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687A -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687A
KR20060108687A KR1020067010240A KR20067010240A KR20060108687A KR 20060108687 A KR20060108687 A KR 20060108687A KR 1020067010240 A KR1020067010240 A KR 1020067010240A KR 20067010240 A KR20067010240 A KR 20067010240A KR 20060108687 A KR20060108687 A KR 20060108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axis
pressure
automatic lath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174B1 (ko
Inventor
다카이치 나카야
다카시 가와쿠보
다다히로 이이다
유헤이 노나카
Original Assignee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23B13/128Stock rest handling devices, e.g. e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23B13/021Feeding device having intermittent mov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10T82/2516Magazine type
    • Y10T82/2518Bar fee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2/00Turning
    • Y10T82/25Lathe
    • Y10T82/2514Lathe with work feeder or remover
    • Y10T82/2521Bar fee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재(端材)와 같은 단척(短尺)의 봉재(棒材)의 가공을 행할 때도, 가공 비용이 증가되지 않고, 봉재의 가공에 적합한 간단한 구성의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주축(主軸)(230)의 축선 C 상에 봉재 w를 공급하는 스토커(12)와, 주축대(220)에 장착된 기체(基體)(10)와, 기체(10)에 설치되고, 축선 C 상에서 진퇴 이동 가능한 동시에, 스토커(12)로부터 공급된 봉재 w를 누르는 가압봉(15)과, 기체(10)에 설치되고, 가압봉(15)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봉 가이드(11)와, 기체(10) 상에서 축선 C의 양측에 배치되고, 가압봉(15)을 축선 C 상에서 협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가지고, 복수개의 롤러 중 하나가, 상기 기체에 설치된 구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롤러(135)이며, 이 구동 롤러(135)를 제외한 다른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봉(15)과 슬라이딩되지 않고 회전하는 종동 롤러(132)로서 구성되며, 종동 롤러(132)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133)을 구비하고 있다.
수치 제어 자동 선반, 봉재 공급 장치, 주축대, 복수개의 롤러

Description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BAR MATERIAL SUPPLY DEVICE OF NUMERICALLY CONTROLLED AUTOMATIC LATHE}
본 발명은, 봉재(棒材)를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주축(主軸)의 관통공에 송출하면서 가공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봉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치 제어 자동 선반 등의 수치 제어 공작 기계에 있어서, 비교적 작은 제품을 가공하는 경우에, 소재로서 장척(長尺)의 봉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한 이 종류의 가공 방법으로서, 종래, 봉재 공급 장치에 의해 봉재를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후방으로부터 가공부 상에 공급하고, 봉재를 주축과 함께 회전시키고, 봉재의 전단부(前端部)를 소정 형상으로 선삭(旋削) 가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246502호 공보(도 1 및 명세서의 단락 [0008]의 기재 참조)
도 14는, 상기한 바와 같은 봉재 공급 장치의 종래예의 일례에 관한 것이며, 그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봉재 공급 장치를 구비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은, 주축 축선 C와 같은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한 주축(230)과, 이 주축(230)의 전방 에 배치된 가이드 부싱(232)을 가지고, 주축(230)으로부터 돌출된 봉재 W의 전단을 가이드 부싱(232)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가공 공구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재 공급 장치(3)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과 별체로 구성되어 상기 수치 제어 선반의 후방(도 14의 지면 좌측)에 배치되고, 장척의 봉재 W를 누르는 가압봉(350)과, 이 가압봉(350)을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360)을 가지고 있다. 구동 수단(360)은, 정밀한 회전 각도 위치 조정이 가능한 스텝 모터나 서보 모터 등의 구동체(361)와, 이 구동체(36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풀리(362)와, 이 구동 풀리(36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종동 풀리(363)와, 구동 풀리(362)와 종동 풀리(363) 사이에 설치된 벨트나 체인 등의 무단 삭도(索道)(364)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무단 삭도(364)에 가압봉(350)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봉(350)의 전단(도 14에 있어서 지면 우측단)의 핑거 척(351)에 봉재 W의 후단을 회전 가능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구동체(361)를 구동시킴으로써, 무단 삭도(364)의 주행과 동시에 가압봉(350)이 주축 축선 상에서 진퇴 이동하고, 봉재 W를 주축(230)에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한 봉재 공급 장치는, 봉재를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가 복잡하며 대형화되고, 가격도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 부싱(232)을 구비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있어서는, 가이드 부싱(232)과 주축(230)의 척(231)과의 위치 관계 및 가공할 부품의 길이나 절단폭 등에 의해, 더 이상은 가공하지 못하고, 단재(端材)로서 폐기해야만 하게 되는 단척(短尺)의 봉재가 잔존한다.
도 15에, 가이드 부싱이 장착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해 봉재의 가공을 행했을 때에 있어서의 봉재 W의 가공 종료시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가이드 부싱(232)과 주축(230)의 척(231) 사이에, 단재로 된 단척의 봉재(이하, 이와 같은 단척의 봉재를, 장척의 「봉재 W」와 구별하여 「봉재 w」라고 함)가 잔존한다.
