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693A -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 Google Patents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693A
KR20100047693A KR1020080106694A KR20080106694A KR20100047693A KR 20100047693 A KR20100047693 A KR 20100047693A KR 1020080106694 A KR1020080106694 A KR 1020080106694A KR 20080106694 A KR20080106694 A KR 20080106694A KR 20100047693 A KR20100047693 A KR 20100047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urnishing
pressing force
workpiec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히코 토미오카
마사미 마츠바라
토시아키 세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10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693A/ko
Publication of KR20100047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4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ex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6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taking regard of the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를 항상 적절한 가압력으로 피가공물로 밀어붙여서,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버니싱 롤러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공구본체(54)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롤러지지부재(78)에, 버니싱 롤러(86)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10)의 시브면(12)에 밀어붙여 가공시킨다. 공구본체(54) 내에 마련된 로드셀(120)에 스프링(100)의 탄성력을 작용시켜, 그 검출치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86)의 시브면(12)에 대한 가압력이 검출된다. 가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나서 작은 경우에는, 롤러지지부재(78)에 나사 결합한 어드져스트 볼트(110)를 조여서, 스프링(100)의 초기하중을 증대시킨다.
버니싱장치

Description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ROLLER BURNISHING APPARATUS EQUIPPED WITH PRESSURE SENSING DEVICE}
본 발명은 롤러 버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니싱 롤러를 미는장치에 의해 피가공물로 밀어붙여 버니싱 가공을 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니싱 롤러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접시나사가 미는 것에 의해서 피가공물로 밀어붙여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롤러 버니싱 장치에서는, 생크의 끼움공에 구동축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과 함께, 홀더에 의해 버니싱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복수의 접시나사는, 구동축과, 끼움공 내에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나사받음부와의 사이에 구동축의 축선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늘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나사받음부는, 생크의 끼움공의 저부에 나사 결합 된 세트 스크류에 접촉되어 있어, 세트 스크류의 나사 결합량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접시나사의 초기하중이 조정되고, 접시나사의 미는 힘에 따라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이 조정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0-52244공보
그렇지만,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을 조정하여도, 가공이 행하여짐에 따라, 접시나사의 열화에 의해 가압력이 저하되고, 품질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를 항상 적절한 가압력으로 피가공물로 밀어붙여,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버니싱 롤러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a)피가공물과 상대이동되는 제 1 부재와, (b)그 제 1 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 2 부재와, (c)그 제 2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버니싱 롤러와, (d)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상대이동방향의 일 방향을 향하여 미는 미는장치와, (e)그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근거하는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가압력 검출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1)로드셀, (2)버니싱 롤러로부터 제 1 부재까지의 힘 전달 경로(버니싱 롤러 및 제 1 부재를 포함한다)에 존재하는 부재로 마련되어, 그 부재의 변형을 검출하는 변형 게이지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니싱 롤러가, 미는장치의 미는 작용에 의해 피가공물로 밀어붙여져 버니싱 가공을 하고, 피가공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하는 것과 함께, 압축잔류응력을 발생시켜, 피로강도를 높인다. 가압력 검출장치에 의해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이 검출되면, 예를 들어, 탄성부재의 열화에 따라 가압력이 저하되거나, 미는장치 등의 구성부재에 결손이 생겨 롤러 버니싱 장치의 가공에 적절한 가압력이 얻어지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을 곧 알 수 있다. 또는, 버니싱 가공 공정의 전(前) 공정에 있어서 가공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아서, 피가공물 표면의 치수에 이상이 있으면, 버니싱 가공 공정에서 소망하는 가압력이 얻어지지 않는 것으로부터, 전(前) 공정의 이상이 검지된다. 따라서, 가압력 검출장치에 의한 가압력 검출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가압력을 조정하거나, 롤러 버니싱 장치를 수리하거나, 전(前) 공정에서의 이상을 제거하는 등, 가공이 정상적으로 행하여 지지 않은 상태에 대하여 급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의 태양]
이하에, 본원에 있어 특허청구가 가능하다고 인식되는 발명(이하, [청구가능발명]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청구가능발명은, 적어도,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인 [본 발명] 내지 [본원 발명]을 포함하지만, 본원 발명의 하위개념이나, 본원 발명의 상위개념 혹은 별도개념의 발명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의 태양을 몇 개 예시하고, 그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태양은 청구항과 마찬가지로 항으로 구분하고, 각 항에 번호를 붙이고, 필요에 상응하여 다른 항의 번호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기재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청구가능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청구가능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조합을, 이하의 각 항에 기재된 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다시 말하면, 청구가능발명은, 각 항에 부수하는 기재, 실시예의 기재, 종래기술 등을 참작하여 해석하는 것이 온당하고, 그 해석에 따르는 한계에 있어서, 각 항의 태양에 더 다른 구성요소를 부가한 태양, 또는 각 항의 태양으로부터 구성요소를 삭제한 태양도, 청구가능발명의 일 태양이 될 수도 있다.
또, 이하의 각 항에 있어서, (1)항이 청구항 1에 상당하고, (2)항과 (3)항을 합한 것이 청구항 2에, (3)항의 일부가 청구항 3에, (5)항의 일부가 청구항 4에, (6)항의 일부가 청구항 5에, (10)항의 일부가 청구항 6에, (11)항의 일부가 청구항 7에, (12)항의 일부가 청구항 8에, (13)항의 일부가 청구항 9에, (7)항과 (15)항의 각 일부가 청구항 10에, (8)항과 (9)항을 합친 것과, (16)항과 (17)항을 합친 것의 각 일부가 청구항 11에, 각각 상당한다.
(1) 피가공물과 상대이동되는 제 1 부재와,
그 제 1 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 2 부재와,
그 제 2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버니싱 롤러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를 상기 상대이동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미는 미는장치와,
그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근거하여 상기 버니싱 롤러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있는 롤러 버니싱 장치.
(2)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상대이동방향을 규정하는 상대이동 방향규정기구를 포함하는 (1)항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상대이동 방향의 규정에 의해, 미는장치의 미는 힘이 양호하게 버니싱 롤러에 작용한다.
(3) 상기 가압력 검출장치가, 상기 미는장치와 직렬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된 검출부를 포함하는 (1)항 또는 (2)항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검출부로서는, 예를 들어,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변형을 검출하는 변형게이지를 포함하는 고체형 로드셀이나, 액체가 밀봉된 밀봉용기와 그 밀봉용기 내의 액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액압형 로드셀 등이 적합하다.
가압력 검출장치가 검출부가 발하는 검출신호를 처리부에 의해 처리하여 가압력을 취득하는 장치인 경우, 처리부는 검출부와 함께 마련되어도 좋고, 검출부와는 별도로 마련되어도 좋다. 후자인 경우, 예를 들어, 롤러 버니싱 장치에 따른 버니싱 가공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컴퓨터에 처리부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항이 (2)항에 종속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미는장치의 가압력 검출장치와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4)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일방이 끼움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타방이 상기 끼움공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축부 를 구비하고, 그들 끼움공과 끼움축부의 끼움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상대이동방향이 상기 끼움축부의 축방향으로 규정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본 항이 (2)항에 종속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끼움공과 끼움축부가 상대이동방향을 끼움축부의 축방향으로 규정하는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어, 구조가 간단한 롤러 버니싱 장치가 얻어진다.
