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12B1 -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 Google Patents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12B1
KR101569012B1 KR1020140024159A KR20140024159A KR101569012B1 KR 101569012 B1 KR101569012 B1 KR 101569012B1 KR 1020140024159 A KR1020140024159 A KR 1020140024159A KR 20140024159 A KR20140024159 A KR 20140024159A KR 101569012 B1 KR101569012 B1 KR 10156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needle bed
bed gap
support por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746A (ko
Inventor
미노루 소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11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싱커잭의 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하여, 싱커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토크 스프링과 싱커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싱커(11)의 수동암(11c)은, 피벗지지부(11a)와 작용암(1lb)의 사이에서 분기된다.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켜서 싱커(11)가 개방상태로 되더라도, 가압부(12d)로부터 타단(13b)측에 대한 가압도 약해지기 때문에,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싱커잭(12)의 가압부(12d)와 선단부(12c)를 접근시킬 필요가 없어,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이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MOVABLE SINKER}
본 발명은, 개폐할 수 있고, 폐쇄상태에서는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것이 가능한,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편침과 함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서 스티치(stitch)를 형성하는 싱커를, 가동(可動)으로 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를 참조). 이 가동싱커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니들베드갭 근방에서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과, 피벗지지부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한다. 피벗지지부는, 원호 모양이고, 니들베드측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으로 움푹 패인 지지부(支持部)에 결합되고, 원호의 중심이 가상적(假想的)인 회전지점(回轉支點)이 된다. 가동싱커에는, 피벗지지부보다 내측의 지점으로 치우친 공간으로 만곡(彎曲) 부분이 수용되어,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도 형성된다. 작용암의 선단 부근에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편성되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하측으로 늘어지는 편성포의 스티치를 밀어내리는 기능을 구비한다.
편침을 니들베드갭으로 진출시켜서 훅(hook)에 편사를 공급하는 스티치 형성 시 등에 있어서, 작용암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방상태(開放狀態)로 하기 위하여 싱커잭(sinker jack)이 사용된다. 싱커잭은, 니들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기구에 의하여 구동되어, 선단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에서 싱커의 수동암에 결합된다. 결합상태에는 여유가 있어,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도 편사수용부에 편성포로부터 반력(反力)을 받으면, 토크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편성포로부터의 반력을 완화시킨다.
또 특허문헌1의 가동싱커에서는, 일단(一端)측을 싱커의 작용암에 접합시킨 토크 스프링의 타단(他端)측을 니들베드측에서 지지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에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개방상태에서는,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이 타단측에 근접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에 걸리는 힘이 폐쇄상태보다 커지게 된다. 토크 스프링은,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크게 밀어내리는 힘을 얻으려고 하면,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응력이 과대(過大)가 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2의 가동싱커에서는, 싱커잭의 결합부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형성하고,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지지한다.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에 근접시키면, 선단부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가압하고,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에서 싱커를 가압하기 때문에, 싱커가 폐쇄상태가 되어 크게 밀어내리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수동암을 인입시켜서 싱커가 개방상태가 된다.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측은,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가압하지 않게 되어,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허문헌1 : 국제공개 제05/012613호 팸플릿 특허문헌2 : 국제공개 제09/150825호 팸플릿
특허문헌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가동싱커에서는, 폐쇄상태에서의 토크 스프링에 대한 가압과 개방상태에서의 수동암에 대한 인입은, 싱커잭의 결합부에 형성되는 돌기 모양의 선단부의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측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측과의 표리에 의하여 접근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 의하여 싱커잭의 선단부의 작용을 받는 부분은, 취할 수 있는 형상에 제약을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싱커잭의 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하여, 싱커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토크 스프링과 싱커가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에 접하는 니들베드의 선단측에, 니들 플레이트(5, 25, 45)의 두께를 감소시킨 박육부의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부에 일부가 수용되는 싱커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각 싱커는,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되는 선단이 니들베드갭 내로 연장되는 만곡한 작용암과, 니들베드측에 형성되고 회전지점을 포함하는 피벗지지부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을 구비하고,
