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406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406A
KR20060113406A KR1020060034559A KR20060034559A KR20060113406A KR 20060113406 A KR20060113406 A KR 20060113406A KR 1020060034559 A KR1020060034559 A KR 1020060034559A KR 20060034559 A KR20060034559 A KR 20060034559A KR 20060113406 A KR20060113406 A KR 2006011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unction
display
setting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494B1 (ko
Inventor
준 나구모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는 복합기에서의 화면 천이(遷移)를 제어하여, 유저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복수의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처리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각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1)와, 표시부(1) 화면의 표시에 의거해서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2)와,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해서 조작부(2)에서의 조작이 일정 시간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檢知)하는 검지부(3)와, 검지부(3)에 의해서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에 표시부(1)의 화면을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 조작부, 검지부, 설정부, 제어부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화면 천이(遷移)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 3은 화면 천이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4는 전원 투입 또는 절전 복귀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
도 5는 화면 천이를 지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자동 리셋(reset) 후의 화면 천이의 선택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7은 초기 표시 화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표시부 2…조작부 3…검지(檢知)부
4…설정부 10…제어부 D1…복사 기능
D2…FAX 기능 D3…스캐너 기능 D4…전자 메일 기능
본 발명은 복사 기능이나 팩시밀리(facsimile) 기능 등의 각종 화상 형성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저의 사용 편의를 고려한 화면 천이(遷移)를 실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복사 기능과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복사 장치에서 장치의 이니셜(initial)시의 초기 모드를 복사 모드 또는 팩스 모드로 선택해 두고, 일정 시간 이상 조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선택되어 있는 초기 모드로 되돌림으로써 장치의 사용 형태에 맞춘 기능 선택을 행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887864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장치의 이니셜시」와 「조작부가 일정 시간 조작되지 않았을 때」의 양자에서 동일한 화면으로밖에 천이할 수 없다. 또한, 자동적으로 되돌아가는 화면은 초기 모드 선택 수단을 사용해서 특정의 화면으로 별도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 때문에, 항상 관리자에 의해서 설정된 특정 기능 화면이 초기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되어, 따로따로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하는 다양한 요구를 가진 다수의 유저의 요구에 충분히 응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부가 일정 시간 조작되지 않았을 때에 항상 특정의 화면으로부터 조작을 개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다양한 기능이 사용되는 복합기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처리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각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의 화면의 표시에 의거해서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해서 조작 수단에서의 조작이 일정 시간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檢知)하는 검지 수단과, 검지 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에, 표시 수단의 화면을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화면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처리 기능으로서는 복사 기능, 팩시밀리 기능, 스캐너 기능, 전자 메일 기능 등, 판독하거나 저장된 화상에 대한 각종 화상 처리나 그 외의 기능을 행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주로 복합기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수단은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해당되고, 각종 기능을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유저가 메뉴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 후에 표시되어 그 기능에 대한 처리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 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그것을 검지 수단이 검지해서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 있는 처리 기능에 대한 기능 지시 화면을 리셋하고, 그 기능 지시 화면에 대한 초기 화면으로 되돌리는 제 어를 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 경과한 후의 자동 리셋 처리로서 직전까지 선택되어 있던 기능에 대응한 초기 화면으로 돌아감으로써, 다음에 유저가 처리를 행할 때에는 바로 그 처리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처리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각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의 화면 표시에 의거해서 선택된 처리 기능에 대한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선택된 처리 기능에 대해서 조작 수단에서의 조작이 일정 시간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검지 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에 표시 수단의 화면을 메뉴 화면으로 되돌릴지, 선택된 처리 기능에 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릴지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수단과, 설정 수단의 설정에 의거해서 화면 