이 봉재 w의 길이 l은, 절단 (cutting-off) 공구 T3에 의한 제품 P의 절단한 봉재 w의 전단으로부터 척(231)까지의 거리와, 척(231)에 의한 봉재 w의 파지 길이와, 척(231)으로부터 가압봉(350)의 전단까지의 거리와, 가압봉(350)의 핑거 척(351)에 의한 파지 길이와의 합이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싱(232)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서는, 제품 P를 다시 생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공 불가능한 길이 l의 봉재 w가 남아 버려, 재료의 수율 비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봉재 w의 가공을, 가이드 부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복잡한 구성의 종래의 봉재 공급 장치를 사용하면, 봉재 w의 가공 비용이 높아진다는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은 봉재 공급 장치의 간소화와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봉재 공급 장치로부터 체인이나 벨트 등의 무단 삭도를 없애고,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롤러로 봉재를 협지하고,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봉재를 진퇴 이동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3 참조).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 7-60503호 공보(도 2 및 명세서의 단락 [0010]의 기재 참조)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 2002-187001호 공보(도 2 및 명세서의 단락 [0015]의 기재 참조)
상기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그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반송 롤러(4, 4)로 봉재를 협지하고, 이 반송 롤러(4, 4)의 회전에 의해 피가공물인 봉재를 보내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 있어서도, 그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재를 협지하는 2개의 반송 롤러(8a, 8b)에 의해 봉재를 보내도록 하고 있다. 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반송 롤러(8a, 8b)는 모두 구동 모터(4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양 반송 롤러(8a, 8b)에는 구동 모터(43)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봉재의 가공을 행할 때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러(8a, 8b)를 봉재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 3에 기재된 기술은, 모두, 반송 롤러에 의해 피가공물인 봉재를 직접 보내는 것이며, 절삭 가공에 있어서 단재로 된 단척의 봉재나, 봉재의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재를 주축에 공급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또, 특히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체인이나 벨트 등의 무단 삭도는 불필요하게 되어, 봉재 공급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는 있지만, 반송 롤러(8a, 8b)의 양쪽에 양호한 밸런스로 구동력을 분배하기 위한 기구나, 봉재의 가공을 개시할 때 반송 롤러(8a, 8a)의 양쪽을 봉재로부터 퇴피시키기 위한 기구가 필요해지므로, 오히려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하여, 간소한 구성의 봉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 특히,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재나 단재와 같은 단척의 봉재의 가공을 행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컴팩트화와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는 봉재 공급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후방에 배치되고, 봉재를 상기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주축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의 관통공에 보내고, 상기 주축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봉재를, 절삭 공구대에 장착한 공구로 가공하기 위한 봉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봉재를 공급하는 스토커(stocker)와, 이 스토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서 진퇴 이동하는 가압봉과, 이 가압봉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봉 가이드와, 상기 축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봉을 상기 축선 상에서 협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가지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하나가, 구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롤러이며, 이 구동 롤러를 제외한 다른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가압봉과 슬라이딩되지 않고 회전하는 종동 롤러로서 구성되며, 상기 종동 롤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압봉은 2개의 롤러에 협지된 상태로 진퇴 이동한다. 봉재는, 이 가압봉에 가압되어 전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하나가, 구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롤러이면 되므로, 가압봉을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간소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봉재 공급 장치를 소형이며, 또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고정 주축대 또는 이동 주축대에 봉재 공급 장치를 일체로 장착하여, 봉재의 가공을 행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컴팩트화와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압봉, 상기 가압봉 가이드, 상기 복수개의 롤러 및 상기 구동체를, 주축대에 일체로 장착한 기체에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커를 상기 수치 제어 자동 선반과는 별체로 설치해도 되고, 상기 수치 제어 선반과 일체로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커가, 상기 재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상기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기구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공급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체에 설치해도 된다. 즉, 상기 저장부와 상기 공급 기구의 양쪽을 상기 기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공급 기구를 분리하여, 상기 저장부만을 상기 기체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압봉의 진퇴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 상기 구동체와 상기 가압봉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 롤러가, 상기 구동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이,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상기 구동 롤러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가지도록 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봉재가 스토퍼에 맞닿는 등하여 가압봉의 진퇴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는, 종동 롤러가 가압봉의 정지를 검출하는 동시에, 구동 롤러와 모터의 구동축 사이에서 슬라이딩 수단에 의한 미끄러짐이 생기므로, 모터에 일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부하 검출 수단이 불필요하게 되어, 봉재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커의 전방에, 상기 봉재의 전단(前端)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 수단이 봉재의 전단을 검출하고 나서, 종동 롤러의 회전각을 구함으로써, 봉재의 전단 위치를 항상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가압봉의 타단이 소정의 후퇴 위치까지 후퇴했을 때, 상기 가압봉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규제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봉의 길이와 후퇴 규제 수단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의 가압봉의 최후퇴 위치와의 관계로부터, 가압봉의 전단 위치를 항상 감시 가능하게 된다.
또, 스토커의 전방에 설치한 상기의 검출 수단과 조합함으로써, 봉재의 길이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압봉의 일단이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 상기 가압봉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진 규제 수단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봉재의 길이를 알 수 없어도, 가압봉의 일단이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왔을 때, 더 이상의 봉재의 가공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의 봉재의 준비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는, 주축의 길이보다 짧은 단척의 봉재의 공급에 적합하고, 예를 들면, 다른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해 가공 불가능하게 된 단재와 같은 단척의 봉재의 가공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는, 반송 롤러에 의해 피가공물인 봉재를 직접 보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재의 가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토커로부터 송출된 봉재를, 상기 가압봉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대기부와, 상기 봉재를 주축 축선 상에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는 봉재 유지 수단을,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봉이 후퇴하는 도중에 주축 축선을 향해 스토커로부터 봉재를 송출하고, 주축 축선에 근접한 위치에서 다음 회 가공의 봉재를 대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봉재 공급의 시간을 단축하여,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봉재 공급 장치의 구성을 극히 간소하고, 소형이며,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주축대에 봉재 공급 장치를 일체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봉재 공급 장치를 구비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컴팩트화, 저가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는, 단재와 같은 단척의 봉재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재의 가공에도 매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그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가압봉을 진퇴 이동시키는 가압봉 이송부의 상세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가압봉 이송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가압봉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봉재 공급 장치에 있어서 봉재 w의 길이를 구하는 원리를 설명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7에 연속되는 도면이다.