일단측이 싱커에 결합되고,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타단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로부터 가압을 받는 토크 스프링에 의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폐쇄상태가 되고,
선단측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가 수동암에 작용하여 후퇴시켜서,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상태가 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있어서,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되고,
싱커잭의 가압부는,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가압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가압하지 않거나 또는 가압을 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이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단부보다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상기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하고,
되돌아가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타단측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보다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과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타단측은,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동암이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으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싱커잭은,
상기 선단부에 연속하여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을 상기 가압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피벗지지부는,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또한 두께방향에 대하여 니들 플레이트의 박육부측으로 오프셋되어 돌출되고,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 상부 피벗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과 상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은 공통인 축선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싱커에 일체화하여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되고,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싱커잭의 선단부의 작용을 받아서 후퇴하여, 싱커는 개방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싱커의 폐쇄상태에서는, 싱커에 일단측이 결합되는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로부터 가압을 받는다. 싱커잭이 싱커의 수동암과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에 작용하는 선단부와 가압부는,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싱커의 수동암과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가압부는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두기 때문에,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에 대한 가압을 약하게 하도록 하여,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아, 폐쇄상태보다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에는, 선단부보다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된다. 가압부는,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의 성분이 커지게 되도록 가압하여,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을 통하여 싱커를 작용암이 니들베드갭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싱커에 있어서 작용암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편사수용부가 니들베드갭에서 편성포로부터의 반력을 받으면,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으로부터 싱커잭의 가압부로 부여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 힘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의 성분이 커지게 되어,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의 성분은 작아지게 된다. 싱커잭은, 토크 스프링으로부터 가압부로 힘이 부여되더라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후퇴하기 어렵게 되어, 싱커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스프링은, 일단측으로부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되돌려져서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한다. 되돌림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반력을 싱커잭에 부여하는 방향도, 싱커잭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잭은, 선단부에 연속되어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오목부에 있어서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을 가압부로 하기 때문에, 니들베드갭에 대하여 진퇴하는 방향에 대한 오목부의 폭을 크게 하면,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과 싱커의 수동암을 분리할 수 있어,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서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싱커의 피벗지지부는, 하부 피벗지지부와 함께 상부 피벗지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싱커의 회전을 니들베드의 바닥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함과 아울러,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부터도 제한하여, 회전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할 수 있다. 상부 피벗지지부는 두께방향에 대하여 하부 피벗지지부로부터 오프셋시키기 때문에,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와,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스프링과 싱커에서 취할 수 있는 형상의 제약이 완화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의 일단측을 싱커의 작용암과 피벗지지부의 사이에서 일체화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싱커잭(12) 및 토크 스프링(13)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싱커잭(32) 및 토크 스프링(33)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가동싱커(50)를 구성하는 싱커(51), 싱커잭(52) 및 토크 스프링(53)과, 니들베드(43)를 구성하는 기대(44) 및 니들 플레이트(45)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4의 싱커(51)에 형성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 및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도 및 측면도와, 니들 플레이트(45)에 형성하는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1 및 도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1로서의 가동싱커(可動sinker)(10)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3 및 도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2로서의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도5, 도6 및 도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3으로서의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다. 