(5)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에 따른 회전축선 주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1)항 내지 (3)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본 항이 (2)항에 종속하는 경우에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회동축선 주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와의 상대이동방향을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규정하는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본 항의 발명에 따르면,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대하여 경쾌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6) 상기 제 1 부재가 가공기계의 공구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구본체이고, 상기 제 2 부재가 그 공구본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재인 (1)항 내지 (5)항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본 항의 태양에 있어서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가, 적어도 가압력 검출장치의 검출부와 미는장치를 내장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인 것으로 된다.
가공기계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전용(專用)하는 기계라도 좋고, 다른 가공공구로 사용 가능한 범용의 기계라도 좋다. 후자인 경우, 롤러 버니싱 장치를, 가공기계의 한 개의 공구지지부에 다른 가공공구와 선택적으로 지지시켜도 좋고, 혹은 가공기계의 복수의 공구지지부의 한 개에 지지시켜도 좋고, 어느 것으로 하여도 범용의 기계를 이용하여 가공을 저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7)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이동부재의 상기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따른 상기 상대이동의 한도를 규정하는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포함하는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이동한도 규정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제 2 부재의 제 1 부재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롤러 버니싱 장치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비가공 시에 버니싱 롤러의 제 1 부재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어, 가공개시 시에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는, 미는장치가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미는 힘으로 하는 것인 경우, 탄성부재에 초기하중을 부여하여 두는 것에 의해, 버니싱 롤러가 피가공물로의 접촉을 개시하고 나서 가압력이 소정의 크기로 될 때까지의 제 1 부재의 소요 이동량이 작아도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8) 상기 미는장치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미는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9) 상기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8)항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소정의 초기하중은, 예를 들어, 탄성부재를 소정의 초기하중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도 보증할 수 있다. 그러나 조정장치를 마련하여 초기하중을 조정하도록 하면, 탄성부재의 교환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는 교환빈도가 감소하여, 장치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초기하중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버니싱 롤러와 피가공물과의 누르는 방향에서 위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가공 시에 있어 버니싱 롤러와 피가공물과의 위치제어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본 항에 기재된 롤러 버니싱 장치에 있어서는, 가압력 검출장치에 의한 검출결과를 조정장치에 의한 탄성부재의 하중의 조정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가 조정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압력 검출장치에 따른 검출결과는, 예를 들어,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이 설정범위 내에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데에 사용된다.
(10) 상기 제 1 부재가 가공기계의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상기 제 2 부재가 그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공구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 공구본체인 (1)항 내지 (5)항, (7)항 내지 (9)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본 항의 태양에 있어서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가, 가공기계와, 그 가공기계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를 포함하는 것이 되어, 롤러 버니싱 가공기계로 된다. 미는장치는, 예를 들어, 가공기계의 이동부재와 공구지지부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가압력 검출장치의 검출부는, 예를 들어,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와 가공기계 어느 일방에 마련된다. 후자인 경우, 검출부는 가공기계의 공구지지부 측에 마련되어도, 피가공물 지지부 측에 마련되어도,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 지지부를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장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11) 적어도 상기 버니싱 롤러와 상기 제 2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구지지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피가공물 지지부와,
그들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 지지부를, 수치제어에 의해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장치와,
상기 공구지지부와, 상기 피가공물 지지부를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를 포함하는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공구지지부는, 버니싱 롤러와 그것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를 지지하는 것이어도 좋고, 버니싱 롤러, 제 2 부재, 제 1 부재, 미는장치 및 적어도 가압력 검출장치의 검출부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지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항이 (8)항에 종속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탄성부재로서 탄성변형 가능량이 비교적 크게, 나아가서, 탄성계수가 비교적 작은 것을 사용하여, 비교적 크게 탄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초기하중이 얻어진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그와 같이 하면, 상대이동장치에 따른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 지지부와의 상대이동의 제어정도(精度)가 비교적 낮아, 탄성부재의 탄성변형량이 다소 변화하여도, 버니싱 롤러의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은 거의 초기하중에 대응하는 것으로 되어, 가압력의 불규칙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으로, 탄성부재로서 탄성계수가 비교적 큰 것을 사용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가 피가공물에 가압되는 가압력이 소망하는 크기로 되도록, 상대이동장치에 따른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 지지부의 상대이동의 제어가 행하여 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가압력 검출장치에 따른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대이동장치의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에는, 이동한도 규정장치 혹은 조정장치가 불가결하지 않게 된다.
본 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따르면,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의 상대이동 및 상대회전에 따라, 피가공물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적어도 일방이 버니싱 가공된다.
(12) 상기 제 1 부재에도 버니싱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그들 두 부재에 각각 지지된 두 개의 상기 버니싱 롤러가 서로 접근, 이격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는장치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그들 두 부재에 각각 지지된 두 개의 상기 버니싱 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지지부재와 피가공물이 상대이동장치에 의해 상대이동되는 것에 의해, 두 개 의 버니싱 롤러와 피가공물이 상대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가공기계의 공구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구본체이어도, 가공기계의 일 구성 요소이어도 좋다. 전자인 경우에는, 본 항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가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인 것으로 되고, 후자의 경우는, 롤러 버니싱 가공기계인 것으로 된다.
미는장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그들에 지지된 두 개의 버니싱 롤러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것이어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것이어도 좋다. 전자는 피가공물의 외주면의 직경방향으로 떨어진 두 개소를 동시에, 혹은 원환(圓環)상 피가공물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동시에 가공하는 것에 적합한 것으로 이루어지고, 후자는 피가공물의 내주면의 직경방향으로 떨어진 두 개소를 가공하는 것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13)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평행한 회동축선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12)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14)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일직선을 따라 서로 접근, 이격가능하게 지지하는 (12)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15)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따라 상대이동의 한도를 규정하는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포함하는 (12)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가공개시 시에 두 개의 버니싱 롤러의 간격을, 그들 롤러의 사이에 피가공물을 끼우기 위하여 적합한 크기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16) 상기 미는장치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12)항 내지 (15)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상기 (8)항의 설명이 본 항의 롤러 버니싱 장치에도 들어맞는다.
(17) 상기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16)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상기 (9)항의 설명이 본 항의 롤러 버니싱 장치에도 들어맞는다.
(17) 상기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16)항에 기재된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상기 (9)항의 설명이 본 항의 롤러 버니싱 장치에도 들어맞는다.
(18) 상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피가공물 지지부와,
그 피가공물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장치와,
상기 피가공물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재를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를 포함하는 (12)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되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상기 (11)항의 설명이 본 항의 롤러 버니싱 장치에도 들어맞는다.