천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조작 수단에 의해서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그것을 검지 수단이 검지해서 자동 리셋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미리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화면, 즉, 메뉴 화면이나, 직전까지 선택되어 있던 기능에 대응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 중 어느 것으로 되돌아감으로써, 유저의 사용 상황에 맞춘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어, 다음에 유저가 처리를 행할 때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이 일정 시간 되지 않았을 때의 자동 리셋시에 특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대신에, 그때까지 사용되고 있던 기능의 화면을 리셋해 서 초기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자동 리셋시에 그 기계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화면으로 천이해 있는 확률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저의 사용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 기능(D1), FAX(팩시밀리) 기능(D2), 스캐너 기능(D3), 전자 메일 기능(D4) 등 여러 가지의 처리 기능부를 구비하고 있는 소위 복합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표시부(1)에서의 화면 천이에 특징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메뉴 화면이나 각종 처리 기능부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1)와, 유저에 의한 버튼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2)와, 일정 시간 조작부(2)에서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검지부(3)와, 각종 화면 설정을 행하는 수단을 가지고 설정 내용이 기억되는 NVRAM(Non Volatile RAM: 비휘발성 메모리)으로 이루어지는 설정부(4)와, 표시부(1)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나 각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행해지는 처리를 전원 투입 처리, 조작부(2)에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일정 시간(제 1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전원의 절전을 동반하지 않는 리셋 처리를 행하는 모드를 자동 리셋 모드, 조작부(2)에서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일정 시간(제 2 일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전원의 절전을 행하는 모드를 절전 모드, 절전 모드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개시하는 모드를 복귀 모드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특징은 제어부(10)에 의한 표시부(1)의 화면 천이의 제어에서, 검지부(3)가 제 1 일정 시간 경과를 검지해서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한 경우, 직전까지 선택되어 있던 처리 기능에 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하는 점에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복사 기능(D1)을 선택해서 복사 처리를 실행하고 있던 상태에서 조작부(2)에 의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이것을 검지부(3)가 검지해서 제어부(10)에 전달하고, 제어부(10)는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때, 직전까지 행하고 있던 복사 기능(D1)에 대한 초기 화면을 표시부(1)에 표시하고, 복사 기능(D1)에 대한 여러 설정을 리셋한다. 이처럼, 자동 리셋 모드는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았음으로써 발생하는 처리이며, 이 상태에서 다음에 조작을 행하는 것은 직전까지 행하고 있던 처리인 것이 많다. 따라서, 유저에게 있어서 사용 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이 표시부(1)에 표시되어 있게 되어, 다음에 그 처리 기능, 즉, 이 경우에는 복사 기능(D1)을 행할 때에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정부(4)에 미리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할 때에 천이하는 화면을 지정해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을 설정해 두거나, 각종 처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설정해둘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는 설정부(4)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자동 리셋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를 제 어한다. 이에 따라, 유저의 사용 상황에 맞춘 설정에 의해서 자동 리셋 모드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결정할 수 있어, 유저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화면 천이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최후의 유저 조작이 완료하고나서 타이머를 기동하고, 일정 시간의 시간 계수를 개시한다. 그리고, 타임 아웃인지의 여부를 판단해서(스텝 S1) 타임 아웃을 검지부(3)가 검지한 경우, 즉, 일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NVRAM인 설정부(4)에 기록된 「자동 리셋 후의 화면」의 값을 제어부(10)가 판독한다(스텝 S2).
다음으로, 판독한 「자동 리셋 후의 화면」의 값이 「메뉴 화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3), 「메뉴 화면」인 경우에는 표시부(1)의 표시를 「메뉴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4).
한편, 판독한 「자동 리셋 후의 화면」의 값이 「메뉴 화면」이 아닐 경우에는, 「조작중인 기능 화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여기에서 「조작중인 기능 화면」일 경우에는, 현재의 기능 화면을 리셋해서 그 기능의 「초기 화면」으로 표시부(1)의 표시를 천이시킨다(스텝 S6).
또한, 어느 화면도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내부 에러가 된다(스텝 S7). 또한, 설정부(4)에 어느 화면도 설정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내부 에러 처리로서 자동적으로 현재 기능의 초기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 3은 화면 천이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도 3의 (a)는 메뉴 화면(G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메뉴 화면(G0)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인 복합기가 처리할 수 있는 각종 기능에 대응한 아이콘(icon)이 표시되고, 유저가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메뉴 화면(G0)은 각종 기능의 선택 외에 언어의 전환이나 각종 설정의 등록, 변경을 행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아이콘도 준비되어 있다.