실시예1과 실시예2와 실시예3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참조부호의 수치를 20씩 다르게 하고 있다. 실시예2, 실시예3에 관한 설명에서는, 실시예1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또 실제로는, 도1, 도3 및 도5에 나타내는 니들베드(needle bed)(3, 23, 43)가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 22, 42)측에서 높고, 니들베드갭(2, 22, 4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수평의 자세로 나타낸다. 니들베드(3, 23, 4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여 나타낸다. 횡편기(1, 21, 41)에서는,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3, 23, 43)가 니들베드갭(2, 22, 4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단일(單一)의 니들베드(3, 23, 43)만을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주로 가동싱커(10, 30, 50)에 관련되는 구성부분에 대하여 나타내고, 다른 구성부분 특히 숨어있는 부분에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실시예1로서 가동싱커(10)를 구비하는 횡편기(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도1(a)는 폐쇄상태, 도1(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2)측에서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하여 니들베드(3)를, 기대(基臺)(4)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5)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형성한다. 지면(紙面)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에는 니들홈(6)이 형성된다. 기대(4)와 니들 플레이트(5)는,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wire)(7)에 의하여 위치결정된다. 각 니들홈(6)에는 편침(8)이 수용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편침(8)은, 바늘본체(8a)의 니들베드갭(2)측 선단에 형성되는 훅(hook)을, 슬라이더(slider)(8b)의 니들베드갭(2)측 선단에 형성되는 텅(tongue)에 의하여 개폐하는 복합바늘(compound needle)이지만, 훅을 래치(latch)에 의하여 개폐하는 래치바늘(latch needle)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가동싱커(10)는, 싱커(sinker)(11), 싱커잭(sinker jack)(12) 및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13)을 포함한다. 다만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은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가동싱커(10)는, 니들베드갭(2)에 접하는 니들베드(3)의 선단측에 배열되어 복수 설치된다. 각 싱커(11)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11a)와, 피벗지지부(11a)로부터 니들베드갭(2)측으로 만곡(彎曲)되어 연장되는 작용암(作用arm)(1lb)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受動arm)(11c)을 구비한다. 토크 스프링(13)은, 일단(一端)(13a)측이 피벗지지부(11a)와 수동암(11c)의 사이에 일체화되어 결합되고, 타단(他端)(13b)측이 싱커잭(12)측으로 연장된다.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가 니들베드갭(2) 근방의 니들베드(3)에 형성되는 원호 모양의 오목부에 결합되어 회전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가동싱커(10)에서는,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는 폐쇄상태와,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하는 개방상태를 절환(切換)할 수 있다. 절환은, 니들베드(3)를 따라 왕복주행하는 캐리지에 탑재되는 싱커캠(sinker cam)에 의하여, 니들베드갭(2)에 대하여 진퇴하는 싱커잭(12)을 구동하여 이루어진다. 폐쇄상태에서는,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행하는 싱커잭(12)이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하여, 싱커(11)의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측으로의 진입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싱커잭(12)에는, 니들홈(6) 내에 수용되어 이동할 때에 니들 플레이트(5)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슬라이딩 저항을 발생시키도록 슬라이딩 저항편(sliding 抵抗片)(12a)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의 작용을 받는 버트(butt)(12b)도 형성되어 있다.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2의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싱커잭(12)은, 전방의 선단으로 치우친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선단부(12c)를 구비한다. 싱커잭(12)을 도1(a)로부터 도1(b)와 같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12c)는 수동암(11c)의 선단측을 니들베드갭(2)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싱커(11)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단부(12c)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로부터 니들베드갭(2)에 근접하는 방향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돌출되는 가압부(加壓部)(12d)가 형성된다.
