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366A -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366A
KR20060054366A KR1020067001945A KR20067001945A KR20060054366A KR 20060054366 A KR20060054366 A KR 20060054366A KR 1020067001945 A KR1020067001945 A KR 1020067001945A KR 20067001945 A KR20067001945 A KR 20067001945A KR 20060054366 A KR20060054366 A KR 20060054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inker
knitted fabric
kn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209B1 (ko
Inventor
미노루 소노무라
마사키 미야모토
도시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3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59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3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59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3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59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54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편성포 편성영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작용을 정지하는 상태에서 정지 가능한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캐리지에 설치되는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은, 싱커잭12의 버트12c에 작용하여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가 니들베드 갭2로부터 대피하도록 싱커잭12를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시킨다. 싱커잭12는, 결합기구16에 의하여 후퇴위치에서 결합된다. 결합기구16에서는 싱커잭1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니들 플레이트5를 관통하는 와이어17을 사용하므로 소형화 할 수 있다. 와이어17에 대하여 싱커잭12를 결합하므로 싱커잭12는 돌기12f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본 발명은, 편성 중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편성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 싱커(可動 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횡편기의 니들베드에 배열되는 편침 간에,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 부근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회전 변위하고, 선단이 니들베드 갭 내로 진출하거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하거나 하도록 캐리지에 설치되는 캠 기구로 변위되는 가동 싱커를 포함하는 싱커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에 캐리지에는 2개로 나누어진 가압 캠이 설치된다. 가동 싱커의 선단은, 일방의 가압 캠의 작용에 의한 회전변위에 의하여 캐리지의 이동에 연동하여 니들베드 갭 측에 대하여 진퇴(進退)한다. 이에 따라 편성포를 누르거나,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하여 좁은 니들베드 갭에서 다른 부분과의 기계적인 간섭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할 수 있다. 가동 싱커에는 스프링 가압도 이루어진다. 편사로부터의 반력(反力)이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클 때에는 가동 싱커의 선단이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할 여지가 있어 편사에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캐리지가 떨어지면 가동 싱커는 스프링 가압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 내로 진출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 캐리지에서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편침을 진퇴시켜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편침으로서 콤파운드 니들(compoud needle)을 이용하면, 래치 바늘(latch needle)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진퇴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캐리지에 설치하는 편성용의 캠을 소형화 할 수 있다. 콤파운드 니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5894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사를 확실하게 편침의 선단의 훅에 공급하기 위하여 편침에 연동하여 선단을 니들베드 갭 내로 진출시켜 편사를 훅으로 안내하는 편사 가이드 부재가 가동 싱커와 함께 사용된다. 가동 싱커는,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의 싱커 장치와 마찬가지로,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 부근에 지지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 변위하고, 선단을 니들베드 갭 측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5894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가동 싱커에서는,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 부근에서 피벗 지지되어서 회전변위가 이루어지고, 피벗 지지 부분의 부근을 캐리지에 설치되는 캠 기구로 니들베드의 저면(底面) 측으로 가압함 으로써, 가동 싱커의 선단이 니들베드 갭 측에 대하여 진퇴하는 회전변위가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5964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 변위하는 싱커의 피벗 지지 부분의 부근을,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진퇴 변위하는 싱커잭의 선단과 결합시켜, 2단 베드 횡편기의 상부 니들베드와 하부 니들베드에 싱커를 절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향하는 구조의 횡편기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를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하는 랙킹 조작으로, 랙킹을 수반하는 패턴이나 성형 편성포 등의 편성을 가능하게 하고 편성의 다양화가 도모되고 있다. 다만 굵은 편사를 사용하여 편성포를 편성되는 경우에는, 랙킹 조작을 하면 싱커의 선단이 대향하는 니들베드 상의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편성포를 긁어서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싱커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변위하는 가동 싱커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가 통과한 후라도 가동 싱커를 그 선단이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여 정지시키는 정지지지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정지지지수단은, 편침과 평행하게 니들베드 갭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진퇴하는 싱커 정지 지지 플레이트이다. 싱커 정지 지지 플레이트를 가동 싱커에 부분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가동 싱커의 선단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고 있는 상태로 지지된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31806호 공보의 싱커 장치는, 가동 캠을 회전 변위시키거나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 가동 캠을 누르거나 하기 위한 캠 기구를 캐리지 측에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캐리지는 니들베드의 표면을 니들베드 갭에 가까운 범위까지 덮을 필요가 있고, 편성포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다.