[실시예]
이하, 청구가능발명의 몇 개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청구가능발명은, 하기 실시예 외에, 상기 [발명의 태양]의 항에 기재된 태 양을 시작으로 하여,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경하는 태양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공기계의 한 종류인 터릿선반이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지지하여, 청구가능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의 롤러 버니싱 장치는 롤러 버니싱 가공장치이고, 예를 들어, 도 1에 보이는 피가공물로서의 무단 변속기용 축부(付) 풀리(10)(이후, 풀리 10으로 약칭한다)의 피가공면이 되는 시브(sheave)면(12)에 가공을 한다. 시브면(12)은 풀리(10)의 축선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추대의 외주면으로 구성되어, 그 외주연에는 면취가 실시되어, 테이퍼 형상의 안내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14)의 면취는, 실제로는 조금이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에서는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풀리(10)는 또한,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축부(16) 측의 부분인 접합부분에 제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터릿선반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주축대(20), 심압대(22) 및 도물대(24)를 포함한다. 주축대(20)는, 일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주축(26)과, 주축(26)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된 피가공물 지지구 지지구로서의 척(28)과, 주축(26)을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시키는 주축 회전장치(30)를 포함하고, 도시를 생략하는 베드 상에, 주축 회전축선이 수평이 되는 자세로 위치를 고정하여 마련되어 있다.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한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에 있어서는, 주축대(20)의 척(28)이 설치된 부분이 피가공물 지지부를 구성하고, 주축 회전장치(30)가 상대 회전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심압대(22)는, 심압 축(34) 및 센터(36)를 구비하고, 베드 상에 심압축(34)의 축선이 주축 회전축선과 동심 상태로 마련되어, 도시를 생략하는 이동장치에 의해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물대(24)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릿(40), 터릿이동장치(42) 및 터릿회전장치(44)를 포함한다. 터릿이동장치(42)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기 터릿 상에,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서,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부재인 X축 슬라이드와, X축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X축 슬라이드 구동장치와, X축 슬라이드 상에, 연직면 내에 있어서 X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후, Z축 방향이라고 칭한다)이 되고,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Z축 슬라이드와, Z축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Z축 슬라이드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상대이동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터릿(40)은, Z축 슬라이드 상에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터릿회전장치(44)에 의해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설정각도씩 회전시킬 수 있다. X축 슬라이드 구동장치, Z축 슬라이드 구동장치 및 터릿회전장치(44) 어느 것도, 예를 들어, 구동모터의 일종인, 회전각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어, 터릿(40)은 소정 속도로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함께, 소정 각도씩 간헐 회전시킬 수 있다.
터릿(40)은, 횡단면 형상이 정다각형을 가지고, 그 일방의 단면의 외주부에, 복수의 공구지지부(50)(도 1에는 한 개만 도시되어 있다)가 등각도 간격으로 마련되어, 그들 공구지지부(50) 중의 한 개에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2)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2)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 이, 제 1 부재로서의 공구본체(54)에서 공구지지부(5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공구본체(54)는, '〈' 형태를 가지고, '〈'의 일방의 아암부(56)는, 도 1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결되어 횡단면 형상이 L자형을 가지고, 서로 직교하는 계합부(58)(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아암부(56)를 A-A 단면선을 따라서 절단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구지지부(50)에는, 터릿(40)의 일방의 단면에 개구되어, 그 회전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64)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홈(64) 내에 쐐기부(66)가 마련되어 있고, 아암부(56)의 일방의 계합부(58)가 홈(64)에 끼워져, 쐐기부(66)와의 사이에 쐐기부재(68)가 끼워지는 것과 함께, 복수의 볼트(미 도시)에 의해 터릿(40)에 고정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계합부(58)(60)가 각각, 홈(64)의 측면과 터릿(40)의 단면에 밀어붙여지고, 또한, 아암부(56)의 길이방향의 단면이 홈(64)의 단면(미 도시)에 접촉되어, 공구본체(54)는 터릿(40)에 대하여 X축, Y축 및 Z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공구본체(54)의 타방의 아암부(74)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터릿(40)의 단면으로부터, 터릿 회전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단면에서 개구되어, 아암부(7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을 가지는 끼움공(76)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 2 부재로서의 가동부재로 되는 롤러지지부재(78)가 축방향으로 섭동(미끄러질 수 있게 접촉)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롤러지지부재(78)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롤러지지부(80)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끼움축부(82)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지지부(80)는, 간극을 두고서 마련된 한 쌍의 지지 벽(84)을 구비하고, 그들 지지벽(84)의 사이에 버니싱 롤러(86)가 끼워지는 것과 함께, 축(88)에 의해, 롤러지지부재(78)의 축선을 포함하고, 공구본체(54)의 아암부(56)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롤러지지부재(78)의 축선과 직교하는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버니싱 롤러(86)는, 그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절단평면에 의한 평면형상이 대(臺)형을 가지고, 외주면이 테이퍼를 이루는 롤러이고, 대경측의 외주부에, 푹이 좁은 원통면상의 가공부(90)가 마련되고, 가공부(90)의 일부가 한 쌍의 지지벽(8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끼움공(76) 및 끼움축부(82)는 각각, 횡단면 형상이 정방형상을 이루고, 끼움축부(82)는 끼움공(76)에 축방향으로 섭동가능 더욱이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그것에 의해, 공구본체(54)와 롤러지지부재(78)의 상대이동 방향이 끼움축부(82)의 축방향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들 끼움공(76) 및 끼움축부(82)가 상대이동 방향 규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끼움축부(82)에는,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롤러지지부(80)와는 반대측의 단면에 개구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을 가지는 스프링 수용공(94)이 형성되어, 한 쌍의 스프링 받음부(96)(98)가 축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과 함께, 그들 스프링 받음부(96)(98)에 의해, 미는장치의 일종인 탄성부재로서의 압축코일 스프링(100)의 양단이 받아져, 롤러지지부재(78)가, 그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서, 끼움공(76)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밀어져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2)를 화살표 B로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스프링(100)이 미는 것에 의해 롤러지지부재(78)의 이동한도로서 전진한도 는, 아암부(74)의 단면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판상의 스토퍼(102)에, 끼움축부(82)에 형성된 스토퍼면(104)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되고, 스프링(102)에 초기하중을 부여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다. 스토퍼(102)가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에 있어서 스프링(100)은, 압축 가능량이 크고, 더욱이 스프링 상수가 작게 되어 있어, 비교적 크게 압축시킬 수 있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초기 하중이 얻어지고, 압축량이 다소 변화하여도 탄성력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스프링(100)의 초기 하중은, 롤러지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4) 사이의 부분에 나사 결합된 어드져스트 볼트(adjust bolt)(110)를 스프링 받음부(96)에 접촉시켜, 어드져스트 볼트(110)의 롤러지지부(80)에 대한 나사 결합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 어드져스트 볼트(110)의 롤러지지부(80)에 대한 회전은, 롤러지지부(80)에 나사 결합된 세트 스크류(112)의 선단이 어드져스트 볼트(110)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에 있어서는, 어드져스트 볼트(110)가 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크기로 초기하중이 미리 조정된다.