폐쇄상태에서는, 가압부(12d)의 선단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한다. 가압부(12d)의 선단이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가압하는 방향은, 하방의 성분이 커지게 된다. 토크 스프링(13)은, 일단(13a)측을 통하여 싱커(11)를 작용암(1lb)이 니들베드갭(2)측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한다. 폐쇄상태의 작용암(1lb)이 편성포를 가압하여 받는 반력(反力)은, 토크 스프링(13)을 통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으로부터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 부여된다. 이 반력은, 상방의 성분이 커지기 때문에,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되돌리는 힘의 성분은 작아진다. 따라서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에 의하여 싱커(11)를 폐쇄상태로 설정하면, 캐리지의 통과 후에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더라도 싱커잭(12)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후퇴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싱커잭(12)의 가압부(12d)는, 도1(b)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에서,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으로부터 멀어져서 비접촉(非接觸)이 되거나 또는 접촉하더라도 가압하는 힘이 약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싱커(11)의 폐쇄상태에서는 가압부(12d)에 의하여 토크 스프링(13)의 타단(13b)측을 작용암(1lb)이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것에 필요로 하게 되는 힘으로 가압하더라도, 개방상태에서는 가압하는 힘이 완화되기 때문에, 토크 스프링(13)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過大)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폐쇄상태에서 토크 스프링(13)은,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부터 타단(13b)측이 가압되고, 일단(13a)측이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와 수동암(11c) 사이의 일체화 부분을 통하여 작용암(1lb)을 니들베드갭(2)측으로의 진입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싱커잭(12)의 가압부(12d)와 선단부(12c)를 접근시킬 필요가 없어,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에 대한 형상적인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싱커잭(12)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밴드(band)(15)에 의하여 니들베드(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상(浮上)하지 않도록 가압된다. 도1(b)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에서, 싱커잭(12)이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때의 스토퍼(stopper)로서,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wire)(16)가 설치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가동싱커(10)를 구성하는 싱커(11), 싱커잭(12) 및 토크 스프링(13)과, 니들베드(3)를 구성하는 기대(4) 및 니들 플레이트(5)의 형상을 나타낸다.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는, 원호 모양의 외주의 가상적인 중심을 회전지점(回轉支點)(11f)으로 하여 회전변위한다. 작용암(1lb)은 편사수용부(11d)를 구비한다. 싱커잭(12)에서는, 선단부(12c)와 가압부(12d)를 떨어진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은, 일단(13a)으로부터, 작용암(1l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지지부(11a)를 넘어서 연장되어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타단(13b)측이 작용암(1lb)측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한다. 되돌아간 타단(13b)측은, 피벗지지부(11a)의 회전지점(11f)보다 니들베드갭(2)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싱커잭(12)의 가압부(12d)로부터 하방으로 가압된다. 일단(13a)측과 타단(13b)측 사이의 되돌림은, 만곡부(灣曲部)(13c)를 형성하여 할 수 있다. 만곡부(13c)는,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의 내측에 수용할 필요는 없으며, 회전지점(11f)보다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멀어진 후방까지 연장되어, 응력집중(應力集中)이 발생하지 않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판 모양의 니들 플레이트(5)에는, 후육부(厚肉部)(5a)의 상방에, 판의 두께를 감소시켜서 형성하는 박육부(薄肉部)(5b)를 형성하고, 박육부(5b)의 측방의 공간에 싱커(11) 및 싱커잭(12)을 수용하는 수용부(收容部)(5c)를 형성한다. 수용부(5c)의 하부에는, 원호 모양의 내주(內周)에서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를 지지하는 싱커지지부(sinker支持部)(5d)가 형성된다. 싱커지지부(5d)는, 후육부(5a)로부터 박육부(5b)에 걸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박육부(5b)에는 밴드 관통구멍(5e)이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의 후육부(5a)는 기대(4)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 싱커(11)는 토크 스프링(13)을 구비한다. 토크 스프링(13)은, 싱커(11)가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본 실시예와 형상이 다르게 되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 2와 마찬가지로 만곡부가 피벗지지부(11a)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과 같은 형상이더라도 좋다.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커(11)와 토크 스프링(13)을 일체화하는 경우에는, 토크 스프링(13)도 싱커(11)와 동일한 판재로 형성할 필요가 있지만, 일체화함으로써 가동싱커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켜서 조립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과 싱커(11)를, 특허문헌1, 2와 마찬가지로 별체(別體)로 하더라도 본 실시예에서 일단(13a)측이 싱커(11)에 일체화되어 있는 장소에 결합하면, 본 실시예와 같은 상태로 할 수 있다. 토크 스프링(13)에는 싱커(11)와 다른 탄성재료를 사용할 수 있어, 선재(線材)를 사용하여 선 스프링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2)
도3은 실시예2로서, 가동싱커(30)를 구비하는 횡편기(2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3(a)는 폐쇄상태, 도3(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크 스프링(33)의 만곡부(33c)를 싱커(31)의 피벗지지부(31a)의 내측에 수용하지만,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측은, 싱커(31)의 수동암(31c)과 싱커잭(32)의 선단부(32c)와의 작용위치보다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위치가 되는 가압부(32d)에서, 폐쇄상태에서의 가압을 할 수 있다. 즉 싱커잭(32)의 선단 부근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1개의 오목부(32e)가 선단부(32c)에 연속되어 형성된다. 오목부(32e)는, 앞의 벽면(壁面)이 되는 선단부(32c)의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과, 뒤의 벽면이 되는 가압부(32d)와의 간격이 수동암(31c)의 니들베드갭(22)으로 진퇴하는 방향의 폭보다 커지게 되도록 형성된다.
개방상태에서는, 싱커잭(31)이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선단부(32c)가 수동암(31a)에 작용함으로써 싱커(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도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지만 가압부(32d)도 후퇴하고 있기 때문에, 압력은 증대되지 않는다. 토크 스프링(33)의 타단(33b)은, 피벗지지부(33a)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에 의하여 원호 모양으로 후퇴하기 때문에, 직선 모양으로 후퇴하는 가압부(32d)로부터 받는 압력은 오히려 감소되어 토크 스프링(33)에 걸리는 응력이 과대가 되지 않는다.