또 니들베드 갭 측에서의 가동 싱커의 선단의 변위량을 크게 하기 위하여는, 가동 싱커의 피벗 지지부에서 선단까지의 거리에 대하여 피벗 지지부에서 구동부까지의 거리를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7-258946호 공보와 같이, 캐리지로부터 니들베드의 저면 측으로의 가압에 의하여 가동 싱커를 회전 변위시키는 구성에서는, 가압 캠 등의 기구를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캐리지는 니들베드를 니들베드 갭 부근까지 덮도록 형성되어 대형화된다.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타입의 횡편기에서는,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하강하도록,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가 산 모양으로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편성포 편성영역이 되는 니들베드 갭 부근에서는 전후의 니들베드가 접근하여 니들베드의 스페이스가 좁아져 있다. 또한 이 스페이스에는 편사를 공급하는 얀 피더 등을 복수개 배치할 필요가 있다. 횡편기를 소형화하고, 다양한 편성포의 편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는 니들베드 갭 부근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에서와 같은 가동 싱커는, 스프링 가압에 의하여 편성포를 누르고, 편사의 저항력이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하고, 편사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화시켜 과대한 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니들베드의 니들베드 갭 측 부근에 가동 싱커의 피벗 지지부 부근을 가압하여 회전변위를 하게 하는 기구를 캐리지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캐리지는 니들베드 갭 측 부근까지 니들베드를 덮을 필요가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59642호 공보의 싱커는, 2단 베드 중의 상부 니들베드와 하부 니들베드의 사이에서 회전 변위하는 싱커를 공용(共用)하고, 어느 쪽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편성포 편성에 싱커를 작용시킬지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싱커잭을 통하여 원격(遠隔)으로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니들베드 갭부근에는 싱커를 작동시키는 가압기구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다만 싱커의 회전변위는, 작동시키는 대상을 상부 니들베드인가 하부 니들베드인가를 절환하기 위하여 하고 있고, 어느 니들베드에서 편성하는 편성포에 대하여도 항상 싱커가 작용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싱커잭에 캐리지의 캠으로부터 작용하는 힘이 회전 변위하는 싱커를 통하여 편사에 전달되어, 편사의 반력을 받아도 싱커가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할 여지가 없기 때문에 편사에 과대한 장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편성포 편성영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작용을 정지하는 상태에서 정지 가능한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이고 또한 편성포 편성영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성포 편성영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성포 편성영역에서의 편사로부터의 저항력이 커지게 되면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하여 편사에 발생하는 장력을 완화할 수 있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needel plate)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端部)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을 형성하고, 각 니들 홈에 편침(編針)을 수용하여 니들 홈의 폭이 확대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進退)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進退變位)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受動部)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支點)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作用部)를 구비하고,
각 니들 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각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를 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貫通部材)와,
캐리지에 설치되고, 싱커잭의 버트에 작용하여 가동 싱커의 작용부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대피하도록 싱커잭을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구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동기구와,
각 니들 홈 내에서 싱커잭의 진퇴변위 범위 내에서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구동기구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동되는 싱커잭을 후퇴위치에서 결합하는 결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재에 대하여 상기 싱커잭의 기부 측에 형성되는 돌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기구는, 솔레노이드를 구동원으로 하고 솔레노이드의 여자의 유무에 따라 작동 또는 비작동으로 절환할 수 있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의 작동으로 상기 버트를 상기 결합기구에 의하여 결합하는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을 형성하여 각 니들 홈에 편침을 수용하고, 니들 홈의 폭이 확대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를 구비하고,
편침은, 각 니들 홈 내에서 폭방향으로 가동 싱커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각각 독립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한 콤파운드 니들(compound needle)이며,
각 니들 홈 내에는,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편침에 대하여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편침이 기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고, 측부에서 싱커잭이 니들 홈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제한하고 또한 측부에는 상기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기부, 기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 형성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출하여 편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편사 가압부를 구비하는 얀 가이드를 포함하고,
각 니들 홈 내의 스페이서 및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로 고정되고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상기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의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변위하는 얀 가이드의 기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홈에는 상기 얀 가이드의 돌기의 변위범위를 제한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니들베드의 표면 측으로 개구하고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 측으로 통하는 상기 편침 통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을 형성하여 각 니들 홈에 편침을 수용하고, 니들 홈의 폭이 확대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를 구비하고,
각 니들 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각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를 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와,
가동 싱커를, 그 작용부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싱커잭의 단부의 결합은, 상기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수동부와 상기 단부가 한쪽에서 접촉하고, 타방에는 간극이 있도록 갭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 싱커의 작용부에는 편성된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폴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상기 싱커잭의 단부가 결합하는 부분의 갭은, 상기 수동부와 상기 단부가 상기 갭의 한쪽에서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갭의 타방에서 접촉하는 상태의 범위에서, 상기 가동 싱커의 폴의 위치를, 편침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퇴변위 할 때에 상기 편침의 훅이 통과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후크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구의 위치와는 다른 측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는, 상기 싱커잭의 단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싱커잭의 단부는,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잭의 단부는,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는,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횡편기의 니들베드 갭2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횡편기의 니들베드 갭2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횡편기의 니들베드 갭2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횡편기의 니들베드 갭2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6은, 도1의 횡편기에서 캐리지21을 포함하는 니들베드 갭2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7은, 도1의 횡편기에서 니들베드3에 관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8은, 도1의 횡편기에서 캐리지21에 탑재되는 캠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도1의 니들베드 갭2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도1의 니들베드3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1은, 도1의 니들베드3을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가동 싱커8, 싱커잭9 및 선 스프링18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3은, 도1의 편침7, 스페이서13 및 얀 가이드14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4는, 도15의 얀 가이드14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도15의 스페이서13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5의 편침7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7은, 도1의 니들베드 갭2에서 얀 피더11로부터 편사40을 공급하여 편성포4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8은, 도1의 니들베드 갭2에서 얀 피더11로부터 편사40을 공급하여 편성포4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형태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낸다. 횡편기1은, 니들베드 갭2에서 전후의 니들베드가 대향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일방의 니들베드3을 나타내고, 타방의 니들베드는 생략한다.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니들베드3은, 니들베드 갭측이 높고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게 되도록 경사져 있다. 즉 전후의 니들베드는, 니들베드 갭을 중심으로 하여 역V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일방의 니들베드3을 수평의 자세로 나타낸다. 일방의 니들베드3에 관한 구성은, 타방의 니들베드에 관하여도 기본적으로 같다.