도 9는 주축 고정형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 한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7에 연속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11에 연속되는 도면이다.
도 13은 봉재 유지 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봉재 공급 장치의 1종래예에 관한 것이며, 그 전체 구성을 설명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부싱이 장착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해 봉재의 가공을 행했을 때, 가이드 부시와 주축의 척 사이에 단재로 된 단척의 봉재가 남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 봉재 공급 장치
(10) 기체
(11) 가이드
(111) 가이드 본체
(112) 스토퍼(후퇴 규제 수단)
(113) 검출 스위치
(114) 검출 스위치(전진 규제 수단)
(12) 스토커
(13) 가압봉 이송부
(15) 가압봉
(16) 센서
(17) 봉재 받이부
(2) 수치 제어 자동 선반
(210) 절삭 공구대
(220) 주축대
(230) 주축
(231) 척
w 봉재(단재)
w´ 잔재
W 봉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그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전(前)」이라고할 때는, 봉재를 파지하는 척을 설치한 주축의 전단측, 즉 도 1에 있어서 우측을 가리키고, 「후(後)」라고할 때 는, 도 1에 있어서 좌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은, 주축 축선 C와 같은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주축대를 가지는 주축 이동형의 자동 선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개략 설명]
수치 제어 자동 선반(2)의 주축대(220)에는, 주축 축선 C와 같은 방향으로 관통공(230a)을 가지는 주축(23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봉재 w는, 주축(230)의 후단으로부터 관통공(230a)에 삽입되고, 관통공(230a)을 통과하여, 주축(230)의 전단까지 안내된다. 주축(230)의 전단에는, 봉재 w를 파지하기 위한 척(231)이 설치되고, 이 척(231)에 파지됨으로써, 봉재 w가 주축(230)과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또, 주축(230)의 전단 측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공구를 장착하고, 소정의 공구를 봉재 w의 가공 위치에 인덱스하는 것이 가능한 절삭 공구대(210)가 설치되고, 이 절삭 공구대(210)에 장착된 공구에 의해, 봉재 w의 가공이 행해진다.
[봉재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의 설명]
봉재 공급 장치(1)는, 주축대(220)의 후방에 설치된 주축대(220)과는 별체의 기체(10)와, 이 기체(10) 상에 설치되고, 봉재 w를 후방으로부터 눌러 관통공(230a)에 삽입하는 가압봉(15)과, 이 가압봉(15)을 주축 축선 C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가압봉 이송부(13)와, 이 가압봉 이송부(13)와 주축대(220)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봉재 w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 저장부로부터 봉재 w를 주축 축선 C 상에 한 개씩 공급하는 공급 기구를 구비한 스토커(12)와, 가압봉 이송부(13)의 후방에 설치되고, 가압봉(15)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통형(筒形)의 가이드(1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압봉(15)의 직경은, 봉재 w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커(12)는, 봉재 w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봉재 w를 한개씩 주축 축선 C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의 양쪽이, 주축대(220) 및 기체(10)와는 별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가압봉 이송부의 구성의 설명]
도 2는, 가압봉(15)을 주축 축선 C 상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가압봉 이송부(13)의 상세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가압봉 이송부(13)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봉 이송부(13)는, 봉재 공급 장치(1)의 기체(10) 상에 장착된 지지체(131)와, 이 지지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봉(15)을 상하로부터 협지하는 2개의 롤러, 즉 아래쪽의 구동 롤러(135)와 위쪽의 종동 롤러(132)를 가지고 있다.
지지체(131)의 전후 양측에는, 가압봉(15)을 주축 축선 C 상에서 안내하는 가이드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135)와 종동 롤러(132)는, 가이드공(131a)을 삽입 통과하여 주축 축선 C 상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가압봉(15)을, 상하로부터 대략 균등한 힘으로 협지한다.
구동 롤러(135)는, 가압봉(15)에 추진력을 부여하여 주축 축선 C 상에서 진퇴 이동시킴으로써, 지지체(131)의 아래쪽에 장착된 회전축(137)의 일단에, 베어링(137a)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37)은, 지지체(131)의 아래쪽에 설치된 지지부(138)에, 베어링(13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체(131)에는, 구동체로서의 모터 M가 장착되고, 이 모터 M의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이, 동일한 축선 상에서 회전축(137)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37)과 구동 롤러(135)는, 회전축(137)의 일단 측에 설치된 슬립 기구(140)에 의해, 통상은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슬립 기구(140)는, 회전축(137)의 일단으로부터 회전축(137)의 축선 상에 돌출하는 축부(141)와, 이 축부(141)의 전단의 나사부에 나사 장착된 더블 너트(145)와, 축부(141)의 베이스부에 장착된 원반형의 클러치 판(142)을 가지고 있다.