도4는, 도3의 가동싱커(30)를 구성하는 싱커(31), 싱커잭(32) 및 토크 스프링(33)과, 니들베드(23)를 구성하는 기대(24) 및 니들 플레이트(25)의 형상을 나타낸다.
토크 스프링(33)의 만곡부(33c)가 싱커(31)의 피벗지지부(31a)의 내측에 수용되는 점에서는, 형상에 있어서 제한을 받지만, 타단(33b)측을 싱커(31)의 수동암(31c)보다 니들베드갭(22)으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2의 도3보다는 형상적인 제약이 완화된다. 싱커잭(32)의 선단부(32c)와 가압부(32d)를 1개의 오목부(32e) 내에서, 니들베드갭(22)으로 진퇴하는 방향에 있어서 전후의 벽면으로서 형성하기 때문에, 형상을 단순화하여 제조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토크 스프링(33)과 싱커(31)를 별체로 하여 토크 스프링(33)의 일단측을 싱커(31)에 결합시켜도 좋다.
(실시예3)
도5는 실시예3으로서, 가동싱커(50)를 구비하는 횡편기(41)의 개략적인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5(a)는 폐쇄상태, 도5(b)는 개방상태로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51)의 회전을, 실시예1의 피벗지지부(11a)에 상당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함께 상부 피벗지지부(51g)에서도 지지한다.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형성하기 때문에 하부 피벗지지부(51a)의 내측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없으며, 토크 스프링(53)의 일단(53a)측은, 상부 피벗지지부(51g)보다 니들베드갭(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위치에서 하부 피벗지지부(51a)로부터 분기(分岐)된다. 하부 피벗지지부(51a)에서, 니들베드갭(42)에 근접하는 방향의 위치로부터는 작용암(5lb) 및 수동암(51c)을 분기시킨다.
도6은, 도5의 가동싱커(50)를 구성하는 싱커(51), 싱커잭(52) 및 토크 스프링(53)과, 니들베드(43)를 구성하는 기대(44) 및 니들 플레이트(45)의 형상을 나타낸다. 싱커(51)는, 니들베드(43)의 바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니들베드(43)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 모양의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구비한다.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회전지점(51f, 51h)의 주위를 각각 회전한다. 니들 플레이트(45)에는, 후육부(45a)와 박육부(45b)의 경계에 하부 피벗지지부(51a)가 결합하는 원호 모양의 하부 싱커지지부(45d)가 형성된다. 또한 니들 플레이트(45)의 박육부(45b)를 관통하여, 상부 피벗지지부(51g)가 결합하는 원호 모양의 상부 싱커지지부(45g)가 형성된다.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원호의 중심(45f, 45h)은 공통의 축선 상에 형성된다. 싱커(51)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두께방향으로 오프셋(off-set)시켜서 회전지점(51f, 51h)을 공통의 축선(51i) 상에 형성하고 있어, 하부 싱커지지부(45d)와 상부 싱커지지부(45g)에 의하여 각각 지지할 때에는 원호의 중심(45f, 45h)도 축선(51i) 상에 위치한다.
싱커(51)에 대하여, 회전지점(51f, 51h)으로부터 하부 피벗지지부(51a),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외주까지의 반경을 각각 Ra, Rg라고 하면, 니들 플레이트(45)에 대하여, 원호의 중심(45f, 45h)으로부터 하부 싱커지지부(45d),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내주까지의 반경은 Ra, Rg가 된다. 실시예1과 같이 본 실시예의 하부 피벗지지부(51a)에 상당하는 피벗지지부(11a)를, 하부 싱커지지부(45d)에 상당하는 싱커지지부(5d)에 의하여 지지하더라도, 싱커(11)에 대한 상방의 지지는 싱커잭(12)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싱커잭(12)의 상방의 가압은 밴드(15)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밴드(15)에 의한 싱커잭(12)으로의 상방으로부터의 가압은, 싱커잭(12)을 니들베드갭(2)에 대하여 진퇴하는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어,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에 대한 싱커잭(12)을 통한 가압으로서는 불충분하게 된다. 싱커(11)에 대한 가압이 불충분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토크 스프링(13)이 휘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싱커(11)의 피벗지지부(11a)가 니들 플레이트(5)의 하부 싱커지지부(5d)로부터 상방으로 떠버리는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싱커(51)의 상부 피벗지지부(51g)를 니들 플레이트(45)의 상부 싱커지지부(45g)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회전하는 싱커(51)에 발생하는 상방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도7은, 도5의 싱커(51)에 형성되는 하부 피벗지지부(51a) 및 상부 피벗지지부(51g)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단면 형상을 (a)에서 나타내고, 측면 형상을 (b)에서 나타내고, 니들 플레이트(45)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45d) 및 상부 싱커지지부(45g)의 측면 형상을 (c)에서 나타내고, 부분적인 단면 형상을 (d)에서 나타낸다. 도7(a)는 도7(b)의 절단면선(A-A)에서 본 단면이다. 도7(d)는 도7(c)의 절단면선(D-D)에서 본 단면이다.