편성포 편성영역인 니들베드 갭2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4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5가 각각 니들베드 갭2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니들 플레이트5는 니들베드 갭2 측의 단부(端部)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 사이에는 니들베드 갭2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6이 형성된다. 각 니들 홈6에 편침7이 수용된다. 니들 홈6의 폭이 확 대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8이 각각 수용된다. 이렇게 하여 니들베드3이 형성되어 있다. 횡편기1에서는, 니들베드3 상을 니들베드 갭2를 따라 즉 도면에 수직으로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편침7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가동 싱커8과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한다. 다만 캐리지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편침7을 작동시키는 편침 작동용 캠 기구9와, 가동 싱커8을 작동시키는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을 나타낸다.
니들베드 갭2에서는, 얀 피더11로부터 편침7에 편사를 공급하여 스티치 루프를 형성시킬 수 있다. 편침7은, 각 니들 홈6 내에서 폭방향으로 가동 싱커8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 편침7은, 바늘 본체7a와 슬라이더7b가 각각 독립하여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한 콤파운드 니들이다. 니들 플레이트5는, 니들베드 갭2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8을 회전변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5a를 구비한다. 가동 싱커8은, 오목부5a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8a와, 니들베드 갭2에 대한 진퇴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8b와, 수동부8b에 대한 진퇴변위가 피벗 지지부8a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8c를 구비한다.
각 니들 홈6내에는 니들베드 갭2에 대하여 직선적으로 진퇴변위 가능한 싱커잭12가 수납된다. 싱커잭12는, 단부12a에서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와 결합한다. 또 싱커잭12는, 단부12a에 대하여 니들베드 갭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12b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12c를 구비한다. 또한 싱커잭12는, 단부12a와 기부12b의 중간에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2d를 구비한다.
각 니들 홈6 내에는, 편침7에 대하여 니들베드3의 기대4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스페이서13이 배치된다. 스페이서13은, 바닥에서 편침7이 기대4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고, 측부에서 싱커잭12가 니들 홈6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제한한다. 얀 가이드14는, 기부14a와 편사 가압부14b를 구비한다. 기부14a는,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스페이서13의 측부에 형성되는 홈에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삽입된다. 편사 가압부14b는, 기부14a에 대하여 니들베드 갭2 측으로 형성되어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여 편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밴드15는, 각 니들 홈6 내의 스페이서13 및 니들 플레이트5에 대하여 니들베드 갭을 따르는 방향, 즉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로 고정된다. 밴드15는, 싱커잭12의 홈부12d에도 삽입되어서 재싱커잭12가 니들 홈6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캐리지에 설치되는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은, 싱커잭12의 버트12c에 작용하여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가 니들베드 갭2로부터 대피하도록, 싱커잭12를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시키는 구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구동기구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구동기구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동 되는 싱커잭12는, 결합기구16에 의하여 후퇴위치에서 결합된다. 결합기구16에서는 니들 플레이트5를 니들베드 갭2를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재인 와이어17에 대하여, 싱커잭12를 결합시킨다. 싱커잭1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니들 플레이트5를 관통하는 와이어17을 이용하기 때문에 결합기구16을 소형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이어17에 대하여 싱커잭1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싱커잭12는, 중간부에서 니들베드 갭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e를 구비한다. 연장부12e의 선단에는 돌기12f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기12f가 와이어17에 의하여 결합 가능하다. 또 동일한 와이어19는, 니들 플레이트5와 기대4의 고정을 위하여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대4의 하면에 있어서 니들베드 갭2 측의 위치에는,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의 선단이 접촉하고 선 스프링(線 spring)18에 의한 가압으로 가동 싱커8이 회전 변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0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 싱커8은, 니들 플레이트5의 오목부5a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8a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를, 싱커잭12의 버트12c를 캐리지의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에 의한 진퇴변위 방향의 구동에 의하여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구동에 의하여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한 상태와,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한 상태의 사이에서 가동 싱커8을 작동시킬 수 있다. 싱커잭12의 단부12a로부터 가동 싱커8을 작동시키는 구동력을 받는 수동부8b를, 니들베드 갭2 부근의 피벗 지지부8a에 가깝게 하여도, 싱커잭12의 진퇴변위를 회전변위로 변환하기만 하면 좋다. 따라서 수동부8b를 직접 가압하는 기구를 캐리지 측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캐리지가 니들베드3의 니들베드 갭2 부근까지 덮지 않도록 하여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니들베드 갭2에 가까운 니들베드3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결합기구16은, 구동기구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동되는 싱커잭12를 후퇴위치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캐리지가 통과한 뒤에도 싱커잭12를 후퇴위치에서 지지하여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가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를 대향시키는 니들베드 갭2를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하면, 랙킹 조작으로 다양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를 니들베드 갭2로부터 대피시켜서 편성포를 긁어 손상을 줄 염려를 해소시킬 수 있다.