이 메뉴 화면(G0)으로부터, 예를 들면 유저가 「복사」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사 처리의 초기 화면(G1)이 표시된다. 복사 처리의 초기 화면(G1)에서는 기본 복사나 화질 조정, 판독 방법, 출력 형식, 잡(job) 편집 등의 복수의 태브(tab) 메뉴가 준비되어 있고, 대응하는 태브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각종 항목은 초기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초기 화면(G1)이 표시된 상태에서 초기값에 의한 복사 처리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도 3의 (c)는 도 3의 (b)에서의 초기 화면(G1) 중에서 화질 조정 태브를 선택한 경우의 화질 조정용 화면(G11)의 예이다. 이 화질 조정용 화면(G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복사 처리는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각종 화질 조정을 행하기 위한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도 3의 (d)는 도 3의 (c)의 화질 조정용 화면(G11)으로부터 복사 농도/콘트라스트(contrast)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의 복사 농도/콘트라스트 조정용 화면(G111)이다. 이에 의해, 복사 농도의 진함, 옅음이나 콘트라스트의 강함, 약함 등을 취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 복사 농도/콘트라스트 조정용 화면(G1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복사 처리는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c)나 도 3의 (d)에 나타낸 복사 처리에 따른 화질 조정용 화면(G11)이나 복사 농도/콘트라스트 조정용 화면(G111)에서 복사 처리를 실행하고, 그대로 조작이 일정 시간 행해지지 않고 경과했을 때,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해서 각종 설정을 리셋하고 복사 처리의 초기 화면(G1)으로 돌아가도록 화면 천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자동 리셋 모드가 되면 어느 계층의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해도 반드시 복사 처리, 즉, 그때까지 실행하고 있던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G1)으로 되돌려져 있게 되고, 다음에 처리를 행할 때에는 메뉴 화면(G0)으로부터 다시 복사 아이콘을 선택하지 않아도 바로 복사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예에서는 복사 처리의 경우의 화면 천이를 설명했지만, 다른 처리 기능을 선택하고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했을 때에 그때 선택되어 있던 처리 기능의 각종 설정을 리셋하고 그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자동 리셋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 외에 전원 투입시나 복귀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에서도 앞서와 마찬가지로, 그때까지 선택되어 있던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로 이행한 상태에서 어떤 처리 지시가 주어져서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고 복귀 모드가 되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까지 행하고 있던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면, 유저의 사용 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처리 기능을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 투입시나 복귀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에 관해서는 유저(예를 들면, 기계 관리자)가 사전에 설정부(4)로 설정해둠으로써 유저의 사용 상황에 맞춰서 화면 천이를 제어부(10)에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전원 투입 또는 절전 복귀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의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전원 투입 또는 절전 복귀 모드가 된 경우, NVRAM인 설정부(4)에 기록된 「초기 화면」의 값이 「메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2), 「메뉴」인 경우에는 표시부(1)의 화면을 「메뉴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13).
한편, 판독한 「초기 화면」의 값이 「메뉴」가 아닌 경우에는 「복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4), 「복사」일 경우에는 표시부(1)의 화면을 「복사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15).
또한, 판독한 「초기 화면」의 값이 「복사」가 아닌 경우에는 「스캔」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6), 「스캔」일 경우에는 표시부(1)의 화면을 「스캔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17).
또한, 판독한 「초기 화면」의 값이 「스캔」이 아닌 경우에는 「FAX」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8), 「FAX」일 경우에는 표시부(1)의 화면을 「FAX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19).
또한, 판독한 「초기 화면」의 값이 「FAX」가 아닌 경우에는 「전자 메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20), 「전자 메일」일 경우에는 표시부(1)의 화면을 「전자 메일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21). 또한, 그 이외의 값에서는 내부 에러로 한다(스텝 S22). 또한, 설정부(4)에 어느 화면도 설정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내부 에러 처리로 해서 자동적으로 직전까지 행하고 있던 기능의 초기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유저(기계 관리자)에 의한 설정부의 설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모식도는 화면의 천이를 지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이다. 여기에서는 초기 표시 화면의 설정과 자동 리셋 모드에서의 화면 천이 지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자동 리셋 모드를 행한 후의 화면 천이 설정의 선택지로서는 「메뉴 화면」과 「조작중인 기능 화면」을 준비한다.