상기 끼움공(76) 내에는,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로드셀(120)이 수용되어 있다. 로드셀(120)은, 끼움공(76)의 저면에 고정되어, 스프링(100)과 직렬로 공구본체(54)와 롤러지지부재(78)와의 사이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로드셀(120)은 고체형이고, 탄성부재로서의 고무체와, 그 고무체의 변형을 검출하는 변형게이지를 포함하고, 스프링 받음부(98)를 개재하여 스프링(100)의 미는 힘이 검 출자(122)에 작용하고, 고무체에 미는 힘을 가한다. 로드셀(120)의 검출신호는 앰프를 개재하여 제어장치(130)(도 1참조)에 입력된다. 제어장치(130)는 컴퓨터를 주된 구성으로 하여 구성되어, 로드셀(120)의 검출신호를 처리하고, 버니싱 롤러(86)의 풀리(10)에 대한 가압력을 취득한다. 로드셀(120) 및 컴퓨터의 신호처리부가 가압력 검출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컴퓨터는 또한, 구동장치를 개재하여 주축 회전장치(30), 알림장치(132) 등, 각종 엑츄에이터 등을 제어한다. 알림장치(132)는, 예를 들어, 음성, 광, 화상 등, 각종의 태양에 의해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장치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용을 설명한다.
풀리(10)의 시브면(12)에 버니싱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풀리(10)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단부는 주축대(20)의 척(28)에 의해 파지되고, 타단부에는 심압대(22)의 센터(36)가 계합되어, 축심이 수평인 자세로 지지된다.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2)는, 터릿(40)의 회전에 의해, 도 1에 보이는 가공위치에 놓여져, 버니싱 롤러(86)는, 그 회전축선이 연직면 내에서 롤러지지부재(78)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공부(90)가 전방만큼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된다. 또한, 버니싱 롤러(86)는,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축선이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 내에 위치하고, 가공부(90)가 시브면(12)의 외주측으로 벗어나고, 더욱이,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시브면(12)과의 교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시브면(12)으로부터 소정량 내측인 곳에 위치결정된다.
가공 시에는, 주축(26)이 회전되어, 풀리(10)가 주축 회전축선과 일치한 축심의 주위로 회전된다. 그리고 터릿 이동장치(42)가 제어장치(130)에 의해 수치제어되어, 터릿(40)이, 상기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시브면(12)과의 교선으로 평행한 방향이고, 풀리(10)의 축심(주축 회전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이하, 가공진행방향으로 약칭한다. 가공진행방향은, 도 1에 있어서 화살표 C으로 나타낸다)으로 이동된다. 그것에 의해, 버니싱 롤러(86)의 가공부(90)가 안내부(14)의 중간부에 접촉되고, 안내부(14)의 경사에 의해 안내되어, 롤러지지부재(78)는 스프링(100)의 미는 힘에 대항하여 후퇴되는 것과 함께 시브면(12)을 타고 오른다. 그 후, 터릿(40)은 터릿이동장치(42)에 의해 더욱 가공진행방향으로 이동되고, 버니싱 롤러(86)는 시브면(12)의 일 모선(母線)을 따라서 풀리(10)의 축심 측으로 이동된다.
스프링(100)은 버니싱 롤러(86)의 시브면(12)으로의 타고 오름에 의해 압축된다. 그것에 의해, 스토퍼면(104)이 스토퍼(102)로부터 이격되고, 버니싱 롤러(86)는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시브면(12)에 밀어붙여져, 풀리(1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것과 함께, 터릿이동장치(42)에 의해 이동되어 시브면(12)의 전체를 버니싱 가공한다. 스프링(100)은 스프링 상수가 작은 것으로 되어 있어, 소량 압축되어도 탄성력이 크게 변하지 않고, 터릿(40)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거의 초기하중과 대등한 크기의 가압력으로 버니싱 롤러(86)가 시브면(12)으로 밀어붙여져서, 밀어붙이는 힘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버니싱 롤러(86)가 제거부(18) 에 도달하면, 가공이 종료하고, 풀리(10)로부터 떨어진다.
제어장치(130)의 컴퓨터에서는, 가공 시에도 비가공 시에도 항시, 로드셀(120)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얻어진 가압력이 설정범위 내의 크기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하여지고 있다. 스프링(100)은, 다소 압축되어도 탄성력이 초기하중과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가공 시와 비가공 시에 있어 각각 취득된 가압력의 차이는 거의 없어, 비가공 시에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만일,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 작은 경우에는, 그 취지가 알림장치(132)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진다. 이 알림에 근거하여 작업자는, 버니싱 롤러(86)를 롤러지지부재(78)로부터 떼어내고, 세트 스크류(112)를 느슨하게 풀어 어드져스트 볼트(110)를 조이고, 스프링(100)의 압축량을 증대시켜서 초기하중을 증대시킨다. 초기하중의 조정에 의해 가압력이 조정되기 때문에, 버니싱 롤러(86)의 시브면(12)에 대한 가공위치를 변화시키는 일이 없이, 소망하는 가압력에 의해 버니싱 가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 큰 경우에는, 그 취지가 알림장치(132)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져서, 예를 들어, 어드져스트 스크류(110)의 나사 결합량을 줄여서 초기하중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버니싱 롤러(86)의 밀어붙이는 힘의 관리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압력은, 버니싱 가공 중에만 검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버니싱 롤러(86)가 시브면(12)으로 밀어붙이는 힘은, 엄밀하게는, 상기 버니싱 롤러(86)의 시브면(12)으로의 타고 오름에 동반하여 스프링(100)의 압축량과 스프링(100)의 스프링 상수와의 곱만큼 초기하중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동 반하는 밀어붙이는 힘의 증대분을 무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아, 그 증대분만큼 초기하중이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밀어붙이는 힘의 오차는, 타고 오름에 동반하는 스프링(100) 압축량의 오차에 비례하여, 압축량의 오차가 작게 되도록 버니싱 롤러(86)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밀어붙이는 힘의 관리는, 역시 용이하다.
청구가능한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 상기 실시예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와 동일한 작용을수행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대응관계를 보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는, 도 5 및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횡단면 형상이 원형을 이루는 피가공물(200)의 피가공면이 되는 곧은 외주면(202)를 가공하는 장치이다. 피가공물(200)은, 횡단면 형상이 원형의 단차형을 이루고, 소경부의 외주면인 외주면(202)의 축선방향으로 평행한 일단부이고, 피가공물(200)의 일단부에 면취가 실시되어, 안내부(204)가 형성되고, 외주면(202)의 타단부에 제거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는, 터릿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210)를 포함한다.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210)는, 제 1 부재로서의 공구본체(212)에서 터릿(40)의 공구지지부(5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구본체(212)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을 하고,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계합부(214)(216)를 구비하고, 상기 실시예의 공구본체(54)와 동일한 양상으로 터릿(40)에,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있어 위치결정되어, 터 릿(40)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공구본체(212)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터릿(40)의 외주면측에 개구하는 바닥을 가지는 끼움공(218)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제 2 부재로서의 가동부재로 되는 롤러지지부재(220)가 축방향으로 섭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롤러지지부재(220)는, 끼움축부(222)와, 끼움축부(222)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마련된 롤러지지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롤러지지부(224)는 한 쌍의 지지벽(228)을 구비하고, 버니싱 롤러(230)가 축(232)에 의해 주축 회전축선으로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버니싱 롤러(230)는, 상기 실시예의 버니싱 롤러(86)와 동일한 양상으로 구성되어, 가공부(233)를 구비하고 있다.