클러치 판(142)은, 슬라이딩 키(147)에 의해, 회전축(137)의 축선과 같은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축(137)과 항상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축부(141)에 장착되어 있다. 또, 구동 롤러(135)에 접하는 클러치 판(142)의 일면의 주위둘레에는, 구동 롤러(135)와 맞닿는 접촉 부재(144)가 균등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판(142)과 더블 너트(145) 사이의 축부(141)에는, 스프링(143)이 끼워져 장착되고, 이 스프링(143)에 의해, 클러치 판(142)의 접촉 부재(144)가 소정의 가압력으로 항상 구동 롤러(135)에 가압되어 있다. 스프링(143)의 가압력은, 축부(141)에 대한 더블 너트(145)의 체결 위치를 바꿈으로써 조정이 가능하며, 스프링(143)의 가압력을 강약 조정함으로써, 클러치 판(142)과 구동 롤러(135)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는 부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롤러(135)의 표면에는, 가압봉(15)과의 접촉 면 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압봉(15)의 곡율 반경 이하의 곡율 반경을 가지는 원호형 또는 V 자형의 홈(135a)이 전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러치 판(142)과 구동 롤러(13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가압봉(15)과 구동 롤러(135)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작게 함으로써, 가압봉(15)에 구동 롤러(135)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 같은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예를 들면, 봉재 w의 전단이 스토퍼에 맞닿았을 때, 접촉 부재(144)와 구동 롤러(135)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게 하여, 봉재 w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구동 롤러(135)의 위쪽에 배치된 종동 롤러(132)는, 지지체(131)의 위쪽에 설치된 축(134)에, 베어링(13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롤러(132)는, 가압봉(15)을 구동 롤러(135)에 가압하고, 가압봉(15)의 진퇴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지 않고 정역 회전하는 것이다.
종동 롤러(132)의 표면에는, 가압봉(15)과 간섭하지 않는 부위에, 균등 간격으로 요철(凹凸)(132a)이 전 주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체(131)에는, 종동 롤러(132)의 근방에, 센서(133)가 장착되어 있다.
이 센서(133)의 검지부(133a)는, 요철(132a)을 향하고 있으므로, 종동 롤러(132)가 회전했을 때, 요철(132a)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검지부(133a)가 검출한 요철(132a)은, 펄스 신호로서 도시하지 않은 수치 제어 자동 선반(2)의 제어 장치 또는 봉재 공급 장치(1)의 제어 장치에 송신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이 펄스 신호에 따라 종동 롤러(132)의 회전각과 가압봉(15)의 이동량을 구한다.
그리고, 봉재 w를 보내고 있는 도중에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전진을 방해하는 부하가 작용하면,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이동을 정지하지만, 구동 체인 모터 M는 구동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가압봉(15)과 슬라이딩되지 않고 접촉되어 있는 종동 롤러(132)의 회전이 정지하므로, 이 종동 롤러의 회전의 변화로부터, 제어 장치는, 어떠한 부하가 작용하여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전진이 정지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M에 부하 검출 수단 등을 형성하지 않아도, 봉재 w나 가압봉(15)이 스토퍼나 위치 결정 공구에 맞닿은 것 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모터 M의 구성이나 제어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이드의 설명]
도 4는, 가압봉(15)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1)의 구성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가압봉(15)을 주축 축선 C 상에서 정확하게 진퇴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11)는, 통형의 가이드 본체(111)와, 이 가이드 본체(111)의 전후 양단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113, 114)와, 가이드 본체(111)의 후단에 설치되고, 가압봉(15)의 후단이 맞닿음으로써, 가압봉(15)의 후퇴를 규제하는 스토퍼(112)를 가지고 있다.
가압봉(15)의 후단에는, 가압봉(15)의 다른 부위보다 약간 큰 직경의 대경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111)의 내경은, 대경부(15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본체(111)의 내주면에 접하면서 대경부(15a)가 진퇴 이동함으로써, 가압봉(15)이 주축 축선 C 상에서 진퇴 이동한다.
가이드 본체(111)의 전단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114)는, 가압봉(15)의 전진 한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가압봉(15)이 전진하여 대경부(15a)가 검출 스위치(114)의 검출부(114a)를 밀어올림으로써, 상기한 제어 장치가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켜, 더 이상의 가압봉(15)의 전진을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12)가, 가압봉(15)의 후퇴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규제 수단을 구성하고, 검출 스위치(114)가, 가압봉(15)이 소정 위치보다 전진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전진 규제 수단을 구성한다.
또, 가이드 본체(111)의 후단에 설치된 검출 스위치(113)는, 가압봉(15)의 최후퇴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가압봉(15)이 후퇴하여 대경부(15a)가 검출 스위치(113)의 검출부(113a)를 밀어 올리고, 또한 가압봉(15)의 후단이 스토퍼(112)에 맞닿아 종동 롤러(132)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한 제어 장치가, 가압봉(15)이 최후퇴 위치까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축대(220)와 봉재 공급 장치(1)의 기체(10)의 전단 사이에, 봉재 w의 전단을 검출하는 센서(1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센서(16)는, 제어 장치에 의한 봉재 w의 전단 위치의 항상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봉재 w의 길이를 구하여, 봉재 w의 후단의 위치, 즉 가압봉(15)의 전단 위치의 항상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5는, 이 실시예의 봉재 공급 장치에 있어서 봉재 w의 길이를 구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본체(111)의 후단의 스토퍼(112)로부터 센 서(16)까지의 거리를 L, 가압봉(15)의 길이를 H로 한다.