도 6에 나타낸 모식도는 자동 리셋 후의 화면 천이 선택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이다. 도 5에 나타낸 설정 항목 중에서 「자동 리셋 후의 화면」 항목을 선택하면 도 6에 나타낸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중에 제시되는 「조작중인 기능 화면」을 선택함으로써 자동 리셋 후에 직전까지 처리하고 있던 기능의 초기 화면으로 천이시킬 수 있다. 한편,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 리셋 후에는 메뉴 화면으로 천이하도록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설정한 값은 NVRAM인 설정부(4)에 기억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모식도는 초기 표시 화면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예이다. 도 5에 나타낸 설정 항목 중에서 「초기 표시 화면」 항목을 선택하면 도 7에 나타낸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초기 표시 화면」 설정의 선택지로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뉴 화면」과 각 기능 화면, 예를 들면 「복사」, 「스캔」, 「팩스」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전원 투입시나 절전 복귀 모드 후에 「메뉴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한편, 각종 기능 화면을 선택하면 전원 투입시나 절전 복귀 모드 후에는 여기에서 선택한 기능에 대응한 초기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 설정 화면에서 설정한 값은 NVRAM인 설정부(4)에 기 억된다. 또한, 선택지로서 화상 형성 장치가 갖고 있는 기능 전부를 반드시 망라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설정 화면을 사용해서 유저(기계 관리자)가 화면을 설정하면, 유저의 사용 상황, 사용 빈도에 맞춘 최적의 화면 천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히 화면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직전의 처리 기능의 초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면, 특별한 설정을 행하지 않고 비교적 유저의 사용 빈도에 맞춘 화면 천이가 되어 유저의 사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화면 설정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모든 기능이 빠짐없이 사용될 것을 미리 알고 있는 환경에서는 특정의 기능 화면이 표시되어 있기보다도 각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편이 좋으므로, 초기 표시 화면이나 자동 리셋 후의 화면으로서 각종 기능 또는 「조작중인 기능 화면」 대신에 「메뉴」를 선택해 두면 특정한 기능 화면으로부터 메뉴 화면을 불러내기 위한 조작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더욱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리셋 후의 동작으로서 「특정한 잡 메모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면을 특정한 기능으로 천이시킬 뿐 아니라 화면 천이 후의 기능 설정까지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절전 복귀시에는 「자동 리셋시의 동작」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저전 복귀시에도 직전에 사용되고 있던 기능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적전에 빈번하게 들어가는 환경이어도 사용 빈도가 높은 화면으로부터 기계를 사용하기 시작할 수 있어, 유저의 조작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이 일정 시간 되지 않았을 때의 자동 리셋시에 특정 화면으로 천이하는 대신에 그때까지 사용되고 있던 기능의 화면을 리셋해서 초기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일정 시간 경과 후의 자동 리셋시에 그 기계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 화면으로 천이해 있는 확률을 높인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의 사용 편의를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복수의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각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표시에 의거해서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해서 상기 조작 수단에서의 조작이 일정 시간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檢知)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을 상기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리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복수의 처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처리 기능 중 어느 것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나 각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지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표시에 의거해서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수단과,
    상기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해서 상기 조작 수단에서의 조작이 일정 시간 행 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을 상기 메뉴 화면으로 되돌릴지, 상기 선택된 처리 기능에 관한 기능 표시 화면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릴지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에 의거해서 화면 천이(遷移)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하는 상기 일정 시간은 전원의 절전 제어를 동반하지 않는 자동 리셋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장치 본체의 전원 투입 때 또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화면을 설정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서 상기 일정 시간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때의 화면 천이, 및 장치 본체의 전원 투입 때 또는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의 복귀 때의 화면 천이를 상기 설정 수단의 설정에 의거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상기 통상 모드로의 복귀 때에 표시하는 화면으로서는, 상기 메뉴 화면 또는 상기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처리 기능에 대한 기능 지시 화면의 초기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면 천이 제어와 함께, 그 천이한 화면과 대응하는 처리 기능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잡(job) 메모리의 처리 내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0034559A 2005-04-28 2006-04-17 화상 형성 장치 KR100795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0785 2005-04-28
JP2005130785A JP4645287B2 (ja) 2005-04-28 2005-04-2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06A true KR20060113406A (ko) 2006-11-02
KR100795494B1 KR100795494B1 (ko) 2008-01-16

Family

ID=3719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559A KR100795494B1 (ko) 2005-04-28 2006-04-1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633636B2 (ko)
JP (1) JP4645287B2 (ko)
KR (1) KR100795494B1 (ko)
CN (1) CN1004741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5134A (ja) * 1999-07-15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音声データ転送装置およびノンリニア編集装置
JP2010273122A (ja) * 2009-05-21 2010-12-0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監視制御装置
CA2693930C (en) * 2009-02-23 2016-04-1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JP4914469B2 (ja) 2009-08-27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複合機、及び認証サーバ
