은 용융 혼련에 따라, 가소화 성분이 응집 등에 의해 국재화되지 않으며, 올리고당 (C1)을 효율적으로 가소화할 수 있는 양, 예를 들면 올리고당 (C1)/가소화 성분 (C2) = 99/1 내지 50/50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60/4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0 내지 70/30 정도이다.
유기 고체 성분 (A)와 보조제 성분 (C)의 비율 (중량비)은 유기 고체 성분 및 보조제 성분의 종류 또는 점도, 유기 고체 성분과 보조제 성분의 상용성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성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A)/보조제 성분 (C) = 55/45 내지 1/99, 바람직하게는 50/50 내지 5/95, 더욱 바람직하게는 45/55 내지 10/90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분산체 또는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면 충전제 (분입상 충전제 및 유리 섬유 등의 섬유상 충전제 등), 가소제 또는 연화제, 광 분해성 부여제 (아나타제형 산화티탄 등), 윤활제, 안정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및 내후(광)안정제 등), 자외선 산란제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및 산화철 등의 금속 산화물의 분말 등), 분산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전하 제어제 (니그로신 염료, 트리페닐메탄계 염료, 4급 암모늄염, 구아니딘 화합물, 이미다졸 화합물 및 아민계 화합물 등의 양의 전하 제어제; 살리실산 금속 착체, 아조 염료 금속 착체, 구리 프탈로시아닌 염료, 니트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요소 유도체 등의 음의 전하 제어제 등), 유동화제, 왁스류 [폴리에틸렌 왁스, 에틸렌 공중합체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올레핀계 왁스; 파라핀 왁스; 고급 지방산 또는 그의 유도체 (염, 다가알코올에스테르 및 아미드 등); 에스테르계 왁스 등] 및 가교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는 분산체를 구성하는 분산상 및 매트릭스 중 어느 하나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상기 그 밖의 첨가제는 착색 미립자의 용도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장품 (파운데이션, 훼이스 파우더 및 블러셔 등) 등의 용도에서는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흡수제, 신남산계 흡수제, p-아미노벤조산계 흡수제, 살리실산계 흡수제, 디벤조일메탄계 흡수제, 우로칸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β-이소프로필푸라논 및 β-카로틴 등), 상기 자외선 산란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토너 등의 화상 기록 재료 용도에서는 예를 들면, 전하 제어제, 유동화제, 왁스류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료 등의 용도에서는 예를 들면, 가교제, 내후(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유동화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첨가제는 각각 유효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의 총량은 0 내지 100 중량부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 내지 50 중량부 (예를 들면, 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10 중량부)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산체에서, 분산상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에 따라 0.1 ㎛ 내지 1 mm (예를 들면, 0.1 내지 800 ㎛) 정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1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 (예를 들면, 0.5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 (예를 들면, 0.5 내지 50 ㎛), 특히 1 내지 40 ㎛ (예를 들면 1 내지 20 ㎛)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분산상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0.1 내지 10 ㎛ (예를 들면, 0.2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 (예를 들면, 0.5 내지 2 ㎛)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산상의 입자 크기를 균일하게 하여 입도 분포를 작게할 수 있다. 분산상의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 (%) ([입경의 표준 편차/평균 입경]×100)는 예를 들면, 60 이하 (예를 들면 5 내지 60 정도),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예를 들면, 5 내지 55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예를 들면 10 내지 50 정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산체 또는 조성물에서, 분산상의 형상은 입자상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구상, 타원체상, 다각체상, 각주상, 원주상, 막대 형상 및 부정형상 등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분산상의 형상은 구상이다. 구상 분산체 (또는 구상 입자)로는 진구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가 장경/단경 = 1.5/1 내지 1/1 정도인 형상도 포함된다.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장경/단경 = 1.3/1 내지 1/1 (예를 들면, 1.2/1 내지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 내지 1/1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분산체는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 (착색제를 포함하는 마스터 배치 등도 포함함)와 보조제 성분 (C)를 혼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혼련한 조성물을 성형하여 예비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가 많다. 혼련은 관용의 혼련기 (예를 들면 단축 또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 혼련기 및 캘린더 롤 등)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혼련에 앞서서, 각 성분은 미리 동결 분쇄기 등으로 분체상으로 예비 가공하거나, 헨셀 믹서, 텀블 믹서 및 볼 밀 등으로 예비 혼련할 수도 있다.