도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피벗지지부(51g)는, 축선(51i)의 방향이 되는 두께방향에 관하여 하부 피벗지지부(51a)와 위치가 어긋나도록 오프셋시키는 절곡가공(折曲加工)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싱커지지부(45g)는 니들 플레이트(45)의 박육부(45b)에 형성될 수 있다. 오프셋 휘어짐을 하지 않으면, 상부 싱커지지부(45g)를 형성하는 부분도 후육부(45a)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니들 플레이트(45)의 가공이 복잡하게 된다.
1, 21, 41 : 횡편기
2, 22, 42 : 니들베드갭
3, 23, 43 : 니들베드
4, 24, 44 : 기대
5, 25, 45 : 니들 플레이트
5b, 25b, 45b : 박육부
5c, 25c, 45c : 수용부
5d, 25d : 싱커지지부
10, 30, 50 : 가동싱커
11, 31, 51 : 싱커
11a, 31a : 피벗지지부
1lb, 3lb, 5lb : 작용암
11c, 31c, 51c : 수동암
11f, 31f, 51f, 51h : 회전지점
12, 32, 52 : 싱커잭
12c, 32c, 52c : 선단부
12d, 32d, 52d : 가압부
13, 33, 53 : 토크 스프링
13a, 33a, 53a : 일단
13b, 33b, 53b : 타단
45d : 하부 싱커지지부
45g : 상부 싱커지지부
51a : 하부 피벗지지부
51i : 축선
51g : 상부 피벗지지부

Claims (7)

  1.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에 접하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선단측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alte)의 두께를 감소시킨 박육부(薄肉部)의 일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수용부(收容部)에 일부가 수용되는 싱커(sinker)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각 싱커는,
    편성포를 밀어내리는 편사수용부가 형성되는 선단측이 니들베드갭 내로 연장되는 만곡(彎曲)한 작용암(作用arm)과, 니들베드측에 형성되고 회전지점(回轉支點)을 포함하는 피벗지지부(pivot支持部)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동암(受動arm)을 구비하고,
    일단(一端)측이 싱커에 결합되고, 싱커잭(sinker jack)을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면, 타단(他端)측이 싱커잭에 형성되는 가압부(加壓部)로부터 가압을 받는 토크 스프링(torque spring)에 의하여,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폐쇄상태(閉鎖狀態)가 되고,
    선단측에 니들베드의 바닥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싱커잭을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선단부가 수동암에 작용하여 후퇴시켜서, 작용암이 니들베드갭 내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개방상태(開放狀態)가 되는,
    가동싱커(可動sinker)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
    싱커의 수동암은 피벗지지부와 작용암의 사이로부터 분기(分岐)되고,
    싱커잭의 가압부는,
    선단부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되고,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을 싱커의 폐쇄상태에서 가압하고, 싱커의 개방상태에서 가압하지 않거나 또는 가압을 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단부보다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부터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경사지면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되돌려져서 상기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형상을 구비하고,
    되돌아가서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타단측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보다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싱커잭의 상기 가압부로부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커의 상기 수동암과 상기 토크 스프링의 상기 타단측은,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수동암이 상기 니들베드갭에 근접하는 방향측으로, 토크 스프링의 타단측이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싱커잭은,
    상기 선단부에 연속되어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오목부의 니들베드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측의 벽면(壁面)을 상기 가압부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지지부는,
    상기 니들베드의 바닥부를 향하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니들 플레이트의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하부 피벗지지부와,
    니들베드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상방으로 또한 두께방향에 대하여 니들 플레이트의 박육부측으로 오프셋(off-set)되어 돌출되고, 박육부에 형성되는 상부 싱커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원호 모양의 상부 피벗지지부를
    구비하고,
    하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과 상부 피벗지지부의 회전지점은 공통의 축선(軸線)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싱커에 일체화되어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스프링은, 상기 일단측에서 상기 싱커에 일체화되어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20140024159A 2013-03-08 2014-02-28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569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7327 2013-03-08
JPJP-P-2013-047327 2013-03-08