끼움축부(222)는 끼움공(218)에 축방향으로 섭동가능하고 더욱이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그것에 의해, 공구본체(212)와 롤러지지부재(220)의 상대이동방향이 끼움축부(222)의 축방향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들 끼움공(218) 및 끼움축부(222)가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끼움축부(222)에는, 롤러지지부(224)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개구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을 가지는 스프링 수용공(234)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밀어붙이는 장치의 일종인 탄성부재로서의 압축코일 스프링(236)이 수용되어 있다. 이 스프링(236)의 일단부는 끼움축부(222)에 의해 받아지고, 타단부는, 스프링 수용공(234) 내에, 그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스프링 받음부(238)에 의해 받아지고, 롤러지지부재(220)를 끼움공(218)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스프링(236)이 밀어붙이는 것에 의한 롤러지지부재(220)의 이동한도는, 롤러지지부 재(220)의 끼움축부(222)와 롤러지지부(224)와의 사이에 마련된 스토퍼면(240)(도 6 및 도 7참조)이, 공구본체(212)의 끼움공(218)의 개구단에 마련된 스토퍼(242)(도 6 및 도 7참조)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 스토퍼(242)가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끼움공(218)의 바닥부에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로드셀(250)이 배치되어, 스프링 받음부(238)가 개입되어 스프링(236)의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 로드셀(250)은 상기 실시예의 로드셀(120)과 동일한 양상으로 구성되어, 그 검출신호는 앰프를 개재하여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가공 시에는, 피가공물(200)은,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단부를 주축대(20)의 척(28)에 의해 파지시키고, 타단부는 심압대(22)의 센터(36)에 계합되고, 축심이 수평인 자세로 지지된다. 또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210)는, 터릿 회전축선 주위에서 도 5 및 도 7에 보이는 가공위치에 놓이고, 롤러지지부재(218)는 Z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고, 버니싱 롤러(230)의 회전축선은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하게 된다. 그리고 버니싱 롤러(230)는,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회전축선이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 내에 위치하고, 도 5에 일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가공부(233)가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안내부(204)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고, 더욱이, 안내부(204)로부터 외주측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주축(26)이 회전되어 피가공물(200)이 회전되고, 터릿(40)의 이동에 의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210)가 우선, 연직방향에 있어 주축 회전축선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7에 이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버니싱 롤러(230)의 가공부(233)가 안내부(204)의 중간부에 접촉된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에 있어서는, 로드셀(250)에 스프링(236)의 밀어붙이는 힘이 작용하고, 그 밀어붙이는 힘의 검출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230)의 피가공물(200)에 대한 가압력이 검출되어, 컴퓨터에 있어서는, 로드셀(250)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항시, 가압력이 검출되고 있다. 터릿(40)은, 가공부(233)가 안내부(20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태로부터 더욱 주축 회전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공구본체(212)가 스프링(236)을 압축함과 함께 롤러지지부재(220)에 대하여 주축 회전축선 측으로 이동되고, 버니싱 롤러(230)가 스프링(236)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부(204)로 밀어붙여진다. 터릿(40)은, 스프링(236)의 압축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가압력이 얻어질 때까지, 주축 회전축선측으로 이동된다. 이 미리 설정된 가압력은, 버니싱 롤러(230)가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안내부(204)에 의해 안내된 외주면(202)으로 올라타는 것에 의한 스프링(236)의 압축량과, 가공에 따른 외주면(202)의 직경의 감소에 의한 스프링(236)의 신장량을 고려하여, 버니싱 롤러(230)가 피가공물(200)에 소망하는 가압력으로 밀어붙여지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가압력이 얻어지면, 터릿(40)이 터릿이동장치(42)에 의해 X축방향으로 이동되어, 도 5에 백색 화살표로 보이는 바와 같이, 버니싱 롤러(230)는 피가공물(200)의 축심에 평행한 선을 따라서 주축대(20)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5에 이점쇄선으로 보이고, 도 7에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안내부(204)에 의해 안내되어 외주면(202)에 타고올라, 도 7에 흑색 화살표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프링(236)의 탄성력에 의해 소망하는 가압력으로 외주면(202)에 눌러붙여지고, 피가공물(20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것과 함께, 외주면(20) 전체를 버니싱 가공한다. 버니싱 롤러(230)가, 도 5에 실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외주면(202)의 제거부(206)에 도달하면, 가공이 종료하고, 피가공물(200)로부터 이격되어진다.
버니싱 롤러(230)는, 안내부(204)에 미리 설정된 가압력이 얻어질 수 있도록 눌러붙여진 상태로 가공이 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스프링(236)이 마모하여도, 그것에 대응하여 스프링(236)의 압축량이 증가되어, 피가공물(200)에 대하여 항상 소망하는 가압력으로 눌러붙여져서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공 중에도 로드셀(250)의 검출치에 근거하여 가압력이 검출되어,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있으면, 터릿(40)이 주축 회전축선에 접근하는 방향 혹은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공구본체(212)와 롤러지지부재(220)는 상대이동되어 스프링(236)의 압축량이 변하고, 가압력이 조절된다.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를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는, 도 5 및 도 7에 보이는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와 동일한 양상으로, 피가공물(200)의 곧은 외주면(202)에 가공을 하는 장치이고, 터릿선반에 의해 지지되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300)를 포함하고, 그 제 1 부재로서의 공구본체(302)에서, 터릿(40)의 공구지지부(50)에 위치결정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버니싱 롤러(304)는 제 2 부재로 되는 가동부재로서의 가동아암(30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버니싱 롤러(304)는, 상기 버니싱 롤러(86)(230)와 동일한 양상으로 구성되어, 가공부(308)를 가진다.