성형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출 성형,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및 캘린더 성형 등을 들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생산성 또는 가공의 용이함 면에서,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이 사용된다. 예비 성형체 (또는 분산체)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0차원적 형상 (입상 및 펠릿상 등), 1차원적 형상 (스트랜드상 및 막대 형상 등), 2차원적 형상 (판상, 시트상 및 필름상 등), 3차원적 형상 (관상 및 블록상 등) 등일 수도 있다. 보조제 성분의 용출성을 고려하면, 스트랜드상, 막대 형상, 시트상 또는 필름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물로부터 수용성 보조제 성분을 용출시킬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혼련 후에 성형하여 수용성 보조제 성분을 용출한다.
또한, 혼련 온도 또는 성형 가공 온도는 사용되는 원재료 (예를 들면, 유기 고체 성분 및 보조제 성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9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60 ℃ (예를 들면 170 내지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240 ℃ (예를 들면, 170 내지 240 ℃), 특히 170 내지 230 ℃ (예를 들면, 180 내지 220 ℃) 정도이다. 보조제 성분 (올리고당 및 가소화 성분)의 열 분해를 피하기 위해, 혼련 온도 또는 성형 가공 온도를 230 ℃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혼련 시간은 예를 들면 10초 내지 1시간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으며, 통상적으로 30초 내지 45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분 (예를 들면, 1 내지 10분) 정도이다.
혼련 및(또는) 성형 가공에 의해 얻어진 용융물 (예를 들면, 혼합물 및 예비 성형체)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냉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융물을 냉각함으로써, 용융 상태에서 유기 고체 성분 (A) 및 착색제 (B)와 보조제 성분 (C)가 상용성이어도, 냉각에 따라 표면 장력 및 결정화 등의 고화 속도의 차이 등에 의해 분산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분산체를 얻을 수도 있다.
냉각 온도는 유기 고체 성분 (수지 성분 등) (A)의 열 변형 온도 또는 보조제 성분 (C)의 융점 또는 연화점보다 적어도 10 ℃ 정도 낮은 온도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온도 (유기 고체 성분의 열 변형 온도 또는 보조제 성분의 융점 또는 연화점)보다 10 내지 100 ℃ 정도 낮은 온도,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보다 15 내지 80 ℃ 정도 낮은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보다 20 내지 60 ℃ 정도 낮은 온도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냉각 온도는 유기 고체 성분 또는 보조제 성분의 종류에 따라 5 내지 150 ℃의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0 내지 120 ℃ (예를 들면, 1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 ℃ (예를 들면, 15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예를 들면, 20 내지 40 ℃) 정도일 수도 있다. 냉각 시간은 유기 고체 성분 또는 보조제 성분의 종류 및 냉각 온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0초 내지 20시간의 넓은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45초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5시간 (예를 들면, 1분 내지 1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분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유기 고체 성분과 보조제 성분의 상용성, 혼련 조건 (예를 들면, 혼련 시간 및 혼련 온도 등), 성형 가공 온도 및 냉각 조건 (예를 들면 냉각 시간 및 냉각 온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분산상 (또는 입자)의 평균 입경을 변화시키거나, 입도 분포폭을 더욱 좁힐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분산체는 보조제 성분 (C)가 해도(海島) 구조에서의 연속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분산상이 독립된 분산상을 형성한 상분리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보조제 성분을 빠르게 용출 또는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산상 (착색된 유기 고체상)을 입자로서 얻을 수 있다.
[착색 입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산체로부터 수용성 보조제 성분 (C)를 용출하여,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를 제조한다.