가동 싱커8은, 작용부8c가 니들베드 갭2로 진출하도록 선 스프링18에 의하여 가압된다.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와 싱커잭12의 단부12a의 결합은, 선 스프링18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수동부8b와 단부12a가 한쪽에서 접촉하고, 타방에는 간극이 있도록 갭을 갖고 이루어진다. 이러한 갭을 형성함으로써,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가 받는 편사로부터의 저항력이 선 스프링18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8은, 작용부8c가 니들베드 갭2로부터 후퇴하도록 회전 변위할 여지가 있어 편사에 발생하는 장력이 너무 크게 되지 않도록 완화시킬 수 있다.
편침7은, 바늘 본체7a와 슬라이더7b로 이루어지는 콤파운드 니들을 사 용하기 때문에 편성포의 편성에 필요한 진퇴변위의 스트로크를 래치 바늘과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고, 캐리지에 설치하는 편침 작동용 캠 기구9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각 니들 홈6에는 가동 싱커8과 얀 가이드14가 설치되므로, 콤파운드 니들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2는, 싱커잭12를 니들베드 갭2 측으로부터 가장 후퇴시켜서 결합기구16에서 돌기12f를 와이어17에 결합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선단에 돌기12f가 형성되는 연장부12e는 기부12b에 대하여 외팔보로서 기능하여 와이어17이 돌기12f를 넘을 때에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 탄성변형을 생기게 하는 힘이 외부로부터 작용하지 않는 한, 결합기구16은 가동 싱커8의 정지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니들베드 갭2의 중심선을 2a로 나타낸다.
도3 및 도4는, 가동 싱커8이 후퇴위치 및 진출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5는, 가동 싱커8이 진출위치에 있을 때에 편사로부터의 저항력에 의하여 싱커잭12의 단부12a에 형성되는 갭만큼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후퇴변위는 도3과 같은 후퇴위치에서도 가능하다. 가동 싱커8은, 편침7의 편성동작에 따라 도3의 후퇴위치와 도4의 진출위치의 사이에서 이동되어 편성포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 때에 편사로부터 선 스프링18의 가압력(탄성력)보다 큰 저항력을 받으면 후퇴하여 편사의 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3 및 도4로부터 밴드15가 싱커잭12의 홈부12d에 결합하여 싱커잭12가 니들 플레이트5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슬라이 딩 변위를 제한하는 안내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진출위치에서는 홈부12d의 단부가 밴드15의 측단에 접촉하여 밴드15는 스토퍼로서도 기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6은, 상기의 편침 작동용 캠 기구9 및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을 탑재하는 캐리지21의 부분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캐리지21에는 후술하는 구동기구의 구동원으로서 솔레노이드22도 설치된다. 밴드15는, 싱커잭12의 상부가 아니라 중간부에서 슬라이딩 변위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과 정지위치에서의 싱커잭12의 단부12a와의 간격을 좁게 하여 사이의 불필요한 간격을 없앰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7은, 도6의 캐리지21에 탑재되는 기구와 니들베드3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6의 캐리지21에는, 편성포의 편성 데이터에 따라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7을 선택하는 선침기구(選針機構)23도 설치된다. 선침기구23에 의한 편침7의 선택이나 편침 작동용 캠 기구9에 의한 편침7의 편성동작은, 이미 알려져 있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8은, 캐리지21에 탑재되는 캠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편침 작동용 캠 기구9는 편침7의 버트7c에 작용한다. 캐리지21이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급사위치30은, 편침 작동용 캠 기구9에 의하여 버트7c가 브리지 캠31을 지나서 스티치 캠(stitch cam)32에 걸리는 위치가 된다. 싱커잭12의 버트12c에는 싱커 작동용 캠 기구10의 싱커 캠33이 작용한다. 싱커 캠33에는 이동 캠34와 한 쌍의 회전 캠35, 36이 포함된다. 이동 캠34는 버트12c에 밀려서 급사위치30 측으로 밀린다. 회전 캠35, 36은, 캐리지21의 주행방향의 전방 측이 작동하고, 후방 측이 비작동이 되도록 연동한다. 정지 캠37은, 솔레노이드22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서 싱커잭12의 버트12c를 정지위치까지 후퇴시킬 수 있다. 정지 캠37이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일 때에는 버트12c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아, 버트12c는 싱커 캠33의 고정부분에 의하여 진출위치로 설정된다.