JP5430504B2 (ja) 2009-09-29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89784B2 (ja) * 2009-11-20 2012-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66356A (ja) 2010-02-08 2011-08-25 Sharp Corp 表示機器、その表示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180241B2 (ja) 2010-02-08 2013-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器、その表示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199295B2 (ja) 2010-02-18 2013-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249262B2 (ja) 2010-02-18 2013-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5147139B2 (ja) 2010-03-30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その操作機器における情報表示方法
JP2012075025A (ja) * 2010-09-29 2012-04-12 Kyocera Mita Corp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JP5492142B2 (ja) * 2011-05-12 2014-05-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054846B2 (ja) * 2012-01-19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
JP2014004756A (ja) * 2012-06-25 2014-01-16 Ryobi Ltd 印刷機
JP5840639B2 (ja) * 2013-03-28 2016-01-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16068521A (ja) 2014-10-01 2016-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07004B2 (ja) * 2014-12-11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92642B2 (ja) * 2014-12-25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240627B2 (ja) * 2015-02-27 2017-11-2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生成方法
JP6520652B2 (ja) * 2015-11-06 2019-05-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システムおよび操作方法
JP6505182B2 (ja) * 2017-09-21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087788A (ja) * 2017-11-01 2019-06-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3266A1 (de) * 1981-04-09 1983-01-20 Ricoh Co., Ltd., Tokyo Steuereinrichtung fuer ein faksimilesystem
US5049931A (en) * 1990-08-20 1991-09-17 Xerox Corporation Reproduction machine having a job run display screen with graphic symbol
JP3123322B2 (ja) * 1993-11-26 2001-01-09 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制御方法
JP3768258B2 (ja) * 1994-02-28 2006-04-19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で文書を配布する方法
KR970031930A (ko) * 1995-11-27 1997-06-26 배순훈 오에스디를 이용한 방송채널 표시장치
KR970057134A (ko) * 1995-12-30 1997-07-31 배순훈 텔레비젼의 정보제어장치
JP2887864B2 (ja) 1997-10-17 1999-05-10 株式会社リコー 複写装置
DE19818819A1 (de) * 1997-11-20 1999-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Schirm-Erstellungseditor mit Schirmübergangs-Editierfunktion
JP4035232B2 (ja) * 1998-05-21 2008-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761308B1 (en) * 1998-11-25 2004-07-13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merchant ban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1109620A (ja) * 1999-10-06 2001-04-20 Hitachi Ltd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面遷移プログラムの生成方法
KR20030002334A (ko) * 2001-06-28 2003-01-09 주식회사 효성 화면 보호 기능이 되는 디지털 계전기
JP2003044417A (ja) * 2001-07-30 2003-02-14 Kernel:Kk 管理機能および対話機能を備えた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構築方法
KR100428654B1 (ko) 2001-09-18 200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성능 검사방법
JP5414140B2 (ja) * 2002-12-20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987218B1 (ko) 2003-06-27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5156624A (ja) * 2003-11-20 2005-06-16 Canon Inc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8049914B2 (en) * 2004-03-31 2011-11-01 Canon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 machin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8831A (ja) 2006-11-09
CN100474148C (zh) 2009-04-01
USRE44280E1 (en) 2013-06-11
US20060248473A1 (en) 2006-11-02
JP4645287B2 (ja) 2011-03-09
CN1854914A (zh) 2006-11-01
KR100795494B1 (ko) 2008-01-16
US7633636B2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494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130163019A1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801242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JP200900368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4003412A (ja) 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5836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操作イベント判別方法
JP4720751B2 (ja) 情報処理装置
JP4266937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4512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0023851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3183310A (ja) 画像処理装置、画面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12342B2 (ja) 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102439A (ja) 処理装置及び設定内容提示プログラム
JP378582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08178B2 (ja) 表示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21081855A (ja)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JP618588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465062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757285B2 (en) Display system having processor that executes first process when first key is operated in power saving state
JP4787194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71348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07929A (ja) 画像処理装置
JP202208350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462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3867480B2 (ja) コピー装置および入力受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