수용성 보조제 성분 (C)의 용출 (또는 세정)은 수성 용매, 예를 들면 물, 수용성 용매 (예를 들면, 알코올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등), 에테르류 (셀로솔브 및 부틸셀로솔브 등) 등) 등을 이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들의 수성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고, 공업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출 용매로서 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제 성분 (C)의 용출은 관용의 방법, 예를 들면 상기 분산체 (또는 예비 성형체)를 상기 수성 매체 중에 침지 및 분산하여, 보조제 성분을 용출 또는 세정 (수성 용매로 이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 분산체 (또는 예비 성형체)를 수성 매체 중에 침지하면, 분산체의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수용성 보조제 성분이 서서히 용출되어, 분산상 (입자)이 용출액 중에 분산된다. 보조제 성분의 분산 및 용출을 촉진하기 위해, 적절하게 교반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착색제 (B)로서, 유용성 유기 염료 또는 안료 등의 보조제 성분 (C)에 비해 유기 고체 성분 (A)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착색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착색제는 수상 (수용성 보조제 성분 (C) 및 수성 매체)측에 실질적으로 분배되지 않고 분산상 (분산 입자)에 분배할 수 있으며, 착색제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으로도 유리하다. 착색제로서, 수용성 보조제 성분 (C)에 대한 친화성에 비해, 유기 고체 성분 (A)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가 큰 염료 또는 안료를 이용하면, 분산상에 대한 착색제의 분배율을 높일 수도 있으며, 용출액 중의 착색제 함량을 대폭 (실질적으로 O까지)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환경 부하도 감소시킬 수 있다.
보조제 성분은 예를 들면, 가압하에서 용출시킬 수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상압하 (예를 들면, 10만 Pa 정도) 또는 감압하에서 용출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제 성분의 용출 온도는 유기 고체 성분 및 보조제 성분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유기 고체 성분의 융점 또는 연화점 미만의 온도, 예를 들면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 (예를 들면, 40 내지 80 ℃) 정도이다. 본 발명의 수용성 보조제 성분은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대량의 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보조제 성분은 저분자량이기 때문에 얻어지는 용출액의 점도도 높으며,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착색 입자는 관용의 분리 (회수) 방법, 예를 들면 여과 및 원심 분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얻어진 착색 입자 중에는 보조제 성분이 실질적으로 잔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세정과정의 비용 삭감 등의 면에서, 보조제 성분이 착색 입자에 소량 잔존하고 있어도, 보조제 성분이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 등도 포함함)이기 때문에, 얻어진 입자에 악영향을 적게 주며, 안전성도 높다. 또한, 착색 입자에서의 보조제 성분 (C)의 비율은 예를 들면, 3 중량%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용매로 용출 또는 추출된 보조제 성분은 관용의 분리 수단 (예를 들면, 증류, 농축, 재결정 및 건조 (동결 건조) 등)를 이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 (수지 입자 등)도 포함된다. 입자 (수지 입자 등)의 형상, 평균 입경 및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는 상기 분산상과 동일한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장경과 단경의 비도 상기 분산상과 동일한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자의 형상 또는 크기는 상기 용출 용매 (수성 용매)에 유기 고체 성분 (A)가 용출되지 않는 한, 상기 분산상의 형상 또는 크기가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입자는 필요에 따라, 분급 등의 수단에 의해 입자 크기를 고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착색 입자 (착색 수지 입자 등)를 육안으로 관찰하면, 빛의 산란에 의해 착색제 (C)의 본래의 색보다 백색을 띤 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광 산란 효과를 이용하여 화장품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훼이스 파우더, 블러셔 및 아이 섀도 등) 등의 용도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인쇄 등에 사용되는 잉크 (중합체 잉크도 포함함) 또는 착색 토너 등의 화상 기록 재료, 도료 또는 코팅제 (분체 도장 또는 슬러리 도장용 도료 등) 및 인쇄 잉크의 착색제 등에 유용하다. 