정지 캠37은 캐리지21의 한 쪽에만 설치하고 있지만, 양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 쪽만으로도 랙킹 조작의 전에는 반드시 정지 캠37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더미(dummy)의 코스를 설정하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캐리지21에는 슬라이더7b의 버트7bc에 작용하는 슬라이더 캠38도 설치된다. 또 얀 가이드14용의 버트14c에 작용하는 캠도 설치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정지 캠37은, 도6에 나타내는 솔레노이드22를 구동원으로 하여 솔레노이드22의 여자(勵磁)의 유무에 따라 작동 또는 비작동으로 절환할 수 있는 구동기구로서 기능한다. 캐리지21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22를 전기적으로 여자하여 정지 캠37을 작동시키면, 싱커잭12의 버트12c를 구동시켜 싱커잭12를 결합기구16으로 결합하는 위치까지 후퇴시켜서 캐리지21이 통과한 후에도 정지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도9는, 니들베드 갭2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니들 홈6은 니들 플레이트5 사이에 형성된다. 편침7의 바늘 본체7a와 슬라이더7b는, 스페이서13의 바닥에서 기대4로부터 부상(浮上)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스페이서13의 측부와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에 가동 싱커8과 싱커잭12 등이 수용된다.
도10은 니들베드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11은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와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가동 싱커8, 싱커잭9 및 선 스프링18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3은, 편침7, 스페이서13 및 얀 가이드14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14는 얀 가이드14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5는 스페이서13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6은 편침7의 형상을 나타낸다. 스페이서13은, 밴드15 및 와이어17에 의하여 니들 플레이트5에 대하여 고정된다. 스페이서13에는 밴드15가 관통하는 장공13a가 형성된다. 또 스페이서13에는, 니들베드3의 표면 측으로 개구하고 편침7의 선단으로 통하는 통풍로(通風路)로서의 경사 홈13b도 형성된다. 경사 홈13b를 통풍로로 하여 니들베드3의 표면 측에서 공기를 불어넣으면, 편침7의 선단 부근의 실밥 등을 날려 니들베드 갭2를 청소할 수 있다.
스페이서13에는 경사 홈13b가 형성되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13c도 형성된다. 홈13c는, 얀 가이드14의 기부14a에 맞는 형상을 구비한다. 얀 가이드14의 기부14a는 스페이서13의 홈13c에 삽입된 상태에서, 편침7에 대하여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편침7이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변위하므로 각 니들 홈6 내에 얀 가이드14를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의 홈13c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변위하는 얀 가이드14의 기부14a에는 돌기14d가 형성된다. 스페이서13의 홈13c에는, 얀 가이드14의 돌기14d의 변위범위를 제한하는 오목부가 되는 윈도우13d가 형성된다. 얀 가이드14의 기부14a가 삽입되고 슬라이딩 변위하는 스페이서13의 홈13c에 형성되는 윈도우13d에 의하여, 얀 가이드14의 기부14a에 형성되는 돌기14d가 변위하는 범위를 제한하여 얀 가이드14의 동작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17 및 도18은, 니들베드 갭2에서 얀 피더11로부터 편사40을 공급하여 편성포41을 편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7은, 선 스프링18의 가압력(탄성력)이 편사40의 저항력보다 크고,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로 스티치 루프41을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8은, 바늘 본체7a나 슬라이더7b가 니들베드 갭2 측으로 진출하여 편사40의 장력이 커져서 가동 싱커18의 작용부8c가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는, 싱커잭12의 단부12a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싱커잭12의 단부12a는,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와 돌기에 의하여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와 싱커잭12의 단부12a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에서 싱커잭12의 단부12a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는, 싱커잭12의 단부12a 측이 구비하고 그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에 결합하여 선 스프링18로 스프링 가압되어서 돌기와 오목부의 일방측이 접촉하여 편성포를 가압할 수 있다. 편성포로부터의 저항력이 선 스프링18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8은 돌기가 오목부의 타방측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변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사40에 발생하는 장력을 완화시켜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8과 같은 상태는, 소위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할 때에 구현된다. 스티치의 크기를 결정하는 상태에서는 스티치 루프41이 편침7의 슬라이더7b에 의하여 닫혀져 있는 바늘 본체7a의 훅을 넘어서 녹오버(knock over) 할 때에,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가 구 루프로부터의 저항력에 의하여 후퇴한다. 이 경우에도 싱커잭12의 단부12a의 갭과 가동 싱커8의 수동부8b와의 접촉에 의하여 가동 싱커8의 최대 후퇴위치를 제한하여 가동 싱커8의 작용부8c의 폴8d가 바늘 하면보다 위로 오르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얀 피더11로부터 바늘 본체7a의 후크에 공급되는 편사를 가동 싱커8의 폴8d보다 위의 장소에서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 형성되는 스티치의 루프 사이즈는, 가동 싱커8의 접촉 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편침7의 후퇴량으로 결정되게 된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형태인 가동 싱커50과 싱커잭51의 결합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에 대하여는, 도1~도18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싱커잭51의 단부51a는 가동 싱커50의 수동부50b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한다. 가동 싱 커50의 수동부50b는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와 돌기로 가동 싱커50의 수동부50b와 싱커잭51의 단부51a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싱커잭51의 단부51a에서 가동 싱커50의 수동부50b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는, 가동 싱커50의 수동부50b 측에 형성되고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에 결합한다. 이러한 갭이 있으므로 도1~도18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선 스프링18에 의하여 스프링 가압되어서, 돌기와 오목부의 일방측이 접촉하여 편성포를 가압할 수 있다. 