가압봉(15)이, 스토퍼(112)에 맞닿은 최후퇴 위치로부터 전진을 개시했을 때, 가압봉(15)의 이동거리는, 종동 롤러(132)의 회전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소정의 거리 h 만큼 가압봉(15)이 전진하고, 이로써, 봉재 w가 가압되어, 센서(16)가 봉재 w의 전단을 검출했을 때, 봉재 w의 길이 l은, 거리 L로부터, 가압봉(15)의 길이 H와 전진한 거리 h를 공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센서(16)가 봉재 w의 전단을 검출함으로써, 이후의 종동 롤러(132)의 회전각으로부터, 봉재 w의 전단 위치를 항상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봉재 w의 전단 위치로부터 봉재 l의 길이를 공제함으로써, 가압봉(15)의 전단 위치를 항상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봉재 공급 장치(1)의 작용을, 도 6의 플로차트 및 도 7, 도 8의 작용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봉재 공급 장치(1)에 의한 봉재 w의 공급 전에, 가압봉(15)이 스토퍼(112)에 맞닿는 위치(최후퇴 위치)까지 후퇴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1, 도 7 (a)). 가압봉(15)이 스토퍼(112)에 맞닿는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는지 여부는, 검출 스위치(114)가 대경부(15a)(도 4 참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한 검출 신호와, 가압봉(15)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모터 M를 구동시켰을 때, 종동 롤러(132)가 회전하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101의 확인 후, 스토커(12)로부터 봉재 w를 1개만 주축 축선 C 상에 공급한다(스텝 S102, 도 7 (b)). 또, 주축(230)을 주축대(220)과 함께, 봉재 공급 장치(1)에 가장 근접한 최후단 위치까지 후퇴시킨다(스텝 S103, 도 7 (b)).
그리고, 주축(230)의 전단의 척(231)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스텝 S104), 모터 M를 구동시켜 가압봉(15)을 전진시킨다(스텝 S105). 가압봉(15)의 전단이 봉재 w의 후단에 맞닿으면, 봉재 w가 주축(230)을 향해 전진을 개시한다.
센서(16)가 봉재 w의 전단을 검출하면(스텝 S106), 수치 제어 자동 선반 또는 봉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먼저 나타낸 순서에 따라 봉재 w의 길이 l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 또, 봉재 w의 길이 l이 미리 설정된 가공 가능한 길이보다 긴지 여부, 즉 봉재 w의 가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 그 결과, 봉재 w의 길이 l이, 가공 가능한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했을 때는,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가압봉(15) 및 봉재 w의 전진을 정지시켜, 알람 등을 출력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봉재 w의 길이 l이, 가공 가능한 길이일 때는, 가압봉(15) 및 봉재 w의 전진을 계속하게 하는 동시에,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전단 위치의 감시를 행한다(스텝 S108).
가압봉(15)은, 주축(230)의 전단에 남아 있는 전회 가공의 봉재의 나머지(잔재(殘材) w´)에 맞닿지 않는 위치까지, 봉재 w를 관통공(230a)에 삽입한다(스텝 S109, 도 7 (c)).
이 후, 주축대(220)가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여 위치 결정된다(스텝 S110, 도 7 (d)). 이 주축대(220)의 전진, 위치 결정의 후, 상기 제어 장치가 다시 모터 M를 구동시켜 가압봉(15)을 전진시키고, 봉재 w를 전진시킨다(스텝 S111).
봉재 w의 전단이 주축(230)의 전단에 달하면, 봉재 w에 가압되어 잔재 w´가 주축(230)의 밖으로 배출된다(스텝 S113, 도 7 (e)). 또, 봉재 w의 전단이 주축(230)의 전단에 달한 것을 조건으로(스텝 S112), 상기 제어 장치는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켜, 가압봉(15)의 이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115). 또한, 이 때, 위치 결정 공구 T1가 준비된다(스텝 S114, 도 8 (a)).
위치 결정 공구 T1의 준비 확인 후, 상기 제어 장치는 모터 M를 재구동하여 가압봉(15)을 전진시켜, 봉재 w의 전단을 위치 결정 공구 T1에 접촉시킨다(스텝 S116, S117, 도 8 (b)).
봉재 w의 전단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맞닿으면,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이동이 규제되고, 봉재 공급 장치(1)의 구동 롤러(135)와 클러치 판(142)(도 3 참조)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한편,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정지에 의해 종동 롤러(132)의 회전도 정지하므로, 모터 M가 구동을 하고 있어도, 상기 제어 장치는 봉재 w의 전단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맞닿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이 판단 후,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봉재 w의 가공 정밀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봉재 w가 맞닿은 후에, 위치 결정 공구 T1로 봉재 w를 약간 되밀어내, 주축(230)으로부터의 봉재 w의 돌출 길이가 미리 설정한 정확한 길이로 되도록 하면 된다(스텝 S118, 도 8 (c)).
이 후, 봉재 w의 길이가 가공 가능한 길이인 것을 조건으로(스텝 S119), 척(231)을 닫아서 봉재 w를 파지시키고(스텝 S120), 가압봉(15)을 주축(230)으로부 터 후퇴시킨다(스텝 S121).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봉(15)은 최후퇴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으로 한다(스텝 S122).
이후, 위치 결정 공구 T1와 바꾸어 가공용의 공구 T2가 준비되고, 이 가공용의 공구 T2에 의해 봉재 w의 가공이 개시된다(스텝 S123, 도 8 (d)).