또한, 착색 입자는 다른 미립자 (예를 들면, 무기 미립자 등)와의 혼합 적성을 개량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으며, 블록킹 방지제 (예를 들면, 성형체의 블록킹 방지제), 스페이서 (액정 스페이서 등), 시트 또는 필름용 첨가제, 반도체의 화학 기계 연마 (CMP)용의 연마제 등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의 수지 성분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착색 수지 입자는 생분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농약, 의약, 도료 (예를 들면, 분체 도료 및 선저용(船底用) 도료 등), 코팅제 및 접착제 등의 정밀 화학 분야에서의 원료 또는 첨가제 등으로서도 유용하다. 또한, 농림 수산업용, 토목용 및 건설용 필름 또는 시트 등에 대한 첨가제, 일회용 기저귀 등의 위생 용품 재료, 생체 내 분해 흡수성을 필요로 하는 의용 소재 또는 서방성을 필요로 하는 서방성 재료 등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수지 성분, 수용성 보조제 성분 및 착색제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브라벤더 (도요 세이끼 (주)제, 라보플라스트밀)에 의해 설정 온도 (가공 온도) 200 ℃에서 5분간 용융 혼련한 후, 냉각하여 분산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분산체를 60 ℃의 열수 중에 침지하여, 수지 입자의 현탁 용액을 얻었다. 멤브레인막 (공경 0.45 ㎛,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제)를 이용하여, 상기 현탁 용액으로부터 불용분을 여과 및 분별하여 수지의 미립자를 회수함과 동시에, 보조제 성분이 용해된 수용액 (추출 수용액)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수지 미립자 및 보조제 성분을 포함하는 추출 수용액의 색을 육안에 의해 관찰하였다.
또한, 수지 미립자를 건조 후,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의 형상을 관찰함과 동시에, 수지 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평균 입경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산출하였다. 도 1에는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착색 수지 입자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 (배율 3000배)을 도시한다.
(중량 평균 분자량)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였다.
(평균 입경)
순수 중에 건조한 수지 입자를 적당량 재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며, 레이저 회절형 입도 분포계 (시마즈 세이사꾸쇼 (주)제, SALD-2000J)를 이용하여 수 평균 입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무작위로 추출한 100개의 수지 미립자에 대하여 표준 편차 및 변동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동 계수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수학식 1>
변동 계수 (%) = 표준 편차/평균 입경×100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하기의 성분을 이용하였다.
(A) 수지 성분
수지 1: 폴리스티렌 수지 (도요 스티렌 (주)제, GPPS HRM63C)
수지 2: 나일론 12 수지 (다이셀ㆍ데구사 (주)제, 디아미드 L1640)
수지 3: 부탄디올-숙신산-카프로락톤 삼원 공중합체 (다이셀 가가꾸 고교 (주)제, CBS-178, 중량 평균 분자량 17만)
수지 4: 부탄디올-숙신산-카프로락톤 삼원 공중합체 (다이셀 가가꾸 고교 (주)제, CBS-17X, 중량 평균 분자량 14만)
수지 5: 폴리스티렌 수지 (도요 스티렌 (주)제조, GPPS G100C)
수지 6: 폴리스티렌 수지 (알드리히(Aldrich)제, MI 12 g/10분).
(B) 착색제
착색제 1: 청색 유기 안료 (청색 15:3 (프탈로시아닌 블루))
착색제 2: 적색 유기 안료 (적색 202호 (피그먼트 레드 57:1))
착색제 3: 녹색 수용성 착색제 (수성 식용 색소 녹색, 식용 황색 4호+식용 청색 1호+덱스트린, 교리츠 쇼쿠힌 (주)제)
착색제 4: 수지용 적색 염료 (오리엔트 가가꾸 고교 (주)제, OPLAS RED 330)
착색제 5: 수지용 흑색 염료 (오리엔트 가가꾸 고교 (주)제, NUBIAN BLACK PC -0850)
착색제 6: 산화아연 (스미토모 오사까 시멘트 (주)제, ZnO-350Si(4)G)
착색제 7: 소수화 이산화티탄 (닛본 에어로실 (주)제, TITANDIOXID T805).