공구본체(302)는 길이형상(일방향으로 긴 형상, 이하 길이형상이라고 한다)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이고, 터릿(4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부의 측면에는, 폭이 좁은 취부부(310)가 공구본체(30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회동아암(306)은, 개략적으로 L자형으로 이루어지고, L자의 일방향의 아암부(312)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벽(314)에서 상기 취부부(310)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것과 함께, 축(316)에 의해,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한 회동축선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있다. 축(316)이 연결장치를 구성하여, 공구본체(302)와 회동아암(306)의 상대이동방향을 회동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규정하는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회동아암(306)의 타방의 아암부(318)는, 공구본체(302)의 길이방향의 일단면과 대향하여, 그 공구본체(302)측과는 반대측으로 개구하는 요부(320)가 형성되는 것과 함께 버니싱 롤러(304)가 수용되어, 축(322)에 의한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더욱이, 그 외주부의 일부가 요부(320)의 바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공구본체(302) 내에는, 그 회동아암(306)의 아암부(318)와 대향하는 측의 단면에 개구하고, 길이방향으로 바닥을 가지는 스프링 수용공(330)이 형성되어, 스프링 받음부(332)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그 스프링 받음부(332)와, 아암부(318)와의 사이에 탄성부재로서의 압축코일 스프링(334)이 배설되어, 회 동아암(306)을 버니싱 롤러(304)가 공구본체(30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이 스프링(334)이 미는 것에 의한 회동아암(306)의 회동한도는, 지지벽(314)의 축(332)으로부터의 돌출단부에 마련된 접촉부(336)가, 공구본체(302)에 마련된 스토퍼부(338)(도 8참조)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 스프링 수용공(330) 내에는 또한, 그 바닥면에 로드셀(350)이, 스프링 수용공(330)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스프링 수용부(332)를 개재하여 스프링(334)에 의해 스프링 수용공(330)의 바닥면 측으로 밀어지고 있다.
더욱이, 공구본체(302)의 스프링 수용공(330)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어드져스터 스크류(354)가, 스프링(334)의 압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과 함께, 그 선단은 로드셀(350)에 접촉되고 있다. 따라서, 어드져스트 스크류(354)의 공구본체(302)에 대한 나사 결합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스프링(334)의 압축량이 변할 수 있고, 스프링(334)의 초기하중이 조절되어, 어드져스터 스크류(354)의 조작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드져스트 스크류(354)가 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어드져스트 스크류(354)는, 공구본체(302)에, 어드져스터 스크류(354)에 대하여 직각으로 나사 결합된 세트 스크류(356)가 계합되어 공구본체(302)에 고정된다.
본 롤러 버니싱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도 5에 보이는 피가공물(200)의 외주면(202)이 버니싱 가공된다. 가공 개시 시에 버니싱 롤러(304)는, 그 회전축선이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 내에 위치하고, 가공부(308)가,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피가공물(200)로부터 심압축(34)으로 이격되고, 더욱이 주축 회전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외주면(202)보다 소정량 내측인 곳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피가공물(200)이 회전되는 것과 함께, 터릿(40)의 이동에 의해 버니싱 롤러(304)가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공부(308)가 안내부(204)에 접촉하는 것과 함께, 그 경사를 따라 안내되어 외주면(202)을 타고 오른다. 그것에 의해, 회동아암(306)이 스프링(334)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회동되고, 접촉부(336)가 스토퍼부(338)로부터 이격하여, 스프링(334)을 미는 것에 의해 버니싱 롤러(304)가 외주면(202)에 밀어붙여져 버니싱 가공을 실시한다. 스프링(334)의 초기하중은,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크기로 미리 조정되어, 버니싱 롤러(304)는, 거의 스프링(334)의 초기하중과 대등한 크기의 가압력으로 외주면(202)에 밀어붙여진다.
버니싱 롤러(304)의 피가공물(200)에 대한 가압력은, 로드셀(350)에 작용하는 하중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항시, 검출되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난 경우에는, 알림장치(132)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진다. 예를 들어, 가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나 작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300)를 터릿(40)으로부터 떼어내어, 세트 스크류(356)를 느슨하게 풀고 어드져스트 볼트(354)를 공구본체(302)에 조여 넣어, 스프링(334)의 초기하중을 증대시킨다. 조정 후,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300)를 터릿(40)에 취부한다.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를 도 10 및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는,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400) 및 가공기계(402)를 포함한다. 가공기계(402)는, 제 1 부재로서의 이동부재(410) 및 이동장치(412)를 포함한다. 이동장치(412)는, 상기 터릿이동장치(42)와 동일한 양상으로 구성되어, 제어장치(414)에 의해 제어되고, 이동부재(410)를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서 각각,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부재(410)에는, 그 단면에 한 쌍의 안내부재로서의 가이드 레일(420)이 연직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과 함께, 공구지지체(422)가 피안내부재로서의 가이드블록(424)에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공구지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레일(420) 및 가이드블록(424)은, 가이드블록(424)이 지지하는 복수의 볼(미 도시)을 개재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끼워진 리니어 가이드로 되어, 공구지지체(422)의 이동은 정도(精度)좋게 안내된다.
공구지지체(422)는, 이동부재(410)와의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접시 스프링(430)에 의해, 이동부재(4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밀어져 있다. 이동부재(410)에는,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스프링 수용 요부(432)가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과 함께, 그 스프링 수용 요부(432)의 상측의 측면에 개구하여 마련된 끼움공(434)에 스프링 수용부재(436)가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복수의 접시 스프링(430)은 스프링 수용 요부(432) 내에 연직방향으로 나열되는 상태로 수용되는 것과 함께, 스프링 수용부재(436)와, 공구지지체(422)로부터 이동부재(410)측으로 연장된 스프링 받음부(438)에 의해 상단 및 하단이 받아져, 공구지지체(422)를 하방으로 밀고 있다. 이들 접시스프링(430)이 미는 것에 의해 공구지지체(422)의 이동한도는, 이동부재(410)의 하면에 마련된 스토 퍼(440)에 공구지지체(422)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끼움공(434) 내에는 로드셀(442)이 수용되어, 스프링 수용부재(436)를 개재하여 접시 스프링(430)의 미는 힘이 작용되고 있다.
본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400)는, 버니싱 롤러(450)와, 그것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부재로서의 공구본체(452)로 이루어진다. 공구본체(452)는 길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보이는 실시예의 공구본체(54)와 동일한 양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계합부(454)(456)(도 11참조)를 구비하고, 계합부(454)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체(422)에 연직방향으로 마련된 공구끼움홈(458)에 끼워지는 것과 함께, 쐐기부(460) 및 쐐기부재(462)의 쐐기작용 등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각 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공구지지체(42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버니싱 롤러(450)는 외주부에 가공부(464)를 구비하고,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400)가 공구지지체(422)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되고, 공구지지체(422)를 개재하여 접시 스프링(430)의 미는 힘이 작용된다.
본 실시예의 롤러 버니싱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도 5에 보이는 피가공물(200)의 외주면(202)이 버니싱 가공된다. 이 가공은, 도 5 ~ 도 7에 보이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따른 가공과 동일한 양상으로 행하여져, 버니싱 롤러(450)를 피가공물(200)에 대하여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이동부재(410)를 이동장치(412)에 의해, 연직방향에서 주축 회전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로드셀(442)의 검출에 근거하여 얻어진 버니싱 롤러(450)의 가압력에 근거하여, 버니싱 롤러(450)를 피가공물(200)의 안내부(204)에 미리 설정된 가압력이 얻어지도록 눌러붙인다. 버니싱 롤러(450)의 가공부(464)가 안내부(204)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이동부재(410)가 보다 더 주축 회전축선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공구지지체(422)가 이동부재(4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스토퍼(440)로부터 이격되고, 버니싱 롤러(450)가 접시 스프링(430)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부(204)로 눌러붙여진다. 그 상태로부터 이동부재(410)가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버니싱 롤러(450)가 안내부(204)로부터 외주면(202)을 타고 올라, 소망하는 가압력으로 외주면(202)에 눌러붙여져 가공을 실시한다.