공구 T2에 의한 가공이 종료되면(스텝 S124), 절단 공구로 제품을 컷오프하고, 척(231)을 열고(스텝 S125), 스텝 S114로 돌아온다. 이 후, 스텝 S116 ~ 스텝 S125의 스텝을 반복한다. 이 과정의 스텝 S119에서, 봉재 w의 길이가 가공 가능한 길이보다 짧아져 있으면, 처음으로 돌아와 다음의 봉재 w의 준비를 하고, 스텝 S101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주축 이동형의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주축 고정형의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서도 본 발명의 적용은 가능하다.
이하, 도 9의 플로차트 및 도 10 ~ 도 12의 작용 도면을 참조하면서, 주축 고정형의 경우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주축대(220)가 고정형인 것 및 기체(10)가 주축대(220)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봉재 공급 장치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동일한 부재,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는 동시에, 봉재 공급 장치(1)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봉재 공급 장치(1) 및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전원 투입 후, 봉재 공급 장치(1)에 의한 봉재 w의 공급 전에, 가압봉(15)이 스토퍼(112)에 맞닿는 위치(최후퇴 위치)까지 후퇴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1, 도 10 (a)). 가압봉(15) 이 스토퍼(112)에 맞닿는 위치까지 후퇴하고 있는지 여부는, 검출 스위치(114)가 대경부(15a)(도 4 참조)를 검출하는 것에 의한 검출 신호와, 가압봉(15)을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모터 M를 구동시켰을 때, 종동 롤러(132)가 회전하는지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스텝 S201의 확인 후, 스토커(12)로부터 봉재 w를 1개만 주축 축선 C 상에 공급한다(스텝 S202, 도 10 (b)).
그리고, 주축(230)의 전단의 척(231)이 개방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스텝 S203), 모터 M를 구동시켜 가압봉(15)을 전진시킨다(스텝 S204). 가압봉(15)의 전단이 봉재 w의 후단에 맞닿으면, 봉재 w가 주축(230)을 향해 전진을 개시한다.
센서(16)가 봉재 w의 전단을 검출하면(스텝 S205), 수치 제어 자동 선반 또는 봉재 공급 장치(1)의 제어 장치는, 먼저 나타낸 순서에 따라 봉재 w의 길이 l을 연산에 의해 구한다. 또, 봉재 w의 길이 l이 미리 설정된 가공 가능한 길이보다 긴지 여부, 즉 봉재 w의 가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6). 그 결과, 봉재 w의 길이 l이, 가공 가능한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 판단했을 때는,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켜 가압봉(15) 및 봉재 w의 전진을 정지시키고, 알람 등을 출력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봉재 w의 길이 l이, 가공 가능한 길이일 때는, 가압봉(15) 및 봉재 w의 전진을 계속하게 하는 동시에,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전단 위치의 감시를 행한다(스텝 S207).
봉재 w는, 가압봉(15)에 가압되고, 주축(230)의 관통공(230a)에 삽입된다(스 텝 S208, 도 10 (c) 참조). 그리고, 봉재 w의 전단이 주축(230)의 전단에 달하면, 봉재 w에 가압되고, 잔재 w´가 주축(230)의 밖으로 배출된다(스텝 S211, 도 10 (d)). 또, 봉재 w의 전단이 주축(230)의 전단에 달한 것을 조건으로(스텝 S210), 상기 제어 장치는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켜, 가압봉(15)의 이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213). 또한, 이 때, 위치 결정 공구 T1가 준비된다(스텝 S212, 도 11 (a)).
위치 결정 공구 T1의 준비 확인 후, 상기 제어 장치는 모터 M를 재구동하여 가압봉(15)을 전진시켜, 봉재 w의 전단을 위치 결정 공구 T1에 접촉시킨다(스텝 S214, S215, 도 11 (b)).
봉재 w의 전단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맞닿으면,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이동이 규제되어, 봉재 공급 장치(1)의 구동 롤러(135)와 클러치 판(142)(도 3 참조)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한편, 봉재 w 및 가압봉(15)의 정지에 의해 종동 롤러(132)의 회전도 정지하므로, 모터 M가 구동되고 있어도, 상기 제어 장치는 봉재 w의 전단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맞닿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이 판단 후, 모터 M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봉재 w의 가공 정밀도를 보다 높이기 위해, 위치 결정 공구 T1에 봉재 w가 맞닿은 후에, 위치 결정 공구 T1로 봉재 w를 약간 되밀어내, 주축(230)으로부터의 봉재 w의 돌출 길이가 미리 설정한 정확한 길이로 되도록 하면 된다(스텝 S216, 도 11 (c)).
이 후, 봉재 w의 길이가 가공 가능한 길이인 것을 조건으로(스텝 S217), 척(231)을 닫아서 봉재 w를 파지시키는(스텝 S218) 동시에, 가공 공구 T2를 준비해 가공을 개시한다(스텝 S219, 도 11 (d)).
가공이 종료되면(스텝 S220), 절단 공구를 준비해 제품을 봉재 w로부터 떼어낸다(스텝 S221). 봉재 w의 가공은, 봉재 w가 가공 불가능한 길이로 될 때까지 반복된다(스텝 S212 ~ 스텝 S221).
스텝 S217로 봉재 w의 길이가 가공 불가능한 길이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압봉(15)을 후퇴시키는 동시에(스텝 S222), 스토커(12)로부터 다음에 가공을 행하는 봉재 w를 주축 축선 C를 향해 송출한다(스텝 S223, 도 12 (a)).