(C) 수용성 보조제 성분
(C1) 올리고당: 전분당 (도와 가세이 고교 (주)제, 환원 전분당화물 PO-10, 25 ℃에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50 중량% 수용액의 점도: 6.5 Paㆍs)
(C2) 수용성 가소화 성분: 당알코올 (도와 가세이 고교 (주)제, 마린크리스탈 D(-)만니톨).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45943780-PCT00001
Figure 112006045943780-PCT00002
두 실시예 모두 착색 수지 입자는 사용한 착색제로부터 유래되는 색상으로 착색되었으며, 보조제 성분을 추출한 수용액에서는 착색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입자의 형상은 두 실시예 모두 진구상이었으며, 입경의 변동 계수도 작고, 입자 크기가 고른 입자가 얻어졌다.
한편, 착색제로서 수용성의 색소를 이용한 비교예 1 내지 3에서는, 수지 미립자는 전혀 착색되지 않고, 반대로 보조제 성분을 추출한 수용액이 색소의 색으로 착색되었다.

Claims (18)

  1. 용융 가능한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상의 분산상이 적어도 올리고당 (C1)을 포함하는 수용성 보조제 성분 (C)로 구성된 매트릭스에 분산된 분산체.
  2. 제1항에 있어서, 분산상이 수지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것인 분산체.
  3. 제1항에 있어서, 착색제 (B)가 유용성 염료 및 유기 또는 무기 안료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산체.
  4. 제1항에 있어서, 분산상의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0 ㎛이며, 착색제 (B)의 평균 입경이 분산상의 평균 입경의 50 % 이하인 분산체.
  5. 제1항에 있어서, 분산상이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 60 이하 및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 (장경/단경) = 1.5/1 내지 1/1을 갖는 구상 분산상인 분산체.
  6. 제1항에 있어서, 착색제 (B)의 비율이 상기 유기 고체 성분 (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부인 분산체.
  7.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C1)이 적어도 사당류로 구성된 것인 분산체.
  8.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C1)이 전분당, 갈락토 올리고당, 커플링 슈가, 프룩토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키틴 올리고당 및 키토산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인 분산체.
  9. 제1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C1)의 50 중량% 수용액의 점도가 온도 25 ℃에서 B형 점도계로 측정한 경우에 1 Paㆍs 이상인 분산체.
  10. 제1항에 있어서, 보조제 성분 (C)가 올리고당 (C1)과 상기 올리고당 (C1)을 가소화하기 위한 수용성 가소화 성분 (C2)로 구성된 것인 분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C1)이 유기 고체 성분 (A)의 열 변형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융점 또는 연화점을 나타내거나 또는 분해되며, 가소화 성분 (C2)의 융점 또는 연화점이 유기 고체 성분 (A)의 열 변형 온도 이하인 분산체.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소화 성분 (C2)가 당류 및 당알코올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구성된 것인 분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당알코올이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크실리톨, 소르비톨, 둘시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분산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올리고당 (C1)과 가소화 성분 (C2)의 비율 (중량비)이 올리고당 (C1)/가소화 성분 (C2) = 99/1 내지 50/50인 분산체.
  15. 제1항에 있어서, 유기 고체 성분 (A)와 보조제 성분 (C)의 비율 (중량비)이 유기 고체 성분 (A)/보조제 성분 (C) = 55/45 내지 1/99인 분산체.
  16. 제1항에 기재된 분산체로부터 보조제 성분 (C)를 용출하여, 유기 고체 성분 (A)와 착색제 (B)로 구성된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6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입자.
  18. 제17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 0.1 내지 100 ㎛ 및 평균 입경의 변동 계수 60 이하를 가지며, 입자의 장경과 단경의 길이의 비 (장경/단경) = 1.5/1 내지 1/1을 갖는 구상 입자인 입자.