편성포로부터의 저항력이 선 스프링18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50은 돌기가 오목부의 타방측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변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사에 발생하는 장력을 완화시켜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조금도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의 버트를 캐리지의 캠 기구에 의하여 진퇴변위의 방향으로 구동하면, 가동 싱커를 회전 변위시켜서 가동 싱커의 작 용부를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가동 싱커의 수동부를, 편성포 편성영역 부근의 피벗 지지부에 가깝게 하여도 수동부를 직접 가압하는 기구를 캐리지 측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므로 캐리지가 니들베드의 편성포 편성영역 부근을 덮지 않도록 하여 소형화를 도모함으로써 편성포 편성영역에 가까운 니들베드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결합기구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동되는 싱커잭을 후퇴위치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캐리지가 통과한 뒤에도 싱커잭을 후퇴위치에서 지지함으로서 가동 싱커의 작용부가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를 대향시키는 니들베드 갭을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하면, 랙킹 조작으로 다양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가동 싱커의 작용부를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대피시켜서 편성포를 긁어서 손상을 줄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니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부재를 이용하므로 결합기구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에 탑재되는 솔레노이드를 전기적으로 여자하여 캠을 작동시키면, 싱커잭의 버트를 구동하여 싱커잭을 결합기구에 의하여 결합하는 위치까지 후퇴시켜, 캐리지가 통과한 후에도 정지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침은 콤파운드 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캐리지에 설치하는 편성용의 캠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가동 싱커와 얀 가 이드로 콤파운드 니들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니들 홈에는 바닥에서 편침이 기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고, 측부에서 싱커잭이 니들 홈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제한하고 또한 측부에는 진퇴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얀 가이드의 기부가 스페이서의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변위하기 때문에 각 니들 홈 내에 얀 가이드를 간단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얀 가이드의 기부가 삽입되고 슬라이딩 변위하는 스페이서의 홈에 형성되하는 오목부에 의하여 얀 가이드의 기부에 형성되는 돌기가 변위하는 범위를 제한하여 얀 가이드의 동작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이서에 형성되는 통풍로를 통하여 니들베드의 표면 측에서 공기를 불어 넣으면, 편침의 선단 부근을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싱커잭의 단부의 결합은,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의하여 수동부와 단부가 한쪽에서 접촉하고, 타방에는 간극이 있도록 갭을 갖고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동 싱커의 작용부가 받는 편사로부터의 저항력이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는 작용부가 편성포 편성영역에서 후퇴하도록 회전 변위할 여지가 있으므로 편사에 걸리는 장력이 과대하지 않도록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싱커잭의 단부가 결합 하는 부분의 갭은, 가동 싱커의 작용부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폴의 위치를, 편침이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퇴변위할 때에 편침의 훅이 통과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후크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구의 위치와는 다른 측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편침에 대하여 니들베드 갭의 상측으로부터 편사를 공급할 때에 가동 싱커의 폴이 바늘 저면보다 하측이 되도록 제한하기 때문에 가동 싱커의 최대 후퇴위치에서도 가동 싱커의 작용부의 폴로 편성포를 눌러 정상적인 스티치 루프의 형성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싱커의 수동부에서 싱커잭의 단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는, 싱커잭의 단부 측이 구비하고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에 결합하고, 스프링 가압되어서 돌기와 오목부의 일방측이 접촉하여 편성포를 가압할 수 있다. 편성포로부터의 저항력이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는 돌기가 오목부의 타방측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변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사에 발생하는 장력을 완화하여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의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는, 가동 싱커의 수동부 측에 형성되고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에 결합하고, 스프링 가압되어서 돌기와 오목부의 일방측이 접촉하여 편성포를 가압할 수 있다. 편성포로부터의 저항력이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가동 싱커는 돌기가 오목부의 타방측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회전변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사에 발생하는 장력을 완화하여 과대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0)

  1.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needel plate)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端部)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을 형성하고, 각 니들 홈에 편침(編針)을 수용하여 니들 홈의 폭이 확대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進退)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回轉變位)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進退變位)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受動部)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支點)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作用部)를 구비하고,
    각 니들 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 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각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를 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貫通部材)와,
    캐리지에 설치되고, 싱커잭의 버트에 작용하여 가동 싱커의 작용부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대피하도록 싱커잭을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구동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동기구와,