로드셀(442)에 의한 하중의 검출에 근거하여 얻어진 버니싱 롤러(450)의 외주면(202)에 대한 가압력에 근거하여, 이동부재(410)의 Z축 방향에서 위치 제어가 행하여지고,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400)와의 상대이동에 의해 접시 스프링(430)의 압축량이 변하게 되어, 버니싱 롤러(450)는 소망하는 가압력에 의해 외주면(202)에 눌러붙여지게 된다. 가압력은 항시 검출되어,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430)의 열화에 의해 가압력이 감소한 경우에도, 이동부재(410)의 위치제어에 의해, 소망하는 가압력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가공 중에도 가압력이 검출되어, 그 검출에 근거하여 접시스프링(430)의 압축량이 변해서,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게 된다.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를 도 12에 근거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는, 2개의 버니싱 롤러(500)를 구비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02)가 가공기계(504)에 지지되어, 피가공물(200)의 곧은(straight) 원통면 상의 외주면(202)에 버니싱 가공을 실시한다. 가공기계(504)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51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12)를 구비하고, 이동부재(510)에 마련된 공구지지부(514)에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02)가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동장치(512)는, 제어장치(51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장치(516)는 알림장치(517)로 제어한다.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02)는 지지부재인 공구본체(518)를 구비하고, 상기 실시예의 공구본체(54)와 동일한 양상으로, 쐐기부 및 쐐기부재의 쐐기작용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위치결정되어 공구지지부(514)에 고정된다. 공구본체(518)에는, 제 1 부재로서의 제 1 아암(520) 및 제 2 부재로서의 제 2 아암(522)이, 힌지핀(524)에 의해,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공통의 회동축선 주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제 1, 제 2 아암(520)(522)의 힌지핀(524)으로부터 연장된 각 일단부에 각각, 버니싱 롤러(500)가 축(526)에 의해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축선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2개의 버니싱 롤러(500)의 각 가공부(528)는, 그 일부가 아암(520)(522)으로부터 대향하는 버니싱 롤러(500)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제 2 아암(520)(522)의 힌지핀(524)으로부터 타방으로 연장된 각 타단부의 사이에 탄성부재로서의 압축코일 스프링(530)이 배치되어, 제 1, 제 2 아암(520)(522)을, 각각에 지지된 버니싱 롤러(500)가 서로 역방향으로(접근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밀고 있다. 이 스프링(530)이 미는 것에 의해 제 1, 제 2 아암(520)(522)의 회동한도는, 공구본체(518)에 마련된 스토퍼(532)(534)에 제 1, 제 2 아암(520))(522)의 각 타단부에 마련된 접촉부(536)(538)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다. 스토퍼(532)(534)가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아암(522)의 타단부에는 로드셀(540)이 마련되어, 스프링 받음부(542)를 개재하여 스프링(530)의 미는 힘이 작용되고 있다. 더욱이, 제 1 아암(520)의 타단부에는 어드져스트 스크류(544)가 나사 결합되어, 스프링(530)의 타단을 받는 스프링 받음부(546)에 접촉되고, 조정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어드져스트 스크류(544)의 제 1 아암(520)에 대한 회전은, 제 1 아암(520)에, 어드져스트 스크류(544)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나사 결합된 세트 스크류(548)가 어드져스트 스크류(544)에 계합되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비가공 시에는, 제 1, 제 2 아암(520)(522)은, 스프링(530)이 미는 것에 의한 회동한도가 스토퍼(532)(534)에 의해 규정되어, 2개의 버니싱 롤러(500) 사이의 거리는, 도 12에 버니싱 롤러(500)를 이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피가공물(200)의 안내부(204)의 중간부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02)는, 2개의 버니싱 롤러(500)가 각각, 회전축선이 주축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연직면 내에 위치하는 것과 함께, 2개의 버니싱 롤러(500)의 각 회전축선의 중간위치가 주축 회전축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가공부(528)가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외주면(202)으로부터 심압축(34) 측으로 벗어난 곳으로 위치결정되어, 2개의 버니싱 롤러(500)는 각각,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외주면(202)으로부터 소정량 내측이 되는 곳으로 위치결정된다.
피가공물(200)은, 도 5 내지 도 7에 보이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양상으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척(28)에 의해 지지되어, 주축(26)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피가공물(200)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부재(510)가 이동장치(512)에 의해 이동되는 것에 의해, 롤러 버니싱 가공장치(502)는, 주축 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피가공물(200) 측으로 이동되어, 2개의 버니싱 롤러(500)는 각각, 각 가공부(528)와 안내부(204)의 중간부에 접촉되고, 안내부(204)의 경사에 따라 안내되어, 아암(520)(522)은 스프링(530)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회전되는 것과 함께 외주면(202)을 타고오른다. 이 타고오르는 것에 의해 스프링(530)이 압축되고, 그것에 의해 접촉부(536)(538)가 스토퍼(532)(534)로부터 이격되고, 2개의 버니싱 롤러(500)는 스프링(530)의 탄성력에 의해, 거의 스프링(530)의 초기하중과 대응한 크기의 가압력으로 외주면(202)에 눌려붙여지고, 피가공물(20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것과 함께, 주축 회전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고, 외주면(202)의 2개소를 동시에 가공한다. 스프링(530)의 초기하중은, 외주면(202)의 가공 시에 소정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크기로 미리 조정되어 있다. 버니싱 롤러(500)가 제거부(206)에 다다르면, 가공이 종료하고,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502)는, Y축 방향에서 피가공물(200)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2개의 버니싱 롤러(500)가 피가공물(200)로부터 이탈된다.
버니싱 롤러(500)의 피가공물(200)에 대한 가압력은 로드셀(540)을 포함하는 가압력 검출장치에 의해 항시 검출되어, 예를 들어, 가압력이 설정범위로부터 벗어나 낮은 경우에는, 알림장치(517)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지고, 작업자는 세트 스 크류(548)를 느슨하게 풀고, 어드져스트 스크류(544)의 제 1 아암(520)에 대한 나사 결합량을 늘려서 스프링(530)의 초기하중을 증대시킨다.
또, 버니싱 롤러는, 외주면이 곧은 원통상을 이루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 255972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이 곧은(straight) 원통상을 이루는 것과 함께, 길이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고, 버니싱 롤러와 피가공물을 사교(斜交)한 상태로 배치하는 것과 함께, 그들의 축심과 평행한 일 평면에 직교하는 가공방향에서 서로 접근시켜 가압하고, 그 일 평면 내에서 양자의 축심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켜 버니싱 가공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의 조정은, 가압력의 검출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전동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어드져스트 스크류를 회동구동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소망하는 가압력이 얻어지도록 어드져스트 스크류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량을 변경한다.