KR1020067012896A 2003-11-28 2006-06-27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KR101096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0820 2003-11-28
JP2003400820 2003-11-28
PCT/JP2004/016656 WO2005052060A1 (ja) 2003-11-28 2004-11-10 分散体及び着色された有機固体粒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839A true KR20060116839A (ko) 2006-11-15
KR101096879B1 KR101096879B1 (ko) 2011-12-22

Family

ID=3463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896A KR101096879B1 (ko) 2003-11-28 2006-06-27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2730B2 (ko)
EP (3) EP1690898B1 (ko)
KR (1) KR101096879B1 (ko)
CN (1) CN1886464B (ko)
TW (1) TWI371462B (ko)
WO (1) WO20050520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47B1 (ko) * 2007-06-05 2014-09-23 다이셀에보닉 주식회사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1942A (ja) * 2002-05-29 2004-02-19 Daicel Chem Ind Ltd 分散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WO2006111493A2 (en) * 2005-04-21 2006-10-2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Pigment formulations
AU2007313630B2 (en) 2006-10-31 2013-07-04 Bio-Tec Environmental, Llc Chemical additives to make polymeric materials biodegradable
CA2729756C (en) * 2008-07-01 2013-05-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toner,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cess cartridge
US8383310B2 (en) 2010-04-27 2013-02-26 Xerox Corporation Toner compositions
CN102079944A (zh) * 2010-12-16 2011-06-01 虞友义 一种用于商标带印刷的聚酰胺涂层剂
EP2692779B1 (en) * 2011-03-31 2017-01-25 Sekisui Plastics Co., Ltd. Colored resin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WO2013181021A1 (en) 2012-05-30 2013-12-05 Kamin Ll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creasing ink clay loading in heatset ink formulations while maintaining ink gloss, and ink formulations produced therefrom
KR102164862B1 (ko) * 2013-05-14 2020-10-13 다이셀에보닉 주식회사 자외선 산란제를 함유하는 수지 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CN103360630A (zh) * 2013-08-01 2013-10-23 太仓市晨洲塑业有限公司 改性硝酸纤维素的配方
CN104017408B (zh) * 2014-06-24 2016-03-02 玉石塑粉有限公司 一种热固性粉末涂料助剂以及一种包含该助剂的涂料
CN104927274B (zh) * 2015-05-20 2017-08-11 范文杰 一种预分散母胶粒载体和使用于其的预分散母胶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325324B (zh) 2016-04-28 2019-08-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阻燃剂、阻燃防静电组合物和阻燃防静电聚丙烯发泡珠粒
CN107674457B (zh) * 2017-08-12 2020-05-15 安徽文峰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用于相纸吸墨层涂料的改性二氧化硅填料的制备方法
TWI654269B (zh) * 2017-12-19 2019-03-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黏著組合物
CN110083023A (zh) * 2019-05-13 2019-08-02 邯郸汉光办公自动化耗材有限公司 一种专用于红头文件打印的金光红墨粉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9291A (en) * 1966-06-15 1969-06-10 Nat Distillers Chem Corp Colored polymer powders
SE459005B (sv) 1985-07-12 1989-05-29 Aake Rikard Lindahl Saett att framstaella sfaeriska polymerpartiklar
US5096492A (en) * 1987-04-20 1992-03-17 Fuisz Technologies Ltd. Dispersed systems and method of manufacture
GB8911859D0 (en) * 1989-05-23 1989-07-12 Ilford Ltd Polymer particles
JPH0778126B2 (ja) * 1992-02-10 1995-08-23 日清紡績株式会社 多糖類真球状粒子及び製造方法
US5596056A (en) * 1992-10-23 1997-01-21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particles with irregular shape by polymerizing a water-soluble polymerizable monomer
JPH0948876A (ja) * 1995-08-04 1997-02-18 Mitsubishi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GB9521812D0 (en) * 1995-10-25 1996-01-03 Ciba Geigy Ag Pigments
US5961711A (en) * 1996-12-16 1999-10-05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igment dispersant, pigment dispersion, and pigment dispersion for color filter
JPH10176065A (ja) * 1996-12-17 1998-06-30 Dainippon Ink & Chem Inc 球状ポリマー微粉末の製造方法
CN1244885A (zh) * 1996-12-19 2000-02-16 约翰逊商业贸易公司 聚羧基聚酰胺树脂和碱性可分散树脂掺合体的分散体,其制备及应用
US6780903B2 (en) * 1996-12-31 2004-08-24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dispersions
DE19706899C1 (de) * 1997-02-21 1998-11-05 Bayer Ag Anorganische, kompaktierte Pigmentgranul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U8541098A (en) * 1997-06-30 1999-01-25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c.i. pigment red 222
EP0906938B1 (de) * 1997-10-01 2002-10-30 Ciba SC Holding AG Pigmentgranulierung
JP3287798B2 (ja) * 1997-12-17 2002-06-04 レンゴー株式会社 球状セルロース微粒子の製造方法
US5945245A (en) * 1998-01-13 1999-08-31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FR2777478B1 (fr) * 1998-04-17 2000-06-16 Roquette Freres Dispersion aqueuse de pigment(s) et/ou charge(s) contenant une composition saccharidique particuliere
IT1305576B1 (it) * 1998-09-22 2001-05-09 Novamont Spa Polimeri a carattere idrofobico caricati con complessi dell'amido.