이 때,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V자형의 홈(V홈)(17a)을 가지는 봉재 유지 수단으로서의 봉재 받이부(17)를, 스토커(12)의 전방의 주축 축선 C 상에 준비해 두고, 스토커(12)로부터 송출된 다음 회 가공의 봉재 w가, 후퇴하는 가압봉(15)에 맞닿은 상태에서, 경사면(17b) 상에서 대기하도록 하면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대기 위치가 「대기부」를 구성한다.
가압봉(15)의 전단이 다음 회 가공의 봉재 w의 후단까지 달하면, 가압봉(15)에 맞닿아 있던 봉재 w가 V홈(17a)에 낙하하여, 주축 축선 C 상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가압봉(15)이 최후퇴 위치까지 도달하는 동시에, 가압봉(15)의 전진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스텝 S224, 도 12 (b)), 가공 시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동 롤러(132)의 회전각의 검출은, 요철(132a)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 등의 센서(133)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회전각 검출 센서나 인코더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검출 스위치(113)가 가압봉(15)의 대경부(15a)를 검출하여 모터 M를 정지시키는 것만으로, 가압봉(15)의 필요한 위치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면, 후퇴 규제 수단으로서의 스토퍼(112)는 특히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슬립 기구(140)는, 일회전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게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구동 롤러(135)와 종동 롤러(132)는 각 한 개씩 설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은 복수개라도 된다.
또, 상기의 설명에서는, 봉재 w의 길이를 구하여 가압봉(15)의 전단 위치를 산출하고, 가압봉(15)의 전단 위치의 감시를 행하여, 가압봉(15)이 소정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 봉재 w의 더 이상의 가공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의 봉재의 준비를 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진 규제 수단인 검출 스위치(114)가 가압봉(15)의 대경부(15a)를 검출했을 때, 봉재 w의 더 이상의 가공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이동형의 주축대를, 제2 실시예에서는 고정형의 주축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제1 실시예의 봉재 공급 장치를 고정형의 주축대에, 또, 제2 실시예의 봉재 공급 장치를 이동형의 주축대에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가이드 부싱을 구비한 다른 수치 제어 자동 선반에 의해 가공이 불가능하게 된 단재와 같은 단척의 봉재의 공급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봉재 공급 장치는, 주축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단척의 봉재의 공급이나, 삼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봉재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주축대(主軸臺)와 상기 주축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주축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후방에 배치되고, 봉재(棒材)의 전단(前端)을 상기 주축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상기 주축의 전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절삭 공구대에 장착한 공구로 상기 봉재의 전단을 가공하기 위한 봉재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봉재를 공급하는 스토커(stocker)와,
    상기 스토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서 진퇴 이동하는 가압봉과,
    상기 가압봉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가압봉 가이드와,
    상기 축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봉을 상기 축선 상에서 협지하는 복수개의 롤러로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하나는 구동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롤러이며, 상기 구동 롤러를 제외한 다른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압봉과 슬라이딩되지 않고 회전하는 종동 롤러로서 구성되는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종동 롤러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
    을 구비한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에 기체(基體)가 장착되고,
    상기 기체에 상기 축선 상에서 진퇴 이동 가능한 상기 가압봉과, 상기 가압 봉의 진퇴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가압봉 가이드와, 상기 가압봉을 상기 축선 상에서 협지하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는 상기 재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상기 재료를 공급하는 공급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공급 기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의 진퇴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 상기 구동체와 상기 가압봉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상기 구동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상기 구동 롤러를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의 전방에 상기 봉재의 전단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의 타단이 소정의 후퇴 위치까지 후퇴했을 때, 상기 가압봉의 이동을 규제하는 후퇴 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의 일단이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 상기 가압봉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진 규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가 단재(端材)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커로부터 송출된 봉재를 상기 가압봉과 접촉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대기부와, 상기 봉재를 주축 축선 상에 위치시키는 위치 결정부를 가지는 봉재 유지 수단을 상기 주축의 축선 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KR1020067010240A 2003-11-28 2004-11-22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KR101123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9123 2003-11-28
JP2003399123 2003-11-28
JP2004215299 2004-07-23
JPJP-P-2004-00215299 2004-07-23
PCT/JP2004/017345 WO2005051581A1 (ja) 2003-11-28 2004-11-22 数値制御自動旋盤の棒材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687A true KR20060108687A (ko) 2006-10-18
KR101123174B1 KR101123174B1 (ko) 2012-03-19

Family

ID=3463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240A KR101123174B1 (ko) 2003-11-28 2004-11-22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1577B2 (ko)
EP (1) EP1688200B1 (ko)
JP (1) JP4542040B2 (ko)
KR (1) KR101123174B1 (ko)
WO (1) WO2005051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5869A1 (ja) * 2003-12-26 2005-07-21 Citizen Watch Co., Ltd. 自動旋盤
DE102008051611A1 (de) * 2008-10-07 2010-04-08 Traub Drehmaschinen Gmbh & Co. Kg Drehmaschine
IT1394055B1 (it) * 2009-05-04 2012-05-25 Cucchi Pietro Spa Introduttore di barre con controllo di avanzamento
ITMI20091230A1 (it) * 2009-07-10 2011-01-11 Cucchi Pietro Spa Introduttore di barre per un tornio automatico
CN101704113B (zh) * 2009-10-12 2012-01-25 大连科德数控有限公司 一种自动加工轴承用圆柱滚子的数控车床
CH711179A1 (fr) * 2015-06-11 2016-12-15 Watch Out Sa Tour d'usinage comprenant un canon de guidage.