JP2014011857A JP6234244B2 (ja) 2013-03-08 2014-01-24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JP-P-2014-011857 2014-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746A KR20140110746A (ko) 2014-09-17
KR101569012B1 true KR101569012B1 (ko) 2015-11-13

Family

ID=5027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159A KR101569012B1 (ko) 2013-03-08 2014-02-28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75019B1 (ko)
JP (1) JP6234244B2 (ko)
KR (1) KR101569012B1 (ko)
CN (1) CN1040324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101B2 (ja) * 2015-11-06 2018-02-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WO2024075449A1 (ja) * 2022-10-05 2024-04-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CN115573088A (zh) * 2022-10-28 2023-01-06 浙江睿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沉降片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011A1 (de) 1988-06-13 1989-12-20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EP1655398B1 (en) 2003-07-30 2011-04-2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EP2050849B1 (en) 2006-08-11 2012-02-01 Shima Seiki Mfg., Ltd Movable sinker and weft knitting machine
EP2305866B1 (en) 2008-06-13 2015-09-30 Shima Seiki Mfg., Ltd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7934A1 (de) * 1988-06-13 1989-12-14 Schieber Universal Maschf Flachstrickmaschine
KR0123800B1 (ko) * 1989-12-28 1997-11-27 마사히로 시마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카장치
JPH0931806A (ja) * 1995-07-14 1997-02-04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装置を備えた横編機
US6978642B2 (en) * 2002-05-30 2005-12-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4175976B2 (ja) * 2003-07-30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4015972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JP4176038B2 (ja) * 2004-03-31 2008-11-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可動シンカー装置
JP2012012735A (ja) * 2010-07-01 2012-01-19 Shima Seiki Mfg Ltd 可動シンカー部材、および横編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011A1 (de) 1988-06-13 1989-12-20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EP1655398B1 (en) 2003-07-30 2011-04-20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EP2050849B1 (en) 2006-08-11 2012-02-01 Shima Seiki Mfg., Ltd Movable sinker and weft knitting machine
EP2305866B1 (en) 2008-06-13 2015-09-30 Shima Seiki Mfg., Ltd Weft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movable sin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32471B (zh) 2016-02-24
JP6234244B2 (ja) 2017-11-22
CN104032471A (zh) 2014-09-10
EP2775019B1 (en) 2015-09-16
KR20140110746A (ko) 2014-09-17
EP2775019A1 (en) 2014-09-10
JP2014196586A (ja)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378B1 (ko) 싱커장치를 구비한 횡편기
JP3542348B2 (ja) 横編機のシンカー装置
US7980100B2 (en) Highly reliable sinkerless knitting machine with latch needles
KR101569012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9990088076A (ko) 횡편기
EP3165651B1 (en) Flat knitting machine
KR100643533B1 (ko) 편성부재의 가이드 기구 및 거기에 결합되는 복합바늘
KR101129481B1 (ko) 횡편기의 가동 싱커 장치 및 싱커
JP5431002B2 (ja) 筒状編地編成用横編機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537941B1 (ko) 횡편기
JP5414670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KR101024209B1 (ko) 가동 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101576837B1 (ko)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
KR200429583Y1 (ko) 양말편직기용 분할캠장치
KR101356443B1 (ko) 트랜스퍼 리시빙 니들용 캠 장치
JP5632277B2 (ja) 横編機の複合針
KR102366041B1 (ko) 횡편기
JP5604509B2 (ja) 複合針、および横編機
JPH10266049A (ja) 編目を形成する繊維機械のための舌針
JP4175978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JP5172840B2 (ja) 横編機の選針機構、横編機の選針機構用セレクタ及び横編機の選針機構用スペーサ
WO2024075449A1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および可動シンカー
JP2013060690A (ja) 編成部材のかし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4