더욱이, 도 5 ~ 도 7, 도 10 및 도 11에 보인 각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조정장치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 1은 청구가능한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일부 단면).
도 2는 상기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의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도 1에서 화살표 B의 방향에서 본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일부 단면도).
도 3은 상기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의 공구본체가 터릿에 취부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으로, 도 1에 있어 A-A단면도.
도 4는 상기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에 의해 가공이 실시된 무단 변속기용 축부 풀리의 시브면의 일부를 버니싱 롤러와 함께 보인 정면도.
도 5는 청구가능한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일부 단면).
도 6은 도 5에 보인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가 터릿에 취부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도 5에 보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의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피가공물과 함께 보인 측면도.
도 8은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의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단면도.
도 9는 도 8에 보인 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10은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일부 단면).
도 11은 도 10에 보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청구가능한 발명의 더 별도의 실시예인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일부 단면).
<부호의 설명>
10:무단 변속기용 축부 풀리 12:시브면
20:주축대 22:심압대
24:도물대 26:주축
28:척 30:주축 회전장치
40:터릿 42:터릿이동장치
50:공구지지부 52: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
54:공구본체 76:끼움공
78:롤러지지부재 80:롤러지지부
82:끼움축부 86:버니싱 롤러
100:압축코일 스프링 102:스토퍼
110:어드져스트 스크류 120:로드셀
130:제어장치 200:피가공물
202:외주면 210: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
212:공구본체 218:끼움공
220:롤러지지부재 222:끼움축부
230:버니싱 롤러 236:압축코일 스프링
242:스토퍼 250:로드셀
300: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 302:공구본체
304:버니싱 롤러 306:회동아암
334:압축코일 스프링 338:스토퍼부
350:로드셀 354:어드져스트 스크류
400:롤러 버니싱 가공공구 402:가공기계
410:이동부재 412:이동장치
414: 제어장치 422:공구지지체
430:접시 스프링 440:스토퍼
442:로드셀 450:버니싱 롤러
452:공구본체 500:버니싱 롤러
502:롤러 버니싱 가공공구장치 504:가공기계 510:이동부재
512:이동장치 514:공구지지부 516:제어장치
518:공구본체 520:제 1 아암
522:제 2 아암 530:압축코일 스프링
532,534:스토퍼 540:로드셀
544:어드져스트 스크류

Claims (11)

  1. 피가공물과 상대이동되는 제 1 부재와,
    그 제 1 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 2 부재와,
    그 제 2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버니싱 롤러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상기 상대이동방향의 일방을 향하여 미는 미는장치와,
    그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근거하여 상기 버니싱 롤러의 상기 피가공물에 대한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상대이동방향을 규정하는 상대이동방향 규정기구를 포함하고, 더욱이, 상기 가압력 검출장치가, 상기 미는장치와 직렬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와의 사이에 배설된 검출부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일방이 끼움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타방이 상기 끼움공에 섭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축부를 구비하고, 그들 끼움공과 끼움축부의 끼움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 재의 상기 상대이동방향이 상기 끼움축부의 축방향으로 규정된 롤러 버니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에 의해 회동축선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롤러 버니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부재가 가공기계의 공구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 공구본체이고, 상기 제 2 부재가 그 공구본체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부재인 롤러 버니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가 가공기계의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상기 제 2 부재가 그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공구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는 공구본체인 롤러 버니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니싱 롤러와 상기 제 2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구지지부와,
    상기 피가공물을 지지하는 피가공물 지지부와,
    그들 공구지지부와 피가공물 지지부를, 수치제어에 의해 상대이동시키는 상대이동장치와,
    상기 공구지지부와 상기 피가공물 지지부를 상대회전시키는 상대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도 버니싱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그들 두 부재에 각각 지지된 두 개의 상기 버니싱 롤러가 서로 접근하고, 이격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는장치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그들 두 부재에 각각 지지된 두 개의 상기 버니싱 롤러를 서로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롤러 버니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평행한 회동축선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10.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미는장치의 미는 힘에 의한 상기 상대이동의 한도를 규정하는 이동한도 규정장치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11.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는장치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당해 롤러 버니싱 장치가, 그 탄성부재의 초기하중을 조정하는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장치.
KR1020080106694A 2008-10-29 2008-10-29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KR20100047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694A KR20100047693A (ko) 2008-10-29 2008-10-29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694A KR20100047693A (ko) 2008-10-29 2008-10-29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693A true KR20100047693A (ko) 2010-05-10

Family

ID=4227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694A KR20100047693A (ko) 2008-10-29 2008-10-29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7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637A (ko) * 2017-01-25 2018-08-02 홍기수 자동연마기
KR102572303B1 (ko) * 2023-06-08 2023-08-28 김형록 중장비 궤도용 칼라의 원형 접동면 다듬질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637A (ko) * 2017-01-25 2018-08-02 홍기수 자동연마기
KR102572303B1 (ko) * 2023-06-08 2023-08-28 김형록 중장비 궤도용 칼라의 원형 접동면 다듬질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3422B2 (ja) 押圧力検出装置付ローラバニシング装置
US6568096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hape deviations of a cylindrical workpiece and correcting steadying element and correcting follower for use therewith
JP5935407B2 (ja) 眼鏡レンズ加工装置
US8651918B1 (en) Pallet/flip unit/gantry system
JP2007296613A (ja) 工作機械
JP2016137566A (ja) 歯車またはプロファイル研削盤およびその研削盤の動作方法
CN103481141A (zh) 数控外圆磨床
WO2015125231A1 (ja) 加工装置及びバリ取り装置
CN101918175A (zh) 用于同时研磨曲轴的多个轴承以及端面的研磨中心和方法
CN102107373A (zh) 加工机械的多功能机内测定装置
JP3180327B2 (ja) ガイドローラ付きカッター、ガイドローラ付き研削工具、切削装置、研削装置及び加工機械
TWM444904U (zh) 硬質脆性板的周緣加工裝置
JP5062417B2 (ja) 旋盤装置
WO2012172833A1 (ja) 工作機械
KR102542333B1 (ko) 중심 공작물 영역을 지지 및 측정하기 위한 측정 스테디 레스트, 이 측정 스테디 레스트를 갖는 연삭기, 및 중심 공작물 영역을 지지 및 측정하기 위한 방법
JP2005262326A (ja) 心押し台
KR20100047693A (ko) 가압력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롤러 버니싱 장치
JP5202179B2 (ja) ねじ研削方法及びねじ研削盤
JP2006320970A (ja) 加工装置
JP5029046B2 (ja) 加工装置
US20090050782A1 (en) Guiding device with measuring scale for guiding a moveable machine element of a machine
KR101873173B1 (ko) 복합 밀링 장치
CN107695877B (zh) 尾座
CN101733702B (zh) 附带挤压力检测装置的滚光装置
JP2006297512A (ja) レンズの球面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