JP3625143B2 (ja) * 1998-12-28 2005-03-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の分散剤、顔料分散液及びカラーフイルター
WO2000043120A1 (en) * 1999-01-22 2000-07-27 The Dow Chemical Company Surface modified divinylbenzene resin having a hemocompatible coating
FI105565B (fi) * 1999-02-05 2000-09-15 Raisio Chem Oy Polymeeridispersio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ES2211182T3 (es) * 1999-10-19 2004-07-01 Sudzucker Aktiengesellschaft Mannheim/Ochsenfurt Procedimiento de polimerizacion en emulsion.
CA2393425C (en) * 1999-12-03 2011-02-08 Sun Chemical Corporation Organic pigment dispersion for coloring building materials
US6294013B1 (en) * 1999-12-08 2001-09-25 Sun Chemical Corporation Polysaccharide pigment dispersions
WO2001042367A1 (fr) * 1999-12-08 2001-06-14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s a base de resine biodegradable
DE60100006T2 (de) * 2000-01-20 2003-03-13 Dainichiseika Color Chem Dispergiermittel für Pigmente und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dieselben
ES2259630T3 (es) * 2000-02-04 2006-10-16 DAINICHISEIKA COLOR &amp; CHEMICALS MFG. CO. LTD. Composiciones de pigmento; un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las mismas; colorantes y articulos coloreados.
JP2001222133A (ja) * 2000-02-08 2001-08-17 Ricoh Co Ltd 現像剤
US6548579B2 (en) * 2000-03-30 2003-04-15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ulate thermoplastic component
EP1176255A1 (en) * 2000-07-24 2002-01-30 The Dow Chemical Company Use of starch dispersions as binder in coating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tarch dispersions
EP1860161B9 (en) * 2000-09-27 2011-03-0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et for ink jet-jet recording, method for ink-jet recording and recorded matter
JP3996388B2 (ja) 2001-01-10 2007-10-24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微粒子状着色樹脂の製造方法、微粒子状着色樹脂および物品の着色方法
US6767867B2 (en) * 2001-04-16 2004-07-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of treating subterranean zones penetrated by well bores
FR2825293B1 (fr) * 2001-06-05 2004-05-07 Coletica Particules solides insolubles dans l'eau traitees, preparation et utilisation
US6740463B2 (en) * 2001-06-21 2004-05-25 Zeon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toner by mixing colored particles and outer-additive by mixer with stirrer of high speed rotation
JP2003012810A (ja) * 2001-07-03 2003-01-15 Zebra Pen Corp 着色剤並びにこの着色剤を含有する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
US6736892B2 (en) * 2001-07-19 2004-05-18 Ethox Chemicals Llc Pigment dispersions containing styrenated and sulfated phenol alkoxylates
DE60207170T2 (de) * 2001-09-21 2006-08-03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Pigment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sowie eine Dispersion und ein Toner zur Entwicklung elektrostatischer Bilder die dieses Pigment enthalten
US6641656B2 (en) * 2001-10-17 2003-11-04 Cabot Corporation Dispersions comprising modified pigments
JP4020295B2 (ja) * 2001-12-14 2007-12-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6767397B2 (en) * 2002-04-05 2004-07-27 Sun Chemical Corporation Methods for production of pigment dispersion
DE10218418A1 (de) * 2002-04-24 2003-11-06 Basf Ag Wäßrige Polymerdispersionen auf Basis von Copolymerisaten aus Vinylaromaten und Butadi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Leimungsmittel für Papier
CN1649970A (zh) * 2002-05-01 2005-08-03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颜料制剂