JP6761259B2 (ja) * 2016-02-29 2020-09-23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加工装置
DE102017105872A1 (de) 2017-03-20 2018-09-20 Jbs System Gmbh Führungsbuchse, Werkzeugmaschine mit Führungsbuchs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Werkzeugmaschine
JP7026928B2 (ja) * 2017-08-23 2022-03-01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材料供給方法及び材料供給システム
CN109500633B (zh) * 2018-12-24 2023-06-02 全南永能不锈钢有限公司 一种不锈钢制管加工切割装置的固定机构
JP7357929B2 (ja) * 2020-11-13 2023-10-10 育良精機株式会社 棒材供給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653A (en) * 1960-11-25 1964-09-08 Arco Feed Inc Stock feeding apparatus
GB1492989A (en) * 1974-08-19 1977-11-23 Hagenuk Neufeldt Kuhnke Gmbh Control means in a bar holder and feeder coupled to an automatic machine tool
US4417489A (en) * 1979-12-21 1983-11-29 Liu Chunghorng R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by varying the tool geometry
US4406190A (en) * 1980-05-16 1983-09-27 White-Bsa Tools Limited Bar stock feed apparatus for a machine tool
JPS57156103A (en) * 1981-03-23 1982-09-27 Miyano Tekkosho:Kk Automatic feed device of bar material
DD209126B1 (de) * 1982-07-29 1986-04-16 Rainer Lattner Stangenlademagazin fuer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drehautomaten
CH656814A5 (en) * 1984-01-13 1986-07-31 Lns Vente Fab Decolletage Method and device for continuously reloading a bar feeder for an automatic lathe or other machine working bar
CH657794A5 (fr) * 1984-03-27 1986-09-30 Lns Vente Fab Decolletage Bloc-palier, ravitailleur, notamment pour tour automatique, comprenant de tels blocs-paliers, utilisation de ce bloc-palier.
IT1221538B (it) * 1987-10-16 1990-07-12 I E M C A Ind Elettromeccanica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 intestatura di una barra su un tornio automatico per la lavorazione di barre
DE4019285A1 (de) 1990-06-16 1991-12-19 Kieserling & Albrecht Spanneinrichtung zum gezielten spannen von werkstuecken
US5170358A (en) * 1990-12-06 1992-12-08 Manufacturing Laboratories, Inc. Method of controlling chatter in a machine tool
JPH068002A (ja) 1992-06-25 1994-01-18 Shimamoto Seiko:Kk 棒材供給装置及び棒材供給方法
JPH0760503A (ja) * 1993-08-24 1995-03-07 Alps Tool:Kk 棒材供給機
JP2602191Y2 (ja) * 1993-10-29 1999-12-27 積水ハウス株式会社 鋼材の強制送り装置
JP3635506B2 (ja) * 1995-09-29 2005-04-06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棒材供給機
US5957016A (en) * 1997-04-11 1999-09-28 San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regenerative instability and related chatter in machine tools
JP3262745B2 (ja) * 1997-07-30 2002-03-04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
JP2001246502A (ja) 2000-02-29 2001-09-11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供給制御方法
JP2002187001A (ja) 2000-12-19 2002-07-02 Alps Tool Co Ltd 棒材加工装置
US6871389B2 (en) * 2003-04-14 2005-03-29 Chin Chung Cheng Workpiece feeder for a cutting metal-working machine or the like
EP1637256B1 (en) * 2004-09-15 2014-04-02 PIETRO CUCCHI S.p.A. Automatic bar-loader provided with linear sensors of the position of the bar-pusher and automatic lathe including said 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51581A1 (ja) 2005-06-09
JPWO2005051581A1 (ja) 2007-06-21
EP1688200A1 (en) 2006-08-09
US7461577B2 (en) 2008-12-09
JP4542040B2 (ja) 2010-09-08
EP1688200A4 (en) 2012-07-04
US20070151429A1 (en) 2007-07-05
EP1688200B1 (en) 2013-01-23
KR101123174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0358B1 (en) An adjustable boring bar for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system
KR101123174B1 (ko) 수치 제어 자동 선반의 봉재 공급 장치
AU674943B2 (en) Turning and boring machine
WO2012018592A1 (en) Power -operated chuck for a tool spindle of a machine tool
US4404878A (en) Bar stock feed apparatus
JP2001525733A (ja) 基体を有する工具、及びこのような工具を用いてワークピースに孔を穿孔する方法
JPH07102503B2 (ja) 長尺ワーク円筒研削用自動芯出振れ止め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研削加工方法
CN100506442C (zh) 数控自动车床的棒材供给装置
JPH07314242A (ja) 鋼材の自動搬送加工装置
JP6913654B2 (ja) 鋼管端部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KR20100047693A (ko)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JPH081433A (ja) 丸鋸による溝切り切断加工方法及び装置
JPH11114903A (ja) 木材垂直孔明け装置
JP4351435B2 (ja) ベニヤレースへの原木の供給方法
JP3009106B1 (ja) 最適研削圧及び研削スピ−ド調整装置
JP4159790B2 (ja) ラックシャフトの加工装置
JP3807902B2 (ja) 棒材供給機
KR100480206B1 (ko) 연삭휠의 마모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가공하는 연삭장치
JP3018390U (ja) 圧造成形機のクイル装置
JP2504908B2 (ja) 棒材加工用旋盤における背面加工方法
JP2529794B2 (ja) サイザ―装置
JPH03221369A (ja) ローラバニッシュ加工機
CN115157103A (zh) 珩磨机及其进给系统
JP2003291001A (ja) バー材の旋削加工方法及び装置
JPH02100801A (ja) 旋盤の主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