    각 니들 홈 내에서 싱커잭의 진퇴변위 범위 내에서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구동기구에 의하여 후퇴되도록 구동되는 싱커잭을 후퇴위치에서 결합하는 결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부재에 대하여 상기 싱커잭의 기부 측에 형성되 는 돌기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솔레노이드를 구동원(驅動源)으로 하고 솔레노이드의 여자(勵磁)의 유무에 따라 작동 또는 비작동으로 절환할 수 있는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의 작동으로 상기 버트를 상기 결합기구에 의하여 결합하는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4.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을 형성하여 각 니들 홈에 편침을 수용하고, 니들 홈의 폭이 확대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를 구비하고,
    편침은, 각 니들 홈 내에서 폭방향으로 가동 싱커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가 각각 독립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한 콤파운드 니들(compound needle)이며,
    각 니들 홈 내에는,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편침에 대하여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에서 편침이 기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고, 측부에서 싱커잭이 니들 홈의 폭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제한하고 또한 측부에는 상기 진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진퇴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기부, 기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 형성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출하여 편사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한 편사 가압부를 구비하는 얀 가이드를 포함하고,
    각 니들 홈 내의 스페이서 및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서로 고정되고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상기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변위하는 얀 가이드의 기부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홈에는 상기 얀 가이드의 돌기의 변위범위를 제한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니들베드의 표면 측으로 개구하고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 측으로 통하는 상기 편침 통풍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7. 편성포 편성영역에 면하여 배치되는 기대에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를 각각 편성포 편성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서 판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도록 형성되고, 니들 플레이트 사이에 편성포 편성영역 측에서 폭이 확대되는 니들 홈을 형성하여 각 니들 홈에 편침을 수용하고, 니들 홈의 폭이 확대하는 단부에는 가동 싱커를 각각 수용하여 니들베드를 형성하고, 니들베드 상을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라 캐리지를 왕복 주행시키면서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편침을 선택적으로 진퇴시켜서 가동 싱커와의 상호작용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니들 플레이트는, 편성포 편성영역 측의 단부에 가동 싱커를 회전변위 가능하게 피벗 지지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가동 싱커는,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피벗 지지되는 피벗 지지부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한 진퇴변위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동부와, 수동부에 대한 진퇴변위가 상기 피벗 지지부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변위로 변환 되어서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싱커로서 작용하는 작용부를 구비하고,
    각 니들 홈 내에 수용되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에 대하여 진퇴변위 가능하고 단부에서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결합하고, 단부에 대하여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 측에, 니들베드의 기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버트를 구비하고, 단부와 기부와의 중간에, 상기 진퇴변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를 구비하는 싱커잭과,
    각 니들 플레이트를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을 따르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싱커잭의 홈부에 삽입되어서 싱커잭이 니들 홈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슬라이딩 변위를 하도록 제한하는 관통부재와,
    가동 싱커를, 그 작용부가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출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싱커잭의 단부의 결합은, 상기 스프링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수동부와 상기 단부가 한쪽에서 접촉하고, 타방에는 간극이 있도록 갭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싱커의 작용부에는 편성된 스티치 루프를 가압하는 폴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와 상기 싱커잭의 단부가 결합하는 부분의 갭은, 상기 수동부와 상기 단부가 상기 갭의 한쪽에서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상기 갭의 타방에서 접촉하는 상태의 범위에서, 상기 가동 싱커의 폴의 위치를, 편침이 상기 편성포 편성영역으로 진퇴변위 할 때에 상기 편침의 훅이 통과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후크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구의 위치와는 다른 측으로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9. 제7항 또한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는, 상기 싱커잭의 단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싱커잭의 단부는,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잭의 단부는,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싱커의 수동부는, 상기 돌기의 폭보다 넓은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067001945A 2003-07-30 2004-07-28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024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3041 2003-07-30
JP2003283043A JP4175978B2 (ja) 2003-07-30 2003-07-30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JP-P-2003-00283043 2003-07-30
JPJP-P-2003-00283040 2003-07-30
JP2003283041A JP4175977B2 (ja) 2003-07-30 2003-07-30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2003283040A JP4175976B2 (ja) 2003-07-30 2003-07-30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366A true KR20060054366A (ko) 2006-05-22