JP2004051942A (ja) * 2002-05-29 2004-02-19 Daicel Chem Ind Ltd 分散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CA2492722A1 (en) * 2002-07-11 2004-01-2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oduction method of coated preparations
JP4326197B2 (ja) * 2002-08-30 2009-09-02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顔料ナノ粒子の新規な製造方法
US7513944B2 (en) * 2002-11-28 2009-04-07 Seiko Epson Corporation Black ink composition, ink set, recording method and recorded matter
FR2848428B1 (fr) * 2002-12-13 2006-11-1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et procede pour l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comprenant un compose photodimerisable
US7893138B2 (en) * 2003-03-14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Low molecular weight carboxyalkylcellulose esters and their use as low viscosity binders and modifiers in coating compositions
US6936097B2 (en) * 2003-04-16 2005-08-30 Cabot Corporation Modified organic colorants and dispers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JP4407175B2 (ja) * 2003-06-30 2010-02-0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顔料分散体およびその使用
US20050208005A1 (en) * 2003-08-11 2005-09-22 Franck Girou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articles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US8729153B2 (en) * 2003-09-11 2014-05-20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Aqueous pigment dispersion for ink-jet ink and ink-jet ink composition
JP3786107B2 (ja) * 2003-09-17 2006-06-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トナー
JP4574978B2 (ja) * 2003-11-28 2010-11-0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粒子及び分散体
US8158136B2 (en) * 2004-08-18 2012-04-17 L'oréal Emulsification system for use in cosmetic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947B1 (ko) * 2007-06-05 2014-09-23 다이셀에보닉 주식회사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US9233065B2 (en) 2007-06-05 2016-01-12 Daicel-Evonik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resin p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2060A1 (ja) 2005-06-09
TW200526722A (en) 2005-08-16
EP2447327A1 (en) 2012-05-02
CN1886464A (zh) 2006-12-27
CN1886464B (zh) 2010-12-08
EP2447327B1 (en) 2013-07-31
EP1690898A1 (en) 2006-08-16
EP2450409A1 (en) 2012-05-09
US20070125266A1 (en) 2007-06-07
EP2450409B1 (en) 2013-06-05
EP1690898A4 (en) 2006-12-06
EP1690898B1 (en) 2013-01-09
TWI371462B (en) 2012-09-01
KR101096879B1 (ko) 2011-12-22
US7442730B2 (en)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879B1 (ko) 분산체 및 착색된 유기 고체 입자의 제조 방법
US8013042B2 (en) Process of producing a particle having a core-shell structure
KR100973602B1 (ko) 분산체 및 그것을 이용한 성형체의 제조 방법
JP2007002223A (ja) 分散体及び改質された有機固体粒子
JP4648684B2 (ja) 分散体及び着色された有機固体粒子の製造方法
JP2005162842A (ja) 有機固体粒子
JP2006328219A (ja) 親水性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62334A (ja) 異形状樹脂粒子を含む分散体の製造方法および異形状樹脂粒子
JP2006328218A (ja) 樹脂粒子の製造方法、そのための樹脂組成物及び樹脂粒子
JP4464667B2 (ja) オリゴ糖を含む有機組成物及び有機固体粒子の製造方法
JP2007186660A (ja) 水溶性糖組成物
JP2006328245A (ja) 保湿性に優れた有機固体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62841A (ja) 水溶性助剤及びその用途
JP2007002224A (ja) 表面改質された有機固体粒子
JP2006328282A (ja) 有機組成物及び有機固体粒子の製造方法
JP2007291169A (ja) 熱処理された有機固体粒子
JP2007231038A (ja) 軟質樹脂からなる大粒径球状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9674A (ja) 水溶性助剤及びその用途
JP2007291168A (ja) 熱処理された有機固体粒子
JP2007046039A (ja) オリゴ糖含有造粒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