KR101024209B1 KR101024209B1 (ko) 2011-03-23

Family

ID=3411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945A KR101024209B1 (ko) 2003-07-30 2004-07-28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2435B2 (ko)
EP (1) EP1655398B1 (ko)
KR (1) KR101024209B1 (ko)
DE (1) DE602004032351D1 (ko)
WO (1) WO20050126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053B1 (ko) * 2011-09-21 2013-07-30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위한 하방 압착 메시 장치 및 그 싱커
KR20210090556A (ko) * 2020-01-10 2021-07-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6038B2 (ja) *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JP5414670B2 (ja) * 2008-06-13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6234244B2 (ja) * 2013-03-08 2017-1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6223194B2 (ja) 2014-01-10 2017-11-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WO2016123218A1 (en) * 2015-01-28 2016-08-04 Nike Innovate C.V. Knitting machine with biased cam member for actuating a sinker
CN110129982B (zh) * 2019-06-05 2024-03-29 中山龙族自动化科技有限公司 起底板钢丝传动结构
CN115573088A (zh) * 2022-10-28 2023-01-06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沉降片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2856C1 (de) 1985-09-14 1986-12-18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7470 Albstadt Rundstrickmaschine mit Nadeln und Einschliessplatinen
JPH03206161A (ja) 1989-12-28 1991-09-09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KR0123800B1 (ko) 1989-12-28 1997-11-27 마사히로 시마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카장치
JPH0518630A (ja) * 1991-07-10 1993-01-2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796740B2 (ja) 1991-08-29 1995-10-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段ベッド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
JP3163602B2 (ja) * 1991-09-20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
JP2618312B2 (ja) * 1992-07-09 1997-06-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2700204B2 (ja) * 1992-12-15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JP3333304B2 (ja) 1994-03-18 2002-10-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JPH0931806A (ja)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JPH1025647A (ja) 1996-07-12 1998-01-27 Tsudakoma Corp 可動シンカの動作量設定装置
DE19704644B4 (de) * 1997-02-07 2006-06-14 H. Stoll Gmbh & Co.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stricks
JPH10256647A (ja) 1997-03-12 1998-09-25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レー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40990B2 (ja) 1997-08-11 2001-03-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ループ形成プレートを備えた横編機
JPH11107143A (ja) 1997-10-06 1999-04-20 Tsudakoma Corp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駆動装置
JP2001032151A (ja) 1999-07-15 2001-02-06 Tsudakoma Corp 横編み機における可動シンカーの駆動方法及び横編み機
TW522186B (en) 1999-11-17 2003-03-01 Shima Seiki Mfg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US6978642B2 (en) 2002-05-30 2005-12-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DE102007018744A1 (de) * 2007-02-26 2008-08-28 Bomag Gmbh Sitzvorrichtung zur Anordnung in einer Fahrerkabine
JP7096740B2 (ja) * 2018-08-30 2022-07-06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053B1 (ko) * 2011-09-21 2013-07-30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횡편기를 위한 하방 압착 메시 장치 및 그 싱커
KR20210090556A (ko) * 2020-01-10 2021-07-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장갑 편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5398A1 (en) 2006-05-10
KR101024209B1 (ko) 2011-03-23
WO2005012613A1 (ja) 2005-02-10
US7152435B2 (en) 2006-12-26
DE602004032351D1 (de) 2011-06-01
EP1655398A4 (en) 2007-08-29
EP1655398B1 (en) 2011-04-20
US20060243001A1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2348B2 (ja)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EP1835059B1 (en) Complex cam system
KR101024209B1 (ko)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EP289424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inker device
JP4125319B2 (ja) 横編機の給糸装置
KR101129481B1 (ko) 횡편기의 가동 싱커 장치 및 싱커
JP5414670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0924292B1 (ko) 가동싱커장치를 구비하는 횡편기
JP4175976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4175978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JP6161375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4175977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356443B1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WO2010073500A1 (ja) 横編機
JP2005113366A (ja) 横編機のシンカ
JP2012132125A (ja) 横編機の複合針
WO2024075449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JPS6229539B2 (ko)
WO2005012612A1 (ja)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2024056553A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2007023425A (ja) 横編機の休止編針保持機構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